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5647A -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5647A
KR20010045647A KR1019990048991A KR19990048991A KR20010045647A KR 20010045647 A KR20010045647 A KR 20010045647A KR 1019990048991 A KR1019990048991 A KR 1019990048991A KR 19990048991 A KR19990048991 A KR 19990048991A KR 20010045647 A KR20010045647 A KR 20010045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lligent network
outgoing call
outgoing
messag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0179B1 (ko
Inventor
원진규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48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179B1/ko
Publication of KR20010045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1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dial plan and call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2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intelligent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에서 R2 및 ISUP(ISDN User Part) 출중계호 처리를 수행하는 도중에 지능망이 요구하는 감지점이 인지되는 경우 지능망과 연동하여 해당 지능망 측의 제어에 따라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교환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인 출중계호 처리 기능만을 제공할 뿐 지능망을 지원하는 출중계호 처리 기능이 존재하지 않아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었으며,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역적으로 흩어져 있는 모든 교환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변경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 처리를 수행하다가 소정 감지점이 인지되는 경우 해당 감지점을 지능망의 서비스 제어 시스템 측으로 보고하여 해당되는 출중계호 처리에 대한 제어를 요구한 후, 해당 서비스 제어 시스템의 제어를 받아 해당되는 출중계호 처리를 진행함으로써, 해당 출중계호 처리시 지능망과 연동하는 다양한 지능망 서비스가 가능해 짐과 동시에 가입자를 위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하더라도 해당 교환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해당 기능 추가 및 서비스 도입에 소요되는 인력 및 비용면에서는 많은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Description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Intelligent Network Processing Method For Outgoing Call In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R2 및 ISUP(ISDN User Part) 출중계호 처리를 수행하는 도중에 지능망이 요구하는 감지점이 인지되는 경우 지능망과 연동하여 해당 지능망 측의 제어에 따라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교환 시스템 고유의 목적에 적합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교환 시스템마다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했기 때문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교환 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상당수 변경해야 했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교환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담당하는 부분을 별도로 분리하고, 이를 유닉스(UNIX)와 같은 범용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에서 구현하여 교환 시스템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설계하고 구현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이고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차세대 지능망(Advenced Intelligent Network ; 이하, '지능망'이라 칭함)이 도입되었으며, 해당 지능망을 범용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구축함으로써, 빠르게 발전하는 컴퓨터 기술에 맞춰 최신 기술을 신속하게 도입하여 해당 교환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교환 시스템에서의 각종 호 처리 능력은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 시스템이 보유한 서비스 처리 소프트웨어의 수준에 따라 좌우되므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역적으로 흩어져 있는 모든 교환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소프트웨어를 변경해야 하는 노력과 비용이 요구된다.
즉, 종래의 교환 시스템은 가입자의 소정 서비스 요구에 대해 자신의 소프트웨어에서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만을 제공했을 뿐, 아직까지 해당 교환 시스템에서 지능망을 지원하는 출중계호(R2 출중계호/ISUP 출중계호) 처리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아 단지 기본적인 출중계호 처리만을 제공한다.
한편, 종래 교환 시스템에서의 기본적인 출중계호 처리 동작을 첨부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당 교환 시스템의 기본 호 처리 블록(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은 발신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착신번호의 국번을 분석한 후, 해당 국번을 분석한 결과 출중계호인 것으로 확인되면(스텝 S21), 해당되는 출중계 루팅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기본 호 처리 블록은 착신번호를 분석하여 얻은 루팅 케이스(Routing Case), 발신지, 클래스(class), 비상(emergency) 정보 등을 이용해서 해당 출중계호의 루팅이 가능한지를 확인한다(스텝 S22).
그래서, 해당 출중계호의 루팅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발신측으로 관련 메시지를 송출한 후(스텝 S31), 해당 발신측으로부터 복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복구 완료 메시지를 송출하고(스텝 S32), 해당 출중계호를 종료한다.
그런데, 스텝 S22에서 해당 출중계호의 루팅이 가능한 경우에는 해당되는 출중계 루트 정보를 분석하여 유휴 중계선을 점유하게 되는데(스텝 S23), 이때, 정상적으로 중계선을 점유하면 발신 가입자에게 출중계선 점유를 통보하여 스위치 연결을 요청한 후(스텝 S24), 해당 스위치 연결 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출중계호 처리 상태로 천이한다.
하지만, 해당 출중계선 점유에 실패하면 동일 루트내의 유휴 중계선을 재선택하여 점유를 재시도하되, 만약 유휴 중계선이 존재하지 않으면 중계선 폭주 메시지를 발신측으로 송출한 후, 해당 발신측으로부터 복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복구 완료 메시지를 송출하고, 해당 출중계호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4에서 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해당되는 출중계호 접속 정보(중계선 번호, 발신/착신번호 등)가 포함된 초기 주소 메시지(Initial Address Message)를 착신측 교환 시스템으로 전송한 후(스텝 S25), 해당 착신측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초기 주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주소 완료 메시지(Address Complete Message)가 수신되기를 기다리는 출중계호 처리 상태로 천이한다.
이때, 해당 착신측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주소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발신측으로 착신 상태를 중계한 후(스텝 S26), 착신 가입자로부터 출중계호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기를 기다린다(스텝 S27).
이후, 해당 착신 가입자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출중계호의 상태를 통화중으로 설정하고(스텝 S28), 발신측으로 해당 메시지를 송출하여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간에 통화로를 접속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스텝 S29).
그런데, 스텝 S27에서 해당 착신 가입자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무응답에 의한 복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복구 완료 메시지 송출하고(스텝 S32), 해당 출중계호를 종료한다.
그리고, 해당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간에 통화가 종료되어 복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복구 완료 메시지를 송출한 후, 점유했던 중계선을 유휴 상태로 변경하고 통화로 접속을 복구한 후(스텝 S30), 해당 출중계호를 종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교환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인 출중계호 처리 기능만을 제공할 뿐 지능망을 지원하는 출중계호 처리 기능이 존재하지 않아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었으며,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역적으로 흩어져 있는 모든 교환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변경해야 하는 노력과 인력 및 비용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 처리를 수행하다가 소정 감지점이 인지되는 경우 해당 감지점을 지능망의 서비스 제어 시스템 측으로 보고하여 해당되는 출중계호 처리에 대한 제어를 요구한 후, 해당 서비스 제어 시스템의 제어를 받아 해당되는 출중계호 처리를 진행함으로써, 해당 출중계호 처리시 지능망과 연동하는 다양한 지능망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입자를 위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하더라도 교환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해당 기능 추가 및 서비스 도입에 소요되는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교환 시스템의 호 처리를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 교환 시스템에서의 기본적인 출중계호 처리 동작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를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교환 시스템 31 : 기본 호 처리 블록
32 : 지능망 호 처리 블록 40 : 서비스 제어 시스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출중계호 처리시 인지되는 감지점을 지능망 측으로 보고하는 과정과; 상기 지능망 측의 제어에 따라 지능망 서비스가 요구하는 지능망 출중계호 처리를 진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나아가, 상기 지능망 서비스가 요구하는 지능망 출중계호 처리를 진행하는 과정은, 상기 지능망 측의 제어를 받기 위한 지능망 출중계호 처리 상태로 천이하여 지능망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기를 기다리는 단계와; 출중계호 처리시 보고된 감지점을 체크하여 해당되는 지능망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지능망 제어 메시지를 수신받아 해당되는 지능망 출중계호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발신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착신번호의 국번을 분석하는 과정과; 지능망 출중계호인 것으로 확인된 출중계호에 대해 루팅 가능한 출중계 루트를 지정하는 과정과; 지정된 출중계 루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유휴 중계선을 점유하는 과정과; 상기 지능망 출중계호 접속 정보가 포함된 초기 주소 메시지 전송에 따른 주소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기를 기다리는 과정과; 주소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발신측으로 착신 상태를 중계한 후, 착신 가입자로부터 상기 지능망 출중계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되기를 기다리는 과정과;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지능망 출중계호의 상태를 통화중으로 설정하여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간에 통화하게 하는 과정과; 통화가 종료되어 복구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중계선을 유휴 상태로 변경하고 통화로 접속을 복구하여 상기 지능망 출중계호를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나아가, 상기 지능망 출중계호에 대해 루팅 가능한 출중계 루트를 지정하는 과정은, 상기 착신번호를 분석하여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능망 출중계호의 루팅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지능망 출중계호의 루팅이 불가능한 경우 발신측으로 관련 메시지를 송출하여 지능망 출중계호를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지능망 출중계호의 루팅이 가능한 경우 인증된 지능망 서비스가 출중계선으로 검증됨에 따라 루팅 가능한 출중계 루트를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초기 주소 메시지 전송에 따른 주소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기를 기다리는 과정은, 발신 가입자에게 출중계선 점유를 통보하여 스위치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처리되는 경우 해당되는 지능망 출중계호 접속 정보가 포함된 초기 주소 메시지를 착신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착신측으로부터 초기 주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주소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기를 기다리는 출중계호 처리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신 가입자로부터 지능망 출중계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되기를 기다리는 과정에서, 상기 착신 가입자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음에 따라 무응답 보고를 받거나, 발신 가입자의 출중계호 포기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능망의 서비스 제어 시스템에 의한 예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서비스(call/service) 처리와 제어를 위한 기본 호 처리 블록(31)과, 기본 호 처리 블록(31)과 연결되어 지능망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지능망 호 처리 블록(32)을 구비하는 다수의 교환 시스템(SSP ; Service Switching Point, 30)을 포함하는 전달 계층과, 해당되는 지능망 서비스를 위한 출중계호 처리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 시스템(SCP ; Service Control Point, 40)을 포함하는 서비스 계층으로 분류되는데, 해당 전달 계층은 음성 데이터등의 정보를 실제로 교환/전송하되, 지능망 서비스를 위한 정보는 서비스 계층에 전달되어 해당 지능망 서비스를 위한 출중계호 처리 제어를 받으며, 해당 서비스 계층은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 및 서비스 제어 로직을 보유하여 해당 전달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지능망 서비스 요구에 따라 해당되는 출중계호 처리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30)에서 출중계호 처리시 지능망과 연동하여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해당 출중계호 처리를 수행하는 도중에 지능망이 요구하는 감지점(Detection Point)이 인지되는 경우 해당 지능망의 서비스 제어 시스템(40)의 제어를 받아 지능망 서비스를 위한 출중계호 처리를 진행하게 된다.
즉, 해당 전달 계층의 교환 시스템(30)은 출중계호 처리를 수행하는 도중에 소정 감지점이 인지되는 경우 이를 서비스 계층의 서비스 제어 시스템(40)으로 보고하여 해당되는 출중계호 처리에 대한 제어를 요구한 후, 해당 서비스 제어 시스템(40)으로부터 제어받을 수 있는 상태로 천이하여 지능망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기를 기다리다가 해당되는 지능망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지능망 서비스가 요구하는 출중계호 처리 상태로 천이하여 해당 출중계호 처리를 계속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감지점이란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서비스를 위해 알아야 하는 호 처리 흐름상의 특정 이벤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당 출중계호 처리를 수행하는 중에 발생한 특정 이벤트로 교환 시스템(30)의 지능망 호 처리 블록(32)에서 감지하여 서비스 계층의 서비스 제어 시스템(40)으로 보고하면, 해당 서비스 제어 시스템(40)에서 보고된 감지점을 체크한 후, 해당되는 지능망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여 해당 교환 시스템(30)의 출중계호 처리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지능망에서 요구하는 감지점으로는 인증된 지능망 서비스가 출중계선으로 검증된 시점인 감지점 12(DP_12, Term.Attempt_Authorized)와, 착신 가입자로부터 착신 응답 보고를 받은 시점인 감지점 15(DP_15, T_Answer)와, 지능망 출중계호 처리 도중에 발신 가입자에 의한 출중계호 포기가 감지되는 시점인 감지점 18(DP_18, T_Abandon)과, 착신 가입자로부터 무응답 보고를 받은 시점인 감지점 14(DP_14, T_No_Answer)와, 착신 가입자가 통화중인 것으로 보고를 받은 시점인 감지점 13(DP_13, T_Busy)과, 통화 종료에 따른 출중계호 복구 보고를 받은 시점인 감지점 17(DP_17, T_Disconnect) 및 착신 가입자에 의한 부가적인 서비스 요구가 감지되는 시점인 감지점 16(DP_16, T_Mid_Call)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당 교환 시스템(30)의 기본 호 처리 블록(31)에서 발신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착신번호의 국번을 분석한 후, 해당 국번을 분석한 결과 지능망 출중계호인 것으로 확인되면(스텝 S41), 지능망 호 처리 블록(32)에서 해당되는 지능망 서비스를 위한 출중계 루팅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착신번호를 분석하여 얻은 루팅 케이스(Routing Case), 발신지, 클래스(class), 비상(emergency) 정보 등을 이용해서 해당 지능망 출중계호의 루팅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게 된다(스텝 S42).
그래서, 해당 지능망 출중계호의 루팅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발신측으로 관련 메시지를 송출한 후(스텝 S52), 발신측으로부터 복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복구 완료 메시지를 송출하고(스텝 S53), 해당 지능망 출중계호를 종료하게 된다.
그런데, 스텝 S42에서 해당 지능망 출중계호의 루팅이 가능한 경우에는 인증된 지능망 서비스가 출중계선으로 검증되는 감지점 12에 도달하여 루팅 가능한 출중계 루트를 지정하게 된다(스텝 S43).
이후, 지정된 출중계 루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유휴 중계선을 점유하게 되는데(스텝 S44), 이때, 정상적으로 중계선을 점유하면 발신 가입자에게 출중계선 점유를 통보하여 스위치 연결을 요청한 후(스텝 S45), 해당 스위치 연결 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지능망 출중계호 처리 상태로 천이하게 된다.
하지만, 해당 출중계선 점유에 실패하면 동일 루트내의 유휴 중계선을 재선택하여 점유를 재시도하되, 만약 유휴 중계선이 존재하지 않으면 중계선 폭주 메시지를 발신측으로 송출한 후, 해당 발신측으로부터 복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복구 완료 메시지를 송출하고, 해당 지능망 출중계호를 종료하게 된다.
한편, 스텝 S45에서 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해당되는 출중계호 접속 정보(중계선 번호, 발신/착신번호 등)가 포함된 초기 주소 메시지(Initial Address Message)를 착신측 교환 시스템으로 전송한 후(스텝 S46), 해당 착신측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초기 주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주소 완료 메시지(Address Complete Message)가 수신되기를 기다리는 출중계호 처리 상태로 천이하게 된다.
이때, 해당 착신측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주소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발신측으로 착신 상태를 중계한 후(스텝 S47), 착신 가입자로부터 출중계호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기를 기다되는데(스텝 S48), 이때, 해당 착신 가입자가 통화중인 것으로 보고되는 감지점 13에 도달하거나, 발신 가입자의 출중계호 포기가 감지되는 감지점 18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지능망의 서비스 제어 시스템(40)에 의한 예외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스텝 S54).
하지만, 스텝 S48에서 해당 착신 가입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감지점 15에 도달하여 해당 출중계호의 상태를 통화중으로 설정하고(스텝 S49), 발신측으로 해당 메시지를 송출하여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간에 통화로를 접속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스텝 S50).
그런데, 스텝 S48에서 해당 착신 가입자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아 무응답 보고를 받음에 따라 감지점 14에 도달하거나, 해당 발신 가입자의 출중계호 포기가 감지되는 감지점 18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지능망의 서비스 제어 시스템(40)에 의한 예외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스텝 S54).
이후, 해당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간에 통화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해당 착신 가입자로부터 부가적인 서비스 요구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감지점 16에 도달하게 되고, 해당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간에 통화가 종료되어 복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복구 완료 메시지를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교환 시스템은 점유했던 중계선을 유휴 상태로 변경하고 통화로 접속을 복구한 후, 해당 지능망 출중계호를 종료함에 따라 감지점 17에 도달하여(스텝 S51), 해당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서비스를 종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통신망의 기능을 전달 계층과 서비스 계층으로 분리하여 지능망 서비스 처리 소프트웨어를 서비스 계층내에 국한시키고, 교환 시스템(30)의 기본 호 처리 블록(31) 및 지능망 호 처리 블록(32)이 연결되어 서비스 계층에 위치한 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의 제어를 받아 지능망 출중계호 처리를 진행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하더라도 교환 시스템(30)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해당 기능 추가 및 서비스 도입에 소요되는 인력 및 비용면에서는 많은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 처리를 수행하다가 소정 감지점이 인지되는 경우 해당 감지점을 지능망의 서비스 제어 시스템 측으로 보고하여 해당되는 출중계호 처리에 대한 제어를 요구한 후, 해당 서비스 제어 시스템의 제어를 받아 해당되는 출중계호 처리를 진행함으로써, 해당 출중계호 처리시 지능망과 연동하는 다양한 지능망 서비스가 가능해 진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입자를 위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하더라도 교환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해당 기능 추가 및 서비스 도입에 소요되는 인력 및 비용면에서는 많은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Claims (6)

  1. 출중계호 처리시 인지되는 감지점을 지능망 측으로 보고하는 과정과; 상기 지능망 측의 제어에 따라 지능망 서비스가 요구하는 지능망 출중계호 처리를 진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 서비스가 요구하는 지능망 출중계호 처리를 진행하는 과정은, 상기 지능망 측의 제어를 받기 위한 지능망 출중계호 처리 상태로 천이하여 지능망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기를 기다리는 단계와; 출중계호 처리시 보고된 감지점을 체크하여 해당되는 지능망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지능망 제어 메시지를 수신받아 해당되는 지능망 출중계호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
  3. 발신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착신번호의 국번을 분석하는 과정과; 지능망 출중계호인 것으로 확인된 출중계호에 대해 루팅 가능한 출중계 루트를 지정하는 과정과; 지정된 출중계 루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유휴 중계선을 점유하는 과정과; 상기 지능망 출중계호 접속 정보가 포함된 초기 주소 메시지 전송에 따른 주소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기를 기다리는 과정과; 주소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발신측으로 착신 상태를 중계한 후, 착신 가입자로부터 상기 지능망 출중계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되기를 기다리는 과정과;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지능망 출중계호의 상태를 통화중으로 설정하여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간에 통화하게 하는 과정과; 통화가 종료되어 복구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중계선을 유휴 상태로 변경하고 통화로 접속을 복구하여 상기 지능망 출중계호를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 출중계호에 대해 루팅 가능한 출중계 루트를 지정하는 과정은, 상기 착신번호를 분석하여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능망 출중계호의 루팅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지능망 출중계호의 루팅이 불가능한 경우 발신측으로 관련 메시지를 송출하여 지능망 출중계호를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지능망 출중계호의 루팅이 가능한 경우 인증된 지능망 서비스가 출중계선으로 검증됨에 따라 루팅 가능한 출중계 루트를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주소 메시지 전송에 따른 주소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기를 기다리는 과정은, 발신 가입자에게 출중계선 점유를 통보하여 스위치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처리되는 경우 해당되는 지능망 출중계호 접속 정보가 포함된 초기 주소 메시지를 착신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착신측으로부터 초기 주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주소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기를 기다리는 출중계호 처리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가입자로부터 지능망 출중계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되기를 기다리는 과정에서, 상기 착신 가입자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음에 따라 무응답 보고를 받거나, 발신 가입자의 출중계호 포기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능망의 서비스 제어 시스템에 의한 예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
KR1019990048991A 1999-11-05 1999-11-05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 KR100330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991A KR100330179B1 (ko) 1999-11-05 1999-11-05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991A KR100330179B1 (ko) 1999-11-05 1999-11-05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647A true KR20010045647A (ko) 2001-06-05
KR100330179B1 KR100330179B1 (ko) 2002-03-28

Family

ID=19618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991A KR100330179B1 (ko) 1999-11-05 1999-11-05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1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940B1 (ko) * 2002-09-27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신 기본 호 상태 모델 개념을 이용한 출중계호 처리 방법
KR100781220B1 (ko) * 2007-02-07 2007-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번호에 대한 isup 트레이스를 위한 tldn 할당방법 및 이를 위한 교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741B1 (en) * 1993-12-16 1996-07-24 Cheil Foods & Chem Preparation process of seasoning oil
KR0139586B1 (ko) * 1994-12-12 1998-07-01 양승택 중계 서비스 교환기를 이용한 단국 서비스 교환기의 지능망 서비스 호처리 방법
KR100206475B1 (ko) * 1997-02-27 1999-07-01 윤종용 교환시스템의 지능망 서비스 구현방법
KR19990052903A (ko) * 1997-12-23 1999-07-15 유기범 교환기에 있어서 지능망 호 추적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940B1 (ko) * 2002-09-27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신 기본 호 상태 모델 개념을 이용한 출중계호 처리 방법
KR100781220B1 (ko) * 2007-02-07 2007-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번호에 대한 isup 트레이스를 위한 tldn 할당방법 및 이를 위한 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0179B1 (ko) 200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4068B1 (en) Network structure and a signalling protocol for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5394463A (en) Telephone call processing arrangement based on calling and called party telephone services
JP3249249B2 (ja) 呼出設定法と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
JP3481334B2 (ja) 通信ユニットに対して位置従属型と位置独立型の機能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261937B1 (ko) 호출 가입자 식별 고지 서비스용 장치
JP3526883B2 (ja) 電気通信トラヒックのルートを変えるための方法
CA2255053A1 (en) Call transfer in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JPH0686343A (ja) 呼ルーティング方法および呼リダイレクト方法
WO1997050231A2 (en) Providing feature logic control in a telephone system
KR100447038B1 (ko) 링백톤 대체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EP0632667A2 (en) Method for releasing unnecessary trunks from a telephone call
JPH1093694A (ja) 接続設定方法と交換機、サービスコンピュータおよび通信ネットワーク
EP1054569A1 (en)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across a telephone network and an IP network
US6625143B1 (en) Switch having virtual access network capability and switching system thereof
KR100330179B1 (ko)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
US6341126B1 (en) Inhomogeneous connections
EP0748133B1 (en) Method for operating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ssociated network
US6826274B1 (en) Exchange control method
US7130407B1 (en) Method for processing call establishment requests
KR100285504B1 (ko) 지능망시스템과지능형부가장치간접속방법
KR960013264B1 (ko)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재시도 방법
KR100303642B1 (ko) 호 전환 시 경로최적화 방법
JP2002218055A (ja) 交換制御システム及び交換制御方法
WO2002035860A1 (en) Adaptive regulation in a mobile system
KR20020040954A (ko)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