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849A - Train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Train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849A
KR20010049849A KR1020000042122A KR20000042122A KR20010049849A KR 20010049849 A KR20010049849 A KR 20010049849A KR 1020000042122 A KR1020000042122 A KR 1020000042122A KR 20000042122 A KR20000042122 A KR 20000042122A KR 20010049849 A KR20010049849 A KR 20010049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individual
vehicle
form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1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가타타카시
무라타사토루
세키노신이치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10049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849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81On-board diagnosis or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72On-board train data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21Measuring and recording of train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PURPOSE: To optimize the driving of a train by installing a train controller deciding a train control command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whole travel of the train and a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part which individually travel- controls the car organizations in the train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state of the train organizations of the train. CONSTITUTION: A train control system 1-101 is constituted of a train controller 1-02 deciding a train control command and a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1-102 mediating mutual information exchange of the train controller 1-02 and an individual control system 1-03. The train controller 1-02 transfers information on the collective travel control of a train 1-100.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1-102 is constituted of a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1-04 and an inter-organization connection device 1-05, and it mutually exchanges information. An individual organization driving device 1-08 controls the travel of a ear organization 1-01 Thus, travel control which precisely corresponds to the constitution state of the ear organization of the train can be executed.

Description

열차제어시스템{TRAIN CONTROL SYSTEM}Train Control System {TRAIN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열차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 열차제어시스템, 또는 자동 열차운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 or an automatic train driving system.

철도는, 이동의 자유도가 한정된 선로상을, 복수의 열차끼리가 안전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주행하는 교통 형태이다. 그러나, 최근은, 수송력의 증강이나, 교통흐름의 다양화라는 사회적 요구에 응하기 위해서, 복수의 열차의 운행이 고빈도로 여러 가지 정차 패턴에 따라서 설정된다고 하는 운행 체계의 복잡화가 요청되고 있다. 이것을 효율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종착·시발역의 복수 열차가 모이는 간선 구간에서는, 다른 열차끼리를 병합하여, 일렬차라고 보고서 운전함으로써 한정된 노선 용량에 대응하여, 도중의 분기역에서 행선지에 따라서 따로따로의 열차로 분할하여서 다양한 운행 체계를 만족한다고 하였던, 소위 분할·병합의 방법이 종래부터 검토되어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A railroad is a traffic mode in which a plurality of trains travel while maintaining a safe interval on a track having a limited degree of freedom of movement. However, in recent years, in order to meet the social demands of increasing transportation capacity and diversifying traffic flow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the complexity of the driving system in that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trains is set according to various stop patterns at high frequencies. In order to realize this efficiently, in the trunk section where a plurality of trains of various destinations and starting stations are gathered, the different trains are merged and reported as a single-line car, corresponding to the limited line capacity, an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at the branch station in the middle. The so-called method of dividing and merging, which has been said to satisfy various operating systems by dividing into trains, has been reviewed conventionally and commercialized.

한편, 철도에서는 열차의 운전조작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자동 제어 시스템(열차제어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다. 즉, 충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선행 열차의 현재 위치나 진로의 개통에 따라서 후속 열차의 속도를 제한하는 자동 열차제어시스템(ATC)이나, 열차의 출발로부터 도착역에서의 정지까지의 일련의 운전조작을 맡는 자동 열차운전시스템(ATO)이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railways have introduced automatic control systems (train control systems) for safe and efficient operation of trains. That is, in order to prevent a crash, an 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 (ATC) that limits the speed of subsequent trains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receding train or the opening of a course, or a series of driving operations from the start of the train to the stop at the arrival station. An automatic train driving system (ATO) is being used.

우선, 기존의 열차제어시스템에 있어서의 분할·병합운전에 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division / merge operation in the existing train control system will be described.

기존의 열차제어시스템에서는, 열차상에 장비되어 있는 열차의 주행제어를 위한 제어지령을 출력하는 차상제어장치를, 분할·병합의 구성단위로 되는 차량 편성마다 구비하고 있다. 각 차량 편성은, 그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출력하는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차상제어장치가 내는 제어지령에 따른 동작을 한다.In the existing train control system, an on-vehicle control device that outputs a control command for running control of a train equipped on a train is provided for each vehicle group that is a division unit of a merger or merger. Each vehicle combination includes a drive device for outputting a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vehicle, and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ssued by the on-vehicle control device.

이러한 열차제어시스템에서는, 분할운전시에는, 각 차량 편성은 각각 따로따로 열차로서 운전된다. 이 때문에, 각 열차의 차상제어장치는 각 차량 편성에서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각각의 단일 차량 편성으로 구성된 각 열차의 주행을 제어한다.In such a train control system, at the time of divided driving, each vehicle group is driven separately as a train. For this reason, the on-vehicle control apparatus of each train operates independently in each vehicle formation, and controls the running of each train comprised of each single vehicle formation.

한편, 병합운전시에는, 복수의 차량 편성의 병합상태가 단일의 열차라고 보고서 운행되고 있다. 즉, 열차의 운전은, 복수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열차에 대하여, 열차 전체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함으로써 한다. 이 경우, 각 차량 편성에 장비된 차상제어장치는, 열차 전체로서는 복수 존재하는 것으로 되지만, 실제로 열차의 주행을 제어하는 것은 열차내중 어느 하나의 차량 편성에 장비된 하나의 차상위제어장치로, 그 밖의 차량 편성의 차상제어장치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merge driving, the merge state of a plurality of vehicle formations is reported to be a single train. In other words, the driving of the train is performed by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for the trai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vehicle combinations. In this case, there are a plurality of onboard control devices provided for each vehicle formation, but in practice, it is one vehicle higher control device provided for any on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that controls the running of the train. No on-vehicle vehicle control device is used.

이와 같이 복수의 차량 편성의 병합상태로 이루어지는 열차에 관해서, 어떤 하나의 차상제어장치가, 병합된 다른 차량 편성에 관해서도 더불어 주행제어하는 것은, 기존의 병합운전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총괄 제어라고 불린다.As described above, it is widely used in the existing merge operation that any one vehicle control device carries out traveling control with respect to the other vehicle combinations which have been merged with respect to a train having a merged state of a plurality of vehicle combinations. This method is also generally referred to as overall control.

이러한 종래의 총괄 제어는, 복수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열차에 관해서는, 그 구성요소의 각 차량 편성이 같은 차종이나, 또는 미리 가정된 특정 차종의 조합에 관해서 취급한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또한, 열차의 주행제어를 맡은 차상제어장치가 출력하는 제어지령(노치(notch)에 의한 지정)에 관해서는, 열차내의 모든 차량 편성에 대하여, 일률적으로 같은 값(노치)이 지시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Such conventional general control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a train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hicle combinations is handled with respect to a vehicle model of the same vehicle combination of i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of a specific vehicle model assumed in advance. In addition, the control command (designation by notch) output by the on-vehicle control device in charge of traveling control of the train is instructed to uniformly indicate the same value (notch) for all the trains in the train. .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총괄 제어에서는, 미리 가정된 특정한 차종의 차량 편성의 조합에 관해서, 차량 편성마다 다른 원래의 구동 성능을 병합운전시에는 동일 수준으로 평준화함에 의해 각 차량 편성은 분할운전시의 구동력 특성(원래의 특성)에 추가하여, 미리 설정된 병합운전시의 구동력 특성을 별도로 가지고, 분할·병합에 따라서 각 차량 편성의 구동력 특성을 바꿔 주행을 제어하는 방법도 고안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총괄제어 가운데에서도, 또 협조 제어라고 불리고 있다.Further, in the general control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th respect to the combination of the vehicle combinations of a specific vehicle model assumed in advance, the original driving performances different for each vehicle formation are equalized to the same level during the combined driving so that each vehicle combination is divided during the driving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riving force characteristics (original characteristics), a method of controlling driving by changing the driving force characteristics of each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division and merging in addition to the driving force characteristics at the time of merge operation which is set in advance is also devised. Such a method is also called cooperative control among general control.

이상으로 서술한 분할·병합, 총괄 제어 또는 협조 제어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회사) 일본 철도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협의회 간행 " 제 34 회 철도에 있어서의 사이버네틱스 이용 국내 심포지엄 논문집 : 512 EC ·DC 총괄 제어 운전 시스템의 개발", 특개평 7-115711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열차제어시스템이 있다.As a related art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division / merge, general control, or cooperative control, for example, published by the Japan Railway Cybernetics Council ("The Korean Symposium on the Use of Cybernetics on the 34th Railway: 512 EC" Development of a DC overall control driving system ",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115711.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열차제어시스템의 총괄 제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However, the general control of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총괄 제어의 대상이,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 편성이 같은 차종이나, 또는 미리 가정된 특정 차종의 조합에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분할·병합운전의 채용이, 운행 체계에 공용할 수 있는 차량 편성의 차종의 사정에 따라서 제약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First, since the object of general control was limited to the same vehicle model or the combination of a specific vehicle model which constitutes a train, the adoption of division / merge driving is common to the driving system.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restrict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the model of the train.

또한,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차종이 다양한 경우, 즉, 다른 주행 성능의 차량 편성으로부터 일렬 차편성으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관해서, 열차의 전체 주행 성능을 인식에 배려한 것이 아니었다. 그러나, 이 점은, 여러 가지 차량 편성의 분할 ·병합을 가정한 열차 운전에 있어서, 차세대 ATC의 대표 예로, 열차의 전체 브레이크 성능 등이 정확한 인식에 근거하여 일단식 보안 감속 제어를 실현하는 데에 있어서 문제가 된다. 또한, 열차의 전역간에서의 때때로 시시 각각의 주행제어를 맡은 ATO를 고성능으로 실현한 뒤에도,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여러 가지 구성 상태에 대응한 열차 전체로서의 주행 성능의 인식은 필수적이다.In addition, regarding the case where the vehicle model of the vehicle formation in a train is various, ie, when it is comprised as a series vehicle formation from the vehicle formation of a different running performance, it was not considered the recognition of the whole running performance of a train. However, this point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next generation ATC in train operation assuming division and merging of various vehicle combinations, and is used to realize single-stage security deceleration control based on accurate recognition of the overall brake performance of the train. This is a problem. In addition, even after realizing the high performance of the ATO, which is in charge of the driving control of each hour, throughout the entire train, the recognition of the driving performance as the whole train corresponding to various configuration states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is essential.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총괄 제어는, 열차의 주행제어를 맡은 차상제어장치가 출력하는 제어지령(노치에 의한 지정)에 관해서는, 열차내의 모든 차량 편성에 대하여 일률적으로 같은 값(노치)이 지시되어 있다. 그러나, 주행 성능이 다른 복수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열차에서는, 동일한 역행·브레이크 지령(노치)에 대한 가속·감속도는, 일반적으로 각 차량 편성마다 다르다. 이 때문에, 종래기술에 의한 총괄제어에서는, 각 차량 편성간에 부자연한 응력을 생기게 함으로써, 특히 차량 편성끼리를 병합하는 편성간 연결장치의 피로 및 소모에 의한 강도 열화를 초래할 가능성도 생각된다.In addition, in general control by the prior art, the control command (designation by a notch) output by the on-vehicle control device in charge of traveling control of a train is uniformly indicated by the same value (notch) with respect to all vehicle combinations in the train. It is. However, in a train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hicle combinations having different running performances,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with respect to the same backing / brake command (notch) are generally different for each vehicle combination. For this reason, in general control by the prior art, it is also considered that the unnatural stress is generated between each vehicle knitting, and in particular, the strength deterioration may be caused by fatigue and consumption of the connecting device that merges the vehicle knitting.

따라서, 열차의 전체로서의 주행을 적절히 제어하기 위해서는,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여러 가지 구성 상태, 즉, 열차가 분할운전중인가, 또는 어떠한 차종과 수량의 차량 편성의 조합으로 병합운전중인가에 대응하여서 열차 전체로서의 주행 성능을 임기응변으로 인식한다고 하는 종래에 없는 기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Therefore, in order to appropriately control the running of the train as a whole,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various configuration states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that is, whether the train is in divided operation or in which a combination of vehicle types and quantity of vehicle combinations are being combined. It is considered that a function not existing in the past that the driving performance as the entire train is recognized as a temporary response is necessary.

또한, 열차 전체의 주행에 대하여,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에서의 개별의 구동상태를 최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여러 가지 구성 상태에 따라서, 각 차량 편성단위로 개별적인 주행제어를 위한 제어지령을 지시한다고 하는, 종래에 없는 기능이 요청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optimize the individual driving state in each vehicle formation in a train for the whole train, the control instruction for individual driving control by each vehicle formation unit according to the various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a train. There is a request for a function that does not exist in the prior art to indicate.

본 발명의 목적은, 분할·병합을 가정한 열차의 운전에 있어서, 열차가 어떠한 차종의 차량 편성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열차 전체로서의 주행 성능이나,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적인 구동 상태를 인식하여 대응함으로써,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여러 가지 구성 상태에 적절히 대응하는 주행제어를 실현하여, 그 결과로서 열차 운전의 최적화를 꾀할 수 있는 열차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gnize a driving performance as an entire train or an individual driving state of each vehicle combination in a train, even when the train is composed of any combination of vehicle combinations in driving of a train assuming division and mer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in control system capable of realizing a travel control corresponding to various configuration states of a vehicle in a train, and consequently optimizing train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관한 분할 운전시 정보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information flow during the split operation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관한 병합 운전시 정보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information flow during the merge operation of the train combin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의 처리의 전체 흐름을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flow of processing of the train combination general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관한 분할 운전시 정보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information flow during the split operation in the train combin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관한 병합 운전시 정보의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flow of information during the merge operation in the train combin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의 내부의 구성과 정보의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and the flow of information of the train combination overal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9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of the train combination overal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주행 성능이 다른 차량 편성끼리가 병합 운전하는 경우, 열차의 전체의 주행에 미치게 하는 영향의 모양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10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shape of the influence on the entire running of the train when the vehicle combinations with different driving performances are combined driving;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에 관해서, 어떤 가정 주행 속도 V에서의 열차 브레이크 성능 βtrain(V)의 생성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FIG. 11 is a view showing a flow of a process for generating train brake performance βtrain (V) at a certain home running speed V with respect to 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2는 열차가 주행 성능이 다른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로 구성되는 경우에 관해서, 도 11의 처리에 있어서의 입력정보와 출력정보를 테이블에 나타낸 도면,FIG. 12 is a table showing input information and output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FIG. 11 in a table in which a train is composed of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having different running performances; FIG.

도 13은 열차가 주행 성능이 다른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로 구성되는 경우에 관해서, 도 12의 처리가 생성하는 열차 브레이크 성능 대 주행속도특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FIG. 13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rain brake performance versus travel speed characteristics generated by the process of FIG. 12 in the case where a train is composed of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having different running performances; FIG.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차역행성능 생성수단에 관해서, 어떤 가정 주행속도 V에서의 열차 역행 성능 αtrain(V)의 생성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Fig. 14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the process of generating train reverse performance αtrain (V) at a certain home traveling speed V with respect to the train revers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열차가 주행 성능이 다른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로 구성되는 경우에 관해서, 도 14의 처리의 입력정보와 출력정보를 테이블에 나타낸 도면,FIG. 15 is a table showing input information and output information of the process of FIG. 14 in a table in which the train is composed of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having different running performances; FIG.

도 16은 열차가 주행 성능이 다른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로 구성되는 경우에 관해서, 도 14의 처리가 생성하는 열차역행성능 대 주행속도특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FIG. 16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rain reverse performance versus traveling speed characteristics generated by the process of FIG. 14 in the case where a train is composed of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having different running performances; FIG.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 열차가 주행 성능이 다른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로 구성되는 경우에 관해서, 도 14의 처리가 생성하는 열차역행성능 대 주행속도특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FIG. 17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rain reverse performance versus traveling speed characteristics generated by the process of FIG. 14 in the case where the train is composed of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having different running performances in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1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의 처리의 전체 흐름을 나타낸 도면,19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flow of processing of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관한 분할운전시 정보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20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information flow during the split operation in the train combin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관한 병합운전시의 정보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2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information flow during the merge operation of the train combin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내부의 구성과 정보의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2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dividual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and the flow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다른 차량 편성이 병합 운전하는 경우,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 편성에 작용하는 힘 모양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FIG. 2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orce shape acting on each vehicle combination constituting a train when another vehicle combination is driving;

도 24는 다른 차량 편성이 병합 운전하는 경우,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 편성에 작용하는 힘 모양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2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orce shape acting on each vehicle combination constituting a train when another vehicle combination is driving combined;

도 25는 다른 차량 편성이 병합 운전하는 경우,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 편성에 작용하는 힘 모양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2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orce shape acting on each vehicle combination constituting a train when another vehicle combination is driving combined;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의 역행제어에 관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Fig. 26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relating to the retrograde control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은 도 26의 처리에서 사용하는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2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used in the processing in FIG. 26;

도 28은 도 26의 처리에서 사용하는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테이블의 내용정보생성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FIG. 28 is a view showing a flow of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processing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table used in the process shown in FIG. 26;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처리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개별편성 제어지령과, 원래의 열차제어지령과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29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obtained from the processing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iginal train control command;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의 역행제어에 관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30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relating to the retrograde control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은 도 30의 처리에서 사용하는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3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used in the processing in FIG. 30;

도 32는 도 30의 처리에서 사용하는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테이블의 내용정보생성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32 is a view showing a flow of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processing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table used in the process shown in FIG. 30;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처리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개별편성 제어지령과, 원래의 열차제어지령과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33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obtained from the processing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iginal train control command;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내부의 구성과 정보의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3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dividual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and the flow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내부의 구성과 정보의 흐름 모양을 나타낸 도면,3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dividual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and the flow of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내부의 구성과 정보의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3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and the flow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3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구성의 별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38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별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39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구성의 또 다른 별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40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4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구성의 별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42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구성의 별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43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4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구성의 별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열차제어시스템은, 다음 기능을 갖는다.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train control system of this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unction.

즉,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 주행 성능을 나타낸 정보를 사용하여,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정보를 생성한다.That is, using the information which shows the individual runn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a train, the information which shows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whole train is produced | generated.

또한, 열차 전체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지령으로부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 제어하기 위한 제어지령을 생성한다.Further, from the control instructions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a control command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each vehicle in the train is generated.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열차제어시스템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For this reason, the train control system of 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following structures.

제 1 열차제어시스템은,The first train control system,

열차 전체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열차제어지령을 결정하는 열차 제어장치와,A train control device for determining a train control command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train;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 상태에 따라서 열차내의 각각의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는 편성총괄제어부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ormation of the train, it has a knitting overall control part which controls each vehicle formation in a train separately.

또한, 이 편성총괄제어부는,In addition, this knitting control unit,

열차내의 각각의 차량 편성에 장비되어,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는 개별편성제어부와,A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unit equipped with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vehicle formation traveling;

열차 제어장치와 개별편성제어부의 사이에 끼워져, 열차 제어장치와 개별편성제어부의 상호의 정보교환을 중개하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It is comprised by the train formation control part interposed between the train control apparatus and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part, and mediating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a train control apparatus and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part.

또한, 제 2 열차제어시스템은,In addition, the second train control system,

열차의 주행제어에 있어서,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라서 열차내의 각각의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기 위한 개별 편성 제어지령을 결정하여, 개별 편성 제어지령을 상기 차량 편성에 대하여 출력하는 열차총괄제어부와,In the running control of a train, a train for determining an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for individually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train in the trai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train of the train, and outputting an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to the vehicle train. General control unit,

열차내의 각각의 차량 편성에 장비되어,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는 개별편성제어부를 갖는다.It is equipped with each vehicle formation in a train, and has a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part which controls a vehicle formation individually.

또한, 열차총괄제어부는,In addition, the train control unit,

열차 전체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열차제어지령을 결정하는 열차 제어장치와,A train control device for determining a train control command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train;

열차 제어장치와 개별편성제어부의 사이에 끼워져, 열차 제어장치와 개별편성제어부의 상호의 정보교환을 중개하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It is comprised between the train control unit and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part, and it consists of the train formation control part which mediates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a train control apparatus and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part.

또한, 제 3 열차제어시스템은, 열차 전체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열차제어지령을 결정하는 열차 제어장치와,Further, the third train control system includes a train control device for determining a train control command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열차내의 각각의 차량 편성에 장비되어,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는 개별편성제어부와,A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unit equipped with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vehicle formation traveling;

열차 제어장치와 개별편성제어부의 사이에 끼워져, 열차 제어장치와 개별편성제어부의 상호의 정보교환을 중개하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부를 갖는다.It is interposed between a train control apparatus and a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part, and has a train formation general control part which mediates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a train control apparatus and a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part.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부는,In additio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unit,

열차 제어장치와 열차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고,Send and receive information on train control system and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rains,

개별편성제어부와 차량 편성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와,A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for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unit and the vehicle formation,

열차내의 다른 차량 편성간의 정보전송을 맡는 편성간 연결장치를 갖는다.It has an inter-organizational connection system in charge of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vehicle groups in a train.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부는,In additio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unit,

개별편성제어부에서 차량 편성의 개별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를 받고,Receives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showing the individual driv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formation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unit,

열차 제어장치에 대하여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출력하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를 갖고 있다.The train control system has a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that outputs train organiz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부에 구비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는,In additio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provided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unit,

열차내의 각각의 차량 편성의 개별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각각의 개별 편성 성능 정보로부터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라서 생성하는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을 갖고 있다.Train organization overal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train organization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showing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train as a whole from the individual organiz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showing the individual driv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organization of the train Have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부는,In additio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unit,

열차 제어장치로부터 열차 전체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열차제어지령을 받고,Receive train control command to collectively control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from the train control system,

개별편성제어부에 대하여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기 위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출력하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를 갖고 있다.It has a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which outputs a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for individual vehicle control to drive a vehicle formation individually to a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part.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부에 구비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는,In additio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provided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unit,

열차 전체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열차제어지령으로부터,From the train control command to collectively control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열차내의 각각의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라서 생성하는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부를 갖고 있다.A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section for generating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for individually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ormation of the train.

또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부는,In additio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각각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에 의해서 초래되는 각각의 차량 편성의 구동상태가,The driving state of each vehicle formation caused by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is

각각의 차량 편성끼리에서 서로 작용하는 응력 부담의 감소에 배려한 것으로 되도록 열차제어지령으로부터 각각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한 것이다.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from the train control command so as to consider the reduction in the stress burden acting on each of the vehicle formations.

(실시예 1)(Example 1)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draw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전체 구성은, 열차를 구성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차량 편성으로 구성된다. 차량 편성은, 단수 또는 복수의 차량으로 구성된다.The whole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by the singular or multiple vehicle formation which comprises a train. The vehicle combination is composed of a single vehicle or a plurality of vehicles.

먼저, 열차(1-100)는, 단일의 차량 편성(1-101)으로 구성된 열차를 나타낸다.First, the train 1-100 shows the train comprised by the single vehicle formation 1-101.

열차(1-10O)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1-101)은, 차량 편성마다 장비되어 열차(1-100) 전체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열차제어지령을 결정하는 열차 제어장치(1-02)와, 차량 편성마다 장비되어 각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는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03)과, 열차 제어장치(1-02)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03)의 사이에 끼워져 열차 제어장치(1-02)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03)의 상호의 정보교환을 중개하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102)으로 구성된다.The train control system 1-101 according to the train 1-10O is provided for each train group, and the train control apparatus 1-02 for determining a train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1-100. And an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1-03) which is equipped for each vehicle formation and controls each vehicle combination separately, and is fitted between the train control device (1-02) and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1-03). It consists of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trol system 1-102 which mediates the mutual exchange of informa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1-02 and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1-03.

열차 제어장치(1-02)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102)에 접속하고,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102)과의 사이에서, 열차(1-1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다. 열차 제어장치(1-02)와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102)의 접속은,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102)에 포함되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04)가 맡는다.The train control apparatus 1-02 is connected to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1-102, and is used for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1-100 between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1-102.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Connection of the train control device 1-02 and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1-102 is undertaken by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1-04 included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1-102.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1O2)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04)와, 편성간 연결장치(1-05)로 구성된다.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04)와 편성간 연결장치(1-O5)는 서로 접속하여, 서로 정보를 교환한다.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11-1O2 is comprised by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apparatus 1-04 and the interfacing connection apparatus 1-05.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1-04 and the train connection device 1-O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04)는,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03)내의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1-09), 열차 제어장치(1-02) 및 편성간 연결장치(1-05)에 접속한다.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1-04) is an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on line (1-09), a train control device (1-02), and a connection device (1-05) i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1-03). ).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O4)는, 열차 제어장치(1-02)와, 열차(1-1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다. 열차(1-1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에는, 열차 제어장치(1-02)로부터 받아들인 열차(1-100)용 주행제어지령을 나타낸 열차제어지령이나, 열차 제어장치(1-O2)에 대하여 출력한 열차(1-100)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가 있다.In additio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1-O4 exchanges information regarding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1-100 with the train control device 1-02. Information on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1-100 includes a train control command indicating a travel control command for the train 1-100 received from the train control device 1-02, or a train control device 1-O2. ), There is train organiz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train 1-100 outputted.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04)는,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103)내의 각 장치와, 차량 편성(1-01)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다. 차량 편성(1-01)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에는,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03)으로부터 받은 차량 편성(1-01)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나, 차량 편성(1-01)의 주행속도를 나타낸 개별편성 주행정보나,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03)에 대하여 출력한 차량 편성(1-01)용 주행제어지령을 나타낸 개별편성 제어지령이 있다.In addition,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1-04 exchanges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formation 1-01 with each device i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1103.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formation 1-01 includes individua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formation 1-01 received from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1-03, and the vehicle formation (1-1-1). There is the individual knitting running information showing the traveling speed of 01) and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showing the running control command for the vehicle knitting 1-01 outputted to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1-03.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04)는, 열차가 몇 개인가 다른 차량 편성으로 구성된 경우, 편성간 연결장치(1-05)를 통해서, 다른 차량 편성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와,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다.In addition, whe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1-04) is comprised of a vehicle organization with several trains,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in another vehicle formation and the inside of a train via the inter-connection connection device (1-05)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group.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04)는, 열차 제어장치(1-02)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03)이 서로 행하는 정보 교환을 중개하고, 열차 제어장치(1-02)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03)이 교환하는 정보에 대하여, 열차(1-100)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반영한 정보변환조작을 실시한다.In addition,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1-04 mediates the information exchange which the train control device 1-02 and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1-03 perform with each other, and the train control device 1-02 On the information exchanged by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system 1-03, an information conversion operation reflecting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train in the train 1-100 is performed.

편성간 연결장치(1-05)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O4)에 접속한다. 편성간 연결장치(1-05)는, 열차가 몇 개인가 다른 차량 편성으로 구성된 경우, 인접한 다른 차량 편성의 편성간 연결장치와 역학적으로 결합하고, 동시에 차량 편성간의 정보전송을 맡는다.The knitting device 1-05 is connected to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on device 1-O4. The inter-organization linkage device 1-05, when several trains are composed of different vehicle formations, dynamically couples with the inter-connection connection arrangements of other adjacent vehicle formations, and simultaneously takes charge of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formations.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03)은, 개별 편성 성능 보유장치(1-06)와, 개별 편성 주행 검출장치(1-07)와, 개별 편성 구동장치(1-08)와,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1-09)으로 구성된다.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03)내의 각 장치는,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1-09)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고,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1-09)을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한다.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1-03 connects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holding device 1-06, the individual knitting running detection device 1-07, the individual knitting drive device 1-08, and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on. It consists of a line 1-09. Each device i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1-03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ng line 1-09, and exchanges information with each other via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ng line 1-09.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1-09)은,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102)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04)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03)내의 개별 편성 성능 보유장치(1-06)와, 개별 편성 주행 검출장치(1-07)와, 개별 편성 구동장치(1-08)에 접속하고, 각 장치 상호간의 정보전송을 맡는다.The individual knitting apparatus connection line 1-09 includes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1-04 in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trol system 1-102 and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holding device i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1-03. (1-06), the individual knitting running detection device 1-07, and the individual knitting drive device 1-08 are connected to take charge of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the devices.

개별 편성 성능 보유장치(1-06)는, 그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03)이 장비된 차량 편성(1-01)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정보(개별 편성 성능 정보)를 보유한다. 개별 편성 성능 정보는, 대응한 차량 편성의 길이, 중량, 역행 성능, 브레이크 성능, 환경저항(차량에 작용하는 주행저항·경사저항·곡선저항)을 나타내는 정보로 이루어진다. 개별 편성 성능 보유장치(1-06)는,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1-09)을 통해서 개별 편성 성능 정보를 출력한다.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holding device 1-06 holds information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knitting 1-01 equipped with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1-03.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consists of information indicating the length, weight, backing performance, brake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resistance (running resistance, inclination resistance, and curve resistance acting on the vehicl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knitting.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holding device 1-06 outputs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via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on line 1-09.

개별 편성 주행 검출장치(1-07)는, 그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03)이 장비된 차량 편성(1-01)의 주행속도를 검출한다. 개별 편성 주행 검출장치(1-07)는,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1-09)을 통해 상기 주행속도를 나타낸 정보(개별편성 주행정보)를 출력한다.The individual knitting running detection device 1-07 detects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knitting 1-01 equipped with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1-03. The individual knitting running detection device 1-07 outputs the information (individual knitting runn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traveling speed through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on line 1-09.

개별 편성 구동장치(1-08)는, 그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03)이 장비된 차량 편성(1-01)의 주행을, 인장력 또는 브레이크 힘의 출력에 의한 가속 또는 감속에 의해서 제어한다. 개별 편성 구동장치(1-08)는,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1-09)을 통해 차량 편성(1-01)용 주행제어지령을 나타낸 정보(개별편성 제어지령)를 받고, 개별편성 제어지령에 따른 인장력 또는 브레이크 힘을 출력한다.The individual knitting drive device 1-08 controls the running of the vehicle knitting 1-01 equipped with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1-03 by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by the output of tensile force or brake force. . The individual knitting drive device 1-08 receives the information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indicating the travel control command for the vehicle knitting 1-01 through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on line 1-09, and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Output tension or brake force according to the

다음으로, 열차(1-300)는, 차량 편성 A(1-01A) 및 차량 편성 B(1-01B)의 두개의 차량 편성의 병합에 의해서 구성된 열차를 나타낸다.Next, the train 1-300 shows the train comprised by merging two vehicle formations, vehicle formation A (1-01A) and vehicle formation B (1-01B).

열차(1-300)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1-301)은, 차량 편성마다 장비되어 열차(1-300) 전체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열차제어지령을 결정하는 열차 제어장치 A(1-02A) 및 열차 제어장치 B(1-02B)와, 차량 편성마다 장비되어 각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는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1-03A) 및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B(1-O3B)와, 상기 각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의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각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의 상호의 정보교환을 중개하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302)으로 구성된다.The train control system 1-301 according to the train 1-300 is provided for each train group, and the train control device A (1-02A) for determining a train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1-300. ) And train control device B (1-02B),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A (1-03A) and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B (1-O3B), which are equipped for each vehicle formation and individually control the driving of each vehicle formation, It is comprised between the said train control apparatus and each said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trol system (1-302) which mediates the mutual information exchange of each said train control apparatus and each said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do.

각 열차 제어장치에 관해서, 열차 제어장치 A(1-02A)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302)에 포함되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1-04A)에 접속하고,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1-04A)와의 사이에서, 열차(1-3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다. 또한, 열차 제어장치 B(1-02B)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302)에 포함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1-O4B)에 접속하고,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1-04B)와의 사이에서, 열차(1-3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다.Regarding each train control device, the train control device A (1-02A) is connected to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A (1-04A) included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1-302, and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The device A (1-04A) communicates with and receives information regarding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1-300. In addition, the train control device B (1-02B) is connected to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B (1-O4B) included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1-302, and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B (1-1-1). 04B), information regarding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1-300 is exchanged.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에 관해서,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1-03A)는, 개별 편성 성능 보유장치 A(1-06A)와, 개별 편성 주행 검출장치 A(1-07A)와, 개별 편성 구동장치 A(1-08A)와,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 A(1-09A)로 구성된다.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1-03A)내의 각 장치는,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 A(1-09A)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어,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 A(1-09A)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한다.Regarding each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A (1-03A) includes an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holding device A (1-06A), an individual knitting running detection device A (1-07A), and an individual knitting drive device. A (1-08A) and individual knitting equipment connection line A (1-09A). The devices i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A (1-03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ng line A (1-09A),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via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ng line A (1-09A). .

또한,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B(1-03B)는, 개별 편성 성능 보유장치 B(1-06B)와, 개별 편성 주행 검출장치 B(1-07B)와, 개별 편성 구동장치 B(1-08B)와,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 B(1-09B)로 구성된다.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B(1-03B)내의 각 장치는,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 B(1-09B)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어,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 B(1-09B)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한다. 이때,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내의 각 장치의 기능은, 상기한 열차(1-100)(단일 차량 편성으로 구성)의 경우에 적은 내용과 마찬가지다.In additio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B (1-03B) is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holding device B (1-06B), the individual knitting running detection device B (1-07B), and the individual knitting drive device B (1-08B). And individual knitting apparatus connection line B (1-09B). The devices i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B (1-03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ng line B (1-09B),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via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ng line B (1-09B). . At this time, the function of each device in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is the same as the content which was described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train 1-100 (composed by a single vehicle formation).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302)은, 차량 편성 A(1-01A)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1-04A), 편성간 연결장치 A(1-05A)와, 차량 편성 B(1-01B)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1-04B)와, 편성간 연결장치 B(1-05B)로 구성된다. 편성간 연결장치 A(1-05A)와 편성간 연결장치 B(1-05 B)는 서로 역학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차량 편성 A(1-O1A)와 차량 편성 B(1-01B)를 병합하고, 또한 상기 차량 편성간의 정보전송을 맡는다. 이에 따라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1-04A)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1-04B)는, 편성간 연결장치 A(1-O5A)와 편성간 연결장치 B(1-05B)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한다.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1-302 is a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apparatus A (1-04A) in the vehicle formation A (1-01A), the connection system A (1-05A) between formations, and the vehicle formation B (1). -01B) and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1-04B) and inter-connection connection device B (1-05B). The inter-organization coupling device A (1-05A) and the inter-organization connecting device B (1-05 B) are mechan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reby merging vehicle formation A (1-O1A) and vehicle formation B (1-01B), It also takes charge of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the vehicle groups. Accordingly,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1-04A) and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1-04B) connect the inter-connection connection device A (1-O5A) and the inter-connection connection device B (1-05B).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각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에 관해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1-04A)는, 열차 제어장치 A(1-02A)와 열차(1-3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고,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 A(1-09A)를 사이에 끼운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1-03A)내의 각 장치와 차량 편성 A(1-O1A)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고, 편성간 연결장치 A(1-05A)를 사이에 끼운 차량 편성 B(1-01B)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1-04B)와 차량 편성 A(1-01A), 차량 편성 B(1-01B)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다.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1-04A)는, 열차 제어장치 A(1-02A)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1-03A)가 서로 행하는 정보교환을 중개하고, 열차 제어장치 A(1-02A)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1-03A)가 교환하는 정보에 대하여 열차(1-300)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른 정보변환조작을 실시한다.Regarding each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1-04A) exchanges information regarding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control device A (1-02A) and the train 1-300, and individually.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on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control system A (1-O1A) and each device in the individual vehicle control system A (1-03A) with the connecting device connection line A (1-09A)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1-04B), the vehicle formation A (1-01A), and the vehicle formation B (1-01B) in the vehicle formation B (1-01B) with the device A (1-05A) sandwiched therebetween.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driving controls. In addition,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1-04A) mediates the exchange of information which train control apparatus A (1-02A) and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A (1-03A) perform mutually, and train control apparatus A (1) Information convers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1-300 is performed for the information exchanged between -02A) and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A (1-03A).

마찬가지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1-04B)는, 열차 제어장치 B(1-02B)와 열차(1-3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고,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 B(1-09B)를 통한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B(1-03B)내의 각 장치와 차량 편성 B(1-01B)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고, 편성간 연결장치 B(1-05B)를 통한 차량 편성 A(1-01A)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1-04A)와 차량 편성 A(1-01A), 차량 편성 B(1-01B)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다.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1-04B)는, 열차 제어장치 B(1-02B)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B(1-03B)가 서로 행하는 정보교환을 중개하고, 열차 제어장치 B(1-02B)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B(1-03B)가 교환하는 정보에 대하여, 열차(1-300)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른 정보변환조작을 실시한다.Similarly,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ng device B (1-04B) exchanges information regarding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control device B (1-02B) with the train 1-300, and the individual formation device connection line B (1). -09B)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on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control system B (1-03B) and the individual vehicle control system B (1--01B) through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B (1-03B), and Information on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1-04A) in the vehicle formation A (1-01A), the vehicle formation A (1-01A), and the vehicle formation B (1-01B) is exchanged. In addition,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1-04B) mediates the information exchange which train control unit B (1-02B) and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B (1-03B) perform mutually, and train control unit B (1). -02B) and the information exchanged between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system B (1-03B), the information convers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train in the train 1-300 is performed.

도 2는 다른 차량 편성을 각각 따로따로한 열차로서 분할 운전하는 경우에 관해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관한 정보의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다.Fig. 2 shows the shape of the flow of information relating to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in the case of divided driving as a train separately from each other.

차량 편성 A(2-01A)와 차량 편성 B(2-01B)는, 분할운전시에는 각각 열차1(2-100)과 열차2(2-200)로서 독립적으로 운전된다. 이 경우, 각 열차에는 각각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2-101)과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2(2-201)가 개별로 독립하여 존재한다. 즉, 각 차량 편성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2-04A)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2-04B)에서는, 각각에 관계한 정보의 흐름이 서로 독립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열차1(2-100) 또는 차량 편성 A(2-01 A)로 설명을 한정한다.The vehicle formation A (2-01A) and the vehicle formation B (2-01B) are independently driven as the train 1 (2-100) and the train 2 (2-200) at the time of divided driving, respectively. In this case, each train train control system 1 (2-101) and train train control system 2 (2-201) are independently present. That is,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A (2-04A) and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B (2-04B) in each vehicle formation, the flow of information related to each is independent of each other. Therefore, below, description is limited to train 1 (2-100) or vehicle formation A (2-01A).

우선,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2-101)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2-O4A)에 있어서, 열차 제어장치 A(2-02A)와, 열차1(2-1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2-21A)를 주고받는다. 열차1(2-1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2-21A)에는, 열차 제어장치 A(2-02A)로부터 받은 열차1(2-1O0)용 주행제어지령을 나타낸 열차제어지령1 이나, 열차 제어장치 A(2-02A)에 대하여 출력하는 열차1(2-100)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1이 있다.First,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trol system 1 (2-101) is a train running of the train control apparatus A (2-02A) and the train 1 (2-100) in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apparatus A (2-O4A).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control (2-21A). Information (2-21A) regarding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rain 1 (2-100) includes a train control command 1 indicating a travel control command for train 1 (2-1O0) received from train control device A (2-02A). , There is train organization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1 indicat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rain 1 (2-100) output to train control device A (2-02A).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2-101)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2-04A)에 있어서,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2-03A)와, 차량 편성 A(2-01A)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2-22A)를 주고받는다. 차량 편성 A(2-01A)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2-22A)에는,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2-01A)내의 개별 편성 성능 보유장치 A(2-06A)로부터 받아들인 차량 편성 A(2-01A)의 주행 성능을 나타내는 개별 편성 성능 정보 A나, 개별 편성 주행 검출장치 A(2-07A)로부터 받아들인 차량 편성 A(2-01A)의 주행속도를 나타내는 개별편성 주행정보 A나, 개별 편성 구동장치 A(2-O8A)에 대하여 출력하는 차량 편성 A(2-01A)용 주행제어지령을 나타낸 개별편성 제어지령 A가 있다.In addition,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1 (2-101) is a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apparatus A (2-04A), and is comprised of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A (2-03A) and the vehicle formation A (2-01A).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2-22A) about individual driving control. Information (2-22A) regarding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vehicle formation A (2-01A) includes vehicle formation A received from individual formation performance holding device A (2-06A) i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A (2-01A).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A indicat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2-01A), or individual knitting running information A indicat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formation A (2-01A) received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running detection device A (2-07A), or There is an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A which shows a traveling control command for the vehicle knitting A (2-01A) output to the individual knitting drive device A (2-O8A).

이때,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2-1O1)의 내부에서는, 열차1(2-100)이 단일의 차량 편성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2-04A)는 편성간 연결장치 A(2-05A)를 통한 차량 편성간의 정보를 주고받지 않는다.At this time, since the train 1 (2-100) is made of only a singl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1 (2-1O1),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2-04A) is an inter-connection connection device. Information is not exchanged between vehicle groups through A (2-05A).

도 2에서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2-101)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2-O4A)에 있어서, 열차 제어장치 A(2-02A) 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2-03A)의 상호 정보교환 사이에 끼워져, 열차1(2-100)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반영한 정보변환조작을 실시한다. 이 경우, 열차 제어장치 A(2-02A)가 출력한 열차1(2-1O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2-21A)(열차제어지령1)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2-04A)를 경유할 때에, 차량 편성 A(2-01A)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2-22A)(개별편성 제어지령 A)로 변환되어,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2-03A)에 입력된다. 또한, 이 역방향의 흐름으로서,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2-03A)가 출력한 차량 편성 A(2-01A)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2-22A)(개별 편성 성능 정보 A)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2-04A)를 경유할 때에 열차1(2-1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2-21A)(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1)로 변환되어, 열차 제어장치 A(2-02A)에 입력된다.In FIG. 2,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1 (2-101) is train control system A (2-02A) vs.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A (2-03A) in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apparatus A (2-O4A). The information conversion operation reflects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vehicle in the train 1 (2-100) is interposed between the mutual information exchanges. In this case, information (2-21A) (train control command 1) relating to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rain 1 (2-1O0) output by train control device A (2-02A) is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2). When passing through -04A),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formation A (2-01A) is converted into information (2-22A)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A), and is transferred to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A (2-03A). Is entered. In addition, as the flow in the reverse direction, information (2-22A)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A) relating to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knitting A (2-01A) output by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A (2-03A) is The train control system A is converted into information (2-21A)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1) regarding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1 (2-100) via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2-04A). (2-02A).

도 3은, 다른 차량 편성을 함께 단일의 열차로서 병합 운전하는 경우에 관해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관한 정보의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다.Fig. 3 shows the shape of the flow of information relating to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trol system in the case of combined driving of different vehicle formations together as a single train.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으로 열차가 몇 개인가의 다른 차량 편성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열차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지령을 지시하는 역할을 상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에 장비된 열차 제어장치중의 어느 하나에만 주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일괄주행제어의 역할을 주어진 열차 제어장치가 존재하는 차량 편성을 주계편성이라고 보고, 그 이외의 상기 열차내의 차량 편성을 모두 종계편성이라고 본다. 열차의 주계편성은, 상기 열차내에 유일하게 존재한다. 이때, 주계편성의 결정방법에는, 일 예로서 상기 열차의 선두의 차량 편성을 주계편성으로 하는 방법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은 이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general, when the train is composed of several different vehicle combinations, the train control provided for each vehicle combination in the train serves to instruct a control command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train. It should be given to only one of the devices. Here, the vehicle formation in which the train control apparatus given the role of collective driving control exists is considered as the main train formation, and all of the other vehicle trains in the train other than that are considered as the longitudinal train formation. The main train schedule of a train exists only in the said train. At this time, there i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main train formation, as an example, a method of making the main train formation of the head of the train as the main train formation, but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method.

차량 편성 A(3-01A)와 차량 편성 B(3-01B)는, 병합운전시에는 함께 열차3(3-300)로서 일괄로 운전된다. 이 경우, 열차3(3-300)에는 단일의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3(3-301)이 차량 편성 A(3-01A)와 차량 편성 B(3-01B)를 일괄된 형태로 구성되고, 각 차량 편성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3-04A)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3-04B)에서는, 각각에 관계된 정보의 흐름은 서로 의존하고 있다.The vehicle formation A (3-01A) and the vehicle formation B (3-01B) are collectively driven together as the train 3 (3-300) at the time of merge operation. In this case, in train 3 (3-300), a single train grouping general control system 3 (3-301) is composed of vehicle group A (3-01A) and vehicle group B (3-01B) collectively.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3-04A) and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3-04B) in each vehicle formation, the flow of information related to each depends on each other.

또한, 열차3(3-30O)에서는, 열차3(3-300)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지령을 발령하는 역할을 차량 편성 A(3-01A)에 장비된 열차 제어장치 A(3-02A)에만 주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열차 제어장치 A(3-O2A)가 존재하는 차량 편성 A(3-01A)는 주계편성이고, 그 이외의 열차3(3-300)내의 차량 편성 B(3-02A)는 종계편성이다.In the train 3 (3-30O), the train control device A (3) equipped with the vehicle formation A (3-01A) serves to issue a control command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train 3 (3-300). -02A) only. Therefore, vehicle formation A (3-01A) in which train control apparatus A (3-O2A) exists is main train formation, and vehicle formation B (3-02A) in other trains 3 (3-300) is longitudinal formation. .

먼저, 차량 편성 A(3-01A)에 관해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3-301)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3-04A)에 있어서, 열차 제어장치 A(3-02A)와 열차3(3-3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1A)를 주고받는다. 열차3(3-3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는, 상기한 열차1(2-100)(단일차량 편성으로 구성)의 경우에서 설명된 내용과 같은 종류의 정보이다.First, regarding the vehicle formation A (3-01A),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3-301 is a train control system A (3-02A) and a train in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A (3-04A).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3-21A) regarding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3 (3-300).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3 (3-300) is the same kind of information as described in the case of the train 1 (2-100) (composed of a single vehicle combination).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3(3-301)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3-04A)에 있어서,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3-03A)와 차량 편성 A(3-01A)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A)를 주고받는다. 차량 편성 A(3-01A)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A)는, 상기한 단일 차량 편성으로 구성된 열차1(2-100)의 경우에서 설명된 내용과 같은 종류의 정보이다.In addition,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3 (3-301) is separate from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A (3-03A) and the vehicle formation A (3-01A) in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apparatus A (3-04A).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3-22A) relating to travel control. The information (3-22A) relating to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formation A (3-01A) is the same kind of information as described in the case of the train 1 (2-100) constituted of the single vehicle formation described above.

이때,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3(3-301)의 내부에서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3-04A)는, 편성간 연결장치 A(3-05A)를 통한 차량 편성 B(3-01B)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3-04B)와, 차량 편성 B(3-01B)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B)를 주고받는다. 이 경우, 차량 편성 B(3-01B)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B)에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3-04A)에 대한 입력으로서, 차량 편성 B(3-01B)의 속성으로서 차량 편성 B(3-01B)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 B가 있고,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3-04A)로부터의 출력으로서, 차량 편성 B(3-01B)로의 지시로서 차량 편성 B(3-01B)용 주행제어지령을 나타낸 개별편성 제어지령 B가 있다.At this time, in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3 (3-301),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A (3-04A) is the vehicle formation B (3-01B) via the interconnection connection device A (3-05A).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3-04B) and the information (3-22B) relating to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formation B (3-01B) are exchanged.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3-22B) relating to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formation B (3-01B) is provided as an input to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A (3-04A). As an attribute, there is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B which shows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formation B (3-01B), and as an output from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ng device A (3-04A), as an instruction | indication to the vehicle formation B (3-01B). There is an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B which shows a travel control command for the vehicle train B (3-01B).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3-O4A)는, 편성간 연결장치 A(3-05A)를 통한 차량 편성 B(3-01B)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3-O4B)에 대하여, 차량 편성 A(3-01A)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A)를 출력한다. 이 경우, 차량 편성 A(3-01A)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A)에는, 차량 편성 A(3-01A)의 속성으로서 차량 편성 A(3-01A)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 A가 있다.In addition,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3-O4A) is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3-O4B) in vehicle formation B (3-01B) via inter-connection connection device A (3-05A), Information (3-22A) relating to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formation A (3-01A) is output.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3-22A) regarding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formation A (3-01A) includes the individual show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formation A (3-01A) as an attribute of the vehicle formation A (3-01A). There is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A.

한편, 차량 편성 B(3-01B)에 관해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3(3-301)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3-04B)에 있어서, 열차 제어장치 B(3-02B)와 열차3(3-3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1B)를 주고받는다. 열차3(3-3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1B)는, 상기한 열차1(2-100)(단일차량 편성으로 구성)의 경우에 설명된 내용과 같은 종류의 정보이다.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vehicle formation B (3-01B),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3 (3-301) is similar to the train control device B (3-02B) in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B (3-04B).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3-21B) regarding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rain 3 (3-300). The information 3-21B relating to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3 (3-300) is the same kind of information as described in the case of the train 1 (2-100) (composed of a single vehicle combination).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3(3-301)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3-O4B)에 있어서,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B(3-03B)와 차량 편성 B(3-01B)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B)를 주고받는다. 차량 편성 B(3-01B)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B)는, 상기한 단일 차량 편성으로 구성된 열차1(2-100)의 경우에서 설명된 내용과 같은 종류의 정보이다.In addition,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3 (3-301) is separate from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B (3-03B) and the vehicle formation B (3-01B) in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B (3-O4B).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3-22B) about travel control. The information (3-22B) relating to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formation B (3-01B) is the same kind of information as described in the case of the train 1 (2-100) constituted of the single vehicle formation described above.

이때,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3(3-301)의 내부에 관해서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3-O4B)는, 편성간 연결장치 B(3-05B)를 통한 차량 편성 A(3-01A)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3-04A)로부터 차량 편성 A(3-01A)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A)를 받는다. 이 경우, 차량 편성 A(3-01A)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A)에는, 차량 편성 A(3-01A)의 속성으로서 차량 편성 A(3-01A)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 A가 있다.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3-04B)는, 편성간 연결장치 B(3-05B)를 통한 차량 편성 A(3-O1A)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3-04A)와, 차량 편성 B(3-01B)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 B)를 주고받는다. 이 경우, 차량 편성 B(3-01B)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B)에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3-04B)에 대한 입력으로서, 차량 편성 B(3-01B)로의 지시로서 차량 편성 B(3-01B)용 주행제어지령을 나타낸 개별편성 제어지령 B가 있고,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3-04B)로부터의 출력으로서, 차량 편성 B(3-01B)의 속성으로서 차량 편성 B(3-01B)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 B가 있다.At this time, as for the inside of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3 (3-301),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3-O4B) is the vehicle organization A (3- through the inter-connection connection device B (3-05B)). Receive information (3-22A) relating to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vehicle formation A (3-01A) from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3-04A) in 01A).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3-22A) regarding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formation A (3-01A) includes the individual show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formation A (3-01A) as an attribute of the vehicle formation A (3-01A). There is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A. In addition,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3-04B) is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3-04A) in vehicle formation A (3-O1A) via inter-connection connection device B (3-05B), and a vehicle.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3-22B) regarding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knitting B (3-01B).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3-22B) regarding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formation B (3-01B) is input to the vehicle formation B (3-01B) as an input to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B (3-04B). As an instruction, there is an individual configuration control command B which shows a travel control command for vehicle formation B (3-01B), and the attribute of vehicle formation B (3-01B) as an output from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3-04B). As an example, there is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B which shows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knitting B (3-01B).

도 3에서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3(3-301)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3-04A)에 있어서, 열차 제어장치 A(3-02A) 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3-03A), 열차 제어장치 A(3-02A) 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B(3-03B)의 상호정보교환 사이에 끼워져, 열차3(3-300)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반영한 정보변환조작을 실시한다. 이 경우, 열차 제어장치 A(3-02A)가 출력한 열차3(3-3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1A)(열차제어지령3)는, 차량 편성 A(3-01A)가 열차3의 주계편성임에 따라,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3-04A)를 경유할 때에, 차량 편성 A(3-01A)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 A)(개별편성 제어지령 A)와, 차량 편성 B(3-03B)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B)(개별편성 제어지령 B)로 변환되고, 각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3-03A),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B(3-O3B)에 입력된다. 또한, 이 역방향의 흐름으로서,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3-03A),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B(3-03B)가 각각 출력한 차량 편성 A(3-01A)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A)(개별 편성 성능 정보 A)와, 차량 편성 B(3-01B)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B)(개별 편성 성능 정보 B)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3-04A)를 경유할 때에, 열차3(3-3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1A)(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 3)로 변환되어, 열차 제어장치 A(3-02A)에 입력된다.In FIG. 3,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3 (3-301) is train control system A (3-02A) vs.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A (3-03A) in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A (3-04A). ), Interposed between the train control device A (3-02A) and the individual system control system B (3-03B) to exchange information, and perform an information conversion operation that reflects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configuration in train 3 (3-300). do. In this case, information (3-21A) (train control command 3) relating to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rain 3 (3-300) output by train control device A (3-02A) is determined by vehicle configuration A (3-01A). Since information is the main train schedule of train 3,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schedule A (3-01A) (3-22 A) when passing through the train schedule control device A (3-04A) The control command A is converted into information (3-22B) (individual configuration control command B) relating to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configuration B (3-03B), and the individual configuration control system A (3-03A) and the individual, respectively. It is input to the knitting control system B (3-O3B). Further, as the flow in the reverse direction, information (3) regarding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formation A (3-01A) output by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A (3-03A) and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B (3-03B), respectively. -22A) (Individua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A) and the information (3-22B) (Individua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B) regarding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formation B (3-01B) are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3- When passing via 04A), the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information (3-21A)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3) relating to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rain 3 (3-300) and input to train control device A (3-02A). .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3(3-301)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3-04B)에 있어서, 열차 제어장치 B(3-02B) 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3-03A),열차 제어장치 B(3-02B) 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B(3-03B)의 상호 정보교환 사이에 끼워져, 열차3(3-300)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반영한 정보변환조작을 실시한다. 이 경우, 열차 제어장치 B(3-02B)가 출력한 열차3(3-3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1B)(열차제어지령3)는, 차량 편성 B(3-01B)가 열차3의 종계편성임에 따라,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3-04B)에 있어서 블럭되고, 따라서 열차3(3-300)내의 각 차량 편성에 대하여 열차 제어장치 B(3-02B)의 작용은 조금도 못 미친다. 이에 대해서,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3-03A) 및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B(3-03B)가 각각 출력한 차량 편성 A(3-01A)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A)(개별 편성 성능 정보 A)와, 차량 편성 B(3-01B)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2B)(개별 편성 성능 정보 B)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3-04B)를 경유할 때에 열차3(3-300)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3-21B)(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3)로 변환되고, 열차 제어장치 B(3-02B)에 입력된다.In addition,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3 (3-301) is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B (3-04B), and train control system B (3-02B) vs.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system A (3-03A), An information conversion operation is inserted between the train control device B (3-02B) and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system B (3-03B) to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to reflect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configuration in the train 3 (3-300). In this case, information (3-21B) (train control command 3) relating to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rain 3 (3-300) output by train control device B (3-02B) is determined by vehicle configuration B (3-01B). Since the train is the final train of train 3, it is blocked in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3-04B), and thus, the train controller B (3-02B) The action is a bit crazy. On the other hand, information (3-22A) regarding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formation A (3-01A) output by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A (3-03A) and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B (3-03B), respectively (individually The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A) and the information (3-22B)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B) relating to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formation B (3-01B) pass through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ng device B (3-04B). At that time, the information 33-21B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3) relating to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3 (3-300) is converted into the train control device B (3-02B).

이상에서 설명된 본 실시예의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열차제어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The train control system having the train combin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features.

즉, 열차에 있어서, 그것이 단일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진 분할운전의 경우, 또는 복수의 다른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진 병합운전의 경우의 여하에 관계없이,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이 그 외부와 교환하는 정보의 종류는 항상 불변된다. 이것은, 열차제어시스템에서,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의 열차주행제어에 대한 영향을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이 집중적으로 대책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That is, in a train,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 divided operation consisting of a single vehicle combination or a merged opera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different vehicle combinations, the type of information exchanged with the outside by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is It is always immutable. This indicates that, in the train control system,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trol system intensively measures the influence on the train running control in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은, 그 외부와의 입출력정보를 차량 일반의 주행제어에 관해서 보편적인 내용의 것으로 하고, 분할·병합운전의 각각에 고유인 특수 정보의 입출력을 크게 배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는, 열차주행제어에 대한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의 영향을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관한 입출력정보의 내용변환조작에 의해서만 대책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trai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put / output information with the outside is a general content regarding the traveling control of the vehicle in general, and the input / output of special information unique to each of the division / merge operation is largely excluded. . This indicates that the influence of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on the train running control is only countermeasured by the content conversion operation of the input / output information o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의 주행제어를 행하는 열차제어시스템은, 열차 전체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지령을 결정하는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 편성에 장비되어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개별 주행을 제어하는 각각의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이 서로 행하는 정보교환을 중개하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된다.In view of the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control system that performs traveling control of the train is equipped with a train control device that determines control commands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and a train control system for each vehicle constituting the train. Information which each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which controls individual driving of each said vehicle formation, is inserted between the said train control apparatus and each said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and the said train control apparatus and each said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perform mutually. It consists of a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that mediates exchanges.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은, 상기 각 차량 편성에 관해서 인접한 다른 차량 편성끼리를 역학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차량 편성사이의 정보전송을 맡은 편성간 연결장치와 상기 열차 제어장치의 사이에서 상기 열차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고, 또한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 직접 또는 상기 편성간 연결장치를 통해서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로 구성된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is a combination between the train system and the train control device that is in charge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combinations by dynamically combining the other vehicle formati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hicle configuration. Generalization of train organization that exchanges information on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and exchanges information on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configuration directly or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between each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system. It consists of a connection devic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는,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 주고받는 정보와,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 주고받는 정보와의 사이에, 정보변환조작을 실시한다. 변환조작에서는,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 주고받는 정보와,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 주고받는 정보를, 상기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배려하면서 변환한다. 즉,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는, 상기열차 제어장치로부터의 입력정보를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용 각각의 출력정보로 변환하는 경우, 상기 열차의 전체를 일괄된 입장에서 의미가 있는 상기 입력정보를, 상기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고려하면서, 상기 각 차량 편성에 개별로 적응한 상기 각 출력정보로 분할한다. 또한,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으로부터의 각 입력정보를 상기 열차 제어장치용 출력정보로 변환하는 경우, 상기 각 차량 편성에 개별로 관계한 상기 각 입력정보를, 상기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고려하면서, 상기 열차의 전체를 일괄된 입장에서 의미가 있는 출력정보로 일원화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performs an information conversion operation between the information exchanged with the train control device and the information exchanged with the respectiv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s. In the converting operation, the information exchanged with the train control device and the information exchanged with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system are converted while conside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configuration of the train. That is, whe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converts the input information from the train control device into the respective output information for the respective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systems, the input information that is meaningful in the collective position as a whole. Is divided into the respective pieces of output information individually adapted to each vehicle combination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In addition, when converting each input information from each said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into the output information for the said train control apparatus, each said input information related to each said vehicle formation separately is made in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of the said train. In consideration, the whole of the train is unified with meaningful output information in a collective posi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열차제어시스템에 의해 열차의 주행제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In this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above train control system has the following effects on the running control of the train.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열차제어시스템을, 열차 제어장치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 열차 편성 총괄 관리 시스템으로 분별하였다. 이에 따라, 열차가 단일의 차량 편성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또는 복수의 다른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같이 변화되더라도, 열차 제어장치가 직접 취급하는 정보를, 항상 상기 열차에 관해서 전체를 일괄된 것으로 하여 일원화할 수 있다. 따라서, 열차 제어장치는,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의 변화에 직접 대응할 필요가 없어져, 상기 열차의 가능한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의 각각의 경우마다 특화한 고유처리를 실장하지 않고서 끝난다. 즉, 열차 제어장치의 주행제어처리는 열차 일반에 관한 보편적인 처리만으로 끝난다. 이것은, 분할·병합운전에 대응해야 할 열차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열차 제어장치의 처리 부하를 현저히 경감한다. 또한 상기 열차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열차 제어장치로서 그 자체에서는 특별히 분할·병합운전을 고려하지 않은 범용적인 기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분할·병합운전의 실현을 보다 쉽게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train control system is classified into a train control device, an individual train control system, and a train train control system. As a result, even if the train changes only as a single vehicle pair or a plurality of different vehicle pairs, the information directly handled by the train control unit can always be unified as a whole with respect to the train. Can be. Therefore, the train control apparatus does not need to directly respond to changes in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train formation of the train, and ends without implementing the specific unique processing in each case of the possibl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ormation of the train. That is, the traveling control process of the train control apparatus ends only with the general process regarding the train general. This remarkably reduces the processing load of the train control apparatus in the train control system corresponding to the division / merge operation. Further, in the above train control system, it is possible to adopt a general-purpose device which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division / merge operation in particular as the train control device itself, making it easier to realize the division / merge operation.

또한, 이상의 설명 같은 열차제어시스템으로 함으로써, 열차내의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에 관해서는, 상기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가 변화되더라도,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이 직접 취급하는 정보를, 항상 상기 열차의 각 차량 편성에 개별로 관계하는 것만으로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은,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의 변화에 직접 대응할 필요가 없어져, 상기 열차가 가능한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의 각각의 경우마다 특화한 고유처리를 실장하지 않고서 끝난다. 즉,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의 주행제어처리는 각각이 대응하는 차량 편성에 관한 보편적인 처리만으로 끝난다. 이것은 분할·병합운전에 대응해야 할 열차제어시스템에 있어서,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의 처리부하를 현저히 경감한다. 또한 상기 열차제어시스템에 있어서,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으로서 그 자체에서는 특별히 분할·병합운전을 고려하지 않은 범용적인 기기를 채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분할·병합운전의 실현을 보다 쉽게 한다.Further, by using the train control system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each individual train control system in the train, even if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train of the train is changed, the information directly handled by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system is always the train. It can be limited only to being related individually to each vehicle combination of. Therefore,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does not need to respond directly to a change in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train formation of the train, and ends without implementing the specific unique processing in each case of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where the train is possible. That is, the travel control process of each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ends only with the general process regarding the vehicle formation to which each corresponds. This significantly reduces the processing load of each individual train control system in the train control system that must cope with division and merge operation. In addition, in the train control system, it is possible to adopt a general-purpose device which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division / merge operation in particular as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thereby making it easier to realize the division / merge operation.

또한, 이상의 설명 같은 열차제어시스템으로 함으로써, 열차장치로부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용, 또는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열차장치용 정보에, 각각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고려한 적절한 변환조작을 시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열차 편성 총괄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열차 제어장치용 정보에 관해서는,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받은 상기 열차내의 차량 편성에 개별로 관계된 정보를, 상기 열차의 전체를 일괄된 입장에서의 정보로 변환한다. 그 때,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각각의 속성(주행 성능)을 고려하여, 상기 열차의 전체를 일괄된 입장에서 인식해야 할 최적의 정보가 있는 방법을 정의해둔다. 이에 따라, 상기 열차를 일괄한 경우에 적절한 내용이 되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열차 제어장치로 향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열차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용 정보에 관해서는, 상기 열차 제어장치가 출력하는 열차의 전체를 일괄한 입장에서의 정보를, 상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에 개별로 할당된 정보로 변환한다. 그 때,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각각의 속성(주행 성능)을 고려하여,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개별로 착안한 입장에서 인식해야 할 최적의 정보가 있는 방법을 정의해둔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차량 편성에 각각 적절한 내용이 되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으로 향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부터, 열차의 주행제어에 관해서, 상기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라서, 상기 열차의 전체를 일괄한 입장, 또는 상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을 개개로 착안한 입장으로서, 최적화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by using the train control system as described above, an appropriate conversion ope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rain formation of each train is performed for each individual train control system from the train apparatus or for the train device information from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systems. It becomes possible to enforce. A train formation general management system collectively collects the whole of the said train about the information for the said train control apparatus from each said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individually about the formation of the vehicle in the said train received from the said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Converts the information to the correct position. At that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respective attributes (driving performance) of each of the vehicle combinations, a method is provided in which there is an optimal information to recognize the whole of the train in a collective position.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generate | occur | produce the information which becomes appropriate content when the said train is collectively, and to provide it to the said train control apparatus.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information for each individual train control system from the train control device, information in the position of collectively the whole train output by the train control device is individually assigned to each vehicle train in the train. Convert to At that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respective attributes (driv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combination, a method is provided in which there is an optimal information to be recogniz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individual vehicle combinations.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generate information that is appropriate for the respective vehicle formations,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From this, optimization of the traveling control of the train is possible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or the position where the entire train of the train or the individual vehicle combination in the train are individually conceived. Let's do it.

(실시예 2)(Example 2)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열차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열차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는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는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의 사이에 끼워져 상호의 정보교환을 중개하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분할·병합에 의해서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가 변화되더라도, 열차의 주행제어에 대한 영향을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이 흡수함으로써, 열차 제어장치 또는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은 상기 구성상태의 변화를 특별히 고려하지 않고 끝난다.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이 열차 제어장치와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의 사이의 상호정보교환을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열차의 전체를 일괄한 입장 또는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 편성의 각각에 착안한 입장에서, 주행제어의 최적화를 꾀할 수 있는 것을 서술하였다.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train control system, a train control device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a train,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for individually running control of the formation of each vehicle constituting the train, and the train control device It is supposed to install a train formation general control system interposed between and each said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and which mediates mutual information exchange. Accordingly, even if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configuration in the train is changed by the division / merge,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absorbs the influence on the running control of the train, so that the train control device or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is The change ends without special consideration. In additio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appropriately manipulates mutual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train control unit and each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system, so that the entire train or the individual train organization constituting the train can be viewed. In addition, it described that it is possible to optimize driving control.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열차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이 열차 제어장치와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의 사이에 끼워져 실시하는 정보교환조작의 내용을 구체화하고,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의 변화에 의해서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이 변화되는 것에 착안한 정보변환수단을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실장한다. 즉,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은,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각각에 대응하는 차량 편성의 주행 성능을 나타내는 개별 편성 성능 정보를 받고, 열차 제어장치에 대하여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른 상기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출력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above-described train control system,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is embodied between the train control device and each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system to specify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exchange operation perform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organization in the train. The information conversion means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changes due to the change of state is mounted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That is,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trol system receives individua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formation from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and the whole trai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with respect to the train control apparatus. Outputs the train schedule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riving performance of.

본 실시예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와, 편성간 연결장치로 구성된다. 편성간 연결장치는,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에 관해서 인접한 다른 차량 편성끼리를 역학적으로 결합하고, 또한 상기 차량 편성간의 정보전송을 맡는다.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는,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접속한 열차 제어장치와 열차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고, 또한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 직접 또는 상기 편성간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다.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trol system which concerns on a present Example is comprised by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apparatus and the connection between knitting. The inter-organization coupling device dynamically couples adjacent vehicle formations with respect to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and also takes charge of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formations.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exchange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ain control apparatus connected to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with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and also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systems of the respective vehicle formations or the interfacing system. Through the exchange of information on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configura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는,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라서,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정보(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관리하여,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에 접속한 열차 제어장치에 대하여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제공한다.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nages information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show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in accordance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and connects to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Provide train organization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for train control system.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4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train organization collective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01)는 다음과 같은 처리수단을 갖는다.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ng device 4-01 of FIG. 4 has the following processing means.

우선,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4-11)을 갖는다. 이것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4-02)내의 개별 편성 성능 보유장치(4-03) 및 편성간 연결장치(4-04)와,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 편성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자 차량편성에 관한 개별 편성 성능 정보(自)(4-21A), 타 차량 편성에 관한 개별 편성 성능 정보(他)(4-21B))를 주고받는다. 또한, 상기 개별 편성 성능 정보를 열차내의 전체 차량 편성에 관해서 집적하여 전체 편성 성능정보(4-22)를 생성하여, 다음의 전체 편성 성능 등록수단(4-12)에 대하여 출력한다.First,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4-11 are provided. This is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which shows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holding device 4-03 and the inter-knit connecting device 4-04 i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4-02, and the driv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constituting the train.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4-21A) regarding the own vehicle formation,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iii) (4-21B) regarding other vehicle formations) are exchanged. Further,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is integrated with respect to the entire vehicle programming in the train to generate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4-22, and output to the next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4-12.

다음으로, 전체 편성 성능 등록수단(4-12)을 갖는다. 이것은,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4-11)으로부터 전체 편성 성능정보(4-22)를 받아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01)에서의 정보처리에 이바지하기 위해서 전체 편성 성능정보(4-22)를 보유한다. 또한, 전체 편성 성능정보(4-22)를 다음의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4-13)에 대하여 출력한다.Next, it has the whole knitting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4-12. This is to receive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4-22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4-11, and to contribute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on device 4-01,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4-4-). 22). Further,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4-22 is outputted to the next train knitting genera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4-13.

다음으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4-13)을 갖는다. 이는, 전체 편성 성능 등록수단(4-12)으로부터 전체 편성 성능정보(4-22)를 받고,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4-23)를 생성한다.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4-23)를 다음의 열차 편성 총괄 성능 등록수단(4-14)에 대하여 출력한다.Next, it has the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generation means 4-13. This receives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4-22 from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4-12, and generates train knitting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4-23 show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In addition, the train schedule generaliz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4-23 is output to the next train schedule overall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4-14.

다음으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등록수단(4-14)을 갖는다. 이것은,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4-13)으로부터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4-23)를 받고, 열차 제어장치(4-05)에서의 정보처리에 이바지하기 위해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4-23)를 보유한다. 또한, 열차 제어장치(4-05)에 대하여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4-23)를 제공한다.Next, it has the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4-14. This is to receive the train schedule total performance information 4-23 from the train schedule tota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4-13, and to contribute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train control device 4-05, the train schedule total performance information (4). -23). In addition, the train control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4-23 is provided to the train control device 4-05.

도 5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의 처리의 전체 흐름을 나타낸다.5 shows the overall flow of the process of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ng device.

(5-01)에서는,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으로부터 각 차량 편성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를 받는다. (5-O1)의 처리는,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4-11)이 한다.In 5-01,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is received from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The processing of (5-O1) is carried out by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4-11.

스텝(5-02)에서는, 해당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가 장비된 차량 편성(자 차량편성)에 관해서, 열차내에 자 차량 편성 이외의 다른 차량 편성(타 차량 편성)이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해당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가, 편성간 연결장치를 통한 정보전송에 의해서 타 차량 편성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를 검지함으로써 행한다. 여기서, 타 차량 편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5-03)에,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5-04)으로 진행한다. 스텝(5-02)의 처리는,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이 한다.In step 5-02,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vehicle organization other than the own vehicle organization (other vehicle organization) exists in the train regarding the vehicle organization (child vehicle organization) equipped with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apparatus. This determination is performed by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detecting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of another vehicle formation by transmi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connection connection device. Here, if another vehicle combination exists, it progresses to step 5-03, otherwise, it progresses to step 5-04. The processing of step 5-02 is performed by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스텝(5-03)에서는, 자 차량 편성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自)를, 타 차량 편성의 열차 편성 제어장치에 출력한다. 스텝(5-03)의 처리는,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이 한다.In step 5-03,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own vehicle formation is output to the train formation control device of the other vehicle formation. The process of step 5-03 is performed by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스텝(5-04)에서는, 상기 각 차량 편성으로부터 받았던 개별 편성 성능 정보로부터,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생성한다. 스텝(5-04)의 처리는,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4-23)이 한다.In step 5-04,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show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is generated from the individua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of the vehicle formations. The process of step 5-04 is performed by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performance generation means 4-23.

스텝(5-05)에서는,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열차 제어장치에 대하여 출력한다. 스텝(5-05)의 처리는, 열차 편성 총괄 성능 등록수단이 한다.In step 5-05, the train scheduling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train controller. The process of step 5-05 is performed by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는, 도 4와 도 5에 나타낸 정보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반영한 정보변환처리를 한다.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on apparatus performs information conversion processing reflecting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by perform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shown in FIG. 4 and FIG.

도 6은 다른 차량 편성을 각각 따로따로 열차로서 분할 운전하는 경우에 관해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관한 정보의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다.Fig. 6 shows a state of flow of information about a train formation general control system in the case of separately driving different trains as trains separately.

차량 편성 A(6-00A)와 차량 편성 B(6-00B)는, 분할운전시에는 각각 열차1(6-1O0)과 열차2(6-200)로서 독립적으로 운전된다. 이 경우, 각 열차에는 각각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6-1O1)과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2(6-201)가 개별로 독립하여 존재한다. 즉, 각 차량 편성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6-01A)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6-01B)에서는, 각각에 관계된 정보의 흐름은 서로 독립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열차1(6-101) 또는 차량 편성 A(6-00A)만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vehicle formation A (6-00A) and the vehicle formation B (6-00B) are driven independently as the train 1 (6-10) and the train 2 (6-200) at the time of divided driving, respectively. In this case, each train train control system 1 (6-1O1) and train train control system 2 (6-201) are independently present. In other words,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6-01A and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6-01B of each vehicle formation, the flow of information related to each is independent of each other. Therefore, below, only train 1 (6-101) or vehicle formation A (6-00A) will be described.

우선,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6-101)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6-01A)는,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6-11A)에 있어서,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6-02A)내의 개별 편성 성능 보유장치 A(6-03A)로부터, 차량 편성 A(6-00A)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 A(6-21A)를 받는다.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6-11A)은, 개별 편성 성능 정보 A(6-21A)에 근거하여, 전체 편성 성능정보(6-22A)를 생성한다. 이 경우, 열차1(6-100)내의 차량 편성은 차량 편성 A(6-00A)만 있기 때문에, 전체 편성 성능정보(6-22A)에는 개별 편성 성능 정보 A(6-21A)의 내용이 그대로 충당된다.First,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6-01A) in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1 (6-101) is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system A (6-02A) in individual organiza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6-11A.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A (6-21A) indicat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knitting A (6-00A) is received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holding device A (6-03A).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6-11A generates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6-22A based on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A (6-21A). In this case, since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1 (6-100) has only the vehicle formation A (6-00A), the contents of the individua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A (6-21A) remain intact in the overal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6-22A). Appropriate

다음으로, 전체 편성 정보 등록수단(6-12)은,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6-11A)으로부터 받은 전체 편성 성능정보(6-22A)를 보유한다.Next, the whole knitting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6-12 holds the whole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6-22A received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6-11A.

이어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6-13A)은, 전체 편성 정보 등록수단(6-12A)으로부터 받은 전체 편성 성능정보(6-22A)에 의거하여, 열차1(6-100)의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1(6-23A)을 생성한다. 이 경우, 열차1(6-1O0)을 구성하는 차량 편성은 차량 편성 A(6-00A)만 있기 때문에,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1(6-23A)에는 전체 편성 성능정보(6-22A)의 내용, 즉 개별 편성 성능 정보 A(6-21A)의 내용이 그대로 충당된다.Subsequently, the train knitting genera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6-13A is based on the whole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6-22A received from the whole knitting information registering means 6-12A, and thus the entire train 1 (6-100) is used. Train organization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1 (6-23A) showing the running performance is generated. In this case, since the vehicle formation constituting the train 1 (6-1O0) has only the vehicle formation A (6-00A), the train formation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1 (6-23A) is used to determine the overal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6-22A). The content, that is, the content of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A (6-21A), is covered as it is.

다음으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등록수단(6-14A)은,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6-13A)으로부터 받은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1(6-23A)을 보유하고, 열차 제어장치 A(6-05A)에 대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6-01A)의 출력으로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1(6-23A)을 제공한다.Next, the train schedule generalization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6-14A holds train schedule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1 (6-23A) received from the train schedule overall performance generation means 6-13A, and the train controller A (6). -51A) provides the train schedule generaliz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1 (6-23A) as the output of the train schedule management interface A (6-01A).

도 7은 다른 차량 편성을 함께 단일의 열차로서 병합 운전하는 경우에 관해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관한 정보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다.Fig. 7 shows the shape of the information flow regarding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trol system in the case of combined driving of different vehicle formations together as a single train.

차량 편성 A(7-00A)와 차량 편성 B(7-00B)는, 병합운전시에는 함께 열차3(7-300)로서 일괄로 운전된다. 이 경우, 열차3(7-300)에는 단일의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3(7-301)이 차량 편성 A(7-00A)와 차량 편성 B(7-00B)를 일괄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각 차량 편성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7-01A)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7-01B)에서는, 각각에 관계된 정보의 흐름은 서로 의존하고 있다.Vehicle formation A (7-00A) and vehicle formation B (7-00B) are collectively operated as train 3 (7-300) at the time of merged driving. In this case, in train 3 (7-300), a singl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3 (7-301) is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vehicle formation A (7-00A) and vehicle formation B (7-00B) are collectively provided.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7-01A) and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7-01B) of each vehicle formation, the flow of information related to each depends on each other.

우선, 차량 편성 A(7-00A)에 관해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3(7-301)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7-01A)는,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7-11A)에 있어서,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7-O2A)내의 개별 편성 성능 보유장치 A(7-03A)로부터, 차량 편성 A(7-00A)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 A(7-21A)를 받는다. 또한, 편성간 연결장치 A(7-O4A)로부터, 차량 편성 B(7-00B)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 B(7-21B)를 받는다. 또한, 편성간 연결장치 A(7-04A)에 대하여, 차량 편성 A(7-00A)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 A(7-21A)를 출력하고, 차량 편성 B(7-00B)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7-01B)에 전한다. 또한, 개별 편성 성능 정보 A(7-21A)와 개별 편성 성능 정보 B(7-21B)를 집적한 전체 편성 성능정보(7-22A)를 생성한다.First, regarding the vehicle formation A (7-00A),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A (7-01A)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3 (7-301) is provided in the individual organiza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7-11A.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holding device A (7-03A) i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A (7-O2A),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A (7-21A) indicating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knitting A (7-00A) is received. . Furthermor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B (7-21B) show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vehicle knitting B (7-00B) is received from inter-knit connecting device A (7-O4A). Further,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A (7-21A) show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knitting A (7-00A) is output to the inter-knit connecting device A (7-04A), and the vehicle knitting B (7-00B) To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7-01B). Further,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7-22A is generated by integrating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A 7-21A and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B 7-21B.

다음으로, 전체 편성 정보 등록수단(7-12A)에 있어서,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7-11A)으로부터 받은 전체 편성 성능정보(7-22A)를 등록한다.Next, in the whole knitting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7-12A, the whole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7-22A received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7-11A is registered.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7-13A)에 있어서, 전체 편성 정보 등록수단(7-12A)으로부터 받은 전체 편성 성능정보(7-22A)로부터 열차3(7-300)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정보(7-23A)를 생성한다.In addition, in the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generation means 7-13A,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3 (7-300) is calculated from the tota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7-22A received from the overall form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7-12A. Generate the train schedule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7-23A) shown.

다음으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등록수단(7-14A)에 있어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7-13A)으로부터 받은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3(7-23A)을 보유하고, 열차 제어장치 A(7-05A)에 대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7-01A)의 출력정보로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3(7-23A)을 제공한다.Next, in the train schedule generalization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7-14A, the train schedule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3 (7-23A) received from the train schedule overall performance generation means 7-13A is held, and the train controller A ( The train schedule generaliz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3 (7-23A) is provided as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train schedule management interface A (7-01A) for 7-05A).

한편, 차량 편성 B(7-00 )에 관해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3(7-301)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7-01B)는,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7-11B)에 있어서,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B(7-O2B)내의 개별 편성 성능 보유장치 B(7-03B)로부터, 차량 편성 B(7-00B)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 B(7-21B)를 받는다. 또한, 편성간 연결장치 B(7-04B)로부터, 차량 편성 A(7-00A)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 A(7-21A)를 받는다. 또한, 편성간 연결장치 B(7-04B)에 대하여, 차량 편성 B(7-00B)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 B(7-21B)를 출력하여, 차량 편성 A(7-00A)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7-O1A)에 전한다. 또한, 개별 편성 성능 정보 A(7-21A)와 개별 편성 성능 정보 B(7-21B)를 집적한 전체 편성 성능정보(7-22B)를 생성한다.On the other hand, with regard to the vehicle formation B (7-00),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B (7-01B)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3 (7-301) is provided in the individual organiza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7-11B.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holding device B (7-03B) i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B (7-O2B),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B (7-21B) indicat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knitting B (7-00B) is received. . Furthermore,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A (7-21A) show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knitting A (7-00A) is received from the inter-knit connecting device B (7-04B). Further,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B (7-21B) show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knitting B (7-00B) is output to the inter-knit connecting device B (7-04B), and the vehicle knitting A (7-00A) To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7-O1A). Further,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7-22B is generated by integrating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A (7-21A) and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B (7-21B).

이어서, 전체 편성 정보 등록수단(7-12B)에서,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7-11B)으로부터 받은 전체 편성 성능정보(7-22B)를 등록한다.Subsequently, in the whole knitting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7-12B, the whole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7-22B received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7-11B is registered.

다음으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7-13B)에서, 전체 편성 정보 등록수단(7-12B)으로부터 받은 전체 편성 성능정보(7-22B)로부터 열차3(7-300)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3(7-23B)을 생성한다.Next, in the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generation means 7-13B,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3 (7-300) is obtained from the overal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7-22B received from the overall form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7-12B. Generate the train schedule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3 (7-23B) shown.

다음으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등록수단(7-14B)에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7-13B)으로부터 받은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3(7-23B)을 보유하고, 열차 제어장치 B(7-05B)에 대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7-01B)의 출력으로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3(7-23B)을 제공한다.Next, in the train schedule generalization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7-14B, the train schedule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3 (7-23B) received from the train schedule overall performance generation means 7-13B is held, and the train controller B (7). As the output of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7-01B) for -05B),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3 (7-23B) is provided.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의 내부의 구성과 정보의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다.8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of the train organization overal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appearance of information flow.

우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8-101)은, 전체 편성 성능 등록수단으로부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정보를 모두 집적한 전체 편성 성능정보(8-11)를 받는다. 전체 편성 성능정보(8-11)는,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에 관해서, 각각의 길이를 나타낸 개별 편성 길이, 중량을 나타낸 개별 편성 중량, 브레이크 성능을 중량 당 브레이크 힘으로 나타낸 개별 편성브레이크 성능, 역행 성능을 중량 당 인장력으로 나타낸 개별 편성 역행 성능, 환경저항(차량에 작용하는 주행저항·경사저항·곡선저항)을 중량 당 저항력으로 나타낸 개별 편성 환경저항을 내용으로 한다.Firs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knitting genera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8-101 collects all the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8-101) in which all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riv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in the train is integrated from all the knitting performance registering means. 11)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8-11) includes the individual knitting lengths representing the respective lengths,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s representing the weights, the individual knitting brake performances representing the braking performance in terms of brake force per weight, and retrograde.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 expressed as tensile force per weight, and environmental resistance (driving resistance, inclination resistance, and curve resistance acting on a vehicl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8-01)은, 열차 총괄 성능 등록수단으로 향하여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8-21)를 출력한다.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8-21)는, 열차 전체에 관해서, 그 길이를 나타낸 열차 길이, 중량을 나타낸 열차 중량, 브레이크 성능을 중량 당 브레이크 힘으로 나타낸 열차 브레이크 성능, 역행 성능을 중량 당 인장력으로 나타낸 열차 역행 성능, 환경저항을 중량 당 저항력으로 나타낸 열차 환경저항을 내용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schedule generalization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8-01 outputs train schedule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8-21 indicat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toward the train overall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The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8-21) is used to express the train length indicating the length of the train, the train weight indicating the weight, the train brake performance indicating the brake performance as the brake force per weight, and the retrograde performance as the tensile force per weight.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and the environmental resistance are shown as resistance per weight.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8-01)은, 열차 길이 생성수단(8-02)과, 열차 중량 생성수단(8-03)과,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8-04)과,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8-O5)과, 열차 환경저항 생성수단(8-06)을 갖는다.The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8-01 includes a train length generating means 8-02, a train weight generating means 8-03, a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8-04, and a train backing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8-O5 and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generating means 8-06.

열차 길이 생성수단(8-02)은, 전체 편성 성능정보(8-11)에 따라서 열차 길이(8-22)를 생성한다.The train length generating means 8-02 generates a train length 8-22 in accordance with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8-11.

열차 중량 생성수단(8-03)은, 전체 편성 성능정보(8-11)에 따라서 열차 중량(8-23)을 생성한다.The train weight generating means 8-03 generates the train weight 8-23 according to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8-11.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8-04)은, 전체 편성 성능정보(8-11)에 따라서 열차 브레이크 성능(8-24)을 생성한다.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8-04 generates the train brake performance 8-24 in accordance with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8-11.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8-05)은, 전체 편성 성능정보(8-11)에 따라서 열차 역행 성능(8-25)을 생성한다.The train backing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8-05 generates the train backing performance 8-25 according to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8-11.

열차 환경저항 생성수단(8-06)은, 전체 편성 성능정보(8-11)에 따라서 열차환경저항(8-26)을 생성한다.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generating means 8-06 generates 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8-26 in accordance with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8-11.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8-21)는, 열차 길이(8-22), 열차 중량(8-23), 열차 브레이크 성능(8-24), 열차 역행 성능(8-25), 열차 환경저항(8-26)의 집적으로서 출력된다.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8-21) includes train length (8-22), train weight (8-23), train brake performance (8-24), train backing performance (8-25),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 8-26).

도 9는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9 shows the flow of processing of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스텝(9-01)에서는, 전체 편성 성능 등록수단으로부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길이, 개별 편성 중량,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 개별 편성 역행 성능, 개별 편성 환경저항을 포함한 전체 편성 성능정보를 받는다.In step 9-01,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receives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individual knitting length,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the individual knitting brake performance, the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 and the individual knitting environmental resistance from each vehicle knitting train in the train. .

스텝(9-02)에서는, 생성해야 할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의 각 내용에 관해서, 각각의 생성처리(이하의 스텝(9-03)∼(9-07))를 실행한다.In step 9-02, each generation process (steps 9-03 to 9-07 below) is executed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of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to be generated.

스텝(9-03)에서는, 열차 길이를, 전체 편성 성능정보에 포함된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길이로부터 생성한다. 이것은, 열차 길이 생성수단이 행한다.In step 9-03, the train length is generated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length of each vehicle knitting included in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This is done by the train length generating means.

스텝(9-04)에서는, 열차 중량을, 전체 편성 성능정보에 포함된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중량으로부터 생성한다. 이것은, 열차 중량 생성수단이 행한다.In step 9-04, the train weight is generated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s of each vehicle knitting included in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This is done by train weight generating means.

스텝(9-05)에서는, 열차 브레이크 성능을, 전체 편성 성능정보에 포함된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 개별 편성 중량으로부터 생성한다. 이것은,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이 행한다.In step 9-05, train brake performance is generated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brake performance and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of each vehicle knitting included in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This is performed by 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스텝(9-06)에서는, 열차 역행 성능을, 전체 편성 성능정보에 포함된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개별 편성 중량으로부터 생성한다. 이것은,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이 행한다.In step 9-06, the train backing performance is generated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backing performance and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of each vehicle knitting included in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This is done by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스텝(9-07)에서는, 열차 환경저항을, 전체 편성 성능정보에 포함된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환경저항, 개별 편성 중량으로부터 생성한다. 이것은, 열차 환경저항 생성수단이 행한다.In step 9-07, 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is generated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environmental resistance and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of each vehicle knitting included in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This is done by 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generating means.

스텝(9-08)에서는, 스텝(9-O3)∼(9-07)의 결과를 받아서 열차 길이, 열차 중량, 열차 브레이크 성능, 열차 역행 성능, 열차 환경저항의 집적을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로 하여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등록수단에 대하여 출력한다.In step 9-08, the train length, train weight, train brake performance, train backing performance, and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integration are obtained as the train formation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results of steps 9-O3 to (9-07). And outputs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다음으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이 구비하는 각 처리수단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the processing of each processing means included in the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will be described.

우선, 열차 길이 생성수단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First, processing of the train length generating means will be described.

열차 길이 생성수단은, 열차 길이 Ltrain을, 차량 편성 i(i= A, B, …(열차내의 전체 차량 편성을 망라))의 개별 편성 길이 Li에 따라서 다음의 수식에 의해서 생성한다.The train length generating means generates the train length Ltrain by the following formula according to the individual knitting length Li of the vehicle pair i (i = A, B, ... (to cover the entire vehicle pair in the train)).

Ltrain= ∑(Li) …(1)Ltrain = ∑ (Li). (One)

상기 우변의 ∑( )는, 괄호내의 수치 또는 수식을 i가 가능한 경우에 관해서 총합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Li)는, Li의 i에 관한 총합을 나타낸다.The ∑ () on the right side indicates that the numerical values or mathematical expressions in the parentheses are summed in the case where i is possible. Therefore, (Li) represents the total with respect to i of Li.

이때, 열차가 단일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열차 길이 생성수단은, 상기 처리를 그대로 답습함으로써, 열차 길이에 상기 단일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길이를 그대로 설정한다.At this time, when the train consists of a single vehicle combination, the train length generating means follows the above process as it is, and sets the individual knitting length of the single vehicle combination as it is to the train length.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열차 길이 생성수단은, 그 처리를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으로부터 얻는 개별 편성 성능을 보편적으로 참조하는 처리로 함으로써, 열차가 어떠한 종류 또는 수량의 차량 편성으로 구성된 것이어도 해당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적절히 반영한 열차 길이를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in length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process for universally referring to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obtained from each vehicle train in the train, so that even if the train is composed of any type or number of train trains in the trai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train length that properly reflects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ormation.

다음으로, 열차 중량 생성수단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the processing of the train weight generating means will be described.

열차 중량 생성수단은, 열차 중량 Mtrain을, 차량 편성 i(i= A, B, …(열차내의 전체 차량 편성을 망라))의 개별 편성 중량 Mi에 의거하여 다음의 수식에 의해서 생성한다.The train weight generating means generates the train weight Mtrain by the following formula based on the individual train weight Mi of the vehicle train i (i = A, B, ... (total vehicle train in the train)).

Mtrain=∑(Mi) …(2)Mtrain = ∑ (Mi)... (2)

상기 우변의 ∑( )는, 괄호내의 수치 또는 수식을 i가 가능한 경우에 관해서 총합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Mi)는, Mi의 i 에 관한 총합을 나타낸다.The Σ () on the right side indicates that the numerical values or mathematical expressions in the parentheses are summed in the case where i is possible. Therefore, Σ (Mi) represents the sum of Mi of i.

이때, 열차가 단일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열차 중량 생성수단은, 상기 처리를 그대로 답습함으로써, 열차 중량에 상기 단일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중량을 그대로 설정한다.At this time, when the train consists of a single vehicle combination, the train weight generating means follows the above process as it is, and sets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of the single vehicle combination as it is to the train weight.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열차 중량 생성수단은, 그 처리를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으로부터 얻는 개별 편성 성능을 보편적으로 참조하는 처리로 함으로써, 열차가 어떠한 종류 또는 수량의 차량 편성으로 구성되어도, 해당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적절히 반영한 열차 중량을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in weight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processing to refer to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obtained from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so that even if the train is composed of any kind or quantity of vehicle forma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train weights that properly reflect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ormation.

다음으로,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the processing of 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에 관해서, 열차 브레이크 성능을, 열차 전체에 작용하는 브레이크 힘의 중량 평균(중량 당 브레이크 힘)으로서 나타낸다.In this embodiment, the train brake performance is expressed as a weight average (brake force per weight) of the brake force acting on the entire train with respect to the train.

도 10은 주행 성능이 다른 차량 편성끼리가 병합 운전하는 경우, 열차 전체의 주행에 미치게 하는 영향의 모양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Fig. 10 conceptually shows the shape of the influence on driving of the entire train when the vehicle combinations having different driving performances are combined and driven.

그래프(10-01)는, 차량 편성 A를 단독의 열차1로서 운전하는 경우에, 열차1에서 최대 브레이크를 조작한 때의 주행 궤적을, 열차 선두 위치·주행속도 평면에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열차1의 열차 브레이크 성능을, 중량 대 브레이크 힘, 즉 열차1에 작용하는 전체 브레이크 힘을 열차1의 열차 중량 M1로 제산한 값으로서, β1로 나타낸다. β1은, 열차1의 운동에서 감속도로서 나타낸 것으로, 그래프(10-01)의 주행궤적의 기울기에 관계된다. 이때, β1은, 열차1이 차량 편성 A만으로 구성되니까, 단독의 차량 편성 A에서 최대 브레이크 출력시의 중량 대 브레이크 힘, 즉 차량 편성 A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을 나타낸 βA와 같은 값이 된다.The graph 10-01 shows the driving trajectory when the maximum brake is operated in the train 1 when the vehicle formation A is driven as the single train 1 on the train head position and the traveling speed plane. Here, the train brake performance of train 1 is expressed by β1 a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weight by brake force, that is, the total brake force acting on train 1 by train weight M1 of train 1. β1 is shown as a deceleration in the motion of train 1, and is related to the inclination of the running trajectory of graph 10-01. At this time, β1 is the same value as βA indicating the weight-to-brake force at the maximum brake output, that is, the individual knitted brake performance of the vehicle knitted A, because the train 1 is composed of only the vehicle knitted A.

마찬가지로, 그래프(10-02)는, 차량 편성 B를 단독의 열차2로서 운전하는 경우에, 열차2로 최대 브레이크를 조작한 때의 주행궤적을 열차 선두 위치·주행 속도 평면에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열차2의 열차 브레이크 성능을, 열차2에 작용하는 전체 브레이크 힘을 열차2의 열차 중량 M2로 제산한 값으로서, β2로 나타낸다. β2는, 열차2의 운동에서 감속도로서 나타낸 것으로, 그래프(10-02)의 주행궤적의 기울기에 관계된다. 이때, β2는, 열차2가 차량 편성 B만으로 구성되니까, 단독의 차량 편성 B에서 최대 브레이크 출력시에서의 중량 대 브레이크 힘, 즉 차량 편성 B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을 나타낸 βB와 같은 값이 된다.Similarly, the graph 10-02 shows the driving trajectory when the maximum brake is operated by the train 2 when the vehicle formation B is driven as the single train 2 on the train head position and the traveling speed plane. Here, the train brake performance of train 2 is expressed by β2 a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total brake force acting on train 2 by the train weight M2 of train 2. β2 is shown as a deceleration in the motion of train 2, and is related to the inclination of the running trajectory of the graph 10-02. At this time, β2 is the same value as βB indicating the weight-to-brake force at the maximum brake output, that is, the individual knitted brake performance of the vehicle knitted B, because the train 2 is composed of the vehicle knitted B only.

한편, 그래프(10-03)는,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의 병합상태를 하나의 열차3로서 운전하는 경우에, 열차3으로 최대 브레이크를 조작한 때의 주행궤적을 열차 선두 위치·주행 속도 평면에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열차3의 열차 브레이크 성능을, 열차3에 작용하는 전체 브레이크 힘을 열차3의 열차 중량으로 제산한 값으로서, β3으로 나타낸다. β3은, 열차3의 운동에서 감속도로서 나타낸 것으로, 그래프(10-03)의 주행궤적의 기울기에 관계된다. 이 β3은, 상기 그래프(10-01) 및 (10-02)의 경우와 다르고, βA 및 βB의 양쪽과도 같지는 않다. 열차3 전체에 작용하는 브레이크 힘이, 열차3 내의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의 각각이 출력하는 브레이크 힘의 총합인 것을 고려하면, β3은 다음의 수식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graph (10-03) shows the driving trajectory when the maximum brake is operated by the train 3 when the combined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A and the vehicle formation B is driven as one train 3, and the train head position and driving speed. It is shown in the plane. Here, the train brake performance of train 3 is expressed by β3 a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total brake force acting on train 3 by the train weight of train 3. β3 is shown as a deceleration in the motion of train 3, and is related to the inclination of the travel trajectory of the graph 10-03. This beta 3 is different from the cases of the graphs 10-01 and 10-02, and is not the same as both beta A and beta B. Considering that the brake force acting on the entire train 3 is the sum of the brake forces output by each of the vehicle formation A and the vehicle formation B in the train 3, β3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 (3)

상기로부터, 열차 브레이크 성능은, 일반적으로 열차내의 모든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에 의존한다고 말할 수 있다. 즉, 상기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가 변하는 정도 및 열차 브레이크 성능은 상기 열차 전체를 새롭게 일괄된 정보로서 다시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From the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lly depends on the individual train brake performance of all vehicle trains in the train.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extent to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configuration in the train changes and the train brake performance can be recreated as the new collective information.

위 내용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서는,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이 행하는 처리를,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In view of the above, this embodiment defines the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as follows.

우선,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 개념을 수식으로 나타낸다.First, the processing concept of 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is expressed by a formula.

열차의 가정 주행속도를 V로 놓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에 관해서, 열차 브레이크 성능을, V의 함수인 중량 대 브레이크 힘으로서, βtrain(V)으로 나타낸다. 또한, 열차내의 차량 편성 i(i= A, B, …(열차내의 전체 차량 편성을 망라))에 관해서, 그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을, V의 함수인 중량 대 브레이크 힘으로서, βi(V)로 나타낸다. 또한, 차량 편성 i의 개별 편성 중량을 Mi로 나타낸다.Set the home speed of the train to V. In this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train, the train brake performance is expressed as βtrain (V) as the weight versus brake force as a function of V. Further, regarding the vehicle train i (i = A, B, ... (total vehicle train in the train)) in the train, the individual train braking performance is expressed as βi (V) as the weight versus brake force as a function of V. Indicates. In addition,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of vehicle formation i is represented by Mi.

열차 브레이크 성능 βtrain(V)과, 차량 편성 i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 βi(V)과의 관계는, 다음 수식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 brake performance beta train (V) and the individual knitting brake performance beta i (V) of the vehicle formation i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4) … (4)

상기한 우변의 ∑( )는, 괄호내의 수식 또는 수치를 i가 가능한 경우에 관해서 총합한 것을 나타낸다.The above-mentioned Σ () on the right side indicates that the formula or numerical value in the parentheses is summed in the case where i is possible.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은, 상기한 수식에 나타낸 연산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열차 브레이크 성능을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으로부터 생성한다.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generates the train brake performance from the individual knitted brake performance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by performing the calculation operation shown in the above formula.

도 11은,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에서, 어떤 가정 주행속도 V에서의 열차 브레이크 성능 βtrain(V)의 생성 처리 흐름을 나타낸다.Fig. 11 shows the generation process flow of the train brake performance βtrain (V) at a certain home traveling speed V in 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스텝(11-01)에서는, 가정 주행속도 V에서의 각 차량 편성 i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 βi(V)와 개별 편성 중량 Mi를 받는다.In step 11-01, the individual knitting brake performance beta i (V) and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Mi of each vehicle knitting i at the home traveling speed V are received.

스텝(11-02)에서는, 중간처리용의 버퍼1과 버퍼2를 0으로 초기화한다.In step 11-02, buffer 1 and buffer 2 for intermediate processing are initialized to zero.

스텝(11-03)에서는, 각 차량 편성 i에 관해서 이하의 스텝(11-04)∼(11-05)를 반복한다.In step 11-03, the following steps 11-04 to 11-05 are repeated for each vehicle formation i.

스텝(11-O4)에서는, 버퍼1에 βi(V) × Mi를 가산한다.In step 11-O4, β i (V) x Mi is added to the buffer 1.

스텝(11-05)에서는, 버퍼2에 Mi를 가산한다.In steps 11-05, Mi is added to the buffer 2.

스텝(11-06)에서는, 버퍼1/버퍼2의 값을 열차 브레이크 성능 βtrain(V)으로서 출력한다.In steps 11-06, the value of the buffer 1 / buffer 2 is output as the train brake performance βtrain (V).

도 12는, 열차가 주행 성능이 다른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로 구성되는 경우에 관해서, 도 11의 처리에서의 입력정보와 출력정보를 테이블에 나타낸다.FIG. 12 shows in a table the input information and the output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FIG. 11 in the case where the train is composed of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having different running performances.

표(12-01)는, 입력정보로서, 차량 편성 A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 βA(V)대 주행속도 V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βA(V0)는, 주행속도가 V0일 때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의 값을 나타낸다.Table 12-01 shows, as input information, the individual knitting brake performance beta A (V) versus the traveling speed V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knitting A. FIG. For example, βA (V0) represents the value of the individual knitting brake performance when the traveling speed is V0.

표(12-02)는, 입력정보로서, 차량 편성 B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 βB(V)대 주행속도 V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βB(V0)는, 주행속도가 V0일 때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의 값을 나타낸다.Table 12-02 shows, as input information, the individual knitting brake performance βB (V) versus the traveling speed V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knitting B. FIG. For example, βB (V0) represents the value of the individual knitting brake performance when the traveling speed is V0.

표(12-03)는, 출력정보로서,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의 병합상태를 단일 열차로서 일괄한 경우, 상기 열차의 열차 브레이크 성능 βtrain(V) 대 주행속도 V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βtrain(V0)은, 주행속도가 V0일 때의 열차 브레이크 성능의 값을 나타낸다. 또한 βtrain(V0)의 오른쪽의 괄호내의 수식은, 주행속도가 V0일 때의 차량 편성 A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 βA(V0)와 차량 편성 B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 βB(V0)에 따라서 열차 브레이크 성능 βtrain(V0)이 만들어진 것을 나타낸다.Table 12-03 shows, as output information, the train brake performance βtrain (V) versus the traveling speed V characteristics of the train when the merged state of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is collectively as a single train. For example, βtrain (V0) represents a value of train brake performance when the traveling speed is V0. The equation in the parenthesis on the right of βtrain (V0) is based on the train brak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raking performance βA (V0) of the vehicle formation A and the individual braking braking performance βB (V0) of the vehicle B when the traveling speed is V0. It indicates that βtrain (V0) is made.

도 13은 열차가 주행 성능이 다른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로 구성되는 경우에 관해서, 도 12의 처리가 생성하는 열차 브레이크 성능 대 주행속도특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FIG. 13 conceptually shows train brake performance versus travel speed characteristics generated by the process of FIG. 12 in the case where the train is composed of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having different running performances.

그래프(13-01)는, 차량 편성 A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 βA(V) 대 주행속도 특성을, 중량 대 브레이크 힘·주행속도평면에 나타낸 것이다.The graph 13-01 shows the individual knitting brake performance βA (V) versus the traveling speed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knitting A on the weight versus the brake force and the traveling speed plane.

그래프(13-02)는, 차량 편성 B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 βB(V) 대 주행속도특성을, 중량 대 브레이크 힘·주행속도평면에 나타낸 것이다.The graph 13-02 shows the individual knitting brake performance βB (V) versus the traveling speed characteristic of the vehicle knitting B on the weight versus the brake force and the traveling speed plane.

그래프(13-03)는,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의 병합상태를 단일 열차로서 일괄한 경우, 상기 열차의 열차 브레이크 성능 βtrain(V) 대 주행속도특성을, 중량 대 브레이크 힘·주행속도평면에 나타낸 것이다.The graph 13-03 shows the train brake performance βtrain (V) vs. traveling speed characteristics of the train when the combined state of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are collectively as a single train. It is shown in.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의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은, 복수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열차의 열차 브레이크 성능(중량 대 브레이크 힘)을, 상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중량 대 브레이크 힘)으로부터, 그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중량에 의한 무게 첨부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써 생성한다.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uses the train brake performance (weight vs. brake force) of the trai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vehicle combinations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brake performance (weight vs. brake force) of each vehicle combination in the train. And calculating the weighted average value by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s of the respective vehicle knittings.

이때, 열차가 단일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 실시예의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은, 이상에서 설명한 처리를 그대로 답습함으로써, 열차 브레이크 성능에 상기 단일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을 그대로 설정한다.At this time, when the train consists of a single vehicle combination, 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follows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as it is, and sets the individual knitted brake performance of the single vehicle combination as it is to the train brake performance.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은, 그 처리를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으로부터 얻은 개별 편성 성능을 보편적으로 참조한 처리로 함으로써, 열차가 어떠한 종류 또는 수량의 차량 편성으로 구성되어도, 해당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적절히 반영한 열차 브레이크 성능을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processing to refer to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s obtained from the respective car formations in the train, so that the train may be configured in any kind or quantity of car formations. It is possible to generate train brake performance that properly reflects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configuration.

다음으로,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the processing of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에 관해서 열차 역행 성능을, 열차 전체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중량 평균(중량 대 인장력)으로서 나타낸다. 그 때문에, 열차 역행 성능은,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 열차 브레이크 성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상기 열차내의 모든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에 의존한다고 말할 수 있다. 즉,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가 변화하는 정도, 열차 역행 성능은 상기 열차 전체를 새롭게 일괄된 정보로서 다시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rain reverse performance is shown as a weight average (weight vs. tensile force) of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entire train with respect to the trai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generally depends on the individual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of all the vehicle formations in the train as in the case of the train brake performance described based on FIG. 10.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extent to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changes, and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can be recreated as the new collective information as a whole.

상기한 내용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이 행하는 처리를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In view of the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is defined as follows.

우선,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의 개념을 이하의 수식으로 나타낸다.First, the concept of the process of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is shown by the following formula.

열차의 가정 주행속도를 V로 놓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에 관해서 열차 역행 성능을, V의 함수인 중량 대 인장력으로서, αtrain(V)으로 나타낸다. 또한, 열차내의 차량 편성 i(i= A, B, …(열차내의 전체 차량 편성을 망라))에 관해서, 그 개별 편성 역행 성능을, V의 함수인 중량 대 인장력으로서, αi(V)로 나타낸다. 또한, 차량 편성 i의 개별 편성 중량을 Mi로 나타낸다.Set the home speed of the train to V. In the present embodiment, train reverse performance is expressed as αtrain (V) as a weight versus tensile force as a function of V for a train. Further, regarding the vehicle train i (i = A, B, ... (total vehicle trains in the train)) in the train, the individual train backing performance is expressed as α i (V) as a weight versus tensile force as a function of V. . In addition,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of vehicle formation i is represented by Mi.

열차 역행 성능 αtrain(V)과 차량 편성 i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αi(V)의 관계는, 다음 수식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 driving performance α train (V) and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α i (V) of the vehicle train i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5) … (5)

상기한 우변의 ∑( )는, 괄호내의 수식 또는 수치를 i가 가능한 경우에 관해서 총합한 것을 나타낸다.The above-mentioned Σ () on the right side indicates that the formula or numerical value in the parentheses is summed in the case where i is possible.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은, 상기 수식에 나타낸 연산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열차 역행 성능을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으로부터 생성한다.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generates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from the individual trained retrograde performance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by performing the calculation operation shown in the above formula.

도 14는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에서, 어떤 가정 주행속도 V에서의 열차 역행 성능 αtrain(V)의 생성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Fig. 14 shows the flow of the process of generating train driving performance αtrain (V) at a certain home traveling speed V in the train driving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스텝(14-01)에서는, 가정 주행속도 V에서의 각 차량 편성 i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αi(V)와 개별 편성 중량 Mi를 받는다.In step 14-01, the individual knitting reverse performance? I (V) and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Mi of each vehicle knitting i at the home traveling speed V are received.

스텝(14-02)에서는, 중간처리용의 버퍼1과 버퍼2를 0으로 초기화한다.In step 14-02, buffer 1 and buffer 2 for intermediate processing are initialized to zero.

스텝(14-03)에서는, 각 차량 편성 i에 관해서, 이하의 스텝(14-04)∼(14-06)를 반복한다.In step 14-03, the following steps 14-04 to 14-06 are repeated for each vehicle formation i.

스텝(14-04)에서는, 버퍼1에 αi(V) × Mi를 가산한다.In step 14-04, α i (V) × Mi is added to the buffer 1.

스텝(14-05)에서는, 버퍼2에 Mi를 가산한다.In step 14-05, Mi is added to the buffer 2.

스텝(14-06)에서는, 버퍼1/버퍼2의 값을 열차 역행 성능 αtrain(V)으로서 출력한다.In steps 14-06, the value of the buffer 1 / buffer 2 is output as the train powering performance [alpha] train (V).

도 15는 열차가 주행 성능이 다른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로 구성되는 경우에 관해서, 도 14의 처리의 입력정보와 출력정보를 테이블에 나타낸다.FIG. 15 shows in a table the input information and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in FIG. 14 in the case where the train is composed of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having different running performances.

표(15-01)는, 입력정보로서, 차량 편성 A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αA(V) 대 주행 속도 V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αA(V0)는, 주행속도가 V0일 때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의 값을 나타낸다.Table 15-01 shows, as input information, the individual knitting reverse performance? A (V) versus the traveling speed V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formation A. FIG. For example, αA (V0) represents the value of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 when the traveling speed is V0.

표(15-02)는, 입력정보로서, 차량 편성 B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αB(V) 대 주행속도 V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αB(V0)는, 주행속도가 V0일 때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의 값을 나타낸다.Table 15-02 shows, as input information, the individual knitting reverse performance? B (V) versus the traveling speed V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knitting B. As shown in FIG. For example, αB (V0) represents the value of the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 when the traveling speed is V0.

표(15-O3)는, 출력정보로서,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의 병합상태를 단일 열차로서 일괄한 경우, 상기 열차의 열차 역행 성능 αtrain(V) 대 주행속도 V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αtrain(V0)은, 주행속도가 V0일 때의 열차 역행 성능의 값을 나타낸다. 또한 αtrain(V0)의 오른쪽의 괄호내의 수식은, 주행속도가 V 0일 때의 차량 편성 A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αA(V0)와 차량 편성 B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αB(VO)에 따라서 열차 역행 성능 αtrain(V0)이 만들어진 것을 나타낸다.In the table 15-O3, as the output information, when the merged state of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is collectively as a single train, the train reverse performance αtrain (V) vs. traveling speed V characteristics of the train are shown. For example, αtrain (V0) represents a value of train powering performance when the traveling speed is V0. In addition, the formula in the parenthesis on the right side of αtrain (V0) is based on the train retrograd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knitting reverse performance αA (V0) of vehicle formation A and the individual knitting reverse performance αB (VO) of vehicle formation B when the traveling speed is V 0. It shows that the performance αtrain (V0) was made.

도 16은 열차가 주행 성능이 다른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로 구성되는 경우에 관해서, 도 14의 처리가 생성하는 열차 역행 성능 대 주행속도특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FIG. 16 conceptually shows train reverse performance versus running speed characteristics generated by the process of FIG. 14 in the case where the train is composed of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having different running performances.

그래프(16-O1)는, 차량 편성 A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αA(V) 대 주행속도 특성을, 중량 대 인장력·주행속도평면에 나타낸 것이다.The graph 16-O1 shows the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 αA (V) vs. traveling speed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knitting A on the weight vs. tensile force and traveling speed plane.

그래프(16-02)는, 차량 편성 B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αB(V) 대 주행속도 특성을, 중량 대 인장력·주행속도평면에 나타낸 것이다.The graph 16-02 shows the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 αB (V) versus the traveling speed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knitting B on the weight versus the tensile force and the traveling speed plane.

그래프(16-03)는,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의 병합상태를 단일 열차로서 일괄한 경우, 상기 열차의 열차 역행 성능 대 주행속도특성 αtrain(V)을, 중량 대 인장력·주행속도평면에 나타낸 것이다.The graph (16-03) shows the train reverse performance versus running speed characteristic αtrain (V) of the train train A and vehicle train B as a single train in the mass versus tensile force and driving speed plane. It is shown.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의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은, 복수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열차의 열차 역행 성능(중량 대 인장력)을, 상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중량 대 인장력)으로부터, 그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중량에 의한 무게 첨부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써 생성한다.The train backing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based on the train backing performance (weight vs. tensile force) of a train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hicle pairs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backing performance (weight vs. tensile force) of each vehicle pair in the train. It generates by calculating the weighted average value by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of each said vehicle knitting.

이때, 열차가 단일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 실시예의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은, 이상에서 설명한 처리를 그대로 답습함으로써, 열차 역행 성능에 상기 단일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을 그대로 설정한다.At this time, when the train consists of a single vehicle combination,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follows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as it is, and sets the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 of the single vehicle combination as it is to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은, 그 처리를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으로부터 얻은 개별 편성 성능을 보편적으로 참조한 처리로 함으로써, 열차가 어떠한 종류 또는 수량의 차량 편성으로 구성되어도, 해당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적절히 반영한 열차 역행 성능을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in revers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process which refers to the individual programming performance obtained from each vehicle training in the train, so that the train may be composed of any type or quantity of vehicle training in the train. Train backing performance can be created that adequately reflects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다음으로, 열차 환경저항 생성수단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processing of 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generating means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에 관해서 열차 환경저항을 열차 전체에 작용하는 환경저항의 중량 평균(중량 대 저항력)으로서 나타낸다. 그 때문에, 열차 환경저항은,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 열차 브레이크 성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상기 열차내의 모든 차량 편성의 개별편성 환경저항에 의존한다고 말할 수 있다. 즉,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가 변화하는 정도, 열차 환경저항은 상기 열차 전체를 새롭게 일괄된 정보로 다시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is expressed as the weight average (weight vs. resistance) of the environmental resistance acting on the entire train with respect to the trai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s in the case of the train brake performance described on the basis of FIG. 10, 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generally depends on the individual resistance of the individual trains of all the trains in the train.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extent to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changes, and 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can be made into the entire collectively newly information.

상기 내용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서는, 열차 환경저항 생성수단이 행하는 처리를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In view of the above, this embodiment prescribes the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generating means as follows.

열차의 가정 주행속도를 V로 놓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에 관해서, 열차 환경 저항을, V의 함수인 중량 대 저항력으로서, Rtrain(V)으로 나타낸다. 또한, 열차내의 차량 편성 i(i= A, B, …(전체 차량 편성을 망라))에 관해서, 그 개별편성환경저항을, V의 함수인 중량 대 저항력으로서, Ri(V)로 나타낸다. 또한, 차량 편성 i의 개별 편성 중량을 Mi로 나타낸다.Set the home speed of the train to V. In this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train, 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is expressed as Rtrain (V) as a weight versus resistance force as a function of V. 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vehicle formation i (i = A, B, ... (total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the individual formation environmental resistance is represented by Ri (V) as a weight versus resistance force as a function of V. In addition,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of vehicle formation i is represented by Mi.

열차 환경저항 Rtrain(V)과 차량 편성 i의 개별편성 환경저항 Ri(V)의 관계는 다음 수식에 의해서 나타낸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Rtrain (V) and the individual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Ri (V) of the vehicle train i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6) … (6)

상기한 우변의 ∑( )는, 괄호내의 수식 또는 수치를 i가 가능한 경우에 대해서 총합한 것을 나타낸다.The above-mentioned Σ () on the right side indicates that the formula or numerical value in parentheses is summed up when i is possible.

열차 환경저항 생성수단은, 상기 수식에 나타낸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열차 환경저항을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편성 환경저항으로부터 생성한다.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generating means generates 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from the individual train environment resistance of each vehicle train in the train by performing the calculation shown in the above formula.

이때, 상기 수식의 형태로부터, 열차 환경저항 생성수단의 처리는, 이미 서술한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이나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와 동일한 형태로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이나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의 경우와 동일한 설명이 된다.At this time, it can be seen from the form of the above equation that the processing of 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generating means has the same form as the processing of 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and the train backing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same explanation as in the case of 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and the train backing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is given.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의 열차 환경저항 생성수단은, 복수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진 열차의 열차 환경저항(중량 대 저항력)을, 상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편성 환경저항(중량 대 저항력)으로부터 그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중량에 의한 무게 첨부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써 생성한다.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calculate 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weight vs. resistance) of a trai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vehicle pairs from the individual combined environmental resistance (weight vs. resistance) of each vehicle pair in the train. It is produced by calculating the weighted average value by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of each vehicle knitting.

이때, 열차가 단일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 실시예의 열차 환경저항 생성수단은, 상기한 처리를 그대로 답습함으로써, 열차 환경저항에 상기 단일 차량 편성의 개별편성 환경저항을 그대로 설정한다.At this time, when the train consists of a single vehicle combination, 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generating means of this embodiment follows the above process as it is, thereby setting the individual combined environmental resistance of the single vehicle combination as it is to 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열차 환경저항 생성수단은, 그 처리를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으로부터 얻은 개별 편성 성능을 보편적으로 참조하는 처리로 함으로써, 열차가 어떠한 종류 또는 수량의 차량 편성으로 구성되어도, 해당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적절히 반영한 열차 환경저항을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processing as a process for universally referring to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s obtained from each vehicle train in the train, so that the train may be configured in any type or quantity of train trains.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that properly reflects the configuration of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성능, 역행 성능, 환경저항에 관해서 각각 중량 대 브레이크 힘, 중량 대 인장력, 중량 대 저항력을,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로 취급한 값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실장으로서, 브레이크성능, 역행성능, 환경저항에 관해서, 각각 브레이크 힘, 인장력, 저항력의 값을 그대로 취급하는(중량에 대한 것이 아님)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에서의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식(4))에 나타냄),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식(5)에 나타냄), 열차 환경저항 생성수단의 처리(식 (6)에 나타냄)는, 각각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브레이크 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인장력), 개별편성 환경저항(저항력)을, 각각에 관해서, 차량 편성에 걸치는 단순합을 계산하는 처리를 함으로써, 각각 브레이크 힘, 인장력, 저항력에 의한 취급에 대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ake performance, the retrograde performance, and the environmental resistance are regarded as the values of the weight-to-brake force, the weight-to-tensile force, and the weight-to-resistance, respectively, to be treated by the processing of the train formation overal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However, as a separate mounting, it is conceivable that the values of brake force, tensile force, and resistance force are treated as they are (but not with respect to weight) with respect to brake performance, retrograde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resistance. In this case, the processing of 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shown in equation (4)) in the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the processing of the train backing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shown in equation (5)), The processing (shown in formula (6)) is for each individual train braking performance (brake force), individual trainning retrograde performance (tension force), and individual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resistance force) of each vehicle train in the train. By carrying out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simple sum over, the handling by the brake force, the tensile force and the resistive force can be coped with, respectively.

이상의 설명을 정리한다.The above explanation is summarized.

본 실시예서는, 열차의 주행을 제어하는 열차제어시스템은, 열차 전체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지령을 결정하는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 편성에 장비되어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개별 주행을 제어하는 각각의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이 서로 행하는 정보교환을 중개하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trai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running of a train includes a train control device for determin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and a train control system for configuring each vehicle that constitutes the train. A train formation system interposed between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n individual run, and between the train control device and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and intermediating information exchange performed by the train control device and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It consists of an overall control system.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은, 상기 각 차량 편성에 관해서 인접한 다른 차량 편성끼리를 역학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차량 편성사이의 정보전송을 맡은 편성간 연결장치와,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열차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고, 또한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 직접 또는 상기 편성간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개별 주행 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 열차편성 총괄 접속장치로 구성된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is a system for connecting trains, which is configured to dynamically couple other vehicle organizati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hicle formation, and to transmit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formations, and the train control. A train that exchanges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with a device, and also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configuration directly or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between the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systems. It consists of a generalized collective connection devic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는,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이 서로 행하는 정보교환을 중개하여, 교환되는 정보에 대하여 상호 변환조작을 실시한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mediates the information exchange performed by the train control device and the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system, and performs mutual conversion operation on the information exchang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는,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개별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를 받아서, 상기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적절히 대응하여서 상기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생성하는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을 구비한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receives the individua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dividual runn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formation, and appropriately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to travel the entire train. Train organization overal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the train organization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showing the performance is provid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은, 상기 개별 편성 성능 정보의 내용으로서,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각각의 길이를 나타낸 개별 편성 길이, 중량을 나타낸 개별 편성 중량, 브레이크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 역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역행 성능, 환경저항을 나타낸 개별편성 환경저항을 참조하여, 상기 열차 편성 총괄 및 성능 정보의 내용으로서, 상기 열차 전체의 길이를 나타낸 열차 길이, 중량을 나타낸 열차 중량, 브레이크 성능을 나타낸 열차 브레이크 성능, 역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역행 성능, 환경저항을 나타낸 열차 환경저항을, 상기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배려하여 생성한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knitting genera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shows, as the contents of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an individual knitting length indicating each length of each vehicle knitting, an individual knitting weight indicating a weight, and brake performance. With reference to the individual train braking performance, the individual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showing the retrograde performance, and the individual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showing the environmental resistance, the train train total and the train information showing the length of the entire train as the contents of the train schedule and performance information are shown. Train weights, train brakes showing brake performance, train backing performance showing backing performance, and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showing environmental resistance are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차 성능 생성수단은, 상기 개별 편성 성능 정보에 의거하여서, 상기 열차 길이를 생성하는 열차 길이 생성수단과, 상기 열차 중량을 생성하는 열차 중량 생성수단과, 상기 열차 브레이크 성능을 생성하는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과, 상기 열차 역행 성능을 생성하는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과, 상기 열차 환경저항을 생성하는 열차 환경저항 생성수단을 구비한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includes train length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the train length, train weight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the train weight, and the train brake based on the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performance, train backing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the train backing performance, and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the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 열차제어시스템의 실시예 1에 기재한 효과에 부가적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rain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train combination control system,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본 실시예와 같이,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을 구비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를 갖음에 따라, 열차가 어떠한 종류 또는 수량의 차량 편성으로 구성되어도, 해당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적절히 대응하여, 항상 해당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고려한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열차 전체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지령을 결정하는 열차 제어장치는,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로부터 해당 열차의 전체를 일괄한 입장에서 상기 열차가 적절한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가 제공됨으로써, 해당 열차의 주행제어를 최적화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주행제어의 최적화의 예로서는, 열차 중량이나 열차 브레이크 성능이 적절한 인식에 의해서, 일단식 보안 감속제어(공지예: 특개평 3-29576O호 공보 등)이나, 정위치 정지제어(공지예: 특개평7-99708호 공보 등)등의 리얼타임 제어의 성능 향상을 꾀하거나, 또한 열차 역행 성능이나 열차 환경저항의 정보도 포함시킨 후에, 출발역에서 도착역까지의 운전순서를 나타낸 목표운전패턴을 정시 또한 에너지 절약주행에 최대한 배려해서 작성한 처리(공지예 :(회사) 전기학회간행 "평성 8년도 전기학회전자·정보·시스템부문 대회 논문집: 주행저항과 브레이크 거리의 최적화에 의한 에너지 절약 운전 곡선 작성방법"등)등의 역간 운전계획의 최적 설정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최적화에 한정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는, 열차 제어장치가 열차주행의 미래 예측에 근거한 처리를 실장하고 있는 경우, 열차 주행제어의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특히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는, 열차 제어장치가 행하는 열차에 대한 제어처리를, 열차의 구성상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provided with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performance generation means enables the vehicle in the train in any type or number of vehicles to be trained. By appropriately coping with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knitting, it is possible to always control the running consider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In other words, the train control device for determin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the train organization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showing the appropriate driving performance of the train in the position of the entire train from the train organization overall connection device By being provided, it becomes possible to optimize the running control of the corresponding train. As an example of the optimization of the traveling control, one-step security deceleration control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3-29576O, etc.) or an exact position stop control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 can be realized by appropriate recognition of train weight and train brake performanc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real-time control, such as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99708, etc., or to include information on train reverse performance and train environmental resistance, and then specify a target driving pattern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from the departure station to the arrival station. Process written with the utmost consideration in driving (Notice example: (Company) published by the Electric Society, "Pace in 8th Annual Electric Rotors, Information, and Systems": Energy Saving Driving Curve by Optimizing Running Resistance and Brake Distance) And optimum setting of an inter-station operation pla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optimization, in general, the train schedule generaliz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train running control when the train controller implements a process based on the future prediction of the train driving. do. In this way,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ng device can appropriately handle the control process for the train performed by the train control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train.

(실시예 3)(Example 3)

상기한 실시예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에 포함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실시예 2에서 설명하였던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을 구비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를 갖음에 따라, 열차를 구성하는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가 어떠한 것이어도, 상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의 주행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로부터 상기 각 차량 편성의 주행 성능의 차이를 고려하면서, 상기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분할·병합에 의해서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가 변화되더라도, 상기 열차의 주행제어에 관해서, 상기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정확히 적응하였던 주행제어의 최적화를 꾀할 수 있다는 것을 서술하였다.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included in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having the train organization overal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Regardless of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constituting the train, the entire vehicle travels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 in the driv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formation from the individua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dividual driv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It was made possible to generate train scheduling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showing the performance. Accordingly, it has been described that even if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is changed by the division and merging,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travel control that is precisely adapted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relation to the travel control of the train.

본 실시예서는, 실시예 2의 경우와 유사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이지만, 개별 편성 성능 정보와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에 관해서, 노치에 의해서 역행 성능 및 브레이크 성능의 각각에 복수의 대주행속도특성이 존재하는 경우를 설명한다.Although this embodiment is a train formation general control system similar to the case of Embodiment 2,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train formation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a plurality of large driving speed characteristics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retrograde performance and the brake performance by the notch. The case exists.

본 실시예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에 포함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 그 장치나 처리수단의 구성은 실시예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and the processing means for the train combination control system included in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가 구비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에서, 그 내부의 처리수단인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과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에 관해서 다시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cess of the train driving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and 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which are processing means therein, will be described again in the train knitting genera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provided in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in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trol system. do.

우선, 본 실시예의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process of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에 관해서, 열차 역행 성능을 열차전체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중량 평균(중량 대 인장력)으로서 나타낸다. 그 때문에, 열차 역행 성능은, 실시예 2에서 설명된 것처럼, 일반적으로 상기 열차내의 모든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에 의존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이 행하는 처리를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In this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train, the train powering performance is expressed as the weight average (weight vs. tensile force) of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entire train. Therefore, the train backing performance, a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generally depends on the individual knitting backing performance of all the vehicle formations in the train. In view of th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is defined as follows.

열차의 가정 주행속도를 V로 놓는다.Set the home speed of the train to V.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에 관해서, 그 역행 노치 n train에서의 열차 역행 성능을, 중량 대 인장력으로서 αtrain, ntrain(V)으로 나타낸다. 열차의 열차 역행 성능에 관한 역행 노치 n train에 대해서는 최고 역행 노치를 N train으로 나타낸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train, the train reverse performance on the reverse notch n train is represented by α train and n train (V) as weight versus tensile force. For the retrograde notch n train on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of the train, the highest retrograde notch is denoted by N train.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내의 차량 편성 i(i= A, B, …(열차내의 전체 차량 편성을 망라))에 관해서, 그 역행 노치 n i에서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을, 중량 대 인장력으로서 αi, ni(V)로 나타낸다. 차량 편성 i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에 관한 역행 노치 n i에 대해서는, 최고 역행 노치를 N i로 나타낸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vehicle formation i (i = A, B, ... (total vehicle combination in the train)) in the train, the individual knitting reverse performance at the reverse notch ni is α as the weight versus tensile force. i , n i (V). For the backing notch ni for the individual knitting back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formation i, the highest backing notch is denoted by N i.

또한, 차량 편성 i의 개별 편성 중량을 Mi로 나타낸다.In addition,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of vehicle formation i is represented by Mi.

열차 역행 성능 αtrain, ntrain(V)과, 차량 편성 i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αi, ni(V)과의 관계는 다음 수식에 의해서 나타낸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 backing performance α train , n train (V) and the individual train backing performance αi, ni (V) of the vehicle formation i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7) … (7)

상기한 우변의 ∑( )는, 괄호내의 수식 또는 수치를 i가 가능한 경우에 대해서 총합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에서 n train과 n i의 관계는 다음 수식에 의해서 나타낸다.The above-mentioned Σ () on the right side indicates that the formula or numerical value in parentheses is summed up when i is possibl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n train and n i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우변의 ni에 대해서, n train≤N i 시 : n i= n train(그대로 적용)For ni on the right hand side, when n train≤N i: n i = n train

n train〉 N i 시 : n i= N i(n i의 최대치를 적용)n train> At N i: n i = N i (applies to the maximum value of n i)

좌변의 n train에 대해서, n train= max(n i), N train= max(N i) …(8)For n train on the left side, n train = max (n i), N train = max (N i). (8)

여기서, max(N i)는, N i의 i에 관한 최대치를 나타낸다.Here, max (N i) represents the maximum value with respect to i of N i.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은, 상기 수식에 나타낸 연산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열차 역행 성능을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으로부터 생성한다.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generates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from the individual trained retrograde performance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by performing the calculation operation shown in the above formula.

상기 수식이 나타낸 내용은, 실시예 2의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의 경우와 유사하지만, n train과 n i의 관계가 추가되어 있다. 상기 수식의 연산조작에서는, 열차의 n train과 각 차량 편성 i의 n i에 관해서, 가능한 한 n train과 각 n i는 모두 같은 노치가 되도록 설정하여, αtrain, ntrain(V)을 각 α i, n i(V)에 의거하여 생성한다. 그러나, 어떤 특정한 차량 편성 j의 최고 역행 노치 N j가 다른 차량 편성의 최고 역행 노치 보다 낮다면, n train과 n j가 같은 노치로 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그 경우, n j는 N j까지 멈추고, 그 밖의 n i와 n train이 같은 노치로 설정할 수 있는 한, αtrain, ntrain(V)을 상기 수식에 따라서 계속 생성한다. 최종적으로 모든 n i가 N i에 이르면, 그 시점에서 αtrain, ntrain(V)의 생성처리는 종료한다. 그 경우, αtrain, ntrain(V)에 관해서는, 열차의 최고 역행 노치 N train으로서 각 N i중에서 최대치가 충당되는 결과가 된다.The contents shown by the above formula are similar to those in the case of the train driving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of the second embodiment,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n train and ni is added. In the arithmetic operation of the above formula, with respect to n train of the train and ni of each vehicle combination i, n train and each ni are set to be the same notch as much as possible, and α train , n train (V) are each α i, Generated based on ni (V). However, if the highest backing notch N j of one particular vehicle pair j is lower than the highest backing notch of another vehicle pair, then n train and nj may not be the same notch. In that case, nj stops until N j and continues to generate α train , n train (V) according to the above formula, as long as other ni and n train can be set to the same notch. Finally, when all ni reaches Ni, the generation process of (alpha) train and n train (V) is complete | finished at that time. In that case, as for the α train and n train (V), the maximum backward notch N train of the train is the result of which the maximum value of each N i is covered.

상기 수식에서 n train과 각 n i의 조합이 설정되었으면, 그 후에 αtrain, ntrain(V)을 각 αi, ni(V)에 따라서 생성한 처리는, 실시예 2에 설명한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와 동일하다. 즉, 실시예 2의 처리를 도 14에 의거한 설명은, αtrain(V)을 αtrain, ntrain(V), αi(V)를 αi, ni(V)로 각각 바꿔 놓으면, 그대로 본 실시예의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가 설명된다.If a combination of n train and each ni is set in the above formula, the process of generating α train and n train (V) according to each α i and n i (V) thereafter generates the train powering performance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Same as the processing of the means. That is, Example 2 describes a reference to Fig. 14, the processing is, when an α train (V) α train, n train (V), changing each of α i (V) by α i, n i (V), The processing of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of this embodiment is described as it is.

도 17은 열차가 주행 성능이 다른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로 구성되는 경우에 관해서, 도 14의 처리가 생성한 열차 역행 성능의 대주행속도특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FIG. 17 conceptually shows a large running speed characteristic of train reverse performance generated by the process of FIG. 14 in the case where the train is composed of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having different running performances.

그래프(17-01)는, 차량 편성 A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αA, nA(V) 대 주행속도특성을, 중량 대 인장력·주행속도평면에 나타낸 것이다. 대주행속도특성의 경우의 수(역행 노치의 총 단수)는 N A이다.The graph 17-01 shows the individual knitting reverse performance α A , n A (V) vs. running speed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knitting A on the weight versus tensile force and the running speed plane. The number of cases of the large speed characteristic (the total number of retrograde notches) is NA.

그래프(17-02)는, 차량 편성 B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αB, nB(V)의 대주행속도특성을, 중량 대 인장력·주행속도평면에 나타낸 것이다. 대주행속도특성의 경우의 수(역행 노치의 총 단수)는 N B이다.The graph 17-02 shows the large running speed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knitting reverse performances α B and n B (V) of the vehicle knitting B on the weight versus the tensile force and the running speed plane. The number of cases of the large speed characteristic (the total number of retrograde notches) is NB.

그래프(17-03)는,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의 병합상태를 단일의 열차로서 일괄한 경우, 상기 열차의 열차 역행 성능의 대주행속도특성 αtrain, ntrain(V)을, 중량 대 인장력·주행속도평면에 나타낸 것이다.Graph 17-03 shows the large running speed characteristics α train , n train (V) of the train reverse performance of the train when the combined state of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are collectively as a single train. It is shown in the tension and running speed plane.

이때, 도 17에서는 차량 편성 A, 차량 편성 B는 각각의 최고역행노치 N A, N B가 N과 같다. 이 경우, 생성된 열차 역행 성능에 관한 최고역행노치 N train도 마찬가지로 N과 같다. 또한, 열차 역행 성능과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의 관계는, 다음 수식에 의해서 나타낸다.In this case, in FIG. 17, the vehicle formation A and the vehicle formation B each have the highest stationary notch N A and N B equal to N. In this case, the highest stationary notch N train for the generated train stationary performance is likewise equal to N.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 powering performance and the individual formation power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forma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formula.

…(9) … (9)

즉, 열차 역행 성능 αtrain, n(V)은, 이 경우는 항상 동일한 노치 n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αA, n(V)과 αB, n(V)에 따라서 생성된다.That is,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α train , n (V) is always generated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s α A , n (V) and α B , n (V) of the same notch n.

이상에서 설명된 본 실시예의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은, 복수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열차의 열차 역행 성능(중량 대 인장력)을 상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중량 대 인장력)로부터 그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중량에 의한 무게 첨부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써 생성한다.The train backing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train backing performance (weight vs. tensile force) of a trai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vehicle pairs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backing performance (weight vs. tensile force) of each vehicle pair in the train. It is produced by calculating the weighted average value by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of each vehicle knitting.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생성된 열차 역행 성능에 관해서 열차로서의 역행 노치와 그것에 대응한 대주행속도특성이 복수개(역행 노치의 총수만큼) 설정되어 있다. 이 점이, 본 실시예의 실시예 2에 대해 확장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backing notches as trains and large running speed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hereto are set in relation to the generated train backing performance (as many as the total number of backing notches). This point is extend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이때, 열차가 단일의 차량 편성으로 구성되는 경우, 본 실시예의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은 이상에서 설명한 처리를 그대로 답습함으로써, 열차 역행 성능에 상기 단일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을 그대로 설정한다.At this time, when the train is composed of a single vehicle combination,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follows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as it is, thereby setting the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 of the single vehicle pair as it is to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은, 그 처리를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으로부터 얻는 개별편성성능을 보편적으로 참조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열차가 어떠한 종류 또는 수량의 차량 편성으로 구성되어도, 해당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적절히 반영한 열차 역행 성능을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processing by referring to the individual programming performance obtained from each vehicle programming in the train, even if the train is composed of any type or quantity of vehicle training.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train driving performance that properly reflects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configuration in the vehicle.

이어서, 본 실시예의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the process of 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는, 이미 설명한 본 실시예의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와 완전히 같다. 따라서, 상기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의 경우의 역행성능에 관한 내용을 모두 브레이크 성능으로 대체하면, 그대로 본 실시예의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의 설명이 된다.The processing of 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of this embodiment is exactly the same as the processing of the train backing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of this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refore, if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 retrograde performance in the case of the said train retrograd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is replaced by brake performance, it demonstrates the process of 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of this embodiment as it is.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역행 성능, 브레이크 성능에 관해서, 각각 중량 대 인장력, 중량 대 브레이크 힘을,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에서 취급한 값으로 한다. 그러나, 별도의 실장으로서, 역행 성능, 브레이크 성능에 관해서 각각 인장력, 브레이크 힘의 값을 그대로 취급하는(중량에 대응하지 않음)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에서의 열차 역행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식(7)에 나타냄) 및 열차 브레이크 성능 생성수단의 처리는, 각각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인장력), 개별편성 브레이크 성능(브레이크 힘)을, 각각에 관해서 차량 편성에 걸친 단순합을 계산하는 처리를 함으로써, 각각 브레이크 힘, 인장력, 저항력에 의한 취급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합을 취해야 할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및 개별 편성 브레이크 성능에 관해서는, 각각 역행 노치 및 브레이크 노치를 대응시키는 방식에 관해서, 본 실시예의 식(8)에 서술한 것과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eight-to-tensile force and the weight-to-brake force are regarded as values handled in the processing of the train knitting genera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respectively, regarding the retrograde performance and the brake performance. However, as a separate mounting, a case may be considered in which the values of the tensile force and the brake force are handled as they are (as opposed to weight) with respect to the retrograde performance and the brake performance. In this case, the processing of the train backing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shown in equation (7)) and the processing of the train brake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in the train knitting genera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are respectively the individual knitting backing performance (tensile force)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The individual knitting brake performance (brake force) can be handled by calculating the simple sum over the vehicle knitting for each, so that handling by the brake force, the tensile force, and the resistance force can be coped with, respectively. At this time, with regard to the individual knitting backing performance and the individual knitting brake performance of each vehicle pair to be summed up, a method similar to that described in equation (8)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cribed with respect to a method of matching the backing notch and the brake notch, respectively. Applicable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편성 총괄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열차 제어 시스템의 실시예 2에 기재한 효과에 추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rain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train combination control system has the following effects.

즉, 실시예 2의 효과를, 노치를 실장하는 차량 편성으로 구성된 열차의 주행제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effects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similarly obtained for the traveling control of the train constituted by the vehicle formation in which the notches are mounted.

(실시예 4)(Example 4)

상기한 실시예 1에서는, 열차제어시스템이, 열차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는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는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의 사이에 끼워져 상호의 정보교환을 중개하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을 설치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분할·병합에 의해서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가 변화되더라도, 열차의 주행제어에 대한 영향을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이 흡수함으로써, 열차 제어장치 또는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은 상기 구성상태의 변화를 특별히 고려하지 않고서 끝난다.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이 열차 제어장치와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의 사이의 상호정보교환을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열차의 전체를 일괄된 입장, 또는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 편성의 각각에 착안한 입장에서, 주행제어의 최적화를 꾀할 수 있는 것을 서술하였다.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train control system includes a train control device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a train,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for individually running control of the formation of each vehicle constituting the train, and the train control device. And a train-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interposed between and each said individual-organization control system and which mediates mutual information exchange. Accordingly, even if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configuration in the train is changed by the division / merge,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absorbs the influence on the running control of the train, so that the train control device or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is The change ends without special consideration. In additio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appropriately manipulates mutual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train control unit and each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system, whereby the entire train is entered at once, or the position focused on each of the vehicle formations constituting the train. In the above, it is described that the optimization of the running control can be achiev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열차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이 열차 제어장치와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의 사이에 끼워져서 행하는 정보교환조작의 내용을 구체화하고,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 편성의 주행 성능이 각각 다른 것을 배려한 정보변환수단을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실장한다. 즉,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은, 열차 제어장치로부터 열차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위한 열차제어지령을 받고, 이것을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이 각각 취급하는 차량 편성의 개별 주행제어를 위한 각 개별편성 제어지령으로 변환한 후, 상기 각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각각 할당된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출력한다. 열차제어지령에 대한 각 개별편성 제어지령은, 열차제어지령이 지시하는 열차 전체의 주행상태에서, 각 차량 편성이 각각 상기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른 최적의 구동상태를 실현하도록 상기 각 차량 편성끼리의 주행 성능의 차를 고려하면서 결정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above-described train control system,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embodies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exchange operation performed by being interposed between the train control apparatus and each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system, and forms the trains of each vehicle constituting the train. The information converting means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t driving performances of the trains is mounted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That is,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receives a train control command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train from the train control apparatus, and each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for individual travel control of the vehicle formation handled by each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system, respectively. After converting to the command,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s are outputted to each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s assigned to each. Each individual control control command for the train control command is configured such that each vehicle combination realizes an optimum driving stat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combinations in the train, in the running state of the entire train indicated by the train control command. It is determined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 in running performance between the knitting.

본 실시예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와, 편성간 연결장치로 구성된다. 이때의 편성간 연결장치는,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에 관해서, 인접한 다른 차량 편성끼리를 역학적으로 결합하고, 또한 상기 차량 편성간의 정보전송을 맡는다.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는,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접속된 열차 제어장치와 열차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고, 또한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 직접 또는 상기 편성간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다.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trol system which concerns on a present Example is comprised by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apparatus and the connection between knitting. At this time, the inter-connection connecting device dynamically couples adjacent vehicle formations with respect to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and takes charge of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formations.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exchanges information regarding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with the train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and also connects the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system of each vehicle organization directly or between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exchange of information on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configura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는,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에 접속된 열차 제어장치로부터 열차제어지령을 받아서,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에 직접 또는 편성간 연결장치를 경유하여 접속한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각각 할당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출력한다.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a train control command from a train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nd connects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directly or via a connection device between trains. For each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each allocated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is output.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18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train organization collective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8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8-01)는 다음과 같은 처리수단을 갖는다.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18-01 of FIG. 18 has the following processing means.

먼저, 열차 제어지령 등록수단(18-11)을 갖는다. 이것은 열차 제어장치(18-02)로부터 해당 열차의 일괄주행제어를 위한 열차제어지령(18-21)을 받고,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8-01)의 정보처리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 열차제어지령(18-21)을 보유한다. 또한, 열차제어지령(18-21)을 후술하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8-01)내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18-15)에 대하여 출력한다.First, the train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18-11 is provided. It receives the train control command (18-21) for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from the train control device (18-02), and the train control command in order to help the information processing of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18-01). Holds (18-21). Further, the train control command 18-21 is outputted to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18-15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18-01 described later.

그리고,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18-12)을 갖는다. 이것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8-03)내의 개별 편성 주행 검출장치(18-04)로부터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8-03)이 장비된 차량 편성(자차량편성)의 주행속도를 나타낸 개별편성 주행정보(18-22)를 받는다.And it has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18-12. This is the individual driving which shows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formation (own vehicle formation) equipped with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18-03 from the individual formation running detection apparatus 18-04 i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18-03. Receive information 18-22.

또한,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18-12)은,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8-03)내의 개별 편성 구동장치(18-O5)에 대하여,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18-03)에 할당된 개별편성 제어지령(自)(18-26A)을 출력한다. 또한, 해당 열차가 복수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해당 열차내의 자차량편성 이외의 차량 편성(타차량 편성)으로 향해야 되는 개별편성 제어지령(他)(18-26B)을 편성간 연결장치(18-O6)를 통한 타차량 편성에 대하여 출력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열차가 복수의 차량 편성으로 구성되는 경우에서, 또한 자차량편성이 열차의 종계 편성인 경우에는, 편성간 연결장치(18-06)를 통한 타차량 편성으로부터 출력되는 자차량 편성용 개별편성 제어지령(自)(18-26A)을 받는다.In addition,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18-12 is the individual knitting allocated to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18-03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knitting drive device 18-O5 i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18-03. Outputs a control command (18-26A). In addition, when the train consists of a plurality of vehicle formations,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18-26B to be directed to a vehicle formation (other vehicle formations) other than the own vehicle 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train is connected between the formations. 18-O6) Output for the formation of other vehicles. Similarly, when the trai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hicle formations, and also when the own vehicle formation is the train formation of the train, the individual vehicle organization is output from the other vehicle formation through the inter-connection connecting device 18-06. Receive the knitting control command (18-26A).

또한,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18-12)은, 후술할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8-01)내의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18-16)으로부터 해당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에서의 개별주행제어를 지시하는 각각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집적한 전체 편성제어지령(18-25)을 받는다.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8-01)내의 주행상태 등록수단(18-13)에 대하여, 자차량 편성의 주행속도를 나타낸 개별편성 주행정보(18-22)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individual forma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18-12 performs individual driving control in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from the formation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18-16 in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18-0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eceive the whole knitting control instruction 18-25 which accumulated each individual knitting control instruction | indication which it instructs. Further, to the driving state registration means 18-13 in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18-01, the individual driving information 18-22 indicating the running speed of the own vehicle knitting is output.

다음으로, 주행상태 등록수단(18-13)을 갖는다. 이것은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18-12)으로부터 개별편성 주행정보(18-22)를 받는다. 주행상태 등록수단(18-13)은, 개별편성 주행정보(18-22)가 나타낸 자차량 편성의 주행속도를 해당 열차의 주행속도로 보고서, 해당 열차의 주행속도를 나타낸 주행속도정보(18-23)를 생성한다.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8-01)에서의 정보처리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 주행속도정보(18-23)를 보유한다. 또한, 주행속도정보(18-23)를, 후술할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8-01)내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18-15)에 대하여 출력한다.Next, the driving state registration means 18-13 is provided. This receives the individual knitting running information 18-22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18-12. The driving state registration means 18-13 reports the traveling speed of the own vehicle formation indicated by the individualized traveling information 18-22 as the traveling speed of the corresponding train, and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18-13) indicat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corresponding train. 23). In addition, the driving speed information 18-23 is retained in order to assist the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ng device 18-01. Further,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18-23 is outputted to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18-15 in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18-0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주계 편성 등록수단(18-14)을 갖는다. 이것은, 해당 열차의 주계편성을 나타낸 주계편성정보(18-24)를 보유한다. 또한, 주계편성정보(18-24)를 후술하는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18-15)에 대하여 출력한다. 주계편성 정보는,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른 내용을 나타내고, 또한 해당 열차의 운전 개시에 앞서서 미리 설정 완료된다. 주계편성정보의 내용은, 상기 열차가 단일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주계편성은 항상 자차량 편성이지만, 복수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주계편성은 열차내의 어느 하나의 차량 편성이 된다. 이때 주계편성의 결정방법은 이미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예가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은 주계편성의 결정방법 또는 그 실장수단을 규정하지는 않는다.Next, the main train knitting registration means 18-14 is provided. This holds main train schedule information 18-24 showing the main train schedule of the train. Further, the main knitting information 18-24 is outputted to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18-15 described later. The main train schedule information indicates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setup in the train, and is set in advance before the start of driving of the train. The content of the main train schedule information is that the main train schedule is always the own vehicle train when the train consists of a single vehicle train, but the main train schedule is any vehicle train in the train when the train train consists of a plurality of vehicle trains. 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main system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efine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main system or the mounting means thereof.

다음으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18-15)을 갖는다. 이것은 열차 제어지령 등록수단(18-11)으로부터 열차제어지령(18-21)을, 주행상태 등록수단(18-13)으로부터 주행속도정보(18-23)를, 주계 편성 등록수단(18-14)으로부터 주계편성 정보(18-24)를 받는다. 상기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 편성의 개별주행제어를 위한 각각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열차내의 전체 차량 편성에 관해서 집적한 전체 편성 제어지령(18-25)을 생성하고, 다음의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18-16)에 대하여 출력한다.Next,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instruction generating means 18-15 is provided. This results in train control command 18-21 from train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18-11, travel speed information 18-23 from travel state registration means 18-13, and main train registration registration means 18-14. ) Receives main organization information (18-24).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instruction for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formation constituting the train is generated. In addition, an overall knitting control command 18-25 is generated in which each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s is integrated with respect to the overall vehicle programming in the train, and is output to the next knitting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18-16.

그리고,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18-16)을 갖는다. 이것은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18-15)으로부터 전체 편성 제어지령(18-25)을 받고,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18-01)에서의 정보처리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 전체 개별편성 제어지령(18-25)을 보유한다. 또한,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18-12)에 대하여 전체 개별편성 제어지령(18-25)을 출력한다.And a knitting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18-16. It receives the entire knitting control command 18-25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18-15, and in order to assist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train schedul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18-01, the whol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 18-25). Further, the whol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18-25 is output to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18-12.

도 19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의 하나의 제어 사이클에서의 처리의 전체 흐름을 나타낸다.19 shows the overall flow of the processing in one control cycle of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on.

스텝(19-01)에서는, 해당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가 받아야 되는 각 입력정보에 관해서, 각각의 입력처리(이하의 스텝(19-02)∼(19-04))를 선택한다.In step 19-01, respective input processes (steps 19-02 to 19-04 below) are selected for each input information that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should receive.

스텝(19-02)에서는, 열차제어지령을 열차 제어장치로부터 받는다. 스텝(19-02)의 처리는, 열차 제어지령 등록수단이 한다.In step 19-02, the train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train controller. The process of step 19-02 is performed by the train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스텝(19-03)에서는, 타차량 편성이 출력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편성간 연결장치를 통한 타차량 편성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로부터 받는다. 스텝(19-03)의 처리는,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이 한다.In step 19-03,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instruction outputted by the other vehicle train is received from the train trai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of the other vehicle train through the inter-knit connecting device. The processing of steps 19-03 is performed by individual organiza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스텝(19-04)에서는, 자차량 편성의 개별편성 주행정보를, 자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주행 검출장치로부터 받는다. 스텝(19-04)의 처리는, 개별편성 정보 입출력수단이 한다.In step 19-04, the individual knitting running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knitting is received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running detection apparatus of the own vehicle knitting. The processing of steps 19-04 is performed by the individual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스텝(19-05)에서는, 스텝(19-04)에서 얻은 개별편성 주행정보로부터, 열차의 주행속도를 나타낸 주행속도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주행속도정보의 내용에, 개별편성 주행정보가 나타낸 자차량 편성의 주행속도가 그대로 충당된다. 스텝(19-05)의 처리는, 주행상태 등록수단이 한다.In step 19-05,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indicat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train is generated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running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19-04. 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veling speed of the own vehicle knitting indicated by the individual driving information is appropriately applied to the contents of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The process of step 19-05 is performed by the driving state registration means.

스텝(19-06)에서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가 관리하는 주계편성정보에 관해서, 그 내용이 자열차 편성 편성을 나타내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주계 편성정보가 자열차 편성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스텝(19-07)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19-08)으로 진행한다. 스텝(19-06)의 처리는,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이 한다.In steps 19-06,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ontents indicate self train sequence 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schedule formation information managed by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Here, in the case where the main system knitting information indicates the train sequenc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9-07,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9-08. The process of steps 19-06 is performed by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스텝(19-07)에서는, 열차제어지령과 주행속도정보에 따라서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주행제어를 위한 각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한다. 스텝(19-O7)의 처리는,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이 한다. 종료후, 스텝(19-09)으로 진행한다.In steps 19-07, in accordance with the train control command and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for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is generated. The process of step 19-O7 is performed by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After the e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s 19-09.

스텝(19-08)에서는, 타차량 편성이 출력되고, 편성간 연결장치로부터 자차량 편성용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받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때, 받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19-09)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19-10)으로 진행한다. 스텝(19-08)의 처리는,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이 한다.In step 19-08, the other vehicle knitting is output, an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instruction for own vehicle knitting is received from the inter-knit connecting device. At this time, if it is received, the process goes to step 19-09, otherwise, the process goes to step 19-10. The processing of steps 19-08 is performed by individual organiza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스텝(19-O9)에서는, 자차량 편성용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자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구동장치에 대하여 출력한다. 스텝(19-09)의 처리는,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이 한다.In step 19-O9,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instruction for the host vehicle knitting is output to the individual knitting drive of the host vehicle knitting. The processing of steps 19-09 is performed by individual programm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스텝(19-10)에서는, 타차량 편성이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해당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가, 편성간 연결장치를 통한 정보전송에 의해서 타차량 편성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를 검지함으로써 한다. 여기서, 타차량 편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19-11)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의 흐름을 종료로 한다. 스텝(19-10)의 처리는,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이 한다.In step 19-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ther vehicle pairing exists. This determination is made by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detecting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of the other vehicle formation by transmi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connection connection device. Here, if another vehicle formation exists, it progresses to step 19-11, otherwise, the flow of a process is complete | finished. The process of step 19-10 is performed by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스텝(19-11)에서는, 타차량 편성용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편성간 연결장치를 통한 타차량 편성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에 대하여 출력한다. 스텝(19-11)의 처리는,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이 한다.In step 19-11,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for other vehicle trains is output to the train train total connection device of the other vehicle trains via the inter-knit connecting device. The process of step 19-11 is performed by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는, 도 18과 도 19에 나타낸 정보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반영한 정보변환처리를 한다.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apparatus performs information conversion processing reflecting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by perform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shown in FIG. 18 and FIG.

도 20은, 다른 차량 편성을 각각 따로따로의 열차로서 분할 운전하는 경우에 관해서, 열차 편성총괄 제어 시스템에 관한 정보의 흐름의 모양을 일 제어 사이클에서의 처리 스텝 순서를 따라 나타낸다.Fig. 20 shows the flow of information relating to the train organization control system in the order of processing steps in one control cycle in the case of dividing and driving each other as a separate train.

차량 편성 A(20-00A)와 차량 편성 B(20-00B)는, 분할운용시에는 각각 열차1(20-100)과 열차 2(20-2O0)로서 독립적으로 운전된다. 이 경우, 각 열차에는 각각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20-101)과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2(20-201)가 개별로 독립되어 존재한다. 즉, 각 차량 편성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2O­ 01A)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20-O2A)에서는, 각각에 관계한 정보의 흐름은 서로 독립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열차1(20-100) 또는 차량 편성 A(20-00A)만에 대해서 설명한다.Vehicle formation A (20-00A) and vehicle formation B (20-00B) are independently driven as train 1 (20-100) and train 2 (20-2O0) at the time of divided operation. In this case, each train train control system 1 (20-101) and train train control system 2 (20-201) are independently present. That is,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20'01A) and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20-O2A) of each vehicle formation, the flow of information related to each is independent of each other. Therefore, below, only train 1 (20-100) or vehicle formation A (20-00A) will be described.

먼저,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1(20-101)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20-01A)는,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20-12A)에 있어서 차량 편성 A(20-00A)의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20-03A)내의 개별 편성 주행 검출장치 A(20-04A)로부터, 차량 편성 A(20-00A)의 주행속도를 나타낸 개별편성 주행정보 A(20-22A)를 받는다.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20-12A)은, 이것을 주행상태 등록수단(20-13A)에 대하여 출력한다.First,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20-01A) in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1 (20-101) is individual organization of vehicle formation A (20-00A) in individual organiza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20-12A. From the individual train running detection device A 20-04A in the control system A 20-03A, the individual train running information A 20-22A indicat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train A 20-00A is received.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20-12A outputs this to the traveling state registration means 20-13A.

다음으로, 주행상태 등록수단(20-13A)은,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20-12A)으로부터 개별편성 주행정보 A(20-22A)를 받고, 개별편성 주행정보(20-22A)가 나타낸 자차량 편성의 주행속도를 그대로 해당 열차의 주행속도로서 주행속도정보(20-23A)의 내용으로 설정한다. 또한, 주행속도정보(20-23A)를 주행상태 등록수단(20-13A)이 관리하는 주행속도 정보 테이블에 보유한다.Next, the driving state registration means 20-13A receives the individualized driving information A 20-22A from the individualized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20-12A, and indicates the individualized driving information 20-22A.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formation is set as it is with the contents of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20-23A as the traveling speed of the corresponding train. Further,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20-23A is held in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table managed by the traveling state registration means 20-13A.

다음으로, 주계 편성 등록수단(20-14A)은, 열차1(20-100)의 운전 개시에 앞서서, 열차1(20-100)의 주계 편성을 나타낸 주계 편성 정보(20-24A)를 주계 편성 등록수단(20-14A)이 관리하는 주계 편성 정보 테이블에 보유하고 있다.Next, prior to the start of the operation of the train 1 (20-100), the main train organization registration means 20-14A stores the main train organization information 20-24A indicating the main train organization of the train 1 (20-100). It is held in the weekly schedule information table managed by the registration means 20-14A.

다음으로, 열차 제어지령 등록수단(20-11A)은, 열차 제어장치(20-02A)로부터 열차제어지령(20-21A)을 받아서, 이것을 열차 제어지령 등록수단(20-11A)이 관리하는 열차 제어지령 정보 테이블에 보유한다.Next, the train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0-11A receives the train control command 20-21A from the train control device 20-02A, which is managed by the train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0-11A. It is held in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able.

다음으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20-15A)은, 열차 제어지령 등록수단(20-11A)으로부터 열차제어지령(20-21A)을 주행상태 등록수단(20-13A)으로부터 주행 속도 정보(2O-23A)를 주계 편성 등록수단(20-14A)으로부터 주계 편성정보(20-24A)를 받는다.Next,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20-15A transfers the train control command 20-21A from the train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0-11A to the travel speed information (20-13A) from the travel state registration means 20-13A. 2O-23A receives the host organization information 20-24A from the main organization registration registration means 20-14A.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20-15A)은, 열차제어지령(20-21A)과 주행 속도 정보(20-23A)와 주계 편성정보(20-24A)에 의거하여서, 열차1(20-100)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 주행제어를 위한 각각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하고, 이들을 집적한 전체 편성 제어지령(20-25A)을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20-16A)에 대하여 출력한다. 이 경우, 열차내의 차량 편성은 차량 편성 A(20-00A)만 이기 때문에, 열차제어지령(20-21A)의 내용이 그대로 차량 편성 A(20-00A)용 개별편성 제어지령 A(20-26A)의 내용에 충당되고, 또한 전체 편성 제어지령(20-25A)의 내용은 개별 편성 제어지령 A(20-26A)만이 된다.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20-15A is based on train control command 20-21A, travel speed information 20-23A, and main train formation information 20-24A. Each individual knitting control instruction for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vehicle is generated, and the overall knitting control instructions 20-25A in which these are integrated are outputted to the knitting control instruction registration means 20-16A. In this case, since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is only vehicle formation A (20-00A), the contents of the train control command 20-21A are intact and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A (20-26A) for vehicle formation A (20-00A). ), And the content of the whole knitting control command 20-25A is only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A (20-26A).

다음으로,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20-16A)은,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20-15A)으로부터 전체 편성 제어지령(20-25A)을 받고, 이것을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20-16A)이 관리하는 전체 편성 제어지령 정보 테이블에 보유한다.Next, the knitting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0-16A receives the whole knitting control command 20-25A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20-15A, and this is the knitting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0-16A. It holds in the whole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able which it manages.

다음으로,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20-12A)은,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20-16A)으로부터 전체 편성 제어지령(20-25A)을 받는다.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20-11A)은, 전체 편성 제어지령(20-25A)이 나타낸 각 차량 편성용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각각에 할당된 각각의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출력한다. 즉, 차량 편성 A용 개별편성 제어지령 A(20-26A)를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20-03A)내의 개별 편성 구동장치 A(20-05A)에 대하여 출력한다.Next,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20-12A receives the whole knitting control command 20-25A from the knitting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0-16A.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20-11A outputs to each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assigned to each vehicle knitting individual control command for each vehicle knitting indicated by the overall knitting control instructions 20-25A. That is,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A 20-26A for vehicle formation A is output to individual knitting drive A 20-05A in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A 20-03A.

도 21은 다른 차량 편성을 함께 단일의 열차로서 병합 운전하는 경우에 관해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관한 정보의 흐름 모양을, 일 제어 사이클에서의 처리스텝의 순서를 따라서 나타낸 것이다.Fig. 21 shows the flow of information relating to the train grouping total control system in the order of processing steps in one control cycle in the case of the combined driving of different vehicle groups together as a single train.

차량 편성 A(21-00A)와 차량 편성 B(21-00B)는, 병합운전시에는 함께 열차3(21-300)로서 일괄로 운전된다. 또한, 도 21에서는 차량 편성 A(21-00A)를 열차3(21-30O)의 주계 편성으로 하여, 남은 차량 편성 B(21-0OB)를 종계편성으로 한다. 이 경우, 열차3(21-300)에는 단일의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3(21-301)이 차량 편성 A(21-00A)와 차량 편성 B(21-00B)를 일괄한 형태로 구성되고, 각 차량 편성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21-01A)와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21-01B)에서는, 각각에 관계한 정보의 흐름은 서로 의존하고 있다.The vehicle formation A (21-00A) and the vehicle formation B (21-00B) are collectively driven as the train 3 (21-300) at the time of merged driving. In addition, in FIG. 21, vehicle formation A21-00A is made into the main train formation of train 3 (21-30O), and the remaining vehicle formation B (21-0OB) is made into longitudinal formation. In this case, train 3 (21-300) has a single train grouping general control system 3 (21-301) in which vehicle formation A (21-00A) and vehicle formation B (21-00B) are collectively formed.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A 21-01A and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21-01B of each vehicle formation, the flow of information related to each depends on each other.

우선, 차량 편성 A(21-00A)에 관해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3(21-301)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21-01A)는, 열차 제어지령 등록수단(21-11A)에 있어서, 열차 제어장치 A(21-O2A)로부터 열차제어지령3(21-21 A)을 받아서, 이것을 열차 제어지령 등록수단(21-11A)이 관리하는 열차 제어지령 정보 테이블에 보유한다.First, regarding the vehicle formation A (21-00A),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A (21-01A) in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3 (21-301) is a train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1-11A. The train control command 3 (21-21A) is received from the train control device A (21-O2A) and held in the train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able managed by the train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1-11A.

다음으로,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21-12A)에 있어서,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21-03A)내의 개별편성 주행 검출장치 A(21-04A)로부터 차량 편성 A(21-00A)의 주행속도를 나타낸 개별편성 주행정보 A(21-22A)를 받는다.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21-12A)은, 이것을 주행상태 등록수단(21-13A)에 대하여 출력한다.Next, in the individual forma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21-12A,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formation A (21-00A) from the individual formation traveling detection device A (21-04A) i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A (21-03A). Receives individualized driving information A (21-22A).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21-12A output this to the traveling state registration means 21-13A.

다음으로, 주행상태 등록수단(21-13A)에서,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21-12A)으로부터 개별편성 주행정보 A(21-22A)를 받아서, 개별편성 주행정보 A(21-22A)가 나타낸 차량 편성 A(21-0OA)의 주행속도를 그대로 열차3(21-300)의 주행속도로서 주행속도정보(21-23A)의 내용에 설정한다. 또한, 주행속도정보(21-23A)를 주행상태 등록수단(21-13A)이 관리하는 주행속도 정보 테이블에 보유한다.Next, in the driving state registration means 21-13A, the individual-organization driving information A 21-22A is received from the individual-organiza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21-12A, and the individual-organization driving information A 21-22A is shown.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formation A (21-0OA) is set as it is in the contents of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21-23A as the traveling speed of the train 3 (21-300). Further,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21-23A is held in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table managed by the traveling state registration means 21-13A.

다음으로, 주계 편성 등록수단(21-14A)에 있어서, 열차3(21-300)의 운전 개시에 앞서서, 열차3(21-300)의 주계편성을 나타낸 주계 편성 정보(21-24A)를 주계 편성 등록수단(21-14A)이 관리하는 주계 편성 정보 테이블에 보유하고 있다.Next, in the track record registration means 21-14A, the track record schedule information 21-24A indicating the track record of the train 3 (21-300) is displayed before the start of the operation of the train 3 (21-300). It is held by the organiz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table managed by the organization registration means 21-14A.

다음으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21-15A)에서, 열차 제어지령 등록수단(21-11A)으로부터 열차제어지령3(21-21A)을, 주행상태 등록수단(21-13A)으로부터 주행 속도 정보(21-23A)를, 주계 편성 등록수단(21-14A)으로부터 주계 편성 정보(21-24A)를 받는다.Next, the train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1-11A receives train control command 3 (21-21A) from the train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1-11A, and the travel speed from the drive state registration means 21-13A. The information 21-23A is received from the schedule organization registration means 21-14A, and the schedule organization information 21-24A is received.

도 21의 예에서는, 열차3(21-300)의 주계편성은 차량 편성 A(21-00A)이고, 따라서, 주계 편성 정보(21-24 A)는 차량 편성 A를 나타낸다. 이로부터, 차량 편성 A(21-O0A)로 기능하는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21-15A)은, 열차제어지령3(21-21A)과 주행속도정보(21-23A)와 주계 편성 정보(21-24A)에 따라서, 열차3(21-300)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주행제어를 위한 각각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하여, 상기 각각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집적한 전체 편성 제어지령(21-25A)을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21-16A)에 대하여 출력한다. 이 경우, 열차3(21-300)내의 차량 편성은 차량 편성 A(21-00A)와 차량 편성 B(21-00B)의 두개이기 때문에, 전체 편성 제어지령(21-25A)의 내용은 차량 편성 A용 개별편성 제어지령 A(21-26A)와 차량 편성 B용 개별편성 제어지령 B(21-26B)가 된다.In the example of FIG. 21, the main train formation of train 3 (21-300) is vehicle formation A (21-00A), and therefore, main train formation information 21-24A shows vehicle formation A. FIG. From this,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21-15A functioning as the vehicle formation A 21-O0A includes the train control command 3 (21-21A),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21-23A and the main train formation information ( According to 21-24A),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instruction for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rain 3 (21-300) is generated, and the total formation control instruction 21 in which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instruction is integrated. -25A) is outputted to the knitting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1-16A. In this case, since the vehicle formation in train 3 (21-300) is two of vehicle formation A (21-00A) and vehicle formation B (21-00B), the contents of the overall formation control command 21-25A are the vehicle formation. The individual control command A (21-26A) for A and the individual control command B (21-26B) for vehicle formation B are set.

다음으로,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21-16A)에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21-15A)으로부터 전체 편성 제어지령(21-25A)을 받아서, 이것을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21-16A)이 관리하는 전체 편성 제어지령 정보 테이블에 보유한다.Next, in the knitting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1-16A, the entire knitting control command 21-25A is received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21-15A, and this is received by the knitting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1-16A. It holds in the whole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able which it manages.

다음으로,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21-12A)에 있어서,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21-16A)으로부터 전체 편성 제어지령(21-25A)을 받는다.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21-12A)은, 전체 편성 제어지령(21-25A)이 나타낸 각 차량 편성용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각각이 할당된 각각의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출력한다. 즉, 차량 편성 A용 개별편성 제어지령 A(21-26A)를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A(21-03A)내의 개별 편성 구동장치 A(21-05A)에 대하여 출력하고, 종계 편성인 차량 편성 B용 개별편성 제어지령 B(21-26B)를, 편성간 연결장치 A(21-06A)와 차량 편성 B(21-00B)의 편성간 연결장치 B(21-06B)를 통해서 차량 편성 B(21-00B)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21-01B)에 대하여 출력한다.Next, in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21-12A, the whole knitting control command 21-25A is received from the knitting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1-16A.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21-12A outputs to each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to which each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for each vehicle knitting indicated by the overall knitting control instructions 21-25A is assigned. That is,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A (21-26A) for vehicle formation A is outputted to the individual formation drive device A (21-05A) i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A (21-03A), and the vehicle formation B for the final formation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B (21-26B) is connected to the vehicle train B (21-06B) through the inter-connection linkage device A (21-06A) and the vehicle link B (21-00B). And outputs to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B (21-01B) of 00B).

한편, 차량 편성 B(21-00B)에 관해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3(21-301)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B(21-01B)는, 열차 제어지령 등록수단(21-11B)에 있어서, 열차 제어장치 B(21-02B)로부터 열차 제어지령3(21-21B)을 받아서, 이를 열차 제어지령 등록수단(21-11B)이 관리하는 열차 제어지령 정보 테이블에 보유한다.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vehicle formation B 21-00B,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B 21-01B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3 (21-301) is a train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1-11B. Receives the train control command 3 (21-21B) from the train control device B (21-02B), and holds it in the train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able managed by the train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1-11B.

다음으로,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21-12B)에 있어서,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B(21-03B)내의 개별 편성 주행 검출장치 B(21-04B)로부터 차량 편성 B(21-00B)의 주행속도를 나타낸 개별편성 주행정보 B(21-22B)를 받는다.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21-12B)은, 이것을 주행상태 등록수단(21-13B)에 대하여 출력한다.Next, in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21-12B,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knitting B (21-00B)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running detecting device B (21-04B) i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B (21-03B). Receives individualized driving information B (21-22B) indicated by.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21-12B output this to the traveling state registration means 21-13B.

다음으로, 주행상태 등록수단(21-13B)에 있어서,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21-12B)으로부터 개별편성 주행정보 B(21-21B)를 받고, 개별편성 주행정보 B(21-22B)가 나타낸 차량 편성 B(21-00B)의 주행속도를 그대로 열차3(21-300)의 주행속도로서 주행속도정보(21-23B)의 내용에 설정한다. 또한, 주행속도정보(21-23B)를 주행상태 등록수단(21-13B)이 관리하는 주행속도정보 테이블에 보유한다.Next, in the driving state registering means 21-13B, the individual knitting running information B 21-21B is received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21-12B, and the individual knitting running information B 21-22B is received. The traveling speed of the displayed vehicle formation B 21-00B is set as it is to the contents of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21-23B as the traveling speed of the train 3 (21-300). Further,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21-23B is held in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table managed by the traveling state registration means 21-13B.

다음으로, 주계 편성 등록수단(21-11B)에서, 열차3(21-3O0)의 운전의 개시에 앞서서, 열차3(21-300)의 주계편성을 나타낸 주계 편성 정보(21-24B)를, 주계 편성 등록수단(21-14B)이 관리하는 주계 편성 정보테이블에 보유하고 있다.Next, prior to the start of the operation of the train 3 (21-3O0) in the main train formation registration means 21-11B, the main train formation information 21-24B showing the main train organization of the train 3 (21-300), It is held in the host organization information table managed by the host organization registration registration means 21-14B.

다음으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21-15B)에 있어서, 열차 제어지령 등록수단(21-15B)으로부터 열차 제어지령3(21-21B)을, 주행상태 등록수단(21-13B)으로부터 주행속도정보(21-23B)를, 주계 편성 등록수단(21-14B)으로부터 주계 편성 정보(21-24B)를 받는다.Next, i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21-15B, the train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1-15B runs the train control command 3 (21-21B) from the travel state registration means 21-13B. The speed information 21-23B is received from the track record registration means 21-14B and the track record information 21-24B.

도 21의 예에서는, 열차3(21-300)의 주계편성은 차량 편성 A(21-00A)이고, 따라서, 주계 편성 정보(21-24B)는 차량 편성 A를 나타낸다. 이로부터, 차량 편성 B(21-00B)로 기능하는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21-15B)은, 열차제어지령3(21-21B)에 대응하여 열차3(21-300)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주행제어를 위한 각각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하는 경우는 없다. 즉,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21-16B)에 대해서는 전혀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다.In the example of FIG. 21, the main train formation of train 3 (21-300) is vehicle formation A (21-00A), and therefore, the main train formation information 21-24B shows vehicle formation A. FIG. From this,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21-15B functioning as the vehicle formation B 21-00B is organized in each vehicle in the train 3 21-300 in response to the train control command 3 (21-21B). There is no case in which each individual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for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That is, no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knitting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1-16B.

다음으로,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21-16B)은,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21-15B)로부터는 전혀 정보를 받지 않는다. 이 경우,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21-16B)이 관리하는 전체 편성 제어지령 정보 테이블에는 전혀 정보는 보유되지 않는다.Next, the knitting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1-16B does not receive any information from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21-15B. In this case, no information is retained at all in the knitting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able managed by the knitting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1-16B.

다음으로,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21-12B)은,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21-16B)으로부터는 전혀 정보를 받지 않는다.Next,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21-12B do not receive any information from the knitting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21-16B.

한편,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21-12B)은, 편성간 연결장치 B(21-06 )와 차량 편성 A(21-00A)의 편성간 연결장치 A(21-06A)를 통해서 차량 편성 A(21-O0A)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 A(21-O1A)로부터, 종계편성인 차량 편성 B용에 개별편성 제어지령 B(21-26B)를 받는다. 개별 편성 정보 입출력수단(21-12B)은, 그것이 받은 각 차량 편성용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각각이 할당된 각각의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출력한다. 즉, 차량 편성 B용 개별편성 제어지령 B(21-26B)를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B(21-03B)내의 개별 편성 구동장치 B(21-05B)에 대하여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21-12B is connected to the vehicle knitting A (21-06A) and between the knitting device A (21-06A) of the vehicle knitting A (21-00A).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B 21-26B is received from the train train generalization connecting device A 21-O1A of 21-OA for the vehicle train B which is the train train. The individual knitt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means 21-12B outputs to each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to which each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received for each vehicle knitting is received. That is,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B 21-26B for vehicle formation B is output to the individual knitting drive B 21-05B i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B 21-03B.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22-01) 내부의 구성과 정보의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다.Fig. 22 shows the structure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22-01 and the flow of inform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22-01)은, 주계편성 판정수단(22-02)과,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등록수단(22-03)과,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22-04)을 갖는다.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22-01 includes main station formation determination means 22-02, train and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22-03, and train and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conversion means ( 22-04).

주계편성 판정수단(22-02)은,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22-01)의 외부로부터 해당 열차의 일괄주행제어를 위한 제어지령을 나타낸 열차제어지령(22-11)과, 해당 열차의 주계편성인 차량 편성을 나타낸 주계 편성 정보(22-12)를 받는다. 여기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22-01)을 가진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가 장비된 차량 편성(자차량 편성)이, 주계 편성 정보(22-12)가 나타낸 차량 편성과 동일하다, 즉 주계편성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주계편성 판정수단(22-02)은 자차량 편성이 주계편성인 경우에만, 열차제어지령(22-11)을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22-04)에 대하여 출력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전혀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다.The main train formation determining means 22-02 includes a train control command 22-11 indicating a control command for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from outside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22-01, and Receiving the main train schedule information 22-12 showing the vehicle schedule which is the main train schedule. Here, the vehicle formation (own vehicle formation) equipped with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ng device with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22-01 is the same as the vehicle formation indicated by the main train formation information 22-12, that is, the main train Determine whether it is a combination or not. The main train combination determining means 22-02 outputs the train control command 22-11 to the train /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22-04 only when the host vehicle combination is the main train combination. Otherwise, no information is output.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등록수단(22-03)은, 해당 열차에 대한 여러 가지 열차제어지령과, 그 하나하나에 대응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별편성 제어지령과의 관계를 나타낸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22-14)을 보유하고,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22-04)으로부터의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22-14)의 정보 참조에 대응한다.The train / individual train control instruction corresponding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22-03 shows a train / individual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train control commands for the train and the singular or plural individual control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train. It holds the form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22-14, and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reference of the trai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22-14 from the train and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conversion means 22-04. .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22-04)은, 주계편성 판정수단(22-O2)이 출력하는 열차제어지령(22-11)과,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22-01)의 외부로부터 입력된 주행속도정보(22-13)와,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등록수단(22-03)으로부터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22-14)을 받는다. 여기서, 주계편성 판정수단(22-02)이 출력한 열차제어지령(22-11)을 받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받은 경우에만, 열차제어지령(22-11)에 대응한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용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22-14)로부터 추출하고, 얻어진 각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모두 거둔 전체 편성 제어지령(22-21)을 외부의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에 대하여 출력한다. 열차제어지령(22-11)을 받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에 대하여 전혀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다.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22-04 are external to the train control command 22-11 outputted by the main train formation determining means 22-O2 and the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22-01.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22-14 is received from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22-13 inputted from the train and the individual / dividend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22-03. Her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rain control command 22-11 outputted by the main train formation determining means 22-02 has been received, and only when receiving the train control command 22-11, each vehicle in the train corresponding to the train control command 22-11 is trained.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from the train /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22-14, and the entire knitting control command 22-21 which stores all of the obtained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s. Output for When the train control command 22-11 is not received, no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outside at all.

다음으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22-01)이 구비한 각 처리수단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the processing of each processing means included i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22-01 will be described.

먼저, 주계편성 판정수단(22-02)이 하는 처리는, 도 19가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의 처리의 전체 흐름에 있어서, 스텝(19-06)의 조건 판단에 해당한다.First, the processing performed by the main train knitting determination means 22-02 corresponds to the condition determination in steps 19-06 in the entire flow of the processing of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apparatus shown in FIG. 19.

다음으로,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이 하는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will be described.

도 23, 도 24 및 도 25는, 다른 차량 편성끼리의 병합운전에 있어서,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 편성에 각각 작용하는 힘의 모양을 나타낸다. 또, 도 23, 도 24, 및 도 25에서는, 각 도면중의 열차는 역행중으로 하고, 또한 각 도면을 통해서 열차 전체의 주행에 나타난 가속도는 같은 값으로 한다.FIG. 23, FIG. 24, and FIG. 25 show the shape of the force which acts on each vehicle formation which comprises a train in the combined operation of other vehicle formations. In addition, in FIG. 23, FIG. 24, and FIG. 25, the train in each figure is carrying out backward, and the acceleration shown to the running of the whole train through each figure is made into the same value.

도 23에서는, 열차를 구성하는 차량 편성 A(23-01)와 차량 편성 B(23-02)는, 각각 편성 중량(단위: t)가 MA, MB이고, 또한 각각의 개별 편성 구동장치에 의해서, 차량 편성 A(23-01)에 인장력(단위: k N) TA(23-11), 차량 편성 B(23-01)에 인장력 TB(23-21)이 작용하고 있다. 차량 편성 A(23-01)와 차량 편성 B(23-02)는 편성간 연결장치(23-03)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이에 따라 차량 편성 A(23-01)와 차량 편성 B(23-02)의 사이에 편성간 응력(단위 : k N)이 작용한다. 편성간 응력은, 차량 편성 A(23-01)에 TAB(23-12), 차량 편성 B(23-02)에 TBA(23-22)가 작용하고 있고, 각각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이다. 이 경우, 열차 전체의 주행에 나타난 가속도(단위 : m/s)는, (TA + TB)/(MA+ MB)가 된다.In FIG. 23, the vehicle formation A 23-01 and the vehicle formation B 23-02 constituting the train each have a knitting weight (unit: t) of MA and MB, and each individual knitting drive device is used. The tensile force (unit: kN) TA 23-11 is applied to the vehicle formation A 23-01, and the tensile force TB 23-21 is acting on the vehicle formation B 23-01. The vehicle formation A 23-01 and the vehicle formation B 23-02 are connected by an inter-connection connecting device 23-03, whereby the vehicle formation A 23-01 and the vehicle formation B 23- The stress between knitting (unit: kN) is applied between 02). TAB 23-12 is applied to vehicle formation A 23-01, and TBA 23-22 is acting on vehicle formation B 23-02, and the magnitude | size is the same, and the direction is reversed between trains. . In this case, the acceleration (unit: m / s) shown in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is (TA + TB) / (MA + MB).

도 24에서도, 도 23과 마찬가지로, 열차를 구성하는 차량 편성 A(24-01)와 차량 편성 B(24-02)에 관해서, 각각 편성 중량은 MA 및 MB, 각각의 개별 편성 구동장치에 의한 인장력은 TA(24-11) 및 TB(24-21), 편성간 연결장치(24-03)가 맡은 편성간 응력은 TAB(24-12) 및 TBA(24-22)이다. 도 24의 MA 및 MB는 도 23의 대응하는 값과 각각 같다. 한편, TA(24-11), TB(24-21), TAB(24-12) 및 TBA(24-22)는 도 23의 대응하는 값과 각각 다르다. 즉, 도 24의 TA(24-11)는 도 23의 TA(23-11)보다 작고, 도 24의 TB(24-21)는 도 23의 TB(23-21)보다 크다. 또한, 도 24의 TAB(24-12) 및 TBA(24-22)는, 도 23의 TAB(23-12) 및 TBA(23-22)와 각각 역방향이다. 단, 열차 전체의 가속도(TA+TB)/(MA+MB)는, 도 23과 같은 값이다.Also in Fig. 24, similarly to Fig. 23, regarding the vehicle formation A 24-01 and the vehicle formation B 24-02 constituting the train, the knitting weights are MA and MB, respectively, the tensile force by each individual knitting drive device. Is the TAB 24-12 and the TBA 24-22 between the TAs 24-11 and TB 24-21 and the inter-connection coupling device 24-03. The MA and MB in FIG. 24 are the same as the corresponding values in FIG. 23,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A 24-11, TB 24-21, TAB 24-12, and TBA 24-22 are different from the corresponding values in FIG. That is, the TA 24-11 of FIG. 24 is smaller than the TA 23-11 of FIG. 23, and the TB 24-21 of FIG. 24 is larger than the TB 23-21 of FIG. 23. In addition, TAB 24-12 and TBA 24-22 of FIG. 24 are reverse from TAB 23-12 and TBA 23-22 of FIG. However, acceleration (TA + TB) / (MA + MB) of the whole train is the same value as FIG.

도 25에서도, 도 23 및 도 24와 마찬가지로, 열차를 구성하는 차량 편성 A(25-01)와 차량 편성 B(25-02)에 관해서, 각각 편성 중량은 MA 및 MB, 각각의 개별 편성 구동장치에 의한 인장력은 TA(25-11) 및 TB(25-21), 편성간 연결장치(25-03)가 맡은 편성간 응력은 TAB(25-12), TBA(25-22)이다. 도 25의 MA 및 MB는 도 23 및 도 24의 대응하는 값과 각각 같다. 한편, TA(25-11), TB(25-21), TAB(25-12) 및 TBA(25-22)는 도 23 또는 도 24의 대응하는 값과 각각 다르다. 즉, 도 25의 TA(25-11)는 도 23의 TA(23-11)와 도 24의 TA(24-11)의 중간, 도 25의 TB(25-21)는 도 23의 TB(28-21)와 도 24의 TB(24-21)의 중간이고, 도 25의 TAB(25-12) 및 TBA(25-22)는 각각 O이다. 또한, 열차 전체의 가속도(TA+TB)/(MA+ MB)는, 도 23 및 도 24와 같은 값이다.Also in Fig. 25, similarly to Figs. 23 and 24, regarding the vehicle formation A 25-01 and the vehicle formation B 25-02 constituting the train, the knitting weights are MA and MB, respectively, the individual knitting drive devices. The tensile force by the TA 25-11 and TB 25-21, the inter-strain stresses in the knitting device 25-03 is TAB (25-12), TBA (25-22). The MA and MB in FIG. 25 are the same as the corresponding values in FIGS. 23 and 24,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A 25-11, TB 25-21, TAB 25-12, and TBA 25-22 are different from the corresponding values in FIG. 23 or 24, respectively. That is, the TA 25-11 of FIG. 25 is the middle of the TA 23-11 of FIG. 23 and the TA 24-11 of FIG. 24, and the TB 25-21 of FIG. 25 shows the TB (28) of FIG. -21) and TB 24-21 of FIG. 24, and TAB 25-12 and TBA 25-22 of FIG. 25 are each O. FIG. In addition, acceleration (TA + TB) / (MA + MB) of the whole train is the same value as FIG. 23 and FIG.

또한, 도 23에서는, 차량 편성 A(23-01)에 작용하는 인장력 TA를 차량 편성 A(23-01)의 편성중량 MA에서 제산한 중량 대 인장력 TA/MA가, 동일하게 차량 편성 B(23-02)에 작용하는 인장력 TB를 차량 편성 B(23-02)의 편성 중량 MB에서 제산한 중량 대 인장력 TB/MB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 TA/MA 및 TB/MB는, 차량 편성 A(23-01) 및 차량 편성B(23-02)가 단독으로 주행하고 있으면, 각각 차량 편성 A(23-01) 및 차량 편성 B(23-02)의 가속도가 되는 값이다. 이것은, 도 23의 병합운전에서는, 열차가 전체로서 같은 가속도로 주행이 되도록 편성간 응력이 작용함으로써, 차량 편성 A(23-01)는 차량 편성 B(23-02)를 이끌면서, 한편의 차량 편성 B(23-02)는 차량 편성 A(23-01)에 인장되면서 주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편성간 응력은 그대로 편성간 연결장치(23-03)에서의 응력부담이 되어, 편성간 연결장치(23-03)의 피로 및 소모에 의한 강도 열화를 초래한다.In Fig. 23, the weight versus tensile force TA / MA obtained by dividing the tensile force TA acting on the vehicle knitting A 23-01 by the knitting weight MA of the vehicle knitting A 23-01 is the same as the vehicle knitting B (23). The tension force TB acting on -02) is made larger than the weight versus tensile force TB / MB divided by the knitting weight MB of the vehicle knitting B (23-02). TA / MA and TB / MB are vehicle formation A 23-01 and vehicle formation B 2323 if vehicle formation A 23-01 and vehicle formation B 23-02 are traveling alone. ) Is the value of acceleration. This is because, in the merge operation of FIG. 23, the inter-organization stress acts so that the train runs at the same acceleration as a whole, so that the vehicle formation A 23-01 leads the vehicle formation B 23-02, while the other vehicle formation is performed. B23-02 indicates that the vehicle travels while being tensioned with the vehicle formation A 23-01. In addition, the stress between the knitting becomes a stress load in the inter-knit connecting device 23-03 as it is, and causes the strength deterioration by fatigue and consumption of the inter-knit connecting device 23-03.

또한, 도 24에서는, 차량 편성 A(24-01)에 관한 중량 대 인장력 TA/MA가, 동일하게 차량 편성 B(24-O2)에 관한 중량 대 인장력 TB/MB보다도 작게 하고 있다. 이것은, 도 24와 같은 병합운전에서는, 차량 편성 A(24-01)는 차량 편성 B(24-02)에 밀리고, 한편의 차량 편성 B(24-02)는 차량 편성 A(24-01)로부터 저항력을 받으면서 주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편성간 연결장치(24-03)에 대해서는, 도 23의 경우와 같은 악영향을 미치게 한다.In addition, in FIG. 24, the weight-to-tensile force TA / MA regarding vehicle formation A 24-01 is similarly smaller than the weight-to-tensile force TB / MB regarding vehicle formation B 24-O2. This is because, in the combined operation as shown in Fig. 24, the vehicle formation A 24-01 is pushed by the vehicle formation B 24-02, while the vehicle formation B 24-02 is moved from the vehicle formation A 24-01. Indicates that you are driving with resistance. Incidentally, the inter-connection connecting devices 24-03 have the same adverse effect as in the case of FIG.

한편, 도 25에서는, 차량 편성 A(25-01)에 관한 중량 대 인장력 TA/MA가, 동일하게 차량 편성 B(25-O2)에 관한 중량 대 인장력 TB/MB와 같게 되어 있다. 이것은, 도 25와 같은 병합운전에서는, 위의 도 8 및 도 24의 경우와는 달리, 열차 전체로서 같은 가속도가 되는 주행을, 차량 편성 A(25-01)와 차량 편성 B(25-02)의 사이에 편성간 응력을 서로 작용하는 일 없이 실현한 것을 나타낸다. 즉, 편성간 연결장치(25-03)에 대한 악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FIG. 25, the weight-to-tensile force TA / MA regarding vehicle formation A 25-01 is similar to the weight-to-tensile force TB / MB regarding vehicle formation B 25-O2. In the merge operation as shown in Fig. 25, this is different from the case of Figs. 8 and 24 above, and the vehicle formation A 25-01 and the vehicle formation B 25-02 are driven with the same acceleration as the entire train. It shows that the between-knit stress was realized without interacting between them. That is, adverse effects on the inter-knit connecting device 25-03 can be eliminated.

이때, 이상의 도 23, 도 24 및 도 25와 그 설명에서는, 각 차량 편성의 개별편성 구동장치가 출력한 구동력으로서, 역행제어시의 인장력의 경우를 취급하였지만, 브레이크 제어시의 브레이크 힘에 관해서도 완전히 동일한 경향이 된다. 즉, 열차 전체로서 동일한 감속도가 되는 주행만으로도,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이 출력하는 브레이크 힘의 배분을 조정함으로써, 각 차량 편성끼리에서 서로 작용하는 응력 부담과, 그 영향을 바꿀 수 있다.23, 24, and 25 and the above description have dealt with the case of the tension force in the retrograde control as the driving force output by the individual driving apparatus of each vehicle formation, but it is also complete with regard to the brake force in the brake control. It is the same tendency. That is, even by traveling with the same deceleration as the entire train, by adjusting the distribution of the brake force outputted by each vehicle combination in the train, the stress burden acting on each other and the influence of each vehicle combination can be changed.

이상으로부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구동장치가 발생시킨 각 구동력의 배분을 조정함으로써, 열차전체로서는 동일한 가속도(역행제어시), 감속도(브레이크 제어시)의 주행을 실현하면서도, 각 차량 편성사이의 편성간 연결장치에 대한 응력부담을 감소한다고 하는, 구동상태의 최적화를 꾀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djusting the distribution of the respective driving forces generated by the individual formation driving apparatuses of the respective vehicle formations in the train, each vehicle can realize the same acceleration (at the time of driving control) and deceleration (at the time of brake control) as a whole train. It can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driving state, which reduces the stress burden on the inter-knit coupling device between the knits.

상기한 내용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이 하는 처리를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In view of the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is defined as follows.

먼저,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의 처리의 개념을 이하의 수식으로 나타낸다.First, the concept of the process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is shown by the following formula.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제어지령을, 역행제어에 관해서는, 열차전체에 관한 중량 대 인장력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Cαtrain으로 나타낸다. 또한, 브레이크 제어에 관해서는, 열차전체에 관한 중량 대 브레이크 힘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Cβtrain으로 나타낸다. 또한, 열차를 구성하는 차량 편성 i(i= A, B, …(열차내의 전체 차량 편성을 망라))에 관해서 차량 편성 i용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역행제어에 관해서는 차량 편성 i에 관한 중량 대 인장력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Cαi로 나타낸다. 또한, 브레이크 제어에 관해서는, 차량 편성 i에 관한 중량 대 브레이크 힘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Cβi로 나타낸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control command is expressed in terms of weight versus tensile force with respect to the whole train in terms of power control, and is expressed by Cαtrain. Regarding the brake control, it is expressed by the weight versus brake force of the whole train and is expressed by C? Train. In additio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for vehicle formation i for the vehicle formation i (i = A, B, ... (all vehicle formations in a train) which constitutes a train) and the weight regarding the vehicle formation i for the reverse control are given. It is represented by Cαi as being represented by a large tensile force. Regarding the brake control, it is represented by the weight versus the brake force for the vehicle formation i, and is represented by Cβi.

또한, 차량 편성 i의 중량(개별 편성 중량)을 Mi로 나타낸다.In addition, the weight (individual knitting weight) of the vehicle formation i is represented by Mi.

열차제어지령 Cαtrain 및 Cβtrain과, 차량 편성 i용 개별편성 제어지령 Cαi 및 Cβi의 관계는, 다음 수식에 의해서 나타낸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 control commands Cαtrain and Cβtrain and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s Cαi and Cβi for the vehicle train i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역행제어에 관해서) …(10) (About power control)... 10

(브레이크 제어에 관해서) …(11) (About brake control) (11)

상기 우변의 ∑( )는, 괄호내의 수식 또는 수치를 i가 가능한 경우에 관해서 총합한 것을 나타낸다.∑ () on the right side indicates that the formula or numerical value in parentheses is added up in the case where i is possible.

상기 식은, 구해야 되는 개별편성 제어지령 Cαi, Cβi에 관해서, 각각 열차 제어지령 Cαtrain, Cβtrain의 사이에 개별 편성 중량 Mi에 관한 무게 첨부 평균의 관계를 규정하는 하나의 제약 조건에 불과하다. 그래서, 차량 편성 i에 관해서, 그 개별의 역행능력(개별 편성 역행 능력), 브레이크 능력(개별 편성 브레이크 능력)을 도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별 편성 역행 능력, 개별 편성 브레이크 능력은, 각각 주행속도 v의 함수로서의 중량 대 인장력의 최대치, 중량 대 브레이크 힘의 최대치로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각각 [αi]max(V), [βi]max(V)로 나타낸다.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이 받은 주행속도정보가 나타낸 열차의 현재주행속도를 V로 두면, Cαi및 Cβi에 관한 별도의 제약조건이 다음 수식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The expression, individual programming control commands C αi, with respect to C βi, respectively, it is only one of the constraints defining the average relationship between the weight attached on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Mi between a train control command C αtrain, C βtrain that seek . Thus, with respect to the vehicle formation i, the individual retrograde capability (individual knitted retrograde capability) and the braking capability (individual knitted brake capability) are introduc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ability and the individual knitting brake ability are respectively expressed by the maximum value of the weight-to-tensile forc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weight-to-brake force as a function of the running speed v, respectively [α i ] max (V), It is represented by [β i ] max (V). If the current running speed of the train indicated by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is V, separate constraints on C α i and C β i a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Cαi≤[αi]max(V)(역행제어에 관해서) C αi ≤ [α i] max (V) ( as to the control backing)

Cβi≤[βi]max(V)(브레이크 제어에 관해서) …(12) C βi ≤ [β i] max (V) ( with respect to the brake control) ... (12)

이상의 제약조건에 따라,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의 처리를 다음의 명제로 나타낸다.In accordance with the above constraints, the processing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is shown by the following proposition.

다음을 최소화해라 : max(Cαi)-min(Cαi)(역행제어에 관해서)Minimize: max (C αi ) -min (C αi ) (for retrograde control)

다음을 최소화해라 : max(Cβi)-min(Cβi)(브레이크 제어에 관해서)…(13)Minimize: max (C βi ) -min (C βi ) (about brake control). (13)

상기한 min( ), max( )는, 괄호내의 수식 또는 수치에 관해서, 그 i가 가능한 경우에 관한 최소값 및 최대값을 나타낸다. 즉, 상기한 내용은, 역행제어에 관해서는,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 i용 Cαi에 관해서 그 모든 i 중에서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최소가 되도록, 각 Cαi의 조합을 설정해야 할 것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제어에 관해서는,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 i용 Cβi에 관해서, 그 모든 9 i 중에서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최소가 되도록, 각 Cβi의 조합을 설정해야 할 것을 나타낸다.The above min () and max () represent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for the case where the i is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formula or numerical value in parentheses. In other words, the above-described contents indicate that with respect to the retrograde control, the combination of the respective C αi should be set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among all i is minimum for each of the C α i for each vehicle combination i in the train. . Similarly, with regard to the brake control, it is indicated that the combination of the respective C β i must be set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among all of the 9 i is minimized with respect to the C β i for each vehicle combination i in the train.

도 26에서는,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의 역행제어에 관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In FIG. 26, the flow of the process regarding the power line control of the train individual control command conversion means is shown.

스텝(26-01)에서는, 열차제어지령 Cαtrain을 받는다.In step 26-01, the train control command C alpha train is received.

스텝(26-02)에서는, 현재주행속도 V를 받는다.In step 26-02, the current traveling speed V is received.

스텝(26-03)에서는,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을 받는다.In step 26-03, a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is received.

스텝(26-04)에서는,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에 대하여, Cαtrain과 V를 조회하여, 대응하는 개별편성 제어지령 Cαi(i= A, B, ...(열차내의 전체 차량 편성을 망라))를 추출한다.Total in the step (26-04), the train-information table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individual knitted control command, C queries the αtrain and V, corresponding individual control commands to organize C αi (i = A, B , ... ( train Extract the vehicle).

스텝(26-05)에서는, 모든 차량 편성 i에 관한 개별편성 제어지령 Cαi를 집적한 전체 편성 제어지령을 출력한다.In steps 26-05, the entire knitting control command in which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s C alpha i for all the vehicle knitting i are integrated is output.

이때, 도 26은 역행제어만에 관해서 취급하고 있지만, 브레이크 제어에 관해서는 동일 도면의 Cαtrain을 Cβtrain, Cαi를 Cβi로 바꾸는 것만으로, 완전히 같은 설명이 성립한다.In this case, Figure 26 but when it comes to handling only the backing control, a is in the figure C αtrain As for the brake control by simply changing the βtrain C, C to C βi αi, is established completely the same description.

도 27은 도 26의 처리에 사용하는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7의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은 역행제어에 관한 것으로, 열차제어지령 Cαtrain과 현재주행속도 V를 인수로 하여, 인수의 각 조합에 대응한 개별편성 제어지령 Cαi의 각 값을 수납하고 있다. 이때, 브레이크 제어에 관한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도, 도 27과 같은 구조이다.FIG. 27 shows an example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used for the process shown in FIG. 26. Trai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table of Fig. 27 relates to the powering control, the train control command C αtrain and to a current running speed V by the factor, a separate programming control commands for each value of C αi corresponding to each combination of the argument, Is housed. At this time,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concerning brake control is also the same structure as FIG.

도 26의 처리는, 열차의 주행이 한창일 때에 실시간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 동일 도면에 의하면,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의 기능 실현의 근간을 맡은 것은,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에 나타낸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정보를 운전의 개시에 앞서서 생성 완료로 하고, 주행중에서의 처리는 단순한 정보 참조만으로 함으로써, 실시간 제어에서 처리 부하의 감소를 꾀하고 있다.The processing in Fig. 26 is performed in real time when the running of the train is in full swing. According to the same drawing, the basis of realizing the function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ed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is the information shown in the train / individual combined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In this embodiment, this information is generated before the start of driving, and the processing while driving is merely a reference of information, thereby reducing the processing load in real time control.

도 28은 도 26의 처리에서 사용하는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의 내용 정보 생성처리 흐름을 나타낸다. 전술한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의 처리의 개념은, 본 실시예의 경우, 이 생성처리에 활용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이 처리를 실시하는 처리수단의 소재에 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다.FIG. 28 shows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processing flow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used in the process of FIG. The concept of the process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described above is utilized for this generation process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terial of the processing means for performing this processing is not particularly mentioned.

스텝(28-01)에서는, 열차제어지령 Cαtrain을 설정한다.In step 28-01, the train control command C αtrain is set.

스텝(28-02)에서는, 현재주행속도 V를 설정한다.In step 28-02, the current traveling speed V is set.

스텝(28-03)에서는, 열차내의 모든 차량 편성 i에 관해서, 그 V에 대한 중 량 대 인장력의 최대값을 나타낸 개별 편성 역행 성능[αi]max(V)과, 개별 편성 중량 Mi를 취득한다.In steps 28-03, the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 [α i ] max (V) representing the maximum value of the weight versus tensile force for that V for each vehicle knitting i in the train, and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M i Acquire.

스텝(28-04)에서는, 모든 i에 관해서, 변수 Cαi에 [αi]max(V)의 값을 설정한다.In step (28-04), with respect to all i, sets the value of [α i] max (V), the variables C αi.

스텝(28-05)에서는, 중간처리용 버퍼 1에, 모든 i에 관한 [αi]max(V) × Mi의 총합을 별도의 중간처리용 버퍼 2에, 모든 i에 관한 Mi의 총합을 보관한다.In steps 28-05, the total of [α i ] max (V) × M i for all i in the intermediate buffer 1 is added to the other intermediate buffer 2, and the total of M i for all i. Keep it.

스텝(28-06)에서는, 버퍼1/버퍼2 〉 Cαtrain이 성립하는 동안, 이하의 스텝(28-07)∼(28-09)을 반복한다.Step (28-06), the buffer 1 / the buffer 2> C during αtrain is established, and repeats the steps (28-07) - (28-09) below.

스텝(28-07)에서는, 각 i에 관한 Cαi를 비교하여, Cαi의 최대값과 그 때의 i를 선택한다.In steps 28-07, C alpha i for each i is compared to select the maximum value of C alpha i and i at that time.

스텝(28-08)에서는, 버퍼1로부터 △α × Mi를 감산한다. △α는 Cαi에 관한 미소변화량(규정값)이다.In step (28-08), and subtracting from the buffer 1 △ α × M i. Δα is a small change amount (regulatory value) related to C αi.

스텝(28-09)에서는, Cαi에서 △α를 감산한다.In step (28-09), it subtracts the △ α in C αi.

스텝(28-10)에서는, 이상의 처리를 통합으로서, 열차제어지령 Cαtrain, 현재주행속도 V에 대응한 각 차량 편성 i용 개별편성 제어지령으로서, Cαi를 설정한다.In step 28-10, by combining the above processes, C alpha i is set as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for each car train i corresponding to the train control command C alpha train and the current traveling speed V. FIG.

이때, 도 28은 역행제어만에 관해서 취급하고 있지만, 브레이크 제어에 관해서는 동일 도면의 Cαtrain을 Cβtrain, Cαi를 Cβi, [αi]max(V)를 [βi]max(V), △α를 △β로 바꾸는 것만으로, 완전히 동일한 설명이 성립한다.At this time, 28 is a can of the figure C αtrain comes to handling, but the braking control with respect to only powering control C βtrain, C αi for C βi, [α i] max (V) an [β i] max (V The same explanation holds true only by changing Δα to Δβ.

도 29a 및 도 29b는 이상에 기재된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처리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개별편성 제어지령과, 원래의 열차제어지령과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이때, 동일 도면에서는, 열차는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의 병합에 의해서 성립한다.29A and 29B conceptually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obtained from the processing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original train control command. At this time, in the same figure, a train is established by merging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FIG.

도 29a에서, 막대 그래프(29-01)는, 열차제어지령 Cαtrain으로서, 중량 대 인장력의 값 α1이 주어진 것을 나타낸다.In FIG. 29A, the bar graph 29-01 shows that the train control command C αtrain is given the value α1 of weight versus tensile force.

막대 그래프(29-02)는, 상기한 Cαtrain에 대응한 차량 편성 A용 개별편성 제어 지령으로서, CαA가 생성된 것을 나타낸다. CαA는 중량 대 인장력의 값 α1을 갖고, 이것은 Cαtrain과 동일하다.The bar graph 29-02 indicates that C αA is generated as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for the vehicle formation A corresponding to the above C α train. C αA has a value α 1 of weight versus tensile force, which is equivalent to C αtrain .

막대 그래프(29-03)는, 상기한 Cαtrain에 대응한 차량 편성 B용 개별편성 제어지령으로서, CαB가 생성된 것을 나타낸다. CαB는 중량 대 인장력의 값 α1을 갖고, 이것은 Cαtrain과 동일하다.The bar graphs 29-03 show that C αB is generated as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for the vehicle formation B corresponding to C α train described above. C αB has a value α 1 of weight versus tensile force, which is equivalent to C αtrain .

막대 그래프(29-O1)부터 (29-03)와 같이, Cαtrain의 입력에 대하여 CαA, CαB가 각각 Cαtrain과 같은 값으로 설정된 것은, 단독의 차량 편성 A 및 차량 편성 B에 각각 CαA및 CαB를 지령한 때에 나타나는 가속도가, 그대로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의 병합운전시의 가감속도가 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병합운전시에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의 사이에 아무런 응력이 존재하지 않고, 최적의 구동상태의 실현을 나타낸다.Bar, such as from a graph (29-O1) (29-03) , C is the αtrain C αA, αB C with respect to the input of the set to be the same as the C αtrain respectively, C on each of the vehicle alone and the vehicle combination A combination B It shows that the acceleration which appears when commanding ( alpha) A and C ( alpha) B becomes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at the time of combined driving of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as it is.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no stress between the vehicle formation A and the vehicle formation B at the time of merge driving, and the realization of an optimal driving state is achieved.

한편, 도 29b에서 막대 그래프(29-O4)는, 열차제어지령 Cαtrain으로서 중량 대 인장력의 값 α2가 주어진 것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bar graph 29-O4 in Fig. 29B shows that the weight? Tensile value? 2 is given as the train control command C ? Train.

막대 그래프(29-05)는, 상기 막대 그래프(29-04)의 Cαtrain에 대응한 차량 편성 A용 개별편성 제어지령으로서, CαA가 생성된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CαA는 α2에 미치지 않고, 차량 편성 A의 현재주행속도 V에서의 중량 대 인장력의 최대값인 개별 역행 성능[αA]max(V)의 값이 충당되어 있다. 이것은, 차량 편성 A의 역행성능이 열차내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Cαtrain의 값 α2가 αA, max(V)를 초과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요컨대, 도 28의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 생성처리에서, CαA는 스텝(28-04)의 처리에서 설정된 [αA]max(V)의 값으로부터 한번도 감산되지 않고서 출력되게 된다.Bar graph (29-05) is, as a vehicle control command for organizing individual knitting A corresponding to the C αtrain of the bar graph (29-04) shows that the C αA is generated. In this case, C αA can not reach the α2, the value of the individual maximum value of the tensile force of the weight for the current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V A knitted backing performance [α A] max (V) is covered. This is because the retrograde performance of the vehicle formation A was relatively low in the train, and the value α2 of the C αtrain exceeded α A, max (V). In other words, in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table generating process of Fig. 28, C αA is output without being subtracted from the value of [α A ] max (V) set in the processing of steps 28-04.

막대 그래프(29-04)는, 상기 막대 그래프(29-04)의 Cαtrain에 대응한 차량 편성 B용 개별편성 제어지령으로서, CαB가 생성된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CαB는 α2를 초과한 값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막대 그래프(29-05)에서의 CαA가 α2에 영향을 미칠 수 없기 때문에, 열차전체로서의 Cαtrain=α2의 작용을 담보하기 위해서, 최소한 필요한 만큼 높은 쪽인 CαB가 설정되었기 때문이다. 요컨대, 도 28의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 생성 처리에서, CαB는 (28-07)∼(28-09)의 처리에 있어서, CαA가 낮음을 최적으로 보충한 값으로서 출력되게 된다. 이때, CαB와 CαA의 차는, 식(10)을 성립시키도록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중량 Mi를 고려한 다음 수식에 의해서 나타낸다.Bar graph (29-04) is, as a vehicle control command for organizing individual knitting B corresponding to the C αtrain of the bar graph (29-04) shows that the C αB is created. In this case, C αB is a value in excess of the α2. This, since C αA in the bar graph (29-05) that they can not affect α2, in order to ensure the full αtrain as C = α2 action of the train, is because the high jjokin C αB as required minimum set . In short,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train / individual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table shown in Fig. 28, C αB is outputted as a value that optimally compensates for the low C αA in the processes of (28-07) to (28-09). do. At this time, the difference between C αA αB and C, taking into account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Mi of each vehicle formation within the train so as to establish the equation (10) shown by the following formula:

…(14) … (14)

그래프 (29-04), (29-05) 및 (29-06)과 같이, Cαtrain의 입력에 대하여 CαA, CαB가 각각 Cαtrain과 틀린 값으로 설정된 것은, 병합운전시에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의 사이에는 응력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그 값은 최소한으로, 주어진 조건으로 최적의 운전 실현을 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As shown in the graphs (29-04), (29-05) and (29-06), C αA and C αB are set to values different from C αtrain for the input of C αtrain , respectively. It shows that a stress exists between and vehicle formation B. However, the value represents the minimum, which is intended to realize the optimum operation under the given conditions.

이때, 도 29a 및 도 29b는 역행제어만에 관해서 취급하고 있지만, 브레이크 제어에 관해서는 동일 도면의 Cαtrain을 Cβtrain, CαA를 CβA, [αA]max(V)를 [βA]max(V)로 바꾸는 것만으로, 완전히 동일한 설명이 성립한다.At this time, although the treatment with reference to Figure 29a, and only Fig. 29b is a back control, a is a a C αtrain of the figure C βtrain, C αA C βA,A] max (V) with respect to the brake control [β A] Just change to max (V), and the exact same explanation holds.

이상에 기재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에 의해서 열차제어지령 Cαtrain, 또는 Cβtrain에 대한 개별편성 제어지령 CαA, CαB, 또는 CβA, CβB가,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의 개별 주행 성능의 차를 고려하면서 최적으로 설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열차 전체의 주행 제어는 동일하더라도,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성을 배려한 개별주행제어에 의해서 상기 각 차량 편성의 역학적 부담을 최적화 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by generating means of train control command C αtrain, or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for C βtrain C αA, C αB, or C βA, C βB the vehicle knitting A with vehicle It can be seen that the optimum setting is made while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ividual running performances of the knitting B. That is, even if the driving control of the entire train is the same,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makes it possible to optimize the dynamic burden of each vehicle formation by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considering the individuality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

이때, 열차가 단일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이상에서 설명한 처리를 그대로 답습함으로써, 개별편성 제어지령에 열차제어지령의 내용을 그대로 설정한다.At this time, in the case where the train consists of a single vehicle combinatio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of this embodiment follows the processing described above as it is, thereby setting the contents of the train control command i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as it is.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적응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generate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adapted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knitting in the train.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역행제어, 브레이크 제어에 관한 제어지령이나, 역행 성능, 브레이크 성능에 관해서, 각각 중량 대 인장력, 중량 대 브레이크 힘을,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처리에서 취급하는 값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실장으로서, 역행제어, 브레이크 제어에 관한 제어지령, 또는, 역행성능, 브레이크 성능에 관해서, 각각 인장력, 브레이크 힘의 값을 그대로 취급하는 (중량에 대응하지 않음)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처리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역행제어, 브레이크 제어에 관한 제어지령이나, 역행 성능, 브레이크 성능에 관해서, 각각 중량 대 인장력, 중량 대 브레이크 힘을 사용하고 있는 소정 부분을, 각각 인장력, 브레이크 힘으로 성립하도록 표현의 방식을 바꾼 것이 된다. 즉,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 생성처리에 관해서 예시하면, 도 28의 스텝(28-01)의 열차제어지령(중량 대 인장력) Cαtrain대신에 열차제어지령(인장력) Ttrain, 스텝(28-03)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중량 대 인장력)αi, max(V) 대신에 개별 편성 역행 성능(인장력) [Ti]max(V), 스텝(28-04)의 [αi]max(V) 대신에 Ti,max(V)/Mi, 스텝(28-05)의 [αi]max(V) × Mi 대신에 [Ti]max(V), 스텝(28-06)의 Cαtrain대신에 Ttrain/버퍼2, 스텝(28-10)의 Cαi대신에 Cαi× Mi로 함으로써, 인장력에 의한 취급에 대응한 처리를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command for the retrograde control and the brake control, the retrograde performance and the brake performance, respectively, are regarded as values to be handled in the processing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Doing. However, as a separate implementation, a case may be considered in which control values related to backing control and brake control, or the values of the tensile force and the brake force are handled as they are (does not correspond to the weight), respectively, regarding the backing performance and the brake performance. . In this case, the processing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uses, in this embodiment, control commands related to power control and brake control, and weight / tension force and weight / brake force,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powering performance and brake performance. The way of expression is changed so that a certain part which is existing by tension force and brake force, respectively. That is, the train / individual control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table generation processing is exemplified. The train control command (tension force) T train , step instead of the train control command (weight versus tensile force) C αtrain in step 28-01 of FIG. 28 is illustrated.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 (weight versus tensile force) α i of (28-03), instead of max (V)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 (tensile force) [T i ] max (V), [α i of step (28-04) ] max (V) in place of T i, max (V) / M i, [α i] max (V) × Mi instead of the [T i] max (V) , the step (step 28 in (28-05) by a C in place of 06 αtrain) train T / buffer 2, C αi × M i, instead of C αi of the step (28-10), can be the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handle by a tensile force.

이상의 설명을 정리한다.The above explanation is summarized.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의 주행을 제어하는 열차제어시스템은, 열차 전체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지령을 결정하는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 편성에 장비되어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개별의 주행을 제어하는 각각의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이 서로 행하는 정보교환을 중개하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running of a train includes a train control device for determin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and a train control system for configuring the trains. It is interposed between each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which controls an individual run, and between the said train control apparatus and each said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and mediates the information exchange which the said train control apparatus and each said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perform mutually. It consists of a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은, 상기 각 차량 편성에 관해서 인접한 다른 차량 편성끼리를 역학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차량 편성사이의 정보전송을 맡은 편성간 연결장치와,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열차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고, 또한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 직접 또는 상기 편성간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개별 주행 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로 구성된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grouping general control system is a system for connecting trains between the trains in which information is transmitted between the trains by dynamically combining other vehicle group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hicle grouping, and the train control. A train that exchanges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with a device, and also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configuration directly or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between the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systems. It consists of a generalized collective connection devic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는,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이 서로 행하는 정보교환을 중개하여, 교환되는 정보에 대하여 상호변환조작을 실시한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mediates the information exchange performed by the train control device and each of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s, and performs mutual conversion operation on the information exchang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는, 상기 열차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열차제어지령을 받고, 상기 열차 제어지령에 대응하여 상기 각 차량 편성의 주행을 개별로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출력하는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을 갖는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receives a train control command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train, and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response to the train control command.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for outputting each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상기 열차 제어지령에 대응한 상기 각 개별편성 제어지령에 관해서, 상기 각 개별편성 제어지령이 가져오는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구동상태가, 상기 각 차량 편성끼리 서로 작용하는 응력부담이 적은 주행을 실현하도록, 상기 각 차량 편성의 주행 성능의 차이를 고려하여 결정된 제어지령을 출력한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instruction generating means includes a driving state of each of the vehicle formations brought by each individual knitting control instruction with respect to each individual knitting control instruction corresponding to the train control command, The control command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in the runn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combination is outputted so as to realize the driving with less stress burden which interacts with each vehicle combination.

이상에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 적은 효과에 추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In the present Example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effect little to Example 1, it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실시예와 같이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을 구비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를 가짐에 따라 열차 전체의 주행에 착안한 열차 제어지령에 의한 일괄주행제어를, 상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주행 성능의 차이에 적응하여,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각각에 관해서 설정된 개별주행제어의 집적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차제어지령이 지시한 열차전체의 주행상태에 관해서, 각 차량 편성에 대하여 각각 상기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반영한 최적의 구동상태를 실현시킬 수 있다.In the train grouping general control system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running control system which is trained by the train control command which focuses on the running of the whole train by having the train group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provided with the individual group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is carried out. It is possible to adapt to the difference in the runn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combination in the vehicle, and to implement as the integration of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set for each of the vehicle combinations. As a result, with regard to the driving state of the entire train instructed by the train control command,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optimum driving state reflecting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for each vehicle formation.

또한, 최적화의 내용으로서, 열차제어지령에 대한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용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상기 각 차량 편성끼리 서로 작용하는 응력부담이 최소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것은, 열차내의 인접 차량 편성을 역학적으로 결합하는 편성간 연결장치로의 응력부담을 경감하여, 상기 편성간 연결장치의 장기 수명화 및 보수작업의 힘을 더는데에 공헌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contents of the optimizatio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s for organizing the vehicle in the train with respect to the train control command can be set so that the stress burdens interacting with each of the vehicle pieces are minimized. This can alleviate the stress burden on the inter-knit connecting device that dynamically couples adjacent vehicle trains in the train, and contribute to prolonging the life of the inter-knit connecting device and the power of maintenance work.

(실시예 5)(Example 5)

상기한 실시예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에 포함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실시예 4에서 서술하였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을 구비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를 가짐에 따라 열차의 주행을 일괄하여 제어하기 위한 열차제어지령에 대하여, 상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사이의 응력부담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각 차량 편성의 주행을 개별로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상기 각 차량 편성의 주행 성능의 차이를 고려하면서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분할·병합에 의해서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가 변화되더라도, 상기 열차의 주행제어에 관해서, 상기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반영한 주행제어의 최적화를 꾀할 수 있는 것을 서술하였다.In Example 4 described above, in the train grouping general control system included in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in group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having the individual group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described in Example 4 has a train Regarding the train control command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vehicle, the respectiv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s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each vehicle combination are controlled such that the stress burden between each vehicle combination in the train is minimized. It was possible to set while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formation. Accordingly, it has been described that even if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is changed by the division and merging,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travel control reflecting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relation to the travel control of the train.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4의 경우와 유사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이지만, 열차제어지령과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노치에 의해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similar to the case of the fourth embodiment is described, but a method of designating the train control command and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by the notch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에 포함되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관해서, 그 장치나 처리수단의 구성은, 실시예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train combination control system included in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and the processing means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가 구비하는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에 관해서, 그 내부의 처리수단인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의 처리를 다시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cess of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which is an internal processing means,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included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먼저, 본 실시예의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processing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실시예 4에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열차 전체의 주행을 제어하는 열차제어지령에 대해서, 열차전체를 구성하는 차량 편성은 모두 같은 가속도(역행제어시),감속도(브레이크 제어시)의 주행을 실현하면서도,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구동장치가 발생시키는 각 구동력의 관계를 조정함으로써, 각 차량 편성사이의 편성간 연결장치에 대한 응력부담을 감소한다고 하는, 구동상태의 최적화를 꾀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As in the descrip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train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the vehicle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entire train realizes the same acceleration (at the time of power control) and reduction (at the time of brake control).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ing forces generated by the individual formation driving devices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it can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driving state, which reduces the stress burden on the connection device between the vehicle formations. Can be.

상기한 내용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이 행하는 처리를,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In view of the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is defined as follows.

우선,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의 역행제어에 관한 처리의 개념을 수식으로 나타낸다. 또, 브레이크 제어에 관한 처리는, 역행제어에 관한 변수를 그대로 브레이크 제어에 관한 변수로 바꾸는 것만으로, 완전히 같은 설명이 성립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브레이크 제어의 경우에 관한 개별적인 기술을 할애한다.First, the concept of a process relating to the retrograde control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ed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is expressed by a formula. Incidentally, in the processing related to the brake control, the same explanation holds true only by changing the variable related to the retrograde control to the variable related to the brake control as it is. Therefore, in the following, individual description regarding the case of brake control is devoted.

열차제어지령을, 역행제어에 관해서 열차로서의 역행 노치를 나타낸 n train으로 나타낸다. 또한, 열차를 구성하는 차량 편성 i(i= A, B, …(열차내의 전체 차량 편성을 망라))에 관해서, 차량 편성 i용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역행제어에 관해서 차량 편성 i에서의 역행 노치를 나타낸 ni로 나타낸다.The train control command is denoted by n train indicating a notch on the reverse side as the train with respect to the reverse control. Further, regarding the vehicle formation i constituting the train (i = A, B, ... (covers all the vehicle formations in the trai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for the vehicle formation i is returned in the vehicle formation i with respect to the retrograde control. It is represented by ni which represents the notch.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역행제어에 관한 열차의 주행 성능(열차 역행 성능)을, 가정주행속도 V, 열차제어지령 ntrain에 대한 열차전체에 관한 중량 대 인장력으로 나타낸 것으로 하여, αtrain, ntrain(V)으로 나타낸다. 또한, 열차내의 차량 편성 i(i= A, B, …(열차내의 전체 차량 편성을 망라))에 관해서, 역행제어에 관한 각각 개별의 차량편성의 주행 성능(개별 편성 역행 성능)을, 가정주행속도 V, 개별편성 제어지령 n i에 대한 차량 편성 i에 관한 중량 대 인장력으로 나타낸 것으로 하여, αi, ni(V)로 나타낸다. 또한, 차량 편성 i의 중량(개별 편성 중량)을 Mi로 나타낸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α train , n is assumed as the running performance (train driving performance) of the train related to the power control is expressed by the weight of the whole train relative to the home driving speed V and the train control command n train . Expressed by train (V).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vehicle formation i (i = A, B, ... (total vehicle combination in the train)) in the train, the driving performance (individual formation retrograde performance) of each individual vehicle formation regarding the power control is performed. The weight V and the tensile force related to the vehicle knitting i with respect to the speed V and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ni are expressed by α i and n i (V). In addition, the weight (individual knitting weight) of the vehicle knitting i is represented by M i .

열차제어지령 ntrain과, 차량 편성 i용 개별편성 제어지령 ni와의 관계는, 다음 수식에 의해서 나타낸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 control command n train and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n i for the vehicle train i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역행제어에 관해서)…(15) (About retrograde control) (15)

상기한 우변의 ∑( )는, 괄호내의 수식 또는 수치를 i가 가능한 경우에 관해서 총합한 것을 나타낸다.The above-mentioned Σ () on the right side indicates that the formula or numerical value in the parentheses is summed in the case where i is possible.

상기한 식은, 구해야 되는 개별편성 제어지령 n i의 각각에 관해서, 그 개별 편성 역행 성능 αi, ni(V)과 열차제어지령 ntrain과의 사이에 개별 편성 중량 Mi에 관한 무게 첨부 평균의 관계를 규정하는 하나의 제약조건에 불과하다. 그래서, 개별편성 제어지령 n i와 그 최대값(최고 노치에 상당) Ni와의 관계를, 별도의 제약조건으로서 다음 수식에 나타낸다.The above equation is for each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s ni to be obtained, and the weighted average of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s M i between the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s α i , n i (V) and the train control command n train . It is just one constraint that defines a relationship.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ni and its maximum value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notch) Ni i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as another constraint.

n i≤ Ni(역행제어에 관해서)…(16)n i ≤ Ni (about power control)... (16)

이상의 제약조건에 따라,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의 처리를, 다음 명제로 나타낸다.In accordance with the above constraints, the processing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is shown by the following proposition.

다음을 최소화해라 : max(αi, ni(V))-min(αi, ni(V))(역행제어에 관해서)…(17)Minimize: max (α i , n i (V))-min (α i , n i (V)) (with respect to retrograde control). (17)

상기한 min( ) 및 max( )는, 괄호내의 수식 또는 수치에 관해서, 그 i가 가능한 경우에 관한 최소값 및 최대값을 나타낸다. 즉, 상기에서는 역행제어에 관해서,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 i용 n i에 관해서, 그 모든 i의 중에서 αi, ni(V)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최소가 되도록, 각 n i의 조합을 설정해야 할 것을 나타낸다.The above min () and max () represent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for the case where the i is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formula or numerical value in parentheses. That is, in the above, with respect to the retrograde control, the combination of each ni is set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α i , n i (V) is the minimum among all of i for ni for each vehicle combination i in the train. Indicates what to do

도 30은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의 역행제어에 관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30 shows the flow of processing relating to the retrograde control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스텝(30-01)에서는, 열차제어지령 n train을 받는다.In step 30-01, a train control command n train is received.

스텝(30-02)에서는, 현재주행속도 V를 받는다.In step 30-02, the current traveling speed V is received.

스텝(30-03)에서는,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을 받는다.In step 30-03, a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is received.

스텝(30-04)에서는,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에 대하여, n train과 V를 조회하여, 대응한 개별편성 제어지령 n i(i= A, B, …(열차내의 전체 차량 편성을 망라))를 추출한다.In step 30-04, n train and V are queried for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and the corresponding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s ni (i = A, B, ... (combines the entire vehicle in the train). Cover)).

스텝(30-05)에서는, 모든 차량 편성 i에 관한 개별편성 제어지령 n i를 집적한 전체 편성 제어지령을 출력한다.In steps 30-05, the entire knitting control command in which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s n i for all the vehicle knitting i are integrated is output.

도 31은 도 30의 처리에서 사용한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1의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은 역행제어에 관한 것으로, 열차제어지령 n train과 현재주행속도 V를 인수로 하고, 인수의 각 조합에 대응한 개별편성 제어지령 n i의 각 값을 수납하고 있다. 이때, 브레이크 제어에 관한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도, 도 31과 같은 구조이다.FIG. 31 shows an example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used in the processing in FIG.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shown in FIG. 31 relates to the reverse control. The train control command n train and the current traveling speed V are used as arguments, and each value of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ni corresponding to each combination of the arguments is determined. I receive it. At this time,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concerning brake control is also the same structure as FIG.

도 30의 처리는, 열차의 주행이 한창일 때에 실시간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 이 도면에 의하면,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의 기능실현의 근간을 맡은 것은,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에 나타낸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정보를 운전의 개시에 앞서서 생성 완료로 하고, 주행중에서의 처리는 단순한 정보 참조만으로 함으로써, 실시간 제어에서의 처리부하의 감소를 꾀하고 있다.The processing in FIG. 30 is assumed to be performed in real time when the running of the train is in full swing. According to this figure, the basis of the realization of the function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ed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is the information shown in the train / individual combined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is information is generated before the start of driving, and the processing during running is merely a reference of information, thereby reducing the processing load in real time control.

도 32는 도 30의 처리에서 사용한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의 내용정보 생성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전술한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의 처리의 개념은, 본 실시예의 경우, 이 생성처리에 활용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이 처리를 실시하는 처리수단의 소재에 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다.FIG. 32 shows the flow of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processing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used in the process of FIG. The concept of the process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described above is utilized for this generation proces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in this Example, the raw material of the processing means which performs this process is not specifically mentioned.

스텝(32-01)에서는, 열차제어지령 n train을 설정한다.In step 32-01, the train control command n train is set.

스텝(32-02)에서는, 현재주행속도 V를 설정한다.In step 32-02, the current traveling speed V is set.

스텝(32-03)에서는, 열차에 관해서, n train과 V에 대한 열차 역행 성능(중량 대 인장력) αtrain, ntrain(V)을 취득한다.In step 32-03, train reverse performance (weight vs. tensile force) α train and n train (V) for n train and V are obtained.

스텝(32-04)에서는, 모든 i에 관해서, 개별편성 제어지령의 모든 가능한 경우 n i와 V에 대한 개별 편성 역행 성능(중량 대 인장력) αi, ni(V)와, 개별 편성 중량 Mi를 취득한다.In steps 32-04, for every i, the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 (weight versus tensile force) α i , n i (V) and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Mi for all possible ni and V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s Acquire.

스텝(32-05)에서는, 열차내의 모든 차량 편성 i에 관해서, 그 개별편성 제어지령 최대값 Ni를 취득한다.In steps 32-05,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maximum value Ni is acquired with respect to all the vehicle formations i in a train.

스텝(32-O6)에서는, 모든 i에 관해서, 변수 n i에 Ni의 값을 설정한다.In step 32-O6, the value of Ni is set to the variable n i with respect to all i.

스텝(32-07)에서는, 중간처리용 버퍼1에 모든 i에 관한 αi, Ni(V)× Mi의 총합을, 별도의 중간처리용 버퍼2에 모든 i에 관한 Mi의 총합을 격납한다.In steps 32-07, the sum of α i and N i (V) × M i for all i in the intermediate processing buffer 1 is added, and the sum of M i for all i in the other intermediate processing buffer 2 is added. To be stored.

스텝(32-08)에서는, 버퍼1/버퍼2 〉 αtrain, ntrain(V)이 성립하는 동안, 이하의 스텝(32-09)∼(32-11)를 반복한다.In steps 32-08, the following steps 32-09 to 32-11 are repeated while the buffer 1 / buffer 2 > alpha train and n train (V) are established.

스텝(32-09)에서는, 각 i에 관한 αi, ni(V)을 비교하여, αi, ni(V)의 최대값과 그 때의 i를 선택한다.In steps 32-09, alpha i and n i (V) for each i are compared, and the maximum value of alpha i and n i (V) and i at that time are selected.

스텝(32-10)에서는, 버퍼1으로부터 αi, ni(V) × Mi를 감산하고, αi, ni-1(V) × Mi를 가산한다.In step 32-10, alpha i , n i (V) x M i is subtracted from the buffer 1, and alpha i , n i-1 (V) x M i is added.

스텝(32-11)에서는, n i에서 1을 감산한다.In step 32-11, 1 is subtracted from n i.

스텝(32-12)에서는, 이상의 처리를 통합하여서, 열차제어지령 n train, 현재주행 속도 V에 대응한 각 차량 편성 i용 개별편성 제어지령으로서, n i를 설정한다.In step 32-12, the above process is integrated and n i is set as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for each vehicle formation i corresponding to the train control command n train and the current traveling speed V. FIG.

도 33a 및 도 33b는, 이상에 적은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처리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개별편성 제어지령과, 원래의 열차제어지령과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이때의 도면에서는, 열차는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의 병합상태로 이루어진다.33A and 33B conceptually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obtained from the processing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original train control command. In the figure at this time, the train is in a merged state of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FIG.

도 33에서는, 열차제어지령 n train으로서, 9를 설정하고 있다. 또한, 현재주행속도를 V로 나타낸다.In Fig. 33, 9 is set as the train control command n train. In addition, the current running speed is represented by V. FIG.

곡선(33-11)은, 차량 편성 A용 개별편성 제어지령 n A가 8인 경우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곡선(33-12)은, n A가 9인 경우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곡선(33-13)은, n A가 1O인 경우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을, 각각 중량 대 인장력 대주행속도평면에 나타낸다.Curve 33-11 shows the individual knitting backing performance whe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n A for vehicle formation A is 8, and curve 33-12 shows the individual knitting backing performance and the curve (when n A is 9). 33-13) show the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s when n A is 10, respectively, in the weight versus tensile force versus traveling speed plane.

곡선(33-21)은, 차량 편성 B용 개별편성 제어지령 n B가 8인 경우의 개별·편성 역행 성능, 곡선(33-22)은, n B가 9인 경우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곡선(33-23)은, n B가 10인 경우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을, 각각 중량 대 인장력 대주행속도평면에 나타낸다.The curves 33-21 are the individual knitting configuration performance whe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n B for vehicle formation B is 8, and the curves 33-22 are the individual knitting backward performance and curve when n B is 9. (33-23) shows the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 when nB is 10 in the weight versus tensile force versus traveling speed plane, respectively.

곡선(33-11)∼(33-13)과, 곡선(33-21)∼(33-23)에서는, n train= 9의 값이 그대로 n A와 n B로 설정된 경우에, 차량 편성 A 및 차량 편성 B에서 출력되는 중량 대 인장력의 특성을, 각각 곡선(33-12) 및 곡선(33-22)의 실선으로 나타낸다. 주행속도가 V인 경우에, 곡선(33-12)에 관한 값 αA, 9(V)와, 곡선(33-22)에 관한 값 αB, 9(V)를 비교하면, 양자에게는 수할에도 미치는 차(33-31)가 존재한다. 이 차는,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의 사이에 편성간 응력이 생기는 것을 나타내고, 편성간 연결장치를 파손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In the curves 33-11 to 33-13 and the curves 33-21 to 33-23, when the value of n train = 9 is set as n A and n B as it is, the vehicle formation 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ight versus tensile force output from the vehicle formation B are shown by the solid line of the curve 33-12 and the curve 33-22, respectively. When the traveling speed is V, the values αA and 9 (V) related to the curve 33-12 and the values αB and 9 (V) related to the curve 33-22 are compared to each other. (33-31) exists. This difference indicates that the inter-knit stress is generated between the vehicle knitting A and the vehicle knitting B, resulting in a breakage of the coupling device between the knitting.

한편, 곡선(33-14)은, 차량 편성 A용 개별편성 제어지령 n A가 8인 경우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곡선(33-15)은, n A가 9인 경우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곡선(33-16)은, n A가 1O인 경우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을, 각각 중량 대 인장력 대주행속도평면에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curve 33-14 shows the individual knitting backing performance whe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n A for vehicle formation A is 8, and the curve 33-15 shows the individual knitting backing performance when the n A is 9, Curves 33-16 show the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s when n A is 10, respectively, in weight versus tensile force versus traveling speed plane.

마찬가지로, 곡선(33-24)은, 차량 편성 B용 개별편성 제어지령 n B가 8인 경우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곡선(33-25)은, n B가 9인 경우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 곡선(33-26)은, n B가 10인 경우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을, 각각 중량 대 인장력 대주행속도평면에 나타낸다.Similarly, the curves 33-24 show the individual knitting backing performance whe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n B for vehicle formation B is 8, and the curves 33-25 show the individual knitting backing performance when n B is 9, Curves 33-26 show the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 when n B is 10, respectively, in the weight versus tensile force versus traveling speed plane.

곡선(33-14)∼(33-16)와, 곡선(33-24)∼(33-26)에서는, n train= 9인 값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처리를 적용한 결과, n A= 10과 n B= 9가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 차량 편성 A, 차량 편성 B에서 출력되는 중량 대 인 장력의 특성을, 각각 곡선(33-16), 곡선(33-24)의 실선으로 나타낸다. 주행속도가 V인 경우에, 곡선(33-16)에 관한 값 αA, 10(V)과, 곡선(33-24)에 관한 값αB, 8(V)을 비교하면, 양자의 차(33-32)는 0이다. 즉, 이 경우에서는, 차량 편성 A와 차량 편성 B의 사이의 편성간 응력, 요컨대 편성간 연결장치에 대한 응력부담은 존재하지 않는다.In the curves 33-14 to 33-16 and the curves 33-24 to 33-26, the processing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of this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value of n train = 9. As a result, n A = 10 and n B = 9 are set. In this ca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ight versus tension output from the vehicle formation A and vehicle formation B are shown by the solid lines of the curves 33-16 and 33-24, respectively. When the traveling speed is V, the values α A and 10 (V) relating to the curve 33-16 and the values α B and 8 (V) relating to the curve 33-24 are compar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 33-32) is zero. That is, in this case, there is no stress between the knitting between the vehicle knitting A and the vehicle knitting B, that is, the stress burden on the connecting device between the knitting.

상기에서, 열차제어지령 n train= 9를 그대로 개별편성 제어지령 n A, n B로 설정한 경우는, 종래기술에 의한 병합운전으로 하는 총괄제어가 일반적인 사례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에 의해서, ntrain= 9를 n A=10 및 n B= 8로 정보 변환한 경우에서는, 열차 전체의 주행에 착안하면, 열차제어지령으로서는 종래기술의 경우와 같은 정보를 주고 있고, 또한 열차의 주행에 나타나는 가속도도 같아진다.In the above, when the train control command n train = 9 is set to the individual coordinate control commands n A and n B as it is, the general control for the combine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common exampl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information conversion of ntrain = 9 to n A = 10 and n B = 8 by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of this embodiment, focusing on traveling of the entire train, the conventional train control command is the case of the prior art. It gives the same information, and also the acceleration that appears in the train's driving is the same.

그러나, 열차내의 개개의 차량 편성에 착안하면, 주행 성능이 다른 차량편성에 관해서 항상 같은 노치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주는 경우와, 상기 주행 성능의 차를 고려하여 따로따로의 노치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주는 경우에서는, 각 차량 편성에 작용하는 힘의 분포가 다르다. 즉, 열차 전체의 주행 제어는 동일하더라도,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성을 배려한 개별주행제어를 하는지 아닌지에, 상기 각 차량 편성에 대한 역학적 부담은 크게 변화된다.However, when focusing on individual vehicle formation in a trai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of a notch separately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the driving performance and the case where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of the same notch is always given regarding the vehicle formation with a different driving performance. In this case, the distribution of the force acting on each vehicle pair is different. In other words, even if the driving control of the entire train is the same, the dynamic burden on each vehicle combination is greatly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individual driving control considering individuality of each vehicle combination in the train is performed.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열차제어지령으로서 주어지는 단일 값의 노치로부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에 관해서 개별편성 제어지령으로서 다시 개별로 노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차량 편성개별의 노치의 결정방법을 도 32에 나타내었던 것 같은 처리로 함으로써, 상기 각 차량 편성의 역학적 부담에 대하여 해당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른 최적화를 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allows the notch of a single value given as a train control command to be individually set again as a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for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and further notches for individual vehicle formations. By making the determination method as shown in FIG. 32,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mechanical burden of each vehicle 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said train.

이때, 열차가 단일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이상에서 설명한 처리를 그대로 답습함으로써, 개별편성 제어지령에 열차제어지령의 내용을 그대로 설정한다.At this time, in the case where the train consists of a single vehicle combinatio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of this embodiment follows the processing described above as it is, thereby setting the contents of the train control command i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as it is.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적절히 대응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generate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appropriately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knitting in the train.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역행 성능, 브레이크 성능에 관해서, 각각 중량 대 인장력, 중량 대 브레이크 힘을,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처리에서 취급한 값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실장으로서, 역행 성능 및 브레이크 성능에, 각각 인장력 및 브레이크 힘의 값을 그대로 취급하는 (중량에 대응하지 않음)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처리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역행 성능, 브레이크 성능에 각각 중량 대 인장력 및 중량 대 브레이크 힘을 사용하고 있는 소정 부분을, 각각 인장력 및 브레이크 힘으로 성립하도록 표현의 방식을 바꾼 것이 된다. 즉,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 생성처리에 관해서 예시하면, 도 32의 스텝(32-03)의 열차 역행 성능(중량 대 인장력) αtrain, ntrain(V) 대신에 열차 역행 성능(인장력) Ttrain, ntrain(V), 스텝(32-04)의 개별 편성 역행 성능(중량 대 인장력) αi, ni(V) 대신에 개별 편성 역행 성능 Ti, ni(V), 스텝(32-07)의 αi, Ni(V)× Mi대신에 Ti, Ni(V), 스텝(32-08)의 αtrain, ntrain(V) 대신에 Ttrain, ntrain(V)/버퍼2, 스텝(32-09)의 αi, ni(V) 대신에 Ti, ni(V)/Mi, 스텝(32-1O)의 αi, ni(V) × Mi와 αi, ni-1(V) × Mi대신에 각각 Ti, ni(V)와 Ti, ni-1(V)로 함으로써, 인장력에 의한 취급에 대응한 처리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eight-to-tensile force and the weight-to-brake force are regarded as values handled in the processing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respectively, regarding the retrograde performance and the brake performance. However, as another implementation, the case where the value of the tensile force and the brake force are handled as they are (as opposed to the weight) is applied to the retrograde performance and the brake performance,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processing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is such that in this embodiment, a predetermined portion using weight vs. tension force and weight vs. brake force, respectively, for the retrograde performance and the brake performance is established by the tensile force and the brake force, respectively. It is a change of the way of expression. That is, the train backing performance (weight vs. tensile force) α train , n train (V) instead of the train backing performance (step vs. 32-03) of FIG. tension) T train, train n (V), the individual knitting backing performance of step (32-04) (by weight versus tensile force) α i, n i (V) in place of the individual knitting backing performance T i, n i (V) , T i , N i (V) instead of α i , N i (V) × M i in steps 32-07, T train , n instead of α train , n train (V) in steps 32-08 train (V) / buffer 2, instead of α i , n i (V) in steps 32-09, T i , n i (V) / M i , α i , n i in steps 32-1O ( V) × M i and α i , n i-1 (V) × M i, instead of T i , n i (V) and T i , n i-1 (V), respectively, for handling by tension It can be done with one treatment.

이상에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열차제어시스템의 실시예 4에 적은 효과에 추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effects less than those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train control system having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즉, 실시예 4의 효과를, 노치를 실장한 차량 편성으로 구성된 열차의 주행제어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가져올 수 있다.That is, the effect of Example 4 can be similarly brought about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control of the train comprised by the vehicle formation which mounted the notch.

(실시예 6)(Example 6)

전술한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이 구비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에서 서술하였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을 구비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를 가짐에 따라, 열차의 주행을 일괄해서 제어하기 위한 열차제어지령에 대하여, 상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사이의 응력 부담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각 차량 편성의 주행을 개별로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상기 각 차량 편성의 주행 성능의 차이를 고려하면서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분할·병합에 의해서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가 변화되더라도, 상기 열차의 주행제어에 관해서, 상기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를 반영한 주행제어의 최적화를 꾀할 수 있는 것을 서술하였다.In Embodiment 4 or Embodiment 5 described above, in the train-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provided in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in formation comprising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described in Embodiment 4 or Embodiment 5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onnection device, the train control command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train is performed so as to individually control the running of each vehicle combination so that the stress burden between each vehicle combination in the train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set each individual knitting control instruction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 in running performance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vehicle combinations. Accordingly, it has been described that even if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is changed by the division and merging,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travel control reflecting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relation to the travel control of the train.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의 경우와 유사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이지만,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에서 설명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에 관계하여,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내부에 열차제어지령에 대응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거둔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의 생성수단을 구비한 경우를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similar to the case of Example 4 or Example 5 is carried out, in relation to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described in Embodiment 4 or Embodiment 5, the inside of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is made. The case where the generation means of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which received the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rain control command is provided in the following.

또한, 이상의 처리수단의 추가에 따라, 본 실시예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가 구비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열차 제어지령 등록수단으로부터 열차제어지령을, 주행상태 등록수단으로부터 주행속도정보를, 주계 편성 등록수단으로부터 주계 편성 정보를, 열차 편성 총괄 성능 등록수단으로부터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전체 편성 성능 등록수단으로부터 전체 편성 성능정보를 받는다. 상기한 입력정보에 따라서, 열차를 구성한 각 차량 편성의 개별주행제어를 위한 각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열차내의 전체 차량 편성에 관해서 집적하여 전체 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하여,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에 대하여 출력한다.Further, in accordance with the addition of the above processing means,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provided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of this embodiment receives train control command from the train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travel speed information from the travel state registration means, Receives main train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main train schedule registration means, train schedule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from the train schedule general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and full train schedule performance information from the overall schedule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According to the above input information,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instruction for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formation constituting the train is generated. Further,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is integrated with respect to the entire vehicle programming in the train to generate an overall knitting control command and output to the knitting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가 구비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에 관해서, 그 내부의 처리수단의 구성과 처리를 다시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and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means therein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provided in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in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도 3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내부의 구성과 정보의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다.Fig. 34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and the flow of inform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34-01)은, 주계편성 판정수단(34-02)과,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생성수단(34-03)과,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등록수단(34-04)과,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34-05)을 갖는다.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34-01 registers the main train formation determination means 34-02,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generation means 34-03, and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Means 34-04 and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34-05.

주계편성 판정수단(34-02)의 기능과 처리는,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The function and processing of the main track knitting determining unit 34-02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ourth or fifth embodiments.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생성수단(34-03)은,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34-01)의 외부로부터, 해당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34-14)와, 해당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각각의 개별 편성 성능 정보를 집적한 전체 편성 성능정보(34-15)를 받는다. 열차·개별 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생성수단(34-03)은,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34-14)와 전체 편성 성능정보(34-15)에 근거하여, 해당 열차에 대한 여러 가지 열차 제어지령과, 그 하나하나에 대응한 단수 또는 복수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의 관계를 나타낸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정보(34-16)를 생성하여, 이것을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등록수단(34-05)에 대하여 출력한다.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34-03 is train organiz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34-14 show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from the outside of the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34-01. And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34-15 in which each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in the train is accumulated. The train /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34-03 generates various train control commands for the train based on the train train generaliz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34-14 and the overall train performance information 34-15. And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34-16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ngular or plural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s corresponding to each one, and registers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34 -05).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등록수단(34-04)은,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생성수단(34-03)으로부터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34-16)를 받아서, 이것을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등록수단(34-04)이 관리하는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34-17)에 보유한다.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등록수단(34-04)은,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34-05)으로부터의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34-17)의 정보참조에 대응한다.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34-04 receives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information 34-16 from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generation means 34-03, It holds in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34-17 managed by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34-04.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34-04 is referred to the information reference of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34-17 from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nversion means 34-05. Corresponds.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34-05)의 기능과 처리는,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The functions and processes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34-05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or the fifth embodiment.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34-01)에 구비된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생성수단(34-03)이 하는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34-03 provided i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34-01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생성수단(34-03)의 처리는,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에서 설명한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의 내용정보 생성처리와 동일하다. 즉, 실시예 4의 도 28과 그 설명, 또는 실시예 5의 도 32와 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생성수단의 설명에 적합하다. 이때, 실시예 4의 도 28의 스텝(28-03), 또는 실시예 5의 도 32의 스텝(32-04), 스텝(32-05)의 각 처리로 취득하는 개별편성 제어지령 최대값 Ni, 개별 편성 역행 성능 α i, n i(V), 개별 편성 중량 Mi는, 전체 편성 성능 등록수단으로부터 받은 전체 편성 성능정보를 참조하고, 실시예 5의 도 32의 스텝(32-O3)의 처리에서 참조하는 열차 역행 성능 αtrain, ntrain(V)은, 열차 편성 총괄 성능 등록수단으로부터 받은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참조한다.The processing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generation means 34-03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process of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described in the fourth or fifth embodiments. That is, FIG. 28 of Example 4 and its description, or FIG. 32 of Example 5 and its description is suitable for description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At this time,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maximum value Ni acquired by each process of step 28-03 of FIG. 28 of Example 4, or step 32-04 and step 32-05 of FIG. ,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 α i, ni (V), and individual knitting weight Mi refer to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hole knitting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and in the processing of step 32-O3 of FIG. 32 of Example 5 For reference train reverse performance α train , n train (V), refer to the train schedule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rain schedule general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또한, 브레이크 제어에 관한 처리는, 역행제어에 관한 변수를 그대로 브레이크 제어에 관한 변수로 바꾸는 것만으로, 완전히 같은 설명이 성립한다.Incidentally, the processing related to the brake control merely changes the variable related to the retrograde control to the variable related to the brake control, and the same explanation holds true.

이때, 열차가 단일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이상에 설명된 처리를 그대로 답습함으로써, 개별편성 제어지령에 열차제어지령의 내용을 그대로 설정한다.At this time, in the case where the train is composed of a single vehicle,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of this embodiment follows the processing described above as it is, thereby setting the contents of the train control command i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as it is.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열차에 주어진 열차 제어지령으로부터,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적절히 대응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generate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appropriately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from the train control command given to the train.

또한,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그 정보처리를,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나,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보편적으로 참조하는 처리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열차가 그 열차편성 총괄 성능 정보나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성능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이면, 해당 열차가 어떠한 종류 또는 수량의 차량 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해당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적절히 대응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이 특징은, 본 실시예의 열차제어시스템을,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 열차제어시스템과 함께 실장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lly us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for individua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dividual driv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or train formation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This is referred to as processing. Accordingly,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ch that, if the train can acquire the train trai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or the car train individual performance information, the train is composed of any type or quantity of car trains. Even if it exists,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instruction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said train can be produced | generated suitably. At this time, this feature can be realized more effectively by mounting the trai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together with the train control system described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이상에서 설명된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열차제어시스템에 관해서,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에 기재한 효과에 추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or the fifth embodiment, the train control system provided with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trol system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의 효과를, 광범위한 종류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열차의 주행제어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가질 수 있다. 즉, 병합운전에 관해서, 종래기술에서는 미리 가정되어 한정된 종류의 차량 편성끼리에 관해서 가능하던 협조 제어를,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가 어떠한 종류 또는 수량의 차량 편성으로 구성된 것이어도 실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나,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보편적으로 참조하는 정보처리에 의해서,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정보를 본 열차제어시스템내에서 임기응변으로 생성 가능하게 한 것에 의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운전 계획상은 가정 외의 차량 편성끼리가 병합 운전하게 된 때에도, 병합작업의 시점에서 즉시 새로운 열차제어지령과 개별편성 제어지령의 대응관계를 인식하여, 병합상태를 적절히 반영한 주행제어에 빠르게 이행한다라고 한 특징을 실현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ffects of the fourth embodiment and the fifth embodiment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traveling control of a train composed of a wide variety of vehicle combinations. In other words, in the merged operation, cooperative control, which has been previously assumed in the prior art and is possible with respect to limited types of vehicle formations, can be realized even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train is configured with any type or quantity of vehicle format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is is perform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which generally refers to individua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showing the individual runn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and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show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personalized control command response information as temporary response in the train control system. Thus, for example, in the driving plan, even when the vehicle groups other than the home are merged and operated, the driving relationship that recognizes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new train control command and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immediately at the time of merging work and properly reflects the merged stat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feature of quickly shifting control.

(실시예 7)(Example 7)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4, 실시예 5 또는 실시예 6의 경우와 유사한 열차편성 총괄 제어시스템이지만,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에서 설명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에 관계하고, 실시예 6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의 생성수단을,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외부에 구비한 경우를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trol system similar to the case of Example 4, Example 5, or Example 6 is related to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demonstrated in Example 4 or Example 5, The case where the generation means of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is provided outside the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또한, 이상의 처리수단의 추가에 따라, 본 실시예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가 구비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열차 제어지령 등록수단으로부터 열차제어지령을, 주행상태 등록수단으로부터 주행속도정보를, 주계 편성 등록수단으로부터 주계 편성 정보를,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생성수단으로부터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정보를 받는다. 상기한 입력정보에 따라서,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 편성의 개별주행제어를 위한 각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열차내의 전체 차량 편성에 관해서 집적하여 전체 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하여,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에 대하여 출력한다.Further, in accordance with the addition of the above processing means,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provided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of this embodiment receives train control command from the train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travel speed information from the travel state registration means, The main train schedul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ain train schedule registration means, and the train / individual setup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rain /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above input information,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instruction for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formation constituting the train is generated. Further,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is integrated with respect to the entire vehicle programming in the train to generate an overall knitting control command and output to the knitting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가 구비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에 관해서, 그 관련된 처리수단의 구성과 처리를 다시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irst, the configuration and processing of the associated processing means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included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i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도 3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내부 구성과 정보의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다.35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and the flow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35-01)은, 주계편성 판정수단(35-02)과,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등록수단(35-04)과,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35-05)을 갖는다.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35-01 includes main station formation determination means 35-02, train and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35-04, and train and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conversion means ( 35-05).

주계편성 판정수단(35-02)의 기능과 처리는,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The function and processing of the main track knitting determining unit 35-02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or the fifth embodiment.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등록수단(35-04)은,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35-01)의 외부의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생성수단(35-03)으로부터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정보(35-16)를 받아서, 이것을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등록수단(35-04)이 관리하는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35-17)에 보유한다.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등록수단(35-04)은,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35-05)으로부터의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35-17)의 정보참조에 대응한다.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35-04 is train / individual from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generation means 35-03 external to the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35-01. The knitting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35-16 is received and held in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35-17 managed by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35-04.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35-04 is referred to the information reference in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35-17 from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nversion means 35-05. Corresponds.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35-05)의 기능과 처리는,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The functions and processes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35-05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or the fifth embodiment.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생성수단이 행하는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the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생성수단의 처리는, 실시예 6에서 설명한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생성수단의 처리와 동일하다.The processing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processing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described in the sixth embodiment.

또한, 브레이크 제어에 관한 처리는, 역행제어에 관한 변수를 그대로 브레이크 제어에 관한 변수로 바꾸는 것만으로, 완전히 같은 설명이 성립한다.Incidentally, the processing related to the brake control merely changes the variable related to the retrograde control to the variable related to the brake control, and the same explanation holds true.

이때, 열차가 단일의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 실시예의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생성수단, 및 그 출력한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정보를 참조하는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이상에서 설명한 처리를 그대로 답습함으로써, 개별편성 제어지령에 열차제어지령의 내용을 그대로 설정한다.At this time, when the train consists of a single vehicle combination,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referring to the output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as described above. By following the processing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of the train control command are set as it is to the individual control command.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열차에 주어진 열차 제어지령으로부터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적절히 대응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generate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appropriately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from the train control command given to the train.

또한,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그 정보처리를,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나,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보편적으로 참조하는 처리로 하고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열차가 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나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성능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이면, 해당 열차가 어떠한 종류 또는 수량의 차량 편성으로 구성된 것이어도, 해당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적절히 대응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 특징은, 본 실시예의 열차제어시스템을,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 열차 제어시스템과 함께 실장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of this embodiment us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as individua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dividual driv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or train formation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It is supposed to be referred to as. Accordingly,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at if the train can acquire the train trai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or the car train individual performance information, the train is composed of any type or quantity of car trains. In any cas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This feature can be realized more effectively by mounting the trai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together with the train control system described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열차 제어시스템에 관해서,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에 기재한 효과에 추가하여, 실시예 6에 기재한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별도의 처리수단의 구성에 의해서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or the fifth embodiment, an effect equivalent to that described 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train control system provided with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is separately provided. It can have by the structure of the processing means of.

(실시예 8)(Example 8)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또는 실시예 7의 경우와 유사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이지만,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에서 설명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에 관해서, 그 내부의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이,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에 의지하지 않고, 열차제어지령에 대응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제어 사이클마다 직접 생성하는 경우를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trol system similar to the case of Example 4, Example 5, Example 6, or Example 7, is carried out about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demonstrated in Example 4 or Example 5, The case where the internal train / individual control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directly generates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train control command for each control cycle without resorting to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table will be described.

또한, 이상의 처리수단의 추가에 따라, 본 실시예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가 구비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열차 제어지령 등록수단으로부터 열차제어지령을, 주행상태 등록수단으로부터 주행속도정보를, 주계 편성 등록수단으로부터 주계 편성 정보를, 열차 편성 총괄 성능 등록수단으로부터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전체 편성 성능 등록수단으로부터 전체 편성 성능정보를 받는다. 상기한 입력정보에 따라서,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 편성의 개별주행제어를 위한 각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열차내의 전체 차량 편성에 관해서 집적하고 전체 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하여,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에 대하여 출력한다.Further, in accordance with the addition of the above processing means,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provided with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of this embodiment receives the train control command from the train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the travel speed information from the travel state registration means, Receives main train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main train schedule registration means, train schedule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from the train schedule general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and full train schedule performance information from the overall schedule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According to the above input information,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instruction for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formation constituting the train is generated. Further,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is integrated with respect to the entire vehicle programming in the train, and the whole knitting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and outputted to the knitting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내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가 구비된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에 관해서, 그 내부의 처리수단의 구성과 처리를 다시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irst, the configuration and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means therein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provided with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in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도 3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의 내부의 구성과 정보의 흐름의 모양을 나타낸다.36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and the flow of inform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36-01)은, 주계편성 판정수단(36-02)과,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36-O5)을 갖는다.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36-01 has main train formation determination means 36-02 and train /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conversion means 36-O5.

주계편성 판정수단(36-02)의 기능과 처리는,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The function and processing of the main train knitting determining unit 36-02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ourth or fifth embodiments.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36-04)은, 주계편성 판정수단(36-02)이 출력한 열차제어지령(36-11)을,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36-01)의 외부로부터 주행속도정보(36-13)와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1(36-14)과 전체 편성 성능정보(36-15)를 받는다. 여기서, 주계편성 판정수단(36-02)이 출력한 열차제어지령(36-11)을 받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받은 경우에만, 열차제어지령(36-11)에 대응한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용 각각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하여, 얻어진 각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모두 거둔 전체 편성 제어지령(36-21)을 외부의 편성 제어지령 등록수단에 대하여 출력한다. 열차제어지령(36-11)을 받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에 대하여 전혀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다.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36-04 converts the train control instruction 36-11 outputted by the main train formation determining means 36-02 from the outside of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36-01. The travel speed information 36-13, the train schedule generaliz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1 36-14, and the overall schedule performance information 36-15. Her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rain control command 36-11 output by the main train formation determining means 36-02 has been received, and only when receiving the train control command 36-11, each vehicle in the train corresponding to the train control command 36-11 is trained. Each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and the whole knitting control command 36-21 which has received all the obtained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s is outputted to the external knitting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means. When the train control command 36-11 is not received, no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outside at all.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에 구비된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이 행하는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provided in the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of this embodiment.

본 실시예의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의 처리는,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에서 설명한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의 내용정보 생성처리 그 자체가 된다. 즉, 실시예 4의 도 28과 그 설명, 또는 실시예 5의 도 32와 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변환수단의 설명에 해당된다. 또, 실시예 4의 도 28의 스텝(28-03), 또는 실시예 5의 도 32의 스텝(32-04), 스텝(32-05)의 각 처리로 취득한 개별편성 제어지령 최대값 Ni, 개별 편성 역행 성능 αi, ni(V), 개별 편성 중량 Mi는, 전체 편성 성능 등록수단으로부터 받은 전체 편성 성능정보를 참조하여, 실시예 5의 도 32의 스텝(32-03)의 처리에서 참조한 열차 역행 성능 αtrain, ntrain(V)은, 열차 편성 총괄 성능 등록수단으로부터 받은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참조한다.The processing of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process itself of the train /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described in the fourth or fifth embodiments. That is, FIG. 28 and its description of Embodiment 4, or FIG. 32 and its description of Embodiment 5 correspond to the description of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nverting means of this embodiment. In addition,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maximum value Ni acquired by each process of step 28-03 of FIG. 28 of Example 4, or step 32-04 of step 32 of Example 5, and step 32-05, The individual knitting retrograde performance α i , n i (V) and the individual knitting weight M i refer to the overal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hole knitting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and the processing of steps 32-03 of FIG. 32 of Example 5 is performed. For train reverse performance α train , n train (V) referred to in the above, reference is made to train schedule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rain schedule overall performance registration means.

또한, 브레이크 제어에 관한 처리는, 역행제어에 관한 변수를 그대로 브레이크 제어에 관한 변수로 바꾸는 것만으로, 완전히 같은 설명이 성립한다.Incidentally, the processing related to the brake control merely changes the variable related to the retrograde control to the variable related to the brake control, and the same explanation holds true.

이때, 열차가 단일 차량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이상에서 설명한 처리를 그대로 답습함으로써, 개별편성 제어지령에 열차제어지령의 내용을 그대로 설정한다.At this time, when the train consists of a single vehicle train,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follows the processing described above as it is, thereby setting the content of the train control command to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as it is.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열차에 주어진 열차 제어지령으로부터,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적절히 대응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generate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appropriately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from the train control command given to the train.

또한,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그 정보처리를,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나,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보편적으로 참조한 처리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 열차가 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나 차량 편성의 개별 편성 성능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이면, 해당 열차가 어떠한 종류 또는 수량의 차량 편성으로 구성된 것이어도, 해당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적절히 대응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 이 특징은, 본 실시예의 열차제어시스템을,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 열차제어시스템과 함께 실장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of this embodiment us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as individua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dividual driv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or train formation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This is referred to as processing. Accordingly,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at if the train can acquire the train trai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or the car train individual performance information, the train is composed of any type or quantity of car trains. In any cas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This feature can be realized more effectively by mounting the trai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together with the train control system described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열차제어시스템에 관해서,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에 기재한 효과에 추가하여, 실시예 6에 기재한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별도의 처리수단의 구성에 의해서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or the fifth embodiment, the same effects as those described 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train control system provided with the train grouping general control system are separately provided. It can have by the structure of the processing means of.

또한, 상기에 추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it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즉, 열차 제어지령에 대응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의 생성처리에 관해서, 열차제어지령이 무단계·연속적으로 지정되는 경우에도 대응한, 결정이 상세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설정할 수 있다. 종래의 열차제어방식에서는, 주행제어지령에 관해서는 노치 등에 의한 계단적인 지정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그 때문에, 열차제어지령과 개별편성 제어지령과의 대응관계는,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의 경우와 같이, 열차제어지령의 이산값을 항목으로 한 열차·개별편성 제어지령 대응 정보 테이블에 기술해 두는 방법으로 유효하였다. 한편, 이후 채용되는 열차제어방식에서는, 주행제어의 정밀도 향상을 목표로 하도록, 토오크 값이나 가감 속도값에 의한 지정에 더하여, 주행제어지령의 세밀화·연속값화가 진행한다고 예상된다. 이러한 전망에 대응해야 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제어지령으로부터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직접 생성하는 처리를 주행중의 제어 사이클에 조립된 것으로, 분할·병합에 가능하게 대응하고, 또한 열차제어지령의 연속화에도 대응한 열차제어시스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That is, with regard to the generation processing of the individualized control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rain control command, even if the train control command is designated steplessly and continuously, it is possible to set the individualized control control command with detailed determination. In the conventional train control system, a stepwise designation method using a notch or the like for a travel control command has been common. Therefore,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 control command and the individual control command is described in the train / individual combina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table with the discrete value of the train control command as an item as in the case of the fourth embodiment or the fifth embodiment. The method was effective. On the other hand, in the train control system adopted later, in order to aim at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running control, in addition to the specification by the torque value and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speed, it is expected that the refinement and the continuous value of the driving control command proceed. In this embodiment, which has to cope with such a prospect, the process of directly generating the individualized control command from the train control command is incorporated in the control cycle while driv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division and merging, and also to support the continuation of the train control command. One train control system is possible.

(실시예 9)(Example 9)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제어시스템은, 열차 전체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열차제어지령을 결정하는 열차 제어장치(37-01)와, 상기 열차제어지령을 수령하여, 해당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라서 상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는 편성 총괄 제어시스템(37-02)으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control system includes a train control device 37-01 for determining train control commands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and the train control commands to receive the train control commands to form a vehicle for the trai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state, it is comprised by the formation control system 37-02 which controls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said train separately.

본 실시예에서는, 편성 총괄 제어시스템(37-02)은, 열차 제어장치(37-01)로부터 열차제어지령을 받아서, 이것에 기초를 둔 해당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주행제어까지를 담당한다. 상기 각 차량 편성의 개별주행제어에서는, 실시예 4로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의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실장된 개별편성 제어지령의 생성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해당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른 주행제어를 맡는다.In this embodiment, the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37-02 receives a train control command from the train control device 37-01, and is responsible for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based on this. . In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formation, a method of generating a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mounted in any one of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s from Embodiments 4 to 8 is used, and the vehicle travel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ormation of the train. Take control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편성 총괄 제어시스템(37-02)은,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로부터 해당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생성하여, 이것을 열차 제어장치에 대하여 출력한다.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의 생성에서는, 실시예 2 또는 3중 어느 하나의 열차 편성 총괄제어 시스템에 실장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의 생성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해당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른 주행제어를 맡는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37-02 generates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which shows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whole train from the individual organiz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which showed the individual driv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a train. This outputs to the train control apparatus. In the generation of the train schedule generaliz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by using the generation method of train schedule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mounted in the train schedule control system of any one of the second or third embodiment, the driving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configuration of the train Take control

이상의 편성 총괄 제어시스템은, 실시예 1로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과, 열차내의 각각의 차량 편성에 장비되어, 상기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는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을 통합한 형태로서 실장할 수 있다. 즉, 편성 총괄 제어시스템은, 실시예 1로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와, 편성간 연결장치와, 상기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기기로 구성된다. 편성 총괄 제어시스템이 맡은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른 주행제어는,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37-03)에 실장되는, 실시예 4로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의 생성처리, 또는 실시예 2 또는 3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의 생성처리에 의해서 실현된다.The above-mentioned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is equipped with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described in any one of Embodiment 1 thru | or 8, and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which is equipped with each vehicle formation in a train, and runs the vehicle formation separately. It can b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form. That is, the knitting general control system is comprised from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apparatus as described in any one of Embodiment 1 thru | or 8, the connection between knitting, and the apparatus contained in the said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The driving control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configuration of the train under the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is the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described in any one of Embodiments 4 to 8, which is mounted o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37-03. Generation process or the generation process of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described in any one of Embodiments 2 or 3.

도 3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일 구성을 나타낸다. 열차 제어장치(37-01)는, 편성 총괄 제어시스템(37-02)의 내부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37-03)에 직접 접속한다.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37-03)는, 또한 편성간 연결장치(37-04)에 직접 접속하고, 또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37-05)을 통해서 차량 편성내의 그 밖의 기기에 접속한다. 도 37에서는, 편성 총괄 제어시스템(37-02)의 내부에 있고,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37-03)와 편성간 연결장치(37-O4)의 조합이, 실시예 1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과 동등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37 shows one configuration of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control apparatus 37-01 directly connects to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37-03 in the inside of the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37-02.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37-03 is also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knit connecting device 37-04, and is connected to other devices in the vehicle knitting through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ng line 37-05. In Fig. 37, the combination of the train knitting control connecting device 37-03 and the knitting connecting device 37-O4, which is inside the knitting general control system 37-02, is in any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It constitutes the system equivalent to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described in one.

도 3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별도의 일 구성을 나타낸다. 열차 제어장치(38-01)는, 편성 총괄 제어시스템(38-02)의 내부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38-03)에 직접 접속한다.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37-03)는, 또한 편성간 연결장치(38-04)에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38-05)을 통해 접속하고, 또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38-05)을 통해 차량 편성내의 그 밖의 기기에 접속한다. 도 38에서는 편성 총괄 제어시스템(38-02)의 내부에 있어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38-03)와 편성간 연결장치(38-04)의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38-05)을 통한 조합이, 실시예 1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과 동등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38 show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control apparatus 38-01 directly connects to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38-03 in the inside of the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38-02.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37-03 is also connected to the inter-knit connecting device 38-04 through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ng line 38-05, and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ng line 38-05 is connected. It connects to other equipment in the vehicle organization through the. In FIG. 38, inside the knitting general control system 38-02,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38-03 and the knitting device connecting line 38-04 are connected via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ng lines 38-05. The combination constitutes a system equivalent to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trol system described in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도 3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별도의 또 하나의 구성을 나타낸다. 열차 제어장치(39-01)는, 편성 총괄 제어시스템(39-02)의 내부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39-03)에,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39-05)을 통해 접속한다.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39-03)는, 또한 편성간 연결장치(39-04)에 직접 접속하고, 또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39-O5)을 통해 차량 편성내의 그 밖의 기기에 접속한다. 도 39에서는, 편성 총괄 제어시스템(39-02)의 내부에 있어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39-03)와 편성간 연결장치(39-04)의 조합이, 실시예 1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과 동등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39 show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control device 39-01 is connected to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39-03 inside the knitting general control system 39-02 through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ng line 39-05.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39-03 is also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knit connecting device 39-04, and is connected to other devices in the vehicle knitting through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ng line 39-O5. In Fig. 39, the combination of the train knitting control connecting device 39-03 and the knitting connecting device 39-04 in the inside of the knitting general control system 39-02 is not limited to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It constitutes the system equivalent to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described in one.

도 4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별도의 또 다른 일 구성을 나타낸다. 열차 제어장치(4O-01)는, 편성 총괄 제어시스템(40-02)의 내부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0-03)에,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40-O5)을 통해 접속한다.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0-03)는, 또한 편성간 연결장치(40-04)에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40-05)을 통해 접속하고, 또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40-05)을 통해 차량 편성내의 그 밖의 기기에 접속한다. 도 40에서는, 편성 총괄 제어시스템(40-02)의 내부에 있어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0-03)와 편성간 연결장치(40-04)의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40-05)을 통한 조합이, 실시예 1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과 동등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40 shows another configuration of another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control apparatus 40-01 is connected to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40-03 inside the knitting general control system 40-02 via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on line 40-O5.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40-03 is also connected to the inter-knit connecting device 40-04 via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ng line 40-05, and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ng line 40-05 is connected. It connects to other equipment in the vehicle organization through the. In FIG. 40, inside the knitting general control system 40-02,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on lines 40-05 of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40-03 and the knitting device 40-04 are shown. The combination through the above constitutes a system equivalent to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trol system described in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의 열차제어시스템은, 실시예 1부터 실시예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별도의 구성에 의해서 가질 수 있다.The train control system of this embodiment described above can have the effect equivalent to the effect as described in any one of Example 1-Example 8 by another structure.

(실시예 10)(Example 10)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제어시스템은, 열차 전체의 주행을 제어하여, 해당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라서 해당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기 위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결정하여, 상기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상기 차량편성에 대하여 출력하는 열차 총괄 장치(41-01)와, 해당 열차내의 각각의 차량 편성에 장비되어, 상기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는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41-02)으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control system controls the driving of the entire train, and determines a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for individually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combination in the trai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ormation of the train. A train control device 41-01 that outputs a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to the vehicle formation, and a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41-02 equipped with each vehicle organization in the corresponding train to individually drive control of the vehicle formation. It is composed of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 총괄 제어장치(41-01)는, 개별 주행 제어지령의 결정에 있어서, 실시예 4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의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실장된 개별편성 제어지령의 생성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해당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른 주행제어를 맡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generalization control unit 41-01 is a method for generating the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mounted in any one of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s in the fourth to eightth embodiments in determining the individual travel control command. By using, the driv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configuration of the train concern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 총괄 제어장치(41-01)는,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를 해당 열차내의 각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받고, 이것에 따라서 해당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열차 전체의 주행 제어에 사용한다.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의 생성에서는, 실시예 2 또는 3중 어느 하나의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실장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의 생성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해당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른 주행제어를 맡는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train generalization control apparatus 41-01 receives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dividual driv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from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in the corresponding train, and accordingly the corresponding train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showing the overall driving performance is generated and used for driving control of the entire train. In the generation of the train schedule generaliz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by using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train schedule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mounted in the train schedule control system of any one of the second or third embodiment, the driving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configuration of the train Take control

이상의 열차 총괄 제어장치(45-01)는, 실시예 1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과, 열차 전체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열차 제어지령을 결정하는 열차 제어장치를 통합한 형태로서 실장할 수 있다. 즉, 열차 총괄 제어장치(41-01)는, 실시예 1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와, 편성간 연결장치와, 상기 열차 제어장치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열차 총괄 제어시스템이 맡은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른 주행제어는,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에 실장되는, 실시예 4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의 생성처리, 또는 실시예 2 또는 3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의 생성처리에 의해서 실현된다.The above train generalization control device 45-01 includes a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described in any one of Embodiments 1 to 8, and a train control device for determining train control commands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It can b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form. That is, the train generalization control apparatus 41-01 is comprised by the combination of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apparatus as described in any one of Embodiment 1 thru | or 8, the inter-connection coupling apparatus, and the said train control apparatus. The running control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ormation of the train undertaken by the trai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is the generation process of the individualized organization control command described in any one of Embodiments 4 to 8, which is mounted on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ed connection device, or This is realized by the generation process of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described in any one of the second or third embodiments.

도 4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일 구성을 나타낸다. 열차총괄제어장치(41-01)는, 그 내부에, 열차 전체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지령을 결정하는 열차 제어장치의 기능과,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1-03)를 포함한다.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1-03)는, 또한 열차 총괄 제어장치(41-01)가 내부에 포함한 편성간 연결장치(41-04)에 직접 접속하고, 또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41-O2)의 내부의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41-05)을 통해 차량 편성내의 그 밖의 기기에 접속한다. 도 41에서는, 열차 총괄 제어장치(41-01)가 열차 총괄 제어시스템을 구성하고, 또한 그 내부에 있어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1-03)와 편성간 연결장치(41-04)의 조합이, 실시예 1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과 동등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41 shows one configuration of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general control unit 41-01 includes a function of a train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control commands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and a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unit 41-03 therein. .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41-03 is also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organization connection device 41-04 which the train generalization control device 41-01 contained inside, and also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41-O2. It connects to the other apparatus in a vehicle formation via the individual knitting apparatus connection line 41-05 in the inside of the vehicle. In Fig. 41, the train generalization control unit 41-01 constitutes a trai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and therein, a combination of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41-03 and the inter-organization connection device 41-04. This system constitutes a system equivalent to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described in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의 열차제어시스템은, 실시예 1부터 실시예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별도의 구성에 의해서 가질 수 있다.The trai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can have an effect equivalent to the effect described in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by a separate configuration.

(실시예 11)(Example 11)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제어시스템은, 열차 전체의 주행을 제어하여, 해당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라서 해당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기 위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결정하는 열차총괄제어장치(42-01)와, 해당 열차내의 각각의 차량 편성에 장비되어, 상기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는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42-02)과, 인접한 다른 차량 편성과 역학적으로 결합하여, 상기차량 편성사이의 정보전송을 맡은 편성간 연결장치(42-04)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control system controls the driving of the entire train, and determines the train control command for determining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for individually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combination in the trai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ormation of the train. Dynamically coupled with the control device 42-01,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system 42-02 equipped with each vehicle train in the corresponding train, and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system 42-02 for individually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train, It consists of an inter-connection connecting device 42-04 in charge of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formations.

본 실시예의 열차총괄제어장치는, 실시예 10에 기재한 열차 총괄 제어장치로부터 편성간 연결장치가 독립된 점만이 다르고, 기타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다. 즉, 열차제어시스템으로서는, 실시예 10에 기재된 열차제어시스템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The train generalization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only in that the coupling device between the trains is independent from the train generalization control apparatus described in the tenth embodiment, and other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tenth embodiment. That is, the train control system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train control system described in the tenth embodiment.

도 4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일 구성을 나타낸다. 열차총괄 제어장치(42-01)는, 그 내부에, 열차 전체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지령을 결정하는 열차 제어장치의 기능과,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2-03)를 포함한다.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2-03)는, 또한 편성간 연결장치(42-04)에 직접 접속하고, 또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42-02)의 내부의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42-05)을 통해 차량 편성내의 그 밖의 기기에 접속한다. 도 42에서는, 열차총괄제어장치(42-01)와 편성간 연결장치(42-04)의 조합이, 실시예 1O에 기재된 열차 총괄 제어시스템과 동등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2-03)와 편성간 연결장치(42-O4)의 조합이, 실시예 1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과 동등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42 shows one configuration of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generalization control device 42-01 includes a function of the train control device for determining control commands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and a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42-03 therein. .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42-03 is also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 knitting connecting device 42-04, and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ng line 42-05 inside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42-02. It connects to other equipment in the vehicle organization through. In Fig. 42, the combination of the train generalization control device 42-01 and the inter-connection coupling device 42-04 constitutes a system equivalent to the trai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described in Example 10.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42-03 and the connection between connection formation 42-O4 constitutes the system equivalent to the train formatio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in any one of Example 1-8.

도 43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별도의 일 구성을 나타낸다. 열차 총괄 제어장치(43-01)는, 그 내부에, 열차 전체로서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지령을 결정하는 열차 제어장치의 기능과,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3-03)를 포함한다.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3-03)는, 또한, 편성간 연결장치(43-04)에,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43-02)의 내부의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43-05)을 통해 접속하고, 또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43-05)을 통해 차량 편성내의 그 밖의 기기에 접속한다. 도 43에서는, 열차 총괄 제어장치(43-01)와 편성간 연결장치(43-04)의 조합이, 실시예 10에 기재된 열차 총괄 제어시스템과 동등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3-03)와 편성간 연결장치(43-04)의 조합이, 실시예 1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과 동등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43 show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generalization control unit 43-01 includes a function of a train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control commands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as the entire train, and a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unit 43-03 therein. .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43-03 is also connected to the inter knitting connecting device 43-04 via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ng line 43-05 inside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43-02. Furthermore, it connects to the other equipment in a vehicle formation via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on line 43-05. In FIG. 43, the combination of the train generalization control unit 43-01 and the interbody coupling device 43-04 constitutes a system equivalent to the train generalization control system described in the tenth embodiment.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ization connection device 43-03 and the inter-connection connection device 43-04 constitutes a system equivalent to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described in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의 열차제어시스템은, 실시예 1부터 실시예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별도의 구성에 의해서 가질 수 있다.The train control system of this embodiment described above can have the effect equivalent to the effect as described in any one of Example 1-Example 8 by another structure.

(실시예 12)(Example 12)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제어시스템은, 열차 전체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열차제어지령을 결정하는 열차 제어장치와, 해당 열차내의 각각의 차량 편성에 장비되어, 상기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는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 상기 열차제어지령을 수령하고, 해당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라서 상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기 위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결정하여, 더 인접한 다른 차량 편성과 역학적으로 결합하면서 상기 차량 편성사이의 정보전송을 맡은 총괄 제어 연결장치(44-04)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control system is equipped with a train control device for determining train control commands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and for each vehicle combination in the train, and the vehicle combination is individually run-controlled. Receiving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system, the train control command, and determining an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for individually driving control of each vehicle train in the trai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rain train of the corresponding train; It is composed of a general control connection device 44-04, which is in combination with the organization and mechanically in charge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organization.

본 실시예에서는, 총괄 제어 연결장치(44-04)는, 열차 제어장치(44-01)로부터 열차제어지령을 받고, 이것에 기초를 둔 개별주행제어지령의 결정에 있어서, 실시예 4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의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실장되는 개별편성 제어지령의 생성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해당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른 주행제어를 맡는다.In this embodiment, the general control connecting device 44-04 receives the train control command from the train control device 44-01, and in the determination of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command based on this, from the fourth embodiment to the eighth embodiment. By using the generation method of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instruction mounted in any one train formation control system up to now, it is in charge of the driving control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rain.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총괄 제어 연결장치(44-04)는,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로부터 해당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생성하여, 이것을 열차 제어장치(44-01)에 대하여 출력한다.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의 생성에서는, 실시예 2 또는 3중 어느 하나의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에 실장된 열차 편성 총괄성능 정보의 생성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해당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른 주행제어를 맡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verall control connecting device 44-04 generates train formation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show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from the individua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dividual driv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This is output to the train control device 44-01. In the generation of the train schedule generaliz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by using the generation method of the train schedule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mounted in the train schedule management system of any one of the second or third, the driving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configuration of the train Take control

이상의 총괄 제어 연결장치(44-04)는, 실시예 1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을, 하나의 장치의 내에 통합한 형태로서 실장할 수 있다. 즉, 총괄 제어 연결장치(44-04)는, 실시예 1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와 편성간 연결장치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총괄 제어 연결장치(44-04)가 맡은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른 주행제어는,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4-03)에 실장되는 실시예 4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의 생성 처리, 또는 실시예 2 또는 3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의 생성처리에 의해서 실현된다.The above general control connection device 44-04 can be mounted as a form in which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system described in any one of Embodiments 1 to 8 is integrated into one device. That is, the overall control connecting device 44-04 is constitu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described in any one of Embodiments 1 to 8 and the connecting device between the knitting. The traveling control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configuration of the train undertaken by the overall control connecting device 44-04 is described in any one of Embodiments 4 to 8 mounted on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44-03. This is realized by the generation process of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or the generation process of the train formation general performance information described in any one of the second or third embodiments.

도 4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일 구성을 나타낸다. 열차 제어장치(44-01)는, 총괄 제어 연결장치(44-04)의 내부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4-03)에 직접 접속한다.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4-03)는, 또한,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44-02)의 내부의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44-05)을 통해 차량 편성내의 그 밖의 기기에 접속한다. 도 44에서는, 총괄 제어 연결장치(44-04)에 있어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4-03)와, 인접한 다른 차량 편성과 역학적으로 결합하면서 상기 차량 편성사이의 정보전송을 맡은 편성간 연결장치의 기능의 조합이, 실시예 1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과 동등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44 shows one configuration of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control device 44-01 directly connects to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44-03 inside the overall control connection device 44-04.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44-03 also connects to other devices in the vehicle formation via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on line 44-05 inside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44-02. In Fig. 44, in the overall control connecting device 44-04,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44-03 is connected between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44-03 and the knitting system which is in charg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knitting while being mechanically coupled with another adjacent vehicle forming. The combination of functions constitutes a system equivalent to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trol system described in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도 4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의 별도의 일 구성을 나타낸다. 열차 제어장치(45-01)는, 총괄 제어 연결장치(45-04)의 내부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5-03)에,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45-02)의 내부의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45-05)을 통해 접속한다.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5-03)는, 또한, 개별 편성 기기 접속회선(45-05)을 통해 차량 편성내의 그 밖의 기기에 접속한다. 도 45에서는, 총괄 제어 연결장치(45-04)에 있어서,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45-03)와, 인접한 다른 차량 편성과 역학적으로 결합하면서 상기 차량 편성사이의 정보전송을 맡은 편성간 연결장치의 기능의 조합이, 실시예 1부터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차편성 총괄 제어시스템과 동등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45 show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control device 45-01 connects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s inside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system 45-02 to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45-03 inside the overall control connecting device 45-04. We connect through line 45-05. The train formation general connecting device 45-03 also connects to other devices in the vehicle formation via the individual knitting device connection line 45-05. In FIG. 45, in the overall control connecting device 45-04,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45-03 is connected between the train knitting general connecting device 45-03 and the knitting system which is in charg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knitting while being mechanically coupled with another adjacent vehicle forming. The combination of functions constitutes a system equivalent to the train combination control system described in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의 열차제어시스템은, 실시예 1부터 실시예 8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별도의 구성에 의해서 가질 수 있다.The train control system of this embodiment described above can have the effect equivalent to the effect as described in any one of Example 1-Example 8 by another structure.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열차의 주행을 제어하는 열차제어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열차가, 분할·병합운전에 의해서 여러 가지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변화되더라도, 해당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정확하게 적응한 주행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train control system that controls the running of a train, even if the train is changed in the configuration state of various vehicle formations by division / merge driving, It is possible to perform traveling control that is precisely adapted to the configuration state.

즉, 열차제어시스템을, 열차의 전체를 일괄한 입장에서 주행제어처리를 행하는 열차 제어장치와, 해당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에 개별로 착안한 입장에서 주행제어처리를 행하는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 사이에 끼워져 그것들의 상호 정보교환을 중개하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 시스템으로 분별함으로써, 해당 열차내의 여러 가지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대응한 주행제어의 실현을 쉽게 하고, 또한 상기 구성상태에 대한 주행제어의 최적화를 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at is, the train control system which performs a travel control process by the train control system by the whole position of the whole trai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system which performs a travel control process in the position which paid attention to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said train, and the said By distinguishing between train control devices and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system and separating them into train train control systems for mediating their mutual exchange of information, it is easy to realize driving control corresponding to various vehicle train configurations in the train. It also makes it possible to optimize the running control for the configuration state.

또한,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개별의 주행 성능정보로부터, 열차 전체의 정확한 주행 성능을 나타낸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어떠한 구성상태에 대해서도,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정확하게 고려한 주행제어가 가능해진다. 즉, 열차 전체의 주행 제어에 관해서, 그 최적화에 기여한다.In addition, by genera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exact driv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from the individual driv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the driving control that accurately considers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can be performed in any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It becomes possible. That is, it contributes to the optimization regarding driving control of the entire train.

또한, 열차의 전체를 일괄로 주행제어하는 열차 제어지령으로부터,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는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열차내의 각 차량 편성의 주행 성능의 차이를 고려하면서 적절히 생성함으로써, 열차제어지령이 지시하는 열차 전체의 주행상태에 관해서, 각 차량 편성에 대하여 각각 상기 열차내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른 최적의 구동상태를 실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appropriately generating a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travel of each vehicle in the train from the train control command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entire train,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 in the driv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in the train, With regard to the driving state of the entire train indicated by the train control command,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optimum driving stat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for each vehicle form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열차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열차 전체의 주행을 일괄로 파악하는 주행제어와, 열차를 구성하는 차량 편성에 개별로 착안한 주행제어의 양쪽에 관해서, 종래 기술이상으로 높은 성능을 실현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rai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driving control which grasps the traveling of the entire train collectively and the driving control which focuses on the vehicle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train individually are higher than the prior art. It can be realized.

Claims (8)

단수 또는 복수의 차량 편성으로 구성된 열차의 주행을 제어하는 열차제어시스템에 있어서,In a trai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running of a train consisting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vehicles, 열차 전체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열차제어지령을 결정하는 열차 제어장치와,A train control device for determining a train control command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train;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라서 열차내의 각각의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는 편성총괄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제어시스템.A train control system, comprising: a generalizing control unit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driving of each vehicle group in a train according to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train of a trai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편성 총괄 제어부는,The organization overall control unit, 열차내의 각각의 차량 편성, 또한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는 개별편성제어부를 갖고,Each vehicle in the train, and also has a separate configur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separately,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개별 편성 제어부의 사이에,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개별 편성 제어부의 상호의 정보교환을 중개하는 열차 편성 총괄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제어시스템.A train control system comprising a train formation control unit that mediates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the train control unit and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unit between the train control unit and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uni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제어부는,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unit, 상기 열차 제어장치와 상기 열차의 일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고, 상기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과 상기 차량 편성의 개별주행제어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와,A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for exchang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collective driving control of the train control device and the train, and exchanging information about the individual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configuration with the individual organization control system; 상기 열차내의 다른 차량 편성간의 정보전송을 맡은 편성간 연결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제어시스템.And a train-to-train connection device in charge of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different vehicle trains in the train.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제어부는,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unit, 상기 개별편성 제어부에서 상기 차량 편성의 개별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개별 편성 성능 정보를 받고, 상기 열차 제어장치에 대하여 상기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출력하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제어시스템.Receiving individual kni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dividual driv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formation in the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unit, and has a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for outputting the train organization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show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to the train control device Train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제어부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는,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of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unit, 상기 열차내의 각각의 차량 편성의 개별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각각의 개별 편성 성능 정보로부터, 상기 열차 전체의 주행 성능을 나타낸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정보를, 상기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라서 생성하는, 열차 편성 총괄 성능 생성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제어시스템.From the respective individual 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showing the individual running performance of each vehicle formation in the train, train formation overall performance information show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entire trai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ormation of the train, Train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rain formation overall performance generating mean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제어부는,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unit, 상기 열차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열차 전체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열차제어지령을 받고, 상기 개별 편성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상기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기 위한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출력하는,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제어시스템.Receiving a train control command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from the train control device, and outputs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command for individually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train to the individual train control system; Train control system having a connect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열차 편성 총괄 제어부의 열차 편성 총괄 접속장치는,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nection device of the train organization general control unit, 상기 열차 전체의 주행을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열차제어지령으로부터 상기 열차내의 각각의 차량 편성을 개별로 주행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상기 열차의 차량 편성의 구성상태에 따라서 생성하는,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제어시스템.Generating,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ormation of the train, each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vehicle combination in the train from the train control instruction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entire train; Train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eparate configur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은,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상기 각각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에 의해서 초래되는 각각의 차량 편성의 구동상태가, 상기 각각의 차량 편성끼리 상호 작용하는 응력부담의 감소를 배려하도록, 상기 열차제어지령으로부터 상기 각각의 개별편성 제어지령을 생성하는, 개별편성 제어지령 생성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제어시스템.Each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s is controlled from the train control command so that the driving state of each vehicle knitting caused by each of the individual knitting control commands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o reduce the stress burden interacting between the respective vehicle knitting. A train control system comprising: an individual formation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ans for generating.
KR1020000042122A 1999-07-22 2000-07-22 Train control system KR2001004984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723499A JP3557952B2 (en) 1999-07-22 1999-07-22 Train control system
JP11-207234 1999-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849A true KR20010049849A (en) 2001-06-15

Family

ID=1653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122A KR20010049849A (en) 1999-07-22 2000-07-22 Train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070649A3 (en)
JP (1) JP3557952B2 (en)
KR (1) KR20010049849A (en)
CN (1) CN1173847C (en)
TW (1) TW527291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789B1 (en) * 2007-05-17 2008-09-29 현대로템 주식회사 Method of communication network set-up of train with variable organization and coupledtrai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2670B2 (en) * 2003-12-04 2005-12-06 New York Air Brake Corporation WDP setup determination method
JP2006197164A (en) * 2005-01-13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ata transmission system
JP5142655B2 (en) * 2007-10-04 2013-02-13 株式会社東芝 Electric locomoti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292252A (en) * 2008-11-24 2011-12-21 通用电气公司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vement of an off-highway vehicle
US8185263B2 (en) 2008-11-24 2012-05-22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resistance parameters and weight of a train
US8774994B2 (en) * 2009-07-15 2014-07-0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performance control
JP5292356B2 (en) * 2010-05-24 2013-09-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Trai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JP5940795B2 (en) * 2011-11-01 2016-06-29 日本信号株式会社 Train control system
JP5785897B2 (en) * 2012-04-13 2015-09-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Drive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rained vehicle
US9067607B2 (en) 2012-10-31 2015-06-30 Electro-Motive Diesel, Inc. Communication system for multiple locomotives
EP3150419B1 (en) * 2015-09-30 2021-06-23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Method and a system for reduc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railway systems
CN105398473A (en) * 2015-11-30 2016-03-16 中国神华能源股份有限公司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stress of train
MX2018008260A (en) * 2016-01-15 2018-09-12 New York Air Brake Llc Train brake safety monitoring and fault action system with ptc brake performance assurance.
JP6646142B2 (en) * 2016-05-12 2020-02-14 株式会社京三製作所 On-board equipment and ground systems
JP2019209895A (en) * 2018-06-06 2019-12-12 日本信号株式会社 On-board device for organized train
JP7168388B2 (en) * 2018-09-18 2022-11-09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Railway vehicle controller
CN111766809B (en) * 2020-06-30 2022-04-19 通号城市轨道交通技术有限公司 Control method for train of train and vehicle-mounted controller
CN113777950B (en) * 2021-07-27 2024-03-29 卡斯柯信号有限公司 Simulation linkage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arget controller in TACS system
CN116198573A (en) * 2021-11-29 2023-06-0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Train operation control method, vehicle-mounted controller and train
CN114802361B (en) * 2022-04-26 2024-05-14 青岛地铁集团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train turning back and electronic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4364A (en) * 1980-05-09 1982-08-17 Halliburton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erving fuel in the operation of a train consist
JPS5826503A (en) * 1981-08-10 1983-02-17 Hitachi Ltd Automatic train operation device
ZA899846B (en) * 1988-12-23 1990-10-31 Hitachi Ltd Control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of electric rolling stock
JPH06245331A (en) * 1993-02-18 1994-09-02 East Japan Railway Co Load compensation controller for electric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789B1 (en) * 2007-05-17 2008-09-29 현대로템 주식회사 Method of communication network set-up of train with variable organization and coupledtr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70649A3 (en) 2003-01-02
JP3557952B2 (en) 2004-08-25
TW527291B (en) 2003-04-11
EP1070649A2 (en) 2001-01-24
CN1173847C (en) 2004-11-03
JP2001037015A (en) 2001-02-09
CN1281802A (en) 200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9849A (en) Train control system
White et al. A network algorithm for empty freight car allocation
US7021589B2 (en) Control system for optimizing the operation of two or more locomotives of a consist
CN109625027B (en) Train group operation organization and operation control system
US70215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wo or more locomotives of a consist
Bonissone et al. Genetic algorithms for automated tuning of fuzzy controllers: a transportation application
CN1761596B (en) WDP setup determination method
US8538611B2 (en) Multi-level railway operations optimization system and method
US8359981B2 (en) Maglev vehicle having guidance magnets
KR100556224B1 (en) Train control system, train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train control apparatus
Gorman Santa Fe Railway uses an operating-plan model to improve its service design
CN108242159A (en) A kind of urban traffic area coordinated control system based on edge calculations node
CN105691419A (en) Computer interlock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capable of achieving region control function
CN109823236A (en) Train traction power supply unit, system and control method
AU700636B2 (en) Railway vehicule with single-axle running gear
DK0736438T3 (en) Rail car with variable trolley box
JP3907836B2 (en) Train control device
CN111216602A (en) Method for distributing and optimizing regenerative braking energy in non-contact traction power supply system station
Gao et al. A bilevel model for railway train set organizing optimization
CN111705552A (en) Switch structure and railway
Bianco et al. Perspectives of high speed rail transport in short-medium period
ITMI932100A1 (en) DEVICE FOR THE ORIENTATION OF THE AXES OF A RAILWAY VEHICLE ON A BEND
CN211872420U (en) Train track
CN117302311A (en) Freight railway scheduling and train control cooperative method and system
Peng et al. Dispatch coordination between high-speed and conventional rail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