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6049A -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6049A
KR20010046049A KR1019990049640A KR19990049640A KR20010046049A KR 20010046049 A KR20010046049 A KR 20010046049A KR 1019990049640 A KR1019990049640 A KR 1019990049640A KR 19990049640 A KR19990049640 A KR 19990049640A KR 20010046049 A KR20010046049 A KR 20010046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code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8725B1 (ko
Inventor
옥경화
도영섭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90049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725B1/ko
Publication of KR20010046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7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장비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체계적이며 이해하기 용이하고 확장성을 갖도록 계층적 구조로 장비코드를 부여하여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를 관리하는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주어지는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가 어떤 장비류인가를 확인하여 장비류 코드를 부여하는 제 1 단계; 장비류 코드가 부여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어떠한 장비명 종류를 가지는지를 확인하여 장비명 종류 코드를 부여하는 제 2 단계; 장비류 코드와 장비명 종류 코드가 부여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단일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장비명 코드를 부여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부여된 장비 코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장비를 관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 설비 관리에 이용됨.

Description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FACILITIES OF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ING HIERARCHICAL ASSIGNED CODE}
본 발명은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IMT-2000) 등의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장비에 대하여 체계적인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통신 시스템 중에서도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IMT-2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여타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현재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구축을 위한 설계 및 설비 준비 단계이며 향후 차세대 이동통신망 구축과 더불어 망관리를 위한 각 관련 장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각 장비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장비자체 및 장비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코드화하여 표현, 저장하는 것이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적인 구축을 위해 필수적이다.
종래의 유선망이나 2세대 이동통신망에서는 각 장비에 대한 코드를 부분적으로 부여하여 관리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예 코드를 부여하지 않아 장비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타 정보를 이용하여 구분하는 경우가 있었고, 코드를 부여하는 방법에 있어 단편적으로 그 때 그 때 필요에 의해 부여하여 체계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부 한글로 된 코드의 사용으로 운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반면에 제한된 크기 내에서의 코드로 내용을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장비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체계적이며 이해하기 용이하고 확장성을 갖도록 계층적 구조로 장비코드를 부여하여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를 관리하는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장비코드의 체계적인 분류를 위한 계층적 구조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주요 장비에 대해 장비 코드 부여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지국 2 : 안테나
3 : 기지국 제어기 4 : 교환기
5 : 가입자 위치 등록 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망 설비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설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주어지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가 어떤 장비류인가를 확인하여 장비류 코드를 부여하는 제 1 단계; 장비류 코드가 부여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어떠한 장비명 종류를 가지는지를 확인하여 장비명 종류 코드를 부여하는 제 2 단계; 장비류 코드와 장비명 종류 코드가 부여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단일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장비명 코드를 부여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부여된 장비 코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장비를 관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무선통신망 설비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설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생산될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장비류 코드, 장비명 종류 코드 및 장비명 코드를 포함하는 장비코드를 부여하는 제 1 단계; 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무선통신시스템 장비에 장비코드를 전달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통신시스템 장비에 상기 장비코드를 바코드 형태로 부착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무선통신시스템 장비의 상기 장비코드를 확인하여 장비류, 장비명 종류 및 장비명 등의 장비 정보를 파악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비코드와 관련자료를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망 설비 관리 시스템에, 주어지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가 어떤 장비류인가를 확인하여 장비류 코드를 부여하는 제 1 기능; 장비류 코드가 부여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어떠한 장비명 종류를 가지는지를 확인하여 장비명 종류 코드를 부여하는 제 2 기능; 장비류 코드와 장비명 종류 코드가 부여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단일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장비명 코드를 부여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부여된 장비 코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장비를 관리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망 설비 관리 시스템에, 생산될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장비류 코드, 장비명 종류 코드 및 장비명 코드를 포함하는 장비코드를 부여하는 제 1 기능; 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무선통신시스템 장비에 장비코드를 전달하는 제 2 기능; 상기 무선통신시스템 장비에 상기 장비코드를 바코드 형태로 부착시키는 제 3 기능; 상기 무선통신시스템 장비의 상기 장비코드를 확인하여 장비류, 장비명 종류 및 장비명 등의 장비 정보를 파악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4 기능; 및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비코드와 관련자료를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제 5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망을 관리하기 위한 기본 정보가 되는 각 장비자체 및 장비 관련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코드 부여방법을 사용한다. 장비에 부여된 코드는 차세대 이동통신망 관리를 구현하는 타 관리영역에서 공통된 장비 코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공통된 코드의 사용은 망 관리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각 장비에 부여하는 코드는 체계적이고 이해하기 용이하며 확장성이 보장되도록 한다. 코드부여 자체에 업무 부하를 초래하거나 코드의 복잡성 및 어려움으로 인한 해독력(Readability)이 떨어지는 비효율적인 코드 부여는 전체 차세대 이동통신망 관리의 비효율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우선 코드부여대상 장비를 추출하고, 계층적인 장비분류방식에 따라 장비의 장비종류를 우선 분류하여 장비류 코드를 할당하는 과정과, 장비모델명에 따른 장비명 종류를 분류하여 장비명 종류코드를 할당하는 과정과, 장비의 위치정보 및 일련번호를 이용하여 단일(unique)한 장비명을 부여하는 과정을 통해 코드를 부여하게 되는데, 이렇게 구현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의 주요 관리대상 장비의 코드 부여에 대해 이를 프로그램화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로 관리하고 관리기능 구현 시 각 장비에 대한 정보 핸들링이 필요한 경우 이러한 코드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구성예시도이다.
우선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의 주요 관리대상 장비를 이용한 망 구성도는 도 1 과 같다. 기지국(BS : Base Station)(1)은 각 단말과 상호 전달되는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를 통한 무선접속 기능을 수행하고, 단말기와의 송수신 프로토콜의 처리, 무선채널의 설정 및 해제, 핸드오프등과 관련된 호 처리 기능, 단말기의 성능관리 품질측정 정보의 저장 및 보고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기지국 제어기(RNC : Radio Network Controller, 3)에서 요구하는 신호형태로 전달한다. 안테나(2)는 기지국(1)에 설치되는 안테나 시스템으로 단말기와 기지국(1)간의 무선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기지국 제어기(3)는 기지국(1)과 교환기(MSC : Message Switching Center, 4) 사이에 위치하며, 착,발신 호 처리 시 유무선 링크의 제어, 기지국(1) 관리, 트랜스코딩, 핸드오버 제어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이다.
교환기(4)는 차세대 이동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한 교환기능을 수행한다. 기본 교환기, 타 망과의 접속을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역할을 수행하는 교환기 및 신호중계 교환기로 구분될 수 있다. 가입자 위치 등록 장치(HLR : Home Location Register, 5)로 가입자의 호처리 정보 및 이동성 정보를 관리하는 대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서 가입자들의 서비스 제공 요구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그 외, 네트워크 장비, 전력 장비, 계측기, 부가 장비들이 차세대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요소 장비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주요 장비에 대해 체계적으로 코드를 부여하여 관리하는데, 이때,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장비 관리는 교환기(4)나 기지국 제어기(3)에서 종속되는 장비들을 관리하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장비코드의 체계적인 분류를 위한 계층적 구조를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장비에 대한 코드 부여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기반으로 정의한다.
장비류+장비명 종류+장비명으로 이루어지는 계층적인 구조로 코드를 부여한다.
즉, 기지국(1) 장비, 기지국 제어기(3) 장비, 안테나 시스템(2), 교환기(4), HLR(5) 등으로 구분하여 장비류(201)를 정의한다. 장비명 종류(202)는 각 장비의 제조사 및 종류에 따라 그 이름을 부여하며, 장비명(203)은 해당 장비의 단일(unique)한 장비명으로 주로 일련 숫자 및 위치 번호를 부여하여 단일성(uniqueness)을 보장한다.
코드명을 영문 표기를 기반으로 활용한다.
즉, 한글명은 운용자로 하여금 해독력(Readability)을 좋게 할 수는 있으나 제한된 크기로 표시하기 어려운 점이 있고, 각 장비 모델명이 거의 대부분 영문으로 제시되어 있어 영문 표기를 원칙으로 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특성 중 하나인 글로벌 로밍 서비스 지원을 위한 타 운용시스템과의 정보 교환을 위해서도 범세계적인 언어인 영문 코드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여되는 영문과 숫자표기는 해당 장비에 대한 해독력(Readability)을 높일 수 있도록 장비영문명의 이니셜 문자(initial character) 또는 납품업체의 장비 모델명 등을 활용하여 부여한다.
바코드 시스템 지원을 위하여 숫자코드를 병행하여 부여한다.
장비의 확장 및 구축에 따라 많은 장비의 입력이 필요하고, 장비의 이전, 장비의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의 빠른 입력 및 운용자의 입력 최소화를 위해 차세대 이동통신망 관리에서 바코드 시스템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에 바코드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각 장비의 숫자코드를 정의하고 해당 장비코드명과 일대일 매핑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바코드 내용을 읽으면 데이터베이스에 장비코드명이 바로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주요 장비에 대해 장비 코드 부여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우선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주요 장비에 따른 장비 코드 부여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장비류(2) 장비명 종류(4) 장비명(X)
장비류를 나타내는 코드는 2자리로 부여하며, 장비명 종류 코드는 4자리를 부여하고, 단일(unique)한 장비명 부여를 위한 자리수는 장비종류별로 장비의 위치정보 등을 사용하여 임의의 자리수를 할당한다.
상기한 도 2 와 같이 장비코드명에 대해 계층적 구조로 보면 상위계층에 장비류(201), 다음은 장비명 종류(202), 맨 마지막 계층으로 장비명(203)이 부여된다.
우선 최상위 계층인 장비류 코드는 다음의 [표 2]와 같이 부여할 수 있다.
장비류 코드 숫자코드 설명
MX 1 교환기(MSC : Message Switching Center)
SX 2 신호중계교환기
GX 3 게이트웨이(Gateway) 교환기
RC 4 기지국 제어기(RNC)
BS 5 기지국(BS)
AT 6 안테나 시스템
ST 7 안테나 섹터
HL 8 가입자 위치 등록장치(HLR)
AD 9 부가장비
RE 10 중계기
FT 11 광단국
FM 12 광다중화
NE 13 네트워크장비
분배장치, 전력장비, 계측기 등 타 장비류에 이와 같은 방법으로 코드 부여가 가능하다.
다음은 장비명 종류에 따른 코드 부여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앞의 두자리 장비류 코드와 함께 4자리 장비명 종류 코드를 추가하여 총 6자리 코드로 표현된다. 추가되는 4자리 장비명 종류 코드에서 더미 문자(dummy character)로 '-'을 사용하도록 하여 자리수를 맞춘다. 바코드를 위한 숫자코드는 장비명 종류 코드로 3자리를 할당하여 장비류 코드와 함께 총 5자리로 정의한다.
숫자코드는 각 장비종류별 001에서 시작하여 100단위로 숫자를 부여한다. 즉 각 장비종류별로 001, 101, 201 등으로 숫자를 부여한다. 장비명 종류에 따른 코드부여를 다음의 [표 3]과 같이 나타내고 있다.
장비류 코드 장비명 종류 코드 숫자코드 설명
MX TD10 1 TDX-10
MX TD1A 2 TDX-1A
MX T100 3 TDX-100
MX ATMX 4 비동기전송모드(ATM) 교환기
AD SMS- 101 부가서비스 정보 제공 노드
AD FMS- 102 팩스사서함
AD VMS- 103 음성사서함
HL APSV 201 HLR이 구현된 서버명 이용
RC AAAA 301 기지국제어기 장비의 모델명
BS BBBB 401 기지국 장비의 모델명
AT 2SEC/3SEC/OMNI 501/2/3 안테나시스템(2섹터형/3섹터형/옴니형)
FT ST01/ST04/ST16 601/2/3 광단국 시스템(155M/622M/2.5G)
위와 같은 방식으로 각 장비명 종류에 따라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최하위 계층의 장비명은 단일성(uniqueness)을 보장할 수 있는 일련번호나 위치번호를 부여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계층적 구조의 코드 부여는 장비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장비류에 따른 정보 추출, 장비명 종류에 따른 정보 추출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장비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에서의 코드 활용으로 프로그램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운용자로 하여금 키보드의 조작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코드명만으로도 어떠한 종류의 어떤 장비인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시스템에 대한 장비코드 부여에 관한 방법 제시이므로 확장성을 고려하여 구축시 부가되는 장비요소에 대한 코드부여가 용이하도록 숫자자리수 및 영문자리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부여된 코드는 장비데이터의 입력 외에도 장비의 장애 발생시 바코드를 읽어 해당 장비의 장애 상태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할 수 있고 장비의 관리전환 , 예를 들면 장비 유니트에 대한 관리전환이 발생하는 경우 장비 유니트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바코드의 숫자코드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주요 장비에 대해 장비 코드 부여를 도면에 제시한 흐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차세대 이동통신망에 사용되는 장비가 주어지면 어떤 장비류인가를 확인하여 장비류 코드를 부여한다(301). 이때, 장비류 코드는 영어, 숫자 등으로 부여되며, 어떠한 장비류에 속하느냐에 따라 해당되는 숫자코드도 함께 부여된다.
장비류 코드가 부여된 장비에 대해 어떠한 장비명 종류를 가지는지를 확인하여 장비명 종류 코드를 부여한다(302). 이는 상기한 장비류 코드보다 세분화된 것으로 주어지는 장비가 실제 어떠한 장비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여준다. 상기한 장비류 코드와 마찬가지로 영어로 부여되며, 숫자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에 따른 숫자코드도 함께 부여된다.
주어지는 장비에 대해 장비류 코드와 장비 코드가 부여되면 상기한 장비에 대해 단일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장비명 코드가 부여된다(303). 이는 실제 어떤 장비명을 가지는지를 확인하여 부여되며, 그 장비 고유의 독자성을 가지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 는 각 장비에 코드를 부여하고, 숫자코드를 활용하여 바코드를 지원하는 경우에 각 장비의 데이터 저장하여 관리하는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를 간략하게 표현하고 있다.
장비의 구매가 이루어지기 전에 각 장비업체에서 생산되는 장비에 대해 무선통신시스템의 시설관리시스템에서 상기한 도 3의 설명을 통해 제시된 방식에 따라 장비코드를 부여한다(401). 이때, 장비에 바코드로 표현할 수 있도록 장비코드와 함께 숫자코드를 부여한다.
각 장비에 바코드 부착을 전제로 장비납품이 이루어지도록 통신시스템을 통해 장비업체에 각 장비의 장비코드를 전달한다(402). 각 장비업체로부터 요구된 숫자코드로 된 장비코드를 포함하는 바코드가 부착된 장비를 납품받아(403) 시설관리시스템에서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이를 읽어들인다(404). 읽어들인 정보는 숫자코드와 영문코드의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영문의 장비코드로 매핑하고(405), 이렇게 읽어드린 장비코드를 통해 장비정보를 확인하여 이를 시설관리시스템의 운용자에게 제시한다(406).
장비류, 장비명 종류, 장비명 등 코드로 정의되어 바코드화된 정보는 최대한 이용하여 운용자의 키보드 입력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자동입력된 정보외 추가 입력사항을 시설관리시스템 운용자가 직접 입력한다(407). 입력이 완료되면 체계적인 장비코드에 따라 시설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 관리된다(8). 저장된 정보는 운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따라 추출되어 질 수 있는 상태가 되며, 복잡한 조건의 입력없이 주어진 장비 코드를 이용하여 조건에 맞는 해당 장비 데이터를 쉽게 추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하여 관리되는 장비 데이터에 의해 운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따라 복잡한 입력없이 주어진 장비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장비 데이터를 쉽게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시하는 계층적 구조의 코드 부여를 통해 장비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장비류에 따른 정보 추출, 장비명 종류에 따른 정보 추출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장비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에서의 코드 활용으로 프로그램을 간단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용자의 키보드 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코드명만으로도 어떠한 종류의 어떤 장비인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숫자 자리수 및 영문 자리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확장 구축시 부가되는 장비요소에 대한 코드부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데이터의 입력 외에도 장비의 장애 발생시 바코드를 읽어 해당 장비의 장애 상태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할 수 있고 장비의 관리전환, 예를 들면 장비 유니트에 대한 관리전환이 발생하는 경우 장비 유니트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바코드의 숫자코드를 이용하여 쉽게 읽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무선통신망 설비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설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주어지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가 어떤 장비류인가를 확인하여 장비류 코드를 부여하는 제 1 단계;
    장비류 코드가 부여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어떠한 장비명 종류를 가지는지를 확인하여 장비명 종류 코드를 부여하는 제 2 단계;
    장비류 코드와 장비명 종류 코드가 부여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단일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장비명 코드를 부여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부여된 장비 코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장비를 관리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코드는,
    영문코드와 함께 숫자코드로도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 방법.
  3. 무선통신망 설비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설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생산될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장비류 코드, 장비명 종류 코드 및 장비명 코드를 포함하는 장비코드를 부여하는 제 1 단계;
    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무선통신시스템 장비에 장비코드를 전달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통신시스템 장비에 상기 장비코드를 바코드 형태로 부착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무선통신시스템 장비의 상기 장비코드를 확인하여 장비류, 장비명 종류 및 장비명 등의 장비 정보를 파악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비코드와 관련자료를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 방법.
  4.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망 설비 관리 시스템에,
    주어지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가 어떤 장비류인가를 확인하여 장비류 코드를 부여하는 제 1 기능;
    장비류 코드가 부여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어떠한 장비명 종류를 가지는지를 확인하여 장비명 종류 코드를 부여하는 제 2 기능;
    장비류 코드와 장비명 종류 코드가 부여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단일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장비명 코드를 부여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부여된 장비 코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장비를 관리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5.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망 설비 관리 시스템에,
    생산될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장비류 코드, 장비명 종류 코드 및 장비명 코드를 포함하는 장비코드를 부여하는 제 1 기능;
    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무선통신시스템 장비에 장비코드를 전달하는 제 2 기능;
    상기 무선통신시스템 장비에 상기 장비코드를 바코드 형태로 부착시키는 제 3 기능;
    상기 무선통신시스템 장비의 상기 장비코드를 확인하여 장비류, 장비명 종류 및 장비명 등의 장비 정보를 파악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4 기능; 및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장비에 대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비코드와 관련자료를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제 5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90049640A 1999-11-10 1999-11-10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방법 KR100588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640A KR100588725B1 (ko) 1999-11-10 1999-11-10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640A KR100588725B1 (ko) 1999-11-10 1999-11-10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049A true KR20010046049A (ko) 2001-06-05
KR100588725B1 KR100588725B1 (ko) 2006-06-13

Family

ID=1961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640A KR100588725B1 (ko) 1999-11-10 1999-11-10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7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686B1 (ko) * 2007-08-14 2009-12-14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장비 패키지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132672B1 (ko) * 2011-10-14 2012-04-03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전자 계약서를 이용한 통합 인증 시스템
KR101492579B1 (ko) * 2007-04-20 2015-02-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변전소 자동화를 위한 iec 61850 데이타 변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132B1 (ko) 2013-01-11 2013-03-11 (주)처음정보기술 통합단자함을 계층적으로 관리하는 통합배선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579B1 (ko) * 2007-04-20 2015-02-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변전소 자동화를 위한 iec 61850 데이타 변환방법
KR100931686B1 (ko) * 2007-08-14 2009-12-14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장비 패키지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132672B1 (ko) * 2011-10-14 2012-04-03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전자 계약서를 이용한 통합 인증 시스템
WO2013054993A1 (ko) 2011-10-14 2013-04-18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전자 계약서를 이용한 통합 인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8725B1 (ko) 200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4008B2 (en) MDN-less SMS messaging (network solution) for wireless M2M application
US6684073B1 (en) Signalling method and conversion device for telecommunications networks
EP151961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egistration notification for over-the-air activation
US5210787A (en) Subscriber interrogation point
US6094578A (en) Gateway unit
US8346209B2 (en) Remote meter reading using the existing mobile network
WO1998002011A1 (en) A gateway unit
KR100588725B1 (ko) 체계적 장비코드 부여를 통한 무선통신시스템 설비 관리방법
CN1543255B (zh) 多协议数据库
EP1012900A2 (en) A system of controlling subscriber data
CN100455044C (zh) 控制用户本地操作的方法以及移动通信系统
CN101483852B (zh) 小区定位方法和移动交换中心设备
EP1280365B1 (en) Subscriber redirection
WO2001017308A1 (en) Management of location information
KR101055035B1 (ko)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번호이동성 장치 및 방법
US200500798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hort message service in network interworking between wireless public network and wired/wireless private network
KR100668640B1 (ko) 주문형 정보서비스를 위한 전송메시지 최소화 방법
KR100418967B1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신호 메시지의 총괄명 번역 장치 및방법
CN1543254A (zh) 数据库中的变长关键字的分类
US6487216B1 (en) Management of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0161156B1 (ko) 이동가입자와의 호중계시 중계망 선택방법
CN100536585C (zh) 具有多个信令点的局点公布一个全局翻译码的实现方法
CN100566258C (zh) 从计算系统检索数据的装置
KR10040178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문자 메시지를 외부 서버로 전환하는방법
KR20060084747A (ko)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 시스템간의 소프트핸드오버 시 넘버 7 시그널링 데이터의 효율적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