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4773A -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4773A
KR20010064773A KR1019990059063A KR19990059063A KR20010064773A KR 20010064773 A KR20010064773 A KR 20010064773A KR 1019990059063 A KR1019990059063 A KR 1019990059063A KR 19990059063 A KR19990059063 A KR 19990059063A KR 20010064773 A KR20010064773 A KR 20010064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hnology
evaluation
value
profit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9145B1 (ko
Inventor
박종수
심하근
피용진
윤명환
최인준
한성호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9-005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145B1/ko
Publication of KR2001006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145B1/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술가치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은 기술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대상 기술의 평가정보 입력양식이 저장되어 있는 DB 저장부와, 상기 입력양식에 입력되는 평가정보에 따라 대상기술의 가치를 산출하는 DB 제어부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DB 제어부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웹제어부와, 상기 웹제어부에 네트워크상으로 접속되는 단말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보유기술에 대한 가치를 평가할 수 있으므로 계통 및 평가체계의 정보구축, 기술가치와 부가가치 평가, 기술측면 지적재산관리 체계구축할 수 있으며, 기술상업화 대상 및 고부가가치화 방안, 프로세스, 기술관리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기술가치 평가시스템{systems for evaluating the competitiveness of technology}
본 발명은 기술경쟁력의 강화를 위하여 기술의 가치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술가치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철강산업계 뿐만 아니라 여러 산업분야에서 보유하고 있는 요소기술, 특허, 연구과제 등의 기술 전반에 대하여 우위기술의 활용, 보유기술의 특성파악 및 기술패키지화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술경쟁력의 강화를 위한 기술관리체계의 혁신작업이 철강산업계 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분야에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기술경쟁력 강화의 필수작업으로써 기술가치평가 및 패키지화 등의 작업이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 기술가치 평가방법의 개발 및 체계적 기술가치 평가에 기반을 둔 보유기술 평가체계의 수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한편, 대외적으로는 기술패권주의에 의한 선진국 기술 전략의 변화와, 기술가치 및 기술수요의 패러다임 변화와, 보유 기술의 전략적 활용 및 기술 부가가치화의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기술의 가치는 기술이 앞으로 언제, 얼마만큼의 현금흐름을 얼마나 오랫동안 창출할 수 있으며, 현금흐름에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는 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술 가치를 평가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을 현금흐름 할인(discounted cash flow : DCF) 방법이라고 하며, 그 일반적인 절차는 기업(기술)의 경제적 수명을 예측한 후, 수명기간동안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추정된 현금흐름에 할인율을 적용한 후 기술의 자본비용을 추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그 결과 기업(기술)의 가치를 평가한다.
예를 들어, 과학원의 테크노(Techno) 경영대학원에서는 기술과 사회에 대한 관계를 고려하여 기술의 투입과 산출 과정을 도식화한 후에, 기술평가의 시대별, 차원별 개념을 분류하여 기술평가를 정의하였으며, 그에 따른 여러가지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한편, 다우 케미컬(Dow Chemical)은, 기술의 판매/도입/유지/포기결정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 지적자산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기술속성법(Technology Factor Method; TFM)을 제시하였고, 기술의 가치를 사업의 현재가치(NPV)의 기대치에 대한 백분율(%)로 표현하였다. 즉, 현금흐름의 증가량에 대한 현재가치(NPV)를 산출하고, 기술의 속성(technology factor)에 대한 기술의 영향도를 결정한 후, 두 가지 변수를 곱함으로써, 최종적인 기술의 가치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기술속성법은 다양한 목적에 부합하고, 정량적인 표현이 가능하며, 경제적 속성(시장 가치)의 개념까지 포함한다는 점에서 유익하지만, 많은 전문가들로 팀을 구성하고, 시간과 비용과 공간 등의 제약이 있고, 산출하는 과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리고, 기술개발(R&D)의 노력과 결과적인 현금흐름의 관계를 산출하기 위한 테크놀로지 레버리지(Technology Leverage)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가치평가 방법들은 성장률, 이익가능성, 자본비용을 포함한 다양한 척도에 관한 상세하고도 다년간의 예측치를 필요로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들은 무엇이 가치를 창출해내는 지에 대한 기본적인 틀을 제공해주고, 비현실적이거나 내부적으로 일관성없는 가정들을 피할 수 있게해주는 장점이 있지만, 분석가들에게는 상대적으로 많은 자료를 요구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이 끝없는 연속적인 오류를 피하기 위해 단순히 비교 가능한 것 이외의 다른 자료들에 기초를 둔 평가를 하든지, 또는 둘 이상의 모형을 병행한 기술평가를 요구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강산업계 뿐만 아니라 여러 산업분야에 있어서, 기술경쟁력 강화의 필수작업으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가치체계의 정립, 개발기술 및 현장 노하우의 체계적 관리와 가치평가, 그리고 기술수요 및 보유기술의 전략적인 활용계획등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가치 평가방법 및 기술가치 평가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술이 줄 수 있는 궁극적인 가치를 사내/사외, 수요자/공급자 등의 여러 관점에서 분류/구성/평가하여 이를 우위기술의 활용, 보유기술의 특성파악 및 기술패키지화에 이용하는 방안을 개발함으로써, 연구과제, 특허 및 요소기술 등 현장 보유기술에 대한 세부적인 평가방법, 평가절차, 필요기법 등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가치 평가방법 및 기술가치 평가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상기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벌어들일 수 있는 기술의 기대이익을 현재가치로 환산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가치를 실제 가치에 근접시키도록상기 현재가치를 보정하기 위한 할인요소로서 기술경쟁력지수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가치와 상기 기술경쟁력지수를 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요소기술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상기 요소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벌어들일 수 있는 요소기술의 기대이익을 현재가치로 환산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가치를 실제 가치에 근접시키도록 상기 현재가치를 보정하기 위한 할인요소로서 요소기술의 기술경쟁력지수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가치와 상기 요소기술의 기술경쟁력지수를 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연구과제 또는 특허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상기 연구과제 또는 특허를 사용함으로써 벌어들일 수 있는 기대이익을 현재가치로 환산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가치를 실제 가치에 근접시키도록 상기 현재가치를 보정하기 위한 할인요소로서 기술경쟁력지수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가치와 상기 기술경쟁력지수를 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요소기술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요소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벌어들일 수 있는 요소기술의 기대이익을 현재가치로 환산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가치를 실제 가치에 근접시키도록 상기 현재가치를 보정하기 위한 할인요소로서 기술경쟁력지수를 평가단계별로 구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가치와 상기 기술경쟁력지수를 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연구과제 또는 특허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연구과제 또는 특허를 사용함으로써 벌어들일 수 있는 기대이익을 현재가치로 환산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가치를 실제 가치에 근접시키도록 상기 현재가치를 보정하기 위한 할인요소로서 기술경쟁력지수를 평가단계별로 구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가치와 상기 기술경쟁력지수를 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술가치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은 기술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대상 기술의 평가정보 입력양식이 저장되어 있는 DB 저장부와, 상기 입력양식에 입력되는 평가정보에 따라 대상기술의 가치를 산출하는 DB 제어부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DB 제어부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웹제어부와, 상기 웹제어부에 네트워크상으로 접속되는 단말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기술의 가치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은 시스템에 필요한 클래스들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클래스 설치단계가 종료되면, 평가하고자 하는 상기 대상기술의 분야를 선택하기 위한 제1메뉴를 표시하는 상기 시스템의 초기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메뉴의 대상기술 분야가 선택되면, 상기 대상기술의 명칭 및 평가자를 입력받기 위한 다이얼로그 박스와, 평가시작버튼을 나타내는 입력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얼로그 박스에 상기 대상기술의 명칭과 평가자가 입력되고, 상기 평가시작버튼을 누르면, 등록, 1st레벨 및 2nd 레벨로 구분되어 있는 기술경쟁력지수 비중평가, 기술경쟁력지수 항목평가, 현재가치평가, 평가결과, 검색, 통계의 실행항목들과, 도움말 항목과, 초기화면 항목으로 구성되는 제2메뉴를 나타내는 평가시작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2메뉴의 항목들 중에서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기술계통도의 일예를 나타낸 표.
도2는 요소기술의 일예인 FSU 기술에 있어서 상위레벨 평가항목간 비중을 나타낸 표.
도3은 요소기술의 일예인 FSU 기술에 있어서, 현금흐름 직접예측 모델방식을 이용해서 미래 5년간의 기업이익을 예측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4는 도3을 참조하여 예측된 기업이익을 현재의 이익으로 환산한 결과를 나타낸 표.
도5는 요소기술의 일예인 FSU 기술에 있어서, 기업전체 이익기판 모델방식을 이용해서 기업전체이익을 추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6은 도5를 참조하여 예측된 기업이익을 현재의 이익으로 환산한 결과를 나타낸 표.
도7은 요소기술의 일예인 FSU 기술에 있어서, 이동평균 모델방식을 이용해서 기업전체이익을 추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8은 도7을 참조하여 예측된 기업이익을 현재의 이익으로 환산한 결과를 나타낸 표.
도9는 연구과제 기대이익 산출에 있어서, 기대이익 추정도의 일예를 나타낸 그림.
도10은 연구과제의 일예인 진공탈가스설비용 불꽃용사보수재의 최적제조공정개발에 있어서 상위레벨 평가항목간 비중을 나타낸 표.
도11은 본 연구과제의 일예인 진공탈가스설비용 불꽃용사보수재의 최적제조공정개발에 있어서, 현금흐름 직접예측 모델방식을 이용해서 예측된 기업이익을 현재의 이익으로 환산한 결과를 나타낸 표.
도12는 본 연구과제의 일예인 PGL 도금부착량 제어시스템 H/W 개선 및 S/W 개발에 있어서, 현금흐름 직접예측 모델방식을 이용해서 예측된 기업이익을 현재의 이익으로 환산한 결과를 나타낸 표.
도13은 특허의 기대이익 산출에 있어서, 기대이익 추정도의 일예를 나타낸 그림.
도14는 본 특허의 일예인 고로의 출선구 개공장치 및 개공방법에 대한 특허가치 평가에 있어서, 고로의 출선구 개공장치 및 개공방법으로 인한 효과를 나타낸 표.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기술'은 필요한 사항을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으로 정의되어진다. 즉, 용어 '기술'은 요소기술, 특허, 연구과제, 노하우 등 필요한 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들이 해당된다.
또,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가치'는 기술이 가지는 고유의 이익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용어 '기술가치'는 기술에 대한 지표(index)의 의미를 갖는다. 즉, 이러한 기술가치는 기술판매시의 평가기준이나 기술획득/기술이전시 등의 판매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고, 사업장 내 기술계획과, 제품계획과, 사업계획과, 사업평가시와, 기술분화(diversification)와, 기술인력평가와, 보유수준 평가시 등에 있어서 필수적인 자료로 된다.
또,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기술패키지'(packaged technology)는 기술을 구성하는 방안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계층적 구조분석 기법'(AHP; analytichierarchy process)는 평가항목간의 상호 연관관계가 복잡한 문제를 계층적 구조로 표현하고, 평가항목 간의 연관관계에 대하여 정성적이고 주관적인 비교(pairwise comparison)를 행하는 기법이다. 또한, 이 비교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함으로써, 평가항목의 상대적 비중, 문제해결의 우선순위, 대안의 선정 등에 있어서 결정지침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계층적 구조분석기법(AHP)은 자료가 완비되지 않은 여건 하에서 계획수립을 할 때와, 시간적으로 촉박한 상황하에서 최고 경영자에 의사결정지원을 하는 경우, 그리고 부서간 의견이 대립된 상황하에서 종합적인 대응방안수립 등의 복잡한 문제에 부딪혔을 경우에, 문제의 속성을 체계적이고 계층적으로 규명하여 문제를 정형화하고 단시간 내에 최상의 수립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계층적 구조분석기법(AHP)은 기술가치 평가 시에 평가항목 간의 상대적 비중을 산출할 때 주로 사용된다. 즉, 제철소 전체의 기술에서 평가하고자 하는 해당 기술의 비중을 산출할 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기술계통도'는, 기업이 보유한 기술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기술간의 관계를 통해 기술 전체를 나타낼 수 있는 구조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기술계통도를 통해, 기술가치 평가 시에, 평가를 하려는 해당 기술이 전체 기술에서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 지를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도1에는 이러한 기술계통도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현금흐름'(net cash flow; NCF)은 기업의 규모나 생산능력 등을 살펴볼 수 있는 하나의 정량적인 지표로서 정의되고, 이는기술의 현재가치(NPV)를 구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현금흐름은 대략 1년 단위로 계산되고, 주로 매출액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또,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지적자산'(intangible asset)은 기업의 핵심역량을 창출하기 위하여 조직 차원의 지식 및 노하우 등을 가시화시켜 놓은 것을 의미하며,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무형자산을 총칭한다. 그리고, 기술가치 평가 시에, 현금흐름(NCF)을 대신하여 사용되는 지적자산인 무형자산은 유형자산의 약 90%로 가정하여 사용된다.
지적자산을 바탕으로 한 부가가치의 창출은 임직원이 각각의 자본, 예를 들어 고객자본, 프로세스자본, 혁신 자본 등을 얼마나 잘 활용해서 제품이나 서비스로 고객을 만족시키느냐에 달려 있으며, 또한 조직 내에서 지적 자산을 잘 활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려면 지식을 잘 축적, 공유하고, 이를 발판으로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여야 한다.
또,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이동평균방법'(moving average method; MA method)은 시간을 고려하여 과거의 일련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종속변수를 미래 예측(forecasting)하는 방법으로서, 시간에 관계없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를 고정적으로 파악하는 회귀(regression) 방법과는 상이하다.
한편, 이동평균(MA)을 사용한 예측 모델은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첫 번째 모델은 시계열(time series)의 평균이 시간에 대해 결정(deterministic)된 함수로 표현된 것으로, 각 데이터는 평균과의 오차가 독립적이라고 가정한 모델을 의미한다. 그리고, 두 번째 모델은 각 데이터가 일정한 평균값을 가지지 않고, 오차가 서로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하는 모델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동평균(MA) 방법은 해당 기술의 현재가치(PV) 산출 방법 중 미래 예측이 가능하지 않을 때 과거 기업의 전체 수익을 토대로 하여 기술 이익을 산출하는 방법에 사용된다. 즉, 이동평균(MA) 방법은 해당 기술의 이익을 간접적으로 산출하는 방법으로 해당 기술의 이익을 직접적으로 산출하기 어렵고 기업 전체이익의 직접적 예측이 가능하지 않거나 신뢰할 수 없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익 산출방법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평균(MA) 방법에 이용되는 모델은 미래의 예측을 모두 사람의 판단에 의존하지 않고 과거 자료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미래의 이익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해당기술의 과거 이익 자료가 있다면, 이동평균(MA) 모델은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해당기술이익을 직접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경우, 이러한 자료가 없기 때문에, 이동평균(MA) 모델의 과거 자료는 기업의 전체이익이 된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 '경제적 부가가치'(economic value added; EVA)는 기본적으로 이익을 예상하는 주가로 산정된 금액으로서, 현재가치(PV)의 개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제적 부가가치(EVA)의 기본적인 논리는 기업가치의 원천은 회계적 이익이 아닌 현금 흐름이고, 기업의 이익이 자본비용을 상회하지 못하면 가치가 증가되지 않으므로, 기업이 실질적인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자기자본의 기회비용을 포함하여 기업의 운영 및 활동에 사용된 모든 자본에 대한비용을 초과할 수 있는 수익을 추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기술가치 평가 시에, 이러한 경제적 부가가치(EVA)의 개념을 이용하여 현금흐름(NCF)과는 다르게 구매자의 관점에서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였다. 이는 경제적 부가가치(EVA)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달성한 이익에서 투입된 자본에 대한 정당한 자본 비용을 차감한 후에 산출되는 이익이며, 회계적 이익정보와 요구 자기자본 비용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주주의 입장에서는 더 유익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제적 부가가치(EVA)의 산출 방법은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경제적 부가가치(EVA)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서 벌어들이는 영업이익(법인세 차감 후)을 기초로 한 투자수익률(IRR)에서 필수 수익률인 자본비용을 차감한 금액을 의미하는 경우에, 경제적 부가가치(EVA)의 산출 방법은 하기와 같다.
EVA = NET OPERATING PROFITS AFTER TAX - CAPITAL CHARGES
= NOPAT - WACC X IC
= (NOPAT/IC - WACC) X IC
= (ROIC -WACC) X IC,
여기에서, NOPAT(NET OPERATING PROFITS AFTER TAX)는 법인세 차감 후 영업이익을 의미하고, IC(invested capital)는 투하자본(순운전자본 + 고정자산 + 기타영업자산)을 의미하고, ROIC(return on invested capital)는 투하자본이익률을 의미하고, WACC(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는 가중평균자본비용율(세후부채비용 X 부채비율 + 자기자본비용 X 자기자본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확한 경제적 부가가치(EVA) 산출을 위해서는, 기업가치 창출을 위하여, 영업활동에 투입한 투하자본과 가중평균자본비용율(WACC) 산출을 위한 자기자본비용 및 세후영업이익이 정확히 정의되고 추정되어야 한다.
한편, 경제적 부가가치(EVA)가 세후순영업이익에서 투자가의 기대수익 금액인 자본비용을 차감한 금액을 의미하는 경우에, 경제적 부가가치(EVA)의 산출 방법은 하기와 같다.
EVA = NOPAT - 자본비용
= 영업용투하자본 X (ROIC - 자본비용),
여기에서, 자본비용은 투하자본의 최저필수수익(투자가의 기대수익)이고, 자본비용은 가중평균자본비용(WACC)이다.
따라서, 경제적 부가가치(EVA)에 의한 업적평가는 이익의 양적측면(영업용투하자본)와 질적측면(ROIC - 자본비용)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는 주체는 다양한 부문의 종사자들이 참여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기술가치의 평가방법은 변경가능하고 효율적이며 현실적이어야 한다.
그리고, 기술의 가치를 평가한다는 것은 기술의 기업경쟁 우위확보에 대한 명시, 다른 유/무형 자선의 속성과 구별되는 기술만의 기여도 산정, 기술의 경제적 가치의 정량화, 그리고 이들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술의 가치는 기본적으로 기술을 소유하거나 사용함으로써 사업체가얻게되는 이익의 현금흐름으로 표현된다. 이 이익이라는 것은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기술에 의해 발생한 이익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현시점부터 미래시점까지 해당 기술을 보유함으로써 발생하게 될 이익을 의미한다.
한편, 기술에 의해 발생하는 이익인 현금흐름의 현재가치(NPV) 만으로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기술가치 평가시 고려되어야 할 정성적인 면을 제외한다. 즉, 기술의 가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주로 기술을 사용하여 벌어들이는 이익의 현재가치(NPV)를 사용하는 데, 이는 실제 가치보다 높게 산출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기술가치의 과대평가 또는 과대산출을 보정하기 위하여 제안된 할인요소(DF; discounting factor)로서 기술평가 지수(technology competitiveness index; TCI)를 개발하였다.
할인요소(DF)는 기본적으로 특정한 사업부서나 기업 안에서 특정한 기술의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써, 대개의 경우 기술을 소유하거나 사용하면서 기업이 얻는 유용성 측면이나 경쟁 우위 측면에서의 기여도를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술경쟁력 지수(TCI)는 기술가치의 과대 평가/산출된 결과를 보정하기 위한 할인요소로서, 기술의 평가지표에 해당하는 평가항목(competitiveness component; CC) 간의 상대적인 비중과 해당 기술의 평가항목(CC)별 등급(rating) 점수의 가중치 곱을 더함으로써 구해진다.
그리고, 평가항목(CC)은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 및 지표를 의미하는 항목으로써, 기술자체가치, 독점성, 공급환경, 수용환경, 구현가능성, 적용성, 규제/법규, 기업내부으로 이루어져서, 기술의 가치를 산출하기 위한 전반적인 평가지표에 해당하는 상위레벨 평가항목(1st CC)과, 각각의 상위레벨 평가항목에 대해 대략 4 내지 6개 정도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하위레벨 평가항목(2nd CC)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위레벨 평가항목(CC)에 있어서, 기술자체가치(technical merit)는 회사가 갖는 기술이 속한 기술의 고유한 가치를 평가하고, 독점성(proprietary)은 기술의 외부가치로 볼 수 있는 것으로 기술 시장에서 해당 기술의 위치를 평가하고, 공급환경(competitive environment)은 기술 공급자의 입장에서 해당 기술의 가격, 성능 등이 경쟁환경에서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를 평가하고, 수요특성(market attractiveness)은 기술의 수요 시장에서 해당 기술의 위치를 평가하고, 구현가능성(technical hurdles)은 타사의 해당 기술의 구현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해당 기술을 개발하는데 들인 자사의 노력/역량을 평가하고, 적용성(manufacturability)은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거나 이전에 필요한 조건으로 기술의 실시가능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활용시 기대되는 결과가 얼마나 만족스러운지를 평가하고, 규제/법규(regulatory issues)는 기술이 표준, 법규, 환경 등에 부합되는 정도와 기술에 의한 사회적 손실을 평가하고, 기업 내부(organization need)는 기술이 기업내부적으로 어느 정도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기업의 이미지 재고에 얼마나 기여하는가 등의 기업 내부적인 가치를 평가한다.
하위레벨 평가항목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기술자체가치 항목은 해당기술이 동종의 기술부류에 대하여 얼마나 차별화된 것인가를 평가하는독창성(originality)과, 해당기술이 얼마나 최신의 기술동향을 반영하는 지를 평가하는 첨단성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기 독점성 항목은 해당기술에 의해 파생된 특허 등 지적재산권의 수준을 평가하는 지적 재산권 수준 등으로 구성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상위레벨 평가항목에 대한 하위레벨 평가항목은 4 내지 6개의 항목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하위레벨 평가항목(2nd CC)에 대한 평가를 통해 상위레벨 평가항목(1st CC)에 대한 기술의 기여도를 파악할 수 있다.
즉, 평가항목(CC)은 기술의 순수한 가치, 기업이 기술을 보유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가치, 기술을 팔거나 이전하고자 할 때 발생하는 가치, 기술을 사는 사람 입장에서의 가치 등 기술과 관련된 많은 가치 평가 기준을 총 망라하고 있어 진정한 의미의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기술경쟁력지수(TCI)를 파악하기 위하여, 평가항목(CC) 간의 상대적인 비중을 필요로 하는 것은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나열된 평가 기준과 지표들에 대한 중요도를 나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평가항목(CC) 간의 상대적인 비중은, 상술된 바와 같이, 계층적 구조분석기법(AHP)을 통한 많은 사람들의 의사결정형성(decision making) 과정을 통해 산출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하위레벨 평가항목(2nd CC)에 대한 각 기술의 상대적인 비중을 결정하게 된다.
또한, 각 평가항목(CC)에 해당하는 기술의 기여도인 점수를 등급화시키는 과정도, 많은 사람들의 의사결정형성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각 평가 기준에 대한기술의 점수를 산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렇게 얻어진 각 평가항목 간 상대적인 비중과 평가항목별 기술의 기여도를 곱한 것을 모두 더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기술가치 평가방법에서의 할인요소에 해당하는 기술경쟁력지수(TCI)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예를 들어, 철강산업계에서의 요소기술, 연구과제, 특허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겠다.
< 실시예 1 >
요소기술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요소기술의 가치평가 방법은 요소기술에 의해 발생가능한 요소기술의 기대이익, 즉 현금흐름(CF)의 현재가치(NPV)와 이에 대한 각 요소기술의 할인요소(DF)인 기술경쟁력지수(TCI)를 산출하고, 상기 현재가치(NPV)와 기술경쟁력지수(TCI)의 곱을 더함으로써 이루어진다.
1. 요소기술의 가치(현금흐름의 현재가치)
먼저, 요소기술의 가치는 요소기술을 소유하거나 사용함으로써 기업이 얻게되는 현시점부터 미래시점까지 발생하게될 기대이익의 현금흐름(CF)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요소기술의 기대이익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보유한 요소기술과 요 소기술이 참여한 시장의 대내적 및 대외적 상황 등을 고려한 전문가적 예측이 필요하다. 또한 요소기술에 대한 기대이익을 직접적으로 예측하는 방법 외에, 요소기술에 의한 이익이 다른 이익들과 함께 표현되어 있는 기대 예측이나 산출하기 쉬운 광의의 수익으로부터 요소기술의 기대이익을 산출할 수도 있다.
즉, 요소기술은 무형자산의 일종이므로, 무형자산의 가치로부터 요소기술 이익을 추정할 수도 있으며, 또한 요소기술은 기업의 많은 활동들 가운데 하나이므로, 기업의 전체 수익으로부터 요소기술에 의한 이익을 산출할 수도 있다.
요소기술에 의한 기대이익, 즉 현금흐름(CF)의 현재가치(NPV)를 산출하기 위하여, 요소기술의 기대이익을 직접적으로 예측하는 현금흐름(CF) 직접예측 모델방식과, 기업의 미래 전체 수익에서 요소기술의 이익을 산출하는 기업 전체이익 기반 모델방식과, 미래 예측이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을 때, 과거 기업의 전체 수익을 토대로 기술 이익을 산출하는 이동평균(MA) 모델방식과, 경제적 부가가치(EVA) 이론을 이용하여 기술 이익을 산출하는 경제적 부가가치(EVA) 근접 모델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현금흐름 직접예측 모델방식을 제외한 다른 방식들은, 다른 대상으로부터 요소기술의 기대이익을 간접적으로 산출하므로, 구하고자 하는 대상의 이익은 요소기술 이익을 포함하는 포괄적 이익으로 된다. 즉, 포괄적 이익으로부터 요소기술의 이익부분을 산출하므로, 포괄적 이익에서 요소기술의 이익이 어느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는 지 계산하기 위한 기술비중 산출모형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비중 산출모형에 대한 설명은 추후에 이루어진다.
이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델방식을 설명한다.
1) 현금흐름(CF) 직접 예측 모델방식
이 모델방식은 평가하고자 하는 요소기술이 향후 5년간 낼 수 있는 이익을 직접적으로 산출하는 방식으로서, 이때 산출된 이익은 비용을 제한 순이익을 의미한다.
이 모델방식에서는, 요소기술이 어떻게 사용되고 그 효용은 어떠한 지, 요소기술을 누가, 얼마나 시급히 원하는 지, 같거나 비슷한 요소기술을 가진 경쟁자들의 수준과 시장에서 점유할 수 있는 범위가 어떤지를 분석함으로서 요소기술로 인한 기대이익을 추정한다.
현금흐름 직접 예측 모델방식은 현시점에서 미래에 요소기술이 낼 수 있는 이익을 매년 5년간 예측하는 단계와, 예측된 5년 동안의 기술이익에 대해 적정 이자율을 책정하여 요소기술의 기대이익을 현 시점의 이익으로 환산하는 단계와, 현 시점으로 환산된 미래 년도의 기술 이익을 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한편, 요소기술의 기대이익 예측 기간을 5년으로 한정한 것은, 요소기술의 수명이 5년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2) 기업 전체이익 기반 모델(Total-NCF Model) 방식
이 모델방식은 재무 계획 등에서 매년 이루어지는 기업 전체의 미래 이익에서 요소기술의 이익을 산출하는 방식으로서, 기업의 이익 중에는 기업이 보유한 요소기술로부터 발생한 이익이 포함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즉, 기업의 이익은 경영 및 관리, 영업과 판매, 직/간접적 생산 등과 보이지 않는 여러 기업활동에 의해 발생되고, 요소기술은 이러한 활동 중에 생산 및 눈에 보이지 않는 활동에 포함되므로, 기업 전체의 이익 중에 기술에 의한 이익이 포함된다.
기업 전체이익 기반 모델방식은, 현 시점에서 미래 시점의 기업의 전체 이익을 매년 5년간 예측하는 단계와, 예측된 5년 동안의 기업 전체 이익에 대해 적정이자율을 책정하여 미래의 이익을 현 시점의 이익으로 환산하는 단계와, 현 시점으로 환산된 미래 년도의 기업 전체 이익을 합하는 단계와, 기업의 전체 이익 중 요소기술에 의한 이익의 비중을 기술비중 산출 모형을 사용하여 요소기술에 의한 이익을 계산하는 단계와, 요소기술의 기업 전체 기술 대비 비중을 기술비중 산출 모형으로 구하여 요소기술에 의한 이익을 계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모델방식은 현금흐름 직접 예측 모델방식을 사용할 수 없는 요소기술에 대해 사용가능하다.
3) 이동평균 모델(Moving Average Model) 방식
이 모델방식은 기업 전체이익을 직접 예측하기 보다는 과거의 전체이익을 토대로 기업의 전체이익을 산출하는 방식으로서, 사람의 판단에 의존하지 않고 과거 자료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미래의 이익을 예측할 수 있다.
이동평균 모델 방식은 과거 3년간의 기업 전체이익을 기준으로 미래 시점의 기업의 전체이익을 매년 5년간 예측하는 단계와, 예측된 5년 동안의 기업 전체이익에 대해 할인율을 책정하여 미래의 이익을 현 시점의 이익으로 환산하는 단계와, 현 시점으로 환산된 미래 년도의 기업 전체이익을 모두 합하는 단계와, 기업의 전체이익 중 전체기술에 의한 이익의 비중을 기술비중 산출모형으로 구하여 전체기술에 의한 이익을 계산하는 단계와, 요소기술의 전체기술에 대한 비중을 기술비중 산출 모형으로 구하여 요소기술에 의한 이익을 계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이 모델 방식은 요소기술의 이익을 직접적으로 산출하기 어렵고, 기업 전체이익의 직접적 예측이 가능하지 않거나 신뢰할 수 없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한편, 이 모델 방식은,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업 전체이익 기반 모델 방식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4) 경제적 부가가치 근접 모델(EVA-Approach Model) 방식
이 모델 방식은 주식을 통해 기업의 미래 성장가치(성장이익)를 산출한 후 전체기술의 이익을 계산하는 방식으로서, 기업의 미래 성장가치는 주식의 가격으로 구한 기업의 총자산에서 현 영업의 가치를 빼 줌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업의 미래 성장 가치는 그 기업의 미래 이익을 나타낸다.
경제적 부가가치(EVA)는, 상술된 바와 같이, 기업의 경영 성과 평가를 목적으로 이용되는 데, 이는 주가로부터 기업의 미래 성장 가치의 평가에 이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경제적 부가가치는 기업의 경영 성과를 근본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종래의 기업의 경영 성과로 인식되던 순이익에서 자본의 비용(기업의 자본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익)을 가감한 수익이 경영 성과임을 파악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주가를 생각하면, 높은 장래성을 보이는 기업의 주식가격은 현재 기업이 올리는 영업 성과에 의한 가치 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큰데, 이는 투자자들이 앞으로 경영 성과를 통한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제적 부가가치 근접 모델 방식은 주가를 통해 기업의 총자산을 구하는 단계와, 현 영업 이익에서 세금을 제하여 순영업이익을 구하고 이를 이자로써 받을 수 있는 금액, 즉 현영업가치를 구하는 단계와, 기업의 미래 성장 이익을 구하는 단계와, 기업의 전체이익 중 전체기술에 의한 이익의 비중을 기술비중 산출 모형으로 구해 전체기술에 의한 이익을 계산하는 단계와, 요소기술의 기업 전체기술 대비 비중을 기술비중 산출 모형으로 구해, 요소기술에 의한 이익을 계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모델 방식에 의하여, 주가를 통한 기업의 가치와 현 영업 이익을 내기 위한 현 영업 가치로 기업의 성장가치를 구할 수 있지만, 이 방식은 주가의 영향이 크므로 주가가 급변하는 시기의 사용은 적합하지 않고, 또한 주가가 저평가 또는 고평가되는 시기에는 그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된 바와 같이, 기업 전체이익 기반 모델방식과, 이동평균 모델방식과, 경제적 부가가치 근접 모델방식에서, 포괄적 이익으로부터 요소기술의 이익이 어느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는 지 계산하기 위해 필요시되는 기술비중 산출모형에 대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이러한 기술비중 산출모형은 기업 전체 이익에서 전체기술 이익의 비중을 산출하는 모형과 전체기술에 대한 요소기술의 비중을 산출하는 모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그리고, 기업전체 이익 대비 전체기술 이익의 비중 산출 모형은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을 이용하는 모형과 기업 활동의 비중을 이용한 모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이익은 유형 자산에 의한 이익과 무형 자산에 의한 이익으로 표현될 수 있고, 기술자산은 무형 자산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기업의 무형자산에 의한 이익을 알고, 무형자산을 이루는 각 자산의 비중을 알 수 있다면, 기업에서 전체기술에 의한 이익을 구할 수 있다.
한편, 기업의 이익은 기술, 영업, 경영, 제조 등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기업 이익과 관련된 각 활동들의 비중을 파악하면, 기업이 보유한 전체기술의 이익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기술 대비 요소기술의 비중 산출 모형은 기업이 보유한 전체 기술 중에서 요소기술의 비중은 기술 계통도, 기술 구성도 및 기술 계층도, 또는 전문가 추정 및 간접 인덱스(index) 방법 등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기술 계통도, 기술 구성도 및 기술 계층도에 의한 요소기술 비중 산출 방법은 우선 이를 만든 다음, 각 요소기술의 비중을 계층적 구조분석 기법(AHP)으로 설정한다. 요소기술의 비중을 설정한 다음, 기술가치 평가시 요소기술의 비중을 찾아 이를 사용한다.
전문가 추정은 기술 관련 전문가가 직접 요소기술의 비중을 산출하는 방식이고, 간접 인덱스 방법은 요소기술의 비중을 기술 종사인원, 기술투자비용 등으로부터 요소기술의 비중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2. 기술경쟁력지수(Technology Competitiveness Index; TCI)
상술된 바와 같이, 요소기술의 가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주로 요소기술을 사용하여 벌어들이는 이익의 현재가치(NPV)를 사용하는 데, 이는 실제 가치보다 높게 산출되는 경향을 가지므로, 이러한 가치의 과대평가 또는 과대산출을 보정하기 위한 할인요소로서 기술평가 지수(TCI)를 사용한다.
그리고, 기술경쟁력지수는 기술의 가치를 산출하기 위한 전반적인 평가 지표에 해당하는 상위레벨 평가항목(1st CC)들 간의 상대적인 비중과, 각각의 상위레벨 평가항목에 대하여 4 내지 6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하위레벨 평가항목(2nd CC)들 간의 상대적인 비중을 계층적구조분석기법으로 산출하고, 상대적인 비중들과 하위레벨 평가항목별 점수의 가중치의 곱을 더함으로써 구해진다.
요소기술 가치평가에서, 기술경쟁력지수의 산출 방법은 요소기술의 종류, 예를 들어 요소기술이 방법(process) 기술인지, 물품(product) 기술인지, 경영(management) 기술인지 여부에 따라서 요소기술이 적용가능한 평가항목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위레벨 평가항목에 대한 요소기술의 상대적인 비중을 산출하는 단계와, 하위레벨 평가항목에 대한 요소기술의 상대적인 비중을 산출하는 단계와, 하위레벨 평가항목에 대한 요소기술의 점수를 등급화시키는 단계와, 각 평가항목에 대한 상대적인 비중과 요소기술의 평가항목별 점수의 곱을 모두 더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평가항목에 대한 요소기술의 상대적인 비중은 요소기술이 방법(process) 기술인지, 물품(product) 기술인지, 경영(management) 기술인지 여부에 따라서 구분된다. 또, 평가항목에 대한 요소기술의 상대적인 비중은 계층적 구조분석 기법 (AHP)을 통한 의사결정 형성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요소기술 평가를 위한 기술경쟁력지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상술된 상위레벨 평가항목과 이들 각각에 대한 하위레벨 평가항목들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원칙으로 하지만, 이러한 평가항목 전체를 대상으로 한 평가가 불가능한경우에는, 평가단계, 예를 들어 회사내부평가, 기술도입시 및 기술판매시 등에 따라서, 하위레벨 평가항목 중 일부만을 선택하여 요소기술의 가치를 평가하는 약식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요소기술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FSU 기술의 가치를 하기에 평가한다.
< 예1 > FSU 기술
1) 기술경쟁력지수(TCI) 산출
FSU 기술의 기술경쟁력지수(TCI)를 산출하기 위하여, FSU 기술의 평가항목(CC)을 적용하였다. 상위레벨 평가항목(1st CC)들 간의 상대비중과, 각각의 상위레벨 평가항목에 대한 하위레벨 평가항목(2nd CC)들 간의 상대비중은 계층적 구조분석 기법(AHP)을 사용하여 산출하며, 하위레벨 평가항목(2nd CC)들의 점수를 등급화시킨다.
도2를 참조하면, FSU 기술에 있어서, 상위레벨 평가항목(1st CC)들 간의 상대비중이 나타나 있다.
따라서, FSU 기술의 기술경쟁력지수(TCI)는 각 평가항목에 대해 상대비중과 평가 점수값을 곱하여 더한 결과 0.6023으로 산출되었다.
2) 기대이익 산출
한편, FSU 기술의 기대이익,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산출하기 위하여, 현금흐름 직접예측 모델 방식과, 기업 전체이익 기반 모델 방식과, 이동평균 모델 방식과, 경제적 부가가치 근접 모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각 방법별로 FSU 기술의 기대이익을 산출하였다.
① 현금흐름 직접예측 모델 방식(Direct-NCF Model)
이 방식은 현 시점에서 FSU 기술이 낼 수 있는 미래 이익을 5년간 직접 예측하는 것으로, FSU 기술은 핫코일(hot coil) 생산과 직결되므로, 예를 들어 도3에 막대 그래프로 나타난 바와 같이, 95년, 96년, 97년 핫코일 생산 변화를 근거로 미래 이익을 예측하였다.
그리고,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측된 5년 동안의 기술 이익에 대해 10%의 적정 이자율을 책정하여 미래의 예측 이익을 현 시점의 이익으로 환산한 후, 환산된 이익을 합하면, FSU 기술의 총 기대이익은 145억원 정도이다.
② 기업전체 이익기반 모델 방식(Total-NCF Model)
이 방식은 현 시점에서 미래 시점의 기업의 전체이익을 매년 5년간 예측하여 기업 전체이익에서 FSU 기술의 이익을 구하는 방식으로서, 예를 들어 도5에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 바와 같이, 1998년 해당기업의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5년간의 기업이익을 예측한다.
그리고, 도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측된 5년 동안의 기업 전체이익에 대해 10%의 적정 이자율을 책정하여 미래의 예측이익을 현 시점의 이익으로 환산한 후, 환산된 이익을 합하면, FSU 기술의 총 기대이익은 11조 5천억원 정도이다.
한편, 해당기업의 전체이익 중 전체기술에 이익의 비중을 10%로 가정하면, 해당기업 전체기술의 이익은 1조 1,492억원 정도이다. 그리고, 기술비중 산출모형 중 도1에 도시되어 있는 기술계통도를 이용하면, 해당기업의 전체기술 중 FSU 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즉, 제1사업소에 대한 제2사업소의 비율은 50 : 50이고, 제2사업소 내 열연의 비중은 12.5%이고, 열연 중 수식모델기술의 비중 56.4%이고, 수식모델기술 중 FSU의 비중 30.8%이므로, 전체기술에 대한 FSU 기술 비중은 1.09%이다.
따라서, FSU 기술의 기대이익(기업의 기대이익 X FSU 기술의 비중)은 124억원 정도이다.
③ 이동평균 모델 방식
이 방식은 과거 3년간의 해당기업 전체이익을 기준으로 미래 시점에 있어서 해당기업의 전체이익을 이동평균 모델을 사용하여 구한 후, FSU 기술의 기대이익을 구하는 방식으로서, 도7에 막대그래프로 나타난 바와 같이, 과거 3년간 기업의 이익 데이타를 바탕으로 미래 5년간 해당기업의 전체이익을 추정한다.
그리고, 도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측된 5년 동안의 기업 전체이익에 대해 10%의 적정 이자율을 책정하여 미래 이익을 현 시점의 이익으로 환산한 후, 환산된 미래 이익을 합하면, 미래 년도에 있어서 기업의 전체이익은 약 11조 8천억원 정도이다.
한편, 기업의 전체이익 중 전체기술에 의한 이익의 비중을 10%로 가정하면, 기업의 전체기술의 이익은 약 1조 1,800억원 정도이다. 그리고, 해당기업의 전체기술 중 FSU 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은, 상기 기업전체 이익기반 모델방식에서 구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하면, 1.09%이다.
따라서, FSU 기술의 기대이익(기업의 기대이익 X FSU 기술의 비중)은 약 128억원 정도이다.
④ 경제적 부가가치 근접 모델 방식(EVA Model)
이 방식은 주가를 통해 해당 기업의 미래이익을 구한 후 FSU 기술의 기대이익을 구하는 방식으로, 시장가치면에서의 기업의 총자산을 구하고, 또한 현 영업 이익에서 세금을 제하여 순영업이익을 구한 후 이를 이자로써 받을 수 있는 현영업가치를 구한다. 그리고, 총자산에서 현영업가치를 제외한 기업의 미래성장가치에서 FSU 기술의 기대이익을 구하였다.
기업의 총자산을 약 37조원 정도(이에 대한 상세한 산술과정은 생략함)로 가정하고, 기업의 현영업가치(97년 기준)은 약 14조원 정도(이에 대한 산술과정은 생략함)로 가정하면, 기업의 미래성장가치는 약 23조원 정도이다.
한편, 기업의 전체이익 중 전체기술에 의한 이익의 비중을 10%로 가정하면, 기업의 전체기술의 이익은 약 2조 2,795억원 정도이다. 그리고, 해당기업의 전체기술 중 FSU 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은, 상기 기업전체 이익기반 모델방식에서 구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하면, 1.09%이다.
따라서, FSU 기술의 기대이익(기업의 기대이익 X FSU 기술의 비중)은 약 247억원 정도이다.
3) FSU 기술의 가치
상술된 바와 같이, FSU 기술에 대한 기술경쟁력지수와 기대이익으로부터, FSU 기술의 가치는, 기대이익 산출 방식이 현금흐름 직접예측 모델방식인 경우에는 87억원이고, 기업 전체이익 기반 모델 방식인 경우에는 75억원이고, 이동평균 모델방식인 경우에는 77억원이고, 경제적 부가가치 근접 모델 방식인 경우에는 148억원이다.
< 실시예 2 >
연구과제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연구과제의 가치평가 방법은 연구과제에 의해 발생가능한 연구과제의 기대이익, 즉 현금흐름(CF)의 현재가치(NPV)와 이에 대한 각 연구과제의 할인요소(DF)인 기술경쟁력지수(TCI)를 산출하고, 상기 현재가치(NPV)와 기술경쟁력지수(TCI)의 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1. 연구과제의 가치(현금흐름의 현재가치)
먼저, 연구과제의 이익은 연구과제의 보유시 그 연구과제의 사용으로 인해 벌어들 수 있는 수익을 의미하므로, 연구과제의 결과에 의한 품질의 향상, 생산량의 증가, 생산비용의 감소 등으로 얻을 수 있는 수익 등이 있다.
그리고, 연구과제의 가치는 연구과제가 완료된 후에 기업체가 얻게되는 현시점부터 미래시점까지 발생하게될 기대이익의 현금흐름(CF)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연구과제의 기대이익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보유한 연구과제와 연구 과제물이 참여한 시장의 대내적 및 대외적 상황 등을 고려한 전문가적 예측이 필요하다. 이때, 연구과제에 포함된 특허가 있을 경우에는 특허를 먼저 평가한 후에 그 가치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구과제 기술이익 산출 방식은 재료비 등 생산비 절감액에 근거한 완료실적표를 참조하여 연구과제 기술의 기대이익을 직접적으로 예측하는 방식(현금흐름 직접예측 방식)과, 이러한 자료가 없거나 예측이 용이하지 않을 때 또는 절감액을 산출할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 사용하는 기대이익 추정도를 이용한다.
이하, 연구과제기술에 대한 현금흐름 직접예측 방식과 기대이익 추정도를 설명한다.
1) 현금흐름(CF) 직접예측 모델 방식
이 모델방식은 평가하고자 하는 연구과제가 향후 5년간 낼 수 있는 이익을 직접적으로 산출하는 방식으로서, 이때 산출된 이익은 비용을 제한 순이익을 의미한다.
이 모델방식에서는, 재료비 등 생산비 절감액에 근거한 완료실적표를 참조하여 산출하며, 만일 연구과제에 포함된 특허가 존재할 경우에는 특허 평가 후에 그 평가 결과까지 참조하여 현금흐름을 산출한다.
현금흐름 직접예측 모델방식은 현시점에서 미래에 연구과제가 낼 수 있는 이익을 매년 5년간 예측하는 단계와, 예측된 5년 동안의 기술이익에 대해 적정 이자율을 책정하여 연구과제의 기대이익을 현 시점의 이익으로 환산하는 단계와, 현 시점으로 환산된 미래 년도의 기술 이익을 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한편, 연구과제의 기대이익 예측 기간을 5년으로 한정한 것은, 요소기술의 수명이 5년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2) 기대이익 추정도 방식
이 방식은 쿠퍼-하퍼(Cooper-Harper) 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과제가 얼마만큼의 기대이익을 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각 질문에 대답하는 형식으로 최종 수준을 결정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기대이익을 추정할 수 있는 챠트와 기대이익의 10개 범위에 해당하는 값을 나타내는 연구과제 기대이익 추정도는, 예를 들어 도9와 같다.
여기에서, 각 수준별 기대이익은 103개의 98년도 완료 연구과제의 연간 기대이익을 대상으로 하여 기대이익의 구간과 범위를 결정한 값이다.
이러한 기대이익 추정도를 이용하는 방식은, 해당 연구과제를 대상으로 하여, 현 시점에서 미래에 연구과제가 낼 수 있는 년간 기대이익을 예측하는 단계와, 예측된 년간 연구과제 이익에 대해 적정 이자율을 책정하여 5년 동안의 미래 연구과제 이익을 현 시점의 이익으로 환산하는 단계와, 현 시점으로 환산된 미래 5년간의 연구과제 이익을 합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2. 기술경쟁력지수(Technology Competitiveness Index; TCI)
연구과제의 가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주로 연구과제를 사용하여 벌어들이는 이익의 현재가치(NPV)를 사용하는 데, 이는 실제 가치보다 높게 산출되는 경향을 가지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할인요소로서 기술평가 지수(TCI)를 사용한다.
한편, 기술경쟁력지수에 대한 설명은, 요소기술 평가방법에서 논의된 것과 동일한 부분은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만 설명한다.
그리고, 연구과제 평가를 위한 기술경쟁력지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상술된 복수개의 평가항목(CC)에 대한 평가를 원칙으로 하지만, 전체 항목을 대상으로 한 평가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평가단계, 예를 들어 완료시점 및 활용시점등에 따라서, 하위레벨 평가항목 중 일부만을 선택하여 평가하는 약식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과제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하기에 예시되는 연구과제를 구체적으로 평가한다.
< 예1 > 진공탈가스설비용 불꽃용사보수재의 최적제조공정 개발
1) 기술경쟁력지수(TCI) 산출
본 연구과제의 상위레벨 평가항목(1st CC)들 간의 상대비중과, 각각의 상위레벨 평가항목에 대한 하위레벨 평가항목들 간의 상대비중은 계층적 구조분석 기법(AHP)을 사용하여 산출하였으며, 하위레벨 평가항목들의 점수를 등급화시켰다.
본 연구과제에 있어서, 상위레벨 평가항목(1st CC)들 간의 상대비중이 도10을 참조한다.
그리고, 연구과제의 기술경쟁력지수(TCI)는 각 평가항목에 대해 상대비중과 평가 점수값을 곱하여 더한 결과 0.604로 산출되었다.
2) 기대이익 산출
본 공정 개발의 기대이익,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산출하기 위하여, 현금흐름 직접예측 모델 방식을 사용하였다.
즉, 현금흐름 직접예측 모델 방식(Direct-NCF Model)은 현 시점에서 미래에 본 공정 개발이 낼 수 있는 미래 이익을 5년간 직접 예측하는 것으로, 본 공정 개발은 Rh 설비용 요사보수장치의 하부조 및 침적관수명 연장으로 재료비절감에 효과가 있으며, 년간 약 3.6억원의 이익을 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도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측된 5년 동안의 기술 이익에 대해 10%의 적정 이자율을 책정하여 미래의 기술 이익을 현 시점의 이익으로 환산한 후, 환산된 미래 년도의 기술 이익을 모두 더하면, 본 연구과제의 기대이익은 약 13억 6,500만원 정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과제의 가치는, 본 개발 공정에 대한 기술경쟁력지수와 기대이익의 곱으로부터, 약 8억 2,400만원 정도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연구개발에 대한 연구투자의 수익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테크놀로지 레버리지(Technology Leverage; TL)는 다음과 같이 산술된다.
TL= 현금흐름의 향상/기술의 향상
여기에서, 본 연구과제에 의한 향상은 위의 이익 산출방법에서와 용사시공체의 수명연장(체적밀도 증가 0.59g/cc)에 있고, 이에 해당하는 현금흐름의 향상은 가정되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TL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TL= 3.6억원/0.593g = 6.1억원/g
< 예2 > PGL 도금부착량 제어시스템 H/W 개선 및 S/W 개발
1) 기술경쟁력지수(TCI) 산출
본 연구과제의 상위레벨 평가항목(1st CC)들 간의 상대비중과, 각각의 상위레벨 평가항목에 대한 하위레벨 평가항목들 간의 상대비중은 계층적 구조분석 기법(AHP)을 사용하여 산출하였으며, 하위레벨 평가항목들의 점수를 등급화시켰다.
본 연구과제에 있어서, 상위레벨 평가항목(1st CC)들 간의 상대비중이 도10을 참조한다.
그리고, 본 연구과제의 기술경쟁력지수(TCI)는 각 평가항목에 대해 상대비중과 평가 점수값을 곱하여 더한 결과 0.6504로 산출되었음을 가정한다.
2) 기대이익 산출
본 연구과제는 도금부착량 제어시스템의 자동화로 개인편차를 감소시켜 도금량의 불필요한 소모를 억제하여 생산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이 밖에 자체기술확보, 프로세스의 개방성 효과 등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과제의 이익은 생산비 감축에 의한 도금량 감소(1m2당 3g의 감소)가 가장 크다고 본다. 따라서, 1년간의 PGL 도금면적과 1g당 아연의 비용의 파악한다면 이에 따른 본 연구과제의 이익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년간의 PGL 도금면적이 100억 m2이고, 1g당 아연의 비용이 0.5원이면, 본 연구과제의 이익은 1년에 5억이 된다.
그리고, 도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측된 본 연구과제의 이익에 대해 10%의 적정 이자율을 적용하여 미래의 기술 이익을 현 시점의 이익으로 환산한 후, 환산된 기술 이익을 합하면, 본 연구과제의 미래 이익은 약 18억 9,500만원 정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과제의 가치는, 본 연구과제에 대한 기술경쟁력지수와 기대이익으로부터, 약 12억 3,000만원 정도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연구개발에 대한 연구투자의 수익성은, 1m2당 3g의 도금량이 감소하므로, 테크놀로지 레버리지(Technology Leverage; TL)(5억/3g)는 1억 6,700만원 정도이다.
< 실시예 3 >
특허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특허의 가치평가 방법은 특허에 의해 발생가능한 특허의 기대이익, 즉 현금흐름(CF)의 현재가치(NPV)와 이러한 가치의 과대평가 또는 과대산출을 보정하기 위한 특허의 할인요소(DF)인 기술경쟁력지수(TCI)를 산출하고, 상기 현재가치(NPV)와 기술경쟁력지수(TCI)의 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1. 특허의 가치(현금흐름의 현재가치)
먼저, 특허의 이익은 특허의 보유시 그 특허의 사용으로 인해 벌어들 수 있는 수익을 의미하므로, 특허에 의한 품질의 향상, 생산량의 증가, 생산비용의 감소 등으로 얻을 수 있는 수익과 특허이전 등으로 생길 수 있는 수익 등이 있다.
그리고, 특허의 가치 측면에서 본다면, 특허 이익은 현재부터 미래까지 특허가 낼 수 있는 수익, 기대이익을 의미하며, 특허의 가치 평가에서는 이 특허가 앞으로 얼마만큼의 수익을 내는 지에 대해 관심을 둔다.
따라서, 특허의 기대이익을 산출한다는 것은 미래에나 알 수 있는 수익에 대한 추정을 의미하므로, 특허의 기대이익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보유한 특허, 특허가 참여한 시장의 대내적 및 대외적 상황 등을 고려한 전문가적 예측이 필요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특허 기술이익 산출 방식은 제조시간 단축, 재료비 절감 등의 생산비 절감액이나 이를 기반으로 한 직무사용 실적조사를 참조하여 연구과제 기술의 기대이익을 직접적으로 예측하는 방식(현금흐름 직접예측 방식)과, 이러한 자료가 없거나 예측이 용이하지 않을 때 또는 절감액을 산출할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 사용하는 기대이익 추정도를 이용한다.
이하, 특허 기술에 대한 현금흐름 직접예측 방식과 기대이익 추정도를 설명한다.
1) 현금흐름(CF) 직접예측 모델 방식
이 모델방식에 대한 설명은 연구과제의 평가방법에서 논의된 것과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2) 기대이익 추정도 방식
이 방식은 쿠퍼-하퍼(Cooper-Harper) 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특허가 얼마만큼의 기대이익을 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각 질문에 대답하는 형식으로 최종 수준을 결정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기대이익을 추정할 수 있는 챠트와 기대이익의 10개 범위에 해당하는 값을 나타내는 연구과제 기대이익 추정도는 도13과 같다.
여기에서, 각 수준별 기대이익은 308개의 특허의 연간 기대이익을 대상으로 하여 기대이익의 구간과 범위를 결정한 값이다.
이러한 기대이익 추정도를 이용한 기대이익 산출 방법은, 해당 특허를 대상으로 하여, 현 시점에서 미래에 특허가 낼 수 있는 년간 기대이익을 예측하는 단계와, 예측된 년간 특허 이익에 대해 적정 이자율을 책정하여 5년 동안의 미래 특허이익을 현 시점의 이익으로 환산하는 단계와, 현 시점으로 환산된 미래 5년간의 특허 이익을 합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2. 기술경쟁력지수(Technology Competitiveness Index; TCI)
특허의 가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주로 특허를 사용하여 벌어들이는 이익의 현재가치(NPV)를 사용하는 데, 이는 실제 가치보다 높게 산출되는 경향을 가지므로, 과대평가 또는 과대산출을 보정하기 위한 할인요소로서 기술경쟁력지수(TCI)를 사용한다.
한편, 기술경쟁력지수에 대한 설명은, 요소기술 평가방법에서 논의된 것과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그리고, 특허기술 평가를 위한 기술경쟁력지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상술된 모든 평가항목(CC)에 대한 평가를 원칙으로 하지만, 전체 항목을 대상으로 한 평가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특허에 대한 평가단계에 따라서, 하위레벨 평가항목 중 일부만을 선택하여 평가하는 약식 평가를 수행하고, 이러한 약식 평가의 평가항목은 특허에 대한 각 단계가 거듭될수록 추가된다.
그리고, 특허에 대한 평가단계는 각부서 특허담당자의 1차 평가를 위한 기본사항과, 노하우 가치 판단을 기술경쟁력지수로 평가하기 위한 신고단계와, 출원보상기준과, 특허, 실용신안 및 노하우 결정기준과, 해외출원기준과, 중점관리대상 기준을 기술경쟁력지수로 평가하기 위한 심의/출원단계와, 심사청구여부 판단과 향후 권리유지 기초자료를 기술경쟁력지수로 평가하기 위한 심사청구단계와, 포상 및 실적 보상기준과, 등록보상 기준과, 권리유지여부 판단을 기술경쟁력지수 및 현재가치로 평가하기 위한 사용실적조사 권리유지단계와, 기술료 산정의 상대적 기준을 기술경쟁력지수 및 현재가치로 평가하기 위한 기술이전/판매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특허기술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특허에 대한 기술가치의 예를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 예1 > 고로의 출선구 개공장치 및 개공방법에 대한 특허가치 평가
본 특허는 고로제선 공정 중 출선 작업용 개공장치와 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로용 출선구 개공용구 및 고압의 질솔르 수송가스로 하는 물안개 분사 냉각 방법을 사용하고, 출선구의 내화물을 효율적으로 신속히 개공하여 출선하는 고로의 출선구 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특허는 고로의 개공시, 출선구 개공시, 개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새로운 개공기 조작 방법으로 고온의 출선구 분위기에서의 드릴 비트의 냉각을 강화하여 출선구의 개공성을 해결한 것으로, 출선구 개공시 일체의 부가적인 작업을 제거하고 신속한 방법으로 출선구를 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특허에 의해, 출선작업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내화물의 원단위를 감소시키며, 출선시간의 연장과 동시에 출선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노저에 용선의 적선량을 적절히 조절 노황의 안정 효과 및 생산성의 향상 효과도 있다.
1) 기술경쟁력지수(TCI) 산출
연구진의 토의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계층적 구조분석기법(AHP)을 이용하여, 본 특허의 상위레벨 평가항목들 간의 상대비중 및 상기 상위레벨 평가항목에 대한 하위레벨 평가항목들 간의 상대비중을 산출하고, 하위레벨 평가항목의 등급을산출한 후, 각 평가항목에 대해 상대비중과 평가 점수값을 곱하여 더한 결과 본 특허에 대한 기술경쟁력지수(TCI)는 0.608임을 가정한다.
2) 특허 기대이익 산출
본 특허의 기대이익,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는 현금흐름 직접예측 모델 방식을 사용한다.
먼저, 본 특허에 따른 고로의 출선구 개공장치 및 개공방법으로 인한 효과는 도14와 같다.
그리고, 본 특허의 효과는 모두 비용절감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각 효과의 단위당 비용 절감을 금액으로 환산하여, 하기 식과 같이, 본 특허의 이익을 구할 수 있다. 즉,
해당특허 이익 = 15분 ×분당 출선비용 + 30회 ×산소 개공횟수당 비용 + 0.15kg ×kg당 내화물의 비용 + 1회 ×출선횟수당 비용.
상기 식에 근거하여, 본 특허의 이익을, 약 30억원으로 가상하고 이에 대해 10%의 적정 이자율을 책정한 후 5년간 예측하면, 미래의 기술 이익은 현 시점의 이익으로 환산하여, 총 114억원이다.
따라서, 고로의 출선구 개공장치 및 개공방법의 가치는, 본 특허 가치에 대한 기술경쟁력지수와 기대이익으로부터, 약 69억원 정도이다.
한편, 본 특허에 대한 연구투자의 수익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테크놀로지 레버리지(TL)는 다음과 같이 산술된다.
TL= 현금흐름의 향상/기술의 향상
여기에서, 본 특허에 의한 향상은 위의 이익 산출방법에서와 출선소요시간의 단축, 산소 개공횟수의 단축, 내화물 절감, 출선횟수 감소에 있고, 이에 해당하는 현금흐름의 향상은 가정되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TL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TL1(출선소요시간단축의 수익성) = 90만원/15분 = 6만원/분,
TL2(산소 개공회수 단축의 수익성) = 15만원/30회 = 5천원/회,
TL3(내화물 절감의 수익성) = 30억원/0.15kg = 200억원/kg,
TL4(출선횟수 감소의 수익성) = 700만원/1.5회 = 466만 7천원/회,
따라서, 본 특허의 TL은 TL1내지 TL4의 값을 합한 200억원으로 본다.
< 예2 > 스트립 저장량에 따른 루프카 속도제어시스템
본 특허는 제철소 내 냉연공장에서 연속적인 설비운전을 위해 설치되는 스트림 저장 루프카에 관한 것으로, 루프카에 의한 스트립 저장량의 변화에 따라 입/출측 롤의 속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서비다운을 방지하기 위한 스트립 저장량에 따른 루프카 속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특허는 설비 운전의 안전성과 설비 수명연장을 위한 루프카 속도제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루프카의 설정 풀스트로크 범위로부터 롱엔드 싱크로 위치거리를 산출하여 루프카의 현위치를 파악, 입/출측의 속도를 제어하는 루프카 속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 기술경쟁력지수(TCI) 산출
계층적 구조분석기법(AHP)을 이용하여, 본 특허의 상위레벨 평가항목들 간의 상대비중 및 상기 상위레벨 평가항목에 대한 하위레벨 평가항목들 간의 상대비중을 산출하고, 하위레벨 평가항목의 등급을 산출한 후, 각 평가항목에 대해 상대비중과 평가 점수값을 곱하여 더한 결과 본 특허에 대한 기술경쟁력지수(TCI)는 0.657임을 가정한다.
2) 특허 기대이익 산출
본 특허의 기대이익,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는 현금흐름 직접예측 모델 방식을 사용한다.
먼저, 본 특허의 년간 기대이익을 9,061 만원으로 산정하고, 이에 대해 10%의 적정 이자율을 책정하면, 본 특허의 5년간 총 기대이익은 3억 4,348만원이다.
따라서, 본 특허의 가치는, 기술경쟁력지수와 기대이익으로부터, 약 2억 2,567만원 정도이다.
이하,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가치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술가치 평가시스템은 다중사용자가 별도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없이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해당 기술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자바 애플렛(Java applet)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인터넷/인트라넷 기반의 환경에 사용가능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시각적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고,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고, 기존의 데이타 베이스와 인터페이스하여 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고, 별도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시스템의 개발환경에 있어서, 클라이언트(client)가 윈도우 95/98, 유닉스, 리눅스 등 모든 계열의 OS 기반 컴퓨터이고, 서버가 윈도우 NT4.0 기반의 PC 서버이고, 개발언어가 자바이고, 개발형태가 Symantec Visual Cafe Pro 3.0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기능적 요구사항으로서는 사용자에게 기술 상세 정보 입력 양식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시스템에서 대상 기술의 상세 정보 입력/조회/수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대상기술 등록관련 요구사항과, 사용자에게 기술경쟁력지수 비중 산출을 위한 가중치 입력양식을 제공하고, 다중 사용자에 의한 기술경쟁력지수 산출기능을 제공하고, 평가항목 및 항목별 지표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고, 전체평가항목/항목별 전체지표가중치 차트를 제공하고, 기술경쟁력지수 비중의 입력/조회/수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경쟁력지수 산출관련 요구사항과, 대상 기술의 현재가치 산출관련 정보입력양식을 제공하고, 대상 기술의 현재가치 산출관련 정보 입력/조회/수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현재가치 산출관련 요구사항과, 평가를 위한 평가양식을 제공하고, 대상 기술의 평가에 대한 입력/조회/수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평가 세부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는 기술경쟁력지수 항목평가관련 요구사항과, 해당 기술에 대한 평가자와 각 평가자에 대한 평가결과를 보여주고, 현재가치 네개의 모델에 대한 각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기술평가 결과관련 요구사항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은, 시스템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모듈별 세부기능은 기술상세정보를 양식에 의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기능을 지원하고, 기술명, 기술에 대한 설명, 담당자, 담당부서, 연락처, 관련기술, 특허수준, 입력날짜를 입력하고, 이미 등록된 기술에 대해서는 기존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기술상세정보의 입력 및 수정은 암호를 알고 있는 관리자만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등록 세부기능과, 비중산출을 위한 양식행렬을 지원하고, 비중산출의 결과를 사용자가 항목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쉽도록 차트형태로 제공하고, 평가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지원하고, 관리자는 기존에 산출된 비중을 검색할 수 있고 또한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 수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도록 하는 기술경쟁력지수 비중 산출 세부기능과, 현금흐름예측모델, 이동평균모델, 기업이익기반모델, 부가가치모델의 네가지 모델에 대한 평가양식을 제공하고, 평가자가 기존의 데이터를 검색 및 수정할 수 있고, 평가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전에 평가의 예측결과를 보여주는 기능을 지원하도록 하는 현재가치산출 세부기능과, 항목평가를 위한 양식을 제공하고, 해당 기술에 대한 로그인 평가자의 기존 평가정보가 있는 경우, 기존의 평가정보를 보여주고, 각 평가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지원하고, 평가결과를 차트형태로 보유주는 기능을 지원하도록 하는 기술경쟁력지수 항목평가 세부기능과, 해당 기술의 이익과 기술을 평가한 사람들의 기술경쟁력지수 평균값을 사용하여 현재가치산출의 네가지 모델에 의한 해당 기술의 최종가치를 산출하여 보여주고, 해당기술을 평가한 평가자의 이름과 각 평가자의 기술경쟁력지수 항목 평가값을 보여주고 평균값을 보여주도록 하는 기술평가결과 세부기능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시스템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PC에서 인터넷 익스플로어(버젼 4.0 이상)을 실행시킨 후, 주소에 http://batman.postech.ac.kr을 입력한 후 엔터를 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시스템에 필요한 클래스들을 다운받을 지 여부를 묻는 화면이 나타난다.
이때, '예'를 누르면, 애플렛에 필요한 클래스들을 설치하고, 설치가 종료되면 시스템의 초기화면을 볼 수 있다. 초기화면에서, 사용자는 요소기술과 연구과제와 특허 중 어떤 분야를 평가할 것인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메뉴를 통해 평가할 분야가 선택되면, 대상기술에 대한 명칭과 평가자를 입력받기 위한 다이얼로그 박스가 나타나며, 평가자는 대상기술의 명칭과 평가자의 이름을 입력한 후, 평가시작 버튼을 누르면, 대상기술에 대한 평가를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평가시작 버튼이 눌려지면, 등록, TCI 비중평가(1st Level, 2nd Level), TCI 항목평가, NPV 평가, 평가결과, 검색, 통계, 도움말, 초기화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메뉴가 화면 상에 나타난다. 메뉴에서 실행가능한 부분은 마우스가 메뉴의 단어 위에 위치했을 때, 마우스 커서가 손 모양으로 바뀌는 부분만 현재 실행가능한 부분이다.
이하, 각 메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메뉴의 등록을 누르면, 기술상세정보 등록양식이 화면에 나타난다. 이 때, 대상기술에 대한 정보가 기존에 입력되어 있는 경우, 대상정보가 나타나면화면을 아래로 스크롤하여 입력 및 수정과 저장을 할 수 있다. 입력 및 수정은 암호를 알고 있는 관리자만이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술경쟁력지수(TCI) 비중평가는 1st 레벨과 2nd 레벨로 구분되어 있으며, 암호를 알고있는 관리자만이 입력 및 수정을 할 수 있다. 1st 레벨 또는 2nd 레벨을 클릭하면, 패스워드를 묻는 창이 뜬다. 사용자는 검색 버튼을 눌러 기존의 TCI 비중을 볼 수 있다.
이때, 새로운 비중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평가자는 화면 상의 AHP 입력버튼을 눌러 제공되는 양식에 따라 매트릭스의 모든 값을 채워야만 한다. 각 항목에 대한 도움말은 메뉴에서 도움말을 누르면 새로운 웹브라우저가 생성되어 볼 수 있다. 평가자는 자신이 입력한 비중의 결과를 AHP 계산버튼을 눌러 차트형태로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산출한 비중이 만족스러운 경우, 저장 버튼을 눌러 데이터베이스의 값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메뉴 상의 Next버튼은 다음 단계로의 이동을 나타낸다.
한편, 평가자가 메뉴의 기술경쟁력지수(TCI) 항목평가를 눌러서 대상기술에 대한 각 항목별 평가를 할 수 있다. 초기에는 수정이 불가능하고, 화면 하단으로 스크롤하여 EDIT버튼을 누른 후 입력 및 수정을 할 수 있다. 각 항목에 대한 도움말은 메뉴에서 도움말을 누르면, 새로운 웹브라우저가 생성되어 평가양식을 볼 수 있다.
각 항목에 대한 평가를 한 후, 평가자는 화면하단에서 평가결과 보기버튼을 눌러, 자신의 평가결과를 차트 형태로 볼 수 있다. 이때, 평가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이전의 항목평가와 평가결과 보기에서 각각 저장버튼을 눌러야 한다.
또, 평가자가 메뉴에서 현재가치(NPV) 평가를 눌러, 대상기술에 대해 현금흐름예측모델과, 기업이익기반모델과, 이동평균모델과, 부가가치모델의 네개의 모델에 대해서 평가를 할 수 있다. 각 모델의 선택은 모델명이 씌어있는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검색버튼을 누르면, 기존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현재가치 정보에 대한 저장은 암호를 알고 있는 관리자만이 할 수 있다.
평가자는 각 항을 입력 혹은 검색 후, 예측결과 보기버튼을 눌러 예측결과를 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서, 평가자는 각 항의 입력 후 저장버튼을 눌러야 하며, 예측결과 보기에서도 결과를 저장해야 한다.
또, 평가자가 메뉴에서 평가결과를 눌러서 앞서 입력한 기술경쟁력지수 평가와 현재가치평가에 의한 대상기술의 최종기술가치를 조회할 수 있다. 기술의 최종가치는 현재가치평가에 사용된 네가지 모델에 대해서 출력한다.
또한, 평가자는 TCI Info. 탭을 눌러 대상기술을 평가한 사람과 각 평가자의 항목평가값 및 평가값들의 평균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평가자가 메뉴에서 검색을 누르면 검색양식과 관련 메뉴가 나타난다. 그러나, 현재 프로토타입에서는 검색과 관련된 기능과 통계기능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대상기술에 대한 평가가 끝난 후, 평가자가 메뉴의 초기화면을 누르면, 시스템의 초기화면으로 돌아간다. 이 후, 대상기술의 분야를 눌러, 상술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유기술에 대한 가치를 평가할 수 있기때문에, 계통 및 평가체계의 정보, 기술가치와 부가가치평가, 기술측면 지적재산관리를 체계적으로 구축할 수 있으므로, 기술상업화 대상 및 고부가가치화 방안, 프로세스, 기술관리업무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1)

  1. 기술가치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기술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대상 기술의 평가정보 입력양식이 저장되어 있는 DB 저장부와,
    상기 입력양식에 입력되는 평가정보에 따라 대상기술의 가치를 산출하는 DB 제어부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DB 제어부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웹제어부와,
    상기 웹제어부에 네트워크상으로 접속되는 단말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정보 입력양식은 정보 입력/조회/수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정보 입력양식은 상기 대상기술의 상세정보 입력양식과, 기술경쟁력지수 비중 산출을 위한 가중치 입력양식과, 대상기술의 현재가치산출 관련정보 입력양식과, 기술경쟁력지수 항목평가양식과, 대상기술 평가결과양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기술의 상세정보 입력양식에는 대상기술에 대한명칭, 설명, 담당자, 담당부서, 연락처, 관련기술, 특허수준 및 입력날짜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기술의 기술경쟁력지수 비중 산출을 위한 가중치 입력양식은 평가항목 및 항목별 지표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고, 전체 평가항목/항목별 전체지표 가중치 차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기술의 기술경쟁력지수 비중 산출을 위한 입력양식에 입력되는 가중치에 따라 산출되는 기술경쟁력지수 비중은 차트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기술의 현재가치산출 관련정보 입력양식은 현금흐름예측모델과, 이동평균모델과, 기업이익기반모델과, 경제적 부가가치모델에 대한 평가양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기술의 기술경쟁력지수 항목평가양식은 각 평가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지원하고, 평가결과를 차트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9.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기술 평가결과양식은 상기 대상기술의이익과 대상기술을 평가한 사람들의 기술경쟁력지수 평균값을 사용하여 대상기술의 현재가치산출의 모델들에 의한 대상기술의 최종가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10. 대상기술의 가치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에 필요한 클래스들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클래스 설치단계가 종료되면, 평가하고자 하는 상기 대상기술의 분야를 선택하기 위한 제1메뉴를 표시하는 상기 시스템의 초기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메뉴의 대상기술 분야가 선택되면, 상기 대상기술의 명칭 및 평가자를 입력받기 위한 다이얼로그 박스와, 평가시작버튼을 나타내는 입력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얼로그 박스에 상기 대상기술의 명칭과 평가자가 입력되고, 상기 평가시작버튼을 누르면, 등록, 1st 레벨 및 2nd 레벨로 구분되어 있는 기술경쟁력지수 비중평가, 기술경쟁력지수 항목평가, 현재가치평가, 평가결과, 검색, 통계의 실행항목들과, 도움말 항목과, 초기화면 항목으로 구성되는 제2메뉴를 나타내는 평가시작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2메뉴의 항목들 중에서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뉴의 실행항목들 중에서 하나의 실행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실행항목의 양식 및/또는 챠트를 나타내는 실행화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항목들 중에서 등록이 선택되면, 기술상세정보 등록양식과, 입력 및 수정버튼과, 저장버튼과, 취소버튼을 나타내는 등록화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항목들 중에서 기술경쟁력지수 비중평가의 1st 레벨 또는 2nd 레벨이 선택되면,
    검색버튼과, AHP입력버튼과, AHP계산버튼과 다음버튼을 나타내는 AHP입력화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HP계산버튼을 누르면, 저장버튼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항목들 중에서 기술경쟁력지수 항목평가가 선택되면, 대상기술에 대한 각 평가항목들과 EDIT 버튼과, 입력및수정버튼과, 평가결과보기버튼을 나타내는 항목평가 입력화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항목들 중에서 현재가치평가가 선택되면, 대상기술에 대해 현금흐름예측모델, 기업이익기반모델, 이동평균모델, 부가가치모델의 선택버튼을 나타내는 현재가치 평가화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항목들 중에서 평가결과가 선택되면, 입력되어 있는 기술경쟁력지수 평가와 현재가치평가에 의한 대상기술의 최종기술가치 탭과 TCI Info. 탭을 나타내는 화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기술의 최종기술가치는 상기 현재가치평가에 사용되는 모델들에 대해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뉴의 항목들 중에서 초기화면 항목이 선택되면, 시스템의 초기화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20.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기술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대상 기술의 평가정보 입력양식이 저장되어 있는 DB 저장부와,
    상기 입력양식에 입력되는 평가정보에 따라 대상기술의 가치를 산출하는 DB 제어부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DB 제어부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웹제어부와,
    상기 웹제어부에 네트워크상으로 접속되는 단말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1.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시스템에 필요한 클래스들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클래스 설치단계가 종료되면, 평가하고자 하는 상기 대상기술의 분야를 선택하기 위한 제1메뉴를 표시하는 상기 시스템의 초기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메뉴의 대상기술 분야가 선택되면, 상기 대상기술의 명칭 및 평가자를 입력받기 위한 다이얼로그 박스와, 평가시작버튼을 나타내는 입력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얼로그 박스에 상기 대상기술의 명칭과 평가자가 입력되고, 상기 평가시작버튼을 누르면, 등록, 1st 레벨 및 2nd 레벨로 구분되어 있는 기술경쟁력지수 비중평가, 기술경쟁력지수 항목평가, 현재가치평가, 평가결과, 검색, 통계의 실행항목들과, 도움말 항목과, 초기화면 항목으로 구성되는 제2메뉴를 나타내는 평가시작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2메뉴의 항목들 중에서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을 수행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기록매체.
KR10-1999-0059063A 1999-12-18 1999-12-18 기술가치 평가방법 KR100429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063A KR100429145B1 (ko) 1999-12-18 1999-12-18 기술가치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063A KR100429145B1 (ko) 1999-12-18 1999-12-18 기술가치 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773A true KR20010064773A (ko) 2001-07-11
KR100429145B1 KR100429145B1 (ko) 2004-04-28

Family

ID=19627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063A KR100429145B1 (ko) 1999-12-18 1999-12-18 기술가치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14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330A (ko) * 2000-05-26 2001-12-07 김성욱 가상공간을 이용한 기업가치 평가 및 증진시스템과가상공간을 이용한 기업가치증진방법
KR100449331B1 (ko) * 2002-02-25 2004-09-1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온라인상의 관련정보를 지원하는 기술가치평가시스템과 그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0490736B1 (ko) * 2000-11-08 2005-05-24 주식회사 포스코 기술가치 평가방법
KR100700376B1 (ko) * 2002-09-11 2007-03-2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실시간 서지데이터베이스 평가 방법
KR100744703B1 (ko) * 2002-12-27 2007-08-02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기술평가장치, 기술평가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기술평가방법
KR101022318B1 (ko) * 2007-12-04 2011-03-2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문헌에 포함된 물성 데이터의 품질 평가 및 분류 방법
KR101245650B1 (ko) * 2011-03-17 2013-03-2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연구개발기술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예측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316B1 (ko) * 2013-03-11 2016-11-17 한국생산성본부 실질가치 지향적 브랜드가치 평가방법
KR101681881B1 (ko) * 2015-06-16 2016-12-01 주식회사 가온누리 창업플랫폼서비스 제공 장치 및 창업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330A (ko) * 2000-05-26 2001-12-07 김성욱 가상공간을 이용한 기업가치 평가 및 증진시스템과가상공간을 이용한 기업가치증진방법
KR100490736B1 (ko) * 2000-11-08 2005-05-24 주식회사 포스코 기술가치 평가방법
KR100449331B1 (ko) * 2002-02-25 2004-09-1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온라인상의 관련정보를 지원하는 기술가치평가시스템과 그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0700376B1 (ko) * 2002-09-11 2007-03-2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실시간 서지데이터베이스 평가 방법
KR100744703B1 (ko) * 2002-12-27 2007-08-02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기술평가장치, 기술평가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기술평가방법
KR101022318B1 (ko) * 2007-12-04 2011-03-2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문헌에 포함된 물성 데이터의 품질 평가 및 분류 방법
KR101245650B1 (ko) * 2011-03-17 2013-03-2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연구개발기술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예측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9145B1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Boer et al. A review of methods supporting supplier selection
US8185486B2 (en) Segmented predictive model system
Tritle et al. Resolving uncertainty in R&D portfolios
Goetschalckx et al. Strategic network planning
US2004023046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ortfolio planning
Hesarsorkh et al. Pharmaceutical R&D project portfolio selection and scheduling under uncertainty: A robust possibilistic optimization approach
Nollet et al. When excessive cost savings measurement drowns the objectives
Collier et al. The practice of management accounting in hotel groups
Shafieezadeh et al. A system dynamics simulation model to evaluate project planning policies
KR100429145B1 (ko) 기술가치 평가방법
US20080059279A1 (en) Network-based business process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businesses
Jetmarová Benchmarking: methods of raising company efficiency by learning from the best-in-class
Gupta Sales forecasting & market potential: best practices in India
Wegmann Compared activity-based costing case studies in the information system departments of two groups in France: A strategic management accounting approach
Akintoye Construction tender price index: modelling and forecasting trends
KR20010064772A (ko) 기술가치 평가방법
Huang et al. Dynamic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for Green tourism supply chain
Schmidt Schedule monitoring of engineering projects
Capocchi et al. The Measurement of Revenue Management Policies: RevPAR and Yield Rate
Cusack Time cost models: Their use in decision mak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use of the microcomputer
Nakamura et al. Multiattribute-based CIE/CIM implementation decision model
Sanghera et al. Project cost management
Ulusoy et al. Planning and Network Modeling of Projects
Zamfir et al. Flexible Budget: Management Method for Cost Control and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Economic Entities
Gerig Standardization and Automation as the Basis for Digitalization in Controlling at Siemens Building Techn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