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5978A -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5978A
KR20010055978A KR1019990057322A KR19990057322A KR20010055978A KR 20010055978 A KR20010055978 A KR 20010055978A KR 1019990057322 A KR1019990057322 A KR 1019990057322A KR 19990057322 A KR19990057322 A KR 19990057322A KR 20010055978 A KR20010055978 A KR 20010055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an
microwave oven
component chamber
discharg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0418B1 (ko
Inventor
명순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57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418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부품실내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갖는 냉각팬케이싱과, 상기 냉각팬케이싱내에 설치되어 토출유로를 통해 상기 토출구로 송풍하는 냉각팬을 갖는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토출유로내에 설치되어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기기부품의 위치 변경 및 기기모델의 다양한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각팬케이싱이 마련되어, 제작원가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렌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렌지{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부품실내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갖는 냉각팬케이싱과, 상기 냉각팬케이싱내에 설치되어 토출유로를 통해 상기 토출구로 송풍하는 냉각팬을 갖는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종래 전자렌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렌지(101)는, 조리실(107)과 부품실(110)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케이싱(103)과, 본체케이싱(103)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역 "U"자 형상의 외부케이싱(105)을 갖는다.
본체케이싱(103)의 전방에는 조리실(107)의 전면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109)와, 전자렌지(101)의 조작을 위한 조작패널(108)이 마련되어 있으며, 조작패널(108) 후방영역의 본체케이싱(103)내에는 전자렌지(101)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부품실(110)이 조리실(107)과 격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품실(110)내에는 마이크로파를 출력하여 조리실(107)내로 공급하는 마그네트론(111)과, 마그네트론(111)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압트랜스(113) 및 고압콘덴서(115)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부품실(110)의 후벽면에 형성된 공기유입공(117)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부품실(110) 내부를 향해 송풍하는 냉각팬조립체(120)가 마련되어 있다.
냉각팬조립체(120)는 공기유입공(117)이 형성된 부품실(110)의 후벽면에 장착되는 냉각팬케이싱(121)과, 냉각팬케이싱(121)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공(117)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부품실(110)내부를 향해 송풍하는 냉각팬(123)을 갖는다.
냉각팬케이싱(121)은 부품실(110)의 공기유입공(117)을 둘러싸도록 부품실(110) 후벽면에 접면하는 플랜지부(131)와, 플랜지부(131)의 판면으로부터 원통형으로 함몰되어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팬수용부(133)를 가지며, 공기유입공(117)과 팬수용부(133)를 연통하는 흡입구(135)와, 팬수용부(133)의 내주면 일영역으로부터 부품실(110)내의 소정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토출유로(140)를 포함한다.
흡입구(135)는 팬수용부(133)의 개구연부로서 형성되어 부품실(110)의 공기유입공(117)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토출유로(140)는 기기부품들 중에 발열이 가장 심한 마그네트론(111) 및 고압트랜스(113)를 향하도록 냉각팬케이싱(121)의 상부 및 하부영역에 상부토출유로(141) 및 하부토출유로(147)로 형성된다.
각 토출유로(141,147)는 팬수용부(133)의 내주면 상, 하부에 상호 대향하게 형성된 상부 및 하부배출구(143,148)와, 냉각팬케이싱(21)의 외측 상, 하부에 상부 및 하부배출구(143,148)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상부 및 하부토출구(145,149)를 갖는다. 이 때, 상부 및 하부토출구(145,149)는 후술할 횡류팬(125)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토출되는 송풍공기가 팬수용부(133)로부터 부품실(110) 내부를 향해 횡류팬(125)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토출되도록 부품실(110)의 전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냉각팬(123)은 냉각팬케이싱(121)의 팬수용부(133)에 수용되며 회전축선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방사상으로 송풍하는 횡류팬(125)과, 냉각팬케이싱(121)의 외측에 장착되어 횡류팬(125)을 회전시키는 팬모터(127)를 갖는다. 횡류팬(125)은 팬모터(127)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공기유입공(117)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팬케이싱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토출유로(141,147)를 통해 부품실(110)내부를 향해 바람을 송풍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전자렌지(101)의 동작개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마그네트론(111) 및 고압트랜스(113) 등의 기기부품들이 과열되면, 마이컴(미도시)에 입력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냉각팬(123)이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냉각팬(123)의 작동이 개시되면, 팬모터(27)에 의해 회전하는 횡류팬(125)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입공(117)과 흡입구(135)를 통해 냉각팬케이싱(121)의 팬수용부(133)내부로 흡입된 후 횡류팬(125)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토출되며, 팬수용부(133)내에서 방사상으로 송풍되는 송풍공기는 팬수용부(133)의 상부 및 하부토출유로(141,147)를 통해 각각 마그네트론(111) 및 고압트랜스(113)를 향해 집중적으로 토출되어 마그네트론(111)과 고압트랜스(113)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자렌지에 있어서는, 냉각팬케이싱에 형성되어 있는 토출유로의 방향이 부품실의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의 토출각 및 토출방향이 항상 일정하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론 및 고압트랜스의 설치위치가 변경될 경우, 이에 대응하는 냉각팬케이싱을 제작하여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금형제작 및 자재관리 등의 차원에서 제작원가 상승 및 생산성 저하의 요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전자렌지의 모델별로 각각 상이한 냉각팬케이싱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냉각팬케이싱의 부품 호환성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기부품의 위치 변경 및 기기모델의 다양한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각팬케이싱을 마련하여, 제작원가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각팬케이싱의 분해사시도,
도 3내지 도 5는 각각 기기부품의 위치에 따른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종래 전자렌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본체케이싱 10 : 부품실
11 : 마그네트론 13 : 고압트랜스
20 : 냉각팬조립체 21 : 냉각팬케이싱
23 : 냉각팬 33 : 팬수용부
40 : 토출유로 41: 상부토출유로
47 : 하부토출유로 50 : 가이드수단
51 : 경사그루브 53 : 가이드판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부품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부품실내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갖는 냉각팬케이싱과, 상기 냉각팬케이싱내에 설치되어 토출유로를 통해 상기 토출구로 송풍하는 냉각팬을 갖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로내에 설치되어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토출유로내의 양측 내벽면에 상호 대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의 양측 연부가 슬라이딩 수용되는 각각 상이한 경사각으로 이루어진 복수 쌍의 경사그루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팬은 반경방향으로 송풍하는 횡류팬이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횡류팬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개구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토출유로의 절곡유로 내에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각팬케이싱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1)는, 조리실(7)과 부품실(10)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케이싱(3)과, 본체케이싱(3)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역 "U"자 형상의 외부케이싱(5)을 갖는다.
본체케이싱(3)의 전방에는 조리실(7)의 전면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9)와, 전자렌지(1)의 조작을 위한 조작패널(8)이 마련되어 있으며, 조작패널(8) 후방영역의 본체케이싱(3)내에는 전자렌지(1)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부품실(10)이 조리실(7)과 격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품실(10)내에는 마이크로파를 출력하여 조리실(7)내로 공급하는 마그네트론(11)과, 마그네트론(11)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압트랜스(13) 및 고압콘덴서(15)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부품실(10)의 후벽면에 형성된 공기유입공(17)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부품실(10) 내부를 향해 송풍하는 냉각팬조립체(20)가 마련되어 있다.
냉각팬조립체(20)는 공기유입공(17)이 형성된 부품실(10)의 후벽면에 장착되는 냉각팬케이싱(21)과, 냉각팬케이싱(21)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공(17)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부품실(10)내부를 향해 송풍하는 냉각팬(23)을 갖는다.
냉각팬케이싱(21)은 부품실(10)의 공기유입공(17)을 둘러싸도록 부품실(10) 후벽면에 접면하는 플랜지부(31)와, 플랜지부(31)의 판면으로부터 원통형으로 함몰되어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팬수용부(33)를 가지며, 공기유입공(17)과 팬수용부(33)를 연통하는 흡입구(35)와, 팬수용부(33)의 내주면 일영역으로부터 부품실(10)내의 소정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토출유로(40)를 포함한다.
흡입구(35)는 팬수용부(33)의 개구연부로서 형성되어 부품실(10)의 공기유입공(17)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토출유로(40)는 기기부품들 중에 발열이 가장 심한 마그네트론(11) 및 고압트랜스(13)를 향하도록 냉각팬케이싱(21)의 상부 및 하부영역에 상부토출유로(41) 및 하부토출유로(47)로 형성된다.
각 토출유로(41,47)는 팬수용부(33)의 내주면 상, 하부에 상호 대향하게 형성된 상부 및 하부배출구(43,48)와, 냉각팬케이싱(21)의 외측 상, 하부에 상부 및 하부배출구(43,48)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상부 및 하부토출구(45,49)를 갖는다. 이 때, 상부 및 하부토출구(45,49)는 후술할 횡류팬(25)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토출되는 송풍공기가 팬수용부(33)로부터 부품실(10) 내부를 향해 횡류팬(25)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토출되도록 부품실(10)의 전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냉각팬(23)은 냉각팬케이싱(21)의 팬수용부(33)에 수용되며 회전축선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방사상으로 송풍하는 횡류팬(25)과, 냉각팬케이싱(21)의 외측에 장착되어 횡류팬(25)을 회전시키는 팬모터(27)를 갖는다. 횡류팬(25)은 팬모터(27)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공기유입공(17)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팬케이싱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토출유로(41,47)를 통해 부품실(10)내부를 향해 바람을 송풍한다.
한편, 냉각팬케이싱(21)의 상부 및 하부토출유로(41,47)상에는 부품실(10)의 기기부품을 향해 송풍되는 송풍공기의 토출각을 조절하는 가이드수단(50)이 마련되어 있다. 이 가이드수단(50)의 구성은 상부 및 하부토출유로(41,47)에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마련되므로, 이하에서는 상부토출유로(41)에 마련된 가이드수단(50)만을 가지고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수단(50)은 상부토출유로(41)의 토출구영역의 양측 내벽면에 상호 대향하게 형성된 복수 쌍의 경사그루브(51)와, 복수 쌍의 경사그루브(51)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가이드판(53)으로 이루어져 있다.
복수 쌍의 경사그루브(51)는 각각 상이한 경사각을 가지고 있으며, 가이드판(53)은 양측 단부가 경사그루브(51) 중 어느 하나에 맞물림 결합된다. 이 때, 가이드판(53)은 기기부품(마그네트론(11))의 크기, 설치위치 및 전자렌지(1)의 모델을 고려하여 최적의 토출유로를 형성하도록 경사그루브(51)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림 결합된다.
예를 들면, 부품실(10)내의 상부영역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론(11)의 설치위치가 도 3과 같이 비교적 높게 설치될 경우, 가이드판(53)은 경사그루브(51) 중 도면부호"51a"로 표시된 경사그루브에 맞물림 결합되어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마그네트론(11)을 향하도록 한다. 한편, 마그네트론(11)의 위치가 도 4같이 설치될 경우에는, 가이드판(5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51b"로 표시된 경사그루브에 맞물림 결합된다. 그리고, 마그네트론(11)의 설치위치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을 때에는, 가이드판(5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51c"로 표시된 경사그루브에 맞물림 결합된다.
이에 의해, 기기부품(마그네트론)의 크기, 설치위치 및 전자렌지(1)의 모델을 고려하여 최적의 토출유로가 형성되게 된다. 이때, 하부토출유로(47)에 마련되는 가이드수단(50) 역시, 상부토출유로(41)에 마련된 가이드수단(50)과 마찬가지로 고압트렌스의 크기, 설치 등에 따라 가이드판(53)을 경사그루브(51)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최적의 토출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전자렌지(1)의 동작개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마그네트론(11) 및 고압트랜스(13) 등의 기기부품들이 과열되면, 마이컴(미도시)에 입력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냉각팬(23)이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냉각팬(23)의 작동이 개시되면, 팬모터(27)에 의해 회전하는 횡류팬(25)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입공(17)과 흡입구(35)를 통해 냉각팬케이싱(21)의 팬수용부(33)내부로 흡입된 후 횡류팬(25)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토출되며, 팬수용부(33)내에서 방사상으로 송풍되는 송풍공기는 팬수용부(33)의 상부 및 하부토출유로(41,47)에 각각 마련된 가이드수단(50)에 의해 형성된 최적의 토출유로를 통해 마그네트론(11) 및 고압트랜스(13)를 향해 집중적으로 토출되어 마그네트론(11)과 고압트랜스(13)를 냉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냉각팬케이싱의 토출유로상에 각도변환이 가능한 가이드수단을 마련함으로써, 기기부품(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 등)의 크기, 설치위치 및 전자렌지의 모델에 상관없이 단일의 냉각팬케이싱을 이용하여 최적의 토출유로를 형성할수 있으며, 냉각팬케이싱의 공용화가 이루어져 제작원가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 및 실시 예에서는, 가이드수단의 구성을 토출구 영역에 상호 상이한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복수 쌍의 경사그루브와, 경사그루브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림 결합되는 가이드판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수단의 구성을 토출구영역에 가이드판을 마련하고, 가이드판의 각도변환을 위해 다양한 장치 및 구조 등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기부품의 위치 변경 및 기기모델의 다양한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각팬케이싱이 마련되어, 제작원가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렌지가 제공된다.

Claims (3)

  1. 부품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부품실내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갖는 냉각팬케이싱과, 상기 냉각팬케이싱내에 설치되어 토출유로를 통해 상기 토출구로 송풍하는 냉각팬을 갖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로내에 설치되어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토출유로내의 양측 내벽면에 상호 대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의 양측 연부가 슬라이딩 수용되는 각각 상이한 경사각으로 이루어진 복수 쌍의 경사그루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반경방향으로 송풍하는 횡류팬이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횡류팬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개구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토출유로의 절곡유로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1019990057322A 1999-12-13 1999-12-13 전자렌지 KR100350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322A KR100350418B1 (ko) 1999-12-13 1999-12-13 전자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322A KR100350418B1 (ko) 1999-12-13 1999-12-13 전자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978A true KR20010055978A (ko) 2001-07-04
KR100350418B1 KR100350418B1 (ko) 2002-08-28

Family

ID=19625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322A KR100350418B1 (ko) 1999-12-13 1999-12-13 전자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4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257B1 (ko) 2004-08-09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0418B1 (ko) 200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3070B2 (en) Blower and design method of discharge port thereof
KR20040064138A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US6218651B1 (en) Microwave oven
US20040262303A1 (en) Mountable type microwave oven
KR100694255B1 (ko) 전자레인지의 벤트모터조립체의 구조
KR20010045971A (ko) 벽부착형 전자렌지
KR100499499B1 (ko) 상업용 전자 레인지
US6972398B2 (en) Wall mounted type microwave oven
US7135663B2 (en) Wall mounted type microwave oven
KR100423976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20020050027A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350418B1 (ko) 전자렌지
KR100423977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395639B1 (ko) 전자렌지
KR100350416B1 (ko) 전자렌지
KR100373091B1 (ko) 전자렌지
KR100369819B1 (ko) 전자렌지
EP1624726B1 (en) Microwave oven and fan assembly for microwave oven
KR100889737B1 (ko) 송풍기 유니트
KR100286178B1 (ko) 전자레인지
KR100654795B1 (ko) 전자렌지
KR100300125B1 (ko) 전자렌지용 송풍팬 장치
KR20020057147A (ko) 전자레인지의 구조
KR100264130B1 (ko) 전자렌지의 송풍장치
KR100480712B1 (ko) 전자 레인지의 방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