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0744A -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60744A KR20010060744A KR1019990063166A KR19990063166A KR20010060744A KR 20010060744 A KR20010060744 A KR 20010060744A KR 1019990063166 A KR1019990063166 A KR 1019990063166A KR 19990063166 A KR19990063166 A KR 19990063166A KR 20010060744 A KR20010060744 A KR 200100607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bathroom
- box
- shaped frame
- flo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09—Radiators
- F24D2220/2036—Electric rad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의 바닥면을 저비용으로 배리어 프리(barrier free)화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전기적안전성이 우수하며, 고장나는 일이 없고 또한 욕실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악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설치시 현장시공이 용이한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욕실 바닥면 위에 재치하여 욕실을 난방하기 위한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에 있어, 필름모양 발열층을 내장한 바닥 난방용 발열 판넬(1)과, 이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1)을 욕실의 바닥면위에 재치하기 위해 높이 조절수단을 갖는 지지부재(2)와, 상기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1)에 인접하여 설치한 배수조(3)∼(6)을 구비하고, 전기 배수조(3)∼(6)가 악취방지구조를 갖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바닥면을 저비용으로 배리어 프리(barrier free)화 할 수 있고, 전기적 안전성이 우수하고, 고장나는 일이 없고 또한 욕실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악취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서 설치시에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최근에 욕실이 가정에 보급되고, 겨울철 등에 욕실의 낮은 온도 때문에 뇌졸중과 감기등의 방지를 위하고 더 나아가서는 쾌적성의 추구를 위해 욕실의 세면대의 바닥 난방장치의 필요성이 높아 졌다.
또한 고령화 사회속에서 바닥면의 높이를 플레이트(flat)로 하고, 넘어짐 등에 의해 골절등의 사고를 방지하고 또한 훨체어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소위 배리어 프리(barrier free)의 필요도 높아 졌다.
종래의 이와 같은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로서, 온수식, 전열선식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온수식의 바닥 난방장치는 가스 등을 열원으로 온수를 만들고, 또한 목욕의 온수를 직접 이용하고, 그 온수를 동·스텐레스·염화비닐관 등에 의해 배관한 파이프내를 순환시키든가 또는 직접 온수를 뿌리는 것으로, 소비된 열량은 온수에 의해 공급하는 방식이다.
한방향 전기식의 경우는 욕실의 바닥면을 벗기고, 바닥면의 아래에 금속 또는 카본 등의 저항선 히터유니트를 묻어 넣거나 또는 바닥면과 일체로 성형하도록 바닥면을 가온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상술한 온수식 난방시스템에는 이하에서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로, 배관에 의해 온수가 순환하고, 시스템 전체 온도가 올라가도록 시간이 걸리게 하는 것으로, 배관의 간격에 따라 온도변화가 생기기 쉽지않고, 또한 배관의 일부에 물이 새는것이 생겨도 시스템 전체의 기능을 손상하는 가능성이 있는 등 온수의 콘트롤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둘째로, 온수중의 탄산칼슘이 파이프내에 부착되어 제거하여 세정하는 문제가 생기기도 하고, 온수발생장치의 내용연수가 짧고, 5∼7년 마다 설비의 교환이 필요하게 되는 등 보수가 귀찮다 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온수를 직접 흩어져 퍼지게 하는 시스템은 설비비는 적어서 해결되지만, 온수를 아무대나 흘리기 때문에 온수가 쓸데없이 생기고, 경제성에 문제가 있었다.
한방향 전기식에 있어서, 미리 바닥에 묻어 넣은 방식으로는 기존의 욕실에는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고, 또 바닥을 깍는 히터유니트를 접지하는 방법은 시공시간과 비용이 지나치게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간단하고 쉽게 욕실의 바닥면에 까는 방법을 채택할 경우에는 큰 충격에서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220/110볼트의 전압을 24볼트로 떨어뜨리지 않으면 않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욕실의 바닥면을 배리어 프리(barrier free)화 하기에는 욕실의 바닥면을 벗기고, 배수관을 기존의 것에 접속하고, 욕실의 바닥면을 출입구의 바닥면과 맞추어 새롭게 시공을 하는 등 대규모 설계시공을 필요로 하고 대공사 이며 그 비용도 높아서 이득을 얻을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에 비추어 볼때 본 발명자는 욕실의 바닥면을 저비용으로 배리어 프리(barrier free)화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전기적 안전성이 우수하고, 고장나는 일이 없고, 또한 욕실의 청소가 용이하고, 더 나아가서 설치시의 현장시공이 용이한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악취발생 방지의 관점에서 개량한 것으로, 욕실의 바닥면을 저비용으로 울타리화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전기적 안전성이 우수하고, 고장나는 일이 없고, 또한 욕실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함과 악취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설치시의 현장시공이 용이한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단한 마음으로 연구한 결과, 필름모양 발열층을 내장한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과, 이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을 욕실의 바닥면 위에 재치하기 위해 높이 조절수단을 갖는 지지부재와, 전기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에 인접하여 설치한 배수조를 짜맞추고, 또한 배수조를 악취방지구조를 갖는 구성으로 함에 따라 상기 목적 달성이 가능한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지혜롭게 예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다시말해 본 발명은 이하의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욕실 바닥면 위에 재치하여 욕실을 난방하기 위한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에 있어서, 필름모양 발열층을 내장한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과, 이 바닥 난방용 발열 판넬을 욕실의 바닥면 위에 재치하기 위해 높이 조절수단을 갖는 지지부재와, 전기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에 인접하여 설치한 배수조를 구비하고, 전기 배수조가 악취방지구조를 갖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2] 상기 배수조의 악취방자구조가 상자모양 프레임과, 이 상자모양 프레임의 상부에 재치된 글레이딩에서 상자모양 프레임의 개구부까지의 배수를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부에 상시 저장가능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배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3] 상기 배수조의 악취방지구조가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 및 전기 글레이딩에 추가하여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부상에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한 것이고,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이 그 저부에 복수의 관통공을 갖도록 하고, 전기 슬라이드부재도 복수의 관통공을 가지며, 전기 슬라이드부재를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드 시킴에 따라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 저부의 관통공을 밀폐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4]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면 또는 전기 슬라이드부재 상면에는 망모양 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5]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안에 활성탄을 충진하여서 구성되는 [2]∼[4]의 어느것에 기재된 것.
[6] 상기 글레이딩의 복수 관통공이 물때새 모양으로 복수돌설하여 관통공이 구성되는 것.
[7] 상기 배수조의 악취방지구조에 있어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이 그 저부 중앙 긴 방향으로 배설한 개구부와, 이 개구부의 양단부에서 수직으로 배설한 제1 및 제2의 벽모양부재와, 상기 제1의 벽모양부재와 일방의 외벽과의 사이에 배설한 제3의 벽모양부재와, 일방의 외벽에서 내측 방향으로 향해 돌출한 제1의 돌출부를 갖고, 또한 전기 글레이딩을 제1의 벽모양부재와 제3의 벽모양부재와의 사이를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부로 향하도록 배설한 제4의 벽모양부재와, 제2의 벽모양부재와 타방의 외벽과 사이를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부로 향하게 배설한 제5의 벽모양부재와, 제4의 벽모양부재에서 외측방향으로 향해 돌출한 제2의 돌출부와, 제5의 벽모양부재에서 내측으로 향해 돌출한 제3의 돌출부를 갖고, 또한 제3, 제4 및 제5의 벽모양부재에 각각 빗살모양의 톱니형부를 배설하여 된 것이고, 전기 글레이딩을 그 짧은 방향으로 평행이동하고,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제1의 돌출부와 전기 글레이딩 제2의 돌출부를 맞닿게 접착하고, 또한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 제2의 벽모양부재와 전기 글레이딩 제3의 돌출부를 맞닿게 접착하도록 함에 따라 배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8] 상기 배수조의 악취방지구조에 있어, 전기 상자프레임을 그 저부의 중앙 긴 방향으로 배설한 개구부와, 이 개구부의 양단부에서 수직으로 배설한 제1및 제2의 벽모양부재와, 제1의 벽모양부재와 일방의 외벽과의 사이에 배설한 제3의 벽모양부재와, 일방의 외벽에서 내측방향으로 향해 돌출한 제1의 돌출부를 갖고, 또한 전기 글레이딩을 제1의 벽모양부재와 제3의 벽모양부재와의 사이를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부로 향해 돌출한 제4의 벽모양부재와,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 제2의 벽모양부재와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 타방의 외벽과의 사이를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부로 향하게 배설한 제5의 벽모양부재와, 제4의 벽모양부재 및 제5의 벽모양부재에서 각각 내측으로 향하게 돌출한 제4 및 제5의 돌출부를 갖고, 또한 제3, 제4 및 제5의 벽모양부재에 각각 빗살모양의 톱니형을 배설한 것이고, 전기 글레이딩의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설치 방향을 180도 회전하고, 제3의 벽모양부재와 제5의 벽모양부재로 설치한 빗살모양의 톱니형부를 상호 긴밀히 하고, 또한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제2의 벽모양부재와 전기 글레이딩 제4의 돌출부를 맞닿게 접착시킴에 따라 배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9]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제1 및 제2의 벽모양 부재의 선단부 사이에 망모양부재를 구비한 [7] 또는 [8]에 기재된 것이다.
[10]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면부에 활성탄을 충진하여 된 [7]∼[9]의 어느것에 기재된 것.
[11] 상기 배수조의 악취방지구조를 저면부에 배수부를 갖는 상자모양 프레임과,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 상부에 재치된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 글레이딩과,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 저면 배수부 및 기존의 배수공에 연결하여 얻은 플렉시블호스를 구비한 것.
[12] 상기 배수조의 악취방지구조를 저면에 배수부를 갖는 상자모양 프레임과,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상부에 재치된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 글레이딩과,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 저면 배수부의 하측에 배설한 트랩(trap)구조를 구비한 것.
[13] 상기 트랩(trap)구조가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면 배수부를 하측 방향에서 포섭하도록 배설한 통부와, 이 통부의 안에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부에서 수직으로 배설한 제6의 벽모양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14]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은 트랩(trap)구조안에 활성탄을 충진하여 기재된 [7]∼[13]에 기재된 것.
[15] 상기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을 프라스틱필름, 알미늄판, 필름모양 발열층 및 단열재를 이 순서로 적층, 접착하여 된 [1]∼[14]의 어느것에 기재된 것.
[16] 상기 필름모양 발열층이 카본필터인 [1]∼[15]의 어느것에 기재된 것.
[17] 상기 높이 조절수단을 갖는 지지부재는 판상부재와 조절장치를 짜맞춘 것이고, 이 판상부재는 그 중앙부에 관통공을 갖고, 조절장치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1]∼[16]의 어느것에 기재된 것.
[18] 상기 [15]에 기재된 플라스틱필름의 표면에는 분말옥, 황토, 세라믹분말 등인 원적외선 방사체가 코팅되는 것.
본 발명의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서, 욕실 바닥면을 저비용으로 배리어 프리(barrier free)화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전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고장이 없고, 또한 욕실의 청소를 용이화 하고, 설치시의 현장시공을 용이화 하도록 함과 악취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배수조를 도2에 표시한 것과 같이 슬라이드부재 등을 구비한 악취방지구조를 갖는 구성(제1의 배수조)으로 한 것이고, 배수조를 경유한 기존의 욕실바닥면에 흘러나오는 배수와 오물을 제거함은 물론 기존의 욕실바닥면을 오염시키지 않고, 악취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욕실을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이 슬라이드부재를 슬라이드 시키고, 저면 관통공을 밀폐함에 의해 기존의 욕실 바닥면측에서 악취의 유입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조를 도 3 ∼ 도 5 에 도시한 것과 같이 둑을 구비하여 악취방지구조를 갖는 구성(제2의 배수조)으로서, 배수조를 경유하여 기존의 욕실바닥면에 유출하는 배수는 오물을 게거한 것과 같이 글레이딩에서 상자모양 프레임의 개구부까지의 배수를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면에 항상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저장물을 장치를 설치한 후 바닥면 상의 공간과 기존의 욕실바닥면측의 공간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개구부측에서(기존의 욕실바닥면측에서)의 악취의 유입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글레이딩의 상자모양 프레임의 설치방향을 180도 변경함에 따라 또는 글레이딩을 그 짧은방향의 평행이동 하는 것에 의해 욕실을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기존의 욕실바닥면측에서 악취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조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랙시블한 호스를 구비한 악취방지구조를 갖도록 구성(제3의 배수조)한 것이고, 오염된 배수가 배리어 프리(barrier free)에서 올라와 기존의 바닥면 밑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악취랑 오염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배수조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랩구조를 구비한 악취방지구조를 갖는 구성(제4의 배수조)으로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하면서 욕실을 바닥밑에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고, 악취랑 오염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는 히터를 내장한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을 구비하기 위해 전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고장이 없도록 하고, 또한 이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을 욕실의 바닥면상에 재치하기 위해 특정의 지지부재를 구비하기 위해 욕실의 상면을 저비용으로 배리어 프리(barrier free)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는 상기와 같이 전기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을 플라스틱필름, 알미늄판, 필름모양 발열층 및 단열재를 이 순서에 적층, 접착시키는 구성으로서, 전기적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현장시공을 더욱 용이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는 상기와 같이 전기 필름모양 발열층을 카본히터로 구성하는 것으로, 전기적 안전성을 더욱 향상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의 일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의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의 일실시예의 형태에 있어 악취방지구조를 갖는 배수조의 일예(슬라이드부재를 이용한 제1의 배수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로, (a)는 그 전체이고, (b)는 상자모양 프레임 저면이고, (c)는 슬라이드부재 부분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의 일실시예의 형태에 있어서 다른 악취방지구조를 갖는 배수조의 일예(특정의 상자모양 프레임 및 글레이딩을 이용한 제2의 배수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로, (a)는 그 전체, (b)는 내부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 는 도 3에 도시한 배수조의 상자모양 프레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로, (a) 및 (b)에 2개의 모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는 도 3에 도시한 배수조의 글레이딩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로, (a)는 상면을 보인 경우이고, (b)는 저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6 은 도 3내지 도 5에 도시한 배수조에 있어서, 배수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a)는 욕실의 사용시이고, (b)는 (a)의 경우 욕실의 불사용시글레이딩을 그 짧은 방향으로 평행이동한 경우이고, (c)는 욕실의 사용시이고, (d)는 (c)의 경우 욕실의 불사용시로 글레이딩의 설치방향을 180도 회전시킨 경우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의 일실시예의 형태에 있어 다른 악취방지구조를 갖는 배수조의 일예(플랙시블호스를 사용한 제3의 배수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의 일실시예의 형태에 있어 다른 악취방지구조를 갖는 배수조의 일예(트랩구조를 이용한 제4의 배수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로, (a)는 중앙단면 설명도이고, (b)는 A방향에서의 단면도이고, (C)는 B방향의 단면도에 있어 배수조의 배치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닥난방용 발열판넬 2: 지지부재
3,4,5,6: 제1,2,3,4의 배수조 11: 플라스틱필름
12: 알미늄판 13: 필름모양 발열층
14: 단열재 15: 방수시트
16: 벌집모양판 18: 코킹재
21: 판상부재 22: 조절장치
30: 상자모양프레임 36: 슬라이드부재
37: 망상부재 38: 높이조절부재
39: 활성탄 43,44,47,50,51: 제1,2,3,4,5의 벽모양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의 일실시예의 형태는 욕실의 바닥면 70위에 재치하여 욕실을 난방하기 위한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에 있어서, 필름모양 발열층을 내장한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1)과, 이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1)을 욕실의 상면위에 재치하기 위해 높이 조절수단을 갖는 지지부재(2)와, 전기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1)에 인접하여 설치한 악취방지구조를 갖는 배수조(예를 들면 제1내지 제4의 배수조) 3내지 6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를 각 구성요소에 관해 더욱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바닥 난방용 발열 판넬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필름모양 발열층을 내장한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로는 전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고장 없게 할 수 있다면 특히 제한은 없지만 그와 꼭 알맞도록 도 1 에 표시하고, 플라스틱필름(11), 알미늄판(12), 필름모양발열층(13) 및 단열재(14)를 이 순서로 적층, 점착하게 된 것을 들 수 있다.
이하 각각의 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1) 플라스틱 필름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플라스틱필름(11)은 표장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 재질로서는 내수성을 갖는 것 이라면 특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들어 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중간에도 유연성이 좋고 접착하기 쉽기 때문에 염화비닐이 좋다.
그 두께는 0.2∼2.0mm이 좋다. 0.2mm 미만이면 강도가 약하고, 2.0mm를 초과하면 비용이 비 경제적이다.
또한 그 표면에는 장식용 인쇄를 시공해도 좋고, 비활처리를 해도 좋고 또는 항균처리를 시공해도 좋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필름의 표면에는 분말옥, 황토, 세라믹분말 등인 원적외선 방사체가 코팅되어 구성됨은 물론이다.
(2) 알미늄 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미늄판(12)은 후술하는 필름모양 발열층(13)의 발열을 바닥면에 균일하게 전달하고, 온도분포의 변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후술하는단열재(14)와의 사이에 필름모양 발열층(13)을 끼우는 동시에 필름모양 발열체(13)를 구부려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고, 장수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으로 물질이 낙하함에 의해 충격이랑 할퀴는 상처 때문에 필름모양 발열체(13)를 유효하게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두께로서는 0.3∼2mm가 좋고, 0.3mm미만이면 상기효과를 유효하게 발휘할 수 없고, 2mm를 초과하면 비용이 비경제적이다.
또한 알미늄판(12)에는 접지선에 접속한 접지단자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만일 누전 등이 발생될 경우에도 알미늄판에 발생된 전위를 접지하고, 또한 상설의 누전차단기를 움직이고 사용자를 전기쇼크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3) 필름모양 발열체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필름모양 발열체(13)는 예를들어 발열부재와 그것을 피복하는 피복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발열부재로서는 예를들어 카본섬유, 카본박막, 도선과 도선과의 사이에 카본함유도료를 도포한 것과, 또는 발열용 금속도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피복부재는 예를들어 폴리에스테르수지필름을 들 수 있다. 이것중 도체의 사이에 카본을 함유한 박막을 코팅하고, 폴리에스테르필름으로 양측에서 끼운 구조체이고 카본히터를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함은 물론 전기적 안정성의 보호 때문에 좋다.
이 카본히터는 어떤 계절에도 좋지만, 통상 30℃∼50℃정도의 범위에서 제어하지만 설정한 상한치 이상의 온도상승을 할 수 없고, 콘트롤러에 의해 무단층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온도 센서가 고장날 경우도 있고 또 각별히 온도센서를 설치하지 않아도 예를들면 히터자신의 온도제어기능에 의해 설정한 상한치 이상의 고온도화를 방지하고, 바닥온도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고, 화상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 두께는 0.5∼1.5mm가 좋다. 0.5mm미만이면 충분히 발열을 얻기가 곤란하고, 1.5mm를 초과하면 알미늄판과 단열재와의 사이에 협지할 경우 단차가 커질 수 있다. 발열부재에 인가한 전압은 220/110V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보다 안전하기위해 24V정도까지 끌어내리는 것도 좋다.
(4) 단열재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열재(14)로서는 예를들면 발포폴리에틸렌수지, 발포스치롤, 발포폴리우레탄수지로 된 것을 들수 있다.
그 두께는 5∼20mm가 좋다. 5mm미만이면 단열효과가 적고, 또한 센서를 끼워넣는 스페이스가 없고, 20mm를 초과하면 전체가 너무 두꺼워 시공이 곤란하다.
이 단열재(14)와 전기 필름모양 발열층(이하, 카본히터라 한다)(13)과의 사이에 발열판넬 표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온도센서 및 필요에 따라 그 배선, 접지용배선, 발열부재용 배선등을 배설하는 것이 좋다.
이 배선은 단열재에 설치한 틈으로 온도센서등을 매설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틈은 단열재를 깍거나 또는 눌러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카본히터(13)에 凹凸가 없게 되고, 평평한 기존의 바닥면(70)에 그대로 재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욕실의 바닥면에 발열부재(히터선)의 흔적이 나타나지 않고, 미관을 손상하지 않는다.
또한 온도센서로 특히 제한하지 않지만 예를들면 제품의 안정성 경제성의 관점에서 서미스터온도센서가 좋다.
(5) 그외의 다른 요소
본 발명의 욕실바닥난방용발열 판넬에 있어, 상기와 같이 프라스틱필름(11), 알미늄판(12), 카본히터(13) 및 단열재(14)를 적층, 점착하는 것이 좋지만, 또한 필요에 따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히터(13)와 단열재(14)와의 사이에 방수시트(15)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단열재(14)의 내측 및 또는 외측에 격자구조 중공플라스틱판(벌집모양판)또는 제2의 알미늄판(16)을 설치해도 좋다. 2장의 벌집모양판을 이용할 경우는 벌집모양판 안의 격자(막대)의 방향을 상호 직교하게 하여 강도적으로 좋게 한다. 이와 같이 벌집모양판을 이용함에 의해 장치를 경량화 하도록 하는 동시에 욕실내에서 노인등이 뒤로넘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단력성 때문에 머리부분의 타박, 골절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을 점착하는 수단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들면 이것의 사이에 점(접)착제층을 배설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욕실바닥난방용 발열판넬(적층체)(1)과 욕조 또는 욕실 벽과의 틈에는 예를들면 외측부재(17)로 밀폐하고, 또한 코킹부재(18)를 충진하며, 욕실바닥 난방용 발열판넬을 설치후 공간을 기존의 바닥면측의 공간에서 동떨어지지만 악취발생의 방지의 면에서 좋다. 또한 외연부재(17)로서 단면이 삼각형의 부재를 이용함에 의해 욕실바닥난방용 발열판넬의 주연부의 청소를 용이화 할 수 있다.
2. 지지부재
본 발명에 이용된 지지부재(2)로서는 높이조절수단을 갖는 것이면 특히 제한하지 않지만 예를들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부재(21)와 조절장치(22)를 맞추는 것을 들 수 있다.
판상부재(21)는 예를들면 스텐레스·스틸 또는 알미늄제 등의 직경이 5∼10㎝이고, 두께가 1∼5㎜의 원형의 판을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조절장치(22)는 기존의 바닥면(70)에서 높은 효과 조정용으로 이용된다. 판상부재(21)의 직경이랑 지지벽 바닥난방용 발열판넬(1)의 크기에도 좋지만, 통상 5∼30개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므로 미리 시공현장에서 욕실의 길이를 채택해 두는 것 보다 바닥면을 배리어 프리(barrier free)화 하기 위해 필요한 판상부재(21)의 높이를 미리 적당히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할때의 현장시공을 용이화 할 수 있다. 또한 이 판상부재(21)에 조절장치(22)를 맞추는 것은 조절장치(22)에 의해 시공현장에서 높은 효과 조정을 하기 위해 설치할 때의 현장시공을 또한 용이화 할 수 있다.
이 조절장치(22)의 구조로서는 높은 효과조정이 가능한 것이면 특히 제한 없지만 예를들면 볼트부와 너트부와의 결합으로 들 수 있다.
판상부재(21)와 조절장치(22)는 미리 접착제 또는 양면접착제 테이프등에 의해 결합해 두는 것이 좋다. 또한 판상부재(21)의 중앙부에는 관통공(23)을 설치하고, 또한 얇은 종이의 접착제시트(이 시트에도 판상부재(21)의 관통공에 대응하여중앙부에 관통공을 설치하여 두고)를 붙여두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것에 의해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1)을 기존의 욕실의 바닥면(70)에 설치하는 근처에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1)의 벌집모양판(16)(그 적소에 지지부재(2)의 설치위치에 대응한 장소에 다수의 관통공을 열어두고)의 관통공과 판상부재(21)의 관통공(23)의 위치를 결합한 상태에서 얇은 종이를 얇게 하여(조절장치(22)가 결합되어 있다)접착하고, 기존의 바닥면(70)에 재치한 후 벌집모양판(16)의 표면측에서 관통공을 경유한 예를들면 드라이버등에 의해 조절장치(22)의 너트부를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높은 효과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전체의 높이 효과조정 완료후 벌집모양판(16)을 들어올리고 외측에서 예를들면 로크너트로 조절장치(22)를 고정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판상부재(21)와 벌집모양판(16)을 미리 접착하여 두고 벌집모양판(16)을 깔은 상태에서 높이 조정을 하고, 높이조정 완료후 벌집모양판(16)을 들어올리고 조절장치(22)의 로크너트를 고정해도 좋다. 또한 조절장치(22)의 고정후 벌집모양판(16)의 표면위에 단열재(14), 방수시트(15), 필름모양발열층(13), 알미늄판(12) 및 플라스틱필름(11)등을 적층하는 것이 좋다.
3. 배수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발명에 사용되는 배수조(3∼6)는 전기 바닥난방용 발열판넬(1)에 인접하여 설치한다. 그 배설의 모양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들면 전기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1)의 일부를 자르고 자른 부분에 감합되는 것과 또는 전기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1)의 1이상의 측면전체에 인접하여 설치한 것을 들수 있다.
이 배수조(3∼6)의 배설부위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기존의 배수구(71)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배수조(3∼6)는 복수 설치하는 것도 좋고, 예를들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배수구(71)의 상부 및 욕실출입구(72)의 근방에 설치하는 것도 좋다. 배수조 (3∼6)는 미리 시공현장에서 욕실의 길이를 채택하는 것 보다 미리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1)과 별체로 제작해 두기위해 설치할 때의 현장시공을 용이화 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1)의 길이를 규격화 하여 대량 생산할 경우 시공현장의 욕실의 길이와의 차이가 문제로 되지만, 배수조(3∼6)를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1)의 4변중의 인접한 2변에 설치하고, 배수조의 길이를 전기 간격을 수복하여 변하게 하도록 하여 이 간격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고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1에 있어서, 욕실출입구(72)의 근방의 배수조(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면부에 돌설한 관통공을 물떼새 모양의 형상으로 함에 의해 전술하는 바와 같이 바닥의 미끄러움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하고, 배리어 프리(barrier free)를 친 바닥으로의 염려가 없다. 욕실에서 사용한 물의 욕실의 출입구 근방에 있어서 잔존 또는 출입구에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는 기존의 바닥에 재치하는 것 만으로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기존의 바닥에 흘르는 배수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는 가능성이 있다. 이 점에 감안하여 본 발명의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는 악취방지구조를 갖는 배수조를 사용하고 있다. 이 악취방지구조를 갖는 배수조로서는 악취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들면 도2∼도8에도시한 악취방지구조를 갖는 제1∼제4의 배수조3∼6에 대해 각각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제1의 배수조
도2(a), (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의 배수조3은 저부(31)에 복수의 관통공(32)을 갖는 상자모양 프레임(30)과 이 상자모양 프레임(30)의 상부에 재치된 복수의 관통공(34)을 갖는 격자(3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2(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모양 프레임(30)의 저부(31)상에 복수의 관통공(35)을 갖는 슬라이드부재(36)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부재(36)를 소정의 거리만 슬라이드되도록 저부(31)의 관통공(32)을 밀폐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인 것이고, 욕실을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기존의 욕실바닥면측에서 악취의 유입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말하면, 통상 욕실을 사용하는 경우 슬라이드부재(36)의 관통공(35) 및 저부(31)의 관통공(32)의 위치를 결합하고 배수가 통과하도록 해둔다.
또한 상자모양 프레임(30)의 저부(31) 또는 슬라이드부재(36)상에 망상부재(37)를 구비하는 것이 머리털이랑 때 등의 오물의 정화 관점에서 좋다.
또한 상자모양 프레임(30)과 격자(33)와의 사이에 활성탄(39)(도1참조)을 충진하는 것은 물론 오물의 정화와 악취의 발생방지와의 관점에서 좋다. 이 활성탄의 종류 및 평균 알갱이는 특히 제한은 없고 여러가지의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2(a)에 표시한 바와 같이 높이 조절부재(38)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 높은 조절부재(38)로서는 예를들면 볼트와 너트를 조립하는 것을 들 수 있다.
(2) 제2의 배수조
제2의 배수조4는 상자모양 프레임(40)으로서 도4(a)에 표시한것 또는 도(b)에 도시된 것의 어느것을 사용해도 좋다.
도3(a), 도4(a), 도5 및 도6(a), (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자의 배수조(4)(상자모양 프레임(40)으로서 도4(a)에 표시한 것을 이용할 경우)는 그 악취방지구조가 상자모양 프레임(40)과 이 상자모양 프레임(40)의 상부에 재치된 격자(49)를 구비한 것이고, 이 상자모양 프레임(40)이 그 저부의 중앙 긴방향으로 배설한 개구부(42)와 이 개구부(42)의 양단부 때문에 수직으로 배설한 제1 및 제2의 벽모양부재(43),(44)와, 일방의 외벽(45)에서 내방향으로 향해 돌출한 제1의 돌출부(55)를 갖고, 또한 전기 격자(49)가 제1의 벽모양부재(43)와 일방의 외벽(45)과의 사이를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부(41)로 향해 배설한 제4의 벽모양 부재(50)와 제2의 벽모양부재(44)와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타방의 외벽(46)과의 사이를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부(41)로 향해 배설한 제5의 벽모양부재(51)와 제4의 벽모양부재(50)에서 외방향으로 향해 돌출한 제2의 돌출부(56)와 제5의 벽모양부재(51)에서 내방향으로 돌출된 제3의 돌출부(57)를 갖고, 또한 전기 격자의 제4 및 제5의 벽모양부재(50)(51)에 각각 빗살모양의 톱니형부(48)를 배설하여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것에 의해 도6(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격자(49)에서 상자모양 프레임의 개구부(42)까지의 배수를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부(41)에 통상 저류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전기 격자(49)를 그 짧은방향(화살표방향)으로 평행이동하고 상자모양 프레임의 제1의 돌출부(55)와 격자의 제2의 돌출부(56)를 당접하고, 또한 상자모양 프레임의 제2의 벽모양부재(44)와 격자의 제3의 돌출부(57)를 당접함에 의해 배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2의 배수조(4)는 상자모양 프레임(40)으로서 도4(b)에 표시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도3(a),(b), 도4(b), 도5 및 도6(c),(d)에 표시됨에 의해 이 예로는 전술의 도4(a)에 표시한 것을 사용한 경우와 같이 그 악취방지구조가 상자모양 프레임(40)과 이 상자모양 프레임(40)의 상부에 재치한 격자(49)를 구비한 것이고, 이 상자모양 프레임(40)이 그 저부의 중앙 긴 방향으로 배설한 개구부(42)와 이 개구부(42)의 양단부에서 수직으로 배설한 제1 및 제2의 벽모양부재(43),(44)와 제1의 벽모양부재(43)와 일방의 외벽(45)과의 사이에 배설한 제3의 벽모양부재(47)를 갖고, 또한 전기 격자(49)가 전기 제1의 벽모양부재(43)와 제3의 벽모양부재(47)와의 사이를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부(41)로 향해 배설한 제4의 벽모양부재(50)와 전기제2의 벽모양부재(44)와 전기 상자모양프레임의 타방향의 외벽(46)과의 사이를 전기 상자모양프레임의 저부(41)로 향해 배설한 제5의 벽모양부재(51)와 제4의 벽모양부재(50)에서 외방향으로 향해 돌출한 제2의 돌출부(56)와 제4의 벽모양부재(50)에서 내방향으로 향해 돌출한 제4의 돌출부(58)와 제5의 벽모양부재(51)에서 내측으로 향해 돌출한 제5의 돌출부(59)를 갖고, 또한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제3의 벽모양부재(47) 및 전기 격자의 제4 및 제5의 벽모양부재(50),(51)에 각각 빗살모양의 톱니형부(48),(48)를 배설 한 것이다.
덧붙여 말하면, 빗살모양의 톱니형부(48)(48)는 욕실을 사용할때 배수가 흐르게 당접되지 않고, 또한 대응한 위치에 의해 또한 욕실 불사용때는 격자를 180도 회전하여 상호 당접하고, 또한 밀폐하여 결합하도록 톱니형으로 설치한다.
이 예는 전술의 상자모양 프레임(40)으로서 도4(a)에 도시한 것을 사용한 경우 배수조와 상이한 점은 상자모양 프레임(40)이 그 일방의 외벽(45)에서 내방향으로 향해 돌출한 제1의 돌출부(55)의 변화에 빗살모양의 톱니형부(48)를 구비한 제3의 벽모양부재(47)를 갖는 것과, 격자가 그 제4의 벽모양부재(50)에서 내측으로 향해 돌출한 제4의 돌출부(58)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것에 의해 도6(a) 및 (d)에 도시된 전기 격자(49)에서 상자모양 프레임의 개구부(42)까지의 배수를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부(41)에 상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격자(49)의 상자모양 프레임(40)의 설치방향을 180도 회전하고, 제3의 벽모양부재(47)와 제5의 벽모양부재(51)에 설치한 빗살모양의 톱니형부(48)(48)를 상호 밀폐하고, 또한 상자모양 프레임의 제2의 벽모양부재(44)와 격자의 제4의 돌출부(58)를 당접하는 것에 의해 배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의 배수조에는 제1의 배수조의 경우와 같이 제1 및 제2의 벽모양부재(43)(44)의 선단부 사이에 망모양부재(53)를 예를들면 다리를 놓도록 구비한 것이지만, 오물의 정화 때문에 좋고(도3()참조). 또한 높이 조절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이 좋고, 상자모양 프레임중에 활성탄을 충진해도 좋다.
(3) 제3의 배수조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의 배수조(5)는 그 악취방지구조가 저부에 배수부(6)를 갖는 상자모양 프레임(61)과 상자모양 프레임(61)의 상부에 재치한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 격자(60)와 상자모양 프레임 저부의 배수부(66) 및 기존의 배수구(71)에 연결하여 얻은 플랙시블호스(62)를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플랙시블호스(62)로는 특히 제한은 없다.
이와 같은 구성된 것에 의해 오염된 배수가 배리어 프리(barrier free)에서 낮은 기존의 바닥면의 밑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악취랑 오염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3의 배수조에는 제1의 배수조의 경우와 같이 망모양부재, 높이 조정부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해도 좋고, 상자모양 프레임중에 활성탄을 충진해도 좋다.
(4) 제4의 배수조
도8(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의 배수조(6)는 그 악취방지구조가 저부에 배수부(67)를 같은 상자모양 프레임(63)과 상자모양 프레임(63)의 상부에 재치한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 격자(68)와 상자 프레임 저부의 배수부(67)의 하방에 설치한 트랩구조(64)(65)를 구비한 것이고, 이 제4의 배수조(6)는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1)과 욕실출입구(72)와의 사이에 앵글(69) 및 고정부재(69)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고정부재(69)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바와 같이 트랩구조(예를들면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부 배수부(67)를 하방에서 포함하도록 배설한 통부(64)와 이 통부(64)의 중앙에 상자모양 프레임(63)의 저부에서 수직으로 배설한 제6의 벽모양부재(65)를 구비한 것을 들 수 있다)에 배수를 상시 저장하고,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하면서 욕실을 바닥에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면, 악취랑 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4의 배수조에는 제1의 배수조의 경우와 같이 망모양부재를 설치해도 좋고, 상자모양 프레임 또는 트랩 구조중에 활성탄을 충진해도 좋다.
4.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의 제조
본 발명의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공장에서 제조, 조립이 가능하고, 현장시공의 용이화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조예로서 아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즉 시공현장의 욕실의 길이를 채택하고, 그 길이를 적합하도록 소정길이의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을 제작하고, 적당한 사이즈의 지지부재용 판상부재 및 조절장치를 선택하고, 판상부재와 조절장치를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접착제, 양면접착 테이프 등에 결합하고 또한 소정길이의 배수조를 곡면가공 등에 의해 제작해 두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로 일정한 길이의 규격품을 사용하고, 시공현장의 욕실의 길이와의 간격을 적당한 사이즈의 배수조를 사용함에 의해 조절하는 것도 좋다.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의 제조는 예를들어 아래와 같이 할 수 있다. 재료로 플라스틱필름 및 제1의 점(접)착제층(아크릴계 점착제부 염화필름, 미국3M사제 내오프로아, 두께 0.3mm), 알미늄판(주우금속사제, 두께 0,8mm), 제2의 점(접)착제층(미국 3M사제 #950, 두께0.13mm), 카본히터(선라이즈사제,두께0.7mm), 제3의 점(접)착제층(미국3M사제 #950, 두께 0.13mm), 단열재(동연화학 공업사제 카네라이트, 두께15mm)를 사용하고, 알미늄판에 접착제부 염화필름을 라미네이트로 하고, 다음에 제2의 접착제층을 라미네이트로 하고, 라이너지를 벗긴 후 카본히터를 라미네이트로 하고, 다음에 미리 제3의 접착제층을 라미네이트로 한 단열재를 라미네이트로 하고, 또한 단열재의 하면에 양면 점(접)착 테이프를 라미네이트로 한다.
또한 알미늄판에는 접지단자를 취부하고, 이 접지단자에는 접지용 리드선(접지선)을 접시머리나사와 너트로 접속한다. 이 리드선은 보호커버를 경유하여 인접한 방에 있는 접지용 단자에 접속하던가 접지봉을 지면에 박아넣어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만일 카본히터의 일부가 파괴되어 다시 그 부분에 물이 칩입해 와도 전위는 사람에게 도달하기 전에 접지되고, 누전차단기가 작동하고, 큰충격에서 개방된다. 접지를 다시 확실하게 하기 위해 바닥면과 단열재와의 사이에 접지용 도선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카본히터의 하측에는 전원접속용 단자를 2개소에 설치하고, 거기에서 리드선을 인출한다. 또한 온도센서를 카본히터의 바로 밑에 설치한다. 이것은 단열재 보다 얇게 하기위해 단열재의 일부를 잘라 내던가 붙여서 서로 합칠때 눌러 미끄러지게 하기 보다 카본히터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그 표면의 돌기는 일체 발생되지 않도록 평활하게 흐르는 곳을 제공할 수 있다.
5.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의 욕실의 설치
상기와 같이 해서 미리 준비한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과 높이 조절수단(예를들면 판상부재 및 조절장치)을 갖는 지지부재와 배수조를 욕실에 설치한다.
설치예로서는 아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즉 지지부재와 그 판상부재와 조절장치를 미리 접착제 양면테이프 등으로 결합하고, 판상부재의 상면에는 얇은 종이의 접착시트를 부착시킨다. 또한 조절장치의 하단(예를들면 볼트부의 하단)에는 설치한 기존의 욕실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을 많아지도록 소정의 설치용각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의 벌집모양판(그 적소에 지지부재의 설치위치에 대응한 장소에 소정갯수의 관통공을 개방한다)의 관통공과 판상부재의 관통공의 위치를 결합한 상태에서 얇은 종이를 얇게한 판상부재(조절장치가 결합되어 있다)를 벌집모양판에 접착하고 기존의 욕실바닥면에 재치한 후에 벌집모양판의 표면측에서 관통공을 경유하고, 예를들어 상기와 같이 드라이버등에 의해 조절장치의 너트부를 회전시키고 록크너트에 의해 고정하고, 설치높이를 조절한다. 그 후 높이 조절이 완료한 벌집모양판의 위에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을 재치하고, 소정의 외연부재를 설치하고, 소정의 코킹재를 판넬 주위의 간격에 충진하고, 소정의 전기공사 및 물주위에 방수공사등을 시공한다.
6.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의 운전
콘트롤러 스위치를 누르고 필름모양 발열층에 통전되고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의 표면온도가 다음에 거의 균일하게 상승한다. 그리고 통전중에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온도센서에서 신호에 의해 콘트롤러가 작동하고, 필름모양 발열층으로 통전은 정지하고, 온도가 내려가면 통전이 재개되고, 이 반복에 의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필름모양 발열층으로 카본히터를 이용할 경우 반드시 온도센서를 사용할 필요는 없지만 보다 정확한 콘트롤 및 안정성의 면에서 온도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온도센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콘트롤 스위치를 누르고 카본히터에 통전하면 바닥난방용 발열판넬의 표면온도가 다음에 거의 균일하게 상승한다. 그리고 통전중에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에 내장한 카본히터의 온도가 상승하고, 카본히터 자체의 전기저항이 증가하게 전류가 감소하고 가열이 억제되고 카본히터 및 바닥난방용 발열판넬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욕실의 바닥면을 저비용으로 배리어 프리(barrier free)화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전기적 안전성이 우수하고, 고장나는 일이 없고, 또한 욕실의 청소가 용이함과 아울러 악취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설치시의 현장시공이 용이한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8)
- 욕실 바닥 상면에 재치하여 욕실을 난방하기 위한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에 있어서,필름형상 발열층을 내장한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과, 이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을 욕실의 바닥 상면에 재치하기 위해 높이 조절수단을 갖는 지지부재와, 상기 바닥 난방용 발열판넬에 인접하여 설치된 배수조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조가 악취방지구조를 갖게 되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배수조의 악취방지구조가 상자모양의 프레임과, 이 상자모양 프레임의 상부에 재치된 글레이딩(grating)으로 구비된 것이고, 상기 글레이딩에서 상자모양 프레임의 개구부까지의 배수를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부에 항상 저류 가능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배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배수조의 악취방지구조를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 및 상기 글레이딩에 추가하여 상기 상자 모양의 프레임 아랫부분에 슬라이드부재로 구비하고, 상기 상사모양의 프레임이 그 아랫부분에 복수의 관통공을 갖도록 함과 함께 상기 슬라이드부재도 복수의 관통공을 갖고,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드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 아랫부분의 관통공을 밀폐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아랫부분 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상에 망모양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청구항 2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상자모양 프레임 내부에 활성탄을 충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청구항 2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글레이딩의 복수의 관통공이 물떼새모양으로 복수개 돌설하여 관통공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배수조의 악취방지구조에 있어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을 그 아랫부분 중앙 긴 방향으로 배설한 개구부와, 이 개구부의 양단부에서 수직으로 배설한 제1 및 제2의 벽모양부재와, 제1의 벽모양부재와 일방의 외벽과의 사이에 배설한 제3의 벽모양부재와, 일방의 외벽에서 내측방향으로 향해 돌출한 제1의 돌출부를 갖고, 또한 상기 글레이딩이 제1의 벽모양부재와 제3의 벽모양부재와의 사이를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아랫부분으로 향해 배설한 제4의 벽모양부재와, 제2의 벽모양부재와 타방의 외벽과의 사이를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저부로 향해 배설한 제5의 벽모양부재와, 제4의 벽모양부재에서 외방향으로 향해 돌출한 제2의 돌출부와, 제5의 벽모양부재에서 내측방향으로 향해 돌출한 제3의 돌출부를 갖고, 그 위에 제3, 제4 및 제5의 벽모양부재에 각각 빗살모양의 톱니형을 배설하고, 상기 글레이딩을 그 짧은 방향으로 평행이동하고, 상기 상자 프레임의 제1의 돌출부와 전기 글레이딩의 제2의 돌출부를 맞게 붙이고, 또한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제2의 벽모양부재와 전기 글레이딩의 제3의 돌출부를 맞게 붙임에 따라 배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배수조의 악취방지구조에 있어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을 그 아랫부분 중앙 긴 방향으로 배설한 개구부와, 그 개구부의 양단부에서 수직으로 배설한 제1 및 제2의 벽모양부재와, 제1의 벽모양부재와 일방의 외벽과의 사이에 배설한 제3의 벽모양부재와 일방의 외벽에서 내측방향으로 향하게 돌출한 제1의 돌출부를 갖고, 또한 상기 글레이딩을 제1의 벽모양부재와 제3의 벽모양부재와의 사이를 전기상자모양 프레임의 아랫부분으로 향해 배설한 제4의 벽모양부재와,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제2의 벽모양부재와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타방의 외벽과의 사이를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아랫부분으로 향하도록 배설한 제5의 벽모양부재와, 제4의 벽모양부재 및 제5의 벽모양부재에서 각각 내측방향으로 향하게 돌출한 제4 및 제5의 돌출부를 갖고, 그 위에 제3, 제4 및 제5의 벽모양부재에 각각 빗살모양의 톱니형을 배설하여 된 것이고, 상기 글레이딩의 상자모양 프레임의 설치방향을 180도 회전하고, 제3의 벽모양부재와 제5의 벽모양부재로 설치한 빗살모양의 톱니형부를 상호 밀폐하고, 또한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제2의 벽모양부재와 전기 플레이딩의 제4의 돌출부를 당접함에 따라 배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청구항 7 또는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제1 및 제2의 벽모양부재의 선단부 사이에 망모양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청구항 7 내지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아랫부분에 활성탄을 충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청구항 1 에 있어서,상기 배수조의 악취방지구조를 저면에 배수부를 갖는 상자모양 프레임과,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상부에 재치한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 글레이딩과,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 아랫부분의 배수부 및 기존의 배수공에 연결하여 얻은 플렉시블호스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배수조의 악쉬방지구조를 아랫부분에 배수부를 갖는 상자모양 프레임과,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상부에 기재된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 글레이딩과,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 아랫부분 배수부의 하측에 배설한 트랩(trap)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트랩구조를 전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아랫부분 배수부를 하측방향에서 포섭하도록 배설한 통부와, 이 통부의 안에 상기 상자모양 프레임의 아랫부분에서 수직으로 배설한 제6의 벽모양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청구항 11 내지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상자모양 프레임 또는 트랩구조 안에 활성탄을 충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바닥 난방용 발열 판넬을 플라스틱필름, 알미늄판, 필름모양 발열층 및 단열재를 이 순서로 적층, 점착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필름모양 발열층을 카본히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높이 조절수단을 갖는 지지부재를 판모양부재와 조절장치(아져스터:adjuster)를 맞추고, 이 판모양부재가 그 중앙부에 관통공을 가지며, 조절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청구항 15에 있어서,상기 플라스틱필름의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체가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63166A KR20010060744A (ko) | 1999-12-28 | 1999-12-28 |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KR2019990030048U KR200184461Y1 (ko) | 1999-12-28 | 1999-12-28 |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63166A KR20010060744A (ko) | 1999-12-28 | 1999-12-28 |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30048U Division KR200184461Y1 (ko) | 1999-12-28 | 1999-12-28 |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60744A true KR20010060744A (ko) | 2001-07-07 |
Family
ID=196305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30048U KR200184461Y1 (ko) | 1999-12-28 | 1999-12-28 |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KR1019990063166A KR20010060744A (ko) | 1999-12-28 | 1999-12-28 |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30048U KR200184461Y1 (ko) | 1999-12-28 | 1999-12-28 |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018446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82677A (zh) * | 2021-02-06 | 2021-06-18 | 北京市燕通建筑构件有限公司 | 一种集成房屋装配系统 |
-
1999
- 1999-12-28 KR KR2019990030048U patent/KR20018446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12-28 KR KR1019990063166A patent/KR20010060744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82677A (zh) * | 2021-02-06 | 2021-06-18 | 北京市燕通建筑构件有限公司 | 一种集成房屋装配系统 |
CN112982677B (zh) * | 2021-02-06 | 2022-04-01 | 北京市燕通建筑构件有限公司 | 一种集成房屋装配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84461Y1 (ko) | 2000-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252118C (en) | Method for heating a solid surface such as a floor, wall, roof, or countertop surface | |
CA1227520A (en) | Anti condensation mirror | |
US8597753B2 (en) | Self-adhesive radiant heating underlayment | |
KR200184461Y1 (ko) | 욕실용 바닥 난방장치 | |
JPH1163541A (ja) | 浴室床暖房用発熱パネル | |
JP2001108254A (ja) | 浴室用床暖房装置 | |
EP0894417B1 (en) | Method for heating the surface of an antenna dish | |
CA2001833C (en) | Electrical de-icer device | |
JP2000346389A (ja) | 浴室用床暖房装置 | |
FR2791478B1 (fr) | Systeme de distribution d'energie electrique dans les etages d'un immeuble | |
JP3247649U (ja) | 仮設ハウス向け床暖ユニット | |
JP3041741U (ja) | 融雪用パネル | |
KR19990034667U (ko) | 전자파 차폐용 바닥재 | |
JP4016830B2 (ja) | 融雪装置用の面状発熱体 | |
TW304583U (en) | Auto monitoring type electric water heater | |
JPH09131271A (ja) | 暖房すのこ | |
KR20190084688A (ko) | 화장실용 도어 보조 장치 | |
TW364587U (en) | Structure of photoelectron flow sensor for electric water heater | |
TW413319U (en) | Improved water pan structure for electric water heater | |
TW341967U (en) | Insect repelling deodorant water drainage system | |
TW383160U (en) | Remote controller for electric water heater | |
AU2003280927A1 (en) | Plate separated type anti-freezing solar water heater system | |
ITCO940009A0 (it) | Leva per sollevare il sedile copri water tipo ijn-kit | |
ATA114498A (de) | Sanitärinstallation mit einem warmwasserspeicher | |
GB9903580D0 (en) | Pre electric shower water warmer (heat exchang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