KR20010069375A - The strong hand machine for chair - Google Patents

The strong hand machine for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9375A
KR20010069375A KR1020010013509A KR20010013509A KR20010069375A KR 20010069375 A KR20010069375 A KR 20010069375A KR 1020010013509 A KR1020010013509 A KR 1020010013509A KR 20010013509 A KR20010013509 A KR 20010013509A KR 20010069375 A KR20010069375 A KR 20010069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chair
tensioner
handle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5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종연
Original Assignee
황종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종연 filed Critical 황종연
Priority to KR1020010013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9375A/en
Publication of KR2001006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375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5/00Other seating furniture
    • A47C15/004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PURPOSE: A brawn strengthening device for a chair is provided to strengthen brawn of hands or finger sitting on the chair by coupling one side handle of the brawn strengthening device with a front of an armrest frame, thereby enabling sedentaries and students taking exercise using short time or spare time. CONSTITUTION: In a chair forming armrest cushions(3) covering each upper part of armrest frames(2) made of metal at both sides of a seat, a brawn strengthening device for the chair includes an A-shaped brawn strengthening device(1) having a pair of handles(11,12) at both sides and an elastically-supporting spring(13) connected with each one side of the pair of handles, wherein one handle is inserted into the armrest frame.

Description

의자용 완력기{The strong hand machine for chair}The strong hand machine for chair}

본 발명은 의자의 팔걸이 전방에 완력기를 설치하여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손의 완력운동을 하기 위한 의자용 완력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tensioner for the arm movement of the hand in the state sitting on the chair by installing a tensioner in front of the armrest of the chair.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무를 보거나 공부를 할 때에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general, chairs are designed to allow you to sit comfortably when you are working or studying.

그러므로 회사에서 업무를 보는 회사원이나 공부를 하는 학생은 장시간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업무 및 공부를 함으로서 운동 부족 현상을 일으키게 되었다.Therefore, an office worker who works at a company or a student studying has caused a lack of exercise by working and studying while sitting in a chair for a long time.

그리고 현대에서 컴퓨터를 주로 사용하여 업무나 공부를 하게 됨으로 컴퓨터 사용자의 손목과 손가락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신종 현대병으로 까지 발전하게 되는 일이 다반사였다.In modern times, the use of computers is mainly used for work or study, and the computer user's wrists and fingers are repeatedly used, which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new modern diseases.

이와 같은 업무를 보거나 공부를 하는 학생이 책상 앞에 장시간 앉아 있게 됨으로 운동 부족 현상을 일으키게 되었고, 이러한 운동부족 현상에 의해 각종 병이 발생하게 됨으로서 별도의 운동기구가 있는 장소에서 부족한 운동을 하여야만 함으로서 부족한 운동을 하기 위한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게 되었다.Students who see or work like this have been sitting in front of their desks for a long time, causing a lack of exercise, and the lack of exercise caused various illnesses. I felt an economic burden to do this.

또한 시간이 아까운 수험생에게는 운동 부족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시각적인 여유가 없게 됨으로 몸이 약하게 되어 몸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xaminee who is not time-consuming has a problem such as weakening the body by not being able to visually eliminate the lack of exercise phenomenon.

또한 업무를 보거나 공부를 장시간 하면서 반복적으로 손을 사용하게 됨으로손과 손목에 무리를 주게 되어 손과 손목에 병이 생기게 되었다.In addition, by using the hand repeatedly while working or studying for a long time, the hands and wrists were given a lot, and the hands and wrists became sick.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의자에서 장시간 앉아서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손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의자의 팔걸이에 완력기를 설치하여 업무나 공부를 하는 중간에도 손의 운동과 손가락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생기게 되는 손의 병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peatedly install the arm and arm of the chair so as not to overload the hand to be used repeatedly sitting in the chair for a long tim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hand and the movement of the finger even in the middle of work or study It is to relieve the illness of the hand that is to be used as.

도 1 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완력기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nsioner is drawn out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도 2 의 A - A선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절곡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절곡되는 부분의 사용상태도로서 완력기가 인입된 상태도.Figure 6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in which the retractor is drawn.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절곡되는 부분의 사용상태도로서 완력기가 인출된 상태도.Figure 7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state of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in which the tensioner is drawn out.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손가락 완력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finger tensioner in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Fig.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 **

1) 완력기 2) 팔걸이 프레임 3) 팔걸이 쿠션 4) 스톱퍼1) Armor 2) Armrest Frame 3) Armrest Cushion 4) Stopper

5) 유도봉 6) 손가락 완력기 8) 손가락4 파지판 11)12) 손잡이5) Guide rod 6) Finger lifter 8) Finger 4 Holding plate 11) 12) Handle

의자의 양측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팔걸이 프레임을 고정 설치하는 상부에 우레탄과 같은 쿠션이 있는 팔걸이 쿠션을 상기 팔걸이 프레임의 상부로 감싸도록 하는 팔걸이를 갖는 의자에 있어 상기 팔걸이 프레임의 전방으로 "A"자 형상의 완력기를 고정 설치하여 구성한다.A chair having armrests for wrapping armrest cushions with urethane-like cushions on the upper part of the armrest frame made of metal on both sides of the chair to the upper part of the armrest frame, having an "A" shape toward the front of the armrest frame. It is configured by fixed installation of the damper.

즉 양측으로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탄지 스프링으로 연결하여 "A"자 형상의 완력기를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 중 하나의 손잡이를 상기 팔걸이 프레임에 삽입하여 고정하여 이루어진다.That is, the handles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one side of the handle is connected by a spring to form a "A" shaped tensioner, and the handle of one of the handles is made by inserting the armrest frame.

이때에 다른 쪽의 손잡이는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handle of the other side is formed to face downward.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팔걸이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력기의 손잡이 일측으로 힌지핀에 의해 절곡이 되도록 유도봉을 형성하고, 상기 유도봉의 일측으로 탄지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도록 형성한다.And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guide bar to be bent by a hinge pin to the handle side of the tensioner coupled to the armrest frame, it is formed to be supported by the spring finger to one side of the guide rod.

상기 유도봉과 손잡이는 팔걸이 프레임에 슬라이드 삽입 결합하고, 상기 탄지 스프링의 일측을 팔걸이 프레임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핀에 걸리도록 형성한다.The guide rod and the handle is inserted into the armrest frame slide coupling, and formed to be fixed to the fixing pin for fixing one side of the finger spring to the armrest frame.

상기 유도봉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유도홈을 형성하여 팔걸이 프레임에 고정설치하는 멈춤핀이 결합되도록 형성한다.The guide rods are formed so that guide pins fixed to the armrest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orming guide grooves at the top and the bottom thereof.

상기 유도봉과 손잡이간의 상호 접하는 부분에 상호 접하도록 상,하에 각각 단턱을 형성하고, 탄지스프링에 의해 항상 일측으로 절곡되도록 탄지하여 이루어진다.Steps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respectivel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mutual contact portion between the guide rod and the handle, and is made to be bent to always be bent to one side by a tangy spring.

상기 손잡이의 일측으로 걸림홈을 형성하여 팔걸이 프레임의 하부측인 팔걸이 쿠션에 탄지 스프링에 의해 항상 일측으로 탄지하는 스톱퍼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스톱퍼의 일측으로 형성하는 걸림돌기에 상기 걸림홈이 걸리도록 형성한다.Forming a locking groove to one side of the handle to form a stopper that is always held to one side by a tangy spring to the armrest cushion that is the lower side of the armrest frame, and formed so that the locking groove is caught on the locking projection formed to one side of the stopper. do.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완력기의 손잡이 중 일측의 손잡이를 연장 형성하여 일측에 상기 스톱퍼의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일측을 상기 팔걸이 쿠션의 전방 중앙에 힌지축으로 힌지 설치하되 상기의 제 2 실시예의 절곡부와 같은 방법으로 탄지 스프링에 탄지되도록 형성한다.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locking groove to extend the handle of one side of the handle of the tensioner to catch the stopper of the stopper on one side, one side hinged to the front center of the armrest cushion with hinge In the same manner as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is formed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finger spring.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각각의 손가락의 힘을 기르도록 하는 완력기인 손가락 완력기를 설치함에 있어 제 1 실시예와 같은 팔걸이 프레임내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하는 유도봉과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손잡이의 하부로 다수개의 유도봉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유도봉의 하부에 유도봉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중간지지대를 설치하여 상기 유도봉의 외주연에 각각 탄지 스프링으로 탄지하도록 형성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installing a finger tensioner, which is a tensioner for raising the force of each finger, a plurality of lower portions of the handle to make the guide rod and the bending to slide into the armrest fr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wo guide rods are fixedly installed, and an intermediate support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rods so as to slide on the guide rods.

상기 중간지지대의 하부로 일측에 각각 손가락 파지판을 고정 설치하는 유도봉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유도봉의 외주연에 각각 탄지스프링을설치하여 이루어진다.Induction rods fixed to each of the finger holding plate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termediate support is installed so that the slide moves, and each of the guide rod is made by installing a tangy spring.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상기 손가락 완력기의 손잡이 부분의 일측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의 연장 형성한 일측에 상기 스톱퍼의 걸림돌기와 결합하는 걸림홈을 형성하는 일측을 팔걸이 쿠션의 전방에 힌지축으로 결합설치하며, 상기 제 1 실시예의 절곡되는 방법과 같이 탄지 스프링을 탄지 설치하여 항상 손가락 완력기가 상부로 향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A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finger tensioner extends, and the hinge shaf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nded portion of the handle to form a locking groove engaging with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stopper. It is coupled to the installation, as in the bending method of the first embodiment by installing the finger spring springs to be installed so that the finger tensioner can always be directed upward.

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을 도시한 도면을 보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drawings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의 양측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팔걸이 프레임(2)을 고정 설치하는 상부에 우레탄과 같은 쿠션이 있는 팔걸이 쿠션(3)을 상기 팔걸이 프레임(2)의 상부로 감싸도록 하는 팔걸이를 갖는 의자에 있어 상기 팔걸이 프레임(2)의 전방으로 "A"자 형상의 완력기(1)를 고정 설치하여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 an armrest for wrapping an armrest cushion 3 having a cushion such as urethane on an upper portion of the armrest frame 2 made of metal on both sides of the chai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rmrest frame 2. In the chair having the armrest frame (2) in front of the "A" shaped armature 1 is installed by fixing.

즉 양측으로 손잡이(11,12)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11,12)의 일측에 탄지스프링(13)으로 연결하여 "A"자 형상의 완력기(1)를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11,12)중 하나의 손잡이(11)를 상기 팔걸이 프레임(2)에 삽입하여 고정하여 이루어진다.That is, the handles 11 and 12 are formed at both sides, and one side of the handles 11 and 12 are connected to the spring finger 13 to form a "A" shaped tensioner 1, and the handle 11, The handle 11 of 12) is made by inserting and fixing the armrest frame 2.

이때에 다른 쪽의 손잡이(12)는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other handle 12 is formed to face downward.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도 2 내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걸이 프레임(2)에 결합되는 완력기(1)의 손잡이(11) 일측으로 힌지핀(57)에 의해 절곡이 되도록 유도봉(5)을 형성하고, 상기 유도봉(5)의 일측으로 탄지 스프링(53)에 의해 탄지되도록 형성한다.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to 7 guide rods to be bent by the hinge pin (57) to one side of the handle 11 of the tensioner (1) coupled to the armrest frame (2) (5) is formed, it is formed to be supported by the finger spring 53 to one side of the guide rod (5).

상기 유도봉(5)과 손잡이(11)는 팔걸이 프레임(2)에 슬라이드 삽입 결합하고, 상기 탄지 스프링(53)의 일측을 팔걸이 프레임(2)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핀(21)에 걸리도록 형성한다.The guide rod 5 and the handle 11 are inserted into the armrest frame (2) coupled to the slide, and formed to be fixed to the fixing pin 21 for fixing one side of the finger spring (53) to the armrest frame (2) do.

상기 유도봉(5)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유도홈(51)을 형성하여 팔걸이 프레임(2)에 고정 설치하는 멈춤핀(52)이 결합되도록 형성한다.The induction bar 5 is formed so that the stop pin 52 is fixed to the armrest frame (2) by forming a guide groove 51 in the upper and lower, respectively.

상기 유도봉(5)과 손잡이(11)간의 사이에 상호 접하도록 상,하에 각각 단턱(54,55,112,113)을 형성하고, 탄지스프링(56)에 의해 항상 일측으로 절곡되도록 탄지하여 이루어진다.Steps 54, 55, 112, and 113 are formed above and below, respectivel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etween the guide rods 5 and the handles 11, and are made to be bent to be bent to one side by the tanger spring 56 at all times.

상기 손잡이(11)의 일측으르 걸림홈(111)을 형성하여 팔걸이 프레임(2)의 하부측인 팔걸이 쿠션(3)에 탄지 스프링(42)에 의해 항상 일측으로 탄지하는 스톱퍼(4)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스톱퍼(4)의 일측으로 형성하는 걸림돌기(41)에 상기 걸림홈(111)이 걸리도록 형성한다.The stopper 4 which forms a locking groove 111 at one side of the handle 11 and is always held to one side by a finger spring 42 to the armrest cushion 3 which is a lower side of the armrest frame 2 is formed. And, it is formed so that the locking groove 111 is caught in the locking projection 41 formed to one side of the stopper (4).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력기(1)의 손잡이(11,12) 중 일측의 손잡이(11)를 연장 형성하여 일측에 상기 스톱퍼(4)의 걸림돌기(41)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114)을 형성하고, 일측을 상기 팔걸이 쿠션(3)의 전방 중앙에 힌지축(157)으로 힌지 설치하되 상기의 제 2 실시예의 유도봉(5)과 손잡이(11)간의 절곡되는 부분과 같은 방법으로 탄지 스프링(56)에 탄지되도록 형성한다.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of the handles 11, 12 of the tensioner (1) by extending the handle 11 of one side to form a locking projection 41 of the stopper (4) on one side The locking groove 114 is formed to be caught, and one side is hinged by a hinge shaft 157 at the front center of the armrest cushion 3, but the guide rod 5 and the handle 11 of the second embodiment. It is formed to be touched on the finger spring 56 in the same way as the bent portion of the liver.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도 9 내지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손가락의 힘을 기르도록 하는 완력기인 손가락 완력기(6)를 설치함에 있어 제 1 실시예와 같이 팔걸이 프레임(2)내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하는 유도봉(5)과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손잡이(11)의 하부로 다수개의 유도봉(61)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유도봉(61)의 하부에 유도봉(61)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중간지지대(7)를 설치하며, 상기 유도봉(61)의 외주연에 각각 탄지스프링(62)으로 탄지하도록 형성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9 to 10, in the installation of the finger tensioner 6, which is a tensioner for increasing the force of each finger, the armrest frame 2 as in the first embodiment is installed. A plurality of guide rods 61 are fixed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1 for bending and a guide rod 5 to be moved, and slides on the guide rod 61 at the bottom of the guide rod 61. Intermediate support (7) is installed to move, and is formed so as to be tangled with a tangy spring (62)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e rod (61).

상기 중간지지대(7)의 하부로 일측에 각각 손가락 파지판(8)을 고정 설치하는 유도봉(81)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유도봉(81)의 외주연에 각각 탄지스프링(82)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Guide rods 81 for fixing the finger holding plate 8 fixed to one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intermediate support 7 are installed to slide, respectively, the tangy springs 82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e rod 81. It is done by installing it.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도 1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가락 완력기(6)의 손잡이(11) 부분의 일측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11)의 연장 형성한 일측에 상기 스톱퍼(4)의 걸림돌기(41)와 결합하는 걸림홈(114)을 형성하는 일측을 팔걸이 쿠션(3)의 전방에 힌지축(157)으로 결합설치하며, 상기 제 1 실시예의 유도봉(5)과 손잡이(11)간의 상호 절곡되는 방법과 같이 탄지 스프링(56)을 탄지 설치하여 항상 손가락 완력기(6)가 상부로 향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A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one side of the handle 11 portion of the finger tensioner 6 is extended, and the stopper 4 is extended on one side of the handle 11. One side forming the engaging groove 114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41 of the armrest cushion (3) in front of the hinge shaft 157 is installed and installed, the guide rod 5 and the handle of the first embodiment ( 11) The tangy spring 56 is installed in a tangent manner as in the mutual bending of the fingers, so that the finger tensioner 6 is always formed upward.

또한 상기 손가락 완력기(6)의 손잡이(11) 부분을 팔걸이 쿠션(3)의 전방 하부에 일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handle 11 portion of the finger tensioner 6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armrest cushion 3.

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걸이 프레임(2)의 전방으로 완력기(1)의 손잡이(11)를 삽입 고정시킨 상태로 형성함으로서 사무실에서 업무를 보고 쉬는 시간이나 공부를 하고 쉬는 시간에 양측의 팔걸이에 설치한 완력기(1)를 잡고 손가락으로 당기면 하부로 위치한 손잡이(12)가 당겨지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handle 11 of the tensioner 1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ront of the armrest frame 2 so that the armrests of both sides can be seen at work or at work and at rest in the office. Grab the installed tensioner (1) and pull with a finger to pull the handle 12 located below.

그리고 당겨진 손잡이(12)를 놓으면 탄지 스프링(13)의 탄지력에 의해 손잡이(12)가 하부로 복귀를 하게 됨으로 반복하여 손을 쥐었다,놓았다 하면서 손아귀의 근력을 강화시킴으로 여유 시간에 손의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ulled handle 12 is released, the handle 12 is returned to the bottom by the force of the finger spring 13, thereby repeatedly holding the hand. Will be able to.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도 2 내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걸이의 안쪽 또는 박으로 형성한 스톱퍼(4)를 누르면 스톱퍼(4)의 일측으로 형성한 걸림돌기(41)가 손잡이(11)의 걸림홈(111)으로부터 이격이 되고, 상기와 같이 걸림홈(111)으로부터 스톱퍼(4)의 걸림돌가(41)가 이탈됨으로 인하여 유도봉(5)의 일측으로 탄지되어 있는 탄지 스프링(53)의 탄지력에 의해 유도봉(5)을 팔걸이의 전방 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2 to 7, as shown in FIGS. 2 to 7, when the stopper 4 formed of the inner side or the foil of the armrest is pressed, the locking protrusion 41 formed to one side of the stopper 4 is handled ( 11,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groove 111, the stop spring 41 of the stopper 4 is detached from the locking groove 111 as described above, and is supported by one side of the guide rod (5). By the gripping force of) guide rod (5) is moved to the front of the armrest.

이와 같이 유도봉(5)이 전방으로 슬라이동하면서 유도봉(5)의 전방에 설치한 완력기(1) 또한 팔걸이의 전방으로 인출되고, 전방으로 유도봉(5)과 완력기(1)의 손잡이(11)가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지 스프링(56)의 탄지력에 의해 완력기(1)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유도봉(5)과 손잡이(11)에 형성한 단턱(54,112)이 상호 접하게 되면서 유도봉(5)에 대하여 완력기(1)가 손에 쥐기 편리한 각도로 절곡이 된다.Thus, the tensioner 1 installed in front of the guide rod 5 while the guide rod 5 slides forward is also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armrest, and the handle of the guide rod 5 and the tensioner 1 forward ( As shown in FIGS. 5 to 7, the armature 1 rotates clockwise by the holding force of the finger spring 56, and the stepped portion formed on the guide rod 5 and the handle 11 As the 54,11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ensioner 1 is bent at a convenient angle with respect to the guide rod 5.

이때에 유도봉(5)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한 유도홈(51)상에서 멈춤핀(52)에 의해 완력기(1)를 쥐기 편리한 위치만큼 이동하여 멈추게 된다.At this time, by the stop pin 52 formed on the guide grooves 51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bar 5, the stopper 1 is moved to a position convenient to grip.

이와 같이 완력기(1)를 인출한 상태에서 손의 운동을 하고, 완력기(1)를 사용하지 않고자 할 때에는 완력기(1)의 일측을 팔걸이 프레임(2) 측으로 밀면 유도봉(5)이 고정핀(21)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손잡이(11) 또한팔걸이 프레임(2)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hand movement is per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tensioner (1) is drawn out and the tensioner (1) is not used, the induction bar (5) is fixed by pushing one side of the tensioner (1) toward the armrest frame (2). The slide 21 is moved to the 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handle 11 also slides into the armrest frame (2).

그러면 탄지 스프링(42)에 의해 일측으로 탄지되어 있는 걸림돌기(41)의 위치까지 손잡이(11)의 걸림홈(111)이 위치하면 걸림홈(111)에 걸림돌기(41)가 걸리게 됨으로서 완력기(1)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n, when the catching groove 111 of the handle 11 is positioned to the position of the catching protrusion 41 which is supported by one side of the stopper spring 42, the catching protrusion 41 is caught by the catching groove 111, thereby reducing the tensioner ( 1) is prevented from being withdrawn.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력기(1)를 힌지축(157)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팔걸이의 하부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완력기(1)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스톱퍼(4)를 누르면 스톱퍼(4)의 일측으로 형성한 걸림돌기(41)가 걸림홈(114)으로부터 해제되고, 완력기(1)는 힌지축(157)에 탄지되어 있는 탄지 스프링(56)의 탄지력에 의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tensioner 1 is rotated clockwise about the hinge axis 157 to be positioned below the armrest so as to use the tensioner 1. When the stopper 4 is pressed, the catching protrusion 41 formed to one side of the stopper 4 is released from the catching groove 114, and the tensioner 1 is a finger spring 56 held on the hinge shaft 157. ) Rotates counterclockwise by the force of

이때에 완력기(1)의 회동은 손으로 파지하기 쉬운 위치만큼 회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otation of the tensioner 1 is rotated by a position which is easy to grip by hand.

그리고 완력기(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완력기(1)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완력기(1)가 팔걸이의 하부로 힌지축(157)을 중심으로 회동을 하게 되고, 완전히 회동을 하게 되면 스톱퍼(4)의 걸림돌기(41)가 걸림홈(114)에 걸리어 완력기(1)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nd when the tensioner (1) is not used to rotate the tensioner (1)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tensioner (1)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157)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rmrest, and when fully rotated stopper (4) The locking protrusion 41 of the)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114 to prevent the tensioner 1 from rotat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도 9 내지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완력기(6)를 설치한 것으로 손가락 완력기(1)를 인,입출 시키는 방법은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입출 시키게 되고, 인출된 손가락 완력기(6)의 하부로 위치하는 손가락 파지판(8)에 엄지를 뺀 나머지 손가락을 각각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쥐면은 각각의 손가락 힘을 길러주게 된다.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9 to 10, the finger tensioner 6 is installed, and the method of pulling in and out the finger tensioner 1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state in which the thumb is placed on the finger grip plate 8 positioned under the drawn finger tensioner 6 and the remaining fingers are respectively positioned, the respective finger forces are raised.

이때에 중간 지지대(7)의 상,하부에 설치한 유도봉(61,81)이 중간 지지대(7)의 내부로 들어감과 나옴이 연속 반복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되고, 각각의 탄지 스프링(62,82)의 탄지력에 의해 중간 지지대(7)와 손가락 파지판(8)이 원상 복귀된다.At this time, the guide rods 61 and 81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termediate support 7 enter and exit the intermediate support 7 in a continuous and repeated slide movement. By the holding force of 82, the intermediate support 7 and the finger holding plate 8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state.

그러므로 각각의 손가락 힘을 길러주게 되고, 각각의 손가락 힘을 길러주게 되면서 손아귀의 힘을 길러주게 된다.Therefore, each finger strength is raised, and each finger strength is raised, thereby increasing the grip strength.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도 1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완력기(6)의 인,입출 방법은 제 2 실시예의 완력기(1) 인,입출 방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이 또한 손가락의 힘과 손아귀의 힘을 동시에 길러주게 된다.A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the drawing-in and drawing-out method of the finger tensioner 6 is made in the same way as the drawing-in and drawing-out method of the armature 1 of the second embodiment. At the same time, the power of the hands will be rai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완력기(6)의 손잡이(11)를 팔걸이의 팔걸이 쿠션(3)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손가락 완력기(6)를 인출하지 않는 상태인 팔걸이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손가락의 힘과 손아귀의 힘을 길러주게 된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0, the handle 11 of the finger tensioner 6 is formed integrally in front of the armrest cushion 3 of the armrest, so that the finger tensioner 6 is not drawn out. In the state of being located in the lower armrest is to develop the power of the finger and the power of the han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is obvious that the changes belo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구성하여 작용하는 본 발명의 효과로는 의자의 팔걸이 전방으로 완력기와 손가락 완력기를 설치하여 사무실에서 업무를 보다가 쉬는 시간이나 공부를 하다가 쉬는 시간에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손의 힘을 길러주게 되는 운동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반복적인 작업의 후유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앉은 자리에서 운동을 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nd acted in this way is to install the armature and finger tensioner in front of the armrest of the chair to raise the power of the hand to be used repeatedly during breaks during work or study time in the office It becomes a movement, which can prevent the sequelae of repetitive work, it is a very excellent invention that can exercise in the seat.

Claims (6)

좌대 상부 양측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진 팔걸이 프레임의 상부로 감싸이도록 팔걸이 쿠션을 형성하는 팔걸이를 갖는 의자에 있어 한쌍의 손잡이 일측으로 탄지 스프링을 고정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A"자형 완력기와;A chair having an armrest to form an armrest cushion so as to be wrapped in an upper armrest frame made of metal on both sides of the upper arm, and an "A" shaped tensioner formed by fixing a tangy spring to one side of a pair of handles; 상기 완력기의 손잡이 중 일측의 손잡이를 상기 팔걸이의 팔걸이 프레임에 삽입 고정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완력기.Chair tens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handle of the armature of one side of the armrest frame of the armrest inserted into the fixed install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의자용 완력기를 형성함에 있어 일측으로 탄지스프링에 탄지되어 슬라이드 이동하고, 상부와 하부에 유도홈을 형성하며, 상기 팔걸이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 설치하는 유도봉과;An induction rod that slides and is moved to one side in the formation of the armature for the chair to form a guide groove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is inserted into the armrest frame; 일측으로 탄지스프링에 탄지되고, 일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팔걸이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여 팔걸이 쿠션에 고정 설치하는 스톱퍼와;A stopper which is tangled in the tangy spring to one side, forms a locking protrusion on one side, and is positioned below the armrest frame to be fixed to the armrest cushion; 상기 스톱퍼의 걸림돌기와 결합하는 걸림홈을 손잡이의 일측에 형성하고, 손잡이의 일측 끝이 상기 유도봉의 일측에 힌지핀으로 결합 설치되는 "A"자형 완력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완력기.Forming a locking groove coupled to the stopper of the stopper on one side of the handle, chair en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handle is configured as a "A" shaped tensioner coupled to the hinge pin on one side of the guide ro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의자용 완력기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스톱퍼를 팔걸이의 일측으로 고정설치하고, "A"자형 완력기의 일측 손잡이를 연장 형성하여 상기 스톱퍼의 걸림돌기와 결합하는 걸림홈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된 손잡이의 일측을 회동하고 탄지 스프링에 탄지하도록 힌지축으로 상기 팔걸이의 전방으로 결합 설치함을 특징으로 함을 의자용 완력기.In forming the chair tensioner, the stopper is fixed to one side of the armrest, and one side handle of the "A" shaped tensioner is formed to extend and form a locking groove to engage with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stopper, and one side of the extended handle. Rotor and chair armatur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front of the armrest with a hinge shaft to be tangled in the finger spr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의자용 완력기를 형성함에 있어 팔걸이에 일체로 형성하는 손잡이의 하부로 유도봉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유도봉의 하부로 결합하여 탄지 스프링에 탄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중간 지지대를 형성하며, 하부에 손가락 파지판을 고정 설치하는 유도봉이 상기 중간 지지대의 하부에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하여 탄지 스프링에 탄지하여 이루어지는 손가락 완력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완력기.In forming the chair reinforcement fixed to the guide ba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integrally formed on the armrest, combin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rod to form an intermediate support for sliding the slide on the finger spring, finger grip on the bottom A chair tens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rod is fixed to the plate is installed to slide to mov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upport is made of a finger tensioner which is tangled in the spring finger spring.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의자용 완력기를 형성함에 있어 일측으로 탄지스프링에 탄지되어 슬라이드 이동하고, 상부와 하부에 유도홈을 형성하며, 상기 팔걸이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 설치하는 유도봉과;An induction rod that slides and is moved to one side in the formation of the armature for the chair to form a guide groove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is inserted into the armrest frame; 일측으로 탄지스프링에 탄지되고, 일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팔걸이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여 팔걸이 쿠션에 고정 설치하는 스톱퍼와;A stopper which is tangled in the tangy spring to one side, forms a locking protrusion on one side, and is positioned below the armrest frame to be fixed to the armrest cushion; 상기 스톱퍼의 걸림돌기와 결합하는 걸림홈을 손잡이의 일측에 형성하고, 상기 유도봉의 일측에 손잡이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핀으로 결합 설치하는 손가락 완력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완력기.And a locking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handle to engage with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stopper, and a finger tensioner formed at one side of the guide rod by coupling with a hinge pin so that one side of the handle can rotate.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의자용 완력기를 형성함에 있어 손가락 완력기의 손잡이 일측을 연장 형성하여 상기 스톱퍼의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되는 손잡이의 일측을 탄지 스프링에 탄지되어 회동하도록 힌지축으로 팔걸이의 전방 하부로 결합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완력기.In forming the chair retractor extends one side of the handle of the finger tensioner to form a locking groove to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stopper is coupled, and one side of the extended handle is supported by the hinge spring to rotate the hinge shaft to be rotated Chair tens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in the front lower portion.
KR1020010013509A 2001-03-15 2001-03-15 The strong hand machine for chair KR200100693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509A KR20010069375A (en) 2001-03-15 2001-03-15 The strong hand machine for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509A KR20010069375A (en) 2001-03-15 2001-03-15 The strong hand machine for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375A true KR20010069375A (en) 2001-07-25

Family

ID=1970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509A KR20010069375A (en) 2001-03-15 2001-03-15 The strong hand machine for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9375A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7671U (en) * 1979-09-19 1981-04-27
JPS606519U (en) * 1983-02-03 1985-01-17 田口 治郎兵衛 old man chair
JPH03292956A (en) * 1990-04-09 1991-12-24 Toshiaki Miyoshi Stick for handicapped person
KR930024911U (en) * 1992-05-29 1993-12-16 홍일석 An office chair that can be used for exercise
JPH0884751A (en) * 1994-09-19 1996-04-02 Atex Co Ltd Nursing wheelchair
KR19980020989U (en) * 1996-10-15 1998-07-15 한세욱 A work chair that allows you to exercise your whole body
JPH11113664A (en) * 1997-10-13 1999-04-27 Katsumi Yamazaki Chair
JP2000024047A (en) * 1998-07-14 2000-01-25 Hitachi Ltd Electric wheelchair
JP2000245562A (en) * 1999-03-03 2000-09-12 Kanto Auto Works Ltd Horizontal piling chai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7671U (en) * 1979-09-19 1981-04-27
JPS606519U (en) * 1983-02-03 1985-01-17 田口 治郎兵衛 old man chair
JPH03292956A (en) * 1990-04-09 1991-12-24 Toshiaki Miyoshi Stick for handicapped person
KR930024911U (en) * 1992-05-29 1993-12-16 홍일석 An office chair that can be used for exercise
JPH0884751A (en) * 1994-09-19 1996-04-02 Atex Co Ltd Nursing wheelchair
KR19980020989U (en) * 1996-10-15 1998-07-15 한세욱 A work chair that allows you to exercise your whole body
JPH11113664A (en) * 1997-10-13 1999-04-27 Katsumi Yamazaki Chair
JP2000024047A (en) * 1998-07-14 2000-01-25 Hitachi Ltd Electric wheelchair
JP2000245562A (en) * 1999-03-03 2000-09-12 Kanto Auto Works Ltd Horizontal piling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8256A (en) Keyboard accessory
KR20160100207A (en) Desk possible height-adjustment
US20110028284A1 (en) Single Apparatus Converging/Diverging Exercise Machine
JP3202025U (en) Elastic adjustment structure of exercise equipment
JP5938763B2 (en) Zashiki shampoo chair
KR20010069375A (en) The strong hand machine for chair
TWI412354B (en) Finger rehabilitation device
US20050227836A1 (en) Push-up trainer
KR101206620B1 (en) Chair having function of exercise
ITTO20030080U1 (en) IRONING DEVICE APPLICABLE TO FURNITURE.
JP7367906B2 (en) handrail device
KR0139189Y1 (en) A chair
JP5369377B2 (en) Bathtub grip
KR20210115157A (en) Grip structure of exercise equipment
EP1458265B1 (en) Chair - support
JP7457538B2 (en) Chair
KR950002796Y1 (en) Office chair used as physical training
CN218652893U (en) Body-building chair for arm exercise
KR200496272Y1 (en) Pedestal for computer work
KR200321840Y1 (en) Multipurpose weight lifting chair
KR101284092B1 (en) A sporting apparatus for multi purpose
AU2013245512A1 (en) Adjustable desk platform
JP7492319B2 (en) Chair
KR200458339Y1 (en) leg exercising device
JP2007190121A (en) Kitche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