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2365A - 전송 프로그램을 수신 및 필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송 프로그램을 수신 및 필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2365A
KR20010042365A KR1020007010930A KR20007010930A KR20010042365A KR 20010042365 A KR20010042365 A KR 20010042365A KR 1020007010930 A KR1020007010930 A KR 1020007010930A KR 20007010930 A KR20007010930 A KR 20007010930A KR 20010042365 A KR20010042365 A KR 20010042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s
subject
program
format
descri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6285B1 (ko
Inventor
스티엔스트라마르셀에이.
메우레만페트루스지.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10042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2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램들을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램들과 함께, 프로그램들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가 전송되거나 수신된다. 부가 데이터는 영화 또는 잡지와 같은 프로그램의 포맷과, 스포츠 또는 정치와 같은 상기 프로그램들의 주제를 각각 명시하는 포맷 기술어와 주제 기술어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포맷 기술어와 주제 기술어의 조건들에 따라 프로그램들을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송 프로그램을 수신 및 필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filtering transmitted programs}
특히, 디지털 텔레비전의 개발은 동시에 수신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의 수를 극적으로 증가시킬 것이며, 시청자들이 적당한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 최근, 특징들은 사용자의 선택을 도와주도록, 예를 들어, 제공된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수신 프로그램들을 필터링하는 것이 소개되었다. 예를 들어, 어떤 공지된 TV들은 사용자가 특정 종류의 프로그램들에 대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에 의해 존재하는 정보를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프로그램 종류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전용된 텔레텍스트(teletext) 페이지에 포함되거나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서비스 정보(SI)의 일부분으로서, 컨텐트 제공자에 의해 제공받을 수 있다. TV 프로그램의 내용을 간단히 분류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제 또는 장르 기술어가 이를 위해 사용된다. 주제 및 장르의 개념들은 이하에서 무관하게 사용될 것이다. 종종 장르는 매우 제한적으로 또는 비제한적으로(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 가능한 값들을 설정한다. 당연히, 작은 수의 값들만을 허용하는 것은 기술어의 유용성을 감소시킨다. 너무 큰 값은 장르의 주관적 개념을 정확하게 표현하게 된다. 반면에, 너무 큰 세트 또는 비제한적 세트를 사용하는 것은 인간들이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그들의 관심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유용할 수 있지만, 자동 검색을 위해서는 부담이 된다. 장르에 대한 가능한 다수의 기술어들이 비제한적일 때 특정 형태의 프로그램에 대한 탐색은 힘들어진다. 지능적인 에이전트들은 장르에 대한 가능한 값들의 제한적 세트들로부터 확실한 이득이 되는 사용자-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탐색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프로그램들을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 프로그램과 관련된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디코더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프로그램들을 전송하고,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 프로그램과 관련된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생성기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프로그램들을 전송하고,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 프로그램과 관련된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프로그램들을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 프로그램과 관련된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들의 실시예로서 텔레비전 송신기 및 수신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로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발명의 목적 및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제공되는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의 향상된 필터링 수단을 갖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데이터 디코더 수단이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각 프로그램, 예를 들어, 영화 또는 잡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포맷 기술어, 및 상기 각 프로그램, 예를 들어, 스포츠 또는 정치의 주제를 나타내는 주제 기술어를 추출하기 위해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는 장르를 표현하고, 다른 하나는 프로그램의 포맷을 표현하는 2개의 기술어들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단점들 없이 프로그램들의 적당한 설명을 위해 필요한 값들의 수를 감소시킨다. 종래 기술의 시스템들을 갖는 2개의 프로그램 양상들이 서로 섞임으로써, 장르 설명이 본질적으로 특정 프로그램 포맷에 연결되거나, 다른 장르 설명들이 동일 주제에 대한 프로그램들을 설명할 필요는 없지만 다른 포맷들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되는 시스템은 설명하는 값들의 총수가 감소되고 상기 값들이 수신 가능한 프로그램들의 식별 가능한 양상들과 명백히 관련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 이해하기 쉽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는 상기 포맷 기술어에 있는 제 1 사용자 제공 조건에 따른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의 제 1 서브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포맷 선택 수단, 및 상기 주제 기술어에 있는 제 2 사용자 제공 조건에 따른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의 제 2 서브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주제 선택 수단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는 사용자가 특정 프로그램의 포맷을 따르거나 특정 주제에 따른 프로그램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된 프로그램들은 EPG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프로그램들의 주제를 고려하지 않고 다큐멘터리 포맷을 갖는 프로그램들만을 선택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는 프로그램들의 포맷을 고려하지 않고 범죄를 다루는 프로그램들만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세트에 대해 공통적인 프로그램들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의 제 3 서브세트를 생성하는 교차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는 포맷 기술어와 주제 기술어 모두에 있는 조건들을 따르는 프로그램들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로그램들을 정확하게 선택하는 매우 쉬운 방법을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프로그램 정보는 다중 주제 기술어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의 포맷은 프로그램 편성에서 변하지 않고 유일하게 정의되지만, 여러 가지의 주제들이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취급될 수 있다. 다중 주제 기술어들을 허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프로그램들이 적당히 표현될 수 있고, 수신 가능한 프로그램들을 필터링하기 위한 개선된 수단에 이르게 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주제 기술어는 주제 기술어들의 정렬된 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주제 기술어들 각각은 다음의 주제 기술어보다 일반적이고 상기 다음의 주제 기술어에 의해 논리적으로 함축된다. 분리 포맷 기술어의 사용이 가능한 장르들의 리스트를 과감히 감소하더라도, 상기 리스트는 다소 크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장르의 기술은, 예를 들어, 3층의 영역(three layers Area), 장르 및 서브-장르의 다중 층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스포츠가 리스트에 없다면, 그것은 스포츠라고 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다. 리스트는 주제가, 예를 들어, 패션, 문화 또는 관습 보기와 같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스트는 융통성 있게 만들어질 수 있다(그러나, 2개의 최상위 레벨들의 변경은 다소 드물게 발생할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라디오 및 텔레비전 수신기들과 셋톱-박스들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양상들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비제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고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들의 실시예로서 텔레비전 송신기(1) 및 텔레비전 수신기(2)를 도시한다. 송신기(1)는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의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트를 포함하는 컨텐트 데이터베이스(3)를 포함한다. 송신기(1)는 각각 컨텐트 데이터베이스(3)에 있는 프로그램들의 포맷과 주제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맷 정보 데이터베이스(4) 및 주제 정보 데이터베이스(5)를 더 포함한다. 포맷 정보 데이터베이스(4)와 주제 정보 데이터베이스(5)에 대한 정보는 입력 수단(8)으로 오퍼레이터에 의해 입력된다. 데이터 생성기(6)는 포맷 정보 데이터베이스(4)와 주제 정보 데이터베이스(5)의 정보를 결합하고 코드화한다. 덧셈기 회로(7)는 컨텐트 데이터베이스(3)로부터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들과 데이터 생성기(6)로부터의 정보를 방송 신호로 결합하고, 상기 신호는 대기 또는 네트워크(16)를 통해 전송된다.
텔레비전 수신기(2)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들과 데이터 생성기(6)에 의해 생성된 부가 정보를 분리할 수 있는 분리 회로(10)를 포함한다. 오디오/비디오 정보는 프리젠테이션 장치(도1에는 도시되지 않음) 상에 존재하는 신호 처리기(11)에 의해 더 처리된다. 부가 정보는 데이터 디코더(12)에 의해 디코딩되고 포맷 정보 데이터베이스(13) 및 주제 정보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다. 프로그램 선택기(15)는 데이터베이스들(14, 15)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하여 수신 가능한 프로그램들과 관련된, 예를 들어, 신호 처리기(11)의 수단에 의해 EPG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다.
도 2는 텔레비전 수신기(2)의 더욱 상세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무선 주파수(RF) 신호들로 변조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들은 안테나(21) 또는 대안으로 케이블 네트워크 중 하나로부터 수신된다. 방송 스트림들은 예를 들어,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표준에 따라 포매팅될 수 있다. 튜너(22)는 상기 RF 신호들을 수신하고 복조기(23)에 출력되는 것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표준 아날로그 RF 수신 장치를 구비한다. 튜너(22)는 중앙 처리 장치(CPU)(25)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신호를 선택한다. 복조기(23)는 아날로그 신호를 CPU(25)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들에 기초한 디지털 패킷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그 후, 상기 패킷은 CPU(25)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특정 프로그램에 소속되는 패킷들을 선택하고, 패킷 스트림을 초기의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스트림들로 분해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패킷 스트림은 복조기(23)로부터 CPU(25)로 직접 출력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CPU(25)는 디멀티플렉서(24)의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디멀티플렉서(24)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비디오 처리기(28)는 디멀티플렉서(24) 또는 CPU(25)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비디오 처리기(28)는 MPEG-2 디코더이지만, 비디오 데이터를 코딩하는데 사용된 코딩 유형과 호환될 수 있는 어떠한 디코더도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화면(29)에 전송된다. 오디오 처리기(26)는 디멀티플렉서(24)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한다. 다시, 오디오 데이터를 코딩하는데 사용된 코딩 유형과 호환될 수 있는 어떠한 디코더도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는 스피커 시스템(27)으로 전송된다.
디멀티플렉서(24)는 기초 데이터 스트림을 CPU(25)에 출력한다. 기초 데이터 스트림은 제어 데이터 및 컨텐트 데이터의 2가지 데이터 형태를 갖는다. 컨텐트는, 예를 들어, 대화식 프로그램들을 참조하고, 제어는 다중화 구조와 같은 문제들을 명백히 하는 다중화 표들(tables), 채널들이 변조되는 (RF)주파수들, 및 다중화의 다양한 컨텐트 구성 요소들과 (다른) 표들이 발견될 수 있는 어드레스들을 참조한다. CPU(25)는 읽기-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32)로부터 검색된 프로그램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들을 구비한다. 상기 프로그램 명령들은 특히, 명령 모듈(33), EPG 모듈(34), (포맷 선택 수단을 구체화한) 포맷 필터(35), (주제 선택 수단을 구체화한) 주제 필터(36) 및 (교차 수단을 구체화한) 필터 조합 모듈(37)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부분들을 구비한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 예를 들어, DVB-SI 데이터 및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는 비휘발성 메모리(31)(non-volatile memory)에 저장된다. 명령 모듈(33)은 튜닝과 같은 TV-설정 기능들을 제어하고, 화면(29)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비디오 처리기(28)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명령 유닛(30)은, 예를 들어, 원격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사용자 명령들을 수신하며, 상기 명령들이 처리되도록 명령 모듈(33)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채널 번호를 입력할 때, 명령 모듈(33)은 대응하는 방송 스트림과 데이터 패킷들을 선택하기 위해서 튜너(22)와 디멀티플렉서(24)를 제어하며, 화면(29) 상에 피드백이 존재하도록 화상 데이터, 예를 들어, 수분동안 디스플레이 되는 프리셋 번호, 채널명을 비디오 처리기(28)에 전송한다.
디지털 방송 스트림들은 방송 스트림의 구조를 설명하고 네비게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VB 방송 스트림은 프로그램 명세 정보(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MPEG 명세의 일부분)와 특히, 프로그램 정보를 설명하고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SI 정보를 포함한다. DVB 표준의 명세들은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고,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보통의 사람들에게 잘 공지되어 있다. EPG 모듈(34)은 수신된 방송 스트림들에서 유용한 프로그램들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디멀티플렉서(24)로부터 수신되는 DVB-SI 데이터를 해석한다. 포맷 필터(35)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의 포맷을 명시하는 포맷 기술어들을 상기 정보로부터 추출한다. 사용자 명령 유닛(30)의 수단으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조건들에 응답하여, 포맷 필터(35)는 포맷이 상기 조건들을 갖는 프로그램들과 관련된 정보만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건 '포맷 = 영화(format = movie)'를 제공하면, 포맷 필터(35)는 주제를 무시하고 영화들과 관련된 정보를 선택한다. 유사하게, 주제 필터(36)는 EPG 정보로부터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의 주제(들)를 명시하는 주제 기술어들을 추출한다.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조건들에 응답하여, 주제 필터(36)는 주제가 상기 조건들을 갖는 프로그램들과 관련된 정보만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건 '주제 = 범죄(topic = crime)'를 제공하면, 주제 필터(36)는 포맷과 무관하게 범죄에 관한 프로그램들과 관련된 정보를 선택한다. 포맷 필터(35)와 주제 필터(36)의 수신에 의해 얻어진 선택들은 필터 조합 모듈(37)의 수단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2개의 선택들의 교집합을 만듦으로써, 조합될 수 있다. 결과 선택들은 EPG 모듈(34)에 의해 더 처리될 수 있다.
포맷 기술어와 주제 기술어는 다양한 포맷들과 주제들에 각각 대응하는 값들의 소정 세트로부터 값들이 취해진다. 상기 값들의 세트들은 많은 방법들로 정의될 수 있으며, 값들의 수와 층들의 수는 가능하면 다르다. 포맷 기술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의 표에 나타나 있다.
3-층 구조를 갖는 주제 기술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의 표에 나타나 있다.
영역, 장르 및 서브-영역의 3층은 상세한 선택이 가능하지 않더라도 정보 제공을 가능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특정 스포츠가 리스트에 없더라도 스포츠를 선택하는 것은 여전히 가능하다. 리스트는 주제가, 예를 들어, 패션, 문화 또는 관습 보기와 같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스트는 융통성 있게 만들어질 수 있다(그러나, 2개의 최상위 레벨들의 변경은 다소 드물게 발생할 것이다). 이후의 단에서 리스트에 새로운 값을 추가하는 것은 소프트웨어가 새로운 값을 인식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위 레벨들은 항상 명확해야 하지만, 하위 레벨은 그렇지 않다. 예를 들어, "Sports.SportsEvent.OlympicGames"로 "OlympicGames"를 대체하는 것은 후자가 이미 유일한 값이지만 가능하다.
본 발명이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더라도, 본 발명 개념의 범위 내에서 변형들 및 수정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모듈들이 구현될 수 있고 여러 방법들로 결합되거나 다른 장치들, 예를 들어, 셋-톱 박스 또는 비디오 기록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단어 '구비(comprising)'는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는 것 이외의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제외하지 않는다.
개략적으로, 본 발명은 프로그램들의 전송 또는 수신을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램들과 함께, 프로그램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가 전송되거나 수신된다. 부가 데이터는, 영화 또는 잡지와 같은 프로그램의 포맷과 스포츠 또는 정치와 같은 상기 프로그램들의 주제를 각각 명시하는 포맷 기술어와 주제 기술어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포맷 기술어와 주제 기술어의 조건들에 따라서 프로그램들을 선택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들은 다음에 나타나 있다.

Claims (12)

  1. 다수의 프로그램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 프로그램에 관한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디코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디코더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각 프로그램, 예를 들어, 영화 또는 잡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포맷 기술어와, 상기 각 프로그램들, 예를 들어, 스포츠 또는 정치의 주제를 나타내는 주제 기술어를 추출하도록 되어 있는, 프로그램 수신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기술어에 있는 제 1 사용자 제공 조건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의 제 1 서브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포맷 선택 수단과, 상기 주제 기술어에 있는 제 2 사용자-제공 조건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의 제 2 서브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주제 선택 수단을 구비하는 프로그램 수신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서브세트에 대해 공통인 프로그램들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의 제 3 서브세트를 생성하기 위한 교차 수단(intersection means)을 구비하는 프로그램 수신용 장치.
  4. 다수의 프로그램들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 프로그램에 관한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생성기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생성기 수단은 상기 각 프로그램, 예를 들어, 영화 또는 잡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포맷 기술어와, 상기 각 프로그램, 예를 들어, 스포츠 또는 정치의 주제를 나타내는 주제 기술어를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시키도록 되어 있는, 프로그램 전송용 장치.
  5. 다수의 프로그램들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 프로그램에 관한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상기 각 프로그램, 예를 들어, 영화 또는 잡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포맷 기술어를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상기 각 프로그램, 예를 들어, 스포츠 또는 정치의 주제를 나타내는 주제 기술어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전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상기 각 프로그램의 추가 주제를 나타내는 추가 주제 기술어들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전송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 기술어는 주제 부기술어들의 정렬된 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주제 부기술어들 각각은 다음의 주제 부기술어보다 더 일반적이고 상기 다음의 주제 부기술어들에 의해 논리적으로 함축되는 프로그램 전송 방법.
  8. 다수의 프로그램들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 프로그램에 관한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각 프로그램, 예를 들어, 영화 또는 잡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포맷 기술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각 프로그램, 예를 들어, 스포츠 또는 정치의 주제를 나타내는 주제 기술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수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각 프로그램의 추가 주제들을 나타내는 추가 주제 기술어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수신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 기술어는 주제 부기술어들의 정렬된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주제 부기술어들 각각은 다음의 주제 부기술어보다 더 일반적이고 상기 다음의 주제 부기술어들에 의해 논리적으로 함축되는 프로그램 전송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기술어에 있는 제 1 사용자 제공 조건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의 제 1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주제 기술어에 있는 제 2 사용자 제공 조건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의 제 2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서브세트에 대해 공통적인 프로그램들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의 제 3 서브세트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수신 방법.
  12. 다수의 프로그램들을 나타내기 위한 신호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 프로그램과 관련된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정보는 상기 각 프로그램, 예를 들어, 영화 또는 잡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포맷 기술어, 및 상기 각 프로그램, 예를 들어, 스포츠 또는 정치의 주제를 나타내는 주제 기술어를 포함하는, 신호.
KR1020007010930A 1999-02-01 2000-01-20 전송된 프로그램을 수신 및 필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66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200277.4 1999-02-01
EP99200277 1999-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365A true KR20010042365A (ko) 2001-05-25
KR100766285B1 KR100766285B1 (ko) 2007-10-11

Family

ID=823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930A KR100766285B1 (ko) 1999-02-01 2000-01-20 전송된 프로그램을 수신 및 필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66720A1 (ko)
JP (1) JP2002536924A (ko)
KR (1) KR100766285B1 (ko)
WO (1) WO20000469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97B1 (ko) * 2005-07-22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이용한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333B1 (ko) * 2005-06-15 2007-10-25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선국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120939U1 (de) * 1981-07-16 1981-11-26 SIEMENS AG AAAAA,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Halte- und anschlussvorrichtung fuer einen scheibenfoermigen piezoelektrischen resonator
US4977455B1 (en) * 1988-07-15 1993-04-13 System and process for vcr scheduling
JP3644455B2 (ja) * 1994-09-29 2005-04-27 ソニー株式会社 番組情報放送方式、番組情報表示方法および受信装置
DE19645435A1 (de) * 1996-11-04 1998-05-20 Inst Rundfunktechnik Gmbh Rundfunkprogrammsignal sowie Verfahren zum Verarbeiten dieses Signa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97B1 (ko) * 2005-07-22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이용한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US8904461B2 (en) 2005-07-22 2014-1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adcast signal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285B1 (ko) 2007-10-11
EP1066720A1 (en) 2001-01-10
WO2000046990A1 (en) 2000-08-10
JP2002536924A (ja) 200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0624B2 (en) Combined terrestrial wave/cable broadcast receiver and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for
US5982411A (en) Navigation among grouped television channels
USRE43102E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US20030007001A1 (en) Automatic setting of video and audio settings for media output devices
US8904461B2 (en) Broadcast signal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of the same
US20050160453A1 (en) Apparatus to change a channel using a channel map based on program genre and method thereof
CN100448264C (zh) 将频道信息直接快速写入有线数字电视机顶盒中的方法
CN1647501A (zh) 程序到广播接收器中的下载
JP2004364318A (ja) Mpeg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論理的複合チャネル・マッピング
KR100577146B1 (ko) 디지털방송수신장치
JP2007502045A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の標準テーマ処理
US200700084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cking up broadcast files
EP1589755B1 (en) Receiver of analogue and digital television signals and method of receiving analogue and digital signals
KR100766285B1 (ko) 전송된 프로그램을 수신 및 필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1129574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dvising about receivable programs
US201201203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63448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object in TV program
KR100788701B1 (ko)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0760105B1 (ko) 디지털 방송의 자막 뉴스 제공 및 표시방법
KR101627859B1 (ko) 애드온 tv에서 방송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KR100786430B1 (ko) 방송신호 녹화물의 방송국별 관리방법 및 그 방송수신장치
KR100502007B1 (ko)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검색 방법
KR100919908B1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다운로드 방법
KR20040022913A (ko) 콤보형 셋톱박스의 방송신호 전환방법
WO2004107754A1 (en) Control of a system for access to teletext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