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790A - 엔진용 밸브트레인 - Google Patents

엔진용 밸브트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790A
KR20010044790A KR1020010015474A KR20010015474A KR20010044790A KR 20010044790 A KR20010044790 A KR 20010044790A KR 1020010015474 A KR1020010015474 A KR 1020010015474A KR 20010015474 A KR20010015474 A KR 20010015474A KR 20010044790 A KR20010044790 A KR 20010044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train
hard
tappet
binder metal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9338B1 (ko
Inventor
김강형
Original Assignee
이건환
연우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환, 연우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건환
Priority to KR10-2001-0015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338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22F1/0003

Landscapes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밸브트레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캠(6)의 상부에 타펫(5)을 캠(6)에 의해 상, 하강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타펫(5)의 상부에 푸시로드(4) 및 로커아암(3)을 설치하며, 상기 로커아암(3)의 타단에는 실린더 밸브(1) 및 밸브스프링(2)을 설치하여 캠(6)의 회동에 따라 타펫(5)이 상, 하강되어 실린더밸브(1)가 개폐하도록 되어 있는 통상의 밸브트레인에 있어서, 상기 타펫(5)이 상, 하강될 때 캠(6)과 접촉하는 타펫(5)의 하부 및 푸시로드(4)와 접촉하는 로커아암(3)의 하부에 각각 경질소결층(7)형성하되, 상기 경질소결층(7)의 소결 바인더금속이 주기율표의 전이금속 중에서 ETM이 원자비로 15 ∼ 45%, LTM이 30 ∼ 65%, 그리고 석출강화 원소와 석출물 안정화 원소로서 ⅠB, ⅡB, ⅢA와 ⅣA족에 속하는 원소가 단독 또는 복합으로 10 ∼ 30%, 그 외에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바인더금속 분말을 이용하여 경질입자를 소결함으로써 로커 아암과 타펫의 마찰면에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엔진용 밸브트레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엔진용 밸브트레인{VALVE TRAI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엔진의 밸브트레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커 아암과 타펫의 마찰면에 내마모성이 우수한 경질소결층을 형성함으로써, 로커 아암과 타펫의 마찰면에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엔진용 밸브트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에서 실린더밸브를 여닫는 역할을 하는 기구를 밸브트레인계라 하는데, 상기 밸브트레인은 로커 아암과 푸시로드, 그리고 타펫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커 아암과 타펫은 엔진 밸브와 캠 샤프트 사이에서 캠의 변위변화를 이용하여 밸브가 왕복운동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최근에는 환경보호와 소비자보호운동에 의해 고출력, 고연비, 무정비 (maintenance - free) 엔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밸브트레인계의 사용환경은 점점 가혹해지고 있다. 그중 로커 아암과 타펫의 파손(Failure)은 각각 푸시로드와 캠과의 접촉에서 고속으로 미끄럼 마찰을 하기 때문에 미끄럼 마모(sliding wear)에 의해 스커핑(scuffing)을 일으키거나 표면피로에 의한 박리현상인 피팅(pitting)을 일으킨다. 이같은 이상 마모현상으로 마모접촉면에서의 윤활이 원활할 수 없기 때문에 엔진 소음증가와 밸브개폐 시기의 불안정화나 밸브 기밀유지의 불안정으로 연료가 불완전연소하고 결국 소음이나 배기가스의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통상 사용되는 밸브트레인을 도 1 에 도시하고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밸브트레인 외에도 여러 종류의 형태가 있다. 도 1 은 보편적인 밸브트레인을 도시한 것으로 캠(6)의 상부에 타펫(5)을 캠(6)에 의해 상, 하강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타펫(5)의 상부에 푸시로드(4) 및 로커아암(3)을 설치하며, 상기 로커아암(3)의 타단에는 실린더 밸브(1) 및 밸브스프링(2)을 설치하여 캠(6)의 회동에 따라 타펫(5)이 상, 하강되어 실린더밸브(1)가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타펫(5)이 상, 하강될 때 캠(6)과 접촉하는 타펫(5)의 하부 및 푸시로드(4)와 접촉하는 로커아암(3)의 하부가 항상 수직을 이루어 실린더를 따라 상하왕복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캠 샤프트나 타펫 중의 어느 한 쪽이라도 허용범위를 넘는 오차가 있거나, 캠 샤프트가 축방향의 과도한 하중으로 굽힘변형을 일으키는 경우로 인해 정확한 수직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캠 샤프트와 평행한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캠 워킹(cam walking)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캠 워킹을 해결하기 위해 타펫을 캠에 약간 기울여 접촉하도록 장착하는데, 이는 캠과 타펫 간의 접촉면을 줄이는 효과를 내게 되어 마모가 보다 심하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타펫 표면을 곡면(Spherical radius)의 크라우닝 (crowning)으로 가공하여 캠과의 사이에서 선접촉과 점접촉의 중간형태가 되게하여 극단적인 엣지 접촉(edge contact)을 피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만약 반경이 충분하게 크지 않으면 타펫표면에 심한 코킹하중(cocking loads)이 걸리고 캠과 타펫이 자꾸 끼이는 재밍(jamming)이 발생하여 요면(凹面) 마모 또는 역 플랭크(reverse flanks)를 유발한다. 코넬(Calvin C. Connel)은 미국특허 제4,739,675호에서 타펫의 접동면이 약 1500mm이상의 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될 때 가장 바람직한 선접촉을 이룬다고 하였다. 만약 바람직하게 선접촉을 이룬다면 타펫면에 r/2(r=반경)에 해당하는 원으로 접촉흔적을 형성하며 정상마모가 진행된다. 그러나 이런 방법도 엣지접촉에 대한 완벽한 대비책은 못될 뿐 더러 고경질의 타펫면을 완벽한 곡면으로 가공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조도와 마모입자 등에 의해 접촉위치가 쉽게 달라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마모는 초기의 길들이기(running-in)과정이 그 후 마모양상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하다. 따라서 가공치수관리, 조도관리,마모입자관리와 오일의 청정도 관리 등을 모두 만족하지 않으면 크라우닝으로 곡면가공하는 것만으로는 효과가 없다.
선접촉을 유지하여 마모를 줄이기 위한 해결방법으로는 러스트(Robert H. Rust)가 미국 특허 제3,915,129호에서 소개한 타펫의 밑부분에 접동면만 평면을 갖는 타펫의 외경보다 작은 구형 볼을 삽입하여 볼의 평면이 캠을 타고 움직이면서 항상 선접촉이 되게 하는 구조가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볼이 타펫몸체에 단단히 박혀 있어야 캠과의 마찰중에 빠져나오는 일이 없기 때문에 타펫이 볼을 감싸듯이 하여 고정한다.
이때 볼의 곡면은 많은 부분이 타펫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마찰이 큰 상태가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나 기술은 제시하지 못하였다. 또 볼의 직경이 작은 데다 일부 면만 평면가공하므로 캠과의 접촉면이 충분하지 못한 까닭에 볼과 타펫 사이의 마찰이 크면 캠이 회전할 때 함께 연동하지 못하고 선접촉이 되지 않거나 단속적으로 재밍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미국특허 제5,553,512호에서는 접동부에 롤러를 설치하여 캠에 대응하여 회전함으로써 마모를 줄이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기술은 부품 가공비가 지나치게 많아지고 복잡하여 차량용 엔진과 같이 적은 용량의 엔진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타펫 접동면에 고합금강 소결층을 형성함으로써 경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 소개되었다. 미국특허 제4,230,491호와 제5,609,128호에서는 내열합금 조성의 분말을 소결하여 붙임으로써 내마모성을 증가시켰다. 그 중 특허 제4,230,491호는 내열 합금원소와 0.5 ∼ 1.0%의 탄소를 철분말과 소결하여 탄화물 및 윤활성이 좋은 흑연을 석출하는 방식이고, 특허 제5,609,128호는 Fe-C-Cr-Mo-W-V 경질합금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이들은 합금 내에 석출하는 탄화물의 분율이 적어 높은 내면압성을 확보하기에는 미흡한 단점이 있다. 이들과 달리 보다 높은 경도의 세라믹을 부착함으로써 대응하는 것으로 미국특허 제5,060,607호, 제5,168,841호, 제5,185,923호, 제5,253,418호, 제5,662,076호, 제5,758,415호, 제5,943,990호, 제6,073,345호, 제6,110,605가 있다. 이들은 Si3N4, SiC, CrN, Al2O3, Cr7C3, AlN, ZrO2등 세라믹 소결층을 알루미늄합금, 은합금, 동합금 등으로 브레이징하여 접합하는 방식으로, 이 방식은 가장 극심한 마모부위에 금속과의 친화력이 적은 세라믹을 부착하여 마찰계수를 낮추는 방식이다. 그러나 세라믹 소결층은 취성이 크고 금속재료에 비해 캠 워킹, 재밍 등에 대한 수용능력이 적어 충격을 받으면 곧 파괴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일본특허 공개 소62-182407호, 소62-185806호, 평09-242512호, 평09-242513호, 평09-242514호, 평09-242515호는 WC와 같은 탄화물입자를 함유하는 소결초경층을 부착하였다. 이들은 경질입자의 바인더금속으로 니켈 또는 니켈합금을 사용하여 내식성이 우수하고 탄화물의 분율이 높아 내면압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이 경우는 소결 중에 탄화물입자가 취성이 큰 사방정으로 성장하는데 사방정조직은 프레팅(Fretting)마모로 인한 충격피로에 취약하여 마모손상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는 기술은 바인더금속의 문제로 인해 탄화물, 질화물, 붕화물과 같은 경질입자의 장점을 밸브 트레인 부품에 완벽히 재현해 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경질입자가 액상소결 중에 구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고강도 바인더금속을 이용하여 강인성과 아울러 높은 내면압성을 가지는 엔진용 밸브트레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발명이 적용된 엔진 밸브트레인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밸브 2 : 밸브스프링
3 : 로커아암 4 : 푸시로드
5 : 타펫 6 : 캠
7 : 경질소결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보편적인 밸브트레인에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캠(6)의 상부에 타펫(5)을 캠(6)에 의해 상, 하강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타펫(5)의 상부에 푸시로드(4) 및 로커아암(3)을 설치하며, 상기 로커아암(3)의 타단에는 실린더 밸브(1) 및 밸브스프링(2)을 설치하여 캠(6)의 회동에 따라 타펫(5)이 상, 하강되어 실린더밸브(1)가 개폐하도록 되어 있는 통상의 밸브트레인에 있어서, 상기 타펫(5)이 상, 하강될 때 캠(6)과 접촉하는 타펫(5)의 하부 및 푸시로드(4)와 접촉하는 로커아암(3)의 하부에 각각 경질소결층(7)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경질소결층(7)의 소결 바인더금속은 주기율표의 전이금속 중에서 ETM(Early Transition Metal)이 원자비로 15 ∼ 45%, LTM(Late Transition Metal)이 30 ∼ 65%, 그리고 석출강화 원소와 석출물 안정화 원소로서 ⅠB, ⅡB, ⅢA와 ⅣA족 중에 속하는 원소가 단독 또는 복합으로 10 ∼ 30%, 그 외에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합금이다. 바람직 하기로는 적정한 경질석출물 분율을 확보하기 위해 ⅢA와 ⅣA족에서 탄소와 보론을 단독 또는 복합으로 원자비 10 ∼ 25% 범위로 첨가한다.
본 발명에서 ETM원소는 장주기표에서 ⅢB, ⅣB, ⅤB 및 ⅥB 족에 속하는 원소 들이다. 특히 ⅥB 족의 크롬은 ⅦB, Ⅷ족이 속하는 LTM원소 중 철, 코발트, 니켈과 같은 철족에 대해 고용도가 크고 가격이 저렴하여 본 발명에서 많이 이용된다. 이 고용체는 보론, 탄소와 함께 미세한 붕화물, 탄화물을 형성하여 가공성과 강도 면에서 유리하다. 크롬을 제외한 ETM원소들은 주로 크롬을 보조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들은 크롬과 달리 LTM에 대한 상온에서의 고용도가 적어 대개 원자비로 총 5% 이하만 첨가한다. 이들 중 몰리브덴은 본 발명에서 크롬과 전율고용체를 이루어 매트릭스조직을 강화하고, 붕화물, 탄화물을 안정화하는 특징이 있다. 그 외에 티타늄, 바나듐, 지르코늄, 니오븀, 하프늄, 탄탈, 텅스텐, 란타니드, 악티니드 등 다른 ETM원소들도 매트릭스를 강화하고 안정한 붕화물, 탄화물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어 스폴링(spalling), 피팅(pitting), 치핑(chipping), 열균열(heat checking)과 같은 피로마모에 대한 저항성이 높다. 또 소결과정에서 LTM과 ⅠB, ⅡB, ⅢA와 ⅣA족의 산화를 억제하여 불순물을 감소시키며, 기공율을 낮추도록 기여한다.
그러나 ETM원소의 총합이 원자비로 15% 미만일 경우는 충분한 강도와 인성을 보유하지 못하고, 젖음성이나 저융점의 합금을 얻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제한한다. 또한 45%를 초과할 경우에는 ⅢA와 ⅣA족과 석출물을 과다하게 만들어 인성을 해치게 되므로 제한한다.
본 발명에서 LTM원소는 바인더금속의 매트릭스 역할을 하며, 장주기표에서 ⅦB, Ⅷ족에 속하는 원소들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격이 싸고 풍부한 철을 주로 사용하며, 내식성이나 내열성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니켈, 코발트 등과 같은 다른 LTM원소를 첨가할 수 있다. 니켈은 기존에 바인더로 주로 사용되는 코발트보다 저렴하고 텅스텐과 몰리브덴과 같은 고융점 금속을 활성화시켜 소결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코발트는 강에 대한 젖음성(Wettability)이 우수하고 강도 향상효과가 있어 필요시 일부 첨가한다. 그 외의 LTM원소도 매트릭스원소로서 첨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들 원소들은 대부분 고가이거나 크롬의 고용도가 적은 이유로 사용량이 적다. 본 발명에서 LTM원소들이 원자비로 30% 미만이 되면 경질화합물이 과다해지고 인성이 저하하므로 제한한다. 또한 65%를 초과하면 매트릭스 강도가 부족하여 내마모성이 저하하므로 제한한다.
본 발명에서 ⅠB, ⅡB족은 바인더금속의 매트릭스를 고용강화하고, ⅢA와 ⅣA족은 경질 석출물을 형성하여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ⅢA와 ⅣA족에서는 주로 보론과 탄소가 이용되며, 실리콘과 알루미늄은 이들 화합물을 안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 원소의 합이 원자비로 10% 미만일 경우는 매트릭스 강화효과가 적고, 30%를 초과할 때는 경질석출물이 조대하여 취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제한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적정한 경질석출물 분율을 확보하기 위해서 ⅢA와 ⅣA족에서 탄소와 보론을 단독 또는 복합으로 원자비 10 ~ 25% 범위로 첨가한다.
이상의 바인더금속을 요구하는 경도에 맞추어 혼합비율을 정하는데, 엔진 밸브트레인계에서는 경질층의 내면압성을 향상하기 위해 경질입자를 대략 면적비로 45 ∼ 90% 차지하도록 비중을 고려하여 혼합한다. 본 발명에서는 경질입자 면적비를 혼합비율에 따라 대략 65 ∼ 85% 정도 얻었다.
본 발명의 바인더금속은 표면에너지가 커서 유리처럼 금속이나 세라믹과의 젖음성이 우수하여 경질 세라믹입자의 바인더로 적합하며, 이 성질을 이용하여 종래에 바인더금속으로 폭넓게 쓰이는 코발트를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소결제품은 내면압성, 내열성과 내식성이 우수하여 높은 내구성을 요구하는 엔진용 밸브트레인 재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엔진 밸브트레인의 경질소결층을 제조하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인더금속을 분말형태로 만들어 이용하는데 입도, 입도분포, 형상, 순도 및 표면상태 등이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가능한 한 균일한 입도의 미세 입자를 얻기 위해 개스 애토마이제이션(Gas Atomization) 방법에 의하여 상기의 조성비로 된 바인더금속 분말을 제조한 후, 소결을 위한 분말은 경질입자와의 충진성을 고려하여 45㎛ 이하인 사이즈의 입자를 분급 사용한다. 바인더금속분말의 입도분포가 좁은 것보다는 여러 크기의 입자가 적당히 섞인 다소 넓은 분포의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성형된 제품의 밀도, 강도 및 탄성한계가 증가한다. 하지만 입자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지면 소결제품의 밀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어 최대크기를 45㎛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입자로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바인더금속과 함께 혼합하는 탄화물, 질화물 및 산화물과 같은 경질입자는 본 발명에서의 타펫과 같이 사용 중에 지속적으로 충격피로를 받는 경우에는 평균입자 크기를 평균 약 25.0㎛ 이하로 제한하며, 바람직하기로는 7.5㎛ 이하가 적당하다.
이는 경질입자의 평균 크기가 약 25.0㎛을 초과하는 입자들이 혼재할 경우 밀러지수로 (001)면이 벽개면이 되어 결정면에 평행한 균열들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한편, 성형성을 증가시키고 밀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에 위의 경질입자와 바인더금속 입자를 15wt% 이하로 혼합하여 성형한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혼합된 입자를 45 ∼ 125㎛ 크기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경질입자의 재료로는 텅스텐탄화물, 티타늄탄화물, 지르코늄탄화물, 탄탈탄화물, 실리콘탄화물, 크롬탄화물과 보론질화물, 지르코늄질화물, 티타늄질화물, 실리콘질화물 및 하프늄붕화물, 티타늄붕화물, 지르코늄붕화물, 크롬붕화물, 알루미늄붕화물, 코발트붕화물, 철붕화물과 알루미늄산화물, 지르코늄산화물 이들의 복화합물 또는 다른 경질세라믹이나 다이어몬드입자가 이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7
바인더금속 분율(나머지 분율은 경질입자) 및 바인더금속의 화학조성비를 표1과 같이 한 후 이를 개스 애토마이제이션 방법으로 바인더금속분말을 제조하여 소결을 위한 분말은 경질입자와의 충진성을 고려하여 45㎛ 이하의 분말을 사용하였으며, 경질입자의 조성 및 평균입도를 표1과 같이 한 후 상기의 재료들과 유기바인더를 혼련기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유기바인더로는 파라핀, 폴리에틸렌왁스나 EBS왁스같은 고분자 요소와 스테아린산, 글리콜, 폴리비닐 알콜과 같은 액체 바인더를 제품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섞는데, 본 발명에서는 유기바인더로 파라핀을 0.5wt% 첨가하였다. 경우에 따라 유기바인더 외에 분말의 압축률을 향상시키고 금형과의 마찰을 줄여 입자의 유동을 돕기 위하여 윤활제로 흑연, 수지, 비누 등을 0.1wt% 추가로 첨가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첨가하지 않은 상태로 성형하였다.
상기와 같이 혼합한 재료를 두께 1.0mm, 직경 28mm인 동전과 같은 형태의 쿠폰으로 성형한 후 450 ∼ 550℃의 온도로 예비소결한 뒤 S45C 탄소강 원판블록 위에 니켈계 합금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부착한 뒤 표1과 같은 소결온도로 각각 가열하여 소결과 브레이징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소결이 끝난 블록의 경질층은 1,500mm 반지름의 곡률로 크라운가공하면서 최종 조도를 Rmax 1.2로 마무리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여 HV 850 이상 경도인 시편블록을 제조한 뒤 단동 타펫-캠 시험기(Single-acting tappet-cam tester)에서 피팅저항성을 시험하였다. 시험조건은 캠회전속도 1000rpm, 스프링 정지하중 175kgf, 시험회전수 1×107사이클, 오일온도 75 ∼ 85℃의 조건으로 시험하였다. 상대 캠은 SCM440 강을 고주파 경화하여 HRC 55이상의 경도를 가진 캠 샤프트에서 채취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 제공한 고강도 합금을 이용하여 소결한 블록시편과 캠마모면에서는 마모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비교예 1 ∼ 5
표1에 예시한 비교예 1 ∼ 5는 종래의 바인더금속 분말을 이용하여 경질입자와 함께 혼합하여 소결하였다. 소결을 위한 바인더금속 분말은 평균 15 ∼ 45 ㎛ 크기인 입자를 사용하였으며, 표1의 경질입자들과 파라핀 0.5 wt%를 혼련기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상기와 같이 혼합한 재료를 본 발명과 동일한 형태로 성형한 후 본 발명과 동일한 방법으로 예비소결을 거쳐 표1과 같은 소결온도로 각각 가열하여 소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블록을 본 발명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모시험을 한 결과 내마모성이 부족하여 마모흔 이나 피팅이 발생하였다.
표1
구분 금속바인더 분율(wt-%) 바인더재료 화학조성(at-%) 경질입자조성(wt%) 및평균입도(㎛) 소결온도(℃) 마모시험결과
블록마모면 캠마모면
실시예1 15 Cr 34.0, Mo 1.0, Cu 1.0, Si 3.0, B 23.5, Fe bal. WC 75, 7.5TiC 25, 3.0 1370
실시예2 20 Co 2.0, Ni 6.5, Cr 40.0, Mo 2.0, Si 3.0, B 13.5, Fe bal. WC 100, 3.0 1370
실시예3 10 Ni 8.0, Cr 20.0, Mo 1.5, V 0.5, Ti 1.0, Si 4.5, Al 1.0, C 2.0, B 9.0, Fe bal. WC 70, 2.0TiC 30, 3.0 1390
실시예4 15 Co 7.5, Ni 15.5, Cr 29.5, Mo 2.0, Nb 1.0, Si 2.5, B 17.5, Fe bal. WC 90, 5.0TiC 10, 2.0 1370
실시예5 15 Ni 5.5, Cr 21.5, Mo 1.0, Ta 0.15, Si 2.0, B 17.0, Fe bal. WC 90, 5.0TiC 10, 3.0 1380
실시예6 15 Ni 8.0, Cr 26.0, Ti 2.0, Zr 0.5, Si 1.0, B 15.5, Fe bal. WC 90, 5.0TiC 10, 2.0 1370
실시예7 10 Mn 1.5, Cr, 17.5, Mo 0.5, Hf 0.1, Zr 0.2, Al 0.5, B 17.5, Fe bal. WC 100, 5.0 1400
비교예1 15 Co 100 WC 100, 10 1430 ×
비교예2 20 Co 70.0, Ni 4.0, Cr 26.0 WC 80, 3.0TiC 20, 10.0 1420 ×
비교예3 10 Co 80.0, Ni 15.0, Cr 5.0 WC 90, 5.0cBN 10, 25 1430 ×
비교예4 15 Co 25.0, Si 13.0, B 7.0 Fe bal. WC 80, 5.0TiC 10, 10.0 1380 ×
비교예5 15 Cr 53.0, Si 4.0, B 20.0 Fe bal. TiC 100, 5.0 1370
(○: 양호 △: 얕은 마모흔적 발생 ×: 피팅발생)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밸브트레인의 마찰부분에 경질소결층을 형성하고, 상기 경질소결층의 소결 바인더금속의 소결제품은 젖음성이 우수하면서도 액상소결 공정을 거친 뒤에도 경질입자가 구상을 유지하여 표면층의 내피로성, 내피팅성과 인성이 우수하여 높은 내구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는 기존의 엔진 밸브트레인에서 캠과 타펫, 푸시로드와 로커아암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던 피팅이나 스폴링과 같은 마모를 억제함으로써 엔진소음증가, 불완전연소 또는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12)

  1. 캠(6)의 상부에 타펫(5)을 캠(6)에 의해 상, 하강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타펫(5)의 상부에 푸시로드(4) 및 로커아암(3)을 설치하며, 상기 로커아암(3)의 타단에는 실린더 밸브(1) 및 밸브스프링(2)을 설치하여 캠(6)의 회동에 따라 타펫(5)이 상, 하강되어 실린더밸브(1)가 개폐하도록 되어 있는 통상의 밸브트레인에 있어서, 상기 타펫(5)이 상, 하강될 때 캠(6)과 접촉하는 타펫(5)의 하부 및 푸시로드(4)와 접촉하는 로커아암(3)의 하부에 각각 경질소결층(7)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밸브 트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소결층(7)의 소결 바인더금속이 주기율표의 전이금속 중에서 ETM이 원자비로 15 ∼ 45%, LTM이 30 ∼ 65%, 그리고 석출강화 원소와 석출물 안정화 원소로서 ⅠB, ⅡB, ⅢA와 ⅣA족에 속하는 원소가 단독 또는 복합으로 10 ∼ 30%, 그 외에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바인더금속 분말을 이용하여 경질입자를 소결함으로써 경질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밸브 트레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금속 분말에 함유되는 ETM이 크롬, 몰리브덴, 티타늄, 바나듐, 지르코늄, 니오븀, 하프늄, 탄탈, 텅스텐, 란타니드, 악티니드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함유하는 합금을 이용하여 소결함으로써 경질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밸브 트레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금속 분말에 함유되는 ETM중 크롬을 제외한 원소들의 합이 원자비로 5% 이하인 합금을 이용하여 소결함으로써 경질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밸브 트레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금속 분말에 함유되는 LTM이 ⅦB, Ⅷ족에 속하는 원소들로서 망간, 철, 코발트 및 니켈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함유하는 합금을 이용하여 소결함으로써 경질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밸브 트레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금속 분말에 함유되는 ⅠB, ⅡB족으로 동, 은 중에서 단독 또는 복합 첨가되거나, ⅢA와 ⅣA족으로 보론, 탄소, 실리콘과 알루미늄 중에서 단독 또는 복합 첨가되는 합금을 이용하여 소결함으로써 경질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밸브 트레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금속 분말에 함유되는 ⅢA와 ⅣA족에서 탄소와 보론을 원자비 10 ~ 25% 범위로 단독 또는 복합 첨가되는 합금을 이용하여 경질입자를 소결함으로써 경질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밸브 트레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금속 분말을 경질입자와의 충진성을 고려하여 입자크기를 45㎛ 이하로 사용하여 경질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밸브 트레인.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금속 분말과 혼합하는 경질입자의 재료로 텅스텐탄화물, 티타늄탄화물, 지르코늄탄화물, 탄탈탄화물, 실리콘탄화물, 크롬탄화물과 보론질화물, 지르코늄질화물, 티타늄질화물, 실리콘질화물 및 하프늄붕화물, 티타늄붕화물, 지르코늄붕화물, 크롬붕화물, 알루미늄붕화물, 코발트붕화물, 철붕화물과 알루미늄산화물, 지르코늄산화물 이들의 복화합물 또는 다른 경질세라믹이나 다이어몬드입자 중에서 단독 또는 복합으로 첨가하여 경질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밸브 트레인.
  10. 제2항에 있어서, 바인더금속 분말과 혼합하는 경질입자의 크기를 25㎛ 이하로 사용하여 경질층의 내피로성을 향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밸브 트레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금속 분말과 혼합하는 경질입자의 크기를 7.5㎛ 이하의 탄화물을 사용하여 경질층의 내피로성을 향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밸브 트레인.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금속 분말과 혼합하는 경질입자가 대략 면적비로 45 ~ 90% 차지하여 경질층의 내면압성을 향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밸브 트레인.
KR10-2001-0015474A 2001-03-24 2001-03-24 엔진용 밸브트레인 KR100419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474A KR100419338B1 (ko) 2001-03-24 2001-03-24 엔진용 밸브트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474A KR100419338B1 (ko) 2001-03-24 2001-03-24 엔진용 밸브트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790A true KR20010044790A (ko) 2001-06-05
KR100419338B1 KR100419338B1 (ko) 2004-03-06

Family

ID=1970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474A KR100419338B1 (ko) 2001-03-24 2001-03-24 엔진용 밸브트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3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315B1 (ko) * 2001-03-24 2004-01-16 연우인더스트리(주) 분말야금용 소결 바인더합금
KR100790598B1 (ko) * 2006-06-26 2008-01-02 박진수 난방용 온수 분배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KR20190079105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동아지질 신축 롯드를 갖는 해상 공사용 심층 교반 장치
KR20190079104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동아지질 신축 롯드를 갖는 해상 공사용 심층 교반 장치
KR20230114887A (ko) 2022-01-26 2023-08-02 정재민 롤러타펫 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315B1 (ko) * 2001-03-24 2004-01-16 연우인더스트리(주) 분말야금용 소결 바인더합금
KR100790598B1 (ko) * 2006-06-26 2008-01-02 박진수 난방용 온수 분배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KR20190079105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동아지질 신축 롯드를 갖는 해상 공사용 심층 교반 장치
KR20190079104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동아지질 신축 롯드를 갖는 해상 공사용 심층 교반 장치
KR20230114887A (ko) 2022-01-26 2023-08-02 정재민 롤러타펫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9338B1 (ko) 200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0688B1 (en) Nickel-iron base wear resistant alloy
EP1601801B1 (en) Corrosion and wear resistant alloy
EP1391529B1 (en) Wear and corrosion resistant austenitic iron base alloy
US6485678B1 (en) Wear-resistant iron base alloys
EP3406865B1 (en) Sintered valve seat
EP0898642A1 (en) A movable wall member in the form of an exhaust valve spindle or a piston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235357B2 (en) Valve gear having a valve stem and a valve bush
EP2162561B1 (en) Piston ring with a sulphonitriding treatment
GB2187757A (en) Wear resistant iron-base sintered alloy
US4761344A (en) Vehicle component part
KR100419338B1 (ko) 엔진용 밸브트레인
US6367439B1 (en) Combination body of shim and cam
KR20060024319A (ko) 내마모 슬라이딩 부품 및 그것을 사용한 슬라이딩 장치
US5692465A (en) Valve operating apparatus
JPS63274740A (ja) 耐摩耗性鉄基焼結合金
KR100415315B1 (ko) 분말야금용 소결 바인더합금
JP3434527B2 (ja) バルブシート用焼結合金
KR102205475B1 (ko) WC-Ni계 초경합금을 포함하는 박판타펫 및 그 제조방법
EP0617198B1 (en) Shim structure in use for valve tappe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711904B1 (en) Sliding part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reof
KR100383279B1 (ko) 저온소결이 가능한 고강도합금
KR100243840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엔진용 태핏
KR100338551B1 (ko) 내연기관의 흡기밸브시이트용 철계 소결합금
KR100334983B1 (ko) 철계 소결합금 및 이를 이용한 밸브시이트의 제조방법
JPH06137404A (ja) カムフォロワ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