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9365A -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9365A
KR20010059365A KR1019990066761A KR19990066761A KR20010059365A KR 20010059365 A KR20010059365 A KR 20010059365A KR 1019990066761 A KR1019990066761 A KR 1019990066761A KR 19990066761 A KR19990066761 A KR 19990066761A KR 20010059365 A KR20010059365 A KR 20010059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d steel
cold rolled
steel sheet
less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영
박만영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90066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9365A/ko
Publication of KR20010059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36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합금 구성 방법 및 제조법에 관한것으로,중량%로C:0.0050%이하,Mn:1.1∼1.7%,P:0.07∼0.12%,Si:0.4∼0.8%,B:0.0005∼0.0020%,N:0.0050%이하,S:0.015%이하,Ti:{C[wt%]÷12+N[wt%]÷14}×48이상으로 첨가되고 산가용 Al:0.025∼0.06%이고,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인장강도가 50kgf/mm2이상이며, rm값이 1.5이상이며,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및 상기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극저탄소강을 통상의 방법으로 슬래브 재가열을 실시하고 열간압연하되, 열간 마무리 압연온도를 Ar3 변태점이상으로 하여 450∼700℃의 범위에서 권취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산세하고 냉간압연을 행한 후 소둔을 재결정온도이상 Ac1이하에서 실시하고 과시효처리를 하는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a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with high formability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인장강도가 50kgf/mm2이상이며, rm값(수직이방성의 평균값, rm=(r0+2r45+r90)/4)이 1.5이상이며, 2차 가공 취성에 강한 냉연강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강도강이라 함은 인장강도가 35kgf/mm2이상인 강판을 애기하는데, 고강도 강판을 사용하여 자동차를 생산할 경우 강판의 두께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에너지 절감을 할 수가 있고, 자동차의 안정성 측면에서도 유리한 점이 있으나 성형성이 낮아 적용되는 부위가 한정되어 있다. 또한, 강도 향상을 위해 P등의 입계취화 원소를 많이 첨가함에 의해 2차 가공취성에의 저항이 낮아지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B를 대개 첨가하는데, 이로 인해 가공성이 낮아지는 결과가초래된다.
종래 발명된 Si-Mn-P 복합첨가의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일본공개특허공보 소 55-24952와 소 59-159936를 보면 각 각 인장강도 40kgf/mm2수준과 22kgf/mm2수준으로 본 발명에 비해 크게 떨어지고 있으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11-61332의 경우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합금성분을 포함하는 아주 넓은 범위의 특허청구범위를 제시하고 있는데, 실제로 실시예에서 보여주고 있는 강도의 분포는 고작 28∼35kgf/mm2수준에 불과하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68543과 평7-216452의 경우는 본 발명과 유사한 강도의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구체적인 합금성분의 제한에서 전자의 경우는 Cu와 Ni의 첨가를 요구하고 동시에 고온의 소둔온도를 요구하고 있으며, 후자의 경우는 Nb의 첨가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합금성분의 첨가는 원가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요구 강도를 만족시키기 위한 적절한 합금성분의 조절이 요구된다.
또한, CAMP-ISIJ(1992) 페이지 1823에서 보고되어 있듯이 중량%로 Mn을 2.21%, Si을 0.34%, P를 0.04% 첨가한 극저탄소강에 의해 인장강도 45.3kgf/mm2, rm값 1.93의 고성형 고강도강이 개발되어 있으며, 같은 논문에서 Cu를 중량%로 1.02% 첨가한 Ti-Nb 첨가 극저탄소강에 의해 연속소둔에 의해 인장강도 36.9kgf/mm2, rm값 2.21을 얻은 후 500℃에서 10시간동안 후열처리를 행함에 의해 인장강도56.5kgf/mm2, rm값 2.19의 고성형 고강도강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본 발명보다도 많은 성분의 Mn을 첨가하였으나, 타 성분의 강도보상이 미흡하여 강도의 측면에서 열위하고, 후자의 경우는 연속소둔에 의한 열처리만 행하였을 경우는 본 발명에 비해 강도가 훨씬 떨어지고 10시간의 후열처리를 행하면 강도 및 성형성도 우수한 강이 생산될 수 있으나 실제 라인에서 생산하기에는 어려운 프로세스를 거쳐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연속소둔라인에서의 작업에 의해 생산가능하며 제조공정상 제약이 극히 적은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2차 가공취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B이 첨가된 상황에서 rm값이 1.5이상이고, 인장강도가 50kgf/mm2이상인 고강도 냉연강판 합금 구성 방법 및 제조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량%로 C:0.0050%이하,Mn:1.1∼1.7%,P:0.07∼0.12%,Si:0.4∼0.8%,B:0.0005∼0.0020%,N:0.0050%이하,S:0.015%이하,Ti:{C[wt%]÷12+N[wt%]÷14}×48이상으로 첨가되고 산가용 Al:0.025∼0.06%이고,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인장강도가 50kgf/mm2이상이며, rm값이 1.5이상이며,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냉연강판과 상기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극저탄소강을 통상의 방법으로 슬래브 재가열을 실시하고 열간압연하되, 열간 마무리 압연온도를 Ar3 변태점이상으로 하여 450∼700℃의 범위에서 권취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산세하고 냉간압연을 행한 후 소둔을 재결정온도이상 Ac1이하에서 실시하고 과시효처리를 하는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0.0050%이하, Mn:1.1∼1.7%, P:0.07∼0.12%, Si:0.4∼0.8%, B:0.0005∼0.0020%,N:0.0050%이하, S:0.015%이하, Ti:{C[wt%]÷12+N[wt%]÷14}×48이상으로 첨가되고 산가용 Al:0.025∼0.06%이고,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를 포함한 극저탄소강을 통상의 방법으로 슬래브 재가열을 실시하고 열간압연하되 열간 마무리 압연온도를 Ar3 변태점 이상으로 하여 450∼700℃의 범위에서 권취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산세하고 냉간압연을 행한 후, 소둔을 재결정온도 이상 Ac1 이하에서 실시하고 과시효 처리를 함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서 조성은 중량%로, C:0.0050%이하, Mn:1.1∼1.7%, P:0.07∼0.12%, Si:0.4∼0.8%, B:0.0005∼0.0020%, N:0.0050%이하, S:0.015%이하, Ti:{C[wt%]÷14}×48이상으로 첨가되고 산가용 Al:0.025∼0.06%이고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인데, 각 성분의 수치한정이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는 가공성을 저해하는 원소로 알려져 있어 고가공성이 요구되는 제품의 경우 극저탄소강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통상의 극저탄소강 생산에서 얻어지는 조성으로 제한하였다.
Mn의 경우는 에지 크랙을 일으키는 FeS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S함량에 대해 약 10이상이 함유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강의 성분상 S가 통상의 극저탄소강에서의 함유량인 0.015%이하이므로 상기의 에지크랙과 관련하여서는 충분한 양이 첨가되었으며, 또한 고용강화를 시키기 위해서는 다량 함유되는 것이 강도 증가의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첨가하였다. 하한은 아래의 실시예에서 보여주겠으나 1.1%이상이라도 타원소(Si,P)의 성분이 하한에 미치지 못할 경우 강도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함으로 하한을 1.1%로 하였다. 상한의 경우는 이하의 실시예에서 보여지겠지만, B의 미첨가시는 2.0%수준의 첨가에서도 가공성이 확보되나 B의 첨가시에는 Mn을 1.7%이상 첨가시 가공성이 열화되어 제한하였다.
P의 경우는 소량 첨가에 의해서도 고용강화 및 FeTi 석출에 의한 석출 강화효과가 탁월한 원소이므로 다량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경우는 고용강화를 이용하며 석출강화를 이용하지 않으며, 또한 0.12%이상 첨가될 경우 입계 취하가 염려되므로, 0.07∼0.12%로 제한하였다.
Si의 경우는 가공성의 큰 저하없이 강도를 증가시키는 원소로 알려져 있는데 하한의 경우는 목표 강도 확보에 미흡하므로 제한하였고 상한의 경우는 그 이상 첨가될 경우 생산공정에서 용접성 및 도금성 등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제한하였다.
B의 경우는 P에 의한 입계 취하를 방지하는 원소를 널리 알려져 있는데, 수 ppm의 첨가로도 입계취화를 방지하는데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한의 경우 20ppm(0.002%) 이하로 하는 것이 가공성 저하 방지 및 재결정 지연 방지에 유효하므로 제한하였다.
N의 경우도 C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극저탄소강 생산에서 얻어지는 조성으로 제한하였다.
Ti의 경우는 C와 N 등의 침입형 고용원소 등이 가공성을 저해하므로 이를 완전히 석출시킬 수 있는 양으로 성분을 제약하였다.
산가용 Al의 경우는 제강시 완전한 탈산을 이루기 위해서는 산가용 Al양이 최소 0.025%이상일 때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따라 하한을 제한하였고 상한의 경우는 그 이상의 첨가는 제강 원단위측면에서 불리하므로 제한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성의 극저탄소강을 통상의 방법으로 슬래브 재가열을 실시하고 열간압연하되 열간 마수리 압연온도를 Ar3 변태점이상으로 하여 450∼700℃의 범위에서 권취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한다.
열연권취를 450∼700℃로 제한한 것은 450℃이하에서는 열연권취 작업이 어렵기 때문이며 700℃이상의 경우는 산세 곤란한 산화막이 열연강판에 형성되므로 상기와 같이 제한하였다.
상기와 같이 열연권취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한 후 통상의 경우와 같이 산세, 냉간압연을 행한 후 재결정 온도이상 Ac1이하에서 소둔을 실시하고 과시효를 실시한다. 소둔온도가 Ac1 이상일 경우는 2상에서 열처리가 행해지므로 가공성이 크게 열화된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진공유도에 의해 표 1에 나타낸 조성의 강괴를 두께 60mm, 폭 175mm로 제조하고, 1200℃에서 1시간 재가열을 실시한 후 9패스(pass)로 3mm 두께가 되도록 열간압열을 하였다. 열간압연 마무리 온도는 Ar3 변태점 이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열연권취를 500℃, 650℃로 미리 가열된 로에 1시간 유지후 로냉시키는 모사실험으로 행하였다. 냉간압연은 압하율 75%로 하여 최종 두께 0.75mm가 되도록 실시하였으며, 연속 소둔 열처리는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하였다. 아래 표 1에는 발명재와 비교재의 화학성분, 권취온도, 소둔온도, 인장강도, 연신율 및 연신율(rm)(평균소성변형비)값을 나타내었다.
아래의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 1의 경우는 발명강과 비교하여 Si이 0.28%로 본 발명광의 하한 이하로 첨가되었는데, Mn의 함유량이 비록 하한이상인 1.13% 첨가되었으나 강도의 관점에서 열위함을 알 수 있다. 비교 2의 경우는 P가 하한 이하로 첨가되었고, 나머지 강화원소(Mn,Si)는 성분치에 맞고 있는데, 강도의 측면에서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비교 3의 경우는 본 발명강의 Mn 의 상한치 이상으로 첨가한 경우인데, 가공성, 즉 평균소성변형비가 너무 낮음을 알 수 있다.
비교 4와 비교 5는 6을 제외하고는 거의 유사한 성분으로 합금이 설계되어 있다. 비교적 5의 경우는 강화 원소 첨가량이 다소 높으므로 인해 전체적으로 강도가 높게 나타나 있다. 또한 비교 4가 비교 5에 비해 월등히 가공성(평균소성변형비)이 높은 것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교 4의 경우는 B이 첨가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2차 가공취성에 대한 저항이 낮음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B를 첨가한 비교 5는 가공성이 낮아져 본 발명의 평균소성변형비 1.5이상 이라는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소둔온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1의 발명재 1,2,3,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성분계로 합금을 제조한 후, 규정된 열연 및 냉연, 소둔을 할 경우 모든 조건에서 인장강도가 50kgf/mm2이상이며, rm값이 1.5이상인 고강도 냉연강판을 생산할 수 있다.
<표1>
시료번호 화 학 성 분 권취온도 소둔온도 인장강도 연신율 R
C Mn Si P S N Sol Al Ti B
비교1 0.0040 1.13 0.28 0.10 0.011 0.0025 0.038 0.048 0.0010 650 800 45.0 28.8 2.03
850 44.7 30.7 2.17
비교2 0.0044 1.53 0.53 0.06 0.0073 0.0034 0.057 0.046 - 500 800 48.7 27.8 1.52
830 48.3 29.8 1.53
비교3 0.0047 2.64 0.51 0.11 0.0094 0.0029 0.064 0.046 - 500 770 53.85 29.22 1.31
800 54.03 25.79 1.28
650 770 53.86 29.98 1.24
800 55.41 22.57 1.22
비교4 0.0041 2.15 0.52 0.12 0.0083 0.0028 0.068 0.051 - 500 770 56.21 25.4 1.76
800 56.1 29.0 1.62
830 54.39 27.6 1.78
650 770 54.17 24.57 1.65
800 53.26 29.26 1.62
830 51.11 28.16 1.64
비교5 0.0031 2.0 0.5 0.1 0.0098 0.0033 0.042 0.043 0.0007 500 780 52.24 29.47 1.431
810 51.84 30.04 1.587
840 81.99 29.08 1.457
650 780 52.9 28.37 1.628
810 51.08 27.865 1.611
840 49.88 28.85 1.521
발명1 0.0048 1.46 0.51 0.085 0.0093 0.0035 0.034 0.047 0.0006 500 780 51.83 27.61 1.53
810 50.88 29.83 1.582
840 50.22 30.67 1.748
650 780 51.12 27.27 1.598
810 50.27 28.98 1.560
840 50.05 31.26 1.707
발명2 0.0028 1.18 0.51 0.094 0.009 0.0038 0.026 0.04 0.0013 500 780 50.55 30.52 1.584
810 50.52 61.01 1.672
840 50.26 30.68 1.757
650 780 50.16 31.21 1.648
810 50.15 30.34 1.685
840 55.05 30.56 1.725
(표1 계속)
발명3 0.0034 1.51 0.69 0.1 0.0097 0.0034 0.043 0.046 0.0015 500 780 55.05 26.71 1.505
810 53.94 27.28 1.501
840 52.86 28.67 1.508
650 780 54.21 27.72 1.618
810 51.89 28.13 1.591
840 51.6 30.02 1.655
발명4 0.0038 1.17 0.69 0.1 0.0097 0.0032 0.042 0.043 0.0011 500 780 51.13 31.15 1.667
810 51.25 30.51 1.69
840 50.91 19.86 1.697
650 780 52.2 31.22 1.712
810 51.19 29.52 1.696
840 50.68 31.44 1.697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소둔 라인에서의 작업에 의해인장강도가 50kgf/mm2이상이며, rm값이 1.5이상이며 2차 가공취성에 강한 성형성이 좋은 고강도 냉연강판을 생산할 수 있어 이를 자동차 강판등에 적용할 경우, 연비 및 자동차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중량%로 C:0.0050%이하,Mn:1.1∼1.7%,P:0.07∼0.12%,Si:0.4∼0.8%,B:0.0005∼0.0020%,N:0.0050%이하,S:0.015%이하,Ti:{C[wt%]÷12+N[wt%]÷14}×48이상으로 첨가되고 산가용 Al:0.025∼0.06%이고,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인장강도가 50kgf/mm2이상이며, rm값이 1.5이상이며,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2. 제1항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극저탄소강을 통상의 방법으로 슬래브 재가열을 실시하고 열간압연하되, 열간 마무리 압연온도를 Ar3 변태점이상으로 하여 450∼700℃의 범위에서 권취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산세하고 냉간압연을 행한 후 소둔을 재결정온도이상 Ac1이하에서 실시하고 과시효처리를 함을 특징으로 하는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9990066761A 1999-12-30 1999-12-30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59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761A KR20010059365A (ko) 1999-12-30 1999-12-30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761A KR20010059365A (ko) 1999-12-30 1999-12-30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365A true KR20010059365A (ko) 2001-07-06

Family

ID=1963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761A KR20010059365A (ko) 1999-12-30 1999-12-30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93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383B1 (ko) * 1998-12-10 2004-02-14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성이우수한고강도냉연강판의제조방법
KR100685030B1 (ko) * 2005-07-08 2007-02-20 주식회사 포스코 내2차가공취성, 피로특성 및 도금특성이 우수한 심가공용박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5603170A (zh) * 2016-02-15 2016-05-25 东北大学 一种超厚规格热轧卷板的超快冷工艺及卷取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383B1 (ko) * 1998-12-10 2004-02-14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성이우수한고강도냉연강판의제조방법
KR100685030B1 (ko) * 2005-07-08 2007-02-20 주식회사 포스코 내2차가공취성, 피로특성 및 도금특성이 우수한 심가공용박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5603170A (zh) * 2016-02-15 2016-05-25 东北大学 一种超厚规格热轧卷板的超快冷工艺及卷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7853B1 (en) Bake-hardenable cold rolled steel sheet with superior strength and aging resistan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ld rolled steel sheet
KR950007783B1 (ko) 디프드로잉성이 우수한 디프드로잉용 냉간압연 고장력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20404B1 (ko) 초고강도 고연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3569949B2 (ja) 焼付硬化性および耐時効性に優れる加工用薄鋼板の製造方法
JPH11279693A (ja) 焼付硬化性に優れた良加工性高強度熱延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H03277741A (ja) 加工性、常温非時効性及び焼付け硬化性に優れる複合組織冷延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2800541B2 (ja) 深絞り用高強度溶融亜鉛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KR20010059365A (ko)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826259B2 (ja)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高張力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H09209039A (ja) 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S5884928A (ja) 非時効性で2次加工性と塗装焼付硬化性の優れた深絞り用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法
KR100545086B1 (ko) 드로잉성 및 장출 성형성이 향상되는 극저탄소강과 이를이용한 고강도 냉연 또는 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0276319B1 (ko) 내식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JP2671726B2 (ja) 超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2978007B2 (ja) 表面処理性に優れる深絞り用高張力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288514B2 (ja) 深絞り加工用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KR100368233B1 (ko)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0398383B1 (ko) 성형성이우수한고강도냉연강판의제조방법
KR102403647B1 (ko) 내파우더링성이 우수한 소부경화형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3716439B2 (ja) めっき特性に優れる高張力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KR20090103619A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549539B2 (ja) 超深絞り用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2010530030A (ja) 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5156A (ja) 成形加工用高強度鋼板とその製造方法
KR940001343B1 (ko) 가공성 및 도금밀착성이 우수한 초 고강도 용융아연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