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674A - 적응대비향상을 갖는 디지털영상재배율화를 위한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적응대비향상을 갖는 디지털영상재배율화를 위한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674A
KR20010050674A KR1020000056741A KR20000056741A KR20010050674A KR 20010050674 A KR20010050674 A KR 20010050674A KR 1020000056741 A KR1020000056741 A KR 1020000056741A KR 20000056741 A KR20000056741 A KR 20000056741A KR 20010050674 A KR20010050674 A KR 20010050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samples
detail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5660B1 (ko
Inventor
베르베첼제오르제
셀비스티브
Original Assignee
그리게인 랜스
제너시스 마이크로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리게인 랜스, 제너시스 마이크로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그리게인 랜스
Publication of KR20010050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07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interpolation, e.g. bilinear interpo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local op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기설정된 입력공간분해능을 가지는 입력신호로부터 입력공간분해능과는 다른 기설정된 출력공간분해능을 갖는 고대비재배율화된 영상을 발생하기 위한 방법은, 입력신호의 입력샘플들로부터 출력샘플들을 발생하는 단계, 출력샘플들 중의 기설정된 시간문턱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기설정된 출력샘플들을 입력샘플들 중의 가장 가깝게 발생하는 입력샘플들로부터 검출하는 단계, 입력신호의 세부상들을 상기 입력샘플들 중의 상기 가장 가깝게 발생하는 입력샘플들에서 검출하는 단계, 및 세부상들과 실질적으로 정렬하여 세부상들의 영상대비를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출력샘플들 중의 기설정된 출력샘플들을 시프트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응대비향상을 갖는 디지털영상재배율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image rescaling with adaptive contrast enhancement}
본 발명은 대체로 디지털영상 재배율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배율화된 영상의 선명도 및 균일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재배율화 또는 영상리사이징은 디지털영상처리시스템들에서는 빈번하게 요구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은 입력 화상구성요소들(화소들)의 디지털 필터링을 사용하여 출력화소들을 발생한다. 눈은 신호위상의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영상재배율화에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필터들은 선형위상 유한충격응답(FIR)필터들이다. 재배율화처리는 입력신호의 샘플링율을 바꿈으로써 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샘플링율은 영상을 확대하기 위하여 증가되거나, 영상을 축소하기 위하여 감소된다.
가변재배율화계수들은 우선 신호를 고정된 업샘플링율로 샘플링한 다음 업샘플링된 신호를 요구된(가변)영상재배율화계수를 획득하기 위한 다른 율로 다운샘플링함으로써 얻어질 것이다. 통상, 처음의 업샘플링단계는 32 또는 64의 업샘플링계수를 사용한다. 능률적인 실현을 위해, 업샘플링 및 다운샘플링 동작들은 보통 결합되고, 하나의 샘플만이 출력을 위해 계산되고, 많은 다른 샘플들은 무시된다.
디지털입력신호 x[n]에 대해, 푸리에변환은 다음의 수학식 1로 표현되고,
주어진 유한충격필터 h[n]에 대해, 이것의 푸리에변환은 다음의 수학식 2로 표현된다.
업샘플링단계에서, M-1개의 제로들(zeros)이 임의의 연속하는 2개의 입력샘플들 간에 삽입되고, 결과적인 업샘플링된 신호의 푸리에변환은 X(e-jMω)이다. 필터 h[n]은 M개의 필터위상들로 분할될 것이고, 여기서 k번째 위상은 hk[n] = h[k+Mn]이고 푸리에변환은 다음의 수학식 3과 같다.
전술한 것처럼, 필터를 위상들로 분할하는 것은 정수업샘플링계수의 경우에만 가능하다.
입력신호와 필터 h[n]의 길쌈(convolution)의 결과는 다음 수학식 4의 푸리에변환을 갖는 y[n]이다.
임의의 출력샘플은 입력신호와 특정 필터위상의 길쌈의 결과이다. 각각의 업샘플링된 입력에 대해, 입력샘플과 모든 M개 필터위상들의 길쌈의 결과인 M개의 출력샘플들이 있다. M개의 출력샘플들은 입력샘플링의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간격에서 동일하게 이격된다. 출력샘플이 필요할 때, 이것의 위치가 계산되고, 적당한 위상필터가 입력과의 길쌈을 위해 선택된다(선택된 위상은 출력샘플의 물리적 위치에 가장 가까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전술한 재배율화처리단계들은 다음과 같이 단순화될 것이다: (1) 입력데이터를 선택, (2) 필터의 위상을 결정, 및 (3) 데이터와 이전에 결정된 필터위상의 길쌈을 계산. 전통적으로, 입력데이터와 필터위상은 출력샘플의 위치에 근거하여 계산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의 목적은 고대비의 재배율화된 영상을 얻기 위하여 최적의 필터위상을 결정하는 것이다.
영상대비를 증가시키기 위한 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첨두화(peaking)필터들이 고주파수들을 신호강화(boosting)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낮은 재배율화계수들에서는, 신호강화는 효과가 별로 없다. 다른 방법은 신호에 있는 짧은 전이시간들을 검출하고 그러한 시간들을 예를 들면 신호의 1차도함수를 취함으로써 인위적으로 감소시킨다. 불행하게도, 이 기법은 신호가 통상 단일 단계에서 최소에서 최대로 변화하는 그래픽응용들에 적당하지 않다.
다음의 특허들은 본 발명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관련된다:
미국특허문헌들
5,767,900 - 탄지; 이치로, 1998년 6월 16일자 등록, "Digital Apparatus for contour Enhancement of Video signals"
4,030,121 - 파로우드쟈, 1877년 6월 14일자 등록, "Video Crispner"
3,997,772 - 로날드 앨던 크로치에레, 1976년 12월 14일자 등록, "Digital Phase Shifter"
본 발명에 따르면, 방법 및 장치가 재배율화처리를 통하여 영상의 대비를 개선하기 위해 제공된다. 전통적으로, 재배율화된 출력영상은 균일격자에 따라 입력신호를 샘플링함으로써 발생된다. 입력샘플링율과 출력샘플링율의 비가 정수가 아닌 경우, 처리는 더 이상 공간적으로 불변이 아니다. 따라서, 주어진 입력세부가 입력신호에서의 입력세부의 위치에 의존하여 다르게 재배율화된다. 이따금, 입력세부는 완전하게 재배율화되나, 더 빈번하게 그러한 세부들이 불완전하게 재배율화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균일샘플링이 좋은 대비를 제공하는데 실패하는 경우들을 검출하고, 비균일샘플링을 통하여 지역대비(local contrast)를 개선시킨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가 적용되는 환경을 구성하는 입력 및 출력 균일샘플링격자들의 상대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b는 입력화소와 정렬된 출력화소의 개념도,
도 1c는 입력화소와 정렬되지 않은 출력화소의 개념도,
도 1d는 다위상보간의 개념도,
도 2a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위상보간이 균일출력격자를 어떻게 다루는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다위상보간이 비균일출력격자를 어떻게 다루는 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는 세부가 저대비세부를 다르게 생성할 위치에서 검출되는 때의 출력샘플링율을 변경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
도 3b는 출력에서의 균일샘플링율과 비균일샘플링율 간의 차이를 보여주는 타이밍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부검출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
이하,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지털영상은 균일장방형격자상에서 샘플링되거나 발생된 데이터의 어레이로서 표현될 것이다. 영상재배율화처리 동안, 다른 어레이의 데이터가 계산되어, 균일장방형격자상에 출력값들을 제공하기도 한다. 도 1a는 출력격자의 장방형의 네 구석들에 맵핑된 입력의 장방형의 네 구석들을 보여준다. 장방형들이 영상의 물리적인 구석들과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입/출력영상의 내부 또는 외부의 어디든지 위치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도 1a에 도시된 표현은 이 발명에게 사용되는 맵핑의 많은 유형들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도 1a의 간단한 표현은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가 동작하는 환경을 도시하는데 기여한다. 구체적으로는, 비정수 재배율화계수의 일반적인 경우에 대해, 도 1a에 보인 것처럼, 출력격자의 노드들 중의 일부는 입력격자의 임의의 노드와 물리적으로 일치하지 않음이 주목될 것이다.
최상의 지역대비는 세부가 디스플레이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위치에만 나타날 때 얻어진다. 따라서, 출력노드들이 입력노드들의 어느 것과도 일치하지 않는 상황들에서는 대비는 열화된다. 지역대비열화는 화상구성요소(예, 선명한 에지들, 또는 단일선, 또는 단일화소)에 가까운 사이즈를 갖는 세부들의 경우에는 눈에 보이게 될 것이다.
위에서 간략히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재배율화된 영상의 개선된 대비는 비균일샘플링을 적용하여 그러한 세부들을 입력격자에 대향하는 출력격자들과 정렬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지역대비는 세부들과 출력격자의 보다 나은 정렬로써 개선된다. 발명의 방법은 입력 및 출력 격자들 간의 비정렬이 기설정된 문턱보다 나쁜 위치들을 출력격자에서 검출한다. 이 검출은 순수 기하학적 계산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응답하여, 출력의 노드들의 부분집합이 대비개선을 위해 선택된다. 다음에, 선택된 위치들에 인접하는 데이터가 점검되고, 이 데이터가 향상을 위해 선택된 위치로부터 세부(예, 에지 또는 선 또는 단일화소값)를 보여준다면(즉, 그 위치에서의 신호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식별됨), 샘플링위치는 검출된 세부가 출력격자상에 좋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위치로 변경된다. 샘플링위치변경(즉, 증가 또는 감소)의 범위는 최대대비향상과 샘플링위치에 최소변경을 얻는 상충요건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샘플링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도입되는 공간적 비균일성의 허용정도와 대비향상의 소망된 레벨은 타협된다.
도 1b의 충격응답도에 보인 것처럼, 출력화소가 입력화소와 정렬되거나 매우 가까이 있는 경우, 영상왜곡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c에 보인 것처럼, 출력화소들이 입력화소들과 가깝게 정렬되지 않는 경우 세부상은 다른 위치들에서 매우 다르게 생성될 것이다. 예컨대, 제1경우(도 1b)에는 단일화소폭라인이 단일화소폭라인으로서도 출력될 것인 반면, 제2경우(도 1c)에는 단일화소폭라인이 큰 라인(작은 밝기를 가짐)으로서 재배율화될 것이다.
도 1d는, 종래기술에서 알려진 것인, 다위상(polyphase)보간이 사용되는 경우의 영상충격응답을 보여준다. 이 보간은 일차원으로만 보여지나, 이차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입력화소로 주위의 공간은 신호위상들이라고 하는 복수의 동일하게 이격된(equally spaced) 간격들로 분할된다. 출력화소가 필요한 경우, 그 위치는 계산되고(즉, 출력화소가 들게되는 위상) 입력신호는 그 위상에 따라 샘플링된다.
신호위상과 필터위상 간의 관계는 신호위상이 데이터와 필터위상의 길쌈을 통해 계산되게 한다. 필터위상과 신호위상은 동일 수에 의해 수치적으로 식별된다. 도 1d에 보인 예에서, 두 개의 연속하는 화소들간의 공간은 M개의 위상들로 분할된다. 이러한 정황에서는, "지역대비"는 두 개의 인접 화소들간의 에너지차이의 절대값으로서 정의된다. 도 2a가 보여주는 것은, 입력이 큰 값의 지역대비를 갖는 펄스임에도 불구하고 이 입력의 재배율화된 버전은 작은 지역대비를 갖는 경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균일샘플링이 수행되며, 두 개의 가능한 결과들 중의 하나가 도 2b에 보여진다. 도 2b의 상부도면은 두 개의 출력샘플들을 위한 위상계산이 위상수들을 동일 양만큼 증가시킴으로써 변경되는 상황을 보여주며, 그 하부도면은 위상수들을 동일 양만큼 감소시킨 결과들을 보여준다.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지는 입력세부와 두 개의 출력샘플들의 상대위치에 의존한다. 두 개의 샘플링위치들만을 변경시키는 이유는 입력세부의 에너지의 대부분이 대비가 개선될 세부에 가장 가까이 있는 두 개의 샘플들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도 2b가 암시하는 것처럼, 한 경우에서는 지역대비가 개선되는 반면 다른 경우에는 지역대비가 개선되지 않는다(그리고 어쩌면 나빠진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보여주며, 이 장치는 위상들(H0, H1, ..., HM-1)로 분할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이 필터의 각각의 위상은 입력샘플(finput)로부터 출력샘플(foutput)을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세부검출기는 좋은 대비를 제공하도록 균일샘플링이 실패하는 특수한 경우들을 검출하기 위해 제공되고, 비균일샘플링제어기의 사용을 통해 지역대비가 개선된다.
비균일샘플링제어기와 세부검출기의 상세한 설명은 도 3b의 타이밍도와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이후로 매우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과 다음의 논의에서, "특수한 경우를 검출하는" 단계는 다음의 상황을 검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출력 y[l-1]은 x[k-1]과 x[k]간의 가장 우측의 출력샘플이며,
그리고
출력 y[l]은 x[k]와 x[k+1]간의 가장 좌측의 출력샘플이며,
그리고
문턱1 〈 phase(y[l-1]) 〈 문턱2.
그리고
문턱3 〈 phase(y[l]) 〈 문턱4.
여기서 표기 phase(ㆍ)는 임의의 출력샘플아규먼트(argument)에 대해, 그것의 위상(도 1c에 따르면, 0과 M-1사이의 정수)을 나타내고, 문턱1, 문턱2, 문턱3, 문턱4는 0 내지 M-1의 범위에 있는 정수인 상수들로서, 균일샘플링이 충분한 지역대비를 제공하지 않는 위치를 규정한다. 문턱1과 문턱2는 제1출력샘플의 범위를 명시하며, 문턱3과 문턱4는 제2출력샘플의 범위를 명시한다. 이 문턱들은 용인될 만한 것으로 간주되는 비정렬의 량을 명시한다.
"펄스를 검출한다"라고 하는 단계는 다음에 의해 만족된다:
(x[k+1]-x[k])*(x[k]-x[k-1]) 〈 0,
그리고
|x[k-1]-x[k]| 〉 문턱5,
그리고
|x[k]-x[k-1]| 〉 문턱5,
여기서 문턱 5는 0과 입력신호의 동적범위값 사이의 정수값이고, 충분히 큰 입력펄스들만의 선택으로 제한한다. 임의의 입력샘플들에 가까이 있지 않고 대비향상을 위한 후보들로서 이전에 검출완료된 출력샘플들의 경우, 입력화소를 위한 데이터는 그 화소가 펄스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알기 위해 검사되고, 이러한 여부는 현재의 값 x[k]가 이전의 값 x[k-1]과 이후의 값 x[k+1]보다 크거나 작음을 의미한다.
"좌측의 에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다음에 의해 만족된다:
|x[k]-x[k+1]| 〈 문턱6,
그리고
|x[k-1]-x[k]| 〉 문턱7,
여기서 문턱6 및 문턱7은 충분히 큰 에지들만의 선택을 위한, 입력신호의 동적범위내의 정수들이다. 문턱6은 1보다 크며, 노이즈의 필터링을 위해 제공되고, 그렇지 않으면 증폭될 것이다. 노이즈필터링은 특히 별도의 처리의 경우에 유용하고, 이 방법은 한 방향에 먼저 적용되고 재배율화 인조잡상들(artifacts)은 다른 방향에서 추가 처리된다. 소스에 노이즈가 없는 이상적인 경우라도, 두 단계의 재배율화처리들(한번에 한 방향) 때문에, 제1재배율화단계는 필터링의 성질 때문에 얼마간의 지역세부들을 만들 것이다. 이러한 세부들은 신호에서의 세부들로서 이해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다른 방향으로의 재배율화 동안에 증폭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일 단계의 재배율화처리에서 조차, 노이즈문턱은 신호가 디지털-아날로그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털변환 동안에 부가된 노이즈를 가지기 때문에 유용하다.
"우측의 에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다음에 의해 만족된다:
|x[k-1]-x[k]| 〈 문턱6,
|x[k]-x[k+1]| 〉 문턱7.
비균일샘플링요건이 검출 완료될 때, phase(y[l-1]) 및 phase(y[l])은 x[k]에 대응하는 위상인 도 1c의 표기에 따른 M/2와 비교되고, 위상변경이 위상 M/2에 가장 가까운 위상이 더 가깝게 되는 식으로 수행되며, 이것은, M/2-phase(y[l-1]) 〈 phase(y[l])-M/2라고 하면 위상인 phase(y[l-1])+편차는 phase(y[l-1]) 대신 출력을 위해 계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다면, 위상인 phase(y[l-1])-편차가 phase(y[l-1]) 대신 계산된다. 위상변경은 0 내지 M-1의 범위로 제한되어야 한다.
예컨대, M=64와 1.25의 재배율화계수와, phase(y[l-1])=6 및 phase(y[l])=57, 문턱1=0, 문턱2=12, 문턱3=52 및 문턱4=63인 경우, 조건은 (32-6)〈(57-32)로 거짓이 되고, 이것은 phase(y[l])이 x[k]에 물리적으로 y[l]보다 더 가까움을 의미한다. 이 경우, 편차는 phase(y[l])로부터 감산되어 펄스가 존재한다면, 편차는 phase(y[l])로부터도 감산된다. "편차(deviation)"는 이 재배율화계수의 경우 6으로 설정될 수 있고, 그래서 새로운 위상들은 y[l-1]의 경우 6-6=0이고 y[l]의 경우 57-6=51이다.
"편차"의 값은 입력화소와 출력화소간의 정렬 레벨을 제어하고 영상선명도를 제어하며, 에지들에 대해 하나의 값과 펼스들에 대해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편차"의 값이 M을 초과하는 상황은 없다. 실제 적용에서, "편차"의 값은 재배율화계수에 의존하여 M/8과 M/4 사이가 되어야 한다.
펄스의 경우, phase(y[l-1]) 및 phase(y[l]) 둘 다는 동일한 량만큼 변경된다. 에지의 경우에는, 에지 위에 있는 위상만이 변경된다. 위상변경의 량, 또는 "편차"는 펼스들과 에지들에 대해 수치적으로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에지가 에지의 편차보다는 작은 "편차"에 대한 값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전술의 예에서, 에지들에 대한 "편차"값은 4였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과 변형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가로방향들에서의 개선된 세부향상을 갖는 영상재배율화시스템을 언급하였으나, 발명의 윈리는 세로방향으로 또는 가로 및 세로 발향들 둘 다에 적용될 수 있다. 이것과 다른 그러한 대체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언급된 발명의 영역 및 범위내에 들어갈 것으로 믿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균일샘플링이 좋은 대비를 제공하는데 실패하는 경우들을 검출하고, 비균일샘플링을 통하여 지역대비(local contrast)를 개선시킨다. 따라서, 고대비의 재배율화된 영상을 얻을 수 있게 한다.

Claims (8)

  1. 기설정된 입력공간분해능의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입력공간분해능과는 다른 기설정된 출력공간분해능을 갖는 고대비재배율화된 영상을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의 입력샘플들로부터 출력샘플들을 발생하기 위해 위상들로 분할된 필터;
    상기 출력샘플들 중의 기설정된 시간문턱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기설정된 출력샘플들을 상기 입력샘플들 중의 가장 가깝게 발생하는 입력샘플들로부터 검출하고, 상기 입력신호의 세부상들을 상기 입력샘플들 중의 상기 가장 가깝게 발생하는 입력샘플들에서 검출하는 세부검출기; 및
    상기 세부상들과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상기 세부상들의 영상대비를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샘플들 중의 상기 기설정된 출력샘플들을 시프트시키는 출력샘플러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검출기는, 기설정된 진폭을 초과하는 펄스세부상을 검출하며 이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샘플러가 상기 펄스세부상의 개개의 에지들과 실질적으로 정렬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샘플들 중의 두 개의 인접한 출력샘플들을 시프트시키게 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기설정된 진폭은 상기 세부상으로부터 노이즈를 필터링하기 위한 문턱으로서 기능을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검출기는, 기설정된 진폭을 초과하는 좌측에지세부상을 검출하며 이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샘플러가 상기 좌측에지세부상과 실질적으로 정렬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샘플들 중의 인접한 출력샘플을 시프트시키게 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기설정된 진폭은 상기 세부상으로부터 노이즈를 필터링하기 위한 문턱으로서 기능을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검출기는, 기설정된 진폭을 초과하는 우측에지세부상을 검출하며 이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샘플러가 상기 우측에지세부상과 실질적으로 정렬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샘플들 중의 인접한 하나를 시프트시키게 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기설정된 진폭은 상기 세부상으로부터 노이즈를 필터링하기 위한 문턱으로서 기능을 하는 장치.
  5. 기설정된 입력공간분해능의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입력공간분해능과는 다른 기설정된 출력공간분해능을 갖는 고대비재배율화된 영상을 발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의 입력샘플들로부터 출력샘플들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출력샘플들 중의 기설정된 시간문턱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기설정된 출력샘플들을 상기 입력샘플들 중의 가장 가깝게 발생하는 입력샘플들로부터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신호의 세부상들을 상기 입력샘플들 중의 상기 가장 가깝게 발생하는 입력샘플들에서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세부상들과 실질적으로 정렬하여 상기 세부상들의 영상대비를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샘플들 중의 상기 기설정된 출력샘플들을 시프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세부상을 검출하는 상기 단계는, 기설정된 진폭을 초과하는 펄스세부상을 검출하는 단계와, 이에 응답하여 상기 펄스세부상과 실질적으로 정렬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샘플들 중의 인접한 출력샘플을 시프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된 진폭은 상기 세부상으로부터 노이즈를 필터링하기 위한 문턱으로서 기능을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세부상을 검출하는 상기 단계는, 기설정된 진폭을 초과하는 좌측에지세부상을 검출하는 단계와, 이에 응답하여 상기 좌측에지세부상과 실질적으로 정렬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샘플들 중의 인접한 출력샘플을 시프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된 진폭은 상기 세부상으로부터 노이즈를 필터링하기 위한 문턱으로서 기능을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세부상을 검출하는 상기 단계는, 기설정된 진폭을 초과하는 우측에지세부상을 검출하는 단계와, 이에 응답하여 상기 우측에지세부상과 실질적으로 정렬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샘플들 중의 인접한 출력샘플을 시프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된 진폭은 상기 세부상으로부터 노이즈를 필터링하기 위한 문턱으로서 기능을 하는 방법.
KR1020000056741A 1999-09-27 2000-09-27 적응대비향상을 갖는 디지털영상재배율화를 위한 방법 및장치 KR100745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05,084 US6771837B1 (en) 1999-09-27 1999-09-27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image rescaling with adaptive contrast enhancement
US09405084 1999-09-27
US9405084 1999-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674A true KR20010050674A (ko) 2001-06-15
KR100745660B1 KR100745660B1 (ko) 2007-08-02

Family

ID=2360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741A KR100745660B1 (ko) 1999-09-27 2000-09-27 적응대비향상을 갖는 디지털영상재배율화를 위한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71837B1 (ko)
EP (1) EP1093086B1 (ko)
JP (1) JP4809523B2 (ko)
KR (1) KR100745660B1 (ko)
DE (1) DE60037860T2 (ko)
TW (1) TW47369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660B1 (ko) * 1999-09-27 2007-08-02 제너시스 마이크로칩 인코포레이티드 적응대비향상을 갖는 디지털영상재배율화를 위한 방법 및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7318A (en) 1996-12-20 1999-12-28 Z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otyp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US7525526B2 (en) * 2003-10-28 2009-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image reconstruction and subpixel rendering to effect scaling for multi-mode display
US7824001B2 (en) * 2004-09-21 2010-11-02 Z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rvicing 3D printers
FR2880454A1 (fr) * 2005-01-06 2006-07-07 Thomson Licensing Sa Dispositif et procede de rehaussement de contours
TWI312633B (en) 2005-06-02 2009-07-21 Ind Tech Res Inst A composite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ing digital image
US20070183684A1 (en) * 2006-02-08 2007-08-09 Bhattacharjya Anoop K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ast adjustment
US20080047628A1 (en) 2006-05-26 2008-02-28 Z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handling materials in a 3-D printer
US7660486B2 (en) * 2006-07-10 2010-02-09 Aten Internation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removing opaque area as rescaling an image
US8553808B2 (en) 2006-12-13 2013-10-08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signal in a frequency band using non-uniform sampling
US8781248B2 (en) * 2010-01-28 2014-07-15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Image details preservation and enhancement
KR102023501B1 (ko) * 2013-10-02 2019-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설정가능한 이미지 처리 파이프라인을 포함하는 시스템 온 칩과, 상기 시스템 온 칩을 포함하는 시스템
WO2018125939A1 (en) 2016-12-30 2018-07-05 DeepMap Inc. Visual odometry and pairwise alignment for high definition map creation
CN112954138A (zh) * 2021-02-20 2021-06-11 东营市阔海水产科技有限公司 水产经济动物图像采集方法、终端设备及可移动料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3794A (ja) * 1992-02-20 1993-09-10 Hitachi Ltd 多値自然画デジタル画像の拡大方法及びその拡大装置
US5422827A (en) * 1993-02-12 1995-06-06 Cirrus Logic, Inc. Integrated video scaling and sharpening filter
GB9311942D0 (en) * 1993-06-09 1993-07-28 Kodak Ltd Digital signal processing
JP3310744B2 (ja) * 1993-12-22 2002-08-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解像度変換装置
US5572608A (en) * 1994-08-24 1996-1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nc filter in linear lumen space for scanner
US6771837B1 (en) * 1999-09-27 2004-08-03 Genesis Microchi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image rescaling with adaptive contrast enhanc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660B1 (ko) * 1999-09-27 2007-08-02 제너시스 마이크로칩 인코포레이티드 적응대비향상을 갖는 디지털영상재배율화를 위한 방법 및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71837B1 (en) 2004-08-03
DE60037860T2 (de) 2009-01-22
KR100745660B1 (ko) 2007-08-02
EP1093086A2 (en) 2001-04-18
DE60037860D1 (de) 2008-03-13
JP4809523B2 (ja) 2011-11-09
EP1093086A3 (en) 2002-01-16
EP1093086B1 (en) 2008-01-23
JP2001144953A (ja) 2001-05-25
TW473695B (en) 200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350B1 (ko) 고화질영상을발생하도록화소를처리하기위한비디오처리장치및그방법그리고그것을적용하기위한비디오프린터
US7375767B2 (en) Method of converting resolution of video signal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45660B1 (ko) 적응대비향상을 갖는 디지털영상재배율화를 위한 방법 및장치
US5917963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7545391B2 (en) Content adaptive resizer
JP4460839B2 (ja) デジタル画像鮮鋭化装置
KR100715134B1 (ko) 텍스트 개선
JP4663349B2 (ja) スクリーン周波数を推定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1141197A1 (en) Method for detecting directions of regularity in a two-dimensional image
EP3100233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quality of an image
KR20050027152A (ko) 이미지 디테일 강조에 있어서 잡음 있는 가장자리의 검출및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6291988A (ja) ディジタル映像データの補間方法及び回路
JPH0721360A (ja) 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
KR20050073565A (ko) 샤프니스 개선
US8072465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US20040086201A1 (en) Fast edge directed polynomial interpolation
US7479996B2 (en) Noise eliminat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2003520507A (ja) Sdからhdtvへの変換を向上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100283799A1 (en) Content adaptive scaler based on a farrow structure
US6867817B2 (en) Natural luminance transient enhancement
Chan et al. Heuristic approach for video image enhancement
JP200501274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Lachine et al. Edge adaptive intra field de-interlacing of video images
JP2008271085A (ja) 映像スケーリング装置
CN116563176A (zh) 一种二维递归滤波减少数字图像中色阶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