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4855A -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4855A
KR20010064855A KR1019990059230A KR19990059230A KR20010064855A KR 20010064855 A KR20010064855 A KR 20010064855A KR 1019990059230 A KR1019990059230 A KR 1019990059230A KR 19990059230 A KR19990059230 A KR 19990059230A KR 20010064855 A KR20010064855 A KR 20010064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housing
heat
microwave ove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용
이상기
김대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59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4855A/ko
Publication of KR20010064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85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서 히터에서의 열을 캐비티 내부로 전체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대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대류장치는, 캐비티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히터챔버(36)와; 상기 히터챔버의 내부에 형성되고, 캐비티측 중심부분에는 캐비티와 연통하는 공급부(22)가 성형되며, 외측에는 상기 히터챔버와 연통하는 유입부(38)가 성형된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하는 히터(32a,32b)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대류공기를 형성하는 팬(34); 그리고 상기 캐비티의 일측면에서, 하우징의 외측에 성형되어, 캐비티 내부의 공기를 히터챔버로 유입시키는 흡입부(24a,2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팬(34)에 의하여 캐비티 내부로 공급되는 열기는, 그 하방의 음식물에 직접 접촉하게 되어, 신속하게 가열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Convention device for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히터가 내장되어 있는 전자레인지에서 고온의 히터에서 발생한 열을 직접 음식물에 전달하여, 효율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가열대상물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전자레인지에 보다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른 가열방식을 추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의 하나의 예로서 별도의 히터를 설치하여,그것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도 1에는, 별도의 가열원으로써 히터가 내장되어 있는 종래의 예로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OTR)에 적용되고, 캐비티의 상측에 히터가 설치되는 종래의 구성예를 보이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서,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에서 음식물이 내장되어 가열되는 공간인 캐비티(2)의 상측에는 히터(6a,6b)를 내장하는 히터챔버(4)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챔버(4)의 중심부분에는 팬(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팬(10)은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M)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히터챔버(4)의 저면에 해당하는 캐비티(2)의 상면에는, 상기 팬(10)에 의하여 공기가 순환하기 위한 흡입부(8)와, 공급부(9a,9b)가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팬(10)의 중심부분에는, 캐비티(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8)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팬(10)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상기 흡입부(8)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다시 캐비티(2) 내부로 공급되기 위한 공급부(9a,9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흡입부(8)과 공급부(9a,9b)는, 실제로는 다수개의 통기공으로 성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전자레인지에서 상기 히터(6a,6b)를 이용한 가열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히터(6a,6b)에 전원이 인가되어 열을 발생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팬(10)이 동작하게 된다. 팬(10)이 구동됨에 따라, 흡입부(8)를 통하여 캐비티(2)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원심력에 의하여 외측의 공급부(9a,9b)를 통하여 캐비티(2) 내부로 배기되는데, 이 때 상기 히터챔버(4)의 내부에서 발열하는히터(6a,6b)에서의 열을 캐비티(2)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컨벡션 히팅방식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먼저 열이 대류하는 형식을 살펴보면, 상기 히터챔버(4)와 캐비티(2) 내부를 순환하는 열기는, 상기 히터챔버(4)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부(8) 및 공급부(9a,9b)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즉, 캐비티(2)의 가장자리를 거쳐 중심부로 열기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히터챔버(4)에서 캐비티(2) 내부로 공급되는 열기는, 캐비티의 중심에서 흡입되어, 캐비티(2)의 가장 자리를 통하여 캐비티의 중심부분에 공급된다. 즉, 고온의 열기가 캐비티의 측면에 먼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캐비티의 벽면이 고온화되어 열손실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캐비티(2)의 벽면을 거친 다음 중심부분으로 대류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공기의 유동경로가 길어져서 조리속도가 늦어지는 단점이 지적된다. 통상 전자레인지에서 가열되는 음식물은, 캐비티의 중심부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대류 경로를 따르는 경우에는, 음식물에 가해지는 열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팬(10)의 직하부의 흡입부(8) 및 공급부(9a,9b)에 의하여 토출되고 다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대류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히터챔버를 나온 더운 공기가 음식물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다시 흡입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티의 내부에서 중심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가열대상물에 직접적으로 고온상태의 열기를 전달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대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히터에서 열교환된 상대적으로 고온상태의 열기를 가열대상물에 직접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점에 착안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캐비티 22 ..... 공급부
24a, 24b ..... 흡입부 30 ..... 하우징
32a, 32b ..... 히터 34 ..... 팬
36 ..... 히터챔버 38 ...... 유입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는, 캐비티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히터챔버와; 상기 히터챔버의 내부에 형성되고, 캐비티측 중심부분에는 캐비티와 연통하는 공급부가 성형되며, 외측에는 상기 히터챔버와 연통하는 유입부가 성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하는 히터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대류공기를 형성하는 팬; 그리고 상기 캐비티의 일측면에서, 하우징의 외측에 성형되어, 캐비티 내부의 공기를 히터챔버로 유입시키는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하우징 내부에서 히터와 열교환된 고온상태의 공기는 상기 팬에 의하여, 공급부를 거쳐 직하방으로 캐비티 내부로 토출되면서, 직접 음식물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열손실 없는 상태의 고온의 열기가 음식물에 조사되는 것에 의하여 신속하게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히터챔버 및 하우징이 설치되는 면은, 캐비티의 상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성형되는 공급부는, 하우징의 중심부분의 일부분에만 성형되어, 캐비티 내부로 공급하는 열기의 유속을 고속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대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캐비티(20)의 상부에는 히터챔버(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챔버(36)의 내부에는 또 하나의 하우징(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하우징(30)의 내부에는, 전자레인지에서 또 하나의 가열원으로 동작하게 되는 히터(32a,32b)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32a,32b)의 중심부분에는 대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팬(34)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히터(32a,32b) 및 팬(34)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은, 실질적으로 캐비티(20)의 상면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팬(34)의 직하부에 해당하는 캐비티 상면부분에는 열기를 캐비티(2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22)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의 외측에 해당하는 캐비티(20) 상면 부분에는 캐비티(20) 내부의 공기를 히터챔버(36)의 내측으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24a,24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흡입부(24a,24b)는, 실질적으로는 상기 하우징(30)의 외측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원주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공급부(22)는, 실질적으로 하우징(30)의 내측부분에 해당하는 캐비티(20)의 상면에서, 하우징(30)의 중심부분의 일부분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급부(22)를 상대적으로 작게 성형하는 것은, 오리피스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의하여, 공급부(22)를 통하여 캐비티 내부로 공급되는 열기의 유속을 빠르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공급부(22)의 구성, 즉 오리피스 기능을 가지도록 상대적으로 작게 성형하는 것은, 유입부(38)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30)의 구성을 살펴보면, 캐비티(20) 내부에서 히터챔버(36)으로 흡입되는 공기와, 하우징(30)의 내부에서 캐비티(20) 측으로 공급하는 공기를 서로 분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30)의 상측에는, 상기 흡입부(24a,24b)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하우징(3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부(38)이 성형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대류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전자레인지에서 상기 히터(32a,32b)를 이용한 가열이 시작되면, 히터(32a,32b)에 전원인 인가되어 발열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팬(34)도 회전을 시작하게 되면서, 상기 히터(32a,32b)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캐비티 내부로 공급하게 될 것이다.
상기 팬(34)이 동작하게 되면, 캐비티(20) 내부의 공기는 캐비티 상면의 외주연 부분에 성형되어 있는 흡입부(24a,24b)를 통하여 히터챔버(36)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이렇게 흡입된 공기는, 하우징(30)의 상면 중심부분에 성형되어 있는 유입부(38)를 통하여 하우징(30) 내부로 유입될 것이다.
상기 하우징(3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팬(34)의 회전에 의하여 하방의 공급부(22)로 토출되어, 캐비티(20) 내부로 공급되는데, 이렇게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서 히터(32a,32b)와 열교환되어 고온화된 열기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의 하방에 성형된 공급부(22)를 통하여 캐비티 내부로 유입되는 열기는, 실질적으로 캐비티(20)의 중심부분에서 직하방으로 공급되는 공기이기 때문에, 그 하부에 위치하는 음식물에 직접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22)를 통하여 하방으로 내려오는 공기는 최초로 음식물과 접하게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열손실이 없는 고온상태의 열기가 음식물에 직접 가해지는 결과로 된다.
그리고 캐비티(20)의 내부에서 음식물에 접촉한 다음 가장자리로 퍼지는 열기는 다시 상부로 순환하게 되면서, 캐비티(20)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 성형된 흡입부(24a,24b)를 통하여 히터챔버(36)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술한 순환과정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0)을 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하우징(30)의 상부에 성형되는 유입부(38)와 하부에 성형된 공급부(22)는, 실질적으로 좁은 공기의 유동통로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공기의 유동통로가 좁아지도록 상기 유입부(38)와 공급부(22)를 구성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오리피스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토출압력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22)를 통하여 캐비티(20) 내부에서 하강하는 열기는 상대적으로 높은 유속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급부(22)를 통하여 캐비티(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높은 유속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열손실이 없는 고온상태의 열기를 직접 음식물에 전달하여, 음식물이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히터챔버(36)의 내측에 별도의 하우징(30)을 설치하여, 캐비티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분리하고 있으며, 하우징(30)의 직하부에 설치되는 공급부(22)에서 토출되는 열기가 열손실 없이 직접 음식물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히터(32a,32b) 및 팬(34)이 캐비티(20)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될 수는 없는 것이다.
히터를 내장하여 컨벡션 가열방식을 취하는 전자레인지의 종류에 따라, 히터가 캐비티의 후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도 있으며, 이러한 전자레인지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상기 히터챔버(36) 및 하우징(30) 그리고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32a,32b) 및 팬(34)을, 캐비티(20)의 후면측에 설치하여도,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집중 가열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30)을 통하여 캐비티내부로 유입되는 열기가 직접 음식물에 도달하게 되는 것에 의하여, 열손실이 거의 없는 열기를 음식물에 가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다. 즉, 종래의 대류과정에 의하면, 히터에 의하여 열교환된 공기가 캐비티의 벽면을 경유하여 중심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고, 이렇한 대류경로에 의하면 캐비티의 벽면과의 접촉에 의하여 열손실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열손실 없는 상태의 고온의 열기를 직접 음식물에 도달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신속하에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30)의 하측면에 성형되는 공급부(22)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는 것에 의하여, 즉 히터(32a,32b) 및 팬(34)의 중심부분의 일부에만 공급부(22)를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그것을 통하는 열기의 유속이 빨라지게 되어, 음식물에 신속하면서도 집중적으로 열기를 가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의 열기가 음식물에 가해질 때, 최단거리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유동경로를 최소화하여 집중가열 효과를 높이고, 열손실의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캐비티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히터챔버와;
    상기 히터챔버의 내부에 형성되고, 캐비티측 중심부분에는 캐비티와 연통하는 공급부가 성형되며, 외측에는 상기 히터챔버와 연통하는 유입부가 성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하는 히터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대류공기를 형성하는 팬; 그리고
    상기 캐비티의 일측면에서, 하우징의 외측에 성형되어, 캐비티 내부의 공기를 히터챔버로 유입시키는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챔버 및 하우징이 설치되는 면은, 캐비티의 상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성형되는 공급부는, 하우징의 중심부분의 일부분에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1019990059230A 1999-12-20 1999-12-20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20010064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230A KR20010064855A (ko) 1999-12-20 1999-12-20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230A KR20010064855A (ko) 1999-12-20 1999-12-20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855A true KR20010064855A (ko) 2001-07-11

Family

ID=19627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230A KR20010064855A (ko) 1999-12-20 1999-12-20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48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495B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시스템
KR100388274B1 (ko) 전자레인지의 대류팬제어방법
KR100389441B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EP1109425B1 (en) Efficient supplying of heat generated from a heater installed in the electronic range
KR20010065013A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20020036600A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20010064855A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100389440B1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20010064853A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100377733B1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200183830Y1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100402497B1 (ko) 전자레인지의 가열장치
KR100499498B1 (ko) 전기 오븐 레인지
KR100546649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및 그의 운전 제어 방법
KR100610742B1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100377734B1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100789831B1 (ko) 전기 오븐
KR100487348B1 (ko) 전기 오븐 레인지
KR20010064856A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100402581B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흡기장치
KR20010057084A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20010057087A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100390491B1 (ko) 전자 렌지의 히팅장치
KR100424578B1 (ko) 전자레인지의 스터러팬 구동장치
KR20010057085A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