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001A -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001A
KR20010054001A KR1019990054587A KR19990054587A KR20010054001A KR 20010054001 A KR20010054001 A KR 20010054001A KR 1019990054587 A KR1019990054587 A KR 1019990054587A KR 19990054587 A KR19990054587 A KR 19990054587A KR 20010054001 A KR20010054001 A KR 20010054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rketing service
user
imag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연철
Original Assignee
류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연철 filed Critical 류연철
Priority to KR1019990054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4001A/ko
Publication of KR20010054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00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영되었거나 방영될 영상프로그램에 대한 각종 정보를 영상정보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영상정보로서, 검색 가능한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방영되었거나 방영된 영상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소품 및 촬영지에 대한 각종정보를 그 소품의 제조 또는 판매자 및 영상프로그램 촬영지와 관련된 상품의 판매자로부터 제공받아, 주제별로 분류하여 상품정보로서, 검색 가능한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 마케팅 서비스 이용자가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에 로그인 하는 단계, 마케팅 서비스 이용자가 상기 입력된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케팅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그 결과, 공중파 방송, 네트워크 방송 또는 영화 등의 영상물을 시청한 시청자가, 영상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소품 또는 촬영지 등에 대한 상품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주문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Method of Providing Marketing Service by Using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Apparatus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공중파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방영된 방송 프로그램 또는 영화, 비디오 등의 영상 프로그램의 촬영에서 소품 등으로 사용되는 가구, 비품, 인테리어, 의상, 악세서리 등의 제품과, 촬영지 등에 대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용자가 제품 등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된 제품을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 공중파 방송, 네트워크 방송 또는 영화 등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영상 프로그램의 시청 도중, 의상, 가구, 차량, 인테리어, 악세서리 등의 각종의 소품들을 보고, 구매욕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드라마 등의 촬영 배경지를 여행하고자 하는 욕구를 갖게 되기 쉽다. 그러나, 이 경우, 시청자는 상기 구매의사를 갖게된 소품의 제조사 또는 판매사를 알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촬영 배경지를 확인하기도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 진 것으로, 영상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영상정보)를 영상프로그램 등의 촬영에 사용되는 소품, 촬영지 등에 대한 정보(상품정보)와 함께 검색가능한 데이터 베이스로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가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중파 방송, 네트워크 방송 또는 영화 등의 영상물을 시청한 시청자가, 영상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소품 또는 촬영지 등에 대한 상품정보를 검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품을 주문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마케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제2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가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컴퓨터들과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하는 순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계 S4에서 이용자와 마케팅 서비스 제공장치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초기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송정보를 선택한 상태에서의 방송정보 검색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다수의 방송정보 프로그램 중 하나를 선택한 상태의 영상프로그램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소품정보를 선택한 상태에서 소품정보를 검색하면서, 영상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네트워크 2: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
3, 3': 이용자 컴퓨터 4, 4': 영상정보 제공자 컴퓨터
5, 5': 상품정보 제공자 컴퓨터 6: 금융결제기관 컴퓨터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방영되었거나 방영될 영상프로그램에 대한 각종 정보를 영상정보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영상정보로서, 검색 가능한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방영되었거나 방영된 영상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소품 및 촬영지에 대한 각종정보를 그 소품의 제조 또는 판매자 및 영상프로그램 촬영지와 관련된 상품의 판매자로부터 제공받아, 주제별로 분류하여 상품정보로서, 검색 가능한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 마케팅 서비스 이용자가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에 로그인 하는 단계, 마케팅 서비스 이용자가 상기 입력된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케팅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마케팅 서비스 이용자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한 영상정보 및 상품정보를 기초로, 상품구매를 청약하는 단계, 청약된 내용을 해당 상품 판매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및 청약 내용이 예약되었음을 상기 마케팅 서비스 이용자에게 확인시켜주는 단계를 더욱 포함시키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서, 상기 청약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구매를 청약하는서비스 이용자가 자신의 대금결재방식과 대금결재 계좌의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입력한 대금결재 계좌의 유효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서, 영상정보는, 영상프로그램의 방영 내용 중 적어도 일부를 동영상 데이터로서 포함하며, 상기 상품정보는 상기 영상정보와 상호 연계되어 검색 가능하도록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마케팅서비스의 제공방법을 실현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마케팅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처리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방법이 실현되는 네트워크 구성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성은, 인터넷 등의 공용의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된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2), 다수의 마케팅 서비스 이용자 컴퓨터(3, 3'), 다수의 상품판매자 컴퓨터(5, 5'), 다수의 영상정보제공자 컴퓨터(4, 4'), 금융결제기관 컴퓨터(6)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구성에서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한계를 부여하며, 금융결제기관 컴퓨터는 생략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전자서명 등의 인증을 위해서 전자서명 인증기관의 컴퓨터가 추가될 수도 있다.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2)는 여러 가지 형식으로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23, 24, 25)를 구비하여 검색을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데이터 베이스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23), 영상정보 데이터 베이스(24),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25)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23)는 가입된 사용자가 제공한 자신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의 여러 가지 검색내용, 구매내용 등에 대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정보 데이터 베이스(24)는 영상정보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이미 방영되었거나 또는 방영을 앞두고 있는 여러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영상프로그램 성격, 영상프로그램의 내용, 영상프로그램의 진행자 또는 연기자에 대한 정보 등이 문서,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영상프로그램 제공자에 의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제공된다.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25)는 영상프로그램에서 사용된 각종의 소품, 예를 들면, 가구, 인테리어, 의상, 악세서리 등에 대한 상품정보 또는 촬영지 관광패키지 상품, 교통상품, 촬영지의 숙박상품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상품정보 제공자에 의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제공된다.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 베이스(24)와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25)는 서로 독립적인 상태로 저장되는 것보다는 상호 연계된 상태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특정 영상정보를 선택하면, 그 영상정보가 제공하는 영상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소품 등에 대한 상품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또는 상품정보를 선택하면, 그 상품이 소품으로 사용된 영상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상품정보 및 영상정보는 상호 링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이용자 컴퓨터(3, 3')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하는 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2)에 접속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데이터 베이스(21, 22, 23)를 검색하기 위한 도구이다.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2)에 대한 서비스 이용자의 로그인(log-in)은 다수의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회원가입을 받아 운영될 수 있으며, 회원 가입 없이 운영될 수도 있다. 적어도, 이용자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의 검색을 요청함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자 컴퓨터(3, 3')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영상정보 제공자 컴퓨터(4, 4')는 자체의 데이터 베이스(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 방영되었거나, 방영될 영상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영상정보)를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하여 그 데이터 베이스(24)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2)에 로그인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의 검색요청과, 이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2)로부터의 정보전송 지시에 따라 그 정보를 직접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영상정보 제공자는 공중파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방송사 또는 영화제작사인 것이 일반적이다.
상품정보 제공자 컴퓨터(5, 5')는 영상프로그램에 제공된 소품 등의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제조사 또는 판매사가 제공하는 것으로서, 자신의 상품을 소개, 광고 또는 판매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51)를 별도로 가질 수 있다. 동일 또는 변형된 데이터를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2)로 전송하여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컴퓨터의 데이터 베이스(23)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2)에 접속중인 이용자의 검색요청과 이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2)로부터의 정보전송 지시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에게로 상품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와, 영상정보 제공자 컴퓨터, 상품정보 제공자 컴퓨터를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설명하였지만, 이 들 중 두 개 이상의 기능이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영상정보 제공자 및 상품정보 제공자 중, 둘 이상이 하나로 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하는 순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단계 S4인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 검색과정에서 사용자와의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단계 S1에서, 영상정보 제공자는 자신이 제작하여 이미 방영하였거나, 방영될 영상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정보의 입력은 마케팅서비스 제공자 컴퓨터의 데이터 베이스 중 할당된 영역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이 직접 제공하는 컴퓨터의 데이터 베이스 영역에 저장될 수도 있다. 즉,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2)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검색하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2)에서는 데이터의 연결만을 행하고(데이터 링크), 실제로는 영상정보 제공자 컴퓨터(4, 4')로부터 이용자 컴퓨터(3, 3')로 정보를 직접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의 단계 S2에서, 상품정보 제공자는 자신이 제공하였거나, 제공가능한 영상프로그램에서 사용된 가구, 의상, 악세서리, 인테리어 등의 소품 등에 대한 정보, 또는 그 영상프로그램의 촬영지 등에 대한 정보를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2)로 제공한다. 이 경우도, 상품정보는 상품정보 제공자가 별도 제공하는 상품정보 제공자 컴퓨터(5, 5')에 저장하여,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2)에서는 데이터의 연결만을 행하고(데이터 링크), 실제로는 상품정보 제공자 컴퓨터(5, 5')로부터 이용자 컴퓨터(3, 3')로 정보를 직접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영상정보 및 그 영상정보와 관련있는 상품정보를 서비스 이용자가 검색하기 용이하도록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2)의 컴퓨터 등에 제공한 후에, 도 2의 단계 S3에서 이용자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2)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게 된다.
그 후, 이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영상정보 및 그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자유롭게 검색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은, 상호 관련성을 가지고 저장된 영상정보 및 상품정보를 이용자가 검색하는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 도면에 도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므로, 실제 실시에서는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도 3은 초기화면이며, 사용자는 사용자정보, 영상정보, 소품정보 중 어느 것을 선택하여 검색을 시작할 수 있다. 도 4는 여러 영상정보를 검색하기 용이하도록 주제별로 분류한 것이며, 서비스 이용자는 검색을 원하는 방송채널 또는 영상프로그램을 선정할 수 있다.
도 5는 이용자가 어느 하나의 영상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그 영상프로그램에 대해 제공되는 영상정보를 확인하고 있는 중의 화면이다. 이때 영상정보로는 프로그램 개요, 출연자 정보, 소품정보, 촬영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송화면을 통해, 방영된 또는 방영될 영상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를 방영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영상프로그램 전부를 시청하도록(실시간 방송) 할 수도 있으며, 영상프로그램의 시청의 경우, 화면의 일부로 볼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별도의 창을 열어 확대하여 볼 수도 있다.
도 6은 현재 검색중인 영상프로그램에 대해서, 서비스 이용자가 그에 사용된 소품, 촬영지 등에 대한 상품정보를 검색중인 상태의 화면이다. 이때, 서비스 이용자는 방송화면(31)을 통해 프로그램을 시청함과 동시에, 별도로 준비된 소품화면(32)을 열어 소품 등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 방송화면(31)과 소품화면(32) 사이에 정보의 연계성을 부여하여서, 현재 방송중인 방송화면(31)에 나타난 소품 중 검색가능한 소품이 어느 것인지를 별도의 화면으로 동시에 게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화면(31)이 바뀜에 따라 소품화면(32)도 변화하도록 되어야 할 것이다. 방송화면(31)은 동영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소품화면(32)은 반드시 동영상이 아니어도 좋다.
구체적인 예로서, 방송화면(31)이 동영상인 경우, 소품화면(32)을 정지화상 및 텍스트를 포함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송화면(31)과 소품화면(32) 사이에 연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방송화면(31)을 구성하는 데이터프레임 중 제작자가 특정 프레임을 지적하고, 그 프레임이 방영되는 동안, 소품화면에는 그에 대응되게 설계된 정지화상, 또는 텍스트를 표시하도록, 방송화면(31) 데이터와 소품화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둘 사이의 데이터 연계를 위한 식별자를 추가하여 저장하여 두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연계를 위한 식별자의 부가방법에 대해서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소품정보 화면의 다른 예로서, 방송화면을 동영상으로 하지 않고 정지영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정지화상은 방영화면 중 필요한 부분을 캡쳐하거나, 또는 별도 제작하여 정지화상을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정지화상에는 제작자가 홍보하기를 원하는 소품들을 촬영한 상태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이용자는 정지화상에서 원하는 부분(예를 들면, 정지화상에 표시된 가구를)을 마우스 등으로 선택하여, 그 소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제조사, 판매가격 등)을 소품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소품화면은 새로운 페이지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상태의 화면을 검색하는 중에, 소품에 대해서 관심을 갖게 되는 경우, 구매신청화면(33)을 선택하면, 실시간 구매를 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으로, 방송시간과 관련 없이, 이용자는 원하는 시기에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영상정보 및 상품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이용자는 방송 등을 통해 방영된 영상프로그램의 소품,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영상프로그램에 소품 등을 제공한 제조사 또는 판매사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상품을 광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영상프로그램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율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단순히, 이용자가 영상프로그램 및 영상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소품 또는 촬영지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 이외에, 직접 그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면, 더욱 바람직하다.
도 2의 단계 S5 내지 단계 S14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전술한 방법으로 영상정보 및 상품정보를 확인한 서비스 이용자가 직접 그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서 S4까지에서 서비스 이용자가 필요한 검색을 완료 한 후, 이용을 종료하지 않고(S5), 전시된 소품 중 필요한 것을 구매하고자 구매청약을 하는 것(이는 도 S6의 구매신청화면(33)을 선택하여 여는 것으로 시작된다)으로 구매처리가 시작된다.
상품구매의 청약은 원하는 소품에 대해서 그 구매가격과, 결제방식에 동의하여, 구매신청신호를 마케팅서비스 제공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구매신청신호에는 자신의 결제방식과, 결제를 위한 계좌, 또는 신용카드 번호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단계 S7).
이 경우, 전자서명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특별한 인증기관의 인증 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매신청신호를 수신한 마케팅서비스 제공자 측에서는, 서비스 이용자즉, 구매자가 제시한 결제계좌, 신용카드 등이 사용가능한 것인지를 금융결제기관 컴퓨터 등을 통해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8).
단계 S8에서, 서비스 이용자 즉, 구매자가 제시한 결제계좌, 신용카드 등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그 사실을 서비스 이용자에게 통지하고, 새로운 계좌를 제시할 것을 요청하며, 결제계좌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단계 S9로 진행하여, 상품판매자 컴퓨터를 통해 구매예약을 신청하고, 상품판매자의 예약승인 여부를 확인한다.
이후, 상품판매자 등이 선약자가 있다는 이유 등으로 예약을 승인 받지 못하면, 그 결과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통지하고(S10 -> S13), 프로그램을 종료하거나 또는 영상정보, 상품정보를 계속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품판매자로부터 예약을 승인 받게 되면, 구매예약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고(S10 -> S11),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비스 이용을 종료하거나, 계속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상품판매자와 구매자(서비스 이용자) 사이의 예약에 여러 가지 선택사항이 부가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통편을 예약하는 경우, 등급과 좌석등에 대한 선택, 호텔을 예약하는 경우 투숙하고자 하는 방의 위치 등에 대한 선택 등이다. 이 경우, 그 기능이 매우 복잡한 경우나,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에 대한 설치와 삭제의 번거롭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전술한 과정 중 일부를 상품판매자의 컴퓨터에서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엄밀한 의미에서,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가 모든 제어를 행하는 것은 아니지만,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의 지시에 따라 그 기능의 일부를 다른 컴퓨터가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베이스의 일부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어느 컴퓨터에 저장되는가와는 본질적으로 상관이 없다. 다만,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가 네트워크 상에서 전술한 순차로 직접 작동하거나 다른 컴퓨터의 작동을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중요할 뿐이다.
전술한 구성의 본 발명을 제공한 결과, 공중파 방송, 네트워크 방송 또는 영화 등의 영상물을 시청한 시청자가, 영상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소품 또는 촬영지 등에 대한 상품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주문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5)

  1. 방영되었거나 방영될 영상프로그램에 대한 각종 정보를 영상정보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영상정보로서, 검색 가능한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방영되었거나 방영된 영상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소품 및 촬영지에 대한 각종정보를 그 소품의 제조 또는 판매자 및 영상프로그램 촬영지와 관련된 상품의 판매자로부터 제공받아, 주제별로 분류하여 상품정보로서, 검색 가능한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
    마케팅 서비스 이용자가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에 로그인 하는 단계,
    마케팅 서비스 이용자가 상기 입력된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의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마케팅 서비스 이용자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한 영상정보 및 상품정보를 기초로, 상품구매를 청약하는 단계,
    청약된 내용을 해당 상품 판매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및
    청약 내용이 예약되었음을 상기 마케팅 서비스 이용자에게 확인시켜주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의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약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구매를 청약하는 서비스 이용자가 자신의 대금결제방식과 대금결제 계좌의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입력한 대금결제 계좌의 유효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의 제공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는, 방영 내용 중 적어도 일부 동영상 데이터로 제공하며, 상기 상품정보는 상기 영상정보와 상호 연계되어 검색 가능하도록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서비스의 제공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마케팅서비스의 제공방법을 실현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마케팅서비스 제공장치.
KR1019990054587A 1999-12-02 1999-12-02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20010054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587A KR20010054001A (ko) 1999-12-02 1999-12-02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587A KR20010054001A (ko) 1999-12-02 1999-12-02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001A true KR20010054001A (ko) 2001-07-02

Family

ID=1962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587A KR20010054001A (ko) 1999-12-02 1999-12-02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40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108A (ko) * 2000-05-16 2000-08-05 장래복 영상매체의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정보제공방법과소품판매방법
KR20020011243A (ko) * 2000-08-01 2002-02-08 강형훈 상거래 시스템
KR100587925B1 (ko) * 2001-07-31 2006-06-09 윤효성 인터넷 추천 마켓팅 방법
WO2010062109A2 (ko) * 2008-11-25 2010-06-03 Yun Jin Hyo 영상 촬영 장소 중계 서버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108A (ko) * 2000-05-16 2000-08-05 장래복 영상매체의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정보제공방법과소품판매방법
KR20020011243A (ko) * 2000-08-01 2002-02-08 강형훈 상거래 시스템
KR100587925B1 (ko) * 2001-07-31 2006-06-09 윤효성 인터넷 추천 마켓팅 방법
WO2010062109A2 (ko) * 2008-11-25 2010-06-03 Yun Jin Hyo 영상 촬영 장소 중계 서버 및 방법
WO2010062109A3 (ko) * 2008-11-25 2010-09-23 Yun Jin Hyo 영상 촬영 장소 중계 서버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1306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shopping through television
US9137576B2 (en) Device based one button shopping using metadata
JP6770760B2 (ja) 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に関連するアイテムを販売促進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220565B1 (ko) Vod 컨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 소비자가 생성한분류된 광고를 tv 상에 전달하는 방법
TWI523539B (zh) 具有編碼辨識之網路媒體裝置
US20120079529A1 (en) Multiple device storefront for video provisioning system
KR20140043169A (ko) 향상된 전자상거래 쇼핑 방법 및 시스템
CN103430136A (zh) 基于图形瓦块的扩展单元指南
JP2006222620A (ja) 放送番組の広告入札受付システムおよび番組表示システム
JP5116727B2 (ja) 端末側の閲覧履歴に基づく広告配信システム及び広告配信方法
US88504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data for visual displays
JP2001076007A (ja) データ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装置
WO2007055036A1 (ja) アクティブボタン
US20100175091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ource for Ordering a Plurality of Products from a Plurality of Media
KR101174060B1 (ko) 광고 서비스 서버 시스템과 그에 연계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 시스템
JP4390448B2 (ja) 双方向ディジタルcm放送システム
US201300858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selling of products appearing on a display
US10771848B1 (en) Actionable contents of interest
KR20010054001A (ko)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US8613036B2 (en) Device for connection to a television set and method of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television signal
JP2002304572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オンライン取引支援システム、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2109259A (ja) 動画映像と通信ネットワークとを用いた商取引方法、商品発注システム、並びに、商品受注コンピュータ
KR20120072507A (ko) Iptv 오픈 마켓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09153A (ko) 아이피 티브이기반 상세 지역별 정보와 광고 제공을 통한주문, 결제 및 배송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20160010662A (ko) Ppl 광고상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