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3183A - 궐련필터 권취지, 궐련필터 및 필터부착 궐련 - Google Patents

궐련필터 권취지, 궐련필터 및 필터부착 궐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183A
KR20010043183A KR1020007012106A KR20007012106A KR20010043183A KR 20010043183 A KR20010043183 A KR 20010043183A KR 1020007012106 A KR1020007012106 A KR 1020007012106A KR 20007012106 A KR20007012106 A KR 20007012106A KR 20010043183 A KR20010043183 A KR 20010043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aper
winding
cigarette
polyme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6603B1 (ko
Inventor
카네키카즈요
요시다타카이치
미우라케이고
코마쯔바라오사무
카쯔마타히데아키
하라히로시
Original Assignee
미시마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미즈노 마사루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시마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미즈노 마사루,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시마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3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3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with ventilation means, e.g. air dilu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5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smoke filt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29Filter rod form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75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for filters with special features
    • A24D3/0287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for filters with special features for composite filter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Paper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제 1의 표면과 제 2의 표면을 갖는 종이층을 갖춘 궐련필터 권취지이다. 이 필터 권취지는 개공칩페이퍼를 제 1의 표면상에 중합시켜 측정된 때에 제 1의 중합통기도를 나타내고, 그 개공칩페이퍼를 제 2 표면에 중합시켜 측정된 때에 제 2의 중합통기도를 나타낸다. 제 1의 중합통기도는 제 2의 중합통기도보다도 높다.

Description

궐련필터 권취지, 궐련필터 및 필터부착 궐련{CIGARETTE FILTER ROLL PAPER, CIGARETTE FILTER, AND FILTER CIGARETTE}
최근, 궐련 등의 담배제품에 대하여 마일드한 담배 끽미(喫味)를 기호하는 경향이 점점 강해지고 있다. 마일드한 담배끽미를 얻기 위해서는 궐련에 사용하는 살궐련 자체를 팽화(膨化)하여 끽미를 완화하는 방법과, 궐련의 담배축단에 필터를 취부하는 방법이 있다.
후자의 필터를 취부하는 방법에 있어서, 궐련끽미를 한층 완화하기 위해서 소위 듀얼필터와 같이 필터 본체를 복수의 필터섹션으로 구성하여, 흡인부를 구성하는 필터섹션에 활성탄 등을 분산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필터부와 담배부를 일체로 접속하는 소위 칩페이퍼의 주위에 다수의 벤틸레이션 홀(ventilation hole)을 뚫어 흡연시에 이들 벤틸레이션 홀로부터 흡인되는 주위 공기에 의해 끽미를 완화하는 방법도 행하여지고 있다. 또, 필터를 두루감는 권취지로서 한층 높은 통기도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방법도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고통기도의 권취지를 사용하는 경우, 고통기도의 권취지는 강도가 낮기 때문에 필터 플러그(filter plug)를 감아 올리는 경우에 지장을 일으킬 우려가 있고, 또한 풀을 붙일 때에 풀이 권취지로부터 반송벨트로 스며나와서 연속적인 필터 플러그의 감아올림을 곤란하게 한다. 또한, 필터부착 궐련을 제조하는 경우, 필터 플러그를 궐련 권상기(卷上機)까지 풍송하지만, 고통기도의 권취지를 사용하는 경우, 필터 플러그의 풍송부에서 풀이 용출하고, 그 풀이 풍송관내에 부착하고, 후에 그것이 벗겨져서 필터 플러그에 혼입하기 때문에 궐련의 연속 감아올림(제조)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부착 궐련의 연속제조를 지장 없이 행할 수 있도록 풀이 스며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더구나 높은 벤틸레이션 비율을 달성할 수 있는 궐련필터 권취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그와 같은 궐련필터 권취지에 의해 두루감긴 궐련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와 같은 궐련필터를 갖춘 궐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궐련필터 권취지, 궐련필터 및 필터부착 궐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착 궐련의 일태양을 나타내는 일부절단ㆍ전개사시도이고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지의 일태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궐련필터의 일태양을 나타내는 일부 전개사시도이고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궐련필터의 다른 태양을 나타내는 일부 전개사시도이고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궐련필터의 또 다른 태양을 나타내는 궐련필터의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 도면에 걸쳐 적당한 경우에는 동일하고 또한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터부착 궐련의 기본적 구성을 그것의 담배부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에 있어서, 이후 상술하는 필터의 권취지 및 칩페이퍼가 전개된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이 필터부착 궐련은 필터부의 권취지의 구성 이외에는 통상의 필터부착 궐련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1에 나타난 필터부착 궐련은 기둥상(통상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주상)의 담배충전재료로 이루어진 담배컬럼(21)과, 이 담배컬럼(21)을 감아 통상의 권지(22)로 이루어진 담배부(20)를 갖추고, 이 담배부(20)의 일단에 필터부(10)가 연설되어 있다. 담배충전재료는 살담배, 팽화 살담배 등의 통상의 담배충전재료이다.
필터 일부(10)는 적어도 1개의 필터섹션으로 이루어진 필터 본체(11)를 갖는다. 필터 본체(11)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섬유 등의 통상의 담배용 필터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필터 본체(11)는 본 발명의 필터권취지(12)에 의해 두루감겨 있다. 권취지(12)는 전개상태에서 필터 본체(11)의 축방향길이와 동일한 축을 갖는다. 즉, 권취지(12)는 필터 본체(11)의 외주를 너무 부족하지 않게 덮고 있고, 그 양단부를 포개어 풀로 붙인다.
담배부(20)와 필터부(10)와는 복수의 벤틸레이션 홀이 뚫려진 개공칩페이퍼(13)에 의해 감겨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칩페이퍼(13)는 권취지(12)의 외주 전체를 덮고, 담배부(20)의 권지(22)의 기단부를 또한 덮고 있다. 즉, 개공칩페이퍼(13)는 권지(22)의 기단부를 덮도록 권취지(12)로부터 권지(22) 위에 연재되어 있다. 개공칩페이퍼(13)는 통상 칩페이퍼로서 사용되고 있는 어떤 종이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칩페이퍼(13)에는 필터부(10)의 기단(담배부(20)와는 반대측의 단, 즉 흡연단)으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복수의 벤틸레이션개공이 뚫려 있다. 벤틸레이션 홀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수단, 예를 들면 레이저 개공수단이나 기계 개공수단, 정전 개공수단에 의해 뚫을 수 있다. 이들 벤틸레이션 홀은 칩페이퍼(13)가 필터부(10)에 감길 때에 그 원주방향으로 열상(列狀)으로 배설되도록 뚫려 있다. 벤틸레이션 홀 줄은 1∼4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는 제 1의 줄을 갖는 레이저 개공수단으로 뚫린 다수의 벤틸레이션 홀(141∼14n)과, 이 제 1의 줄로부터 예컨대 0.5mm∼1.5mm(줄의 중심 사이의 거리로서 즉, 제 1의 줄의 각 개공의 중심 연결선과 제 2의 줄의 각 개공의 중심 연결선과의 사이의 거리로 하여) 이간하여 설치된 제 2의 줄을 이루는 레이저 개공수단으로 뚫린 다수의 벤틸레이션 홀(151∼15n)이 표시되어 있다. 각 벤틸레이션 홀의 지름은 예컨대 0.01mm∼0.4mm일 수 있다. 각 줄에 있어서 벤틸레이션 홀의 수는 예컨대 20∼200일 수 있다. 개공칩페이퍼(13) 자체의 통기도는 200∼5000 코레스타 단위 정도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필터를 감은 2중의 종이(즉, 필터섹션을 개별적으로 두루감은 각 권취지 및 소위 성형지)가 전체로 동일한 통기도를 갖는 종이로 구성되어 있는 바, 권취지 및 성형지의 통기도를 변화시킨 경우에 있어서, 중합시킨 양 종이의 총 통기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기의 유입상류측에 고통기도의 성형지를, 그리고 하류측에 저통기도의 권취지를 배치한 경우와, 그 역으로 공기의 유입상류측에 저통기도의 성형지를, 그리고 하류측에 고통기도의 권취지를 배치한 경우의 어느 경우에나 예기한 바와 같이, 중합된 종이 전체의 총 통기도는 저통기도의 종이에 의해 규제되었다. 따라서, 벤틸레이션 비율(칩페이퍼의 벤틸레이션 홀로부터 유입되어, 권취지 및 성형지를 통과하는 공기의 담배연기중으로의 혼입률)도 어느 경우에나 저통기도의 종이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다른 통기도를 갖는 2개의 종이로 필터를 감고, 이것을 담배부와 함께 개공칩페이퍼에 의해 필터부착 궐련으로 감아 올리고, 벤틸레이션 비율을 측정한 결과, 놀랍게도 저통기도의 종이를 공기의 유입하류측에 배치한 경우와, 상류측에 배치한 경우에서는 벤틸레이션 비율이 다른 것이 밝혀졌다. 즉, 고통기도의 종이를 공기의 유입상류측에 배치한 경우가 고통기도의 권취지를 하류측에 배치한 경우보다도 벤틸레이션 비율이 유의하게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지견은 전체 예상에 반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 지견에 근거한 것이다.
그리고, 고통기도의 권취지를 사용한 경우에 생기는 풀이 스며나오는 문제를 고려하여 상기 지견에 따라 더 검토한 결과, 필터 본체의 권취지를 고통기도층과 저통기도층을 양면측에 갖는 다층의 초지하여 합쳐진 구조로서 완성함으로써 풀이 스며나오는 문제를 또한 회피하여 양호한 벤틸레이션 비율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권취지는 개공칩페이퍼를 한쪽의 면(제 1의 표면) 위에 중합시켜 측정된 때에 제 1의 중합통기도를 나타내고, 상기 개공칩페이퍼를 다른쪽의 면(제 2의 표면)에 중합시켜 측정된 때에 제 2의 중합통기도를 나타내고, 제 1의 중합통기도는 제 2의 중합통기도보다도 높다고 하는 것에 의해 특징이 부여될 수 있다. 이 다층의 초지하여 합쳐진 구조의 권취지에 있어서는 제 1의 중합통기도가 제 2의 중합통기도보다도 1.5배 이상 높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의 중합통기도가 제 2의 중합통기도보다도 1.5배 이상 높은 경우에는 권취지는 다층의 초지하여 합쳐진 구조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고, 단층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제 1의 중합통기도가 제 2의 중합통기도보다도 1.5배 이상 높은 단위구조의 권취지는 예컨대 공공률(空孔率)에 구배를 갖는 단층의 권취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합통기도는 개공칩페이퍼가 공기흐름의 상류측에, 권취지가 공기흐름의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칩페이퍼와 권취지를 중합시키고, ISO 2965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측정에 사용되는 칩페이퍼는 레이저로 뚫린 2줄의 벤틸레이션 홀을 갖고, 벤틸레이션 홀의 평균직경은 0.13mm이고, 벤틸레이션 홀의 각 줄의 길이 10mm에 있어서 벤틸레이션 홀 수는 20이고, 벤틸레이션 홀 줄의 간격은 1.5mm이다. 중합통기도를 필터로너(Filtrona)사제 통기도 미터로 측정하는 경우에는 보통 1매의 종이의 통기도를 측정하는 경우보다도 통기도값의 안정화에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 경우에는 측정시료를 통기도 미터에 장착하여 측정을 개시한 때부터 3분 이상 경과후의 수치를 중합통기도로 한다.
이미 설명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권취지(12)는 그 제 1의 표면이 개공칩페이퍼(13)와 접하도록 필터본체(11)를 권취하는 것이다. 바꿔 말하자면 본 발명의 권취지(12)는 그 제 1의 표면이 칩페이퍼 홀로부터 유입하는 공기흐름으로부터 보아 상류측(이하, 간단하게 상류측이라 한다)에 위치하도록, 따라서 제 2의 표면이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필터 본체(11)를 감는다. 그 경우, 권취지(12)의 접합의 경우에, 풀은 제 2의 표면상에 도포시키는 것으로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권취지(12)중 다층의 초지하여 합쳐진 구조의 권취지의 일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층의 초지하여 합쳐진 구조를 갖는 권취지(12)는 제 1의 표면(12a)을 제공하는 층(121)과 제 2의 표면(12b)을 제공하는 층(122)이 일체적으로 초지하여 합쳐진 구조를 갖는다. 도 2에는 2층의 초지하여 합쳐진 구조의 권취지(12)가 표시되어 있다.
권취지(12)는 제 1의 표면(12a) 위에 개공칩페이퍼(도시하지 않음)를 중합시켜 측정된 제 1의 중합통기도가 제 2의 표면 위에 동일한 개공칩페이퍼(도시하지 않음)를 중합시켜 측정된 제 2의 중합통기도보다도 높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한, 본 발명의 다층의 초지하여 합쳐진 구조를 갖는 권취지는 2층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3층 이상의 다층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제 1의 중합통기도는 제 2의 중합통기도보다도 1.5배 이상 높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높다. 통상, 제 1의 중합통기도/제 2의 중합통기도의 비는 6.0 이하이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의 중합통기도가 제 2의 중합통기도보다도 1.5배 이상 높은 경우에는 권취지(12)는 단층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그 경우에도 제 1의 중합통기도는 제 2의 중합통기도보다도 2배 이상 높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 2로 돌아가서 제 1의 표면을 제공하는 층(121)(이하, 편의상 「고통기도층)이라 한다)은 상당히 높은 통기성을 갖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시트내의 공공(空孔)지름이 비교적 큰 층으로 되어 있고, 시트밀도는 0.2∼0.35g/㎤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통기도층(121)을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부피가 큰 것을 얻기 위한 섬유, 초지성을 얻기 위한 섬유, 더욱이 필요에 따라서 섬유 사이의 결합을 생기게 하기 위한 섬유가 여러가지 조합되어 사용된다. 부피가 큰 것을 얻기 위한 섬유로서 레이온, 료셀 등의 반합성섬유, 아세테이트, 나일론, 비닐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섬유 및 이들의 복합섬유 등의 합성섬유, 권축성을 갖는 합성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이의 섬유중에는 초지기(抄紙機)의 건조 존(zone)에서 열에 의해 섬유 사이의 접착성을 생기게 하는 것도 있다. 이들 섬유로서는 1∼20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2∼5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목재펄프, 비목재펄프 등 통상 제지용에 사용되는 천연섬유중, 부피가 큰 것을 얻기 쉬운 비목재섬유펄프, 예컨대 마닐라마, 사이잘마, 케나후, 에스파르토(esparto), 로우젤 등의 펄프섬유나 마젤화 펄프, 벽이 두꺼운 남양재펄프, 벽이 두꺼운 침엽수펄프 등의 목재펄프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천연섬유는 상기 반합성섬유나 합성섬유와 조합시켜 사용하면 초지성을 높힐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폴리비닐알코올(PVA)계 바인더섬유, 복합섬유, 열가소성 합성섬유 등의 섬유간 결합을 생기게 하기 위한 섬유가 소량 사용된다. 고통기도층(121)은 단망(短網) 또는 원망(圓網)초지할 수 있지만, 부피가 큰 것을 얻는 것은 단망초지가 바람직하다.
제 2의 표면을 제공하는 층(이하, 편의를 위해서 「저통기도층」이라 한다)(122)은 고통기도층(121)에 비하여 공공지름이 작고, 고통기도층(121)보다 고밀도의 층으로서, 시트밀도도 0.3∼0.6g/㎤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통기도층(122)은 담배필터를 제조하는 경우에 권취지의 풀이 스며나옴을 방지하기 위한 층으로서 작용하고, 공공지름을 고통기도층(121)보다 작게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침엽수크라프트펄프(NBKP), 활엽수크라프트펄프(LBKP), 목면펄프, 린터펄프, 아마펄프 또는 고통기도층에 사용되는 비목재섬유펄프, 예컨대 마닐라마, 사이잘마, 케나후, 에스파르토, 로우젤 등의 펄프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된다. 이 저통기도층(122)은 원망 또는 단망초지 되지만, 권취지의 풀이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원망초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통기도층(121)은 10000 코레스타 단위 이상의 단일층 통기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통기도층(122)은 1800∼25000 코레스타 단위의 범위내의 단일층 통기도에 있어서 고통기도층(121)보다도 낮은 통기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통기도층(121)은 30000 코레스타 단위 이상의 단일층 통기도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다른 한편, 저통기도층(122)은 고통기도층(121)의 단일층 통기도의 2/3 이하의 단일층 통기도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고통기도층(121)의 단일층 통기도의 1/2 이하의 단일층 통기도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고통기도층(121)의 단일층 통기도의 상한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고통기도층(121)의 단일층 통기도는 통상, 300000 코레스타 단위 이하이다.
또한, 고통기도층(121)은 30∼100㎛의 단일층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통기도층(122)은 15∼35㎛의 단일층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의 초지하여 합쳐진 구조의 권취지는 상기와 같이 단망초지부와 원망초지부를 갖는 복합초지기에서 초지하여 합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초지하여 합치므로써 권취지의 총 두께는 각 층이 습지의 상태에서 겹쳐지고 압축되므로 통상, 각 층의 단일층 두께를 합계로 한 것보다 약간 얇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권취지(12)는 40∼130㎛의 총두께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통기도층(121)과 저통기도층(122)을 갖는 다층의 초지하여 합쳐진 구조로 이루어진 권취지(12)는 1500∼15000 코레스타 단위의 총 통기도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취지의 총 통기도는 제 1의 표면으로부터 권취지에 공기를 유입시켜 측정하는 경우나 제 2의 표면측으로부터 권취지에 공기를 유입시켜 측정하는 경우 모두 동일한 총 통기도값을 나타낸다. 그리고, 총 통기도가 높을 수록 높은 벤틸레이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개공칩페이퍼를 권취지의 제 1의 표면상에 중합시켜 개공칩페이퍼측으로부터 공기를 권취지에 유입시킨 경우에 나타나는 제 1의 중합통기도는 개공칩페이퍼를 권취지의 제 2의 표면상에 중합시켜 개공칩페이퍼측으로부터 공기를 권취지에 유입시킨 경우에 나타나는 제 2의 중합통기도와는 유의하게 다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제 1의 중합통기도가 높을 수록 벤틸레이션 비율이 높게 된다. 따라서, 제 1의 중합통기도는 벤틸레이션 비율의 지표로도 된다.
또, 고통기도층(121)이 저통기도층(122)보다도 충분하게 높은 통기도를 갖는 경우, 듀얼필터에 있어서는 칩페이퍼에 뚫려진 벤틸레이션 홀이 열상으로 2줄 설치되어 있는 경우, 당해 필터는 약 50% 이상의 벤틸레이션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권취지는 상기 구성을 취하므로써 개공칩페이퍼와 조합시켜 사용할 때에 우수한 벤틸레이션 비율을 달성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권취지는 풀로 붙인 경우에서는 권취지의 풀부착 중합단에 있어서 풀이 부여된 면이 제 2의 표면으로 되어 풀이 스며나오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필터부착 궐련의 연속 감아올림을 지장 없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취지는 지력(紙力), 표면물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서 수용성 고분자 물질 등의 도공제를 도공 또는 함침시킬 수 있다. 도공 또는 함침은 블레이드코터, 로울러코터, 사이즈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도공제로서는 초지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 각종 전분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르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염계 중합체, 폴리초산비닐계 중합체의 에멀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고, 더욱이 각종 내수화제, 표면사이즈제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도공에 의해 필터권취지로서의 권상적성(卷上適性), 기계주행적성이 향상된다. 또한 표면의 보풀이 일거나 섬유의 탈락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담배용 필터에 있어서, 필터 본체(11)는 1개 또는 복수의 필터섹션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 필터 본체(11)가 1개의 필터섹션(30)으로 이루어진 필터(10)가 권취지(12)를 전개한 상태에서 표시되어 있다. 이 필터섹션(30)은 예컨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섬유통으로 구성되고, 소위 플레인필터로 할 수 있다. 이 필터섹션(30)의 외주는 본 발명의 권취지(12)에 의해 지나치게 부족하지 않게 덮여 있다. 이 경우, 권취지(12)의 저통기도층(122)(도 2 참조)은 필터섹션(30)과 직접 접하고 있다.
도 4에는 필터 본체(11)가 복수의 필터섹션으로 이루어진 필터의 예로서 소위 듀얼필터 구조의 필터(10)가 권취지(12) 등을 전개한 상태에서 표시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필터(10)는 2개의 필터섹션(41) 및 (42)로 이루어진 필터 본체(11)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터 본체(11)는 궐련의 흡인구로 이루어진 제 1의 필터섹션(41)과, 흡인된 담배연기의 상류측에 이것과 동축(同軸)에 연설된 제 2의 필터섹션(42)으로 이루어진 소위 듀얼필터 구조를 갖는다.
제 1의 필터섹션(41)은 예컨대 5mm∼25mm의 범위내의 길이를 갖고, 다른 쪽 제 2의 필터섹션(42)은 예컨대 5mm∼25mm의 범위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듀얼필터 본체(11)는 통상 17mm∼30mm의 길이를 갖고, 그 직경(따라서, 각 필터섹션(41), (42)의 직경 또한)은 예컨대 7.0mm∼8.3mm일 수 있다.
제 1의 필터섹션(41)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섬유 등의 통상의 필터재료만으로 형성되는 소위 플레인필터로 구성될 수 있고, 제 2의 필터섹션(42)은 상기 통상의 필터재료에 활성탄 등의 흡착제를 분산시켜 구성할 수 있다. 필터 본체(11)는 통상 50mmH2O∼150mmH2O정도의 통기저항을 가질 수 있다.
제 1의 필터섹션(41) 및 제 2의 필터섹션(42)은 각각 제 1의 개별 권취지(43) 및 제 2의 개별 권취지(44)에 의해 개별적으로 감겨져 있다.
제 1의 개별 권취지(43)는 전개상태에서 제 1의 필터섹션(41)의 축방향길이와 동일한 축을 갖고, 또한 제 2의 개별 권취지(44)는 전개상태에서 제 2의 필터섹션(42)의 축방향 길이와 동일한 축을 갖는다. 즉, 제 1의 개별 권취지(43)는 제 1의 필터섹션(41)의 외주(도시한 예에서는 원주)를, 그리고 제 2의 개별 권취지(44)는 제 2의 필터섹션(42)의 외주(도시한 예에서는 원주)를 각각 지나치게 부족하지 않게 덮고 있다.
각 개별 권취지(43), (44)에 의해 감긴 필터섹션(41), (42)은 1매의 본 발명의 권취지(12)에 의해 일체적으로 감겨 있다. 권취지(12)는 듀얼필터 본체(11)의 축방향 길이와 같은 길이의 축을 갖고, 듀얼필터의 외주(도시한 예에서는 원주)를 개별 권취지(43), (44)를 통하여 지나치게 부족하지 않게 덮고 있다. 개별 권취지(43), (44)중 도 4에는 나타나지 않은 칩페이퍼의 벤틸레이션 홀(도 1 참조)에 대응하는 개별 권취지(즉, 벤틸레이션 홀의 아래에 위치하는 개별 권취지)의 통기도는 7000∼10000 코레스타 단위로 충분하고, 다른 쪽 벤틸레이션 홀에 대응하지 않는 개별 권취지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무통기의 것이어도 좋다.
도 5에는 소위 온머쉰(on machine) 듀얼필터라 칭해지는 궐련용 필터가 칩페이퍼에 의해 담배부와 연설(連設)된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이 온머쉰 듀얼필터의 구조는 각 필터섹션(41), (42)이 개별 권취지(43) 및 (44)에 의해 권취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담배부(20)와 필터부(10)를 접속하는 칩페이퍼(13)에 설치된 벤틸레이션 홀(14)에 대응하는 필터섹션(42)이 본 발명의 권취지(12)에 의해 직접 권취되고, 벤틸레이션 홀(14)에 대응하지 않는 필터섹션(41)이 제 2의 권취지(51)에 의해 직접 권취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도 4에 나타난 통상의 듀얼필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제 2의 권취지(51)는 특별하게 제한은 없고, 본 발명의 권취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소위 무통기지(無通氣紙)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궐련용 필터는 벤틸레이션 홀(개공)이 뚫린 칩페이퍼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고, 필터부는 칩페이퍼의 개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통기도층을 외측으로 향하여 배치한 본 발명의 권취지로 직접 또는 간접으로 권취된 필터섹션을 갖는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궐련용 필터를 고려하여 간단하게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궐련용 필터는 적어도 1개의 필터섹션으로 이루어지는 필터 본체(11)를 갖고, 필터 본체(11)는 본 발명의 권취지(12)에 의해 감아 올려져 있다. 이 필터가 개공칩페이퍼(13)에 의해 조합되어 사용될 때에(즉, 담배부(20)와 함께 개공칩페이퍼(13)에 의해 감길 때에) 권취지(12)는 그 고통기도층(121)(도 2 참조)이 외측에 즉, 칩페이퍼(13)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필터본체가 듀얼구조를 갖는 경우, 제 1의 개별 권취지로 개별적으로 감긴 제 1의 필터섹션을 A로, 제 2의 개별 권취지로 개별적으로 감긴 제 2의 필터섹션을 B로 나타내면, 통상 연설체 BAAB를 1단위로 하여 이것이 복수 집합되어 성형지로 일체화되어 제품으로 된다(예컨대, BAABBAAB, BAABBAABBAAB 등). 필터부착 궐련을 제조하는 경우 서로 가까운 필터부착 섹션 B와 B와의 사이에서 이 일체화 제품을 각각 절단하여, 복수의 연설체 BAAB를 얻고, 각 연설체의 양 B단에 담배부(20)를 각각 취부하여 개공칩페이퍼(이 개공 칩페이퍼는 도 1에 도시한 칩페이퍼(13)가 그 기단에서 대칭적으로 일체로 접속한 형상을 갖는다)로 접속된다. 이어서, 양 단에 담배부(20)가 접속된 필터 연설체의 칩페이퍼 및 형성지를 서로 가까운 필터섹선 A와 A를 분리하도록 절단하여 2개의 필터부착 궐련을 얻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연설체 또는 그 집합체의 형태인 궐련용 필터도 그 범위내의 것으로 하는 것이다.
실시예 1
하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궐련용 필터의 권취지를 제조하였다.
카나다표준형 여수도(度) 752ml CSF까지 고해(叩解)한 시판 마닐라마 펄프 23중량부, 레이온섬유(일본국의 다이와보우레이온(주)제 : 레이온 SB(5d×5mm)) 72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상 바인더(일본국의 (주)크랄제 : VPB107(1d×3mm)) 5중량부를 혼합하여 고통기도층을 위한 초지원료로 하였다.
한편, 카나다표준형 여수도 286ml CSF까지 고해한 시판 침엽수를 햇볕에 쫴어 말린 크라프트펄프(NBKP)에 알킬케텐다이머(AKD)계 수지(일본국의 황천화학공업(주)제 : 상품명 사이즈파인 K901)와 폴리아미드수지(일본국의 일본 PMC(주)제 : 상품명 RD 805)를 각각 0.4중량%(고형분/고형분), 0.12중량%(고형분/고형분) 첨가하여 저통기도층을 위한 초지원료로 하였다.
양 층의 초지원료를 적당하게 희석하여 단망초지부와 원망초지부를 갖는 복합초지기의 각 초지부로 보내고, 초지기의 건조부중에 설치된 사이즈프레스 도공장치에서 폴리비닐알코올(일본국의 전기화학공업(주)제 덴카사이즈 A-50) 2중량%와 표면 사이즈제로서 폴리스티렌계 수지(일본국의 황천화학공업(주)제 폴리머론 360) 0.1중량%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도공하여 평량 32.3g/㎡의 본 발명의 궐련필터 권취지 A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시판 마닐라마 펄프 65중량부와 폴리에스테르(PET)계 바인더섬유(일본국의 (주) 크랄제 : 상품명 소피트 N720(2d×5mm) 35중량부를 혼합하여 고통기도층을 위한 초지원료로 하였다.
한편, 카나다표준형 여수도 314ml CSF까지 고해한 시판의 침엽수를 햇볕에 쫴어 말린 크라프트펄프(NBKP)에 알킬케텐다이머(AKD)계 수지(일본국의 황천화학공업(주)제 : 상품명 사이즈파인 K901)와 폴리아미드수지(일본국의 일본 PMC(주)제 : 상품명 RD805)를 각각 0.4중량%(고형분/고형분), 0.12중량%(고형분/고형분) 첨가하여 저통기도층을 위한 초지원료로 하였다.
양 초지원료를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량 35.7g/㎡의 본 발명의 궐련필터 권취지 B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저통기도층의 평량을 1g/㎡ 감소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평량 35.0g/㎡의 본 발명의 궐련용 필터의 권취지 C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카나다표준형 여수도 712ml CSF까지 고해한 시판 마닐라마 펄프 50중량부, 레이온섬유(일본국의 다이워보우레이온(주)제 : 레이온 SB(3d×5mm)) 47.5중량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상 바인더 2.5중량부를 혼합하여 고통기도층을 위한 초지원료로 하였다.
한편, 카나다표준형 여수도 255ml CSF까지 고해한 시판 침엽수를 햇볕에 쫴어 말린 크라프트펄프(NBKP)에 알킬케텐다이머(AKD)계 수지(일본국의 황천화학공업(주)제 : 상품명 사이즈파인 K901)를 0.4중량%(고형분/고형분) 첨가하여 저통기도층을 위한 초지원료로 하였다.
양 층의 초지원료를 적당하게 희석하여 단망초지부와 원망초지부를 갖는 복합초지기의 각 초지부로 보내고, 실시예 1∼3과는 다르게 사이즈프레스 도공하지 않고, 평량 22.0g/㎡의 본 발명의 궐련필터 권취지 D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사용한 마닐라마 펄프 및 레이온섬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상 바인더를 각각 16중량부, 79.7중량부, 4.3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고통기도층을 위한 초지원료를 제조하였다.
다른 한편, 침엽수를 햇볕에 쫴어 말린 크라프트펄프의 카나다표준형 여수도를 315ml CSF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저통기도층을 위한 초지원료를 제조하였다.
양층의 초지원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평량 23.0g/㎡의 본 발명의 궐련필터의 권취지 E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카나다표준형 여수도 703ml CSF까지 고해한 시판 마닐라마 펄프 및 실시예 4에서 사용한 레이온섬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상 바인더를 각각 41.8중량부, 57.0중량부, 1.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고통기도층을 위한 초지원료를 제조하였다.
한편, 침엽수를 햇볕에 쫴어 말린 크라프트펄프의 카나다표준형 여수도를 261ml CSF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저통기도층을 위한 초지원료를 제조하였다.
양 층의 초지원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평량 22.5g/㎡의 본 발명의 궐련필터의 권취지 F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저통기도층을 위한 초지원료의 침엽수 크라프트펄프의 카나다표준형 여수도를 300ml CSF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평량 22.5g/㎡의 본 발명의 궐련필터의 권취지 G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고통기도층을 위한 초지원료의 마닐라마 펄프, 레이온섬유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상 바인더의 양을 각각 26.2중량부, 72.3중량부, 1.5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평량 22.5g/㎡의 본 발명의 궐련필터 권취지 H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8에서 제조된 권취지 A∼H에 관해서 각 고통기도층 및 저통기도층의 단일층 통기도 및 단일층 두께 및 총 두께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권취지 A∼H의 총 통기도(코레스타 단위(CU)) 및 미리 언급한 방법에 의해 측정한 제 1 및 제 2의 중합통기도(CU)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는 이하 설명하는 비교예 8∼9에서 사용한 단층권취지에 관한 데이터도 나타내고 있다.
통기도는 모두 ISO 2965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실시예권취지 고통기도층 저통기도층 총 두께(㎛)
단일층통기도(CU) 단일층두께(㎛) 단일층통기도(CU) 단일층두께(㎛)
실시예 1권취지 A 63000 80 11000 20 87
실시예 2권취지 B 31000 80 8000 22 89
실시예 3권취지 C 31000 80 12000 21 87
실시예 4권취지 D 200000 51 9900 22 61
실시예 5권취지 E 265000 64 9500 23 60
실시예 6권취지 F 123000 58 20500 21 65
실시예 7권취지 G 123000 58 20500 21 65
실시예 8권취지 H 250000 64 20000 22 70
권취지 총 통기도(CU) 제 1의 중합통기도(CU) 제 2의 중합통기도(CU)
권취지 A 2860 711 193
권취지 B 2100 449 146
권취지 C 3130 532 217
권취지 D 5480 722 259
권취지 E 5030 859 261
권취지 F 8880 861 418
권취지 G 9730 878 387
권취지 H 11990 974 407
비교예 8(단층권취지 Ⅰ)* 9200 633 549
비교예 9(단층권취지 Ⅱ) 31000 988 988
*) 비교예 8의 단층권취지 Ⅰ은 한쪽의 면에 도공처리가 실시되어 있지만, 제 1의 중합통기도와 제 2의 중합통기도가 달라져 있었다.
실시예 9∼16, 비교예 1∼9
실시예 1∼8에서 제조된 8종의 권취지 A∼H를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하여 도 3에 나타낸 플레인필터를 제조하고, 그 플레인필터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구조의 필터부착 궐련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각 필터부착 궐련은 직경 7.9mm, 전체 길이가 84mm이고, 그 담배컬럼(21)을 구성하는 살담배는 통상 제품의 블렌드 살담배이고, 그 충전밀도는 235mg/㎤이고, 또한 권지(22)의 통기도는 35CU이었다. 필터는 길이가 25mm이고, 2.2Y40000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섬유통으로 이루어지고, 그 통기저항은 17.5ml/초에서 흡인할 때에 128mmH2O이었다.
또한, 칩페이퍼(13)로서는 뚫린 벤틸레이션 홀 줄이 2줄인 것을 사용하였다. 각 줄의 실효 벤틸레이션 홀 수는 46이었다. 개공(開孔列)줄의 중심은 필터기단(흡인구단)으로부터 13.5mm 및 15mm의 위치에 있었다. 칩페이퍼(13) 자체의 통기도는 1230CU이었다.
각각 얻어진 필터부착 궐련에 관해서 소정의 측정기(필토로나사제 자동벤틸레이션미터 AVM)를 사용하여 필터단으로부터 흡인하고, 벤틸레이션 홀로부터의 주위공기의 혼입비율, 즉 벤틸레이션 비율(Vf)을 측정하였다. 그 측정치에 관한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도 표 3에 병기한다.
즉, 필터를 제조하는 경우, 권취지(12)의 양 단부는 중합시켜 풀로 부착되어 있다. 풀로 붙이는 경우에, 착색한 풀(핫멜트)을 사용하여, 플러그 표면에 스며나온 풀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각 줄마다 10cm 길이의 필터 플러그를 300개 권취지로 감아올리고, 그 300개 필터중의 풀이 스며나온 개수를 눈으로 보고 판정하였다.
즉, 권취지로서 통기도 9200CU의 단층지(단층권취지 Ⅰ) 및 통기도 31000CU의 단층지(단층권취지 Ⅱ)를 사용한 필터부착 궐련에 관한 결과도 표 3에 함께 나타낸다.
권취지와그 배치 벤틸레이션비율(%) 표준편차(%) 변동계수(%) 300개중의 풀이 스며나온 개수
실시예 9 권취지 A :고통기도층 상류측 65 2.3 3.5 5
비교예 1 권취지 A :고통기도층 하류측 53 4.5 8.5 -
실시예 10 권취지 B :고통기도층 상류측 60 2.6 4.3 8
비교예 2 권취지 B :고통기도층 하류측 48 2.8 5.8 -
실시예 11 권취지 C :고통기도층 상류측 63 2.4 3.8 7
비교예 3 권취지 C:고통기도층 하류측 53 3.4 6.4 -
실시예 12 권취지 D :고통기도층 상류측 67 2.6 3.9 24
비교예 4 권취지 D :고통기도층 하류측 58 3.2 5.5 -
실시예 13 권취지 E :고통기도층 상류측 70 2.7 3.8 15
비교예 5 권취지 E :고통기도층 하류측 62 3.0 4.9 -
실시예 14 권취지 F :고통기도층 상류측 72 2.0 2.8 36
비교예 6 권취지 F :고통기도층 하류측 69 2.5 3.7 -
실시예 15 권취지 G :고통기도층 상류측 74 2.0 2.8 46
비교예 7 권취지 G :고통기도층 하류측 70 2.7 3.8 -
실시예 16 권취지 H :고통기도층 상류측 76 1.8 2.4 24
비교예 8 단층권취지 Ⅰ 65 3.2 4.9 67
비교예 9 단층권취지 Ⅱ 74 1.9 2.5 166
표 3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실시예 9∼16)에 의하면, 종래의 고통기도 단층권취지(단층권취지 Ⅰ∼Ⅱ)를 사용한 경우와 거의 동일한 벤틸레이션 비율을 달성할 수 있고, 그 변동계수도 작다. 또한, 실시예 9∼16에 있어서는 권취지에서의 풀의 스며나옴도 적고, 궐련의 연속 감아올림에 지장을 가져오지 않았다.
실시예 17∼19, 비교예 10
필터 본체(11)를 도 4에 나타난 듀얼필터 구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16과 동일한 구조의 필터부착 궐련을 제조하였다.
이 듀얼필터 구조는 그 기단부의 2.2Y40000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섬유통으로 이루어진 플레인필터(도 4에 있어서, 제 1의 필터섹션(41))의 길이가 10mm이었고, 그 통기저항은 17.5ml/초로 흡인할 때에 50mmH2O이고, 그것에 연결된 같은 2.2Y40000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섬유통으로 이루어진 필터(도 4에 있어서 제 2의 필터섹션(42))의 길이가 15mm이었으며, 그 통기저항은 17.5ml/초에서 흡인할 때에 76mmH2O이었다. 그 밖의 사양 및 측정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권취지와그 배치 개별권취지 벤틸레이션비율(%) 표준편차(%) 변동계수(%)
실시예 17 권취지 A :고통기도층 상류측 통기도10000CU단층 61 2.5 4.1
실시예 18 권취지 B :고통기도층 상류측 통기도10000CU단층 54 3.0 5.6
실시예 19 권취지 C :고통기도층 상류측 통기도10000CU단층 60 1.7 2.8
비교예 10 통기도 10000CU단층 통기도30000CU단층 64 4.6 7.2
표 4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필터구조의 경우에 있어서도, 비교예 10과 거의 동일한(특히 실시예 17, 19의 경우) 벤틸레이션 비율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실시예 17∼19에 있어서는 권취지에 있어서 풀의 스며나옴이 없고, 궐련의 연속 감아올림을 지장 없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측면에 의하면, 제 1의 표면과 제 2의 표면을 갖고, 일체적으로 초지하여 합쳐진 복수의 층을 갖춘 궐련필터 권취지에 있어서, 상기 필터 권취지는 개공(開孔)칩페이퍼를 상기 제 1의 표면상에 중합(중첩)시켜 측정된 때에 제 1의 중합통기도를 나타내고, 또한 상기 개공칩페이퍼를 상기 제 2의 표면상에 중합시켜 측정된 때에 제 2의 중합통기도를 나타내며, 상기 제 1의 중합통기도는 상기 제 2의 중합통기도보다도 높은, 궐련필터 권취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의 중합통기도는 제 2의 중합통기도보다도 1.5배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의 표면을 제공하는 층은 바람직하게는 10000 코레스타 단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 코레스타 단위 이상의 단일층 통기도를 가짐과 동시에, 제 2의 표면을 제공하는 층은 바람직하게는 1800∼25000 코레스타 단위의 범위내에서 제 1의 표면을 제공하는 층보다도 낮은 단일층 통기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의 표면을 제공하는 층은 30∼100㎛의 단일층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의 표면을 제공하는 층은 15∼35㎛의 단일층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권취지는 1500∼15000 코레스타 단위의 총 통기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40∼130㎛의 총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의 측면에 의하면, 제 1의 표면과 제 2의 표면을 갖는 종이시트로 이루어진 궐련필터 권취지에 있어서, 상기 필터 권취지는 개공칩페이퍼를 상기 제 1 표면상에 중합시켜 측정된 때에 제 1의 중합통기도를 나타내고, 상기 개공칩페이퍼를 상기 제 2 표면에 중합시켜 측정된 때에 제 2의 중합통기도를 나타내고, 상기 제 1의 중합통기도는 상기 제 2의 중합통기도보다도 1.5배 이상 높은, 궐련필터 권취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의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권취지에 의해 당해 권취지의 제 1의 표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두루감긴 궐련필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의 측면에 의하면, 담배부와 필터부가 복수의 개공을 갖는 칩페이퍼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개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의 표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본 발명의 권취지로(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감겨진 필터섹션을 갖는 필터부착 궐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합통기도는 권취지에 중합된 개공 칩페이퍼측으로부터 공기를 권취지에 통과시킬 때의 통기도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일층 통기도는 권취지를 구성하는 각 층을 서로 초지하여 합치지 않고 각각 단독으로 1매의 시트로 할 때의 각 시트의 통기도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단일층 두께는 권취지를 구성하는 각 층을 서로 초지하여 합치지 않고 각각 단독으로 1매의 시트로 할 때의 각 시트의 두께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권취지의 총 통기도는 칩페이퍼를 중합시키지 않고 측정한 권취지 전체의 통기도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권취지의 제 1의 표면 및 제 2의 표면은 권취지의 두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넓은 권취지의 2개의 표면을 각각 가리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통기도는 모두 ISO 2965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서 측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권취지를 채용하므로써 개공칩페이퍼와 조합시킬 때에 의외로 벤틸레이션 비율의 향상이 한층 도모된다. 따라서 담배끽미의 완화가 한층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에 의하면, 벤틸레이션 홀의 줄을 증가시키지 않고 소기의 벤틸레이션 비율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권취지에 있어서는, 풀의 스며나옴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필터부착궐련의 연속 감아올림을 지장 없이 행할 수 있다.

Claims (15)

  1. 제 1의 표면과 제 2의 표면을 갖고, 일체로 초지하여 합쳐진 복수의 층을 갖춘 궐련필터 권취지로서, 상기 필터 권취지는 개공칩페이퍼를 상기 제 1 표면상에 중합시켜 측정된 때에 제 1의 중합통기도를 나타내고, 상기 개공칩페이퍼를 상기 제 2 표면에 중합시켜 측정된 때에 제 2의 중합통기도를 나타내며, 상기 제 1의 중합통기도는 상기 제 2의 중합통기도보다도 높은 궐련필터 권취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중합통기도가 상기 제 2의 중합통기도보다도 1.5배 이상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권취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표면을 제공하는 층이 10000 코레스타 단위 이상의 단일층 통기도를 갖고, 상기 제 2의 표면을 제공하는 층이 1800∼25000 코레스타 단위의 범위내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표면을 제공하는 층보다도 낮은 단일층 통기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권취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표면을 제공하는 층이 30000 코레스타 단위 이상의 단일층 통기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권취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표면을 제공하는 층이 30∼100㎛의 단일층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권취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표면을 제공하는 층이 15∼35㎛의 단일층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권취지.
  7. 제 1항에 있어서, 1500∼15000 코레스타 단위의 총 통기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권취지.
  8. 제 1항에 있어서, 40∼130㎛의 총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지.
  9. 제 1의 표면과 제 2의 표면을 갖는 종이시트로 이루어지는 궐련필터 권취지로서, 상기 필터 권취지는 개공칩페이퍼를 상기 제 1 표면상에 중합시켜 측정된 때에 제 1의 중합통기도를 나타내고, 상기 개공칩페이퍼를 상기 제 2 표면에 중합시켜 측정된 때에 제 2의 중합통기도를 나타내며, 상기 제 1의 중합통기도는 상기 제 2의 중합통기도보다도 1.5배 이상 높은 궐련필터 권취지.
  10. 제 1항의 필터 권취지에 의해 상기 권취지의 제 1의 표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두루감긴 궐련필터.
  11. 제 2항의 필터권취지에 의해 상기 권취지의 제 1의 표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두루감긴 궐련필터.
  12. 제 9항의 필터권취지에 의해 상기 권취지의 제 1의 표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두루감긴 궐련필터.
  13. 담배부와 필터부가 복수의 개공을 갖는 칩페이퍼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개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제 1의 표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 1항의 권취지로 감긴 필터섹션을 갖는 필터부착 궐련.
  14. 담배부와 필터부가 복수의 개공을 갖는 칩페이퍼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개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제 1의 표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 2항의 권취지로 감긴 필터섹션을 갖는 필터부착 궐련.
  15. 담배부와 필터부가 복수의 개공을 갖는 칩페이퍼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개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제 1의 표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 9항의 권취지로 감긴 필터섹션을 갖는 필터부착 궐련.
KR10-2000-7012106A 1998-05-12 1999-05-11 궐련필터 권취지, 궐련필터 및 필터부착 궐련 KR100406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902698 1998-05-12
JP98-129026 1998-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183A true KR20010043183A (ko) 2001-05-25
KR100406603B1 KR100406603B1 (ko) 2003-11-21

Family

ID=1499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106A KR100406603B1 (ko) 1998-05-12 1999-05-11 궐련필터 권취지, 궐련필터 및 필터부착 궐련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568402B1 (ko)
EP (1) EP1098036B1 (ko)
JP (1) JP3420749B2 (ko)
KR (1) KR100406603B1 (ko)
CN (1) CN1156631C (ko)
AT (1) ATE315684T1 (ko)
AU (1) AU3630599A (ko)
CA (1) CA2331822C (ko)
DE (1) DE69929431T2 (ko)
DK (1) DK1098036T3 (ko)
ES (1) ES2257045T3 (ko)
TW (1) TW391864B (ko)
WO (1) WO1999058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2098246A1 (ja) * 2001-05-30 2004-09-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シガレットのためのフィルタ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EP1845809B1 (en) * 2005-02-01 2008-08-27 Philip Morris Products S.A. Slim cigarette
US7743773B2 (en) * 2005-07-29 2010-06-29 Philip Morris Usa Inc. Over-wrap for smoking article
US7789089B2 (en) 2006-08-04 2010-09-07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Filtered cigarette possessing tipping material
MY150067A (en) * 2007-12-14 2013-11-29 Japan Tobacco Inc Cigarette filter and filter-tipped cigarette
GB201209345D0 (en) * 2012-05-25 2012-07-11 Filtrona Filter Prod Dev Co Tobacco smoke filter and method of production
DE102012106154B4 (de) * 2012-07-09 2014-06-12 Delfortgroup Ag Zigarettenpapier mit verbesserter Luftdurchlässigkeit, Zigarett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Zigarettenpapiers
DE102012106801A1 (de) * 2012-07-26 2014-01-30 Delfortgroup Ag In Wasser rasch zerfallendes Filterpapier
RU2661841C2 (ru) * 2013-07-16 2018-07-19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Фильтр кур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для легкого тушения
DE102013114012B3 (de) * 2013-12-13 2014-12-11 Delfortgroup Ag Umhüllungsmaterial für Rauchartikel mit richtungsabhängiger Diffusionskapazität
PL3340813T3 (pl) * 2015-08-28 2020-05-18 Jt International S.A. Wyrób do palenia
EP3777990B8 (en) 2016-02-19 2024-01-24 Baldwin Filters, Inc. Surface coated filter
DE102016105235B4 (de) * 2016-03-21 2019-02-14 Delfortgroup Ag Verbessertes Filterpapier für Zigarettenfilter, dessen Herstellung und Filterzigarette
GB201608928D0 (en) * 2016-05-20 2016-07-06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rticle for use in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GB201608931D0 (en) * 2016-05-20 2016-07-06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rticle for use in apparatus for heating smokeable material
CN106418685B (zh) * 2016-12-05 2019-09-10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带阻燃功能的多层盘纸过滤嘴卷烟
DE102018104823A1 (de) * 2018-03-02 2019-09-05 Delfortgroup Ag Rauchartikel mit steifem umühllungsmaterial
DE102018107944B3 (de) * 2018-04-04 2019-06-19 Delfortgroup Ag Verbessertes filterpapier, herstellungsverfahren und daraus gefertigter beutel
CN108618194A (zh) * 2018-05-25 2018-10-09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低温卷烟嘴棒的具低导热性能的成型纸
KR101978974B1 (ko) * 2018-08-23 2019-08-28 태영산업 주식회사 담배용 베이스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
CN109588769B (zh) * 2018-12-26 2021-05-14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降温嘴棒及卷烟
KR102062207B1 (ko) 2019-08-23 2020-01-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트리플 케어 담배 냄새 저감 기술이 적용된 흡연 물품
BR112024001986A2 (pt) * 2021-08-31 2024-04-30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go gerador de aerossol com perfurações não circulares em uma zona de ventilaçã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2178A (en) * 1973-12-27 1977-01-11 Amf Incorporated Foams and sponge sheet for cigar manufacture
GB8713904D0 (en) * 1987-06-15 1987-07-22 Tabac Fab Reunies Sa Filter for smoking articles
GB8720726D0 (en) * 1987-09-03 1987-10-07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s
DE3840329A1 (de) * 1988-11-30 1990-06-07 Glatz Julius Gmbh Umhuellung fuer raucherartikel
US5172708A (en) * 1989-05-26 1992-12-22 Drewett Christopher G Smoking articles
JPH033299A (ja) 1989-05-30 1991-01-09 Nippon Cement Co Ltd コンデンサ内蔵セラミックス回路基板
US5143098A (en) * 1989-06-12 1992-09-01 Philip Morris Incorporated Multiple layer cigarette paper for reducing sidestream smoke
US5464028A (en) * 1992-07-29 1995-11-07 Japan Tobacco, Inc. Cigarette
US5404890A (en) * 1993-06-11 1995-04-1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filter
AU696926B2 (en) * 1994-09-07 1998-09-24 British-American Tobacco Company Limited Smoking articles
FR2746600B1 (fr) * 1996-03-29 1998-04-30 Tabacs & Allumettes Ind Cigarette a filtre ventile a double troncon de filtrage, aromatisee par le gainage du filtre.
JP3181248B2 (ja) * 1997-10-06 2001-07-0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フィルター付きシガレットおよびシガレット用フィルター
US6289898B1 (en) * 1999-07-28 2001-09-18 Philip Morris Incorporated Smoking article wrapper with improved fi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630599A (en) 1999-11-29
DK1098036T3 (da) 2006-03-06
DE69929431D1 (de) 2006-04-06
WO1999058764A1 (fr) 1999-11-18
EP1098036A1 (en) 2001-05-09
ATE315684T1 (de) 2006-02-15
KR100406603B1 (ko) 2003-11-21
CN1156631C (zh) 2004-07-07
DE69929431T2 (de) 2006-08-03
JP3420749B2 (ja) 2003-06-30
ES2257045T3 (es) 2006-07-16
CN1300333A (zh) 2001-06-20
EP1098036B1 (en) 2006-01-11
EP1098036A4 (en) 2004-06-16
CA2331822A1 (en) 1999-11-18
US6568402B1 (en) 2003-05-27
TW391864B (en) 2000-06-01
CA2331822C (en) 2005-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603B1 (ko) 궐련필터 권취지, 궐련필터 및 필터부착 궐련
CA2416144C (en) Recess filter and smokeable article containing a recess filter
TWI513414B (zh) 具有改良式限流元件之煙品
JP3181248B2 (ja) フィルター付きシガレットおよびシガレット用フィルター
EP0375844B1 (de) Umhüllung für Raucherartikel
FI64737C (fi) Cigarrett med mikroperforerat filter
CN102014675A (zh) 用于吸烟产品的接装纸或水松纸
WO2017187628A1 (ja) フィルター付きシガレット
CN105102098B (zh) 制备薄过滤介质的方法
JP2767322B2 (ja) 別々のトウ及びウエブフイルターを有する同軸喫煙フイルター
JPH07316996A (ja) 繊維結合シート材料
JP3418625B2 (ja) 機能物性を改善した層状ティシュ
JP2001120249A (ja) たばこフィルター
DK160798B (da) Cigaretfilter og element til cigaretfilter
JP2012147719A (ja) シガレットフィルタ巻取紙、シガレットフィルタ、およびフィルタ付きシガレット
CN105473009B (zh) 香烟用的过滤嘴
EP0475580A1 (en) Improvements to smoking articles
JP2955563B2 (ja) デュアル構造のフィルタを備えたシガレット
OA11414A (en) Biodegradable filter for cigarettes.
JP2001120248A (ja) たばこフィルター
JP2019189986A (ja) プラグ用紙、フィルター、およびシガレット
JP2001159097A (ja) たばこ用フィルター巻取紙
JP3208731B2 (ja) デュアル構造フィルター付きたばこ
JP2826983B2 (ja) デュアル構造フィルター付きたばこ
JP3201762B2 (ja) たばこフィ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