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193A - 강염기 및 친전자체를 사용하여 7-하이드록실을보호함으로써 바카틴 iii으로부터 파클리탁셀을합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강염기 및 친전자체를 사용하여 7-하이드록실을보호함으로써 바카틴 iii으로부터 파클리탁셀을합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193A
KR20010052193A KR1020007009656A KR20007009656A KR20010052193A KR 20010052193 A KR20010052193 A KR 20010052193A KR 1020007009656 A KR1020007009656 A KR 1020007009656A KR 20007009656 A KR20007009656 A KR 20007009656A KR 20010052193 A KR20010052193 A KR 20010052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litaxel
protected
cbz
formula
side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시스 에스. 깁슨
Original Assignee
스티븐 비. 데이비스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븐 비. 데이비스,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컴파니 filed Critical 스티븐 비. 데이비스
Publication of KR20010052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19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oxy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카틴 III을 용매 중에서 강염기로 처리하고, 용액에 친전자체를 가하여 7-O-보호된 바카틴 III 유도체를 형성시키고, 7-O-보호된 바카틴 III 유도체를 용매 중에서 보호된 파클리탁셀 측쇄와 반응시켜 보호된 파클리탁셀 측쇄를 7-O-보호된 바카틴 III의 13-하이드록실에 커플링시키고, 이어서 보호된 파클리탁셀 측쇄 및 7-O-보호기를 탈보호시켜 파클리탁셀을 형성시키는 방법 및 이 방법에서 사용된 중간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염기 및 친전자체를 사용하여 7-하이드록실을 보호함으로써 바카틴 III으로부터 파클리탁셀을 합성하는 방법 {Synthesis of Paclitaxel Baccatin III by Protecting the 7-Hydroxyl Using a Strong Base and an Electrophile}
디테르펜 탁산 화합물인 파클리탁셀 (탁솔)은 태평양 주목나무 (Pacific yew tree; Taxus Brevifolia)의 나무껍질로부터 추출된 천연산물이다. 이것은 생체내 동물모델에서 탁월한 항종양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최근의 연구에 의해 세포주기 중에서 투불린의 비정상적인 중합 및 유사분열의 붕괴를 포함하는 그의 독특한 작용양식이 설명되었다. 탁솔은 최근에 난치성의 진행된 난소암, 유방암 및 가장 최근에는 AIDS-관련된 카포시육종을 치료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파클리탁셀 임상시험의 결과는 과학잡지에 충분히 개시되어 있으며, 다양한 저자에 의해 검토되었다 [예를들어, Rowinsky and Donehower in The Clinical Pharmacology and Use of Antimicrotubule Agents in Cancer Chemotherapeutics, Phamac. Ther., 52, pp. 35-84 (1991); Spencer and Faulds, Paclitaxel, A Review of its Pharmacodynamic and Pharmacokinetic Properties and Therapeutic Potential in the Treatment of Cancer, Drugs, 48 (5), pp. 794-847 (1994); K.C. Nicolau et al., Chemistry and Biology of Taxol, Angew. Chem., Int. Ed. Eng., 33, pp. 15-44 (1994); F.A. Holmes, A.P. Kudelka, J.J. Kavanaugh, M.H. Huber, J.A. Ajani, and V. Valero, "Taxane Anticancer Agents-Basic Science and Current Status", edited by Gunda I Georg, Thomas C. Chen, Iwao Ojima, and Dolotrai M. Vyas, pp. 31-57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 D.C. (1995); Susan G. Arbuck and Barbara Blaylock, "TaxolScience and Applications", edited by Matthew Suffness, pp. 379-416, CRC Press, Boca Raton, FL (1995) 및 이들에 인용된 문헌들].
탁소테르 (Taxotere)(도세탁솔)라고 불리우는 파클리탁셀의 반합성 동족체도 또한 우수한 항종양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탁솔 및 탁소테르의 구조는 탁산 계열에 속하는 분자의 통상적인 넘버링 (numbering) 시스템과 함께 이하에 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넘버링 시스템은 또한 본 출원에서도 이용된다:
탁솔 (Taxol)(파클리탁셀): R = 페닐; R' = 아세틸, 2
탁소테르 (Taxotere): R = t-부톡시; R' = 수소
탁산의 넘버링과 관련하여, 탁산 구조 상의 특정 산소에 대한 언급은 본 출원에서 상기 넘버링 시스템에 따르는 탁산 상의 탄소를 의미하는 "C-번호"로 언급한다. 예를들어, "C-13"은 상기 제시된 탁산환 상의 13 위치에 존재하며, 거기에 커플링되어 있는 측쇄를 갖는 탄소를 의미한다. 또한, 화합물 명칭 및 구조 다음에 굵은 글씨체로 된 숫자는 이하에 제시된 선행기술의 파클리탁셀 합성방법 및 반응식 1-3에 설명된 화합물을 지칭하는 것이다.
파클리탁셀의 중심 골격구조 유니트는 이하의 화학구조를 갖는 디테르페노이드인 바카틴 III 1이다:
이것은 또한 구조적인 면에서, 이하의 화학구조를 갖지만 10-위치 알콜에 아세테이트 에스테르가 결여된 10-데아세틸바카틴 III 3 ("10-DAB")과 매우 유사하다:
파클리탁셀을 함유하는 시판되고 있는 약제학적 제제는 예를들어, 난소 및 유방암, 및 가장 최근에는 AIDS-관련된 카포시육종의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파클리탁셀은 또한 다른 암의 치료에 대해서도 임상적 연구에서 유망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결과적으로, 파클리탁셀에 대한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 및 임상시험을 위해 해가 거듭됨에 따라 훨씬 증가된 양의 파클리탁셀이 필요하다. 파클리탁셀은 탁수스 브레비폴리아 (Taxus brevifolia)의 나무껍질로부터 저수율로 어렵게 추출된다 (약물 약 1 ㎏이 탁수스 브레비폴리아 나무 3000 그루의 나무껍질로부터 분리된다). 적절한 수율로 추출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파클리탁셀을 합성하기 위한 대체공급원이 필요하다.
10-DAB는 현재 파클리탁셀의 반합성을 위한 출발물질이며, 유럽 주목나무 (European Yew Tree)(Taxus baccata L.)의 잎과 가는 가지로부터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그러나, 바카틴 III, 10-DAB 및 그밖의 다른 탁산 화합물들은 파클리탁셀에 의해 증명되는 정도의 항종양활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바카틴 III, 10-DAB 및 그밖의 다른 탁산 화합물들로부터 파클리탁셀을 반합성하는 것은 큰 관심의 대상이며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10-DAB와 탁솔의 구조적 유사성은 10-DAB가 탁솔로 전환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과는 모순되는 것이며, 실제로 이 전환반응을 매우 문제가 되게 한다. 실제로, 유사하게 반응성인 C-7 및 C-10 하이드록실 작용기에 요구되는 차별화 및 부피가 크며 적절히 보호된 탁솔의 N-벤조일페닐이소세린 (β-아미도 에스테르) 측쇄에 의한 접근이 어려운 C-13 하이드록실기의 선택적 에스테르화는 단지 특정한 보호기를 사용하여 특별히 개발된 반응조건 하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참조: J.N. Denis et al., A Highly Efficient, Practical Approach to Natural Taxol, J. Am. Chem. Soc. 110, pp. 5917-5918, 1988]. 이러한 C-13에서의 에스테르화는 커플링 반응단계이며, 이 반응은 비록 반구형 탁산 골격의 오목한 부분 내의 그의 위치 및 이 위치의 주위에서 및 13-하이드록실과 4-아세톡실기 사이의 수소결합에 의한 상당한 입체장해로 인하여 지루한 반응이지만, C-13에 측쇄가 존재하는 것이 항종양활성에 필요하기 때문에 탁솔 또는 탁솔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유도체의 계획된 모든 합성방법에서 요구되는 주요단계이다 [참조: Wani et al., J. Am. Chem. Soc. 93, pp. 2325 (1971)].
합성방법들은 이미 과학문헌 및 특허문헌들에 기술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문헌에 공지된 파클리탁셀을 합성하는 3가지 상이한 경로를 검토한다. 첫번째 두가지 경로는 10-DAB의 선택적 실릴화 및 아세틸화로부터 수득된 7-O-TES (트리에틸실릴) 바카틴 III 4를 이용한다.
파클리탁셀 합성의 첫번째 경로 - 선행기술
홀튼 교수 (Professor R.A. Holton)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합중국특허 제 5,274,124호에 기술된 첫번째 경로는 7-O-TES-바카틴 III 4의 리튬 음이온을 β-락탐과 반응시켜 C-13 위치에 필요한 파클리탁셀 아미노산 측쇄를 도입시킨다. 7-O-TES 보호된 바카틴 III 4는 그린 (Greene) 등에 의해 문헌 [J. Am. Chem. Soc. 110, pp. 5917 (1988)]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파클리탁셀 합성의 두번째 경로 - 선행기술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 (Bristol-Myers Squibb)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미합중국특허출원 제 07/995,443호에 기술되어 있고, 디.지.아이. 킹스톤 (D.G.I. Kingston) 등에 의해 문헌 [Tetrahedron Letters 35, p. 4483 (1994)]에 기술되어 있는 (이들 두가지는 모두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두번째 경로는 7-O-TES-바카틴 III 4를 DCC 또는 유사한 탈수화제를 사용하여 옥사졸린카르복실산 5와 커플링시킨다.
파클리탁셀 합성의 세번째 경로 - 선행기술
10-DAB로부터 파클리탁셀을 합성하는 것으로 7-O-TROC 바카틴 III 6을 보호된 β-페닐이소세린 측쇄 7과 커플링시키는 세번째 경로는 롱-프랑 로러 (Rhone-Poulenc Rorer)에서 에이. 코머콘 (A. Commercon) 등에 의해 개발되었다 [참조: A. Commercon et al., Tetrahedron Letters 33, pp. 5185-5188 (1992)]. 그러나, 이 경로는 상당량의 탁소테르를 생성하면서 탁솔은 훨씬 낮은 수율로 생성시킨다.
출발물질로서 바카틴 III의 사용은 파클리탁셀의 반합성을 현저하게 단순화시킬 수 있다. 바카틴 III는 현재 세포배양에 의해 합성되고 있으며, 경제적이며 경쟁적인 반합성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이용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파클리탁셀의 반합성에 있어서의 10-DAB의 필요성을 배제시킨다.
본 발명은 바카틴 III을 저온에서 강염기로 처리하고, 이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친전자체를 첨가하여, 추후에 탁솔 (Taxol)(파클리탁셀)로 전환될 수 있는 7-O-보호된 바카틴 III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탁솔 합성을 위한 출발물질로서의 바카틴 III의 유용성이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된 바카틴 III 유도체에 파클리탁셀 측쇄를 부착시키고, 이어서 보호된 바카틴 III 유도체를 계속해서 탈보호시킴으로써 보호된 바카틴 III 유도체로부터 파클리탁셀을 반합성하는 신규하며 유용하고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탁산 구조상의 C-7 부위에 보호기를 가지며, 측쇄의 부착 및 후속 탈보호단계 후에 상당량의 파클리탁셀을 생성시키는 다양한 바카틴 III 유도체를 생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파클리탁셀의 반합성을 위한 간단하며 효율적이고 비용효과가 높은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개의 상이한 보호기를 사용하여 바카틴 III을 효율적으로 7-O-보호된 바카틴 III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신규한 방법을 포함한다. C-13 부위에 파클리탁셀 측쇄를 부착시킨 후에, 이들 7-O-보호된 바카틴 III 화합물은 파클리탁셀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기 때문에 바카틴 III는 파클리탁셀의 반합성을 위한 유용한 출발물질이 된다.
본 발명은 광범하게는 파클리탁셀, 중간체 및 그의 전구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화학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파클리탁셀 전구체 바카틴 III의 7-하이드록실을 DMF 또는 DMAC, NMPO, DMEU 및 DMPU와 같은 유사한 공지의 용매 중의 리튬 3급-부톡사이드 (LitbuO),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잔 (LiHMDS), 칼륨 헥사메틸디실라잔 (KHMDS) 또는 나트륨 헥사메틸디실라잔 (NaHMDS)와 같은 강염기, 및 다양한 친전자체를 사용하여 보호시켜 7-O-보호된 바카틴 III을 생성시키고, 이어서 C-13 위치에 파클리탁셀 측쇄를 커플링시킨 다음, 후속단계로 C-7의 탈보호 및 보호기의 수소에 의한 치환에 의해 파클리탁셀을 반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C-13 위치에 파클리탁셀 측쇄를 커플링시키는 단계 중에 탁산 상의 C-7 부위에서 벤조일옥시카보닐 (CBZ) 또는 3급-부톡시카보닐 (BOC)와 같은 보호기를 이용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일반적인 방법은 7-O-CBZ- 또는 7-O-BOC 바카틴 III와 같은 7-O-보호된-바카틴 III 유도체의 생성, C-13에서 측쇄의 커플링, 및 C-13 측쇄를 보유하는 7-O-보호된-바카틴 III 중간체를 파클리탁셀로 후속 탈보호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7-O-보호된 바카틴 III을 생성시키는데 특히 유리한 염기는 LitbuO이며, 이것은 우수한 수율 및 현저하게 더 순수한 생성물을 제공하는 저렴한 염기이다. 그밖의 다른 유용한 친전자체에는 DMF와 같은 용매중의 하기 화학식의 물질이 포함된다:
식 중, R은 알킬, 아릴, R'O- 또는 R'2N-, RS이며, X는 할로겐, 이미다조일, 벤즈트리아졸, N-(벤질옥시카르복실옥시)숙신이미드, OR' 또는 -OOCOR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카틴 III의 7-하이드록실은 통상적인 하이드록시 보호기에 의해 보호된다. 통상적인 하이드록시 보호기는 하이드록시 작용기를 차단하거나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잔기이며, 이들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보호기는 나머지 분자에 대해 인지할 수 있는 파괴를 일으키지 않는 방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하이드록시 보호기의 예로는 특히 벤질옥시카보닐, 트리에틸실릴,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보닐 및 3급-부톡시카보닐이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적합한 보호기는 문헌에 제시되어 있다 [참조: Chapter 2 of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Second Ed., by Theodora W. Greene and Peter G.M. Wuts (1991, John Wiley & Sons, Inc.)]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의 합성을 설명하는 것이며, 발명의 범위 또는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 방법은 본 발명에 포함되나 구체적으로 기술되지는 않은 중간체 및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변형방법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다소 상이한 방식으로의 변형방법도 또한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약어는 본 기술분야에서 광범하게 사용되는 통상적인 약어이다. 이들 중의 몇가지는 다음과 같다:
Ac 아세틸
AcOH 아세트산
Bz 벤조일
BOC 3급-부톡시카보닐
BOC2O 디-3급-부틸카보네이트
CBZ 벤질옥시카보닐
CBZ-Cl 벤질옥시카보닐클로라이드
DCC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DCU N,N-디사이클로헥실우레아
DMAC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AP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EU N,N'-디메틸에틸렌우레아
DMF 디메틸포름아미드
DMPU N,N'-디메틸프로필렌우레아
EtOAc 에틸아세테이트
h 시간
ipa 이소프로필알콜
KHMDS 칼륨 헥사메틸디실라잔
LiHMDS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진 또는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LitbuO 리튬 3급-부톡사이드
MeOH 메탄올
min 분
MTBE 3급-부틸메틸 에테르
NaHMDS 나트륨 헥사메틸디실라잔
NMPO N-메틸-2-피롤리디논
Ph 페닐
rt 실온
tBu 3급 부틸
TES 트리에틸실릴
THF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ROC 2,2,2-트리클로로메톡시카보닐
A. 7-O-음이온의 생성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라 파클리탁셀을 반합성하는 출발점으로서, 바카틴 III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강염기와 반응시켜 진전자체/보호제와의 반응에 적합한 7-O-음이온을 생성시킨다. 7-O-음이온을 제조하는 방법은 반응식 1에 도시되어 있다.
반응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F 중의 바카틴 III 1의 용액을 저온에서 LitbuO로 처리하여 7-O-음이온 8을 생성시킨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THF 중에서는 반응이 느리기 때문에, DMF가 바람직한 용매이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용매에는 DMAC, NMPO, DMEU 및 DMPU가 포함된다. 에피머 9는 이들 조건하에서 바람직한 배열이지만, 놀랍게도 단지 7-O-음이온 8 만이 친전자체와 반응한다. LitbuO가 현저한 수율로 더 순수한 생성물을 생성시키는 바람직한 염기이지만, LiHMDS, NaHMDS 및 KHMDS와 같은 다른 염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B. 7-O-보호된-바카틴 III의 생성 및 이것으로부터 파클리탁셀의 합성
반응식 1에서 제조된 7-음이온 8을 사용하여 반응식 2에 따라 7-O-보호된 바카틴 III을 제조할 수 있으며 옥사졸린 측쇄는 C-13에서 에스테르화될 수 있고, 그후에 파클리탁셀로 전환될 수 있다.
반응식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들어 TROC-Cl, CBZ-Cl, CBZ2O, BOC-Cl 또는 BOC2O와 같은 친전자체에 의해 유리하게 전달되는 보호기 P를 첨가하여 각각 상응하는 7-O-TROC-보호된, 7-O-CBZ-보호된 및 7-O-BOC-보호된 바카틴 III 유도체 6, 10 및 11을 형성시킨다. 이 반응은 빠르며 소량의 7,13-비스 보호된 부산물을 생성시킨다. 그밖의 다른 보호기, 예를들어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 이소부틸클로로포르메이트 (ibuOOC), 아세테이트 (Ac) 아다만틸플루오로포르메이트 (AdOOC), 알릴클로로포르메이트 (알릴OOC), 비닐클로로포르메이트 (비닐OOC), 아세틸이미다졸 및 TROC-Cl과 같은 아실할라이드, 디알킬포스페이트 및 카보네이트도 또한 7-O-보호된 바카틴 유도체 12, 13, 14, 15, 16 및 17의 형성시에 잘 작용한다. 아세틸이미다졸을 사용하여 아세테이트와 같은 간단한 에스테르가 형성될 수도 있다. 7-O-보호된 바카틴 유도체 6, 10 및 11을 DCC 및 DMAP를 함유하는 톨루엔 중에서 보호된 파클리탁셀 측쇄인 옥사졸린 5와 반응시켜 상응하는 7-O-보호된 C-13 측쇄를 보유하는 생성물 18, 19 및 20을 유도한다.
이들 파클리탁셀 전구체 18, 19 및 20은 모두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7-O-보호기를 제거하고 보호된 측쇄를 β-페닐이소세린으로 산가수분해시킴으로써 파클리탁셀 2로 전환될 수 있다.
C. 7-O-보호된 바카틴 III의 생성 및 이것으로부터 파클리탁셀의 합성 - 대체합성방법
반응식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식 2에 도시된 단계에 따라 제조된 7-O-보호된-바카틴 III 유도체 6, 10 및 11을 다른 방식으로, C-13에서 에스테르화된 LitbuO 중의 BMOP 24와 커플링시킨 다음, 산으로 처리하여 7-O-보호된 파클리탁셀 전구체 21, 22 및 23을 생성시킨다. 그후, 이들 파클리탁셀 전구체 21, 22 및 23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7-O-보호기를 제거하고, 보호된 측쇄를 페닐이소세린으로 산가수분해시킴으로써 파클리탁셀 2로 전환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라면 상기한 설명을 이용하여 기술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중간체 및 화합물의 전부를 제조할 수 있다고 믿어진다. 이하의 실시예는 바카틴 III으로부터 파클리탁셀을 합성하는데 있어서 고유적인 제조방법의 일반적 공정을 더 예시한 것이다.
실시예 1
바카틴 III으로부터 7-O-아실-바카틴 III 유도체의 합성
바카틴 III 1을 DMF에 용해시킨다. 생성된 용액을 -40℃로 냉각시키고, LiHMDS (THF 중의 1 M 용액)를 가한다. 5분 후에, 적절한 친전자체를 가한다. 반응용액을 -30℃에서 교반하고, 추가의 염기 또는 친전자체를 가하여 반응을 완결시킨다. 그후, 반응용액은 아세트산을 가하여 켄칭시키고 MTBE에 붓는다. MTBE 용액을 물로 3회 세척하고, 유기층을 농축시킨 다음, 생성된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 (에틸아세테이트/헥산)시키거나 결정화시켜 표제화합물을 수득한다.
a. 7-O-TROC-바카틴 III (6)
일반적 공정을 사용하여 바카틴 III (0.150 g, 0.26 mmol)를 DMF 2 ㎖ 중의 LiHMDS (0.52 ㎖, 2.0 당량) 및 TROC-Cl (43 ㎕, 1.2 당량)과 반응시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한 후에 7-O-TROC 바카틴 III 80 ㎎ (41%)을 수득하였다.
b. 7-O-CBZ-바카틴 III (10)
바카틴 III (0.25 g, 0.43 mmol)를 무수 DMF 4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40℃로 냉각시키고 LiHMDS (THF 중의 1 M, 0.64 ㎖) 150 mol%를 1 분에 걸쳐 서서히 가하였다. 5분 후에, CBZ2O (150 mol%, 0.185 g)를 DMF (0.5 ㎖) 중의 용액으로 가하고, 반응용액을 -35 내지 -30℃에서 교반하였다. 추가의 염기를 40분 후에 가하고 (0.1 ㎖), CBZ2O (40 ㎎)를 한시간 째에 가하였다. 3시간 후에, 아세트산 1.5 ㎖를 가하고, 반응혼합물을 MTBE 25 ㎖에 부었다. 유기층을 물 3×15 ㎖로 세척한 다음, 오일로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MTBE/헵탄으로부터 결정화시켜 7-O-CBZ-바카틴 III 228 ㎎ (82%)을 수득하였다.
NMR δ 8.0-7.2 (m, 10H), 6.35 (s, 1H), 5.54 (d, 1H, J=6.8), 5.47 (dd, 1H, J=7.2, 10.8), 5.12 (dd, 2H, J=12.2, 21.2), 4.88 (d, 1H, J=8.6), 4.76 (t, 1H, J=8.1), 4.03 (d, 1H, J=7.2), 3.93 (d, 1H, J=7.2), 2.65-2.40 (m, 1H), 2.30-1.70 (m, 5H), 2.20 (s, 3H), 2.10 (s, 3H), 2.00 (s, 3H), 1.70 (s, 3H), 1.10 (s, 3H), 0.90 (s, 3H).
c. 7-O-BOC-바카틴 III (11)
일반적 공정을 사용하여 바카틴 III (2.076 g, 54 mmol)를 DMF 24 ㎖ 중의 LiHMDS (5.6 ㎖, 1.5 당량) 및 BOC2O (1.36 g, 1.5 당량)와 반응시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한 후에 7-O-BOC-바카틴 III 1.6 g (75%)을 수득하였다.
NMR δ 8.00-7.30 (m, 5H), 6.43 (s, 1H), 5.55 (d, 1H, J=7.2), 5.30 (dd, 1H, J=6.8, 10.4), 4.85 (d, 1H, J=8.6), 4.75 (t, 1H, J=8.1), 4.20 (d, 1H, J=8.6), 4.07 (d, 1H, J=7.3), 3.89 (d, 1H, J=6.8), 2.60-2.48 (m, 1H), 2.21-2.00 (m, 3H), 2.18 (s, 3H), 2.10 (s, 3H), 2.05 (s, 3H), 1.90-1.78 (m, 1H), 1.68 (s, 3H), 1.60-1.50 (m, 1H), 1.36 (s, 9H), 1.05 (s, 3H), 0.97 (s, 3H).
d. 7-O-디에틸포스포릴-바카틴 III (12)
일반적 공정을 사용하여 바카틴 III (0.150 g, 0.26 mmol)를 DMF 2 ㎖ 중의 LiHMDS (0.52 ㎖, 2 당량) 및 클로로디에틸포스페이트 (45 ㎕, 1.2 당량)와 반응시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한 후에 7-O-디에틸포스포릴-바카틴 III 110 ㎎ (59%)을 수득하였다.
e. 7-O-이소부톡시카보닐-바카틴 III (13)
일반적 공정을 사용하여 바카틴 III (0.150 g, 0.26 mmol)를 DMF 2 ㎖ 중의 LiHMDS (0.52 ㎖, 2 당량) 및 이소부틸클로로포르메이트 (66 ㎕, 2 당량)와 반응시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한 후에 7-O-이소부톡시카보닐-바카틴 III 153 g (87%)을 수득하였다.
f. 7-O-아세틸-바카틴 III (14)
THF 중의 LiHMDS (1 M, 1 ㎖, 1 mmol)를 아르곤 하에 -45℃에서 무수 THF 및 DMF 중의 바카틴 III (700 ㎎, 1.19 mmol)의 교반용액에 1분에 걸쳐 가하였다. 5분 후에, 무수 DMF (1.5 ㎖) 중의 아세틸이미다졸 (264.3 ㎎, 2.4 mmol)의 용액을 1분 이내에 가하고, 3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용액을 5분에 걸쳐 -45℃로부터 -35℃로 서서히 가온하고, -35℃ 내지 -33℃ 사이에서 10분 동안 유지시켰다. HPLC는 출발물질이 존재하지 않음을 시사하였다. 반응용액을 AcOH (100 ㎕)로 켄칭하고, MTBE 15 ㎖로 희석한 다음, 물 (5×10 ㎖)로 세척하고 증발시켜 백색고체 (772 ㎎)를 수득하였다. 이 고체를 65℃에서 톨루엔 3 ㎖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헵탄 (12 ㎖)을 가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65℃ 내지 29℃에서 45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여 77.6%의 수율로 결정성 물질인 7-O-아세틸-바카틴 III (582 ㎎)을 수득하였다.
g. 7-O-아다만틸옥시카보닐-바카틴 III (15)
일반적 공정을 사용하여 바카틴 III (0.150 g, 0.26 mmol)를 DMF 2 ㎖ 중의 LiHMDS (0.52 ㎖, 2 당량) 및 아다만틸플루오로포르메이트 (101 ㎎, 2 당량)와 반응시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한 후에 7-O-아다만틸옥시카보닐-바카틴 III 120 ㎎ (64%)을 수득하였다.
h. 7-O-알릴옥시카보닐-바카틴 III (16)
일반적 공정을 사용하여 바카틴 III (0.200 g, 0.34 mmol)를 DMF 2 ㎖ 중의 LiHMDS (0.68 ㎖, 2 당량) 및 알릴클로로포르메이트 (45 ㎕, 1.25 당량)와 반응시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한 후에 7-O-알릴옥시카보닐-바카틴 III 120 ㎎ (65%)을 수득하였다.
i. 7-O-비닐옥시카보닐-바카틴 III (17)
일반적 공정을 사용하여 바카틴 III (0.116 g, 0.198 mmol)를 DMF 2 ㎖ 중의 LiHMDS (0.2 ㎖, 1 당량) 및 비닐클로로포르메이트 (25 ㎕, 1.5 당량)와 반응시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한 후에 7-O-비닐옥시카보닐-바카틴 III 79 ㎎ (61%)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7-아세틸-바카틴 III 유도체 화합물에 옥사졸린을 커플링시키는 일반적 공정
7-O-아세틸-바카틴 III 화합물을 무수 톨루엔에 가한다. DCC, DMAP 및 옥사졸린 카르복실산 5를 가하고, HPLC가 출발물질이 잔존하지 않음을 증명할 때 까지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한다. 반응용액을 AcOH로 켄칭하고, EtOAc로 희석한 다음 여과하여 DCU를 제거한다. 유기용액을 10% KH2PO4, 10% NaHCO3및 물로 세척하고 농축시킨 다음, 결정화 또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목적생성물을 분리한다.
a. 7-O-TROC-13-O-옥사졸리노일바카틴 III (18)
일반적 공정에 따라, 7-O-TROC-바카틴 III 6 (80 ㎎, 0.105 mmol)을 톨루엔 (2 ㎖) 중의 옥사졸린 카르복실산 5 (34 ㎎, 0.126 mmol), DMAP (15 ㎎, 0.126 mmol) 및 DCC (26 ㎎, 0.126 mmol)와 결합시켜, 크로마토그라피 (헥산/EtOAc 5:2) 후에 7-O-TROC-13-O-옥사졸리노일바카틴 III (82 ㎎, 77%)를 수득하였다.
b. 7-O-CBZ-13-O-옥사졸리노일바카틴 III (19)
일반적 공정에 따라, 7-O-CBZ-바카틴 III 10 (262.2 ㎎, 0.36 mmol)을 톨루엔 (5 ㎖) 중의 옥사졸린 카르복실산 5 (117 ㎎, 0.44 mmol), DMAP (47.2 ㎎, 0.39 mmol) 및 DCC (113 ㎎, 0.55 mmol)와 결합시켜, 크로마토그라피 (헥산/EtOAc 65:35) 후에 7-O-CBZ-13-O-옥사졸리노일바카틴 III (295 ㎎, 83.6%)를 수득하였다.
c. 7-O-BOC-13-O-옥사졸리노일바카틴 III (20)
일반적 공정에 따라, 7-O-BOC-바카틴 III 11 (0.5 g, 0.73 mmol)을 톨루엔 (5.1 ㎖) 중의 옥사졸린 카르복실산 5 (234 ㎎, 0.88 mmol), DMAP (94.3 ㎎, 0.77 mmol) 및 DCC (190.7 ㎎, 0.93 mmol)와 결합시켜, 이소프로필알콜로부터 결정화시킨 후에 7-O-BOC-13-O-옥사졸리노일바카틴 III (641 ㎎, 94%)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7-O-보호된 파클리탁셀 전구체로부터 파클리탁셀의 합성
a. 7-O-CBZ-13-O-옥사졸리노일바카틴 III (19)으로부터 파클리탁셀 합성 - 제 1 방법
7-O-CBZ-13-O-옥사졸리노일바카틴 III 19 (100 ㎎, 0.1 mmol)를 TFA (50 ㎕), AcOH (1.05 ㎖) 및 물 (0.268 ㎖)의 용액에 용해시켰다. 이 혼합물을 출발물질이 검출되지 않을 때 까지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물 (0.21 ㎖) 중의 NaOAc (59 ㎎)로 켄칭하고 3분 동안 교반하였다. CH2Cl2(10 ㎖) 및 물 (3 ㎖)을 가하고 3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상을 분리시키고, 수층을 CH2Cl2(5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물 (2×5 ㎖)로 세척하고, 1.5 ㎖로 농축시킨 다음 TEA (193 ㎕)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한시간 후에, 반응혼합물을 물 (1.444 ㎖) 중의 진한 H2SO4(0.162 ㎖)로 켄칭하고, CH2Cl2(10 ㎖)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물 (2×5 ㎖)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켜 순수한 7-O-CBZ-파클리탁셀 22 (102.3 ㎎, 100%)를 수득하였다. 그후, 이 화합물 (65 ㎎, 0.08 mmol)을 5시간 동안 TFA (38.1 ㎕, 0.5 mmol), AcOH (0.8 ㎖) 및 물 (0.203 ㎖)을 사용하고, 이어서 1시간 동안 TEA (146.2 ㎕)를 사용하여 가수분해시켜 순수한 파클리탁셀 (66.1 ㎎)을 99.5% 수율로 수득함으로써 7-O-CBZ-파클리탁셀을 파클리탁셀로 전환시킨다.
b. 7-O-CBZ-13-O-옥사졸리노일바카틴 III (19)으로부터 파클리탁셀 합성 - 대체방법
EtOH (20 ㎖) 중의 7-O-CBZ-13-O-옥사졸리노일바카틴 III 19 (120 ㎎, 0.12 mmol)를 10% Pd/C (20 ㎎) 및 H2(30 psi)로 수소화시켜 13-O-옥사졸리노일-바카틴 III (99.6 ㎎)를 96.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이 화합물 (65 ㎎, 0.08 mmol)의 가수분해반응을 5시간 동안 TFA (38.1 ㎕, 0.5 mmol), AcOH (0.8 ㎖) 및 물 (0.203 ㎖)를 사용하고, 이어서 1시간 동안 TEA (146.2 ㎕)를 사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순수한 파클리탁셀 (66.1 ㎎)을 99.5% 수율로 수득하였다.
c. 7-O-BOC-13-O-옥사졸리노일바카틴 III (20)으로부터 파클리탁셀 합성 - 제 1 방법
AcOH (2.36 ㎖) 중의 7-O-BOC-13-O-옥사졸리노일바카틴 III 20 (100 ㎎, 0.11 mmol) 및 물 (0.3 ㎖)의 용액을 75℃에서 교반하였다. 20시간 후에 반응혼합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 (15 ㎖)로 희석하고 물 (3×5 ㎖)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농축시키고 헥산-EtOAc (3:7)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정제하여 파클리탁셀 (63 ㎎)을 69.1% 수율로 수득하였다.
d. 7-O-BOC-13-옥사졸리노일바카틴 III (20)으로부터 파클리탁셀 합성 - 제 2 방법
CH2Cl2(18 ㎖) 및 물 (2.7 ㎖) 중의 7-O-BOC-13-옥사졸리노일바카틴 III (900 ㎎, 0.96 mmol)의 이상 혼합물에 실온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472 ㎖, 6.13 mmol)을 가하고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에 의해 출발물질이 검출되지 않으면, 반응용액을 NaOAc 수용액으로 켄칭하고 상을 분리시켰다. 메틸렌클로라이드상은 2'-OBz-7-BOC-파클리탁셀을 함유하였으며, TEA (1.8 ㎖, 12.9 mmol)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23시간 후에, 반응혼합물을 15℃에서 묽은 H2SO4로 켄칭하였다. 분리하여 수득한 유기상을 물 (2×10 ㎖)로 세척하고 포움상 고체가 되도록 증발시키고, 이것을 IPA-헥산으로부터 결정화시켜 7-O-BOC-파클리탁셀 (782 ㎎)을 85.2% 수율로 수득하였다. 플라스크 내의 7-O-BOC-파클리탁셀 (500 ㎎, 0.52 mmol)에 7℃에서 냉포름산 (99%, 5 ㎖, 10℃)을 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7-10℃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 (40 ㎖)로 희석하고 물 (4×10 ㎖)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증발시켜 포움상 고체를 생성시키고, 이것을 IPA로부터 결정화시켜 파클리탁셀 (284.7 ㎎)을 63.3% 수율로 수득하였다.
e. 7-O-BOC-13-O-옥사졸리노일바카틴 III (20)으로부터 파클리탁셀 합성 - 제 3 방법
7-O-BOC-13-O-옥사졸리노일바카틴 III 20 (450 ㎎, 0.54 mmol)을 실온에서 7시간 동안 TFA (0.273, 3.54 mmol), AcOH (5.71 ㎖) 및 물 (1.048 ㎖)로 처리하고, 이어서 TEA (1.01 ㎖, 7.25 mmol)로 0.5시간 동안 처리하여 IPA로부터 결정화시킨 후에, 파클리탁셀 (310 ㎎)을 64.7% 수율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4
7-O-아실-바카틴 화합물에 BMOP 측쇄를 커플링시키는 일반적 공정
-55℃에서 THF 중의 7-O-아실-바카틴 III의 용액을 LiHMDS (THF 중의 1 M)로 처리한다. THF 중의 BMOP의 용액을 가하고, 반응용액을 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다. 물을 가하여 반응용액을 켄칭하고, 혼합물을 EtOAc에 붓는다.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킨다. 수득한 생성물을 AcOH로 재용해시키고 TFA로 처리한다. 반응용액을 수성 NaOAc로 켄칭하고 CH2Cl2로 희석하여 물, 10% NaHCO3및 염수로 세척한다. 그후, 유기층을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하여 7-O-보호된 파클리탁셀을 수득한다.
a. 7-O-TROC-파클리탁셀 (21)
일반적 공정에 따라, THF 4.6 ㎖ 중의 7-O-TROC-바카틴 III 6 (158.4 ㎎, 0.21 mmol)을 BMOP 24 (137 ㎎, 0.40 mmol) 및 LiHMDS (0.25 ㎖, 0.25 mmol)와 반응시켜 7-O-TROC-바카틴 III 139.5 ㎎ (79%)을 수득하였다.
b. 7-O-TROC-파클리탁셀 (21)로부터 파클리탁셀
7-O-TROC-파클리탁셀 21 (130 ㎎, 0.13 mmol)을 60℃에서 2.5시간 동안 AcOH-MeOH (1:1, 5 ㎖) 중의 Zn 분말 (150 ㎎, 2.29 mmol)과 반응시켰다. 반응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여과한 다음, 유기용매를 증발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칼럼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하여 파클리탁셀 (88.3 ㎎)을 81.9% 수율로 수득하였다.
c. 7-O-CBZ-파클리탁셀 (22)
일반적 공정에 따라, THF 2 ㎖ 중의 7-O-CBZ-바카틴 III 10 (156.5 ㎎, 0.22 mmol)을 BMOP 24 (94.7 ㎎, 0.28 mmol) 및 LiHMDS (0.24 ㎖, 0.24 mmol)와 반응시켜 7-O-CBZ-파클리탁셀 139.5 ㎎ (61%)을 수득하였다.
d. 7-O-CBZ-파클리탁셀 (22)로부터 파클리탁셀
7-O-CBZ-파클리탁셀 22 (115 ㎎, 0.12 mmol)를 3시간 동안 무수에탄올 20 ㎖ 중의 10% Pd/C 20 ㎎ 및 30 psi H2를 사용하여 수소화시켰다. 반응혼합물을 CH2Cl210 ㎖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합하여 농축시키고 크로마토그라피시켜 파클리탁셀 73.4 ㎎ (78.1%)을 수득하였다.
e. 7-O-BOC-바카틴 III (11)으로부터 7-O-BOC-파클리탁셀 (23)을 거쳐서 직접 파클리탁셀의 제조
일반적 공정에 따라, THF 2.5 ㎖ 중의 7-O-BOC-바카틴 III 11 (125 ㎎, 0.18 mmol)을 BMOP 24 (125 ㎎, 0.37 mmol) 및 LiHMDS (0.22 ㎖, 0.22 mmol)와 반응시켜 조 7-O-BOC-파클리탁셀을 생성시키고, 이것을 분리하지 않고 AcOH (1.25 ㎖) 중의 TFA (60 ㎕, 0.789 mmol) 및 물 (0.316 ㎖)과 51시간 동안 더 반응시켜 파클리탁셀 57.4 ㎎ (55.2%)을 수득하였다.

Claims (27)

  1. 하기 화학식 I의 구조 및 넘버링을 갖는 중간체 화합물의 C-13에 파클리탁셀 측쇄를 커플링시키고, 후속적으로 C-7에서 탈보호시켜 P1을 H로 치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I의 중간체 화합물로부터 파클리탁셀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I〉
    식 중, P1은 보호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중간체 화합물이 7-O-보호된 바카틴 III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C-13에 파클리탁셀 측쇄를 커플링시키는 단계에 추가로 강염기를 사용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가 CBZ-Cl, CBZ2O, CBZ-벤즈트리아졸, BOC-Cl 또는 BOC2O, TROC-Cl,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 이소부틸클로로포르메이트, 아세틸이미다졸, 아다만틸플루오로포르메이트, 알릴클로로포르메이트 및 비닐클로로포르메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가 CBZ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중간체 화합물을 C-7에서 탈보호시키는 상기 단계가 산의 존재하에서 수행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염기가 LitbuO, LiHMDS, KHMDS 및 NaHMD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염기가 LitbuO인 방법.
  9. 바카틴 III을 화학식 R-CONR'2의 용매 중에서 화학식(식 중, R은 알킬, 아릴, R'O- 또는 R'2N-, RS이며, X는 할로겐, 이미다조일, 벤즈트리아졸, N-(벤질옥시카르복실옥시) 숙신이미드, OR' 또는 -OOCOR임)의 친전자성 보호기 및 강염기를 사용하여 양호한 수율 및 고품질로 7-O-아실-보호된 바카틴 III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파클리탁셀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DMF, DMAC, NMPO, DMEU 및 DMPU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DMF인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강염기가 화학식 R-O-M+(여기서, R은 알킬 또는 아릴이고, M은 리튬, 나트륨 및 칼륨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금속임)를 갖는 것인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강염기가 DMF 중의 LiHMDS, LitbuO, KHMDS 및 NaHMD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강염기가 LitbuO인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친전자성 보호기가 CBZ-Cl, CBZ2O, CBZ-벤즈트리아졸, BOC-Cl 또는 BOC2O, TROC-Cl,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 이소부틸클로로포르메이트, 아세틸이미다졸, 아다만틸플루오로포르메이트, 알릴클로로포르메이트 및 비닐클로로포르메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16. a. 하기 화학식의 바카틴 III의 용액을 용매 중의 강염기로 처리하고;
    b. 이 용액에 친전자체를 가하여 하기 화학식의 7-O-보호된 바카틴 III 유도체를 형성시키고;
    c. 7-O-보호된 바카틴 III 유도체를 용매중에서 보호된 파클리탁셀 측쇄와 반응시켜 상기 측쇄를 7-O-보호된 바카틴 III 유도체의 C-13 위치에 커플링시키고;
    d. 상기 보호된 파클리탁셀 측쇄를 탈보호시키고, 상기 7-O-보호기를 제거하여 파클리탁셀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의 파클리탁셀을 합성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DMF인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강염기가 LitbuO, LiHMDS, KHMDS 및 NaHMD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친전자체가 CBZ-Cl, CBZ2O, CBZ-벤즈트리아졸, BOC-Cl 또는 BOC2O,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 이소부틸클로로포르메이트, 아세틸이미다졸, 아다만틸플루오로포르메이트, 알릴클로로포르메이트 및 비닐클로로포르메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된 파클리탁셀 측쇄를 탈수화제를 사용하여 상기 7-O-보호된 바카틴 III 유도체의 C-13 하이드록실에 부착시키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화제가 DCC인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화제가 DCC 및 DMAP를 함유하는 톨루엔인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된 파클리탁셀 측쇄를 강염기를 사용하여 상기 7-O-보호된 바카틴 III 유도체의 C-13 하이드록실에 부착시키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강염기가 LitbuO 또는 부틸리튬인 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된 측쇄를 탈보호시키고, 상기 7-O-보호된 바카틴 III 유도체로부터 상기 7-O-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가 산가수분해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파클리탁셀 측쇄가 β-페닐이소세린 측쇄인 방법.
  27. 하기 화학식의 파클리탁셀 유도체.
    식 중,
    R은 알킬 또는 아릴이고;
    X는 할로겐, 실릴, 알콕시, 티오 또는 아미노이며;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KR1020007009656A 1998-03-02 1999-02-23 강염기 및 친전자체를 사용하여 7-하이드록실을보호함으로써 바카틴 iii으로부터 파클리탁셀을합성하는 방법 KR200100521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649398P 1998-03-02 1998-03-02
US60/076,493 1998-03-02
PCT/US1999/003874 WO1999045001A1 (en) 1998-03-02 1999-02-23 Synthesis of paclitaxel baccatin iii by protecting the 7-hydroxyl using a strong base and an electroph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193A true KR20010052193A (ko) 2001-06-25

Family

ID=2213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656A KR20010052193A (ko) 1998-03-02 1999-02-23 강염기 및 친전자체를 사용하여 7-하이드록실을보호함으로써 바카틴 iii으로부터 파클리탁셀을합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020507A (ko)
EP (1) EP1060172A4 (ko)
JP (1) JP2002505326A (ko)
KR (1) KR20010052193A (ko)
AU (2) AU759988B2 (ko)
CA (1) CA2319043A1 (ko)
HU (1) HUP0102079A3 (ko)
IL (1) IL137850A0 (ko)
WO (1) WO1999045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3160A (en) * 1992-12-23 1999-10-26 Poss; Michael A.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novel sidechain-bearing taxanes
WO2002024179A2 (en) 2000-09-22 2002-03-2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ethod for reducing toxicity of combined chemotherapies
IT1319682B1 (it) * 2000-12-06 2003-10-23 Indena Spa Procedimento di sintesi del paclitaxel.
US6810236B2 (en) * 2001-05-14 2004-10-2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Dynamic channel quality measurement procedure for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techniques
GB0216412D0 (en) * 2002-07-15 2002-08-21 Cipla Ltd Chemical process
US8651113B2 (en) * 2003-06-18 2014-02-18 Swr&D Inc. Magnetically responsive nanoparticle therapeutic construc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7030253B2 (en) * 2003-08-07 2006-04-1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4-alkyl- or 4-aryl-oxycarbonyl paclitaxel analogs and novel intermediates
US20050272807A1 (en) * 2004-06-04 2005-12-08 Phytogen Life Sciences Inc. Semi-synthesis of taxane intermediates and their conversion to paclitaxel and docetaxel
US7301019B2 (en) * 2005-01-21 2007-11-27 Immunogen, Inc.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maytansinoid esters
GB0701523D0 (en) 2007-01-26 2007-03-07 Chatham Biotec Ltd Semi-syntheti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axane derivatives
US20100137221A1 (en) * 2007-02-27 2010-06-03 University Utah Research Foundation Peptides that interact with topoisomerase i and methods thereof
EP2183234A4 (en) * 2007-08-22 2012-02-29 Canada Inc 6570763 PROCESS FOR CONVERTING 9-DIHYDRO-13-ACETYLBACCATIN III IN DOCETAXEL OR PACLITAXEL
CA2723654A1 (en) * 2008-05-07 2009-11-12 Ivax Research, Llc Processes for preparation of taxanes and intermediates thereof
KR101787453B1 (ko) 2015-07-28 2017-10-19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9818B1 (fr) 1988-04-06 1990-11-16 Centre Nat Rech Scient Procede de preparation du taxol
MY110249A (en) 1989-05-31 1998-03-31 Univ Florida State Method for preparation of taxol using beta lactam
US5399726A (en) * 1993-01-29 1995-03-21 Florida State Universit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accatin III analogs bearing new C2 and C4 functional groups
US5739362A (en) * 1991-09-23 1998-04-14 Florida State University Taxanes having an alkoxy, alkenoxy or aryloxy substituted side-chai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5274124A (en) * 1991-09-23 1993-12-28 Florida State University Metal alkoxides
DE69433297T2 (de) * 1993-02-05 2004-10-21 Bryn Mawr College Bryn Mawr Synthese von taxol, seinen analogen und intermediaten mit variablen a-ring seitenketten
WO1998013359A1 (de) * 1996-09-24 1998-04-02 Marigen S.A. Ultramikroemulsionen aus spontan dispergierbaren konzentraten mit antitumoral und antiviral wirksamen estern von baccatin-iii-verbindungen
US5811452A (en) * 1997-01-08 1998-09-22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Taxoid reversal agents for drug-resistance in cancer chemotherapy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307899A (en) 1999-09-20
JP2002505326A (ja) 2002-02-19
HUP0102079A3 (en) 2002-04-29
AU2003231609A1 (en) 2003-09-11
WO1999045001A1 (en) 1999-09-10
EP1060172A4 (en) 2001-10-24
US6307071B1 (en) 2001-10-23
US6020507A (en) 2000-02-01
AU759988B2 (en) 2003-05-01
CA2319043A1 (en) 1999-09-10
IL137850A0 (en) 2001-10-31
HUP0102079A2 (hu) 2001-12-28
EP1060172A1 (en) 2000-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6798B1 (en) One pot synthesis of taxane derivatives and their conversion to paclitaxel and docetaxel
CA2569498C (en) Semi-synthesis of taxane intermediates and their conversion to paclitaxel and docetaxel
US6020507A (en) Synthesis of paclitaxel from baccatin III by protection of the 7-hydroxyl of baccatin III using a strong base and an electrophile
WO1996040667A1 (en) Paclitaxel synthesis from precursor compound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EP0847393B1 (en) Paclitaxel synthesis from precursor compound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EP0837846B1 (en) C-2' hydroxyl-benzyl protected, n-carbamate protected (2r,3s)-3-phenylisoserin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KR100603877B1 (ko) 디알킬디클로로실란을 사용한 파클리탁셀의 반합성
CA2310778C (en) Intermediates and methods useful in the semisynthesis of paclitaxel and analogs
WO2008032104A1 (en) One pot synthesis of taxane derivatives and their conversion to paclitaxel and docetaxel
US6143902A (en) C-2 hydroxyl protected-N-acyl (2R,3S)-3-phenylisoserine N-imido activated ester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6136999A (en) C-2 hydroxyl protected-n-acyl (2R,3S)-3-phenylisoserine substituted phenyl activated ester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MXPA00008050A (en) Synthesis of paclitaxel baccatin iii by protecting the 7-hydroxyl using a strong base and an electrophile
CA2375343A1 (en) C-2 hydroxyl protected-n-acyl(2r,3s)-3-phenylisoserine activated esters and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