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417A - 질소제거 미생물(암모니아성질소 → 질산성질소) 고정화방법 - Google Patents

질소제거 미생물(암모니아성질소 → 질산성질소) 고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417A
KR20010054417A KR1019990055224A KR19990055224A KR20010054417A KR 20010054417 A KR20010054417 A KR 20010054417A KR 1019990055224 A KR1019990055224 A KR 1019990055224A KR 19990055224 A KR19990055224 A KR 19990055224A KR 20010054417 A KR20010054417 A KR 20010054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ogen
day
contact material
bacteria
micro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5335B1 (ko
Inventor
권오범
임현섭
민경석
Original Assignee
조정래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래,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조정래
Priority to KR10-1999-0055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335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1/00Carrier-bound or immobilised enzymes; Carrier-bound or immobilised microbial cells; Preparation thereof
    • C12N11/02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Landscapes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소제거 미생물의 성장률을 높이기 위하여 암모니아성 질소 및 기타 영양성분을 합성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상 접촉재에 코팅시켜 질화세균의 성장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용이하게 고정화시키며, 1개의 처리조를 2개의 처리조로 나누어 1차 처리조는 영양성분이 코팅되지 않은 일반접촉재를 설치하여 미생물 균종 중 탄소원이용 세균을 우점화시키고, 2차 처리조는 암모니아성 영양성분을 코팅한 접촉재를 설치하여 질화세균을 우점화시켜 질화세균의 적응기간을 단축시키는, 질소 제거 미생물 고정화 방법에 관한다.

Description

질소제거 미생물(암모니아성질소 → 질산성질소) 고정화 방법{THE METHOD FOR IMMOBILIZING BACTERIA IN NITRIFICATION}
본 발명은 질소제거 미생물 고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질소제거 미생물의 성장율을 촉진시키기 위해 생물막법 접촉재에 질화미생물의 성장을 도모하는 영양성분을 코팅하여 질소제거 미생물을 고정화시켜 질화효율을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화 미생물은 생체반응기(bioreactor) 또는 바이오센서(biosensor)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생체반응기는 미생물이나 효소의 반응을 이용해서 연속적으로 목적 미생물을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고정화 미생물을 사용하는 경우는 2 가지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미생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가지 효소를 반응에 관여시키는 경우로서 고정화 미생물은 죽은 상태로 존재하여도 관계가 없다. 관여하는 효소가 많은 반응이나 또는 1 종류 효소로서 효소를 생물체에서 추출 및 정제하는 것이 귀찮은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또 다른 하나는 미생물의 대사기능을 전체적으로 이용하거나 미생물이 외부로 방출하는 효소를 반응에 이용하는 경우로서, 고정화한 미생물은 살아 있어야 한다. 양자를 구분하는 의미로서 후자를 고정화 증식 미생물이라고 한다. 한편, 바이오센서에도 고정화미생물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미생물이 특정 물질을 섭취 및 대사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하수의 부영양화, 조류의 급성장에 의하여 수중 내 산소결핍 원인물질인 질소를 제거함에 있어서 생물학적처리는 오·폐수처리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게 되었다. 질소제거는 두 과정으로 구분되어 지는데, 암모니아성 질소에서 질산성질소로 전환시키는 질화 과정(Nitrification)과 질산성질소로 부터 질소가스로 전환시키는 탈질 과정(Denitrification)으로 구분된다. 상기 두 과정은 미생물의 성상에 따라서 효율상 차이가 나타나는데, 질화과정은 암모니아성 이온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세균이 다종일때, 탈질 과정은 탄소원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세균이 다종일때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질소제거는 성장속도가 느린 질화세균의 생체량에 의해 좌우되는데 질화세균은 성장속도가 매우 느리므로 호기성 미생물을 순환시켜 하폐수의 유기물을 이산화탄소 등으로 분해하여 정화시키는 활성슬러지법에 사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질소제거는 성장속도가 느린 질화세균의 생체량에 좌우되기 때문에 생물막을 이용한 질소제거 시스템이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질화세균의 부착을 위해서는 초기 기간이 매우 길다라는 것과 수많은 종류의 전자전달자 및 유기탄소원이 오·폐수 내에 존재하므로, 이 유기 탄소원을 이용하는 세균이 빠르게 성장함에 비해 성장속도가 느린 질화 세균은 그보다 느리게 성장하므로 경쟁에서 쉽게 도태된다. 따라서 성장속도가 느린 질화세균을 위해 생물막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 방법 또한 질화세균을 고정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는 성장속도 및 부착기간을 단축시키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생물막 표면에 부착된 미생물이 증가하게 되면 내부에서 성장하고 있는 세균인 질화세균에 까지는 산소가 용이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균종이 사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탄소원을 이용하는 세균과의 경쟁에서 질화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 및 질화미생물이 생물막에 적절한 양만큼 존재할 수 있도록 질화미생물 부착기간을 줄이는 방법이 고안되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으로서, 성장기간이 길고, 고정화가 어려운 질화미생물을 단기간에 쉽게 고정화시키고 질화미생물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40ppm 이상의 오·폐수내 암모니아성 질소를 제거하는데에 통상 소요되는 질화미생물 적용기간 30일을 10일로 단축시키거나 미리 질화미생물이 고정화된 접촉재를 직접 반응조에 설치함으로써 질화미생물의 적용기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또한 질화 미생물의 영양성분을 코팅한 섬유상접촉재를 일반접촉재와 같이 각각의 반응조에 설치하여 질화세균의 저해요소인 탄소원을 줄이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섬유상 접촉재에 암모니아성 질소 및 무기원소를 포함하는 영양성분을 아가(agar)와 함께 코팅시키는 방법으로 질소제거 미생물을 고정화시키고 질화효율을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폐수내 유기탄소원에 의한 균종간의 상호경쟁을 억제하여 질화(nitrification)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암모니아성 질소 혼합영양성분을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섬유상접촉재에 아가(agar)를 이용하여 코팅시켜 질화세균의 성장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용이하게 고정화시키고, 1개의 처리조를 2개의 처리조로 나누어 1차 처리조는 영양성분이 코팅되지 않은 일반접촉재를 설치하여 미생물 균종 중 탄소원 이용세균을 우점화시키고 2차 처리조는 암모니아성 영양성분을 코팅한 접촉재를 설치하여 질화세균을 우점화시켜 질화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것이다.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 혼합영양성분은 일인산 5.8그람, 이인산 4.5그람, 황산암모니움 4.2그람, 염화망간 0.006그람,황산제이철 0.001그람, 염화칼슘 0.02그람, 염화마그네슘 0.16그람과 아가(agar) 20그람을 1리터 물에 녹여 제조할 수 있다.(상기 물질 1리터 용액은 1미터당 표면적이 1제곱미터인 접촉재 100미터에 코팅시킬 수 있는 양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시된 혼합영양성분으로 코팅되어진 접촉재는 질화미생물의 성장이 3배가량 빠르다. 또한 코팅되어진 접촉재에서 질화미생물을 성장시킨후 새로운 암모니아성 폐수가 있는 반응조로 옮겨 성장 시켰을 때 질화반응이 단시간내에 회복되어 고정화된 접촉재의 효과를 쉽게 얻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농도의 탄소원으로 질화세균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한편 질화세균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일반 섬유상 접촉재와 암모니아성 영양성분이 코팅되어진 섬유상접촉재를 2개의 처리조에 각각 나누어 설치하여 질화효율을 향상시켰다. 예를 들어, 4리터의 반응조에 40cm 접촉재를 설치하는 방법 및 2리터 2개조에 각각 20cm 접촉재를 설치하는 방법 및 2리터 두 개조 중 1차조에는 일반 섬유접촉재를, 2차조에는 암모니아성질소 영양성분이 코팅되어진 동일량의 접촉재를 설치하는 방법과 같이 3개의 방법을 비교할 경우, 동일량의 오수를 공급시켰을 때의 질산성질소의 생성시기 및 발생량은 영양성분이 코팅된 접촉재를 혼합시킨 설치조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두 개의 반응조 및 코팅되어진 접촉재는 고농도 오수의 질소제거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영양성분 코팅된 섬유상 접촉재의 암모니아성 질소제거 효율 비교.
본 실시예 1에서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이 95ppm,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가 25ppm의 합성오수를 사용하였으며 2리터의 처리조에 접촉재 16cm를 설치하고 2리터 오수를 12시간동안 공급하였다. 또한 용존산소는 3.0ppm으로 유지시켰으며 분석시일 5일전 초기 5일간은 일반오수를 공급시켰다.
일반섬유상 접촉재와 영양성분 코팅 접촉재 질화비교
영양성분 코팅 섬유상 접촉재 섬유상 접촉재(코팅X)
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 질소 생물학적산소요구량 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 생물학적산소 요구량
1일째 20 5.1 47.6 20.5 4.1 46.2
2일째 18 2.3 50 19.7 0.45 49
3일째 12 7.9 33 16.7 2.25 30
4일째 9.7 8.8 25 16.5 1.5 20
5일째 7.4 10.1 15 14.25 2 14.7
6일째 4.5 11.5 12.8 19.5 1 13.2
7일째 3 14.5 17.9 17.5 5 18.1
8일째 2.8 17.3 21 18.7 3.6 22
9일째 4.5 13.7 14.9 14.55 4.5 13.7
10일째 2 16.7 18 15 6.25 16.5
11일째 1.2 16.5 14 16.6 9.5 12.6
12일째 0.5 18.2 11.5 12.5 8.5 8.9
13일째 3.5 15.7 9.2 14.2 10.5 9.7
14일째 4 18.2 8.1 17.2 8 9.5
15일째 2 14.7 7.1 12.3 11.1 9.7
상기의 표에 의하면 영양성분이 코팅된 섬유상 접촉재가 질화 미생물의 성장속도 및 질산성질소의 생성량이 3배가량 앞서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코팅된 접촉재의 반응조 변경후 질소제거 효율 측정
본 실시예 2에서는 상기의 실험조의 영양성분이 코팅되고 질화세균이 성장된 섬유상접촉재를 새로운 반응조에 옮겨 30ppm 가량의 암모니아성 질소가 함유된 합성오수를 공급하였을 경우의 질산성 질소의 발생을 보았다.(암모니아 질소농도가 30ppm - 25ppm 사이인 합성오수 공급)
질화세균이 고정된 접촉재의 질화효율
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 질소
1일째 27 1.1
2일째 19 10
3일째 7.2 19.7
4일째 6.5 18.6
5일째 4.5 22.3
6일째 5.5 22.6
7일째 6.7 24.1
8일째 4.2 19.8
9일째 4.0 22.8
10일째 3.9 24.9
11일째 4.2 26
12일째 5.4 22
13일째 5.7 24
14일째 4.9 23
15일째 5.3 25
16일째 4.1 21
17일째 4.1 20
상기의 표에의하면, 반응조에서 3 일후 고정화된 섬유상 접촉재상에서 질화가 다시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1개 처리조, 2개 처리조 접촉재 설치 방법에 따른 질화효율 차이
본 실시예 3은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이 200ppm 이상이며 암모니아성 질소가 40ppm 가량의 합성오수를 공급하여 같은 용량의 반응조에 설치방법 및 코팅된 섬유상접촉재를 첨가 또는 생략하는등의, 방법상의 차이를 두었더니, 질화효율의 차이를 보였다. (암모니아성 질소 35ppm - 40ppm)
섬유상접촉재 및 일반접촉재의 설치방법에 따른 질화효율
4리터 반응조:40cm 접촉재 설치 2리터+2리터 반응조:20cm 각각설치 2리터+2리터:1차조-→20cm 2차조-→코팅된 섬유상 접촉재
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 질소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 질소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 질소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
1일째 38 0 42 38 0 37 38 0 40
2일째 34 2.2 37 32 3.2 42 30 2.5 35
3일째 27 4.6 30 22 8.5 30 22 4.2 29
4일째 26 5.6 32 22 9.7 27 20 10 32
5일째 20 5.2 26 21 4.5 24 15 10 22
6일째 29 4.7 20 19 12.1 26 15 15.2 19
7일째 22 4.3 19 14 10.5 24 10 16 25
8일째 24 7.2 19 16.5 12 18 9 17 16
9일째 21 4.5 17 15.5 12 19 10 18 15
10일째 22 7.2 15 14 15 17 11 21 17
11일째 20 14 17 14 30 15.5 9.7 24 16
12일째 24 10 16.3 22 13 16.3 8.5 25 19
13일째 19.5 12 17 14 19 15.9 7.3 24 14
14일째 20 14 16 13 19 19 10 23 15
15일째 19 13 14 17 15 21 7 23 16
16일째 25 10 11 19 16 17.1 4 22 14.7
17일째 22 6 15 18 13 14.7 9 19 10.2
18일째 27 11 10 16 18 14.2 5 23 17.1
19일째 24 9 10.2 17 16 14.8 7.5 20 15
20일째 17 10 11.9 19 15 14.9 8 19 14
21일째 16 9 12.5 17 15 15 4.5 19.9 16
상기의 표3에서는 섬유상접촉재의 설치방법에 따라 질화효율이 차이를 나타내며 암모니아성 질소 영양성분 코팅된 섬유상접촉재를 설치시 좀더 높은 질화 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질소제거방법(질화과정)에 의하면, 기존의 생물학적처리인 섬유상접촉재를 이용하는 방법과는 달리,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이 높은 오수에 있어서도 코팅된 섬유상 접촉재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질화세균보다 성장이 빠른 탄소원 이용 세균이 질화미생물의 성장을 저해시키는 것을 극복하여 질화균주의 빠른 성장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고정화된 질화세균을 타 반응조에 적용시켜 질화세균의 적응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을수 있다.

Claims (4)

  1. 섬유상접촉재에 아가(agar)를 이용하여 영양성분을 코팅시켜 질화 미생물을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제거 미생물 고정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섬유상 접촉재가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제거 미생물 고정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영양성분이 코팅된 접촉재가 질소제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제거 미생물 고정화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영양성분은 암모니아성 질소 및 무기원소로 혼합되어 제조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제거 미생물 고정화 방법.
KR10-1999-0055224A 1999-12-06 1999-12-06 질소제거 미생물(암모니아성질소 → 질산성질소) 고정화방법 KR100455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224A KR100455335B1 (ko) 1999-12-06 1999-12-06 질소제거 미생물(암모니아성질소 → 질산성질소) 고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224A KR100455335B1 (ko) 1999-12-06 1999-12-06 질소제거 미생물(암모니아성질소 → 질산성질소) 고정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417A true KR20010054417A (ko) 2001-07-02
KR100455335B1 KR100455335B1 (ko) 2004-11-06

Family

ID=1962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224A KR100455335B1 (ko) 1999-12-06 1999-12-06 질소제거 미생물(암모니아성질소 → 질산성질소) 고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3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457B1 (ko) 2014-11-27 2016-07-08 갈민규 식물생장 촉진방법
KR102057374B1 (ko) 2017-09-26 2020-02-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그래뉼을 이용한 하수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9885A (ja) * 1988-07-29 1990-02-08 Nok Corp 微生物固定化ゲルの製造法
JPH07299496A (ja) * 1994-05-10 1995-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浴槽水浄化装置
JPH09163981A (ja) * 1995-12-15 1997-06-24 Toyo Manag Service:Kk 包括固定化微生物担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970061940A (ko) * 1996-02-28 1997-09-12 후지이 구니오 미생물의 증식고정화물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처리방법
KR19980045193A (ko) * 1996-12-09 1998-09-15 조규향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활성탄공존 포괄고정화 미생물담체 및 그 제조방법
JP3733705B2 (ja) * 1997-08-08 2006-01-11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担体の馴養運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5335B1 (ko) 200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3997B1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waste water containing ammonia
US8394272B2 (en) Method for removing the contamination of C,N utilizing heterotrophic ammonia-oxidizing bacteria
Yang et al. Isolation and nitrogen removal characteristics of an aerobic heterotrophic nitrifying–denitrifying bacterium, Bacillus subtilis A1
US7972513B2 (en) Process for treating nitrogenous wastewater with simultaneous autotrophic denitrification, hetertrophic denitrification and COD removal
Wang et al. Factors affecting simultaneous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SND) in a moving bed sequencing batch reactor (MBSBR) system as revealed by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s
CN102040281B (zh) 一种脱氮颗粒污泥的培养方法
CN108946944A (zh) 短程反硝化促进废水总氮去除的方法
CN106987547B (zh) 一株鲍曼不动杆菌及其应用
Anjali et al. Development of simultaneous partial nitrification, anammox and denitrification (SNAD) in a non-aerated SBR
CN105347618A (zh) 高氨氮废水的生物脱氮系统
US8940159B1 (en) Reduction and control of pH and soluble CO2 for optimal nitrification for domestic, industrial and municipal wastewater
CN106350471B (zh) 定向快速筛选富集广谱性硝化细菌的方法
JP5032564B2 (ja) 排水処理用の新規の微生物、及び対応する方法
RU2438997C2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загрязняющих соединений с и n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гетеротрофных бактерий, окисляющих аммоний
KR100455335B1 (ko) 질소제거 미생물(암모니아성질소 → 질산성질소) 고정화방법
Du et al. Mixed culture of nitrifying bacteria and denitrifying bacteria for simultaneous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Jones et al. Mechanisms of dinitrogen gas formation in anaerobic lagoons
Bhattacharya et al. Process optimization of a moving bed bioreactor undergoing simultaneous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for wastewater in the absence of organic carbon
Pappu et al. Nitrogen cycle in engineered and natural ecosystems—past and current
Joo et al. Application of alcaligenes faecalis no. 4 for treatment of high-strength ammonium wastewater
Wang et al. Nitrifier augmentation for high ammonia nitrogen removal by aerobic granular sludge at low temperatures
CN112777731A (zh) 一种促进厌氧氨氧化菌增殖的方法
CN112551688B (zh) 一种硫循环厌氧mbr耦合厌氧氨氧化处理石油化工废水的方法
CN114988588B (zh) 一种微生物驯化进行污水脱氮的方法
Dixit et al. A review on nitritati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