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5481A - 비동기 전송 모드 방식의 내부 스위치를 활용한 지능형정보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동기 전송 모드 방식의 내부 스위치를 활용한 지능형정보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5481A
KR20010055481A KR1019990056696A KR19990056696A KR20010055481A KR 20010055481 A KR20010055481 A KR 20010055481A KR 1019990056696 A KR1019990056696 A KR 1019990056696A KR 19990056696 A KR19990056696 A KR 19990056696A KR 20010055481 A KR20010055481 A KR 20010055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m
switch
board
special resource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6992B1 (ko
Inventor
이일우
최고봉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1999005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992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04L2012/5626Network management, e.g. Intelligent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고도의 신뢰성 및 망 확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비동기 전송 모드 방식의 내부 스위치를 활용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근거리 지역 통신망(LAN) 정합 보드 및 비동기 전송 모드(ATM) 정합 보드를 포함하며 서비스 가입자에게 특수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특수자원 처리 수단; 외부 시스템과의 신호전달 및 상기 특수자원 처리 수단의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제어 수단; 및 비동기 전송 모드(ATM)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수단과 상기 특수자원처리 수단간의 내부 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포함하며, 차세대 지능망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비동기 전송 모드 방식의 내부 스위치를 활용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Intelligent Peripheral System With Internal ATM Switch}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모드 방식의 내부 스위치를 활용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IP:Intelligent Peripheral)(이하, 간단히 "IP"라함)은 서비스 제어 시스템(SCP), 서비스 스위칭 시스템(SSP)과 서로 연동하여 자동 콜렉트콜 서비스, 전화 투표 서비스 등의 차세대 지능망 서비스를 요구한 사용자에게 안내방송, DTMF 수집, 음성 녹음, 음성 합성, 음성 인식 및 팩스 송/수신 등의 특수자원을 제공하는 차세대 지능망(AIN:Advanced Intelligent Network)(이하, 간단히 "AIN"이라함)의 구성요소이다.
IP는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ISUP: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User Part)(이하, 간단히 "ISUP"라함)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비스 제어 시스템(SSP)과 음성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베어러 채널을 설정하고, 지능망 응용프로토콜(INAP:Intelligent Network Application Protocol)(이하, 간단히 "INAP"라함)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어 시스템(SCP)과 특수자원 구동을 위한 오퍼레이션(operation)을 송수신한다.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가입자와 망간 인터페이스(UNI:User to Network Interface)(이하, 간단히 "UNI"라함)는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이하, 간단히 "ITU"라함) Q.931 권고안에 근거하여 구현되고, 망과 망간 인터페이스(NNI:Network to Network Interface)(이하, 간단히 "NNI"라함)는 Q.763 권고안을 기반으로 구현된다.
일반적으로 ISUP 프로토콜은 No.7 하부 프로토콜인 메시지 전달부(MTP:Message Transfer Part)(이하, 간단히 "MTP"라함) 프로토콜을 보유하는 교환 시스템과 교환 시스템간 호 설정을 위한 시그널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도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IP)은 No.7 망 상에서 하나의 신호점 (Signal Point:SP)으로 존재하면서, 서비스 스위칭 시스템(SSP)과 NNI 프로토콜인 ISUP을 사용하여, 호 설정 및 특수자원을 제공한다.
IP는 서비스 스위칭 시스템(SSP)으로부터 ISUP 프로토콜 상으로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IAM)를 수신한 다음, 제어 서브시스템에 구축된 ISUP, INAP처리부에서 서비스 스위칭 시스템(SSP)과의 채널과 IP내부의 특수자원 채널을 서로 스위칭하여 베어러 채널을 연결한다.
그러나, 기존 IP 시스템에서는 제어 서브시스템과 특수자원 서브시스템간의 내부 채널을 근거리 지역 통신망(LAN) 스위치를 통해 구성하였다.
따라서, 송신측에서는 최선(Best-Effort)을 다해 메시지를 망상에 던져놓고, 그 이후의 전달에는 구체적인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근거리 지역 통신망(LAN) 특성으로 인해서 신뢰성있는 통신을 확신할 수 없었다. 또한, 차후의 차세대 지능망 구성 요소들은 비동기 전송 모드(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이하, 간단히 "ATM"이라함) 인터페이스를 통해 망 구성이 계획되는 상황이므로, ATM 스위치를 IP의 내부 스위칭으로 구비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지 않는다면 내부 통신망의 신뢰성 확보와 차후 비동기 전송 모드(ATM) 정합 기능 보유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
즉, 차세대 지능망 서비스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IP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특수자원 채널 용량을 확장하여야 하며, 기존의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이하, 간단히 "TCP/IP"라함) 기반의 근거리 지역 통신망 (LAN:Local Area Network)(이하, 간단히 "LAN"이라함) 통신 방식으로는 트래픽 품질(예, 호 손실)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도의 신뢰성 및 망 확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비동기 전송 모드 방식의 내부 스위치를 활용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지능망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를 내부 스위치로 구성하는 경우에 특수자원 유닛별 채널 정보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 서비스 스위칭 시스템으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 프로토콜, 지능망 응용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한 호 설정 처리 절차를 나타낸 일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서비스 제어 시스템(SCP) 102 : 서비스 스위칭 시스템(SSP)
103 :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IP) 104 : 신호 중계기(ST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세대 지능망에 적용되는 비동기 전송 모드 방식의 내부 스위치를 활용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근거리 지역 통신망(LAN) 정합 보드 및 비동기 전송 모드(ATM) 정합 보드를 포함하며, 서비스 가입자에게 특수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특수자원 처리 수단; 외부 시스템과의 신호전달 및 상기 특수자원 처리 수단의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제어 수단; 및 비동기 전송 모드(ATM)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수단과 상기 특수자원처리 수단간의 내부 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즉, ATM 스위치를 IP의 내부 스위칭으로 구비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본 발명은 내부 통신망의 신뢰성 확보와 차후 ATM 정합 기능 보유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지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ISUP 프로토콜 처리 기술을 바탕으로 IP시스템에서 베어러 채널에 ATM 스위치를 통한 특수자원 채널을 연결(Switching)하기 위해, No.7 시그널링 프로토콜인 ISUP을 이용하여, SSP간 베어러 채널과 IP 내부 채널을 연결한다.
즉, 본 발명은 차세대 지능망 (Advanced Intelligent Network ; 이하 "AIN"이라 칭함)의 구성 요소 중, 지능망 가입자에게 특수자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Intelligent Peripheral ; 이하 "IP"라 칭함)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비동기 전송 모드(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이하, 간단히 "ATM"이라함) 방식의 스위치를 내부 통신망으로 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러한 구조하에서 트래픽을 처리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는 ATM 방식의 내부 스위치를 사용하므로써 시스템 내의 통신망상에서 처리되는 신호 및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고속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지능망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세대 지능망(AIN:Advanced Intelligent Network)(이하, 간단히 "AIN"이라함)은 서비스를 창출하고,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시스템(SCP:Service Control Point)(이하, 간단히 "SCP"라함)(101), 교환 역할을 담당하는 서비스 스위칭 시스템(SSP:Service Switching Point)(이하, 간단히 "SSP"라함)(102), 그리고, 자원 제공을 담당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IP:Intelligent Peripheral)(이하, 간단히 "IP"라함)(103)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들은 공통선 제어 신호망 No.7(CCS No.7:Common Control Signaling System No.7)(이하, 간단히 "CCS No.7"이라함)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들 구성 요소들은 기 운용중인 신호중계기(STP:Signaling Transfer Point)(이하, 간단히 "STP"라함)(104)를 통해 INAP, ISUP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트래픽을 처리하게 되는데, STP(104)는 일반적으로 메쉬(mesh) 형태로 구성되며, 각 구성 요소들은 신뢰도를 위해서 2개 이상의 링크를 통해 신호 중계기에 연결된다.
IP(103)는 SSP(102)와 E1트렁크로 베어러 채널(106)을 연결하고, STP(104)에 연결된 신호 링크(signaling link)(105)를 통해 SCP(101)와는 INAP 프로토콜로, SSP(102)와는 ISU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신호 메시지를 교환하면서 호 처리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내부 ATM 스위치를 실장한 IP의 구성도이다.
IP 시스템은 제어 서브시스템(210), 특수자원처리 서브시스템(220), 고속 이더넷 스위치(230), 그리고 ATM 스위치(240)를 포함한다.
기존 IP 시스템이 내부 통신망으로서 LAN 스위치(230)만 실장한 것에 비해 본 발명의 IP 시스템은 ATM 스위치(240)가 내부통신망으로 추가되어 구성된다.
IP 시스템의 CCS No.7 시그널링 및 서비스 제어 및 처리를 담당하는 제어 서브시스템(210)은 다시 서비스 제어부(211), INAP 프로토콜 처리부(213), ISUP 프로토콜 처리부(212), No.7 신호망 플랫폼(215), 스위치 제어부(214), 디지털 트렁크 정합부(216), ATM-디지털 트렁크 정합부(217), 고속 이더넷 정합보드(218), ATM 정합 보드(219)를 포함한다.
가입자에게 특수자원을 실질적으로 제공하게 되는 특수자원처리 서브시스템(220)은 기능별로 서브 유닛으로 구분되는데, 각 서브 유닛은 공통적으로 LAN 정합 보드(222) 및 ATM 정합 보드(223)를 실장한다. 그리고, 각각의 기능에 따라 음성 안내/녹음 및 DTMF 수집/처리 보드(224), 음성 인식 보드(225), 음성 합성 보드(226), 그리고 팩스 처리 보드(227)로 구성된다.
서브 시스템간 시그널링(252)을 위해 고속 이더넷 스위치(230)가 실장되고, 실질적인 트래픽 전송(253) 통로가 되는 ATM 스위치(240)가 실장된다.
신호링크(250)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 메시지는 디지털 트렁크 정합부(216)를 통해 No.7 신호망 플랫폼(215)에 전달된다. No.7 신호망 플랫폼(215)에서는 SSP에서 입력된 메시지인 경우에는 ISUP 프로토콜 처리부(214)를 통해, SCP에서 입력된 메시지인 경우에는 INAP프로토콜 처리부(213)를 통해 서비스 제어부(211)로 전달되어 트래픽 처리 기능이 수행된다.
ISUP 및 INAP 신호 메시지의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베어러 채널(251)과 특수자원 채널(253)을 ATM-디지털 트렁크 정합 보드(217)를 통해 연결(switching)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이 기능을 IP 호 처리 기능이라 한다.
IP 호처리 기능을 위해 제어 서브시스템(210)의 서비스제어부(211)에서는 호 처리 로직에 따라 시스템내의 장치들을 제어하고 특수자원들(224 내지 227)을 구동한다.
서비스 제어부(211)에서는 SCP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로부터 어떤 자원의 제공이 필요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오퍼레이션 분석 과정을 거치는데, 지능망 서비스에 따라 특수자원의 구동 여부가 결정된다.
그리고, IP내의 특수자원을 구동하여 베어러 채널을 거쳐 가입자에게 자원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 때 구동이 필요한 특수자원 보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현재 가용 여부를 확인하고, 스위치 제어부(214)를 통해 내부 채널을 연결하게 된다.
이 경우에 서비스 제어부(211)는 현재 IP 내부 채널의 상태를 제어하여야 하는데, 테이블을 통해 내부 채널 정보 관리를 하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를 내부 스위치로 구성하는 경우에 특수자원 유닛별 채널 정보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일예시도로서, 사용자가 지능망 서비스를 요구시 SSP, SCP, IP간의 정상적인 시나리오 예이다.
SCP가 지능망 서비스 요구를 인지하고 서비스 로직에 따라 사용자에게 특수자원 등을 제공하기 위해 SSP와 IP간 베어러 채널 연결을 지시한다. SSP는 베어러 채널을 연결하기 위해 착신주소(Called Party Address)가 IP 주소인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IAM:Initial Address Message)(이하, 간단히 "IAM"이라함)를 송부한다.
IAM 메시지는 공통선 신호망의 신호 루트(signaling route)를 통해 IP에게 전달된다. IP는 ISUP 호 처리 절차에 따라 어드레스 수신 완료 메시지(ACM:AddressComplete Message)(이하, 간단히 "ACM"이라함)를 SSP로 송부하며, SCP에게 사용자로 전달할 특수자원을 요구한다.
SCP는 서비스 로직에 따라 IP내 특수자원 구동을 지시하고, IP는 ISUP 호처리 절차에 따라 응답메시지(ANM:Answer Message)(이하, 간단히 "ANM"이라함)를 송부하고 지시한 특수자원을 구동한다.
특수자원을 통해 사용자와 인터페이스한 후 필요에 따라 결과를 SCP에게 통보한다. SCP는 계속해서 특수자원 구동을 지시할 수도 있고 SSP와 IP간 베어러 채널을 해제할 수 있다. 해제(release)하는 절차는 ISUP 호처리 절차를 따른다.
제어 서브시스템(210)의 베어러 링크 용량을 살펴보면, 디지털 트렁크 정합부(216)의 하나의 E1 링크는 64K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PCM 방식의 32 채널로 구성된다. 즉, 하나의 E1은 2,048Kbps (2.048Mbps)의 속도를 가진다. 반면, ATM 정합 보드(219)의 하나의 포트는 155Mbps 또는 622M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며, 이는 77.5 개의 E1 링크에 해당하는 전송 용량이다.
IP와 SSP간 통화로 용량은 현재는 32개의 E1 링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송률로 보면, 64Mbps의 속도를 가지는 구성이다. ATM 155Mbps 링크 1개면, 이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이 된다.
한편, 특수자원처리 서브시스템(220)의 채널 규격은, 표준 ATM 인터페이스인 UNI 방식으로 ATM 스위치(240)에 PVC 방식으로 고정 연결된다. 특수자원 유닛은 하나의 유닛당 최대 8개의 E1 보드가 실장될 수 있으며, 이는 최대 16 Mbps의 전송 속도가 요구될 수 있는 것이며, 64kbps의 속도를 가지는 채널을 240개를 보유하는것이다.
하나의 E1은 32채널로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채널 0번은 프레임 동기 (frame sync), 채널 16번은 시그널링을 위한 채널로 통화로 채널로 사용하지 않는다. 결국, 하나의 유닛당 155 Mbps 인터페이스 포트를 하나씩 할당하면, 최번시 트래픽도 충분히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서비스 제어부(211)는 SSP로부터 수신한 IAM 메시지의 정보를 이용하여 SSP간 통화로 채널과 내부 ATM 스위치 채널을 연결한다. ATM 이용자-망 인터페이스(UNI)에서 정의된 일반 흐름 제어(GFC:Generic Flow Control)(이하, 간단히 "GFC"라함) 필드 다음 필드에 위치한 루팅 비트인 8비트의 VPI, 16비트로 정의된 VCI 필드를 이용하는데, 내부 ATM 스위치 채널은 특수자원 유닛별로 고정 할당된 가상경로 식별자(VPI:Virtual Path Identifire)(이하, 간단히 "VPI"라함)/가상 채널 식별자(VCI:Virtual Cannel Identifier)(이하, 간단히 "VCI"라함) 값이 되며, 이는 ATM 셀 헤더 부분의 파라미터로 입력된다. ATM 스위치는 이 값을 가지고 해당 특수자원 유닛의 채널과 통화로 채널이 연결되면서 통화로 채널이 설정된다.
VPI는 28(256)개, VCI는 216(65536)개를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안한 IP 시스템에서는 이의 일부분만 할당하여 사용한다. ATM 스위칭시 고정 가상 채널(PVC:Permanent Virtual Channel)(이하, 간단히 "PVC"라함), 회선 가상 채널(SVC:Switched Virtual Channel)(이하, 간단히 "SVC"라함) 서비스 방식이 존재하지만, 구현 및 제어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PVC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상기의 규격을 가지는 IP 시스템에서 음성 안내/음성 녹음 및 DTMF 수집 보드(301)에는 VPI값을 0으로 할당하고, 음성 인식 보드(302)에는 1, 음성 합성 보드(303)에는 2, 그리고 팩스처리 보드(304)에는 3을 고정으로 할당(305)하고, VCI 값은 따로 정해지는 채널 할당 방식에 따라 할당되어 진다.
동시에 각 채널별 상태도 관리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유휴(IDLE), 비지(BUSY) 상태를 기록한다. 이러한 채널 정보 테이블은 스위치 제어부(214) 또는 별도의 유지보수 처리부가 존재하면서 관리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 서비스 스위칭 시스템으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 프로토콜, 지능망 응용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한 호 설정 처리 절차를 나타낸 일예시도로서, IP에서 SSP로부터 IAM을 수신한 경우에 제어 서브시스템내에서 ISU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호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호 처리 블록도이다.
IP의 ISUP 프로토콜 처리부(431)는 SSP(410)로부터 수신된 초기 주소 메시지(IAM)를, IAM_ind, Conn_ind 메시지를 이용해서 INAP 프로토콜 처리부(432)를 거쳐 서비스 제어부(433)에 전달된다.
서비스 제어부는 자원의 가용 여부를 확인하고, 다시 Conn_resp, ARI_req, ARI_need 메시지를 INAP 프로토콜 처리부(432, 434)에 전달한다. INAP 프로토콜 처리부(434)는 ISUP 프로토콜 처리부(431)로 IAM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IAM_resp)를 전달하고, ISUP 프로토콜 처리부는 주소 완료 메시지(ACM)를 통해 SSP와의 베어러 채널의 연결을 확인한다.
한편, SCP와의 INAP 시그널링을 위해서는 TCAP메시지 형태인 TC_BEG, TC_INV 메시지를 No.7 신호망 플랫폼(435)으로 전송한다. No.7 신호망 플랫폼은 SCP(420)로 추가 정보를 추가 명령 요구(ARI:Assist Request Instruction)(이하, 간단히 "ARI"라함) 메시지를 통해 요구하게 된다.
SCP는 ARI 메시지를 수신한 다음, 음성 안내(PA:Play Announcement)(이하, 간단히 "PA"라함), 음성 녹음(PRM:Prompt and Recording Message)(이하, 간단히 "PRM"이라함) 등의 오퍼레이션을 IP로 지시하게 되며, IP는 지시받은 오퍼레이션을 분석하여, 해당 특수자원을 SSP와 연결된 베어러 채널을 통해 제공하기 시작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세대 지능망 요소인 IP시스템의 내부 통신망으로서 ATM 스위치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기존 TCP/IP를 기반으로 하는 LAN 통신 보다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신뢰성을 보장하는 ATM 방식의 스위치를 내부 통신망으로 활용했기 때문에 서비스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차후에 차세대 지능망 구성 요소들간의 망 정합이 ATM 인터페이스로 확장되는 경우에 IP에서는 기 구비된 ATM 스위치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IP는 공통선 신호망의 신호 단국점(signaling end point)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CCS No.7 프로토콜을 망정합 프로토콜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스템들은 이 기술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다른 시스템과의 ISUP, INAP 신호방식으로 메시지를 교환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세대 지능망에 적용되는 비동기 전송 모드 방식의 내부 스위치를 활용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근거리 지역 통신망(LAN) 정합 보드 및 비동기 전송 모드(ATM) 정합 보드를 포함하며, 서비스 가입자에게 특수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특수자원 처리 수단;
    외부 시스템과의 신호전달 및 상기 특수자원 처리 수단의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제어 수단; 및
    비동기 전송 모드(ATM)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수단과 상기 특수자원처리 수단간의 내부 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
    을 포함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자원 처리 수단은,
    기능별로 서브 유닛으로 구분되며, 상기 각 서브 유닛은 근거리 지역 통신망(LAN) 정합 보드 및 비동기 전송 모드(ATM) 정합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 메시지를 입력받아 내부 시스템과의 정합과정을 거쳐 전달하며, 내부 채널이 연결된 후의 각종 특수자원을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달하기 위한 입출력 수단;
    상기 입출력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신호 메시지를 각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하는 프로토콜 처리 수단;
    상기 프로토콜 처리 수단에서 처리된 상기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서비스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내부 채널 연결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 수단; 및
    상기 서비스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를 받아 상기 특수자원 처리 수단과의 스위치 연결을 수행한 후 상기 정합 수단을 통해 특수자원 서비스를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달하기 위한 스위치 정합 수단
    을 포함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외부 시스템과의 신호전달 및 상기 특수자원 처리 수단과의 연결을 통한 서비스 제어를 위하여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ISU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
KR1019990056696A 1999-12-10 1999-12-10 비동기 전송 모드 방식의 내부 스위치를 활용한 지능형정보제공 시스템 KR100336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696A KR100336992B1 (ko) 1999-12-10 1999-12-10 비동기 전송 모드 방식의 내부 스위치를 활용한 지능형정보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696A KR100336992B1 (ko) 1999-12-10 1999-12-10 비동기 전송 모드 방식의 내부 스위치를 활용한 지능형정보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481A true KR20010055481A (ko) 2001-07-04
KR100336992B1 KR100336992B1 (ko) 2002-05-17

Family

ID=1962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696A KR100336992B1 (ko) 1999-12-10 1999-12-10 비동기 전송 모드 방식의 내부 스위치를 활용한 지능형정보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9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0169A (en) * 1993-06-11 1995-02-14 At&T Corp. Routing to intelligence
US6324165B1 (en) * 1997-09-05 2001-11-27 Nec Usa, Inc. Large capacity, multiclass core ATM switch architecture
JP3514632B2 (ja) * 1998-08-03 2004-03-31 富士通株式会社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とそれに具備されるサービス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6992B1 (ko) 200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3429B1 (en) Broadband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195714B1 (en) System for transferring STM calls through ATM network by converting the STM calls to ATM and vice versa at the edge nodes of ATM network
US20050254496A1 (en) Broadband telecommunications system
EP1086427B1 (en) Switching system data interface
JPH11331191A (ja) 加入者アクセス装置
US6359889B1 (en) Cell switching device for controlling a fixed rate connection
US7548550B1 (en) Intelligent peripheral concentrator
KR100336992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방식의 내부 스위치를 활용한 지능형정보제공 시스템
JP4293730B2 (ja) 通信システム
KR100195058B1 (ko) Atm 교환기에 있어서 연결수락 제어방법
US6751222B1 (en) AT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TM signaling method
KR100265856B1 (ko) 망-망접면에서출중계호제어절차를이용한가상통로의제공방법
JP3764678B2 (ja) 非同期伝送モード(atm)通信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コンバータ及びスイッチ
KR100262944B1 (ko) 망-망접면에서입중계호제어절차를이용한가상통로의제공방법
KR100307927B1 (ko) 회선 교환 시스템에서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으로의 톤제공방법
JP2002152220A (ja) Atm−ponシステムおよびatm−ponシステムの接続制御方法
Ong Broadband network signaling directions
Jang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Media Gateway for Voice Service
KR20010054224A (ko) 비동기전송방식(atm)망의 비동기적응계층2(aal2)기능을 이용하여 인터넷 전화 패킷을 전달하는 연동장치및 그 방법
KR19980020688A (ko)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bisup) 중계선 출중계호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