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6571A -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6571A
KR20010056571A KR1019990058072A KR19990058072A KR20010056571A KR 20010056571 A KR20010056571 A KR 20010056571A KR 1019990058072 A KR1019990058072 A KR 1019990058072A KR 19990058072 A KR19990058072 A KR 19990058072A KR 20010056571 A KR20010056571 A KR 20010056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ousing
heat generating
fire detecto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9481B1 (ko
Inventor
윤삼기
Original Assignee
윤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삼기 filed Critical 윤삼기
Priority to KR1019990058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481B1/ko
Publication of KR20010056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에 부착되는 열감지용 및 연기감지용 화재감지기의 이상유무를 사다리와 같은 보조수단 없이도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기 점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가능한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발열램프 및 발열램프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수단이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저부에 연결되는 기다란 지지봉을 포함하는 열감지용과; 이와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연기감지기의 점검을 위한 스프레이의 분사구가 끼워지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와 연결된 노즐부를 가지는 노즐고정부재와, 상기 노즐고정부재를 고정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연기감지용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화재감지기 점검기구{Checking apparatus for the fire detecter}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에 부착되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다리와 같은 보조수단 없이도 용이하게 화재감지기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기 점검기구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의 천정에는 화재의 발생시 신속한 진압을 위한 다수의 화재감지기가 설치된다.
일반적인 화재감지기는 그의 내부에 건물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게 되면, 신호를 출력하여 경보기 등을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열감지기의 작동여부를 점검하기 위하여 감지기에 열을 가하는 방식이 채용되어 왔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히팅수단은 전열코일 또는 발열램프 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재감지기는 설정된 온도에서 정확하게 작동하여야 하며, 사용처에 따라 그 설정온도가 다르게 마련이다. 또한, 화재감지기는 특정 온도의 열이 소정시간 동안 가해질 때 작동하도록 설비되기도 한다. 종래의 화재감지기 점검기구는 상기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화재감지기의 이상여부를 정확하게 점검할 수 없었다. 즉, 종래의 화재감지기 점검기구는 온도조절수단이 없는 단순한 램프 또는 전열코일에 의해 열을 가하는 방식이므로, 점검자에 따라 측정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화재감지기의 일종으로서, 연기의 발생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경보기 등을 작동시키는 연기감지기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연기의 발생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어 왔다. 이는 압력용기에 액상으로 충전되어 있으며, 작동시 에어졸 형태로 분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테스팅수단(이하, 스프레이라 한다)이 연기감지기의 주위에 분무되면, 정상적인 연기감지기인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프레이는 적정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분무되지 않게 되는 경우, 올바른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스프레이를 낭비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상기 스프레이는 제작자의 제작사양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화재감지기와 1M 이내의 이격거리를 두고 분무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화재감지기의 작동 이상여부를 점검을 위하여 사다리와 같은 소정의 받침수단을 이용하여 딛고 올라서서 점검작업에 임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요구되며, 대형건물인 경우에는 사다리를 들고 각 층마다 옮겨 다니며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이 상당하게 된다.
특히, 주차장, 실내 경기장, 또는 공장시설과 같이 그 높이가 예를 들어 10m 이상의 높은 곳에 설치된 화재감지기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를 들어 올릴 수 있는 리프터가 구비된 특장차량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에 소요되는 자원의 낭비가 더욱 심하였다.
상기한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일목적은, 특정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열을 가할 수 있는 발열수단을 제공함으로써, 화재감지기을 정확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화재점검기구는 온도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기분무의 효과를 내는 스프레이를 용이하게 분무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점검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한편, 상기 점검기구는 공히 높은 위치에 설치된 화재감지기를 보조수단 없이 용이하게 점검하게 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열감지기능을 가지는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방향에서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일실시시예에 의한 하우징(10)의 저면도.
도 4는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도.
도 5는 연기감지기능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의한 화재감지기 점검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7 내지 도 8은 상기한 연결구(40)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20 ; 케이싱
30 ; 지지봉 40 ; 연결구
100 ; 스프레이 230 ; 가스봄베
229 ; 열분사구 240 ;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한 목적은, 휴대가능한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발열램프 및 발열램프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수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저부에 연결되는 기다란 지지봉을 포함하는 열감지기능의 화재감지기 점검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기감지기의 점검을 위한 스프레이의 분사구가 끼워지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와 연결된 노즐부를 가지는 노즐고정부재와; 상기 노즐고정부재를 고정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와 연결되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연기감지기능의 화재감지기 점검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열감지기능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램프(12)는 하우징(10)의 상부를 통해 소켓과 결합된다. 램프의 빛을 반사하기 위한 소정의 반사수단이 하우징의 내측벽에 제공될 수 있다.
온도제어수단(13,15, 도 2 또는 도 3참조)은 하우징(10)의 저부에 장착되며, 하우징의 내측벽에 부착되는 온도센서(14)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램프(12)의 광도 내지 점등을 제어한다.
하우징(10)과 지지봉(30)은 결합구(20)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결합구(20)는 탄성적으로 움직이는 대칭되는 두 개의 탄성편(22)을 가진다. 탄성편(22)은 상단에 하우징(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홈(16)에 끼워져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요철부(24)가 형성된다. 탄성편(22)의 탄성력은 플라스틱 재질의 특성 내지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발생된다.
탄성편(22)이 홈(16)에 끼워짐과 동시에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 결합구는 탄성편(22)사이에 지지봉(30)의 상단에 끼워진다. 지지봉(30)은 단면이 단지 원형이 아닌 다각형의 파이프일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다단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앙력으로 양 탄성편(22)을 오므린 상태에서 요철부(24)를 하우징의 홈(16)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은 하우징(10)와 지지봉(3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다. 결합구(20)는 지지봉(30)과 일체로 제공되거나, 또는 관통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를 위한 고무와 같은 파지수단(도시생략)이 지지봉(30)의 하단에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전지(50)는 램프 내지 온도제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며, 스위치(32)는 전원을 ON/OFF 하기 위하여 지지봉에 설치된다.
도 2는 도 1의 A-A 방향에서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하우징(10)의 저면에 제공되는 온도제어수단의 입력부인 키패드부(15)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하우징(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에 의한 2단구조이며,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하우징의 상단은 램프의 갓과 같은 역할을 하며, 하단은 온도제어수단인 PCB(13) 및 제어용 키패드(15) 등을 내장한다. 온도센서(14)는 하우징의 내측벽에 제공되며, 램프에 의해 발열되는 주변온도를 감지하여 온도제어수단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도 3과 같은 키패드부(15)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작동을 하게 된다. 작업자는 소지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사용하여 발열시간 내지 발열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도면부호 52은 리모콘신호의 수신센서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58은 출력수단인 부저로서, 온도 또는 시간이 설정된 상태에 이르게 되면 음향신호를 보내게 된다. 작업자는 키패드부에 있는 시간 및, 온도설정키(56)에 의해 직접 발열시간과 온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각각의 키의 상부에는 LED(56a, 58a)와 같은 발광수단이 제공되어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온도제어수단의 출력부인 디지탈 표시부(54)는 설정된 시간과 온도를 표시하며, 역시 LED(54a)와 같은 발광수단이 제공되어 온도 및 시간이 설정된 상태에 이르게 되면 발광 또는 소광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현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도이다.
하우징(10)은 화재감지기(4)를 덮어 씌운 상태로 상단부가 건물의 천정(2)과 연접된다. 작업자는 점검할 화재감지기가 갖추어야 하는 정격사양(소정시간 동안 소정의 온도로 발열되면 작동하여야 하는 따위)에 맞도록 온도와 시간을 설정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점검작업에 임하게 된다.
PCB는 온도센서(14, 도 1참조)에 의해 측정되는 화재감지기의 주변온도가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램프의 광도을 조절하거나 또는 점소등을 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한다.
이하, 상기된 일실시예로부터 변경가능한 다른 실시예를 소개한다.
하우징과 지지봉은 도 1에 도시된 연결구(20)가 아닌 다른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0)과 지지봉(30)은 하우징이 지지봉과 연결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로 자재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공지의 힌지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하우징의 상단을 천정에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에서 알 수 있듯, 하우징의 상단은 천정과 인접하게 됨으로써, 천정 또는 하우징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이에 대해, 하우징은 상단에 고무판과 같은 완충수단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램프의 보호를 위해 램프의 상부에는 프레임과 같은 램프보호구가 하우징과 일체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우징은 그의 상단에 크기가다른 여러 종류의 화재감지기를 점검하기 위해, 나사결합과 같은 연결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보조하우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발열수단은 단지 벌브형 램프가 아닌 전열코일이 대용될 수 있다.
도 5는 연기감지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 점검기구에 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원형 몸체의 노즐고정부재(110)는 저면 중간부에 스프레이(100)의 분사구
(102)가 섭입될 수 있도록 섭입홈을 가진다. 섭입홈은 노즐(112)과 통하게 되어 있어, 스프레이의 분사구로부터 토출되는 가스는 노즐을 통해 분무된다. 여기서, 노즐고정부재는 스프레이의 몸체와는 상호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일반적인 스프레이와 마찬가지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분사구가 눌러질 때 비로소 용기 내의 물질이 토출되기 때문이다.
노즐고정부재(110)는 하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수 개의 지지대(114)를 가진다. 지지대(114)는 가느다란 봉의 형상으로서, 케이싱(120)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기다란 홈의 형상인 홀더(122)에 각각 끼워지게 된다. 케이싱(120)은 스프레이를 수용하는 직경 및 높이를 가지며, 연결구(20, 도 1참조)를 매개로 지지봉(30)과 결합된다. 연결구 및 지지봉은 이미 설명된 바 있으므로 재차 설명을 피한다.
요철형상의 걸림턱(116)은 노즐고정부재의 상단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서, 화재감지기 또는 그 주위의 특정 형상과 결합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노즐고정부재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대(114)는 케이싱의 홀더(122)에 끼워지 상태에서 상하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직경 내지 길이를 가진다.
이에 의해, 노즐고정부재는 케이싱에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좌우유동되지 않으며, 사용중에 스프레이로부터도 쉽게 탈락되지 않는다.
도 6은 도 5에 의한 화재감지기 점검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작업자는 노즐고정부재의 노즐이 건물의 천정(2')에 부착고정되는 연기감지기용 화재감지기(4')의 방향을 향하도록 케이싱(120)의 상부를 천정 또는 화재감지기에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지지봉을 상바향으로 압착하게 되면, 스프레이로부터 노즐을 통하여 가스가 분무된다.
요철형상인 노즐고정부재의 걸림턱(116)은 천정의 형상이 평탄치 않은 곳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노즐고정부재의 노즐은 작업자로 하여금 그의 분사각도를 작업편의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노즐고정부재(110)의 지지대(114)와 케이싱의 홀더(122)의 결합방식이 자재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즉, 노즐고정부재가 스프레이를 수용한 상태의 케이싱과 결합된 상태에서 오직 상하방향으로만 운동할 수 있는 결합방식이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한 것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들의 결합구간을 크게 함으로써, 노즐고정부재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8은 상기한 전실시예에서의 다단식 지지봉(30', 30")의 연결부위에 제공되는 연결구(40)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하단지지봉(30")은 원통형상의 연결구의 하부를 통해 끼워져 고정되며, 상단지지봉(30')은 그의 상단부를 통해 끼워진다. 압착판(42)은 회전손잡이(46)의 회전에 의해 연결구의 측부를 통해 전후이동된다. 즉, 압착판은 회전손잡이에 의해 연결구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단지지봉을 압착함으로써, 각각의 지지봉을 유지고정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며, 도 10은 작동을 설명하는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실시예의 램프(12, 도 1참조)를 대신하여 가스히팅수단이 사용된다. 램프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램프의 전력공급을 위해서는 축전지를 항시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본 실시예는 이를 위해 소형의 가스열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자동적으로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소형의 가스열발생장치는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가스라이터의 원리를 이용한 밸브수단 및 점화수단을 가진다. 밸브수단은 온도의 상승에 따라 신축되는 바이메탈에 의해서도 개폐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된다.
밸브수단 및 점화수단은 지지대를 통해 연결된 연결부재에 의해 원거리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
소량의 가스가 충전된 가스봄베(226)의 노즐(228)은 일반적으로 상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 가스를 분출한다. 가는 열선이 망형상으로 엮어진 열발생부재(220)는 가스의 점화에 의해 적열된다. 이에 의해 몸체(2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그 온도 상승이 특정 범위를 넘게 되면, 바이메탈(232)는 신장하게 된다.
레버(230)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시이소오와 같이 운동되며, 연결끈재
(236)와 바이메탈(232)의 단부가 양단에 각각 인접 또는 연결된다. 노즐(228)은 신장 또는 신축되는 바이메탈(232)에 의해 가스의 분출을 제어한다. 열발생부재가 일정 온도범위를 넘어서게 되면, 바이메탈은 레버를 작동하여 가스를 차단하게 된다. 온도가 저하되어 바이메탈(232)이 다시 반대방향으로 길이변환을 하게 되면, 레버(230)는 다시 노즐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동된다.
여기서, 열발생부재(220)는 가스가 공급되지 아니하여도 적열된 상태를 잠시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 다시 가스가 분출하개 되면, 가스는 다시 점화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본 실시예에 의한 화재감지기 점검기구는 일정한 온도의 범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노즐개폐스위치(236) 및 점화스위치(234)는 하우징(210)의 상단에 설치되거나, 하우징의 측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점화장치에 의해 불꽃을 발하는 점화수단
(224)은 공지의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의 작동상태를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버(230)는 같은 힌지축(250)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위아래로 포개져 있는 수동스위치용 레버(242)와 바이메탈용 레버(244)로 구성된다. 수동스위치용 레버(242)의 일단은 상면이 고정판과 스프링(241)에 의해 하방향으로탄발된다. 바이메탈용 레버(244)는 노즐(228)을 지지하는 스프링(246)에 의해 수동스위치용 레버(242)의 저면을 받힌 상태로 고정된다. 수동스위치를 ON상태로 하게 되면, 해당레버(242)는 상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바이메탈용 레버
(244) 또한 함께 상방향으로 기동하여 노즐(228)을 개방한다. 이때, 점화수단(224, 도 9 참조)이 작동하면, 분출가스에 점화가 되어 열발생부재(220)가 적열되는 것이다. 한편, 열발생부재(220)의 열이 일정범위를 넘게 되어 바이메탈(232)이 작동하여 작동봉(250)이 상방향으로 당겨져 바이메탈용 레버(244)를 노즐(228)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이때, 수동스위치용 레버(242)는 상방향으로 고정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노즐(228)은 열발생부재(220)의 열이 저하하게 되면 작동봉(250)이 하방향으로 신장함에 의해 다시 개방되어 가스를 분출하게 된다. 잠시간 적열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열발생부재(220)는 분출되는 가스에 의해 자동점화가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열발생부재(220)는 일정한 온도범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즉, 가스의 밸브를 개폐조절하기 위해 마그네틱 스위치가 부착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기준온도에 따라 가스를 차단 또는 개페하게 된다. 제어수단은 솔레노이드 밸브 및 점화장치의 점화를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가스에 의한 열공급은 온도를 급격하게 상승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일실시예의 발열램프에 의한 것 보다 작업을 빠르게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화재감지기 점검기구는 특정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화재감지기에 열을 가할 수 있게 되며, 이는 각종 사양에 맞도록 개별적으로 설치된 화재감지기를 정확하고 또한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연기분무의 효과를 내는 스프레이를 낭비하지 않고 용이하게 분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프레이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사용중에 고정부재로부터 탈락되지 않아 사용상 바람직하다.
한편, 양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점검기구는 공히 높은 위치에 설치된 화재감지기를 보조수단 없이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발열수단과; 발열온도 및 발열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상기 발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저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기다란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은 휴대가능한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발열램프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은 가스의 점화에 의한 열로서,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소형 가스봄베와; 가스봄베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의 점화에 의해 적열된 상태로 열을 발생하는 열발생부재와; 상기 열발생부재에 인접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열발생부재의 열에 의해 길이변화를 함으로써 상기 가스봄베의 노즐부를 개폐하는 바이메탈을 포함함에 의해, 상기 열발생부재로 하여금 일정범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특정 온도를 설정하는 입력부와; 상기 발열수단에 의한 발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발열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발열램프의 광도 및 점소등을 제어하는 PC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발열수단의 주변을 특정온도로 특정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제어기능과; 상기 특정온도 및 특정시간을 디지탈로 표시하는 디지탈표시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6. 소정의 물질을 에어졸성상으로 분무하는 공지의 스프레이를 연기감지기의 작동유무를 점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화재감지기 점검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의 분사구가 끼워지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와 통공되도록 연결되는 노즐부를 가지는 노즐고정부재와; 상기 노즐고정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하는 홀딩수단이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스프레이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싱과 착탈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기다란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KR1019990058072A 1999-12-15 1999-12-15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KR100309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072A KR100309481B1 (ko) 1999-12-15 1999-12-15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072A KR100309481B1 (ko) 1999-12-15 1999-12-15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571A true KR20010056571A (ko) 2001-07-04
KR100309481B1 KR100309481B1 (ko) 2001-09-26

Family

ID=1962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072A KR100309481B1 (ko) 1999-12-15 1999-12-15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48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008B1 (ko) * 2001-06-01 2003-11-19 윤삼기 방폭형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KR100676129B1 (ko) * 2006-07-24 2007-02-01 (주)대능 화재감지기 점검장치
KR200452138Y1 (ko) * 2009-04-24 2011-02-08 (주)유씨알 양방향성 기어드모터
KR101066956B1 (ko) * 2009-01-08 2011-09-2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동식 열감지기의 점검장치
KR101222080B1 (ko) * 2011-05-24 2013-01-14 김진옥 화재감지기 시험기
KR101986340B1 (ko) * 2018-12-06 2019-06-05 프라임방재주식회사 포터블 터널점검장치
RU204061U1 (ru) * 2020-10-23 2021-05-05 Миха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Васильев Устройство проверки дымового пожарного извещател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81Y1 (ko) * 2008-04-21 2010-09-03 성정례 휴대용 화재감지기 시험장치
KR200496394Y1 (ko) 2020-11-24 2023-01-1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스감지센서용 테스트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008B1 (ko) * 2001-06-01 2003-11-19 윤삼기 방폭형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KR100676129B1 (ko) * 2006-07-24 2007-02-01 (주)대능 화재감지기 점검장치
KR101066956B1 (ko) * 2009-01-08 2011-09-2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동식 열감지기의 점검장치
KR200452138Y1 (ko) * 2009-04-24 2011-02-08 (주)유씨알 양방향성 기어드모터
KR101222080B1 (ko) * 2011-05-24 2013-01-14 김진옥 화재감지기 시험기
KR101986340B1 (ko) * 2018-12-06 2019-06-05 프라임방재주식회사 포터블 터널점검장치
RU204061U1 (ru) * 2020-10-23 2021-05-05 Миха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Васильев Устройство проверки дымового пожарного извещател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9481B1 (ko)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481B1 (ko)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KR102097626B1 (ko) 리모컨으로 동작되는 화재감지기용 복합 테스트 장비
AU2009338514B2 (en) Flue-gas analysis safety apparatus
EP0910055B1 (en) Test apparatus for testing detectors
US10458642B2 (en) Faucet with integrated light
US7798066B1 (en) Motorized pyrotechnic system
US20070072140A1 (en) Self-extinguishing candle system
US20060286495A1 (en) Ignition and flame supervision system for open flame gas lights
US5980238A (en) Gas light assembly
US6634320B2 (en) Flame atmosphere analyzer and a water-heating device including the analyzer
WO2009017281A1 (en) Operation start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er
US5771977A (en) Automatic trigger mechanism for portable fire extinguishers
US5033454A (en) Fireplace starting apparatus
KR200448047Y1 (ko) 소공간용 자동 및 수동밸브 소화시스템
CN209945736U (zh) 一种用于带感温元件的消防产品检测的伸缩装置
CN110057615B (zh) 带感温元件的消防产品的伸缩式检测装置
KR102175495B1 (ko) 화재경보기의 열 및 연기 시험 장치
CA2000613A1 (en) Fireplace starting apparatus
US7580618B2 (en) Water heating apparatus
KR200441291Y1 (ko) 가스 토치램프
KR101710921B1 (ko) 연기감지기 테스트 장치
CN218157746U (zh) 一种工程检测用建材燃烧试验装置
JP3157575U (ja) 熱及び煙対応型火災感知器の動作試験機
EP2952792A1 (en) Electronic gas safety control means
US20230032663A1 (en) Sprinkler system for a materials disposal chut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