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3656A - 최적의 셀 식별 방법 - Google Patents

최적의 셀 식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3656A
KR20010053656A KR1019990054097A KR19990054097A KR20010053656A KR 20010053656 A KR20010053656 A KR 20010053656A KR 1019990054097 A KR1019990054097 A KR 1019990054097A KR 19990054097 A KR19990054097 A KR 19990054097A KR 20010053656 A KR20010053656 A KR 20010053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identifier
cell
bit
b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943B1 (ko
Inventor
송영준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1999-0054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943B1/ko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US09/725,514 priority patent/US7106690B2/en
Priority to EP00126208A priority patent/EP1107629B1/en
Priority to EP09006728A priority patent/EP2088812B1/en
Priority to AT00126208T priority patent/ATE471048T1/de
Priority to AT09006728T priority patent/ATE542378T1/de
Priority to DE60044524T priority patent/DE60044524D1/de
Priority to JP2000367829A priority patent/JP3853589B2/ja
Priority to CN00134112.XA priority patent/CN1227848C/zh
Publication of KR20010053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W-CDMA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다마드 코드(Hadamard code)를 사용하여 셀(=기지국)을 식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사이트 셀렉션 다이버시티 전송(Site Selection Diversity Transmit ; 이하, SSDT 라 약칭함)에서 각 셀을 식별하는데 있어 최적 성능의 셀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사용하며, 그에 따라 소프트 핸드오버 모드에서 최적의 다이버시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셀 식별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최적의 셀 식별 방법{optimal cell identif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W-CDMA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다마드 코드(Hadamard code)를 사용하여 셀(=기지국)을 식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세대 공동 프로젝트(3GPP :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 Radio Access Network) 규격에서는 SSDT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SSDT는 소프트 핸드오버 모드(soft handover mode)에서의 선택적인 대규모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기법으로, 이러한 SSDT 동작을 통해 사용자측(UE : User Equipment)은 "Primary"라는 활성군(active set)에 있는 셀들 중에서 한 개를 선택한다. 이 때 다른 모든 셀들은 "Non-primary"로 분류된다.
여기서 SSDT의 첫 번째 목적은 하향링크에서의 전송을 제1 순위(이하,Primary라 칭함) 셀에서 실행하도록 하여, 소프트 핸드오버 모드에서 다중 전송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을 줄이고자 함이다.
SSDT의 두 번째 목적은 사이트의 빠른 선택을 네트워크측(UTRAN :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개입없이 이행하여, 소프트 핸드오버의 이점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Primary 셀 선택을 위해서는 전송레벨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각 유효 셀들에게는 임시 식별자(temporary identification)가 할당되며, 사용자측(UE)은 Primary 셀에 해당되는 식별자 코드를 접속되어 있는 셀들에게 알린다.
이 때 사용자측(UE)은 유효 셀들(active cells)에 의해 전송된 공통 파일럿의 수신 레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비교하여 Primary 셀을 선택하며, 가장 큰 파일럿 전력을 가진 셀이 Primary 셀로 선택된다. 이후 사용자측(UE)에 의해 후순위(이하, Non-primary 라 칭함)로 선택된 셀들의 전송 전력을 단절시킨다.
Primary 셀의 식별자 코드는 상향링크 전용물리제어채널(DPCCH :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과 같은 제어채널의 여러 필드 중 피이드백 식별자(FBI : Feed-Back Indicator) 필드를 통해 활성군에 속해 있는 셀들에게 전달된다. 피이드백 식별자(FBI)는 한 개의 슬롯에 1비트 또는 2비트가 전송되는데, 피이드백 식별자(FBI)가 1비트인 경우는 한 무선프레임에 15비트가 전송되고, 피이드백 식별자(FBI)가 2비트인 경우는 한 무선프레임에 30비트가 전송된다. 이는 한 무선프레임이 15개의 타임슬롯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이상의 SSDT은 소프트 핸드오버 모드(soft handover mode)에서 활성군의 셀들에 근거한 네트워크측(UTRAN)에 의해 초기 동작되며, 이후 현재 소프트 핸드오버 주기 동안 활성화되어 있는 SSDT 옵션의 네트워크측(UTRAN)은 셀과 사용자측(UE)에게 이를 알린다.
이 때 임시 식별자가 활성군의 순서에 근거하여 할당되며, 활성화되어 있는 여러 유효 셀 및 사용자측(UE)에게 전달된다.
유효 리스트(Active list)를 수신한 특정 셀은 자신의 식별자 코드를 결정할 수 있는 그 리스트에서 자신의 등록 지위(entry position)를 알 수 있으며, 동시에 유효 리스트를 수신 중에 있는 사용자측(UE)은 그 리스트에서 셀이 등록하는 순서에 따른 유효 셀들의 각 식별자 코드를 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네트워크측(UTRAN)과 사용자측(UE)은 식별자 코드와 셀들간에 동일한 조합을 갖는다. 이 때 유효 리스트는 매번 갱신되며, 갱신된 유효 리스트는 모든 유효 셀들과 사용자측(UE)에 전달된다.
SSDT와 사용자측(UE) 인증(acknowledgement)의 활성화 이후 사용자측(UE)이 Primary 셀의 식별자 코드를 보내기 시작하는데, 성공적인 SSDT의 활성화와 사용자측(UE) 인증 수락에 따라 유효 셀들은 Primary 셀 식별자 정보를 검출하기 시작한다.
다음은 임시 셀 식별자의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SSDT 동안 각 셀에게 임시 식별자가 부여되며, 이 식별자는 사이트 셀렉션 신호(Site Selection signal)로써 사용된다.
상위계층에서 SSDT 모드로 사용자측(UE)과 셀간 전송할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사용자측(UE)은 유효 셀 중 가장 적절한 하나의 셀을 Primary 셀로 정하여 피이드백 식별자(FBI) 필드를 통해 네트워크측(UTRAN)에 알려 주게 된다.
또한 SSDT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하나의 셀에서만 신호가 전송되므로, 나머지 유효 셀들에 대해서는 셀간 간섭이 줄어들어 셀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임시 셀 식별자는 특정 비트길이를 갖는 이진 비트 시퀀스로 부여되며, 이를 다음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에는 한 슬롯에 피이드백 식별자(FBI)가 1비트 전송되는 경우의 임시 식별자 코드이며, 표 2는 한 슬롯에 피이드백 식별자(FBI)가 2비트 전송되는 경우의 임시 식별자 코드이다.
다음 표 1과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임시 식별자 코드는 "Long", "Medium", 그리고 "Short"의 3가지 형태를 가지며, 이들 각각의 형태에 대해 모두 8가지 코드가 있다. 이들 임시 식별자 코드는 반드시 한 프레임 내에서 전송되어야 하는데, 만약 임시 식별자 코드를 한 프레임의 각 피이드백 식별자(FBI) 필드에 전부 삽입하여 전송하지 못하고 두 프레임에 삽입하여 전송할 경우에는 임시 식별자 코드의 마지막 비트가 펑쳐링(Puncturing)된다.
식별자 라벨 식별자 코드
Long Medium Short
a 000000000000000 0000000(0) 00000
b 111111111111111 1111111(1) 11111
c 000000001111111 0000111(1) 00011
d 111111110000000 1111000(0) 11100
e 000011111111000 0011110(0) 00110
f 111100000000111 1100001(1) 11001
g 001111000011110 0110011(0) 01010
h 110000111100001 1001100(1) 10101
식별자 라벨 식별자 코드
Long Medium Short
a 0000000(0)0000000(0) 000(0)000(0) 000000
b 1111111(1)1111111(1) 111(1)111(1) 111111
c 0000000(0)1111111(1) 000(0)111(1) 000111
d 1111111(1)0000000(0) 111(1)000(0) 111000
e 0000111(1)1111000(0) 001(1)110(0) 001100
f 1111000(0)0000111(1) 110(0)001(1) 110011
g 0011110(0)0011110(0) 011(0)011(0) 010010
h 1100001(1)1100001(1) 100(1)100(1) 101101
상기한 표 1과 표 2에 나타낸 임시 식별자 코드의 특성을 보면, 한 슬롯에 피이드백 식별자(FBI)가 1비트 전송되는 경우에 코드길이가 15비트인 8개의 long 식별자 코드는 최대 상호 상관함수 값이 "1", 해밍 거리는 최대 7(dmin=7)이 되며, 코드길이가 7비트인 8개의 medium 식별자 코드는 최대 상호 상관함수 값이 "1", 해밍 거리는 최대 3(dmin=3)이 된다. 그리고 코드길이가 5비트인 8개의 short 식별자 코드는 최대 상호 상관함수 값이 "1", 해밍 거리는 최대 2(dmin=2)가 된다. 여기서 코드길이가 7비트인 medium 식별자 코드는 길이가 8비트인 코드에서 마지막 비트를펑쳐링한 것이다.
다음 한 슬롯에 피이드백 식별자(FBI)가 2비트 전송되는 경우에 코드길이가 14비트인 8개의 long 식별자 코드는 최대 상호 상관함수 값이 "2", 해밍 거리는 최대 6(dmin=6)이 되며, 코드길이가 6비트인 8개의 medium 식별자 코드와 코드길이가 6비트인 8개의 short 식별자 코드는 최대 상호 상관함수 값이 각각 "2", 해밍 거리는 각각 최대 2(dmin=2)가 된다. 여기서 코드길이가 14비트인 long 식별자 코드는 표 2의 마지막 열(last column)에 해당하는 2비트가 펑쳐링되며, 코드길이가 6비트인 medium 식별자 코드도 또한 마지막 열에 해당하는 2비트가 펑쳐링된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SSDT 및 사용자측(UE) 인증(acknowledgement)의 활성화 이후 사용자측(UE)이 상기한 임시 식별자 코드 중 하나를 Primary 셀 식별자 코드로 결정하여 전달할 때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피이드백 식별자(FBI) 필드를 통해 주기적으로 전달한다.
만약 어느 셀이 자신의 식별자 코드와 일치되지 않은 Primary 식별자 코드를 수신하거나 이 셀에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의 품질이 네트워크측(UTRAN)에 의해 정의되는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 셀은 Non-primary 셀이 된다.
다음 SSDT의 종료는 네트워크측(UTRAN)에 의해 결정된다. 네트워크측(UTRAN)은 소프트 핸드오버의 종료 절차와 동일한 방식으로 SSDT를 종료하고 이 사실을 모든 셀들과 사용자측(UE)에게 알린다.
이와 같은 종래의 SSDT에서 각 셀을 식별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셀 식별 코드의 성능은 최대 상호 상관함수 값 또는 해밍 거리(Hamming distance)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따라 최대 상호 상관함수 값이 작거나 해밍 거리가 최대인 최적의 셀 식별 코드가 현재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보다 우수한 성능을 내는 셀 식별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SSDT에서 각 셀을 식별하는데 있어 최적 성능의 셀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사용하며, 그에 따라 소프트 핸드오버 모드에서 최적의 다이버시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셀 식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셀 식별 방법의 특징은, 사용자측(UE)이 사이트 셀렉션 다이버시티 전송(SSDT) 동안 하다마드 코드를 사용하여 생성된 임시 식별자 코드를 각 유효 셀에게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측(UE)이 상기 각 유효 셀들에 의해 전송된 공통 파일럿의 수신 레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Primary 셀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측(UE)이 상기 선택된 Primary 셀에 해당되는 식별자 코드를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피이드백 식별자(FBI) 필드를 통해 주기적으로 전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시 식별자 코드는 경우에 따라 8비트 길이 또는 16비트 길이인 하다마드 코드의 첫 번째 비트를 펑쳐링하여 생성되며, 상기 전달되는 식별자 코드는 상기 제어채널의 각 무선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슬롯의 피이드백 식별자 필드에 1비트씩 또는 2비트씩 삽입된다.
또한, 상기 Primary 셀에 대한 식별자 코드가 상기 피이드백 식별자 필드에 1비트씩 삽입될 경우에는, 상기 부여된 임시 식별자 코드의 길이가 15비트일 때 코드길이가 16비트인 하다마드 코드의 첫 번째 비트를 펑쳐링하여 상기 Primary 셀에 대한 식별자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임시 식별자 코드의 길이가 7비트일 때 코드길이가 8비트인 하다마드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Primary 셀의 식별자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전달 시에는 수회 반복한 후 전달 가능 비트를 초과하는 만큼의 비트를 펑쳐링하고, 상기 임시 식별자 코드의 길이가 5비트일 때 코드길이가 8비트인 하다마드 코드에서 첫 번째, 다섯 번째, 그리고 여덟 번째 비트를 펑쳐링하여 상기 Primary 셀의 식별자 코드를 생성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Primary 셀에 대한 식별자 코드가 상기 피이드백 식별자 필드에 2비트씩 삽입될 경우에는, 상기 부여된 임시 식별자 코드의 길이가 14비트일 때 코드길이가 16비트인 하다마드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Primary 셀에 대한 식별자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전달 시에는 수회 반복한 후 전달 가능 비트를 초과하는 만큼의 비트쌍을 펑쳐링하고, 상기 부여된 임시 식별자 코드의 길이가 6비트일 때 코드길이가 8비트인 하다마드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Primary 셀에 대한 식별자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전달 시에는 수회 반복한 후 전달 가능 비트를 초과하는 만큼의 비트쌍을 펑쳐링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부여된 임시 식별자 코드의 길이가 6비트일 경우, 코드길이가 8비트인 하다마드 코드의 4비트쌍 중에서 첫 번째 비트쌍을 펑쳐링하여 상기 Primary 셀에 대한 식별자 코드가 생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임시 식별자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다마드 코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셀 식별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임시 셀 식별자는 특정 비트길이를 갖는 이진 비트 시퀀스로 부여되며, 본 발명에서 제안한 임시 식별자 코드를 다음 표 3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3에는 한 슬롯에 피이드백 식별자(FBI)가 1비트 전송되는 경우의 임시 식별자 코드이며, 표 4는 한 슬롯에 피이드백 식별자(FBI)가 2비트 전송되는 경우의 임시 식별자 코드이다.
현재 3GPP 규격에 따르면 피이드백 식별자(FBI)는 폐쇄 루프 전송 다이버시티(Closed Loop Transmit Diversity)를 위한 정보비트 전송과 상보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음 표 3과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임시 식별자 코드는 "Long", "Medium", 그리고 "Short"의 3가지 형태를 가지며, 이들 각각의 형태에 대해 모두 8가지 코드가 있다. 이들 임시 식별자 코드는 반드시 한 프레임 내에서 전송되어야 하는데, 만약 임시 식별자 코드를 한 프레임의 각 피이드백 식별자(FBI) 필드에 전부 삽입하여 전송하지 못하고 두 프레임에 삽입하여 전송할 경우에는 임시 식별자 코드의 첫 번째 비트 또는 첫 번째 비트쌍이 펑쳐링(Puncturing)된다.
식별자 라벨 식별자 코드
Long Medium Short
A 000000000000000 (0)0000000 00000
B 101010101010101 (0)1010101 10110
C 011001100110011 (0)0110011 01101
D 110011001100110 (0)1100110 11011
E 000111100001111 (0)0001111 00011
F 101101001011010 (0)1011010 10101
G 011110000111100 (0)0111100 01110
H 110100101101001 (0)1101001 11000
식별자 라벨 식별자 코드
Long Medium Short
A (0)0000000(0)0000000 (0)000(0)000 000000
B (0)0000000(1)1111111 (0)000(1)111 000111
C (0)1010101(0)1010101 (0)101(0)101 101101
D (0)1010101(1)0101010 (0)101(1)010 101010
E (0)0110011(0)0110011 (0)011(0)011 011011
F (0)0110011(1)1001100 (0)011(1)100 011100
G (0)1100110(0)1100110 (0)110(0)110 110110
H (0)1100110(1)0011001 (0)110(1)001 110001
상기한 표 3과 표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임시 식별자 코드의 특성을 보면, 한 슬롯에 피이드백 식별자(FBI)가 1비트 전송되는 경우에 코드길이가 15비트인 8개의 long 식별자 코드는 최대 상호 상관함수 값이 "-1", 해밍 거리는 최대 8(dmin=8)이 되며, 코드길이가 7비트인 8개의 medium 식별자 코드는 최대 상호 상관함수 값이 "-1", 해밍 거리는 최대 4(dmin=4)가 된다. 그리고 코드길이가 5비트인 8개의 short 식별자 코드는 최대 상호 상관함수 값이 "1", 해밍 거리는 최대 2(dmin=2)가 된다. 여기서 코드길이가 7비트인 medium 식별자 코드는 길이가 8비트인코드에서 첫 번째 비트를 펑쳐링한 것이다.
다음 한 슬롯에 피이드백 식별자(FBI)가 2비트 전송되는 경우에 코드길이가 14비트인 8개의 long 식별자 코드는 최대 상호 상관함수 값이 "0", 해밍 거리는 최대 7(dmin=7)이 되며, 코드길이가 6비트인 8개의 medium 식별자 코드와 코드길이가 6비트인 8개의 short 식별자 코드는 최대 상호 상관함수 값이 각각 "0", 해밍 거리는 각각 최대 3(dmin=3)이 된다. 여기서 코드길이가 14비트인 long 식별자 코드는 표 4의 첫 번째 열(first column)에 해당하는 2비트가 펑쳐링되며, 코드길이가 6비트인 medium 식별자 코드도 또한 첫 번째 열에 해당하는 2비트가 펑쳐링된다.
사용자측(UE)은 상기한 임시 식별자 코드 중 하나를 Primary 셀 식별자 코드로 결정하여 전달하며, 이 때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피이드백 식별자(FBI) 필드를 통해 주기적으로 전달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표 3과 표 4의 각 임시 식별자 코드는 다음 하다마드 코드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길이가 8비트인 하다마드 코드와 길이가 16비트인 하다마드 코드를 다음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하다마드 코드를 사용한 임시 식별자 코드의 생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하다마드 코드의 첫 번째 비트가 "0"이라는 점을 이용한다. 이를 이용하면 식별자 코드를 수신한 수신측에서 이를 디코딩(decoding) 할 때 송신측에서 펑쳐링된 비트를 미리 알 수 있으므로 디코딩 이득이 생긴다.
상기한 표 3과 같이 한 슬롯에 피이드백 식별자(FBI)가 1비트 전송되는 경우의 임시 식별자 코드들은 다음과 같이 생성된다. 그런데 다음의 각 경우에는 하다마드 코드의 첫 번째 비트가 모두 "0"인 점을 이용하여 하다마드 코드의 첫 번째 비트를 펑쳐링하며, 이는 설정되는 임시 식별자 코드에 대한 해밍 거리의 감소가 없기 때문이다.
먼저 코드길이가 15비트인 8개의 long 식별자 코드는 코드길이가 16비트인 하다마드 코드의 첫 번째 비트를 펑쳐링하여 생성된다.
코드길이가 7비트인 8개의 medium 식별자 코드는 코드길이가 8비트인 하다마드 코드를 그대로 사용한다. 그런데 하나의 무선프레임에 삽입되어 전송되는 식별자 코드의 비트길이는 15비트이므로, 8비트 하다마드 코드를 사용하는 medium 식별자 코드는 두 번 반복하여 보낼 수 있다. 그러나 8비트의 두 번 반복에 의해 각 무선프레임당 전송 가능한 비트를 1비트 초과하게 되므로, 표 3에 나타낸 것처럼 반복되는 8비트 하다마드 코드 중 첫 번째 비트를 펑쳐링한 후 전송한다.
코드길이가 5비트인 8개의 short 식별자 코드는 코드길이가 8비트인 하다마드 코드에서 첫 번째, 다섯 번째, 그리고 여덟 번째 비트를 펑쳐링하여 생성된다.
상기한 표 4와 같이 한 슬롯에 피이드백 식별자(FBI)가 2비트 전송되는 경우의 임시 식별자 코드들은 다음과 같이 생성된다. 다음의 각 경우에도 하다마드 코드의 첫 번째 비트가 모두 "0"인 점을 이용하여 하다마드 코드의 첫 번째 비트를 펑쳐링한다.
먼저 코드길이가 14비트인 8개의 long 식별자 코드는 코드길이가 16비트인하다마드 코드를 그대로 사용한다. 그런데 이 경우에 하나의 무선프레임에 삽입되어 전송되는 식별자 코드의 비트길이는 30비트이므로, 16비트 하다마드 코드를 사용하는 long 식별자 코드는 두 번 반복하여 보낼 수 있다. 그러나 16비트의 두 번 반복에 의해 각 무선프레임당 전송 가능한 비트를 2비트 초과하게 되므로, 표 4에 나타낸 것처럼 반복되는 16비트 하다마드 코드 중 첫 번째 비트쌍을 펑쳐링한 후 전송한다.
코드길이가 6비트인 8개의 medium 식별자 코드는 코드길이가 8비트인 하다마드 코드를 그대로 사용한다. 그런데 이 경우에 하나의 무선프레임에 삽입되어 전송되는 식별자 코드의 비트길이는 30비트이므로, 8비트 하다마드 코드를 사용하는 medium 식별자 코드는 네 번 반복하여 보낼 수 있다. 그러나 8비트의 네 번 반복에 의해 각 무선프레임당 전송 가능한 비트를 2비트 초과하게 되므로, 표 4에 나타낸 것처럼 반복되는 8비트 하다마드 코드 중 하나에서 첫 번째 비트쌍을 펑쳐링한 후 전송한다.
코드길이가 6비트인 8개의 short 식별자 코드는 코드길이가 8비트인 하다마드 코드의 4비트쌍 중에서 첫 번째 비트쌍을 펑쳐링하여 생성된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SSDT 및 사용자측(UE) 인증(acknowledgement)의 활성화 이후 사용자측(UE)이 상기한 임시 식별자 코드 중 하나를 Primary 셀 식별자 코드로 결정하여 전달할 때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피이드백 식별자(FBI) 필드를 통해 주기적으로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음 표 5와 같은 또다른 임시 식별자 코드를 제안한다.
표 5의 임시 식별자 코드는 한 슬롯에 피이드백 식별자(FBI)가 1비트 전송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식별자 라벨 식별자 코드
Long Medium Short
A 000000000000000 (0)0000000 00000
B 101010101010101 (0)1010101 11111
C 011001100110011 (0)0110011 00011
D 110011001100110 (0)1100110 11100
E 000111100001111 (0)0001111 00110
F 101101001011010 (0)1011010 11001
G 011110000111100 (0)0111100 01010
H 110100101101001 (0)1101001 10101
상기한 표 5의 임시 식별자 코드는 앞에서 언급한 표 3의 임시 식별자 코드와 비교해 볼 때 "Long", "Medium", 그리고 "Short"의 3가지 형태 중 "Short 코드"가 다르다. 즉 현재 3GPP 규격에서 한 슬롯에 피이드백 식별자(FBI)가 1비트인 경우 short 식별자 코드는 상호 상관함수 값이 "2"로써 이미 최적화되어 있으므로, short 식별자 코드에 대해서만 기존의 코드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임시 식별자 코드는 SSDT 외에도 사용자측(UE)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셀 정보를 네트워크측(UTRAN)에 전달하고 할 때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호 상관 특성 및 해밍 거리에 대해 최적화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셀 식별 방법에 따르면, SSDT에서 각 셀을 식별하는데 있어 하다마드 코드에 기반한 셀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주기가 빠른 식별자 코드의 사용을 최대화 시켜 페이딩 채널에서의 시스템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셀 식별 코드를 수신하여 디코딩 함에 있어 송신측에서 펑쳐링된 비트를 미리 수신측에서 알 수 있으므로 디코딩할 때 이득이 극대화된다는 것이다.
그 밖에도 최대 상호 상관함수의 절대값이 작고 해밍 거리는 최대가 되는 하다마드 코드에 기반한 최적의 셀 식별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소프트 핸드오버 모드에서 최적의 다이버시티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Claims (3)

  1. 사용자측(UE)이 사이트 셀렉션 다이버시티 전송(SSDT) 동안 하다마드 코드를 사용하여 생성된 임시 식별자 코드를 각 유효 셀에게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측(UE)이 상기 각 유효 셀들에 의해 전송된 공통 파일럿의 수신 레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Primary 셀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측(UE)이 상기 선택된 Primary 셀에 해당되는 식별자 코드를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피이드백 식별자(FBI) 필드를 통해 주기적으로 전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의 셀 식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식별자 코드는 경우에 따라 8비트 길이 또는 16비트 길이인 하다마드 코드의 첫 번째 비트를 펑쳐링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의 셀 식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되는 식별자 코드는 상기 제어채널의 각 무선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슬롯의 피이드백 식별자 필드에 1비트씩 또는 2비트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의 셀 식별 방법.
KR10-1999-0054097A 1999-12-01 1999-12-01 최적의 셀 식별 방법 KR100407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097A KR100407943B1 (ko) 1999-12-01 1999-12-01 최적의 셀 식별 방법
EP00126208A EP1107629B1 (en) 1999-12-01 2000-11-30 Method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optimal cell ID codes
EP09006728A EP2088812B1 (en) 1999-12-01 2000-11-30 Method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optimal cell ID codes
AT00126208T ATE471048T1 (de) 1999-12-01 2000-11-30 Verfahren zur erzeugung und übertragung von optimalen zellidentitätskodes
US09/725,514 US7106690B2 (en) 1999-12-01 2000-11-30 Method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optimal cell ID codes
AT09006728T ATE542378T1 (de) 1999-12-01 2000-11-30 Verfahren zur erstellung und übertragung optimaler zellen-id-codes
DE60044524T DE60044524D1 (de) 1999-12-01 2000-11-30 Verfahren zur Erzeugung und Übertragung von optimalen Zellidentitätskodes
JP2000367829A JP3853589B2 (ja) 1999-12-01 2000-12-01 最適のセル識別コード生成及びその伝送方法
CN00134112.XA CN1227848C (zh) 1999-12-01 2000-12-01 用于产生和发送最佳蜂窝标识符码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097A KR100407943B1 (ko) 1999-12-01 1999-12-01 최적의 셀 식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656A true KR20010053656A (ko) 2001-07-02
KR100407943B1 KR100407943B1 (ko) 2003-12-01

Family

ID=1962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097A KR100407943B1 (ko) 1999-12-01 1999-12-01 최적의 셀 식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9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5892A1 (en) * 2002-08-10 2004-02-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optimal cell id code
KR100454955B1 (ko) * 2002-08-07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 셀 식별자 코드 할당 방법
KR100754794B1 (ko) * 2004-05-29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셀 식별 코드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955B1 (ko) * 2002-08-07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 셀 식별자 코드 할당 방법
WO2004015892A1 (en) * 2002-08-10 2004-02-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optimal cell id code
US7062290B2 (en) 2002-08-10 2006-06-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optimal cell ID code
KR100754794B1 (ko) * 2004-05-29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셀 식별 코드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7943B1 (ko) 200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3589B2 (ja) 最適のセル識別コード生成及びその伝送方法
AU7689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TFCI used for DSCH in a W-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242317B1 (en) Signaling mimo allocations
EP1289328A1 (en) A method of send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corresponding apparatus
US20150319704A1 (en) Power ramping for rach
US10412686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ope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mobile station
EP2880792B1 (e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o a user equipment (ue)
KR100896993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식별자 할당 및 전송 방법
US7190691B2 (en) Method of controlling timing for uplink synchronous transmission scheme
KR20010053656A (ko) 최적의 셀 식별 방법
KR10045495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 셀 식별자 코드 할당 방법
KR100672401B1 (ko) 최적의 셀 식별 코드 생성 및 그의 전송 방법
KR100672559B1 (ko) 최적의 셀 식별 코드 생성 및 그의 전송 방법
KR100662267B1 (ko) 공통 패킷 채널의 할당 방법 및 공통 패킷 채널을 통해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 송수신 장치
KR20010069147A (ko) 최적의 셀 식별 코드 생성 및 그의 전송 방법
US20030216123A1 (en) System and method to initiate reliable reception on a packet data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