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3954A - 전자 워터 마크 정보에 근거하는 콘텐츠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워터 마크 정보에 근거하는 콘텐츠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954A
KR20010043954A KR1020007013545A KR20007013545A KR20010043954A KR 20010043954 A KR20010043954 A KR 20010043954A KR 1020007013545 A KR1020007013545 A KR 1020007013545A KR 20007013545 A KR20007013545 A KR 20007013545A KR 20010043954 A KR20010043954 A KR 20010043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signal
watermark information
frequency component
signal
electronic water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자끼타다쉬
이가아키라
사또히데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43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9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CCIPHERING OR DECIPHERING APPARATUS FOR CRYPTOGRAPHIC OR OTHER PURPOSES INVOLVING THE NEED FOR SECRECY
    • G09C5/00Ciphering apparatus or method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involving the concealment or deformation of graphic data such as designs, written or printed mess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18Audio watermarking, i.e. embedding inaudible data in the audio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디지털 신호의 저작권 보호에 관한 것이며,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정보량을 기억 수단에 미리 기억하고, 보호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정보량을 추출 수단으로 검출하며, 이 추출한 정보량과 상기 기준이 되는 정보량을 비교함으로써 보호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를 검출 수단으로 판단하여,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카피를 가능하게 하고, 압축 처리를 거친 경우에는 카피를 불가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워터 마크 정보에 근거하는 콘텐츠 처리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processing}
최근, 인터넷 등의 발달에 의해, 예를 들면, 음악 콘텐츠 등이 네트워크를 개재시켜 웹 사이트(Web Site:서버)로부터 불특정 다수자의 컴퓨터에 배신되게 되어,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 침해가 문제가 되어 있다.
도 22는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 침해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1) 상의 웹 사이트(Web Site:서버)(2)에 있어서, 저작권 대상이 되어 있는 CD(Compact Disk)(3)가 CD 플레이어(4)에서 재생되며, 해당 재생에 의해 얻어진 오디오 데이터(S4a)가 MP3 인코더(5)로써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Layer(3)(이하, MP3라 기술한다) 등으로 압축되어 MP3 파일(S5a)이 생성된다.
다음으로, 네트워크(1)를 개재시켜 웹 사이트(2)의 컴퓨터(6)에 대해 불특정 다수자의 컴퓨터(71내지 7n)로부터 액세스가 행해지며, CD3에 관련되는 MP3 파일(S5a)이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71내지 7n)에 다운 로드된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컴퓨터(71내지 7n)로부터 각각 MP3 레코더(81내지 8n)에 MP3 파일(S5a)이 출력된다.
MP3 파일(S5a)은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P3 레코더(81내지 8n) 중의 단자(10)에 입력되며, 단자(13) 및 스위치(4)를 개재시켜, MP3 플레이어(151내지 15n) 내의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의 반도체 메모리(16)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MP3 플레이어(151내지 15n)에 있어서, 반도체 메모리(16)로부터 판독된 MP3 파일(S5a)이 MP3 디코더(17)에서 디코드되며, 해당 디코드 결과에 따른 음향이 헤드폰(18)으로부터 출력된다. 이 때, 헤드폰(18)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은 「CD 플레이어(4)에서 CD3를 재생했을 때의 음향과 거의 변하지 않을 정도의 음질을 갖고 있다.
또, MP3 레코더(81내지 8n)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P3 인코더(11)를 구비하고, 단자(9)를 개재시켜 CD 플레이어가 재생한 압축되어 있지 않은 오디오 신호(S9)를 입력하면, MP3 인코더(11)에 의해 오디오 신호(S9)를 MP3로 압축하여 MP3 파일(S11)을 생성한다. 그리고, MP3 레코더(8m)는 예를 들면 SCMS(Serial Copy Management System)에 의한 카피 컨트롤을 행하여, 오디오 신호(S9)로부터 생성한 MP3 파일(S11)을 1세대에 한해 단자(12) 및 스위치(14)를 개재시켜 반도체 메모리(16)에 기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는 MP3 레코더(81내지 8n)에서는 CD로부터 재생한 압축되어 있지 않은 오디오 데이터(S9)에 대해서는, SCMS에 근거한 저작권 보호 기능을 갖고 있지만, 네트워크(1)를 개재시켜 입력한 MP3 파일에 관해서는, 무조건 MP3 플레이어(151내지 15n) 내의 반도체 메모리(16)에 기록하기 위해 저작권 침해가 되는 행위를 유발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압축된 후에 네트워크를 개재시켜 배신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의 저작권 보호에 유효한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음악 배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MP3 레코더의 그 밖의 사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오디오 신호와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와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MP3 인코더의 구성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MP3 레코더 및 MP3 플레이어의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의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7에 도시하는 검출 회로 처리의 플로 챠트.
도 10은 도 6에 도시하는 MP3 파일을 처리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의 구성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검출 회로 처리의 플로 챠트.
도 12는 도 6에 도시하는 MP3 플레이어의 MP3 디코더(17)의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음악 배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처리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도 14에 도시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처리 장치가 이용하는 주파수 마스킹 특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도 13에 도시하는 MP3 레코더의 구성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의 구성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하는 MP3 파일을 처리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의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그 1)에 관련되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검출 회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그 밖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종래의 음악 배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하는 MP3 레코더 및 MP3 플레이어의 구성도.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지며, 디지털 신호가 압축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개재시켜 불특정 다수자에 배신된 압축된 디지털 신호에 대한 저작권 침해 행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의 신호 처리 장치는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친 것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디지털 신호가 상기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정보량인 제 1 정보량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정보량인 제 2 정보량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정보량과 상기 제 2 정보량을 대비하여, 상기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에서는, 우선, 추출 회로에 있어서,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추출된다.
다음으로, 검출 회로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정보량인 제 2 정보량이 검출되며, 해당 제 2 정보량과,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제 1 정보량이 대비되어, 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가 검출된다.
디지털 신호가 압축되면, 해당 디지털 신호에 매립되어 있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정보량 중 적어도 일부가 압축 과정에서 행해지는 양자화의 오차에 의해 없어진다. 그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추출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정보량인 제 2 정보량과,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디지털 신호가 상기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정보량인 제 1 정보량을 비교하면, 해당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에서는,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친 것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 영역의 변환 계수에 근거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미리 정해져 있는 주파수 성분의 레벨 및 극성을 판정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제 3 임계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의 결과 및 상기 제 3 임계치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변환 계수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제 1 주파수 성분과,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주파수 축 상에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제 2 주파수 성분 복수의 세트 중,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 및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압축 처리에 의해 없어지는 레벨을 갖는 세트를 검출하며, 해당 검출한 세트에 대해서,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의 극성과, 대응하는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과의 극성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비교 수단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극성이 일치한 세트의 비율을 상기 제 3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또,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디지털 신호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제 4 임계치를 부가로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변환 계수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제 1 주파수 성분과,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주파수 축 상에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제 2 주파수 성분 복수의 세트 중,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 및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 쌍방이 상기 압축 처리에 의해 없어지지 않는 레벨을 갖는 세트를 검출하고, 해당 검출한 세트에 대해서,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의 극성과 대응하는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의 극성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비교 수단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극성이 일치한 세트의 비율을 상기 제 4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의 신호 처리 장치에서는, 상술한 신호 처리 장치와 동일한 처리를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에서 행하며, 저작권 보호 관점으로부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지 않을 경우에, 해당 디지털 신호를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하는 것을 허가하고,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을 경우에, 해당 디지털 신호를 재생 장치의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금지한다.
또, 본 발명의 제 3 관점의 신호 처리 장치는 디지털 신호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신호 처리 장치로, 압축되었을 때에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소정량 이상의 정보가 없어지도록,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상기 디지털 신호에 매립하는 신호 매립 회로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음악 배신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실시예의 음악 배신 시스템(30)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악 배신 시스템(30)에서는, 예를 들면, 웹 사이트(2)의 컴퓨터(6)와, 사용자(321내지 32n)의 컴퓨터(71내지 7n)가 네트워크(1)를 개재시켜 접속되어 있다. n은 임의의 정수이다.
〔음악 배신 시스템(30)의 개요〕
도 1에 도시하는 음악 배신 시스템(30)에서는, CD(33)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 장치(31)에 의해, 오디오 신호에 따른 음향의 청감을 손상시키지 않고, 게다가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도록, 오디오 신호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 장치(31)에 의해 오디오 신호에 매립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는 예를 들면, MP3로 압축되었을 때에, 약 50%의 정보량이 없어지며, 나머지 50%의 정보량이 잔존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따라서, 웹 사이트(2)에 있어서, 구입한 CD(33)를 CD 플레이어(4)에서 재생하여 오디오 신호(S4)를 생성하고, 오디오 신호(S4)를 MP3 인코더(5)에서 인코드하여 MP3 파일(S5)을 작성하면, MP3 파일(S5) 내의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잔존율은 약 50%가 된다.
MP3 파일(S5)은 컴퓨터(6)를 개재시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321내지 32n)가 소유하는 임의의 컴퓨터(71내지 7n)에 다운 로드된다.
그리고, 사용자(321내지 32n)가 해당 다운 로드한 MP3 파일(S5)을 MP3 레코더(381내지 38n)를 사용하여 MP3 플레이어(151내지 15n)에 기억하고자 했을 때에는, MP3 레코더(381내지 38n)에 있어서 이하에 도시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MP3 레코더(381내지 38n)는 컴퓨터(71내지 7n)로부터 입력한 MP3 파일(S5)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잔존율을 검출하여, 잔존율이 약 50%인 경우에는, 저작권 보호를 위해 해당 MP3 파일(S5)을 MP3 플레이어(151내지 15n)에 기억하지 않는다. 한편, MP3 레코더(381내지 38n)는 컴퓨터(71내지 7n)로부터 입력한 MP3 파일(S5)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잔존율이 약 0%인 경우에는, 해당 MP3 파일(S5)을 MP3 플레이어(151내지 15n)에 기억한다.
여기서,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잔존율이 약 O%가 되는 것은 MP3 압축된 오디오 신호에 원래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 저작권 보호를 위한 카피 컨트롤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또, MP3 레코더(381내지 38n)는 입력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잔존율이 약 100%인 경우에는, SCMS에 근거하여 1세대만, 해당 오디오 신호를 MP3로 압축하여 MP3 플레이어(151내지 15n)에 기억한다.
여기서,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잔존율이 약 100%가 되는 것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D 플레이어(4)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신호(S4)를 MP3 레코더(381내지 38n)가 직접 입력한 경우 등이다.
이하, 도 1에 도시하는 음악 배신 시스템(3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 장치(31)〕
도 3은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 장치(31)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처리 장치(31)는 단자(51, 52), FFT(Fast Fourier Transformation) 처리 회로(53), 승산 회로(54), 가변 필터 회로(55) 및 가산 회로(56)를 갖는다.
단자(51)는 입력한 오디오 신호(S51)를 FFT 처리 회로(53) 및 가산 회로(56)에 출력한다.
단자(52)는 입력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S52)를 승산 회로(54)에 출력한다.
FFT 처리 회로(53)는 오디오 신호(S51)를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여 주파수 스펙트럼(S53)을 생성하여, 주파수 스펙트럼(S53)를 가변 필터 회로(55)에 출력한다.
승산 회로(54)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S52)에 미소 진폭의 PN(Pseudo Noise:유사 랜덤 잡음) 계열 신호(S57)를 곱함으로써, 전자 워터 마크 정보(S52)를 넓은 주파수 대역에 스펙트럼 확산한 미소 레벨 진폭의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54)를 생성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54)를 가변 필터 회로(55)에 출력한다.
가변 주파수 필터 회로(55)는 주파수 스펙트럼(S53)에 따른 필터 특성으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54)를 필터 처리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55)를 생성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55)를 가산 회로(56)에 출력한다.
이 때,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55)의 주파수 스펙트럼(61)은 오디오 신호(S51)의 주파수 스펙트럼(60)과 닮은 형태가 된다.
가산 회로(56)는 단자(51)로부터의 오디오 신호(S51)와 가변 필터 회로(55)로부터의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55)를 가산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오디오 신호(S31)를 생성한다. 가산 회로(56)는 오디오 신호(S31)를 도 1에 도시하는 CD(33)에 기록한다.
이 때, 오디오 신호(S51)로의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55) 매립은 오디오 신호(S51)를 구성하는 소정 수의 샘플로 이루어지는 모듈을 단위로 하여 행해지며,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5)를 오디오 신호(S51) 전체에 매립해도 되고, 일부에 매립해도 된다.
단, 그 경우에 있어서도, 매립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는 MP3 등의 부호화 기술로 압축된 경우에 있어서, 약 50%의 정보량이 없어지며, 나머지 정보량이 잔존하도록 매립한다.
〔CD 플레이어(4)〕
CD 플레이어(4)는 일반적인 CD 플레이어로, CD(33)를 회전시키면서, 광 픽 업으로 CD(33)의 기록면에 기록된 오디오 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판독한 오디오 신호(S4)를 MP3 인코더(5)에 출력한다.
〔MP3 인코더(5)〕
도 5는 MP3 인코더(5)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P3 인코더(5)는 32서브 밴드 분할 회로(62), MDCT 처리 회로(63), 스케일 팩터 추출 회로(64), FFT 처리 회로(65), 마스킹 계산 회로(66), 비선형 양자화 하프먼 부호화 회로(67) 및 프레임 패킹 회로(68)를 가지며, 오디오 신호(S4)의 정보량를 약 1/10배로 압축한 MP3 파일(S5)을 생성한다.
32서브 밴드 분할 회로(62)는 도 1에 도시하는 CD 플레이어(4)로부터 입력한 오디오 신호(S4)를 32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오디오 신호(S62)로서 MDCT 처리 회로(63)에 출력한다.
MDCT 처리 회로(63)는 블록 왜곡을 경감하기 위한 변형 이산 코사인 변환 MDCT(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처리를 행하고, 오디오 신호(S62)에 포함되는 512샘플로부터 256개의 MDCT 계수를 얻어, 해당 MDCT 계수(S63)를 스케일 팩터 추출 회로(64)에 출력한다.
스케일 팩터 추출 회로(64)는 예를 들면, 256개의 MDCT 계수 중 최대인 MDCT 계수가 1.0이 되도록 정규화를 행하며, 그 배율을 스케일·팩터(S64)로 하여 비선형 양자화 하프먼 부호화 회로(67)에 출력한다.
FFT 처리 회로(65)는 오디오 신호(S4)를 1024샘플를 단위로 하여 FFT 처리하여 FFT 변환 계수(S65)를 생성하며, FFT 변환 계수(S65)를 마스킹 계산 회로(66)에 출력한다.
마스킹 계산 회로(66)는 FFT 변환 계수(S65)에 근거하여, 청각의 마스킹 특성을 이용하여 마스킹 곡선을 계산하고, 해당 계산 결과(S66)를 비선형 양자화 하프먼 부호화 회로(67)에 출력한다.
비선형 양자화 하프먼 부호화 회로(67)는 스케일·팩터(S64) 및 마스킹 곡선의 계산 결과(S66)를 사용하여, MDCT 계수(S63)를 비선형 양자화 및 하프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S67)를 생성하며, 부호화 데이터(S67)를 프레임 패킹 회로(68)에 출력한다.
이 경우, MDCT 계수(S63)를 비선형 양자화했을 때에, 오디오 신호(S4)의 각 주파수 성분의 레벨에 대한 정보가 양자화 오차에 의해 없어진다.
프레임 패킹 회로(68)는 부호화 데이터(S67)에, 프레임 헤더나 비트 할당 정보 등을 부가하여 MP3 파일(S5)을 생성하여, MP3 파일(S5)을 도 1에 도시하는 컴퓨터(6)에 출력한다.
〔컴퓨터(6)〕
컴퓨터(6)는 컴퓨터(71내지 7n)로부터 네트워크(1)를 개재시켜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요구 신호를 송신한 컴퓨터(71내지 7n)에 네트워크(1)를 개재시켜 MP3 파일(S5)을 송신한다.
〔컴퓨터(71내지 7n)〕
컴퓨터(71내지 7n)는 네트워크(1)를 개재시켜 컴퓨터(6)에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 해당 요구 신호에 따른 MP3 파일(S5)을 네트워크(1)를 개재시켜 컴퓨터(6)로부터 수신(다운 로드)한다.
〔MP3 레코더(38m)〕
도 6은 MP3 레코더(38m)의 구성도이다. 또한, m은 1≤m≤n의 임의의 정수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P3 레코더(38m)는 MP3 인코더(11),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45, 46), 스위치(47) 및 스위치 전환 회로(48)를 갖는다.
MP3 인코더(11)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도 5에 도시하는 MP3 인코더(5)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MP3 인코더(11)는 단자(49)로부터 입력한 압축되어 있지 않은 오디오 신호(S49)를 MP3로 압축하여 MP3 파일(S11)로서 단자(42)에 출력한다.
도 7은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45)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45)는 예를 들면, FFT 처리 회로(70), 가변 주파수 필터 회로(71), 승산 회로(72), 기억 회로(73) 및 검출 회로(74)를 갖는다.
FFT 처리 회로(70)는 도 6에 도시하는 단자(49)로부터 입력한 오디오 신호(S49)를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여 주파수 스펙트럼(S70)을 생성하고, 주파수 스펙트럼(S70)을 가변 주파수 필터 회로(71)에 출력한다.
가변 주파수 필터 회로(71)는 주파수 스펙트럼(S70)에 따른 필터 특성으로, 오디오 신호(S49)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1)를 추출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1)를 출력한다.
승산 회로(72)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1)에, 도 3에 도시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 시와 동일한 PN 계열 부호(S57)를 곱함으로써, PN 계열 부호가 제거된 원래의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2)를 생성한다. 승산 회로(72)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2)를 검출 회로(74)에 출력한다.
기억 회로(73)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처리 장치(31)가 매립을 행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의 정보량인 도 8a에 도시하는 기준치(Ref)와, 도 8b에 도시하는 임계치(Th1, Th2)를 기억하고 있다.
도 9는 검출 회로(74) 처리의 플로 챠트이다.
도 9에 도시하는 검출 회로(74)는 도 8b에 도시하는 임계치(Th1, Th2)를 사용하여 이하에 도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S1): 검출 회로(74)는 도 7에 도시하는 승산 회로(72)로부터 입력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2)의 정보량을 검출한다.
스텝(S2): 검출 회로(74)는 기억 회로(73)로부터 판독한 기준치(Ref)로 스텝(S1)에서 검출한 정보량을 제산하여 잔존율을 산출한다.
스텝(S3): 검출 회로(74)는 스텝(S2)에서 산출한 잔존율이 80%보다 큰지의 여부, 즉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2)가 도시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잔존율이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임계치(Th1)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잔존율이 8.0%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S5) 처리를 실행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4)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4): 검출 회로(74)는 스텝(S2)에서 산출한 잔존율이 20%보다 작은지의 여부, 즉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2)가 도시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잔존율이 도 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임계치(Th2)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잔존율이 20%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S5) 처리를 실행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6)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5): 검출 회로(74)는 카피 가능인지를 도시하는 검출 신호(S45)를 도 6에 도시하는 스위치 전환 회로(48)에 출력한다.
스텝(S5)이 실행되는 것은 도 8b 혹은 도 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2)의 잔존율이 80%보다 크던지, 혹은 20%보다 작은 경우이다. 여기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2)의 잔존율이 80%보다 크면, 도 6에 도시하는 오디오 신호(S49)는 MP3 등으로 압축된 경력이 없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D 플레이어(4)로부터 CD를 재생하여 얻어진 오디오 신호라 판단할 수 있으며, 오디오 신호(S49)를 압축하여 MP3 플레이어(15m)의 반도체 메모리(16)에 기록해도, 저작권이 부당하게 해가 될 가능성은 낮다. 또,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2)의 잔존율이 20%보다 작으면, 오디오 신호(S49)에는 원래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오디오 신호(S49)를 압축하여 MP3 플레이어(15m)의 반도체 메모리(16)에 기록해도, 저작권이 부당하게 해가 될 가능성은 낮다.
스텝(S6): 검출 회로(74)는 카피 불가를 도시하는 검출 신호(S45)를 도 6에 도시하는 스위치 전환 회로(48)에 출력한다.
여기서, 스텝(S6)이 실행되는 것은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S49)에 매립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2)의 잔존율이 20% 이상 또한 80% 이하인 경우로, 오디오 신호(S49)가 MP3 압축 처리를 거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오디오 신호(S49)를 MP3 플레이어(15m)의 반도체 메모리(16)에 기록하면, 저작권이 부당하게 해가 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2)의 잔존율이 이렇게 되는 것은 오디오 신호(S49)가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을 경우에는, 압축 과정에서 행해지는 양자화 처리의 양자화 오차에 의해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없어지고, 에러 레이트가 높아지며,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완전히 복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10은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46)의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45)는 예를 들면, FFT 처리 회로(70), 가변 주파수 필터 회로(71), 승산 회로(72), 기억 회로(73), MP3 디코더(75) 및 검출 회로(76)를 갖는다.
도 10에 있어서, 도 7과 동일 부호를 붙인 구성 요소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45)의 동일 부호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다.
즉,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46)는 FFT 처리 회로(70)의 전단에 MP3 디코더(75)를 부가한 것과, 검출 회로(76)의 처리 콘텐츠가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45)와 다르다.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46)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단자(50)로부터 입력한 MP3 파일(S50)(S5)이 MP3 디코더(75)에 의해 MP3로 신장되어 오디오 신호(S75)가 생성되며, 오디오 신호(S75)가 FFT 처리 회로(70)에 출력된다.
오디오 신호(S75)에 근거한 FFT 처리 회로(70), 가변 주파수 필터 회로(71) 및 승산 회로(72) 처리는 상술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45)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하, 검출 회로(76)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검출 회로(76) 처리의 플로 챠트이다.
스텝(S11): 검출 회로(76)는 도 10에 도시하는 승산 회로(72)로부터 입력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2)의 정보량을 검출한다.
스텝(S12): 검출 회로(76)는 기억 회로(73)로부터 판독한 기준치(Ref)로, 스텝(S11)에서 검출한 정보량을 제산하여 잔존율을 산출한다.
스텝(S13): 검출 회로(76)는 스텝(S12)에서 산출한 잔존율이 20%보다 작은지의 여부, 즉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2)의 잔존율이 도 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임계치(Th2)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잔존율이 20%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S14) 처리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15)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14): 검출 회로(76)는 카피 가능을 도시하는 검출 신호(S46)를 도 6에 도시하는 스위치 전환 회로(48)에 출력한다.
이것은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2)의 잔존율이 20%보다 작으면, MP3 파일(S50)(S5)에는 원래,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MP3 파일(S50)을 MP3 플레이어(15m)의 반도체 메모리(16)에 기억해도, 저작권이 부당하게 해가 될 가능성은 낮기 때문이다.
스텝(S15): 검출 회로(76)는 카피 불가를 도시하는 검출 신호(S46)를 도 6에 도시하는 스위치 전환 회로(48)로 출력한다.
이것은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2)의 잔존율이 20%보다 크면, MP3 파일(S50)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스위치(47)는 스위치 전환 회로(48)의 전환 제어에 근거하여, 단자(42)로의 접속 상태, 단자(43)에의 접속 상태 및 단자(42, 43) 중 어느 것에도 접속하지 않는 상태 중 어느 한 상태가 된다.
스위치 전환 회로(48)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45)로부터의 검출 신호(S45)와, 도 10에 도시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46)로부터의 검출 신호(S46)를 입력하며, 검출 신호(S45)가 카피 가능을 도시할 경우에는 스위치(47)를 단자(42)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며, 검출 신호(S46)가 카피 가능을 도시할 경우에는 스위치(47)를 단자(43)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며, 그 이외의 경우에는 스위치(47)를 단자(42, 43) 중 어느 것에도 접속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MP3 플레이어(151내지 15n)〕
도 6은 MP3 플레이어(15m)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P3 플레이어(15m)는 반도체 메모리(16) 및 MP3 디코더(17)를 갖는다.
또한, MP3 플레이어(15m)는 MP3 레코더(38m)와 착탈 자유 자재로 접속 가능하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1)를 개재시켜 다운 로드한 MP3 파일 등을 반도체 메모리(16)에 기록하거나,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D 플레이어(4)로 재생한 오디오 신호(S4)를 MP3 압축하여 반도체 메모리(16)에 기록할 때에 MP3 플레이어(15m)와 접속된다. MP3 플레이어(15m)는 MP3 레코더(38m)로부터 반도체 메모리(16)에 MP3 파일을 기록한 후에, MP3 레코더(38m)로부터 벗어나, 휴대용 플레이어로서 사용된다.
반도체 메모리(16)는 예를 들면 32 내지 64MB의 기억 용량을 갖는 EEPROM으로, MP3 레코더(38m)로부터 입력한 MP3 파일(S11, S50(S5))을 기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억 회로로서 반도체 메모리를 예시했지만, 그 밖의 기억 회로나 MD(Mini Disk) 등의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MP3 디코더(17)의 구성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P3 디코더(17)는 프레임 분해 회로(80), 하프먼 복호 회로(81), 역양자화 회로(82), 역MDCT 회로(83) 및 서브 핸드 합성 회로(84)를 갖는다.
프레임 분해 회로(80)는 반도체 메모리(16)로부터 판독한 MP3 파일(S16)을 분해하여 부호화 데이터(S80)를 얻어, 부호화 데이터(S80)를 하프먼 복호 회로(81)에 출력한다.
하프먼 복호 회로(81)는 부호화 데이터(S80)를 하프먼 복호하여 데이터(S81)를 생성하고, 데이터(S81)를 양자화 회로(82)에 출력한다.
역양자화 회로(82)는 데이터(S81)를 역양자화하여 MDCT 계수(S82)를 얻어, MDCT 계수(S82)를 역MDCT 회로(83)에 출력한다.
역MDCT 회로(83)는 MDCT 계수(S82)를 역MDCT 처리하여, 오디오 신호(S83)를 얻어, 오디오 신호(S83)를 서브 밴드 합성 회로(84)에 출력한다.
서브 밴드 합성 회로(84)는 오디오 신호(S83)를 서브 밴드 합성하여 오디오 신호(S15m)를 생성 및 재생하여, 오디오 신호(S15m)를 헤드폰(18)에 출력한다.
〔헤드폰(18)〕
헤드폰(18)은 오디오 신호(S15m)에 따른 음향을 출력한다.
이하, 도 1에 도시하는 음악 배신 시스템(30)의 전체 동작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동작 형태
음악 배신 시스템(30)에서는, 예를 들면, CD(33)의 제조 업자가 저작권자의 의향에 따라서, 도 3에 도시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 장치(31)를 사용하여, 오디오 신호(S51)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55)를 매립한 오디오 신호(S31)를 생성하여, 오디오 신호(S31)를 기록한 CD(33)를 제조한다.
이 때,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55)는 MP3로 압축되었을 때에, 약 50%의 정보량이 없어지고, 나머지 50%의 정보량이 잔존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CD(33)는 출하된 후에, 예를 들면, 웹 사이트(2)의 소유자에 의해 구입된다.
그리고, 웹 사이트(2)에 있어서, CD 플레이어(4)를 사용하여 CD(33)가 재생되어 오디오 신호(S4)가 생성되며, 도 5에 도시하는 MP3 인코더(5)에 의해, 오디오 신호(S4)가 MP3로 압축되어 MP3 파일(S5)이 생성된다.
이 때, MP3 파일(S5) 내의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잔존율은 약 50%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MP3 파일(S5)은 컴퓨터(6)를 개재시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31m)가 소유하는 임의의 컴퓨터(71내지 7n)에 다운 로드된다.
그리고, 사용자(32m)가 해당 다운 로드한 MP3 파일(S5)을 도 6에 도시하는 MP3 레코더(38m)를 사용하여 MP3 플레이어(15m)에 기억하고자 했을 때에, MP3 레코더(38m)에 있어서 이하에 도시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MP3 레코더(38m)는 도 6 및 도 10에 도시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46)를 사용하여, 도 11에 도시하는 플로에 근거하여, MP3 파일(S5)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잔존율을 검출하여, 해당 잔존율이 20% 이상이기 때문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으며, 게다가 압축 처리를 거쳤다 판단하여, 카피 불가를 도시하는 검출 신호(S46)를 스위치 전환 회로(48)에 출력한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하는 스위치 전환 회로(48)는 단자(43)에는 접속되지 않으며, MP3 레코더(38m)로부터 MP3 플레이어(15m)에 MP3 파일(S5)을 기록할 수 없다.
이로써,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오디오 신호가 MP3 파일(S5)에 압축되어, 네트워크(1)를 개재시켜 불특정 다수자의 컴퓨터(7m)에 배신된 경우라도, 사용자(32m)는 해당 MP3 파일(S5)을 MP3 플레이어(15m)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저작권 침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웹 사이트(2)로부터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지 않은 오디오 신호가 MP3 인코더(5)에서 MP3 파일(S5)에 압축되며, 컴퓨터(7)로부터 네트워크(1)를 개재시켜 컴퓨터(7m)에 배신된 경우에는, 도 6 및 도 10에 도시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46)의 검출 회로(76)에 있어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S72)의 잔존율이 20%보다 작다고 판단되어, 카피 가능을 도시하는 검출 신호(S46)가 스위치 전환 회로(48)에 출력되며(도 11), 스위치(47)가 단자(43)에 접속된다. 이로써, 해당 MP3 파일(S5)을 MP3 레코더(38m)로부터 MP3 플레이어(15m)의 반도체 메모리(16)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동작 형태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CD 플레이어(4)를 도 6에 도시하는 MP3 레코더(38m)의 단자(49)에 접속하여, CD 플레이어(4)에서 재생한 오디오 신호(S4)(S49)가 MP3 레코더(38m)에 입력된 경우에는, MP3 레코더(38m)에 있어서 이하에 도시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MP3 레코더(38m)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45)를 사용하며, 도 9에 도시하는 플로에 근거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잔존율이 80%보다 크기 때문에, 해당 오디오 신호(S4)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지만,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SCMS에 근거하여 1세대만 카피를 행하는 것을 조건으로, 스위치(47)를 단자(42)에 접속한다.
그리고, MP3 레코더(38m)는 오디오 신호(S4)를 MP3 인코더(11)에서 압축하여 생성한 MP3 파일(S11)을 반도체 메모리(16)에 기록한다.
이렇게 MP3 레코더(38m)에 의하면, CD 플레이어(4)로부터 재생된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지 않은 오디오 신호를 SCMS에 근거하여 1세대인 것을 조건으로, MP3 플레이어(15m)의 반도체 메모리(16)에 기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악 배신 시스템(30)에 의하면, 한 형태의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를 사용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유무 및 디지털 신호의 압축 경력의 유무 쌍방을 식별할 수 있다. 또, 이 전자 워터 마크 정보에 오디오 신호의 사용 제어 정보를 놓음으로써, 한 형태의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를 사용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유무 및 디지털 신호의 압축 경력의 유무 쌍방을 식별하는 것에 더불어, 사용 제한 정보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사용 제어 정보란 오디오 신호를 소정 회수만큼 카피하는(복제 제어) 것을 허가하는, 혹은 오디오 신호를 소정 기간 내만큼 재생하는(재생 제어) 것을 허가하는, 또는, 오디오 신호의 무제한 사용을 허가하는 등의 오디오 신호 사용에 관해서 제어하는 정보이다. 더욱이, 이 전자 워터 마크 정보로서, 오디오 신호에 저작권자 ID, 콘텐츠 ID 등, 오디오 신호에 관련되는 정보를 놓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배신 시스템은 상기에서는, 오디오 신호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물론, 이에 한하지 않고, 동화상, 정지 화상, 게임 등, 모든 콘텐츠에 대응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13은 본 실시예의 음악 배신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악 배신 시스템(100)은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처리 장치(91) 및 MP3 레코더(1381내지 138n)를 제외하고, 상술한 도 1에 도시하는 음악 배신 시스템(30)과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즉, 도 13에 도시하는 CD(33), CD 플레이어(4), MP3 인코더(5), 컴퓨터(6), 네트워크(1), 컴퓨터(71내지 7n), MP3 플레이어(151내지 15n)는 도 1에 도시하는 동일 부호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다.
이하,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 장치(91) 및 MP3 레코더(1381내지 138n)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 장치(91)〕
도 14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처리 장치(91)의 구성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처리 장치(91)는 MDCT 처리 회로(92), 계수 시프트·감쇠 회로(93), 가산 회로(94) 및 I(Inverse) MDCT 회로(95)를 갖는다.
MDCT 처리 회로(92)는 단자(101)로부터 입력한 오디오 신호(S51)에 대해서, 1024샘플의 데이터를 단위로 하여 MDCT 처리를 행하고, 1024개 주파수 성분의 MDCT 계수를 생성하여, 해당 MDCT 계수(S92)를 계수 시프트·감쇠 회로(93) 및 가산 회로(94)에 출력한다.
계수 시프트·감쇠 회로(93)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S52)에 근거하여, 1024개 주파수 성분 중, 미리 정해진 복수의 주파수 성분을 대상으로 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한 처리를 행한다.
즉, 계수 시프트·감쇠 회로(93)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주파수 성분을 일정 비율로 감쇠한 후에, 예를 들면, 주파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예를 들면 4개의 주파수 성분만 시프트하는 데 상당하는 처리를 MDCT 계수(S92)를 사용하여 행하며, 해당 처리에 의해 얻어진 새로운 MDCT 계수(S93)를 가산 회로(94)에 출력한다.
가산 회로(94)는 MDCT 처리 회로(92)로부터의 MDCT 계수(S92)와, 계수 시프트·감쇠 회로(93)로부터의 MDCT 계수(S93)를 가산하여 MDCT 계수(S94)를 생성하여, MDCT 계수(S94)를 IMDCT 회로(95)에 출력한다.
IMDCT 회로(95)는 가산 회로(94)로부터의 MDCT 계수(S94)를 IMDCT 변환하여 시간 영역의 오디오 신호(S91)를 생성한다.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처리 장치(91)는 오디오 신호(S91)를 CD(33)에 기록한다.
도 15는 계수 시프트·감쇠 회로(93) 및 가산 회로(94)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계수 시프트·감쇠 회로(93)는 예를 들면,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제 1 주파수 성분(f1, f2)을 대상으로 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할 경우에는, 제 1 주파수 성분(f1, f2)의 레벨을 일정 비율로 감쇠한 레벨을, 제 1 주파수 성분(f1, f2)으로부터 주파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4개의 주파수 성분만 시프트하는 데 상당하는 처리를 MDCT 계수(S92)를 사용하여 행하여 MDCT 계수(S93)를 생성한다.
그리고, 가산 회로(94)는 해당 시프트한 레벨과, 도 15a, 도 15b에 도시하는 제 2 주파수 성분(f3, f4)의 레벨을 각각 가산하는 데 상당하는 처리를 MDCT 계수(S92 및 S93)를 사용하여 행한다. 이로써, 오디오 신호(S51)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S52)가 매립되며, 제 2 주파수 성분(f3, f4)의 레벨은 도 15c에 도시하게 된다.
이 때, 제 1 주파수 성분(f1)과 제 2 주파수 성분(f3)은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기 이전에는 이극성이었지만,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한 후는 동극성(양극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제 1 주파수 성분(f2)과 제 2 주파수 성분(f4)은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 전후 중 어느 것도 동극성(음극성)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것이 결정된 제 1 주파수 성분의 레벨을 일정 비율로 감쇠한 레벨을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과 4개의 주파수 성분만큼 떨어진 제 2 주파수 성분의 레벨에 가산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면,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한 후에, 제 1 주파수 성분과 제 2 주파수 성분과의 레벨이 동극성이 될 확률이 높아진다.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것을 이용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을 행한다. 또, 제 1 주파수 성분(f1, f2)의 레벨을 일정 비율로 감쇠하여, 제 2 주파수 성분(f3, f4)에 가산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때, 가산 후의 제 1 및 제 2 주파수 성분은 압축 시의 양자화 오차에 의해 레벨이 있는 비율에 있어서 0 또는 대략 0이 되는 소정 레벨 이하의 주파수 성분이 만들어진다. 즉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 성분의 시프트 조작 후는 제 1 주파수 성분과 제 2 주파수 성분은 동극성이 되는 확률이 높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압축을 거친 후에는 소정 레벨 이하의 주파수 성분이 없어지도록 이루어진다. 또,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주파수 성분 및 제 2 주파수 성분 중 소정 레벨 이하의 레벨의 주파수 성분은 압축 시의 양자화 오차에 의해, 레벨이 0 또는 대략 0이 되는 것을 이용하여 압축의 유무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제 1 주파수 성분을 일정 비율로 감쇠한다고 했지만, 시프트 조작 후의 제 1 및 제 2 주파수 성분이 동극성 및 압축을 거치면 일부 성분이 대략 0이 되는 레벨이 되면 되는 것으로, 특히 일정 비율의 감쇠율이 아니어도 된다. 즉, 개개의 주파수 성분에 각각 임의의 감쇠율을 주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는 예를 들면, 1024개의 주파수 성분 중 약 100개의 제 2 주파수 성분에 매립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주파수 성분의 레벨을 감쇠한 레벨을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주파수 축 상에 4개의 주파수 성분만큼 떨어진 제 2 주파수 성분의 레벨에 가산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제 1 주파수 성분과 제 2 주파수 성분 사이의 주파수 축 상의 거리는 4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오디오 신호(S51)로의 전자 워터 마크 정보(S52) 매립은 오디오 신호(S51)를 구성하는 소정 수의 샘플로 이루어지는 모듈을 단위로 하여 행해지며, 전자 워터 마크 정보(S52)를 오디오 신호(S51) 전체에 매립해도 되고, 일부에 매립해도 된다.
상술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은 마스킹 효과를 고려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킹 효과란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록 축에 주파수를 대수 눈금으로 취하고, 세로 축에 음의 음압(진폭) 레벨을 취한 경우에, 마스킹 커브(110)보다 아래 음에는 인간의 청각이 감응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 때, 도 16에 도시하는 마스킹 커브(110)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느 큰 음 근방의 폭 10OHz의 크리티컬 밴드 영역 내에서는 인간의 청각은 작은 소리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따라서, 크리티컬 밴드 영역 내의 주파수 성분에, 마스킹 커브(110)보다 음압 레벨이 낮아지도록, 상술한 계수 시프트·감쇠 회로(93)가 제 1 주파수 성분의 레벨을 감쇠를 행할 때의 비율을 제어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면,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에 의한 오디오 신호의 음질 열화를 적게 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은 도 13에 도시하는 MP3 인코더(5)에 있어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신호가 MP3 압축될 때의 내성을 고려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MP3 인코더(5)에서는, 비선형 양자화 하프먼 부호화 회로(67)에 있어서 양자화 처리가 행해지지만, 해당 양자화 처리 과정에서 행해지는 비트 리덕션 처리에 있어서, 음압 레벨의 작은 주파수 성분은 양자화 오차로 없어져버린다.
따라서, 압축에 강한 내성을 갖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오디오 신호에 매립하는 데에서는, 마스킹 커브(110)보다 음압 레벨이 작은 범위에서 가능한 한 큰 음압 레벨을 갖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도록, 상술한 계수 시프트·감쇠 회로(93)가 제 1 주파수 성분의 레벨을 감쇠를 행할 때의 비율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P3 레코더(1381내지 138n)〕
도 17은 도 13에 도시하는 MP3 레코더(138m)의 구성도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P3 레코더(138m)는 MP3 인코더(11), 스위치(47), 스위치 전환 회로(48),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125 및 126)를 갖는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P3 레코더(138m)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125, 126) 구성을 제외하고, 도 6에 도시하는 MP3 레코더(38m)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도 18은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125)의 구성도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125)는 MDCT 처리 회로(120), 계수 시프트 회로(121), 극성 비교 회로(122), 기억 회로(123) 및 검출 회로(124)를 갖는다.
MDCT 처리 회로(120)는 도 17에 도시하는 단자(49)로부터 입력한 오디오 신호(S49)에 대해서, 1024샘플의 데이터를 단위로 하여 MDCT 처리를 행하고, 1024개 주파수 성분의 MDCT 계수를 생성하여, 해당 MDCT 계수(S120)를 계수 시프트 회로(121) 및 극성 비교 회로(122)에 출력한다.
계수 시프트 회로(121)는 MDCT 계수(S120)를 사용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을 행하는 미리 정해진 제 1 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예를 들면, 주파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4개의 주파수 성분만 시프트한 위치에 존재하는 MDCT 계수를 MDCT 계수(S121)로서 극성 비교 회로(122)에 출력한다.
극성 비교 회로(122)는 MDCT 처리 회로(120)로부터 입력한 MDCT 계수(S120)와, 계수 시프트 회로(121)로부터 입력한 MDCT 계수(S121)에 근거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을 행하는 미리 정해진 제 1 주파수 성분과,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주파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4개만큼 떨어진 제 2 주파수 성분과의 극성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도시하는 비교 신호(S122)를 생성한다.
이 때, 극성 비교 회로(122)는 MDCT 계수(S120 및 S121)를 사용하여 제 1 주파수 성분 및 제 2 주파수 성분의 레벨을 판정하여, 제 1 주파수 성분과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에 대응하는 제 2 주파수 성분의 세트 중, 제 1 주파수 성분 및 제 2 주파수 성분 쌍방이 도 13에 도시하는 MP3 인코더(5)의 압축 처리에 있어서 양자화 오차로 없어지지 않는 레벨을 갖는 세트를 검출한다. 그리고, 극성 비교 회로(122)는 해당 검출한 세트에 대해서, 제 1 주파수 성분과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에 대응하는 제 2 주파수 성분과의 극성을 비교한 비교 신호(S122a)를 생성한다.
또, 극성 비교 회로(122)는 제 1 주파수 성분과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에 대응하는 제 2 주파수 성분의 세트 중, 제 1 주파수 성분 및 제 2 주파수 성분 중 적어도 한쪽이 도 13에 도시하는 MP3 인코더(5)의 압축 처리에 있어서, 양자화 오차로 없어지는 레벨을 갖는 세트를 검출한다. 그리고, 극성 비교 회로(122)는 해당 검출한 세트에 대해서, 제 1 주파수 성분과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에 대응하는 제 2 주파수 성분과의 극성을 비교한 비교 신호(S122b)를 생성한다.
기억 회로(123)는 오디오 신호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제 1 기준 누적치와, 오디오 신호가 상기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제 2 기준 누적치를 기억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기준 누적치는 예를 들면,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주파수 성분 중 압축 처리에 의해 없어지지 않는 레벨을 갖는 주파수 성분 수의 80%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 제 2 기준 누적치는 예를 들면,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주파수 성분 중 압축 처리에 의해 없어지는 레벨을 갖는 주파수 성분 수의 20% 값을 나타내고 있다.
검출 회로(124)는 비교 신호(S122a)에 근거하여, 제 1 주파수 성분 및 제 2 주파수 성분 쌍방이 MP3 인코더(5)의 압축 처리에 있어서 양자화 오차로 없어지지 않는 레벨을 갖는 세트에 대해서, 제 1 주파수 성분과 제 2 주파수 성분이 동극성 수를 도시하는 제 1 누적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검출 회로(124)는 제 1 누적치가 기억 회로(123)로부터 판독한 제 1 기준 누적치 이상이면, 오디오 신호(S49)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또, 검출 회로(124)는 비교 신호(S122b)에 근거하여, 제 1 주파수 성분 및 제 2 주파수 성분 중 적어도 한쪽이 MP3 인코더(5)의 압축 처리에 있어서 양자화 로 없어지는 레벨을 갖는 세트에 대해서, 제 1 주파수 성분과 제 2에 주파수 성분이 동극성 수를 도시하는 제 2 누적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검출 회로(124)는 제 2 누적치가 기억 회로(123)로부터 판독한 제 2 기준 누적치 이하이면, 오디오 신호(S49)가 압축된 경력이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압축을 거치고 있으면 주파수 성분이 없어지기 때문에, 제 2 누적치는 대략 0이 된다.
검출 회로(124)는 오디오 신호(S49)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으며, 게다가 압축된 경력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카피 불가를 도시하는 검출 신호(S125)를 도 17에 도시하는 스위치 전환 회로(48)에 출력한다.
또, 검출 회로(124)는 오디오 신호(S49)가 압축된 경력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 및/또는 오디오 신호(S49)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 카피 가능을 도시하는 검출 신호(S125)를 도 17에 도시하는 스위치 전환 회로(48)에 출력한다.
검출 신호(S125)에 근처한 스위치 전환 회로(48) 처리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9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126)의 구성도이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126)는 하프먼 디코더(135), 역양자화 회로(130), 계수 시프트 회로(131), 극성 비교 회로(132), 기억 회로(133) 및 검출 회로(134)를 갖는다.
하프먼 디코더(135)는 도 17에 도시하는 단자(50)로부터 입력한 MP3 파일(S50)(S5)을 하프먼 복호 처리하여 복호 데이터(S135)를 생성하고, 복호 데이터(S135)를 역양자화 회로(130)에 출력한다.
역양자화 회로(130)는 복호 데이터(S135)를 역양자화 처리하여 1024개의 주파수 성분을 단위로 한 MDCT 계수(S130)를 생성하여, MDCT 계수(S130)를 계수 시프트 회로(131) 및 극성 비교 회로(132)에 출력한다.
계수 시프트 회로(131)는 MDCT 계수(S130)를 사용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을 행하는 미리 정해진 제 1 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예를 들면, 주파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4개의 주파수 성분만 시프트한 위치에 존재하는 MDCT 계수를 MDCT 계수(S131)로서 극성 비교 회로(132)에 출력한다.
극성 비교 회로(132)는 역양자화 회로(130)로부터 입력한 MDCT 계수(S130)와, 계수 시프트 회로(131)로부터 입력한 MDCT 계수(S131)에 근거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을 행하는 미리 정해진 제 1 주파수 성분과,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주파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4개만큼 떨어진 제 2 주파수 성분과의 극성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도시하는 비교 신호(S132)를 생성한다.
기억 회로(133)는 오디오 신호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제 1 기준 누적치를 기억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기준 누적치는 예를 들면,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주파수 성분 중 처리에 의해 없어지지 않는 레벨을 갖는 주파수 성분 수의 80% 값을 도시하고 있다.
검출 회로(134)는 비교 신호(S132)에 근거하여, 제 1 주파수 성분 및 제 2 주파수 성분 쌍방이 MP3 인코더(5)의 압축 처리에 있어서 양자화 오차로 없어지지 않는 레벨을 갖는 세트에 대해서, 제 1 주파수 성분과 제 2에 주파수 성분이 동극성 수를 도시하는 제 1 누적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검출 회로(134)는 제 1 누적치가 기억 회로(133)로부터 판독한 제 1 기준 누적치 이상이면, MP3 파일(S50)(S5)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검출 신호(S126)에 근거한 스위치 전환 회로(48) 처리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음악 배신 시스템(100)의 동작 형태는 상술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처리 장치(91) 및 MP3 레코더(138m) 처리를 제외하고,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음악 배신 시스템(30)과 동일하다.
음악 배신 시스템(100)에 따라서도,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음악 배신 시스템(30)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 2 실시예의 변형예
상술한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13의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처리 장치(91)의 도 14에 도시하는 계수 시프트·감쇠 회로(93)에 있어서,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것을 결정한 주파수 성분을 일정 비율로 감쇠한 후에, 예를 들면, 주파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4개의 주파수 성분만 시프트하는 데 상당하는 처리를 MDCT 계수(S92)를 사용하여 행하는 경우를 예시했다.
이에 대해, 본 변형예에서는, 계수 시프트·감쇠 회로(93)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제 1 주파수 성분의 레벨을 감쇠 혹은 증폭한 레벨을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과 주파수 축 상에 4개의 주파수 성분만큼 떨어진 제 2 주파수 성분에 가산한다.
이 때, 계수 시프트·감쇠 회로(93)는 제 1 주파수 성분 중 미리 정해진 제 3 주파수 성분에 대해서는, 가산 후의 제 2 주파수 성분이 레벨이 도 20a에 도시하는 임계치(Th3) 이하가 되고, 또한, 도 20b에 도시하는 임계치(Th4) 이상으로 되도록, 해당 제 3 주파수 성분의 레벨을 감쇠 혹은 증폭하는 비율을 결정한다.
여기서, 임계치(Th4) 이상의 레벨의 주파수 성분은 도 13에 도시하는 MP3 인코더(5)에서 압축 처리를 거쳤을 때에 양자화 오차에 의해 없어지지 않는다. 한편, 임계치(Th4) 미만의 레벨의 주파수 성분은 도 13에 도시하는 MP3 인코더(5)에서 압축 처리를 거쳤을 때에 양자화 오차에 의해 없어진다.
또, 계수 시프트·감쇠 회로(93)는 제 1 주파수 성분 중 미리 정해진 제 4 주파수 성분에 대해서는, 가산 후의 제 2 주파수 성분이 레벨이 도 2Oa에 도시하는 임계치(Th3) 이하가 되고, 또한, 도 20b에 도시하는 임계치(Th4) 미만이 되도록, 해당 제 4 주파수 성분의 레벨을 감쇠 혹은 증폭하는 비율을 결정한다.
여기서, 제 3 주파수 성분이 대응하는 제 2 주파수 성분의 부분에는, 압축 내성이 강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며, 제 4 주파수 성분이 대응하는 제 2 주파수 성분의 부분에는, 압축 내성이 약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 3 주파수 성분과 제 4 주파수 성분이 주파수 축 상에 혼재하고 있다.
한편, 도 17에 도시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125, 126)에서는, 각각 도 18에 도시하는 검출 회로(124) 및 도 19에 도시하는 검출 회로(134)에 있어서, 압축 내성이 강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제 3 주파수 성분에 대해서, 초기치를 「0」으로 하고, 비교 신호(S122a, S132)가 극성의 일치를 도시하는 경우에 「1」을 가산하여 누적치를 산출하면, 해당 압축 내성이 강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는 도 20b, 도 2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에 의해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해당 누적치는 오디오 신호의 압축 경력의 유무에 관계 없이, 소정치 이상이 된다. 따라서, 제 3 주파수 성분에 대한 누적치를 구함으로써, 오디오 신호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도 17에 도시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125)에서는, 각각 도 18에 도시하는 검출 회로(124)에 있어서, 압축 내성이 약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제 4 주파수 성분에 대해서, 초기치를 「O」으로 하고, 비교 신호(S122b)가 극성의 일치를 도시하는 경우에는 「1」을 가산하여 누적치를 산출하면, 해당 압축 내성이 약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는 도 2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에 의해 없어지기 때문에, 해당 누적치는 오디오 신호가 압축된 경력이 있을 경우에는 0 또는 대략 0이 되며, 압축된 경력이 없을 경우에는 소정치 이상이 된다. 따라서, 제 4 주파수 성분에 대한 누적치를 구함으로써, 오디오 신호(S49)가 압축된 경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125, 126)의 검출 회로(124, 134)는 오디오 신호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으며, 게다가 된 경력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카피 불가를 도시하는 검출 신호(S125, S126)를 도 17에 도시하는 스위치 전환 회로(48)에 출력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 카피 가능을 도시하는 검출 신호(S125, S126)를 스위치 전환 회로(48)에 출력한다.
또, 한층 더 한 변형예로서, 도 13의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 장치(91)의 도 14에 도시하는 계수 시프트·감쇠 회로(93)에 있어서, 도 2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파수(fA) 이하에 압축 내성이 강한 제 3 주파수 성분을 할당하고, 주파수(fA) 이상에 압축 내성이 약한 제 3 주파수 성분을 할당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S49) 및 MP3 파일(S50)이 압축된 경력이 없을 경우에는, 도 21b에 도시하는 패턴으로 제 3 주파수 성분 및 제 4 주파수 성분 쌍방이 남지만, 압축된 경력이 있을 경우에는, 도 2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파수(fA) 이하에 할당된 압축 내성이 강한 제 3 주파수 성분만이 잔존한다. 따라서, 이것을 이용하여, 도 17에 도시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125)에서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의 유무 및 압축 경력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회로(126)에서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매립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 3 주파수 성분과 제 4 주파수 성분이 닮은꼴 관계를 갖도록,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술한 제 2 실시예 및 그 변형예 각각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전자 워터 마크 정보에 오디오 신호의 사용 제어 정보 및/또는 오디오 신호에 관련되는 정보를 놓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술한 도 20 및 도 21을 사용하여 설명한 예에서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처리 장치(91)에 있어서, 제 1 주파수 성분의 레벨을 감쇠 혹은 증폭하여 제 2 주파수 성분에 가산함으로써, 압축에 의해 없어지지 않는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제 3 주파수 성분과, 압축에 의해 없어지는 레벨을 갖는 제 4 주파수 성분을 생성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미리 정해진 제 1 주파수 성분의 레벨을 압축에 의해 없어지지 않는 레벨로 치환하여, 미리 정해진 제 2 주파수 성분의 레벨을 압축에 의해 없어지는 레벨로 치환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신호를 압축하는 수법으로서 MP3를 예시했지만, MPEG AAC(Advanced Audio Codng), ATRAC3(상표: 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등도 물론 이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의 압축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신호를 예로 설명했지만, 정지 화상의 화상 신호나 동화상의 화상 신호 등 그 밖의 디지털 신호에 대해서 처리를 행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전자 정보가 매립된 디지털 신호가 압축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디지털 신호가 압축된 경우에, 해당 디지털 신호가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되는 것을 금지하여 저작권을 침해하는 행위가 유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디지털 신호가 압축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신호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작권 보호에 유효한 디지털 신호 시스템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개재시켜 음악 콘텐츠를 배신하는 음악 배신 시스템의 전자 워터 마크 장치나 정지 화상, 동화상을 배신하는 영상 배신 시스템의 전자 워터 마크 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5)

  1.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친 것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디지털 신호가 상기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정보량인 제 1 정보량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정보량인 제 2 정보량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정보량과 상기 제 2 정보량을 대비하여, 상기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지 않은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정보량을 상기 제 1 정보량으로서 기억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제 1 정보량 및 상기 제 2 정보량으로부터, 상기 추출된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잔존율을 산출하고, 해당 잔존율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제 1 임계치와, 디지털 신호에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제 2 임계치를 부가로 기억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잔존율이 상기 제 1 임계치와 상기 제 2 임계치 사이의 값을 도시하는 것이라 판단한 경우에, 상기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으며, 게다가 해당 디지털 신호에는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으면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수단은,
    상기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직교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를 필터 처리하여,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추출하는 필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는 오디오 신호, 정지 화상의 화상 신호 또는 동화상의 화상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6.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친 것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 영역의 변환 계수에 근거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미리 정해져 있는 주파수 성분의 레벨 및 극성을 판정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제 3 임계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의 결과 및 상기 제 3 임계치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변환 계수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제 1 주파수 성분과,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주파수 축 상에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제 2 주파수 성분 복수의 세트 중,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 및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압축 처리에 의해 없어지는 레벨을 갖는 세트를 검출하고, 해당 검출한 세트에 대해서,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의 극성과, 대응하는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과의 극성을 비교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비교 수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극성이 일치한 세트의 비율을 상기 제 3 임계치를 비교하며,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과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압축 처리에 의해 없어지는 레벨을 갖는 상기 세트가 미리 정해져 있을 경우에,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미리 정해진 세트에 대해서,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과 대응하는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과의 극성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디지털 신호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제 4 임계치를 부가로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변환 계수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제 1 주파수 성분과,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주파수 축 상에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제 2 주파수 성분 복수의 세트 중,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 및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 쌍방이 상기 압축 처리에 의해 없어지지 않는 레벨을 갖는 세트를 검출하여, 해당 검출한 세트에 대해서,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의 극성과, 대응하는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의 극성을 비교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비교 수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극성이 일치한 세트의 비율을 상기 제 4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과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 중 쌍방이 상기 압축 처리에 의해 없어지지 않는 레벨을 갖는 상기 세트가 미리 정해져 있을 경우에,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미리 정해진 세트에 대해서,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과 대응하는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과의 극성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가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신호인 경우에는, 해당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 계수를 생성하는 직교 변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2. 압축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 제어를 행하는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디지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전자 워터 마크 검출 수단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수단은,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디지털 신호가 상기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정보량인 제 1 정보량을 기억하는 제 1 기억 수단과,
    상기 디지털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정보량인 제 2 정보량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정보량과 상기 제 2 정보량을 대비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압축 처리를 거쳤다고 검출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검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워터 마크 검출 수단은 상기 디지털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도시하는 사용 제어 정보를 판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의 검출 결과 및 상기 사용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억 수단은 상기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지 않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정보량을 상기 제 1 정보량으로서 기억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제 1 정보량 및 상기 제 2 정보량으로부터, 상기 추출된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잔존율을 산출하고, 해당 잔존율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억 수단은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제 1 임계치와, 디지털 신호에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제 2 임계치를 부가로 기억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잔존율이 상기 제 1 임계치와 상기 제 2 임계치 사이의 값을 도시하는 것이라 판단한 경우에, 상기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으며, 게다가 해당 디지털 신호에는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다고 검출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수단은,
    상기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직교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를 필터 처리하여,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추출하는 필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는 오디오 신호, 정지 화상의 화상 신호 또는 동화상의 화상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8. 압축된 디지털 신호를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 제어를 행하는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디지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전자 워터 마크 검출 수단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수단은,
    상기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 영역의 변환 계수에 근거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미리 정해져 있는 주파수 성분의 레벨 및 극성을 판정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제 3 임계치를 기억하는 제 1 기억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의 결과 및 상기 제 3 임계치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압축 처리를 거쳤다고 검출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검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워터 마크 검출 수단은 상기 디지털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도시하는 사용 제어 정보를 판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 검출 결과 및 상기 사용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변환 계수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제 1 주파수 성분과,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주파수 축 상에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제 2 주파수 성분 복수의 세트 중,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 및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압축 처리에 의해 없어지는 레벨을 갖는 세트를 검출하며, 해당 검출한 조에 대해서,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의 극성과, 대응하는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과의 극성을 비교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비교 수단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극성이 일치한 세트의 비율을 상기 제 3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과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압축 처리에 의해 없어지는 레벨을 갖는 상기 세트가 미리 정해져 있을 경우에,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미리 정해진 세트에 대해서,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과 대응하는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과의 극성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억 수단은 상기 디지털 신호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제 4 임계치를 부가로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변환 계수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제 1 주파수 성분과,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주파수 축 상에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제 2 주파수 성분 복수의 세트 중,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 및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 쌍방이 상기 압축 처리에 의해 없어지지 않는 레벨을 갖는 세트를 검출하며, 해당 검출한 세트에 대해서,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의 극성과, 대응하는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의 극성을 비교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비교 수단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극성이 일치한 세트의 비율을 상기 제 4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과 해당 제 1의 주파수 성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 중 쌍방이 상기 압축 처리에 의해 없어지지 않는 레벨을 갖는 상기 세트가 미리 정해져 있을 경우에,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미리 정해진 세트에 대해서, 상기 제 1 주파수 성분과 대응하는 상기 제 2 주파수 성분과의 극성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가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신호일 경우에는, 해당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 계수를 생성하는 직교 변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25. 디지털 신호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한 신호 매립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직교 변환 수단과,
    상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디지털 신호에,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신호 매립 수단과,
    상기 전자 워터 마크가 매립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신호 매립 수단은 상기 디지털 신호에 압축이 행해졌을 때에,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소정량 이상의 정보가 없어지도록,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상기 디지털 신호에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매립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매립 수단은,
    디지털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직교 변환 수단과,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스펙트럼 확산하는 스펙트럼 확산 수단과,
    상기 스펙트럼 확산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필터 처리하는 필터 수단과
    상기 디지털 신호와, 상기 필터 처리된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가산하는 가산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매립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매립 수단은
    디지털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직교 변환 수단과,
    상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제 1 주파수 성분의 레벨을 감쇠 혹은 증폭한 후에, 해당 제 1 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주파수 축 상에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제 2 주파수 성분의 레벨에 가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시프트 가산 수단과,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시간 영역으로 변환하는 역직교 변환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매립 장치.
  28.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친 것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디지털 신호가 상기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정보량인 제 1 정보량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있으며,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추출하는 스텝과,
    상기 추출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정보량인 제 2 정보량을 검출하여, 상기 제 1 정보량과 상기 제 2 정보량을 대비하여, 상기 검출 대상이 되는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29.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친 것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제 3 임계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있으며,
    상기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 영역의 변환 계수에 근거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미리 정해져 있는 주파수 성분의 레벨 및 극성을 판정하는 비교 스텝과,
    상기 비교 스텝의 결과 및 상기 제 3 임계치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30. 압축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 제어를 행하는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디지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스텝과,
    상기 전자 워터 마크 검출 스텝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 제어를 행하는 제어 스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스텝에 있어서,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디지털 신호가 상기 압축 처리를 거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정보량인 제 1 정보량를 기억하는 제 1 기억 수단을 갖고 있으며,
    상기 디지털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추출하는 스텝과,
    상기 추출한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정보량인 제 2 정보량를 검출하고, 상기 제 1 정보량과 상기 제 2 정보량을 대비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압축 처리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검출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워터 마크 검출 스텝은 상기 디지털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도시하는 사용 제어 정보를 판별하며,
    상기 제어 스텝은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 검출 결과 및 상기 사용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했는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32. 압축된 디지털 신호를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 제어를 행하는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디지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하는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스텝과,
    상기 전자 워터 마크 검출 스텝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 제어를 행하는 제어 스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 검출 스텝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제 3 임계치를 기억하는 제 1 기억 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 영역의 변환 계수에 근거하여,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미리 정해져 있는 주파수 성분의 레벨 및 극성을 판정하는 비교 스텝과,
    상기 비교 스텝 결과 및 상기 제 3 임계치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압축 처리를 거쳤다고 검출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검출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워터 마크 검출 스텝은 상기 디지털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나타내는 사용 제어 정보를 판별하며,
    상기 제어 스텝은 상기 디지털 신호가 압축 처리를 거쳤는지의 여부 검출 결과 및 상기 사용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재생 장치 내의 메모리에 기록할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34. 디지털 신호에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신호 매립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직교 변환 스텝과,
    상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디지털 신호에,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매립하는 신호 매립 스텝과,
    상기 전자 워터 마크가 매립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스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신호 매립 스텝은 상기 디지털 신호에 압축이 행해졌을 때에,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소정량 이상의 정보가 없어지도록,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를 상기 디지털 신호에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매립 방법.
  35.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된 디지털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는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직교 변환되며,
    상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디지털 신호에,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매립되며,
    상기 디지털 신호에 압축이 행해졌을 때에,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의 소정 이상의 정보가 없어지도록, 상기 전자 워터 마크 정보가 상기 디지털 신호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를 기록하고 있는 기록 매체.
KR1020007013545A 1999-03-31 2000-03-31 전자 워터 마크 정보에 근거하는 콘텐츠 처리 장치 KR200100439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93570 1999-03-31
JP9357099 1999-03-31
PCT/JP2000/002073 WO2000058928A1 (fr) 1999-03-31 2000-03-31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e signau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954A true KR20010043954A (ko) 2001-05-25

Family

ID=1408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545A KR20010043954A (ko) 1999-03-31 2000-03-31 전자 워터 마크 정보에 근거하는 콘텐츠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093104A1 (ko)
KR (1) KR20010043954A (ko)
CN (1) CN1297558A (ko)
AU (1) AU761944B2 (ko)
CA (1) CA2333884A1 (ko)
WO (1) WO20000589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8540A1 (en) 2002-05-14 2003-11-27 Mediasec Technologies, Gmbh Visible authentication patterns for printed document
US7133534B2 (en) * 2002-09-03 2006-11-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py protection via redundant watermark encoding
JP5168165B2 (ja) * 2009-01-20 2013-03-21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透かし情報の埋め込みおよび抽出を行うための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169913B2 (ja) * 2009-03-05 2013-03-27 ヤマハ株式会社 データ重畳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音響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2591B2 (ja) * 1996-10-22 2003-09-02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デジタル画像・音声データのマーク付与装置、マーク認識装置、マーク付与方法及びマーク認識方法
JP3662398B2 (ja) * 1997-09-17 2005-06-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電子透かし重畳装置及び電子透かし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7558A (zh) 2001-05-30
CA2333884A1 (en) 2000-10-05
WO2000058928A1 (fr) 2000-10-05
AU761944B2 (en) 2003-06-12
EP1093104A1 (en) 2001-04-18
AU3457200A (en)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690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JP3856652B2 (ja) 隠れデータ埋込み方法および装置
KR100351485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기록 매체
JP200118854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KR100898132B1 (ko) 기록매체, 기록방법, 기록장치, 정보신호를 위한 출력제어방법, 기록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신호전송방법과 콘텐츠 데이터
US6721437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cod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coding method
Qiao et al. Noninvertible watermarking methods for mpeg-encoded audio
Czerwinski et al. Digital music distribution and audio watermarking
KR20060023976A (ko) 비트-스트림 워터마킹
KR100349568B1 (ko)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Bibhu et al. Secret key watermarking in WAV audio file in perceptual domain
JP2007503026A (ja) サブバンドフィルタ処理を用いた透かし埋め込みの装置と方法
US20060198557A1 (en) Fragile audio watermark related to a buried data channel
KR20010043954A (ko) 전자 워터 마크 정보에 근거하는 콘텐츠 처리 장치
JP4226687B2 (ja) 電子透かし埋め込み装置及びオーディオ符号化装置
Loytynoja et al. Audio protection with removable watermarking
JP4131359B2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3905478B2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著作物のコピー及び再生を制御する装置、及び方法
Loytynoja et al. Audio encryption using fragile watermarking
EP1617414A2 (en) Transmission of a data signal in an audio signal
Firmansyah et al. Adaptive Segmentation on Audio Watermarking using Signal Differential Concept and Multibit Spread Spectrum Technique
Löytynoja et al. Watermark-based Counter for Restricting Digital Audio Consumption.
Ghorbani et al. Audio content security: attack analysis on audio watermarking
JP4000547B2 (ja) 情報伝送方法、情報記録方法及びそれらの装置
JP2007519945A (ja) メディア信号への信号従属プロパティの埋め込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