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089A -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089A
KR20010049089A KR1019990054018A KR19990054018A KR20010049089A KR 20010049089 A KR20010049089 A KR 20010049089A KR 1019990054018 A KR1019990054018 A KR 1019990054018A KR 19990054018 A KR19990054018 A KR 19990054018A KR 20010049089 A KR20010049089 A KR 20010049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data
data communication
communication port
electronic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원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54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9089A/ko
Publication of KR20010049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0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64Distributing or queueing
    • H04Q3/66Traffic distribu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4Data transmission, file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간이 전자교환기와 직렬통신 포트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와 네트워크통신 포트 또는 직렬통신 포트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는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의 직렬통신 포트를 공유하게 하여,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와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 간의 데이터통신을 관리하는 데이터통신 관리서버와;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와 직렬통신 포트 또는 네트워크통신 포트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와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간이 전자교환기와;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와 직렬통신 포트 또는 네트워크통신 포트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와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로 구성하여, 직렬통신 포트를 네트워크 상의 복수의 사용자 PC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간이 전자교환기 상의 네트워크 포트로 접속을 시도하는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 PC의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접속에 관한 기록을 저장하여 관리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communication in simplified electronic exchange}
본 발명은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이 전자교환기와 PC가 직렬통신 및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PC측 데이터 통신관리 서버에서 직렬통신 포트를 네트워크 상의 복수의 사용자 PC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간이 전자교환기 상의 네트워크 포트로 접속을 시도하는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 PC의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접속에 관한 기록을 저장하여 관리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이 전자교환기는 전화 교환기의 제어 장치를 컴퓨터의 처리 장치와 같은 연산 장치와 기억 장치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입력 정보에서 출력 정보에의 변환을 기억 장치 내 프로그램의 지시에 따라서 하는 방식의 변환 방식을 이용한 교환기이다. 이로써 전화를 이용한 각종 새로운 서비스가 프로그램의 변경으로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간이 전자교환기는 공통 제어 방식을 사용하고, 제어계와 통화계를 구별하여 구성된다. 이는 고속 접속, 소형, 경량, 긴 수명, 저소비 전력 등의 특징을 갖는다.
종래의 간이 전자교환기에서는 PC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직렬통신 포트나 간이 전자교환기 내부에 장착된 모뎀 등을 주로 이용했다. 최근에는 LAN(Local Area Network, 구내 통신망) 포트와 같은 네트워크 통신 포트를 이용한 간이 전자교환기도 개발되고 있다.
그래서 직렬통신 포트는 간이 전자교환기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고, 모뎀이나 네트워크 통신 장비는 선택사양으로 장착하게 된다. 직렬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간이 전자교환기와 PC를 RS-232C 규격의 통신 케이블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모뎀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간이 전자교환기의 특정 국선을 모뎀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정한 후 이 국선으로 모뎀 호(Call)가 들어오게 되면 연결을 성립시킨 후 간이 전자교환기와 PC가 공중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해 통신하게 된다.
그리고 네트워크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간이 전자교환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들어오는 접속 요청을 받아들여 사용자 PC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모든 경우에 있어서 간이 전자교환기와 PC와의 통신은 양측간의 직접적인 연결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고, 그 중간에서 제어를 하거나 기능을 추가하기가 상당히 어려워지게 된다.
도1은 종래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장치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PC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간이 전자교환기(1)와;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1)와 클라이언트 PC(4)를 네트워크 통신 포트를 통해 연결시키는 랜(2)과;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1)와 클라이언트 PC(5)를 직렬 통신 포트를 통해 연결시키는 RS232C 케이블(3)과; 상기 랜(2) 또는 RS232C 케이블(3)을 통해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1)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PC(4)(5)로 구성된다.
그래서 클라이언트 PC1(4)은 랜 또는 인터넷을 통해서 직접 간이 전자교환기(1)와 통신을 수행하고, 클라이언트 PC2(5)는 간이 전자교환기(1)와 RS232C 케이블(3)로 연결되어 한 대의 PC가 직렬 통신 포트를 독점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장치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간이 전자교환기(1)를 위한 PC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경우 각 업체마다 내부적으로 정의한 프로토콜에 의해서 간이 전자교환기(1)와 클라이언트 PC(4)(5) 양측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PC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수가 늘어갈수록 경우에 따라서는 그때마다 새로운 프로토콜을 정의하기도 하고, 기존의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확장된 프로토콜을 정의하기도 하며, 때로는 기존의 프로토콜을 변형하거나 일부의 기능만을 도입/추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서 직렬 통신 포트를 이용하여 RS-232C 케이블(3)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간이 전자교환기(1)에 장착된 직렬통신 포트의 수가 매우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복수개의 PC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많은 제약이 있어 왔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 포트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내부 메모리 용량의 한계 등과 같은 간이 전자교환기(1)의 한정된 자원으로 인하여 네트워크 통신만을 위한 부가기능을 추가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었다.
그래서 외부 사용자 PC로부터 접속요청이 들어오면 단지 그 요청을 받아들여 원하는 데이터를 주고받는 정도의 기능만을 수행하였고,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데는 접속포트의 한정이나 내부 자원의 한정에 의해 한계가 있었다. 즉, 그 외의 다른 부가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간이 전자교환기(1)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다른 기능의 자원을 희생해야 하기 때문에 구현이 어렵지 않은 기능도 구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
이처럼 종래의 기술은 간이 전자교환기와 PC와의 통신에 있어서, 직렬포트의 수가 1~2개 정도로 매우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에 복수개의 PC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지 못하는 제약에 따라 간이 전자교환기의 시스템 활용도를 극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 포트를 이용한 통신의 경우, 간이 전자교환기로의 접속 제어나 접속 기록에 대한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거나 매우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간이 전자교환기 내부로의 무단침입(Hacking) 등에 적절히 대응할 수도 없었고, 시스템 관리 차원에서의 기록을 남기는데도 많은 제약이 따르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이 전자교환기와 PC가 직렬통신 및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PC측 데이터 통신관리 서버에서 직렬통신 포트를 네트워크 상의 복수의 사용자 PC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간이 전자교환기 상의 네트워크 포트로 접속을 시도하는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 PC의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접속에 관한 기록을 저장하여 관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는,
간이 전자교환기와 직렬통신 포트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와 네트워크통신 포트 또는 직렬통신 포트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는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의 직렬통신 포트를 공유하게 하여,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와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 간의 데이터통신을 관리하는 데이터통신 관리서버와;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와 직렬통신 포트 또는 네트워크통신 포트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와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간이 전자교환기와;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와 직렬통신 포트 또는 네트워크통신 포트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와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은,
데이터통신 관리서버 내의 통신 포트에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면 접속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접속승인이 있으면, 접속승인을 처리하고 접속기록을 관리한 다음 접속 승인/거부 패킷을 형성하여 해당 통신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접속승인이 없으면, 버퍼타입이 직렬통신 클라이언트 버퍼인지 또는 직렬통신 교환기 버퍼인지 또는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버퍼인지를 확인한 다음 데이터 타입을 검사하고, 데이터 분배 목적지 관리를 수행하여 데이터의 종류와 클라이언트 PC의 네트워크 주소를 대응시키는 항목을 매핑 테이블로 저장하고, 버퍼간 데이터 이동을 처리한 다음 해당 통신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장치를 보인 블록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며,
도3은 도2에서 데이터통신 관리서버의 상세블록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데이터통신 관리서버 20 : 간이 전자교환기
31 ~ 33 : 클라이언트 PC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및 그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이 전자교환기(20)와 직렬통신 포트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31 ~ 33)와 네트워크통신 포트 또는 직렬통신 포트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31 ~ 33)는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20)의 직렬통신 포트를 공유하게 하여,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20)와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31 ~ 33) 간의 데이터통신을 관리하는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와;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와 직렬통신 포트 또는 네트워크통신 포트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31 ~ 33)와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간이 전자교환기(20)와;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와 직렬통신 포트 또는 네트워크통신 포트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20)와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31 ~ 33)로 구성된다.
도3은 도2에서 데이터통신 관리서버의 상세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31 ~ 33)의 접속승인요청을 처리하고 버퍼에 의한 데이터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11)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고,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31 ~ 33)와의 직렬통신을 위한 직렬통신 클라이언트 버퍼와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20)와의 직렬통신을 위한 직렬통신 교환기 버퍼와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20)와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31 ~ 33)와의 네트워크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버퍼를 구비하여,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20)와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31 ~ 33) 간의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버퍼관리부(12)와; 상기 버퍼관리부(12)와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31 ~ 33) 또는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20)를 직렬통신으로 연결시키는 직렬통신 포트(13)와; 상기 버퍼관리부(12)와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 및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31 ~ 33)를 네트워크통신으로 연결시키는 네트워크통신 포트(15)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는, 랜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PC1(31)이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20)의 직렬통신 포트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PC1(31)에서 접속을 시도하면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 내의 버퍼관리부(12)에서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버퍼로부터 패킷을 받아 제어부(11)에서 접속허용 여부를 검사한 후 접속이 허용되지 않으면 상기 클라이언트 PC1(31)과의 접속을 거부하고, 접속이 허용되면 연결을 성립시킨 후 상기 클라이언트 PC1(31)로부터 전송된 특정한 종류의 데이터 요청 패킷을 받아 이 패킷에 해당하는 데이터 종류를 검사하고, 검사결과와 상기 클라이언트 PC1(31)의 네트워크 주소를 대응시키는 항목을 매핑 테이블로 저장한 다음, 상기 클라이언트 PC1(31)과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20) 간의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는, 랜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PC2(32)가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20)와 직접 연결을 시도한 경우,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20)에서 클라이언트 PC2(32)와의 접속허용 여부를 질의하는 패킷을 클라이언트 PC2(32)의 네트워크 주소와 함께 전송받아 접속허용 여부를 검사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 PC2(32)가 접속이 허용된 사용자이면 상기 클라이언트 PC2(32)에 허용된 PC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데이터의 종류와 허용여부를 네트워크통신 포트(전자교환기, 클라이언트 PC)(15)를 통해서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20)로 전송하여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20)와 상기 클라이언트 PC2(32)와의 직접연결을 성립시켜 데이터통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는, RS-232C 케이블로 상기 클라이언트 PC3(33)이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에 연결하여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32)의 직렬통신 포트를 통한 접속을 시도한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PC3(33)에서 전송되는 패킷을 버퍼관리부(12)를 거쳐 제어부(11)에서 데이터 타입을 검사하여 목적지 주소로 직렬통신 포트(클라이언트 PC)(13)의 포트 번호를 지정한 다음 상기 직렬통신 포트(클라이언트 PC)(13)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PC3(33)과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20) 간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 내의 통신 포트에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면 접속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제1 단계(ST11)(ST12)와; 상기 접속승인이 있으면, 접속승인을 처리하고 접속기록을 관리한 다음 접속 승인/거부 패킷을 형성하여 해당 통신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단계(ST13 ~ ST15)(ST19)와; 상기 접속승인이 없으면, 버퍼타입이 직렬통신 클라이언트 버퍼인지 또는 직렬통신 교환기 버퍼인지 또는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버퍼인지를 확인한 다음 데이터 타입을 검사하고, 데이터 분배 목적지 관리를 수행하여 데이터의 종류와 클라이언트 PC의 네트워크 주소를 대응시키는 항목을 매핑 테이블로 저장하고, 버퍼간 데이터 이동을 처리한 다음 해당 통신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3 단계(ST16 ~ ST20)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및 그 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그래서 도2와 같은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를 이용한 연결구조를 보면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가 간이 전자교환기(20)와 RS-232C 케이블로 직접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직렬통신 포트를 이용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항상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PC1(31) 또는 클라이언트 PC3(33)으로 전달된다.
클라이언트 PC1(31)은 랜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에 접속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더 많은 PC가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간이 전자교환기(20)의 직렬통신 포트를 공유하게 된다.
또한 클라이언트 PC3(33)의 경우처럼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의 다른 직렬통신 포트와 연결하여 다른 클라이언트 PC들과 간이 전자교환기의 직렬통신 포트를 공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에 2개 이상의 직렬통신 포트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더 많은 클라이언트 PC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만일 간이 전자교환기(20)가 복수개의 직렬통신 포트를 가지고 있다면 간이 전자교환기(20)와 클라이언트 PC들은 좀 더 넓은 대역폭을 이용하여 통신속도를 높일 수도 있고,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와 간이 전자교환기(20) 양측의 버퍼크기도 줄일 수 있게 된다.
클라이언트 PC2(32)의 경우에는 간이 전자교환기(20)와 랜 또는 인터넷을 통해 직접 연결을 시도한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간이 전자교환기(20)가 클라이언트 PC2(20)로부터의 연결을 성립시키기 전에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에 클라이언트 PC2(32)가 등록된 사용자인지와 사용가능한 PC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결정하여 간이 전자교환기(20)로 결과를 알려주게 된다. 만일 클라이언트 PC2(32)가 등록된 사용자일 경우에는 일단 연결 요청을 받아들이고, 이어서 클라이언트 PC2(32)가 요청하는 데이터가 사용가능한 PC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위한 것인지를 검사하여 사용가능하면 데이터의 송수신을 시작하고, 사용불가능하면 클라이언트 PC2(32)의 데이터 요청을 거부한다.
따라서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는 네트워크 통신 포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경우에는 데이터의 분배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 PC의 접속 허용여부를 결정하여 통보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게된다. 네트워크 통신포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의 경우에는 하나의 포트를 이용하더라도 복수의 클라이언트 PC와 간이 전자교환기(20)가 독립적인 연결을 이루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가 간이 전자교환기(20)와 클라이언트 PC 간의 데이터 분배 역할을 하게 된다면 오히려 양측간의 통신속도를 떨어뜨리고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에 별도의 부담을 지우게 될 것이다.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는 간이 전자교환기(20)로부터 특정 클라이언트 PC로부터의 연결요청 승인을 처리할 때 클라이언트 PC의 네트워크 주소, 접속 요청 시간 등의 데이터를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차후에 관리용도로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도3은 도2에서 데이터통신 관리서버의 상세블록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그래서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의 소프트웨어 모듈 다이어그램을 포함한 도면을 보면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를 구성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직렬통신 포트(클라이언트 PC)(13)는 클라이언트 PC 측에 연결된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의 직렬통신 포트를 의미한다. 직렬통신 포트(전자교환기)(14)는 간이 전자교환기(20)와 연결된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의 직렬통신 포트를 의미한다. 그리고 네트워크통신 포트(전자교환기, 클라이언트 PC)(15)는 간이 전자교환기(20)와 클라이언트 PC 모두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통신 포트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직렬통신 포트(13)(14)와 네트워크통신 포트(15)로 들어오고 나가는 모든 데이터 패킷은 일단 각각에 해당하는 버퍼에 저장된다. 버퍼를 통한 데이터의 입출력은 버퍼관리부(12)에서 처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직렬통신 포트(클라이언트 PC)(13)에서 들어온 데이터를 직렬통신 포트(전자교환기)(14)로 보내기 위해서는 버퍼관리부(12)가 직렬통신 클라이언트 버퍼에서 직렬통신 교환기 버퍼로 데이터를 옮긴 후, 미리 직렬통신 교환기 버퍼에 들어있던 데이터가 모두 송신되면 옮겨온 데이터를 간이 전자교환기로 전송하게 된다. 이것을 구현하는 방법에 따라서는 실제로 두 버퍼간에 데이터를 옮기지 않고 직렬통신 클라이언트 버퍼에 있는 데이터의 위치를 직렬통신 교환기의 버퍼 처리 블록에 알려주는 작업만을 수행하여 데이터가 버퍼간에 오가는 부담(Overhead)을 경감시킬 수도 있으나 이것은 구현상의 방법론이고, 어떠한 방법으로 구현을 하더라도 개념적인 동작은 동일하다.
그리고 간이 전자교환기로부터 접속승인 요청과 처리결과를 주고 받을 때에는 버퍼관리부(12)를 거치지 않고, 네트워크통신 포트(전자교환기, 클라이언트 PC)(15)와 제어부(11) 내의 접속허용 요청처리 사이에 직접적인 데이터 흐름이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버퍼가 요구되기는 하지만 이 버퍼는 상기에서 설명한 버퍼와는 별개의 소용량 버퍼이고 버퍼관리부(12)에서는 이 버퍼를 관리하지 않는다. 따라서 네트워크통신 포트(전자교환기, 클라이언트 PC)(15)와 제어부(11) 내의 접속허용 요청 처리 모듈 간에 오가는 데이터는 개념적으로는 직접적인 전달이 되게 된다.
한편 클라이언트 PC1 내지 클라이언트 PC3(31 ~ 33)에서의 데이터통신 수행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클라이언트 PC2(32)가 간이 전자교환기(20)에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간이 전자교환기(20)는 클라이언트 PC2(32)와의 접속허용 여부를 질의하는 패킷을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의 네트워크통신 포트(전자교환기, 클라이언트 PC)(15)로 보낸다. 이 패킷에는 클라이언트 PC2(32)의 네트워크 주소가 함께 실려 있다. 그러면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에서는 이 패킷을 제어부(11) 내의 접속허용 요청 처리 모듈로 보내게 되고, 이 모듈은 전송된 클라이언트 PC2(32)의 네트워크 주소에 대한 사항을 사용자 등록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클라이언트 PC2(32)가 접속이 허용된 사용자이면 클라이언트 PC2(32)에 허용된 PC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데이터의 종류와 허용여부를 네트워크통신 포트(전자교환기, 클라이언트 PC)(15)를 통해서 다시 간이 전자교환기(20)로 보낸다.
간이 전자교환기(20)에서는 이 패킷을 받은 후에 클라이언트 PC2(32)와의 연결을 성립시키게 되고, 이어서 클라이언트 PC2(32)가 자신의 PC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특정한 종류의 데이터를 요구하게 되면 데이터 통신 관리 서버로부터 받은 허용된 데이터의 종류(PC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와 비교하여 데이터 전송을 허용 또는 거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연결 성립 후 최초로 보내는 패킷이 간이 전자교환기(20)로의 로그온(Log-on) 요청 패킷이기 때문에 간이 전자교환기(20)로부터의 응답은 로그온 허용(Log-on Acknowledgment) 또는 로그온 거부(Log-on Negative Acknowledgment)의 형식을 띄게 된다. 이는 전적으로 특정 간이 전자교환기 및 PC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만일 클라이언트 PC2(32)가 사용자 등록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접속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 결과를 다시 간이 전자교환기(20)로 알려주게 되고, 간이 전자교환기(20)는 클라이언트 PC2(32)와의 접속을 거부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 등록 데이터베이스에는 모든 클라이언트 PC에 대해서 특정한 종류의 데이터(PC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를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을 수도 있다. 이는 모든 클라이언트 PC에 대해서 특정한 종류의 데이터(PC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를 허용해도 무관할 경우에 해당된다. 또한 접속 기록 관리 모듈에서는 접속 요청 기록 데이터베이스에 이러한 모든 상황에 대한 정보를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PC의 네트워크 주소, 접속 요청 시간, 접속 허용여부 등) 저장하게 된다.
한편 클라이언트 PC1(31)이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를 통하여 간이 전자교환기(20)의 직렬통신 포트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의 동작을 다음과 같다.
즉, 클라이언트 PC1(31)은 우선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에 접속을 시도한다.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의 버퍼관리부(12)는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버퍼로부터 패킷을 받아 제어부(11) 내의 접속승인 요청 처리 모듈로 전달한다. 상기한 클라이언트 PC2(3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접속허용 여부를 검사한 후 접속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PC1(31)과의 접속을 거부하고, 접속이 허용되는 경우에는 연결을 성립시킨 후, 클라이언트 PC1(31)로부터 전송된 특정한 종류의 데이터 요청(로그온 요청 등) 패킷을 받으면 접속허용 요청 처리 모듈로부터 받은 허용된 데이터의 종류(PC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와 비교한다.
그래서 허용된 경우에는 직렬통신 포트(전자교환기)로 패킷을 전송하게 되고, 허용이 안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속 요청을 거부한다. 접속이 허용된 경우에는 이 패킷이 제어부(11) 내의 데이터 타입 검사 모듈로도 전달되고, 여기서 이 패킷에 해당하는 데이터 종류를 검사한 후 이 결과를 클라이언트 PC1(31)의 네트워크 주소와 함께 제어부(11) 내의 데이터 분배 목적지 관리 모듈로 전달한다. 여기서 데이터의 종류와 클라이언트 PC의 네트워크 주소를 대응시키는 항목을 대응표(Mapping Table)의 형태로 저장하여 차후에 있을 패킷 전송에서 특정한 종류의 데이터를 어느 클라이언트 PC로 전송할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데이터 타입 클라이언트 매핑 테이블(Data-type-Client Mapping Table)은 파일이 저장되는 형태일 수도 있으나 좀더 빠르고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 데이터통신 관리서버(10)의 메모리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할 것이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데이터 타입 검사 후 데이터 종류를 배열의 인덱스(Index)로 사용하여 직접 클라이언트 PC의 주소를 얻을 수도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후에는 간이 전자교환기로부터 온 패킷은 일단 버퍼관리부(12)의 처리를 거치고 나서 제어부(11) 내의 데이터 타입 검사 모듈에서 데이터 종류 결정 처리를 받은 후 목적지 클라이언트 PC의 네트워크 주소를 얻어서 이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PC로 패킷을 전송하게 되고, 클라이언트 PC1(31)로부터의 패킷도 역시 데이터 타입 검사 모듈에서 데이터의 종류와 클라이언트 PC의 네트워크 주소를 검사하여 정확히 대응이 되면 이전에 접속허용이 된 경우이기 때문에 간이 전자교환기(2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클라이언트 PC3(33)이 RS-232C 케이블로 데이터 통신 관리 서버에 연결하여 간이 전자교환기(32)의 직렬통신 포트를 통한 접속을 시도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직렬통신 포트(클라이언트 PC)(13)로부터의 패킷이 버퍼관리부(12)를 거쳐 제어부(11) 내의 데이터 타입 검사 모듈로 전달되고, 데이터 분배 목적지 관리 모듈에서 목적지 주소로 직렬통신 포트(클라이언트 PC)(13)의 포트 번호를 지정하게 된다. 그 이후의 과정은 상기한 클라이언트 PC1(31)의 경우와 동일하나, 이 경우에는 제어부(11) 내의 접속허용 요청 처리 모듈에서 무조건 접속 허용을 하게 되고 클라이언트 PC3(33)은 모든 종류의 데이터(PC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서 송수신이 허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간이 전자교환기와 PC가 직렬통신 및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PC측 데이터 통신관리 서버에서 직렬통신 포트를 네트워크 상의 복수의 사용자 PC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간이 전자교환기 상의 네트워크 포트로 접속을 시도하는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 PC의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접속에 관한 기록을 저장하여 관리 용도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및 그 방법은 데이터통신 관리서버를 이용하여 간이 전자교환기의 한정된 직렬통신 포트를 복수의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간이 전자교환기의 자원 활용도를 매우 향상 시킬 수 있고, 더 많은 PC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간이 전자교환기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간이 전자교환기의 네트워크통신 포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악의를 가진 외부인이 간이 전자교환기 내부로 무단침입(Hacking)하여 간이 전자교환기의 자원을 임의로 사용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에 장애를 초래할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켜 간이 전자교환기의 안정적인 운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은 간이 전자교환기로의 접속에 대한 기록을 저장함으로서 차후의 관리용도로 쓰일 자료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관리를 훨씬 용이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6)

  1. 간이 전자교환기와 직렬통신 포트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와 네트워크통신 포트 또는 직렬통신 포트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는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의 직렬통신 포트를 공유하게 하여,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와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 간의 데이터통신을 관리하는 데이터통신 관리서버와;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와 직렬통신 포트 또는 네트워크통신 포트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와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간이 전자교환기와;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와 직렬통신 포트 또는 네트워크통신 포트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와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는,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의 접속승인요청을 처리하고 버퍼에 의한 데이터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와의 직렬통신을 위한 직렬통신 클라이언트 버퍼와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와의 직렬통신을 위한 직렬통신 교환기 버퍼와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와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와의 네트워크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버퍼를 구비하여,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와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 간의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버퍼관리부와;
    상기 버퍼관리부와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 또는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를 직렬통신으로 연결시키는 직렬통신 포트와;
    상기 버퍼관리부와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 및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PC를 네트워크통신으로 연결시키는 네트워크통신 포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는,
    랜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PC1이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의 직렬통신 포트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PC1에서 접속을 시도하면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 내의 버퍼관리부에서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버퍼로부터 패킷을 받아 제어부에서 접속허용 여부를 검사한 후 접속이 허용되지 않으면 상기 클라이언트 PC1과의 접속을 거부하고, 접속이 허용되면 연결을 성립시킨 후 상기 클라이언트 PC1로부터 전송된 특정한 종류의 데이터 요청 패킷을 받아 이 패킷에 해당하는 데이터 종류를 검사하고, 검사결과와 상기 클라이언트 PC1의 네트워크 주소를 대응시키는 항목을 매핑 테이블로 저장한 다음, 상기 클라이언트 PC1과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 간의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는,
    랜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PC2가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와 직접 연결을 시도한 경우,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에서 클라이언트 PC2와의 접속허용 여부를 질의하는 패킷을 클라이언트 PC2의 네트워크 주소와 함께 전송받아 접속허용 여부를 검사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 PC2가 접속이 허용된 사용자이면 상기 클라이언트 PC2에 허용된 PC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데이터의 종류와 허용여부를 네트워크통신 포트(전자교환기, 클라이언트 PC)를 통해서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로 전송하여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와 상기 클라이언트 PC2와의 직접연결을 성립시켜 데이터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는,
    RS-232C 케이블로 상기 클라이언트 PC3이 상기 데이터통신 관리서버에 연결하여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의 직렬통신 포트를 통한 접속을 시도한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PC3에서 전송되는 패킷을 버퍼관리부를 거쳐 제어부에서 데이터 타입을 검사하여 목적지 주소로 직렬통신 포트(클라이언트 PC)의 포트 번호를 지정한 다음 상기 직렬통신 포트(클라이언트 PC)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PC3과 상기 간이 전자교환기 간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6. 데이터통신 관리서버 내의 통신 포트에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면 접속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접속승인이 있으면, 접속승인을 처리하고 접속기록을 관리한 다음 접속 승인/거부 패킷을 형성하여 해당 통신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접속승인이 없으면, 버퍼타입이 직렬통신 클라이언트 버퍼인지 또는 직렬통신 교환기 버퍼인지 또는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버퍼인지를 확인한 다음 데이터 타입을 검사하고, 데이터 분배 목적지 관리를 수행하여 데이터의 종류와 클라이언트 PC의 네트워크 주소를 대응시키는 항목을 매핑 테이블로 저장하고, 버퍼간 데이터 이동을 처리한 다음 해당 통신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
KR1019990054018A 1999-11-30 1999-11-30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49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018A KR20010049089A (ko) 1999-11-30 1999-11-30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018A KR20010049089A (ko) 1999-11-30 1999-11-30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089A true KR20010049089A (ko) 2001-06-15

Family

ID=1962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018A KR20010049089A (ko) 1999-11-30 1999-11-30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908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131A (ko) * 2001-12-27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 기반의 교환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7219028B2 (en) 2003-05-15 2007-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testing hard disk drive
US7243043B2 (en) 2003-05-15 2007-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esting hard disk driv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for
US7401168B2 (en) 2003-05-15 2008-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via serial multi-port, and recording medium
CN100433662C (zh) * 2003-06-27 2008-11-12 沈阳工业学院 以太网监控的双独立互连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131A (ko) * 2001-12-27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 기반의 교환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7219028B2 (en) 2003-05-15 2007-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testing hard disk drive
US7243043B2 (en) 2003-05-15 2007-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esting hard disk driv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for
US7401168B2 (en) 2003-05-15 2008-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via serial multi-port, and recording medium
CN100433662C (zh) * 2003-06-27 2008-11-12 沈阳工业学院 以太网监控的双独立互连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2263A (en) Method for multiple independent processes controlling access to I/O devices in a computer system
US6292900B1 (en) Multilevel security attribute passing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in a stream
US56824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simultaneous services over multiple, simultaneous connections between a client and network server
US20020174307A1 (en) Security-enhanced network attached storage device
WO2021115449A1 (zh) 跨域访问系统、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US7448071B2 (en) Dynamic downloading of keyboard keycode data to a networked client
US20080052755A1 (en) Secure, real-time application execu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s
US20060143699A1 (en) Firewall device
KR20020001190A (ko) 네트워크망에서 내부자원의 보호기능이 강화된 보안장치및 그 운용방법
JPH1065737A (ja) 代理サーバ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CN101247393A (zh) 用于防止ip欺骗和促进专用数据区的解析的系统和方法
US200201699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token access to thin client architecture session
US7089378B2 (en) Shared receive queues
KR20010049089A (ko) 간이 전자교환기의 데이터통신 관리장치 및 그 방법
US7558257B2 (en) Information switch
JP2001022665A (ja) ソフトウェアコンポーネント間の通信のセキュリティを確保できる情報処理システム
US7003797B2 (en) Secur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entry in a distributed network
JP3796893B2 (ja) アドレス割り当てシステム及び装置
JP2568033B2 (ja) ルーズにつないだコンピュータ装置におけるプロセッサ間セッション経路指定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11416815B (zh) 报文处理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7228562B2 (en) Stream server apparatus, program, and NAS device
KR20010040981A (ko) 스택에 기초한 보안 조건
KR20000051051A (ko) 능동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3409295B2 (ja) サービス制御ノード内動作制御方法
KR100243678B1 (ko) 비동기 전달 모드 망의 주소 변환 프로토콜 서버 장치를 이용한폐쇄 사용자 그룹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