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8401A - 피부 상태 분류 및 그에 따른 피부 관리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상태 분류 및 그에 따른 피부 관리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8401A
KR20010068401A KR1020000000316A KR20000000316A KR20010068401A KR 20010068401 A KR20010068401 A KR 20010068401A KR 1020000000316 A KR1020000000316 A KR 1020000000316A KR 20000000316 A KR20000000316 A KR 20000000316A KR 20010068401 A KR20010068401 A KR 20010068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oily
condition
dry
skin cond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구
정수정
양윤정
Original Assignee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서경배
Priority to KR1020000000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8401A/ko
Publication of KR20010068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40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2Evaluating skin mechan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hardness, texture, wrinkle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상태 분류 및 그에 따른 피부 관리 안내 방법은, 구체적인 피부 상태 분류 항목으로서, 피부 타입, 기미, 피부톤, 눈가 주름, 자외선의 5가지 분류 항목들을 제시하고, 복수 단계의 설문에 의하여 각 피부 상태 분류 항목에 해당되는 피부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피부 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피부 관리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상태 분류 및 그에 따른 피부 관리 안내 방법{Method for Classifying Skin Condition and Providing Guide for Skin Care}
본 발명은 피부 상태를 분류하고 분류된 피부 상태에 따른 관리 방법을 안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상태는 나이, 계절적 요인 등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화하고, 동일인일지라도 상황에 따라서 피부 상태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피부 관리를 위하여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피부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피부 상태에 따라서 적절하게 피부 관리를 하여야 한다.
종래에 피부 상태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제시되는 것으로서, 피부의 유분 함량에 따라서 지성 피부, 건성 피부, 복합성 피부 등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피부 분류 방법은 구체적인 설문 과정을 거쳐서 얻어지는 개별적인 피부 체크에 의한 것이 아니고, 자신이 임의로 생각하는 자신의 피부 타입에 의한 것이거나, 질문이 있다하더라도 몇 가지 한정된 수의 설문에 제한되어 있으므로 상황에 따른 구체적이고도 정확한 피부 상태 파악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피부 타입을 세분화하지 않았으므로, 세분화된 피부 타입에 따른 관리 방법을 제시할 수도 없었을 뿐만 아니라, 피부 타입을 제외한 주름, 기미, 피부톤 등 피부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항목에 대한 분류 방식이 제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타입 뿐만 아니라, 다른 구체적인 피부 상태 분류 항목을 제시하고, 분류된 구체적인 피부 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피부 관리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피부 상태 분류 및 그에 따른 피부 관리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상태 분류 및 그에 따른 피부 관리 안내 방법은, 피부 상태 분류 항목을 피부 타입, 기미, 피부톤, 눈가 주름, 자외선으로 설정하는 단계(a); 복수 단계의 설문에 의하여 상기 단계(a)에서 설정된 각 분류 항목에서의 피부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b); 및 상기 단계(b)에서 결정된 피부 상태에 따른 피부 관리 방법을 제시하는 단계(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상태 분류 및 그에 따른 피부 관리 안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 상태 분류를 위한 기본 항목으로서, 피부 타입, 기미, 피부톤, 눈가 주름, 자외선을 설정한다.
그런 다음, 복수 단계의 설문에 의하여 각 분류 항목에서의 피부 상태를 설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피부 타입의 경우, 피부 상태를 지성피부, 중성피부, 약건성피부, 수분부족지성피부, 건성피부, 마일드건성피부, 마일드지성피부, 복합성피부Ⅰ(볼:중성, 이마:지성), 복합성피부Ⅱ(볼:마일드건성, 이마:지성), 복합성피부Ⅲ(볼:수분부족지성, 이마:지성), 복합성피부Ⅳ(볼:건성, 이마:지성), 복합성피부Ⅴ(볼:약건성, 이마:지성)의 12가지로 설정한다.
이용자는 복수 단계의 각 설문에 응하여, 이용자의 현재 상태가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된 12가지의 피부 상태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가를 파악하게 된다. 설문에 대한 답변 내용에 따라서 몇 단계의 설문만으로 피부 상태가 결정될 수도 있으며,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는 설문들에 대한 답변 내용이 일관성이 없어서 상반된 내용이 답변이 있는 경우, 피부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러한 복수 단계의 설문 과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피부 상태가 12가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는 12가지의 피부 상태에 따른 구체적인 피부 관리 방법이 제시된다.
분류 항목 중 '기미'에 대하여는, 피부 상태를 기미가 적은 경우, 보통인 경우, 많은 경우의 3가지로 설정하여 각 상태에 따른 구체적인 피부 관리 방법을 제시한다.
분류 항목 중 '피부톤'에 대하여는, 고민이 있는 경우, 고민이 있지만 심하지 않은 경우, 고민이 심한 경우의 3가지로 설정하여 각 상태에 따른 구체적인 피부 관리 방법을 제시한다.
분류 항목 중 '눈가 주름'에 대하여는, 먼저, 이용자의 연령대를 20대 초반, 20대 후반, 30대 초반, 30대 후반, 40대, 50대로 구분하고, 각 연령대에서 주름의 정도를 자가 진단하여 등급을 매기게 한다. 각 연령대에서 주름이 적은 경우, 보통인 경우, 주름이 많은 경우의 3가지로 설정하여 각 경우에 대하여 구체적인 피부 관리 방법을 제시한다.
분류 항목 중 '자외선'에 대하여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감수성이 높은 경우, 평균인 경우, 낮음 경우의 3가지로 설정하여 각 경우에 대하여 구체적인 피부 관리 방법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분류 항목 중 '자외선'에 대하여, 자외선에 감수성이 높은 경우에는 자외선 량이 많은 곳이나, 자외선량이 많은 날에는 자외선 차단 지수 30이상의 제품을 사용하고, 자외선이 가장 많은 오전 11시에서 오후 1시 사이의 외출을 삼가라고 하는 피부 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자외선에 감수성이 평균적인 사람은 자외선량이 많은 날이나 노출이 많아질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 지수가 20이상의 제품을 사용하라고 하는 피부 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자외선에 감수성이 작은 사람은 자외선에 노출될 때에 자외선 차단 지수가 15 이상의 제품을 사용하라고 하고, 특히 UVA 차단지수가 높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 구체적인 피부 관리 방법을 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상태 분류 및 그에 따른피부 관리 안내 방법은, 구체적인 피부 상태 분류 항목으로서, 피부 타입, 기미, 피부톤, 눈가 주름, 자외선의 5가지 분류 항목들을 제시하고, 복수 단계의 설문에 의하여 각 피부 상태 분류 항목에 해당되는 피부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피부 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피부 관리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Claims (2)

  1. 피부 상태 분류 항목을 피부 타입, 기미, 피부톤, 눈가 주름, 자외선으로 설정하는 단계(a);
    복수 단계의 설문에 의하여 상기 단계(a)에서 설정된 각 분류 항목에서의 피부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b); 및
    상기 단계(b)에서 결정된 피부 상태에 따른 피부 관리 방법을 제시하는 단계(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분류 및 그에 따른 피부 관리 안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피부 타입의 경우, 피부 상태를 지성피부, 중성피부, 약건성피부, 수분부족지성피부, 건성피부, 마일드건성피부, 마일드지성피부, 복합성피부Ⅰ(볼:중성, 이마:지성), 복합성피부Ⅱ(볼:마일드건성, 이마:지성), 복합성피부Ⅲ(볼:수분부족지성, 이마:지성), 복합성피부Ⅳ(볼:건성, 이마:지성), 복합성피부Ⅴ(볼:약건성, 이마:지성)의 12가지로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분류 및 그에 따른 피부 관리 안내 방법.
KR1020000000316A 2000-01-05 2000-01-05 피부 상태 분류 및 그에 따른 피부 관리 안내 방법 Ceased KR20010068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316A KR20010068401A (ko) 2000-01-05 2000-01-05 피부 상태 분류 및 그에 따른 피부 관리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316A KR20010068401A (ko) 2000-01-05 2000-01-05 피부 상태 분류 및 그에 따른 피부 관리 안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401A true KR20010068401A (ko) 2001-07-23

Family

ID=1963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316A Ceased KR20010068401A (ko) 2000-01-05 2000-01-05 피부 상태 분류 및 그에 따른 피부 관리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84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103A (ko) * 2009-11-30 2011-06-08 (주)아모레퍼시픽 한방에 기초한 피부 유형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용 정보의 제공 방법
KR101221224B1 (ko) * 2005-04-18 2013-01-11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보호에 필요한 개인의 자외선 차단 지수를 결정하는방법
KR20170128184A (ko) * 2017-11-10 2017-11-2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색 평가 방법 및 이에 기초한 피부 카운셀링 정보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174A (ko) * 1993-06-11 1995-01-03 강현송 피부관리기기 및 이 기기에 의한 피부관리방법
JPH08280633A (ja) * 1995-04-20 1996-10-29 Kanebo Ltd 皮膚状態評価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JPH10248813A (ja) * 1997-03-11 1998-09-22 Pola Chem Ind Inc 皮膚の状態の鑑別方法
JPH1128193A (ja) * 1997-07-11 1999-02-02 Kao Corp 肌状態の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174A (ko) * 1993-06-11 1995-01-03 강현송 피부관리기기 및 이 기기에 의한 피부관리방법
JPH08280633A (ja) * 1995-04-20 1996-10-29 Kanebo Ltd 皮膚状態評価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JPH10248813A (ja) * 1997-03-11 1998-09-22 Pola Chem Ind Inc 皮膚の状態の鑑別方法
JPH1128193A (ja) * 1997-07-11 1999-02-02 Kao Corp 肌状態の表示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224B1 (ko) * 2005-04-18 2013-01-11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보호에 필요한 개인의 자외선 차단 지수를 결정하는방법
KR20110060103A (ko) * 2009-11-30 2011-06-08 (주)아모레퍼시픽 한방에 기초한 피부 유형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용 정보의 제공 방법
KR20170128184A (ko) * 2017-11-10 2017-11-2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색 평가 방법 및 이에 기초한 피부 카운셀링 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lajer-Gołębiewska et al. Financial risk information avoidance
Valkeapää et al. Citizens' view of legitimacy in the context of Finnish forest policy
Young et al. Congruence revisited: Do 11 indices differentially predict job satisfaction and is the relation moderated by person and situation variables?
Thompson Colour vision, evolution, and perceptual content
Young et al. Decision making under time pressure, modeled in a prospect theory framework
Golonka et al. Individual differences and susceptibility to burnout syndrome: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and its relation to exhaustion and disengagement
Bonfield The federal APA and state administrative law
Carlson et al. The impact of moral intensity dimensions on ethical decision making: Assessing the relevance of orientation
Hodge et al. Phrase completions: An alternative to Likert scales
Namazie et al. Happiness and transition: the case of Kyrgyzstan
Mitchell et al. Types of neutralization and types of delinquency
Horwitz et al. Some misleading conceptions in sentencing research: An example and a reformulation in the juvenile court
Shafir Compatibility in cognition and decision
Bagarozzi Family measurement techniques: locke marital adjustment scale and the dyadic adjustment scale
Bennetts et al. Face masks versus sunglasses: Limited effects of time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judge facial identity and social traits
Dinius Public perceptions in water quality evaluation 1
O’Mahony et al. A validated photonumeric scale for infraorbital dark circles and its application in evaluating the efficacy of a cosmetic treatment product in a split‐face randomized clinical trial
Charlesworth et al. Face-trait and face-race cues in adults' and children's social evaluations
Schilling et al. “Lost in the sun”—The key role of perceived workplace support for sun‐protective behavior in outdoor workers
KR20010068401A (ko) 피부 상태 분류 및 그에 따른 피부 관리 안내 방법
Deckers et al. Homo moralis: Personal characteristics, institutions, and moral decision-making
Cohen Justice across generations: What does it mean?
D'Cruz et al. Gender, ethics and social work: an international study of students' perceptions at entry into social work education
Reilly et al. CONSUMER DECISION MAKING ACROSS FAMILY LIFE CYCLE STAGES.
Haynes Competition for National Forest Timber in the Northern, Pacific Southwest, and Pacific Northwest Reg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30218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828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4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3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3051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4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50117

Appeal identifier: 2003101001821

Request date: 200305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510

Effective date: 2005011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50119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30510

Decision date: 20050117

Appeal identifier: 2003101001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