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6913A - 다채널 파장 분기 및 결합 장치 - Google Patents

다채널 파장 분기 및 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6913A
KR20010056913A KR1019990058592A KR19990058592A KR20010056913A KR 20010056913 A KR20010056913 A KR 20010056913A KR 1019990058592 A KR1019990058592 A KR 1019990058592A KR 19990058592 A KR19990058592 A KR 19990058592A KR 20010056913 A KR20010056913 A KR 20010056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input
optical signal
channel
wd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5319B1 (ko
Inventor
박희상
이승탁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90058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319B1/ko
Publication of KR20010056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3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04Broadcast and select arrangements, e.g. with an optical splitter at the input before adding or dr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05Select and combine arrangements, e.g. with an optical combiner at the output after adding or dr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 H04J14/0212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using optical switches or wavelength selective switches [W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장분할다중화(WDM) 시스템에서 (n-1) 채널의 WDM 광신호로부터 원하는 파장의 광신호를 동적으로 다채널 파장의 광신호를 분기/결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n-1) 채널의 WDM 광신호가 입력되고 출력되는 n×n 입출력 단자를 가지며, 상기 n×n 입출력단자중의 첫번째 입력단자와 마지막 출력단자를 제외한 나머지의 i (i = 1, 2, . . . , n) 번째 출력단자는 (i+1)번째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광 스위치 블록과, 상기 광스위치 블록의 상기 마지막 출력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n-1)개 출력단자에 각기 연결되어 상기 광신호로부터 원하는 파장을 분기하고 결합하는 단일채널 파장분기/결합 장치와, 상기 광 스위칭 블록을 제어하여 상기 n개의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n-1) WDM 광신호가 선택적으로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파장분할 다중화 전달 네트워크에서 원하는 파장을 동적으로 분기 및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다채널 파장 분기 및 결합 장치{OPTICAL MULTI-CHANNEL DYNAMIC ADD AND DROP APPARATUS}
본 발명은 파장분할 다중화(WDM) 방식의 광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광결합/분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장분할 다중화(WDM) 방식의 광통신 네트워크에서 각 채널을 선택적으로 분기 또는 결합하는 기능을 갖는 광 분기/결합(ADM)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WDM 시스템은 송신측 노드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파장의 광신호를 파장분할 다중화한 다음 광섬유를 통하여 전송하면, 수신측 노드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파장의 광신호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형적인 WDM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단일 채널 분기/결합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채널 분기/결합 장치는 광순환기(12 및 16)와 격자를 갖는 단일모드 광섬유(14)를 포함한다. 입력되는 파장(λ1, λ2, . . , λn)을 갖는 광신호가 파장분할다중화되어 광순환기(12)를 통하여 광섬유 격자(14)로 제공되면, 광섬유 격자(14)에서 그의 파장에 일치되는 하나의 채널, 예로, 파장(λn)의 광신호만이 반사되고, 나머지 파장의 광신호는 그대로 광순환기(16)로 전달된다. 광섬유 격자(14)에서 반사된 파장(λn)의 광신호는 다시 입력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광순환기(12)에서 추출되는 한편, 광섬유 격자(14)에서 반사되지 않고 통과된 광신호는 광순환기(16)에서 삽입되는 채널 예로, 파장(λn')의 광신호와 파장분할 다중화되어, 파장(λ1, λ2, . . , λn')을 갖는 WDM 광신호로서 진행방향을 따라 진행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단일채널 분기/결합 장치는 광순환기와 광섬유 격자를 이용하여 광섬유 격자의 파장에 일치되는 하나의 채널만을 분기 결합하는 구조이거나여러 채널의 여러 채널의 분기/결합이 가능한 구조이더라도 원하는 채널을 동적으로 선택하는 기능이 없기때문에 광통신 네트워크의 운용이 제한적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도 2는 전형적인 WDM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채널 분기/결합 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채널 분기/결합 장치는 입력되는 파장(λ1, λ2, . . , λn)의 WDM 광신호를 역다중화하는 디멀티플렉서(22), 디멀티플렉서(22)의 출력 채널에 각기 연결된 2*2 광 스위치(24)와 각각의 2*2 광 스위치(24)의 출력을 다중화하는 멀티플렉서(26)를 포함한다. 파장(λ1, λ2, . . , λn)을 갖는 채널의 WDM 광신호가 디멀티플렉서(22)에 입력되면, 디멀티플렉서(22)에 연결된 각각의 2*2 광스위치(24)에서 원하는 파장을 갖는 채널의 광신호가 추출되거나 그 WDM 광신호에 원하는 파장(λn')의 신호가 결합되고, 멀티플렉서(26)에서 파장(λ1, λ2, . . , λn')을 갖는 채널의 WDM 광신호로서 출력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방식의 분기/결합 장치는 모든 채널을 역다중화한뒤 각 채널마다 설치되는 각각의 2*2 광스위치를 제어하여 필요로 하는 채널만을 분기/결합한 다음, 다시 모든 채널을 다중화하는 구조로서 채널 제어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모든 채널의 역다중화 및 다중화에 소요되는 비용의 증대와 이에 따른 비효율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WDM 시스템에서 다채널의 광신호로부터 원하는 파장의 광신호를 동적으로 분기/결합하는 다채널 파장 광신호 분기/결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파장 광신호 분기/결합장치는: (n-1) 채널의 WDM 신호가 입력되고 출력되는 n 개의 입력단자와 n개의 출력 단자를 가지며, 상기 n개의 입출력단자중의 첫번째 입력단자와 마지막 출력단자를 제외한 나머지의 i (i = 1, 2, . . . , n) 번째 출력단자는 (i+1)번째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광 스위치 블록; 상기 광스위치 블록의 상기 마지막 출력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n-1)개 출력단자에 각기 연결되어 각기 대응하는 출력단자로부터 제공되는 광신호로부터 원하는 파장의 광신호를 분기하고, 상기 광신호에 상기 원하는 파장의 광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입력단자에 제공하는 파장분기/결합기; 상기 광 스위칭 블록을 제어하여 상기 n개의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n-1) WDM 광신호가 선택적으로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WDM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종래기술의 단일 채널 분기/결합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WDM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종래기술의 다채널 분기/결합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다채널 분기/결합 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16 : 광순환기 14 : 격자를 갖는 단일모드 광섬유
22 : 디멀티플렉서 24 : 광스위치
26 : 멀티플렉서 100 : 광스위치 블록
ADM1ADM2, . . . , ADMn-1: 광 분기/결합기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WDM 시스템에서 다채널의 WDM 광신호로부터 원하는 파장의 광신호를 동적으로 분기/결합하는 다채널 파장 광신호 분기/결합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광 분기/결합 장치는 N×N 광스위치 블록(100), 스위칭 제어기(200) 및 다수의 분기/결합 장치(ADM1ADM2, . . . , ADMn)를 포함한다.
n×n 광스위치 블록(100)은 (n-1) 채널의 WDM 신호가 입력되는 n개의 입력단자(IN1, IN2, . . . , INn)와 (n-1) 채널의 WDM 신호가 출력되는 대응하는 n개의 출력 단자(OT1, OT2, . . . , OTn)를 가지며, n개의 입력단자(IN1, IN2, . . . , INn) 및 출력 단자(OT1, OT2, . . . , OTn)중의 첫번째 입력단자(IN1)와 마지막 출력단자(OTn)를 제외한 나머지의 i (i = 1, 2, . . . , n) 번째 출력단자는 (i+1)번째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n개의 입력단자(IN1, IN2, . . . , INn)는 각기 n 개의 출력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 단자(SW1, SW2, . . . , SWn)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광스위치 블록(100)은 (n-1) 채널의 입력 WDM 광신호를 그의 입력단자(IN1, IN2, . . . , INn)를 통하여 수신하고, n개의 출력단자(OT1, OT2, . . . , OTn)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칭 제어기(200)는 스위칭 블록(100)의 스위치 단자(SW1, SW2, . . . , SWn)를 제어하여 n개의 입력단자(IN1, IN2, . . . , INn)에 입력되는 (n-1) WDM 광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 단자(OT1, OT2, . . . , OTn)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n-1)개의 분기/결합기(ADM1ADM2, . . . , ADMn-1)는 광스위치 블록(100)의 마지막 출력단자(OTn)를 제외한 나머지 (N-1)개 출력단자에 각기 연결되어 있으며,그의 출력은 다시 광스위치 블록(100)의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n-1)개의 분기/결합기(ADM1ADM2, . . . , ADMn-1)는 광스위치 블록(100)의 i 번째 출력단자와 (i+1)번째 입력단자 사이에 각기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분기/결합기(ADM1ADM2, . . . , ADMn-1)는 광스위치 블록(100)의 출력단자(OT1, OT2, . . . , OTn)로부터 출력되는 (n-1) 채널의 WDM 광신호로부터 각기 원하는 파장의 광신호를 추출하고, 그 WDM 광신호에 원하는 파장의 광신호를 삽입하여 다중화함으로써 동적으로 복수 채널의 광신호를 선택적으로 분기 및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광 분기/결합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 3b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n-1)채널중의 제 1 채널의 파장(λ1)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들의 파장(λ2내지 λn-1)의 광신호를 추출하고자 한다면, (n-1)채널(λ1, λ2, . . . , λn-1)의 WDM 광신호가 광스위치 블록(100)의 제 1 입력단자(IN1)로 입력될때, 광스위치 제어기(200)는 광스위치 블록(100)의 스위치 단자(SW1, SW2, . . . , SWn)를 제어하여 제 1 스위치 단자(SW1)가 바로 제 2 출력단자(OT2)에 연결되도록 하고, 나머지 스위치 단자는 그대로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광 스위치 블록(100)이 제어됨으로써, 제 1 입력단자(IN1)에 인가되는 (n-1)채널의 WDM 광신호는 제 2 출력단자(OT2)에 연결되고, 다시 제 2의분기/결합기(ADM2)를 통하여 제 3 입력단자(IN3)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편, 제 2 내지 제 (n-1) 출력단자(OT2내지 OTn-1)에 각기 연결된 제 2 내지 제 (n-1) 분기/결합기(ADM2내지 ADMn-1)는 각기 원하는 파장을 갖는 채널의 광신호를 추출하고, 필요하다면, 원하는 파장, 예로 파장(λn-1)'의 신호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파장(λ1)의 광신호는 분기/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나머지의 파장의 광신호는 각기 대응하는 분기/결합기(WDM2내지 WDMn)에 의해 (n-1) 채널의 WDM 광신호를 분기/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하는 파장을 갖는 WDM 광신호를 분기 및 결합하고자 할때 광스위치 블록(100)의 스위치만을 제어하여 WDM 광신호를 그에 대응하는 분기/결합기에 연결시켜줌으로써 원하는 파장의 광신호를 선별적으로 분기/결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광분기/결합 장치에 따르면 파장분할 다중화 전달 네트워크에서 원하는 파장을 동적으로 분기 및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구성은 종래기술에서 2×2 광스위치를 사용하는 방식보다 안정적이고, 신호손실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든 채널을 한번에 역다중화하고 다중화하는 종래 기술의 방식에 비하여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

  1. 파장분할다중화(WDM) 시스템에서 (n-1) 채널의 WDM 광신호로부터 원하는 파장의 광신호를 동적으로 분기/결합하는 다채널 파장 광신호 분기/결합 장치에 있어서,
    (n-1) 채널의 WDM 신호가 입력되고 출력되는 n 개의 입력단자와 n개의 출력 단자를 가지며, 상기 n개의 입출력단자중의 첫번째 입력단자와 마지막 출력단자를 제외한 나머지의 i (i = 1, 2, . . . , n) 번째 출력단자는 (i+1)번째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광 스위치 블록;
    상기 광스위치 블록의 상기 마지막 출력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n-1)개 출력단자에 각기 연결되어 각기 대응하는 출력단자로부터 제공되는 광신호로부터 원하는 파장의 광신호를 분기하고, 상기 광신호에 원하는 파장의 광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입력단자에 제공하는 파장분기/결합기;
    상기 광 스위칭 블록을 제어하여 상기 n개의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n-1) WDM 광신호가 선택적으로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파장 광신호 분기/결합 장치.
KR1019990058592A 1999-12-17 1999-12-17 다채널 파장 분기 및 결합 장치 KR100585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592A KR100585319B1 (ko) 1999-12-17 1999-12-17 다채널 파장 분기 및 결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592A KR100585319B1 (ko) 1999-12-17 1999-12-17 다채널 파장 분기 및 결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913A true KR20010056913A (ko) 2001-07-04
KR100585319B1 KR100585319B1 (ko) 2006-05-30

Family

ID=19626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592A KR100585319B1 (ko) 1999-12-17 1999-12-17 다채널 파장 분기 및 결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61B1 (ko) * 2007-05-30 2008-12-05 한국과학기술원 네 개의 입출력 단자를 구비한 파장 대역 결합 및 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961A (ja) * 1996-06-28 1998-01-23 Nec Corp Adm装置を用いた1対n光ラインスイッチシステム
KR100230112B1 (ko) * 1997-05-23 1999-11-15 서평원 광통신망의 채널분기 결합 다중화(adm) 장치
KR100237837B1 (ko) * 1997-10-27 2000-01-15 이계철 파장분할 다중화 전송방식의 다채널 파장분기결합장치
KR100315706B1 (ko) * 1998-12-30 2002-01-12 윤종용 파장 분할 다중방식을 채용한 광 전송시스템의 광 교차 연결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61B1 (ko) * 2007-05-30 2008-12-05 한국과학기술원 네 개의 입출력 단자를 구비한 파장 대역 결합 및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5319B1 (ko)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3634B1 (en) Wavelength-time-space division switching system
EP1324523B1 (en) 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5822474A (en) Optical branching apparatus and transmission line setting method therefor
JP2977024B2 (ja) 波長多重通信用光回路及びこれを含む光伝送通信システム
JP2006067588A (ja) 光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モジュール的にスケーラブルな基本設計をもつ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10061613A (ko) 업그레이드 가능한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의 노드 구조
KR100400362B1 (ko) 광결합및분리장치,그리고 이를구비한파장분할다중화광링크
US6091869A (en) Low loss, optical add/drop WDM node
KR100422372B1 (ko) 채널 확장된 파장분할 다중기/역다중기 및 이를 이용한 파장 채널 선택기
EP0930799B1 (en) A reconfigurable branching unit for a submarine communications system
US6445473B1 (en) Optical switching apparatus using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technology
KR100442663B1 (ko) 광 회선분배 시스템
KR100474695B1 (ko)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다중화기
KR100585319B1 (ko) 다채널 파장 분기 및 결합 장치
US5963685A (en) Cross-connection of 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high speed optical channels
KR100237837B1 (ko) 파장분할 다중화 전송방식의 다채널 파장분기결합장치
US7266294B2 (en) Coupler-based optical cross-connect
US6034800A (en) NXN light matrix switch
KR20020054211A (ko) 파장 그룹 광분기 삽입 장치 및 파장 그룹 광상호 분배 장치
KR100573282B1 (ko) 파장분할다중 광통신시스템을 위한 광결합 분기 다중화기
JPH1051382A (ja) 光クロス・コネクト装置及びアド/ドロップ装置
EP1096713A2 (en) Optical add/drop multiplexer
US20020145784A1 (en) Optical wavelength switching system with wavelength selective splitters and combiners
US20040218926A1 (en) Optical add/drop multiplexer
KR100594736B1 (ko) 파장선택 스위치 및 파장선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