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6697A -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 - Google Patents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6697A
KR20010066697A KR1019990068579A KR19990068579A KR20010066697A KR 20010066697 A KR20010066697 A KR 20010066697A KR 1019990068579 A KR1019990068579 A KR 1019990068579A KR 19990068579 A KR19990068579 A KR 19990068579A KR 20010066697 A KR20010066697 A KR 20010066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feed antenna
reflector
reflec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우
Original Assignee
송재인
엘지이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인, 엘지이노텍(주) filed Critical 송재인
Priority to KR1019990068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6697A/ko
Publication of KR2001006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6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01Q19/12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 H01Q19/13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the primary radiating source being a single radiating element, e.g. a dipole, a slot, a waveguide termination
    • H01Q19/132Horn reflector antennas; Off-set fee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Landscapes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라볼릭 안테나에 적용되는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안테나의 반사기를 공기 주입을 통해 모양을 결정시킨 후에 공기가 주입되는 부분을 밀봉시켜 형성시킴으로써 빔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반사기를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안테나의 제조가 간단해지는 동시에 그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이동시 더욱 편리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structure of reflector for antenna}
본 발명은 파라볼릭 안테나에 적용되는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물 반사기를 공기 주입과 밀봉을 통해 간단히 형성시킴으로써 안테나의 제조가 간단해지는 동시에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이동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전파를 방사한다든지 혹은 흡수한다든지 하기 위해 공중에 설치한 도체로서 송신용과 수신용, 또는 사용하는 전파의 파장에 따라서 중파, 단파, 초단파 안테나 등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동작 원리나 구조가 서로 다르다. 또한, 상기 안테나는 전파의 방사 특성에 따라서 지향성과 무지향성으로 구별되기도 하고, 형상에 따라서 I형, T형, L형 등 많은 종류가 있다.
요즘은 높은 이득을 갖는 장거리 라디오 통신과 고해상도(high-resolution) 레이더 응용, 안테나가 요구되고 있는데, 반사면 시스템은 회전 포물면을 반사면으로 이용하는 마이크로파 반사 장치로서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고 이득 안테나이다. 일반적으로 반사 안테나들은 마이크로파 영역에서 30dB를 훨씬 초과하는 이득을 얻을 수 있고, 그러한 이득은 어떤 단일(single) 안테나에서도 얻을 수 얻기 어렵다.
상기에서, 가장 단순한 반사면 안테나는 파장과 관련된 큰 반사면과 반사면에 비해 훨씬 더 적은 피드(feed) 안테나의 2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사면 안테나 중에서 가장 유명한 파라볼릭 디쉬 안테나(Parabolic dish antenn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물선의 초점에 위치되어 있는 피드 안테나(2)로부터 신호를 반사하는 포물 반사기(1) 또는 디쉬와, 상기 포물 반사기(1)과 피드 안테나(2)를 지지하는 레그(Leg)(3)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피드 안테나(2)는 보통은 혼(horn), 로그 주기적 또는 나선형 안테나이다. 이렇게, 파라볼릭 디쉬 안테나는 그 극성과 빔폭이 피드 안테나(2)에 의해 셋팅(setting)되어 있는 동안에는 그들의 이득과 빔폭이 그 사이즈와 작동 주파수에 의존하기 때문에 응용에서 상당히 취급이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라볼릭 디쉬 안테나의 동작은, 송신인 경우에 상기 포물 반사기(1)의 초점에 방사 장치로서 피드 안테나(2)가 위치되어 있고, 상기 피드 안테나(2)에서 방사된 마이크로파를 포물 반사기(1)에서 반사시켜 평행 빔으로 바꾸어 송출하게 된다. 이때, 수신인 경우에는 반대의 동작을 수행하며, 초점 위치에 두어진 수신 장치에 전파가 집속되게 된다.
한편, 상기 포물 반사기(1)은 마이크로파가 부딪혀 다시 평행하게 반사되는 반사면 부분이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FRP) 재질에 금속(metal)이 도금된 것이나 그 자체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경우에는 파라볼릭 디쉬 안테나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이동시 그 하중으로 인해 취급이 어렵고, 상기 포물 반사기(1)의 제조시 포물 형상이나 경사 정도를 정밀하게 맞추어 성형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안테나의 반사기를 공기 주입을 통해 모양을 결정시킨 후에 공기가 주입되는 부분을 밀봉시켜 형성시킴으로써 빔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반사기를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안테나의 제조가 간단해지는 동시에 그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이동시 더욱 편리해질 수 있는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라볼릭 안테나의 구조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가 도시된 도면,
도 3은 도 2의 일부 구성요소인 프레임의 여러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 : 피드 안테나 12 : 반사기
13 : 프레임 13b' : 접이수단
14 : 레그 H : 공기유입구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전파의 방사 또는 흡수 기능을 수행하는 피드 안테나와, 상기 피드 안테나가 초점 부분에 위치되는 동시에 상기 피드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전파를 반사시켜 일정 방향의 빔으로 바꾸어 송출하거나 전파를 상기 피드 안테나로 집속시키는 메탈(metal) 도금된 유연성 재질의 반사수단과, 상기 반사수단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반사수단의 모양이 결정되도록 공기 주입이 수행된 후 밀봉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피드 안테나 및 반사수단을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제1 특징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반사수단에서 반사되는 빔의 형태에 따라 변경되고, 상기 프레임은 특정 위치에서 서로 대향되는 2부분에 접이수단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전파의 방사 또는 흡수 기능을 수행하는 피드 안테나와; 상기 피드 안테나가 초점 부분에 위치되는 동시에 상기 피드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전파를 반사시켜 일정 방향의 빔으로 바꾸어 송출하거나 전파를 상기 피드 안테나로 집속시키기 위해 메탈(metal) 도금된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일측 가장자리의 특정 위치에 공기 주입이 수행되어 그 모양이 결정되면 밀봉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반사수단과; 상기 반사수단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피드 안테나 및 반사수단을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전파의 방사 또는 흡수 기능을 수행하는 피드 안테나(11)와, 상기 피드 안테나(11)가 초점 부분에 위치되는 동시에 상기 피드 안테나(11)를 통해 방사되는 전파를 반사시켜 평행 빔으로 바꾸어 송출하거나 전파를 상기 피드 안테나(11)로 집속시키는 메탈(metal) 도금된 유연성 재질의 반사기(12)와, 상기 반사기(12)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반사기(12)의 모양이 결정되도록 공기 주입이 수행된 후 밀봉되는 공기유입구(H)가 형성된 프레임(13)과, 상기 프레임(13)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피드 안테나(11) 및 반사기(12)를 고정시키는 레그(leg; 14)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프레임(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우넛(doughnut)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빔 형태에 따라 변경 가능하고, 상기 프레임(13a, 13b)은 크게 (a)와 같이 그 모양이 이미 정해져 있는 고정식과 (b)와 같이 이동시 편리하도록 접이수단(13b')이 형성되어 있는 접이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은, 레그(14)에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13)에는 이미 메탈이 도금되는 동시에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반사기(12)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3)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입구(H)로 공기를 일정량 주입하게 되면 유연성 재질의 반사기(12)는 적당히 부풀어 올라 도 2와 같은 반사면 구조를 갖게 된다. 그 후, 상기 프레임(13)의 공기유입구(H)를 밀봉시켜 공기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하고, 상기 반사기(12)의 초점 부분에는 피드 안테나(11)가 설치되어 전파를 방사 또는 흡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3b)이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정 위치에서 서로 대향되는 2곳에 접이수단(13b')이 설치됨으로 인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상기 반사기(12)를 1/2로 접을 수 있어 이동이 편리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프레임(13)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반사기(12)에는 공기유입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미리 특정 모양으로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기(12)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유입구로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반사기(12)는 일정 모양과 크기로 부풀어 오른 후에 더 이상 그 모양과 크기가 변하지 않게 된다.
그러면, 상기 공기유입구를 밀봉시켜 반사기(12)를 빔 형태에 따라 특정 모양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는 안테나의 반사기를 공기 주입을 통해 모양을 결정시킨 후에 공기가 주입되는 부분을 밀봉시켜 형성시킴으로써 빔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반사기를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안테나의 제조가 간단해지는 동시에 그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이동시 더욱 편리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파의 방사 또는 흡수 기능을 수행하는 피드 안테나와, 상기 피드 안테나가 초점 부분에 위치되는 동시에 상기 피드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전파를 반사시켜 일정 방향의 빔으로 바꾸어 송출하거나 전파를 상기 피드 안테나로 집속시키는 메탈(metal) 도금된 유연성 재질의 반사수단과, 상기 반사수단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반사수단의 모양이 결정되도록 공기 주입이 수행된 후 밀봉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피드 안테나 및 반사수단을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반사수단에서 반사되는 빔의 형태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특정 위치에서 서로 대향되는 2부분에 접이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
  4. 전파의 방사 또는 흡수 기능을 수행하는 피드 안테나와; 상기 피드 안테나가 초점 부분에 위치되는 동시에 상기 피드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전파를 반사시켜일정 방향의 빔으로 바꾸어 송출하거나 전파를 상기 피드 안테나로 집속시키기 위해 메탈(metal) 도금된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일측 가장자리의 특정 위치에 공기 주입이 수행되어 그 모양이 결정되면 밀봉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반사수단과; 상기 반사수단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피드 안테나 및 반사수단을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
KR1019990068579A 1999-12-31 1999-12-31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 KR20010066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579A KR20010066697A (ko) 1999-12-31 1999-12-31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579A KR20010066697A (ko) 1999-12-31 1999-12-31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697A true KR20010066697A (ko) 2001-07-11

Family

ID=19635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8579A KR20010066697A (ko) 1999-12-31 1999-12-31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66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61B1 (ko) * 2009-04-16 2009-12-01 주식회사 업앤온 비행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61B1 (ko) * 2009-04-16 2009-12-01 주식회사 업앤온 비행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9820B2 (ja) 複反射鏡アンテナの副反射鏡
US10224638B2 (en) Lens antenna
US7075492B1 (en) High performance reflector antenna system and feed structure
US6107973A (en) Dual-reflector microwave antenna
US5959590A (en) Low sidelobe reflector antenna system employing a corrugated subreflector
US20050068251A1 (en) Multi-beam antenna
US6985120B2 (en) Reflector antenna with injection molded feed assembly
US6184840B1 (en) Parabolic reflector antenna
KR100414248B1 (ko) 피돔,1차방사기및마이크로파용안테나
EP2478588A1 (en) Mechanically steered reflector antenna
US4282530A (en) Cylindrical paraboloid weather cover for a horn reflector antenna with wave absorbing means
US7167138B2 (en) Triple-band offset hybrid antenna using shaped reflector
WO2007066874A1 (en) Conical scanning antenna system using nutation method
KR20010066697A (ko) 안테나의 반사면 구조
KR100579129B1 (ko) 성형 반사판을 이용한 오프셋 하이브리드 안테나
US6225957B1 (en) Antenna apparatus
KR20010066698A (ko) 안테나 구조
JP2008199407A (ja) アンテナ装置
US4516129A (en) Waveguide with dielectric coated flange antenna feed
JPH0474005A (ja) 反射型アンテナ
KR20010066701A (ko) 위치검출 겸용 안테나
RU2245595C1 (ru) Антенная система проходного типа (варианты)
Imbriale et al. Novel solutions to low-frequency problems with geometrically designed beam-waveguide systems
RU2355082C2 (ru) Зеркальная антенна
JPH1127037A (ja) マルチビーム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