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9992A -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 Google Patents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9992A
KR20010039992A KR1020000058225A KR20000058225A KR20010039992A KR 20010039992 A KR20010039992 A KR 20010039992A KR 1020000058225 A KR1020000058225 A KR 1020000058225A KR 20000058225 A KR20000058225 A KR 20000058225A KR 20010039992 A KR20010039992 A KR 20010039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tray
case
stopp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2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96060B1 (en
Inventor
다나카츠토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10039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9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060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7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different elements of fixed geo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To provide a cup holder for a vehicle with total height restricted for more stably holding cups of various sizes, formed compact, with excellent design freedom degree. CONSTITUTION: This cup holder 2 comprises a stopper 6 for regulating a moving range of a tray 4, a clearance groove 28, an operation part 20 at a tip, and a containing part 22b provided in the operation part 20. The tray 4 comprises a plate-shaped place part to be put into/out of the containing part 22b and a support part on the rear side with the support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stopper 6 and engaged with the clearance groove with play through a shaft part 48. For putting it in a usage condition, the holder 2 is solely pulled out for an equivalent part to the clearance groove leaving the tray 4 receiving locking actuation of the stopper 6, and for putting it in a storage condition, the holder is solely pushed in, then pushed in with the tray 4.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Cup holder for an automobile}Cup Holder for Cars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음료수류가 담긴 캔, 컵, 종이팩 등의 음료용기(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컵류」라 한다)를 쓰러지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한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 vehicle for holding a beverage container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ups"), such as cans, cups, cartons, etc. containing the beverages fall.

차량용 컵홀더에는 각종 구조의 컵홀더가 제공되어 있으나, 고급차 등에는 외관이나 스페이스 등을 중시한 절첩식이나 인출식이 채용된다. 본 발명은 일본국 공개특허 평9-48273호, 일본국 공개특허 평8-192669호 등에 예시된 인출식의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The cup holder for a vehicle is provided with the cup holder of various structures, but the luxury cup etc. are employ | adopted the folding type or the extraction type which emphasized the appearance and space. This invention aims at the thing of the pull out type illustrated by Unexamined-Japanese-Patent No. 9-48273, 8-192669, etc.

도 10(a),(b)는 일본국 공개특허 평8-192669호의 컵홀더를 수납상태와 사용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이 컵홀더는, 전면에 개구부(50a)를 형성한 케이스(50)와, 케이스(50)에 넣어지는 도 10(a)의 수납상태와 케이스(50)내에서 인출되는 도 10(b)의 사용상태로 전환되는 홀더(510와, 컵류(k)의 하면을 받치는 트레이(5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50)는 홀더(51)를 내부에 넣는 용기로서, 예를 들어 차실내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측에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홀더(51)는 그 전면에 조작부(51a)가 형성되며, 컵류(k)가 삽입되며 삽입된 컵류의 주위를 구속하는 유지구멍(51b)을 형성하고 있다. 트레이(52)는 그 후단측이 홀더(51)에 회동가능하게 축지되어 홀더(51)와 연동하여 케이스(50)에 수납됨과 아울러, 사용상태에서 후단측을 지점으로 하여 홀더(51)에서 수하되어 유지구멍(51b)에 삽입된 컵류(k)의 하면을 받친다. 즉, 이러한 구조에서는, 크고 작은 컵류(k2,k1)가 홀더(51)의 유지구멍(51b)에 상측에서 삽입되면, 홀더(51)의 하측으로 수하되는 트레이(52)의 재치부(52a)에 의해서 컵류의 하면이 받쳐짐과 아울러 상부가 유지구멍(51b)의 내주면에 의해서 구속되어 쓰러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컵류(k)로서는 유지구멍(51b)의 내경치수 이하의 것이고 또한 트레이(52)의 재치부(52a)에 받쳐지는 크기의 것이라면 일단 유지된다.10 (a) and 10 (b) show the cup holder of JP-A-8-192669 in a stored state and a used state. The cup holder has a case 50 having an opening 50a formed on its front surface, a storage state of FIG. 10 (a) put into the case 50 and a drawing of FIG. 10 (b) drawn out of the case 50. The holder 510 which is switched to the use state and the tray 52 which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cups k are provided. The case 50 is a container which puts the holder 51 in the inside, for example, the in-room interior. The holder 51 has an operation portion 51a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nd the holder 51 forms a holding hole 51b into which the cups k are inserted and restrain the periphery of the inserted cups. The tray 52 has its rear end side pivotally rotatable to the holder 51 and is interlocked with the holder 51 to be stored in the case 50, and the holder 51 has the rear end side as a point in use. The lower surface of the cups k, which are received at the holder and inserted into the holding holes 51b, is supported by the holder 51. When inserted into the hole 51b from the upper side, the lower surface of the cups is supported by the mounting portion 52a of the tray 52 which is lower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51, and the upper portion is support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taining hole 51b. Therefore, the cups k are held once as long as the cups k ar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retaining hole 51b and are of a size supported by the mounting portion 52a of the tray 52.

상기한 종래의 컵홀더에서는, 컵류(k)를 홀더(51)에서 수하되는 트레이(52)의 재치부(52a)로 받치는 구성이기 때문에, 컵류(k)를 보다 안정하게 받치기 위해서는 선재보다도 판재를 이용하는 것이 더 좋은 것과 같이 재치부(52a)의 폭치수(L0)를 크게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종래에는 트레이(52)를 판재로 구성하고, 재치부(52a)를 지지암부(52b)의 선단측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암부(52b)에 큰 개구부 내지는 절결부(52c)를 형성함으로써, 재치부(52a)위에 놓여지는 컵류(k)에 대한 안정된 랩값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cup holder, since the cups k are supported by the mounting part 52a of the tray 52 carried by the holder 51, in order to support the cups k more stably than a wire rod, It is preferable to secure a large width | variety L0 of the mounting part 52a as it is better to use. From such a viewpoint, conventionally, the tray 52 is comprised from a board | plate material, and the mounting part 52a is formed in the front end side of the support arm part 52b. Then, by forming a large opening or notch 52c in the support arm 52b, a stable lap value for the cups k placed on the mounting portion 52a is ensured.

그러나 종래의 컵홀더는, 트레이(52)가 홀더(51)와 항상 연동적으로 이동하면서 케이스(50)에 삽입되거나 케이스(50)에서 인출되는 과정에 홀더(51)에서 수하되기 때문에, 재치부(52a)가 홀더(51)의 내측에 여유를 갖고 수납됨과 아울러 재치부(52a) 전체가 케이스(50)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구조에서는 재치부(52)의 판의 폭에 비례하여 케이스(50)의 높이를 확보해야하므로 콤팩트화를 도모하기 힘들다. 또한, 트레이(52)가 홀더(51)에 똑바르게 추지되어 있는 관계로, 예를 들면 수납상태에서 재치부(52)를 케이스(50)의 외측이나 조작부(51a)내에 수납하려고 해도 그것이 불가능하여 설계상의 자유도가 결핍된 것이 되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up holder, since the tray 52 is interlocked with the holder 51 and is inserted into the case 50 or withdrawn from the case 50, the tray 51 is received by the holder 51. It is comprised so that 52a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lder 51 with a space, and the whole mounting part 52a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50. As shown in FIG.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since the height of the case 50 must be secured in proportion to the width of the plate of the mounting portion 52, it is difficult to achieve compactness. In addition, since the tray 52 is straightly held by the holder 51, for example, it is impossible to store the placement unit 52 in the outer side of the case 50 or in the operation unit 51a in a stored state. It lacks design freedom.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소한 것이다. 그 목적은, 전체의 두께를 억제하고, 크고 작은 컵류를 보다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콤팩트화 및 설계상의 자유도가 우수한 차량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설명과 함께 분명히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 The object is to provide a cup holder for a vehicle, which can suppress the thickness of the whole, maintain the large and small cups more stably, and have excellent compaction and design freedom. Other objects will be apparent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형태의 차량용 컵홀더를 나타내는 요부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incipal part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cup holder for vehicles of this invention form.

도 2는 상기 컵홀더의 사용상태에서의 개략적 외관도2 is a schematic appearance view in use state of the cup holder;

도 3은 도 2의 컵홀더의 일부를 파단한 개략적 외관도3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of a portion of the cup holder of FIG. 2 broken;

도 4는 도 2의 컵홀더의 상면도와 종단측면도4 is a top view and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cup holder of FIG.

도 5는 도 4(a)의 컵홀더를 아래에서 본 하면도FIG. 5 is a bottom view of the cup holder of FIG. 4 (a);

도 6은 도 2의 컵홀더의 측면도와 정면도6 is a side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cup holder of FIG.

도 7은 상기 컵홀더의 수납상태에서의 하면도와 종단측면도7 is a bottom view and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cup holder in a housed state;

도 8은 상기 컵홀더의 케이스와 홀더 등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8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ase and a holder of the cup holder;

도 9는 상기 컵홀더의 홀더와 트레이 등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9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der and the tray of the cup holder;

도 10은 종래의 컵홀더를 수납과 사용상태에서의 종단측면도10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a conventional cup holder in a state of being stored and used;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케이스 (1a:전면 개구부, 10:상면, 11:하면, 13:캠홈)1-Case (1a: front opening, 10: top, 11: bottom, 13: cam groove)

2 - 홀더 (20:조작부, 21:구멍부, 22b:수납부, 28:여유홈2-holder (20: operation part, 21: hole part, 22b: storage part, 28: free groove

3 - 링부재 (35:구멍부, 33:핀, 36:가로 핀)3-ring member (35: hole, 33: pin, 36: horizontal pin)

4 - 트레이 (41:재치부, 42:지지부, 46:연결편, 48:축부)4-tray (41: mounting part, 42: support part, 46: connecting piece, 48: shaft part)

5 - 스프링 6 - 스토퍼(63:제 1 클릭부, 64:제 2 클릭부)5-Spring 6-Stopper (63: 1st click, 64: 2nd click)

7 - 탄성걸림부재 8 - 서브 홀더7-Elastic locking member 8-Sub holder

9 - 스프링 13a - 직선홈부9-Spring 13a-Straight Groove

13b - 경사홈부 13c,13d - 오목형상의 홈부13b-Inclined Groove 13c, 13d-Concave Groove

24 - 지지편 H - 유지구멍24-support piece H-retaining ho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개구부(1a)를 형성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내에 넣어지는 수납상태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 개구부(1a)로부터 인출되는 사용상태로 전환됨과 아울러, 컵류가 삽입되며 삽입된 컵류(k)의 주위를 구속하는 유지구멍(H)을 형성하고 있는 홀더(2)와; 상기 홀더(2)와 함께 케이스(1)내로 수납되며, 또한 인출되는 과정에서 홀더(2)에서 수하되어 상기 컵류의 하면을 받치는 트레이(4);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컵홀더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case (1) having an opening (1a) formed on the front; The holding hole H, which is switched to the storage state put into the case 1 and to the use state drawn out from the front opening 1a of the case, is inserted into the cups and restrains the periphery of the inserted cups k. A holder 2 formed; In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comprising: a tray (4) which is stored in the case (1) together with the holder (2) and is carried out by the holder (2) in the process of being drawn out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ups;

상기 홀더(2)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4)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6)와, 상기 홀더가 상기 트레이(4)를 동반하지 않고 단독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여유홈(28)과, 선단의 조작부(20) 및 상기 조작부(20)에 형성된 수납부(22b)를 가지며, 상기 트레이(4)는, 상기 수납부(22b)에 출입되는 판형상의 재치부(41) 및 재치부(41)의 후측에 형성된 지지부(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42)가 상기 스토퍼(6)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여유홈(28)에 축부(48)를 통해서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The holder 2 is arranged to be slid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stopper 6 for restricting the moving range of the tray 4 and the holder can be moved alone without accompanying the tray 4. It has a clearance groove 28, the operation part 20 of the front end, and the accommodating part 22b formed in the said operation part 20, The said tray 4 has the plate-shaped mounting part which enters and exits the said accommodating part 22b ( 41 and the support part 42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part 41, the support part 4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topper 6 and the shaft portion 48 in the clearance groove 28. It is inserted through the fluid

상기 사용상태로 할 때에는 상기 홀더(2)가 인출되는 도중에 상기 스토퍼(6)의 걸림작동을 받는 상기 트레이(4)를 남겨 두고, 상기 여유홈(28)에 대응하는 부분만큼 단독으로 인출되며, 수납상태로 할 때에는 홀더(2)가 여유홈(28)에 대응하여 단독으로 압입된 후, 상기 트레이(4)를 동반하여 압입되도록 구성한 것이다.When the holder is in the use state, the tray 4 which receives the stop operation of the stopper 6 is left while the holder 2 is pulled out, and is pulled out alone as much as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learance groove 28. In the storage state, the holder 2 is press-fitted alone corresponding to the clearance groove 28, and is then press-fitted together with the tray 4.

이상의 구조에 의하면, 홀더(2)를 사용상태까지 인출하는 경우, 홀더(2)가 트레이(4)를 동반하여 사용상태의 바로 전까지 인출되면, 스토퍼(6)가 케이스(1) 대응부와 걸어 맞춰져 트레이(4)의 이동을 저지하여 홀더(2)만이 단독으로 인출된다. 홀더(2)의 단독이동은 트레이(4)의 축부(48)가 고정된 상태에서 여유홈(28)이 그 길이만큼 앞쪽으로 이동하면서 실시된다. 사용상태에서는, 축부(48)가 상기 여유홈(28)의 후단에 끼워 맞춰지고 트레이(4)가 스토퍼(6)와의 연결부를 통해서 홀더(2)에서 수하되어 홀더(2)의 유지구멍(H)으로부터 삽입되는 컵류를 받친다. 또, 수납상태까지 압입되는 경우, 홀더(2)가 초기단계에 여유홈(28)에 의해서 단독으로 후측으로 이동되고, 여유홈(28)의 전단이 축부(48)와 끼워 맞춰지는 시점에서 트레이(4)를 동반하여 압입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트레이(4)는, 홀더(2)와 함께 케이스(1)내로 들어가지만 홀더(2)의 단독이동으로 인해 사용상태시에서의 홀더(2)와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어 재치부(41)가 홀더 수납부(22b)에 수납된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수납상태에서 홀더조작부(20)의 수납부(22b)에 재치부(41)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종래와 같이 케이스의 높이를 확대하지 않고도 재치부(41)를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케이스(1)측과의 상대적 위치 등에 규제를 덜 받는다.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은, 특히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하고 싶은 용도, 예를 들면 보다 많은 기구류가 설치되는 인스트러먼트 패널용으로서 최적인 것이 되며, 동시에 다음과 같은 전개 내지는 이점이 용이하게 실현된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holder 2 is taken out to the use state, when the holder 2 is taken out just before the use state with the tray 4, the stopper 6 hangs with the case 1 counterpart. The holder 2 is pulled out alone by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tray 4 to be adjusted. The independent movement of the holder 2 is performed while the clearance groove 28 moves forward by the length thereof in the state where the shaft portion 48 of the tray 4 is fixed. In the use state, the shaft portion 48 is fitted to the rear end of the clearance groove 28 and the tray 4 is received from the holder 2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stopper 6 to hold the holding hole H of the holder 2. Support cups inserted from). In addition, when press-fitted to the storage state, the holder 2 is moved to the rear side by the clearance groove 28 alone in the initial stage, and the tray at the point when the front end of the clearance groove 28 is fitted with the shaft portion 48 Indented with (4). In this case, the tray 4 enters the case 1 together with the holder 2, but the relative position with the holder 2 in the use state is chang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holder 2 alone, thereby placing the tray 41. ) Is stored in the holder housing portion 22b. Therefore, in this structure, the mounting part 41 can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2b of the holder operation part 20 in a accommodating state. As a result, the mounting portion 41 can be secured widely without expanding the height of the case as in the prior art, and is less regulated in the relative position with the case 1 side.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applications in which the overall thickness is desired to be thin, for example, for instrument panels provided with more mechanisms, and at the same time, the following development or advantages are easily realized. .

첫째, 상기 스토퍼(6)는 홀더(2)를 트레이(4)와 함께 수납상태에서 전방으로 인출하는 도중에 상기 트레이(4)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클릭부(63)와, 홀더(2)를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 압입하는 초기 단계에 있어서 트레이(4)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클릭부(64)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 구조에서는, 홀더(2)가 단독으로 전방으로 인출될 때에는 제 1 클릭부(63)에 의해서, 홀더(2)가 단독으로 후방으로 압입될 때에는 제 2 클릭부(64)에 의해서, 어떤 경우에도 트레이(4)의 동반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게 한다.First, the stopper 6 has a first click portion 63 which regulates the movement of the tray 4 forward while the holder 2 is withdrawn from the storage state together with the tray 4, and the holder. It is the structure which has the 2nd click part 64 which regulates the movement to the back of the tray 4 in the initial stage which presses (2) from a use state into a storage state. In this structure, in some cases, the holder 2 is pulled forward by the first click portion 63 and the holder 2 is pushed backward by the second click portion 64 in some cases. Edo tray 4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accompanying.

둘째, 상기 스토퍼(6)가 홀더(2)에 돌설된 지지편(24)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어, 제 1 클릭부(63)가 케이스 하면(11)의 후단 걸림부(17a)와 걸림·해제 가능하하게 걸어맞춰지고 제 2 클릭부(64)가 후단 걸림부(17a)의 바로 앞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17b)와 걸어 맞춰지며 또한 상기 걸어맞춤이 지지편(24)을 이용하여 해제되는 구성이다. 이 구조에서는, 제 1 클릭부(63) 및 제 2 클릭부(64)에 대응하는 케이스(1)측의 후단 걸림부(17a)나 걸림 오목부(17b)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제 2 클릭부(64)의 걸어맞춤 해제부품을 지지편(24)으로 겸하는 간이화도 실현된다. 제 2 클릭부(64)의 걸어맞춤이, 홀더(2)의 후방이동 즉, 수납상태로의 압입이동에 따라서 상기 지지편(24)을 통해서 해제되기 때문에, 조작성도 우수하다.Secondly, the stopper 6 is held by the support piece 24 protruding from the holder 2 so that the first click portion 63 is engaged with the rear end catching portion 17a of the case lower surface 11. Possibly engaged, and the second click portion 64 is engaged with the locking recess 17b formed immediately before the rear locking portion 17a, and the locking is released using the support piece 24. to be. In this structure, the rear end engaging portion 17a or the locking concave portion 17b on the case 1 si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ick portion 63 and the second click portion 64 can be simply formed and the second The simplicity which serves as the support piece 24 as the engagement | release part of the click part 64 is also implement | achieved. Since the engagement of the 2nd click part 64 is released through the said support piece 24 according to the back movement of the holder 2, ie, the press-in movement to a storage state, operation property is also excellent.

셋째로, 상기 홀더(2)는, 측면을 개구부로 한 구멍부(1)와, 링부재(3)의 구멍부(35)로 상기 유지구멍(H)을 형성하며, 링부재(3)가 상기 사용상태와 수납상태의 전환에 연동하여 횡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링부재(3)의 구멍부(35)가 홀더(2)의 구멍부(21)로부터 출몰되는 구성이다. 이 경우는, 예를 들면 2개의 유지구멍(H)을 형성하는 경우, 실시형태와 같이 홀더(2)의 판폭을 좁게 할 수 있으며 상기한 본 발명품의 콘팩트화를 전체의 폭방향도 포함하여 실현가능하게 한다.Third, the holder 2 forms the holding hole H by the hole 1 having the side as an opening and the hole 35 of the ring member 3, and the ring member 3 is formed. The hole 35 of the ring member 3 is deviated from the hole 21 of the holder 2 by sli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witching between the use state and the storage state.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two retaining holes H are formed, the plate width of the holder 2 can be narrowed as in the embodiment, and the compact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entire width direction. Make it feasible.

(발명의 실시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최적인 예로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각종 제한이 부가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an accompanying drawing. Although this embodiment adds various technically preferable examples as the best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컵홀더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상기 컵홀더를 사용상태로 나타내는 요부구성도, 도 2는 상기 컵홀더를 사용형태로 나타내는 개략적 외관도, 도 3은 상기 컵홀더의 일부를 파단한 개략적 외관도이다. 도 4(a)는 상기 컵홀더의 상면도, 도 4(b)는 도 4(a)의 A-A선을 따른 종단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컵홀더의 하면도, 도 6(a)는 상기 컵홀더의 측면도, 도 6(b)는 그 정면도이다. 도 7(a)는 동 컵홀더의 수납상태에서의 하면도, 동 7(b)는 7(a)의 B-B선을 따른 종단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컵홀더의 구성에서 케이스와 홀더 및 링부재와의 관계를 나타내며, 도 8(a)은 케이스를 일부 파단한 하면도, 도 8(b)는 홀더에 링부재를 1개만 부착한 하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컵홀더의 구성에 있어서 홀더와 스토퍼 및 트레이와의 관계를 나타내며, 도 9(a)는 사용상태시의 하면도, 도 9(b)는 수납상태시의 하면도이다.1 to 9 show an embodiment of a vehicular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main structural view showing the cup holder in a usable state, Fig. 2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showing the cup holder in a use form, and Fig. 3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of a part of the cup holder broken. 4 (a) is a top view of the cup holder, and FIG. 4 (b) is a longitudinal side view along the line A-A of FIG. 4 (a). Fig. 5 is a bottom view of the cup holder, Fig. 6 (a) is a side view of the cup holder, and Fig. 6 (b) is a front view thereof. Fig. 7 (a) is a bottom view of the cup holder in a housed state, and Fig. 7 (b) is a longitudinal side view along the line B-B of 7 (a). FIG. 8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se, the holder and the ring memb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up holder. FIG. 8 (a) is a bottom view of the case partially broken. FIG. 8 (b) shows only one ring member attached to the holder. It is also a bottom view. Fig. 9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der, the stopper and the tra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up holder. Fig. 9 (a) is a bottom view in use state and Fig. 9 (b) is a bottom view in storage state.

도면에 나타내는 차량용 컵홀더는, 케이스(1), 홀더(2), 2개의 링부재(3), 트레이(4), 스토퍼(6), 탄성걸림부재(7), 서브홀더(8)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가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단, 재질적으로는 수지이외의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형태의 컵홀더는, 자동차의 센터 콘솔의 전방에 위치하는 인스터르먼트 패널(P)(도 4 참조)에 편성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개발되나, 예를 들어 차실내에 형성되는 각종 콘솔이나 좌석측 등에 편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up holder for a vehicle shown in the figure includes a case 1, a holder 2, two ring members 3, a tray 4, a stopper 6, an elastic fastening member 7, a sub holder 8 and the like. It consists of, and all these consist of resin molded articles. However, the material may be other than resin.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up holder is developed on the premise that it is knitted on the instrument panel P (see Fig. 4) located in front of the center console of the automobile, but various consoles are formed in, for example, a vehicle interior.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seat or the seat side.

여기서, 케이스(1)와 홀더(2)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홀더(2)가 케이스(1)에 압입된 수납상태와 일출된 사용상태로 전환가능하게 배치되는 관계이다. 따라서, 케이스(1)는 전면을 개구부(1a)로 하여 홀더(2)를 인출가능하게 수납하는 용기이다. 상기 예에서는 도 2 및 도 8(a)과 같이 상면(10), 하면(11), 양측면(12)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상면(10)에는 양측 앞부분에 관통된 형태의 캠홈(13)이 형성되어 있다. 각 캠홈(13)은 후측이 직선홈부(13a)이고, 대략 중간부터 전측이 좌우 중간측으로 기운 경사홈부(13b)로 형성되어 있다. 이 캠홈(13)은, 상면(10)의 안측에서 직선홈부(13a)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오목형상의 홈부(13c)와, 경사홈부(13b)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오목형상의 홈부(13d)에 연속하고 있다. 부호 14a,14b는 양측에 각각 쌍으로 형성된 래핑구멍이다. 하면(11)은, 대향하는 상면(10)의 중간 바로 앞에서부터 후측이 결여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형성된 차체 패널측에 대한 위치결정용 부착부(15)와, 선단측에 형성된 혀편(16)과, 후단 중간부에 형성된 걸림부(17a) 및 걸림 오목부(17b)를 가지고 있다. 선단은 상면(10)보다 앞쪽에 위치하며, 혀편(16)이 그 선단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설되어 있다. 걸림부(17a)는 하면(11)의 후단 중간부의 일부를 절결한 상태로 형성되며, 걸림오목부(17b)는 상기 걸림부(17a)에 근접하는 바로 앞을 관통한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양측면(12)에는, 외측 앞부분에 구멍을 가지는 부착편(18)이 쌍으로 돌설됨과 아울러, 하측 안부분에 홀더(2)의 전후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편부(19a, 19b)가 각각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편부 19a는 래핑구멍(14a)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상면(10)과의 사이에 홀더(20)의 상하부를 끼워 넣어 홀더(2)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에 반해, 가이드편부 19b는, 하면(11)과의 사이에 간격을 갖고 래핑구멍(14b)에 대응하는 개소에서 전단까지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있어, 후술할 홀더(2)의 레일부(29)를 하면(11)과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또, 상기 케이스(1)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나, 인스트러먼트 패널(P)에 형성된 오목부에 격납하듯 넣어져 부착부(15)로 위치결정되며, 양측의 부착편(18)을 이용하여 나사 등으로 고정된다.Here, the case 1 and the holder 2 have a relationship in which the holder 2 is switchably arranged in a stowed state in which the holder 2 is pressed into the case 1 and in a used state as in the related art. Therefore, the case 1 is a container which retractably holds the holder 2 with the front surface as the opening 1a. In this example, it is partitioned by the upper surface 10, the lower surface 11, and both side surfaces 12, as shown in Figs. The upper surface 10 is formed with a cam groove 13 penetrating through the front portion of both sides. Each cam groove 13 has a straight groove portion 13a at its rear side, and is formed as an inclined groove portion 13b with its front side tilted from the middle to the left and right intermediate sides. The cam groove 13 has a concave groove portion 13c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traight groove portion 13a at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10 and a concave shape extending forward at the front end of the inclined groove portion 13b. It is continuous to the groove portion 13d. Reference numerals 14a and 14b denote lapping holes formed in pairs on both sides, respectively. The lower surface 11 lacks the rear side from immediately before the middle of the upper surface 10 facing each other, and the positioning attachment portion 15 for the vehicle body panel sid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he tongue piece 16 formed on the front end side, And a locking portion 17a and a locking recess 17b formed in the rear middle portion. The tip is locat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10, and the tongue piece 16 protrudes forward from both sides of the tip. The locking portion 17a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rear end middl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11 is cut out, and the locking recess 17b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e penetrating immediately before the locking portion 17a. . On both sides 12, pairs of attachment pieces 18 having holes in the outer front part are formed in pairs, and guide pieces 19a and 19b which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holder 2 in the lower inner part are formed in pairs, respectively. It is. The guide piece 19a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lapping hole 14a, and supports the holder 2 so as to be movable by sandwich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holder 20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0. On the other hand, the guide piece 19b is elongated from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apping hole 14b to the front end with an interval between the lower surface 11 and the rail piece 29 of the holder 2 to be described later. It is supported to be movable between the lower surface 11.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case 1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formed in the instrument panel P, and is positioned as the attachment portion 15, and the attachment pieces 18 on both sides are used. Are fixed with screws.

홀더(2)는, 도 1 및 도 8(b)와 같이 선단이 조작부(20)이며, 그 바로 앞에 컵류(k)를 위에서 삽입하는 유지구멍(H)을 링부재(3)로 형성하는 전측 반체(2a)와, 트레이(4)의 지지부(42)를 배치하는 후측 반체(2b)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며, 도 7과 같이 케이스(1)에 수납된 수납상태에서 조작부(20)가 밖으로 나온 상태가 된다. 전측 반체(2a)는, 조작부(20)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조작부(20)의 바로 앞측은 대략 평판형상으로서 2개의 대략 반원호형상의 구멍부(21)가 양측을 개구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관적으로는 양 구멍부(21)의 중간판부가 가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20)는, 도 1과 같이 단차(段差))를 이루고 있는 상면(20a)과, 선단면(20b)과, 측면(20c)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에 있어서, 중간 세움벽(20d)과 선단면(20b)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동(22a)과, 중간 세움벽(20d)의 후측에 형성된 수납부(22b)와, 도 6과 같이 링부재(3)의 선단부를 출몰가능하게 하는 수납공간(22c)을 가지고 있다. 공동(22a)은 상면(20a), 양측면(20c), 선단면(20b) 및 중간 세움벽(20d)으로 구획되어 하부가 개구된 상태로서, 홀더(2)를 인출할 때에 필요에 따라 손가락을 집어 넣는 개소이다. 수납부(22b)는, 중간 세움벽(20d)의 바로 앞쪽에 위치하여 깊게 되어 있는 부분과, 양측면(20c)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구멍부(21)의 대응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면(20e) 부분으로 구획되고, 하부가 개구된 상태를 이루며 트레이(4)의 재치부(41)가 수납되는 개소이다. 수납공간(22c)은, 구멍부(21)에 대응하여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20a)와 하면(20e)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측면(20c) 및 구멍부(21)를 향해서 개구된 상태이다. 또한, 하면(20e)에는, 구멍부(21)보다 큰 원호형상의 안내홈(20f)이 수납공간(22c)에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1 and 8 (b), the holder 2 is the front end of which the front end is formed by the ring member 3, with a holding hole H for inserting the cups k from above. The half body 2a and the rear half body 2b which arrange | position the support part 42 of the tray 4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operation part 20 moves out in the storage state accommodated in the case 1 as shown in FIG. It is in the state that came out. The front half body 2a has the thickest thickness of the operation part 20, and the front side of the operation part 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with two substantially semi-circular arc-shaped holes 21 opening both sides. have. Therefore, in appearance, the intermediate plate part of both hole parts 21 is thin. And the operation part 20 is divided into the upper surface 20a, the front end surface 20b, and the side surface 20c which comprise the step like FIG. And inside, the cavity 22a formed between 20 d of intermediate | middle standing walls and the front end surface 20b, and the accommodating part 22b formed in the back side of 20 m of intermediate standing walls, and like FIG. It has a storage space 22c which enables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ring member 3 to be projected. The cavity 22a is divided into an upper surface 20a, two side surfaces 20c, a front end surface 20b, and a middle upright wall 20d, and the lower portion is opened. It is point to put. The storage part 22b is located just in front of the middle standing wall 20d and deepened, and is located above the lower end of both side surfaces 20c to form a corresponding part of the hole 21 (20e). ), The lower part is opened, and the placing part 41 of the tray 4 is accommodated. The storage space 22c is formed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hole portion 21, and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20a and the lower surface 20e and opened toward the side surface 20c and the hole portion 21. It is a state. Further, the lower surface 20e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a circular arc-shaped guide groove 20f larger than the hole portion 21 penetrates through the storage space 22c.

후측반체(2b)는, 상면(23a)과, 양측면(23b)과, 후단면(23c)으로 형성되어 있다(횡단면이 대략 ㄷ자형을 이룸). 상면(23a)은, 도 1과 같이 선단측 상면(20a)의 단차가 낮은 면과 연속하며, 이면(裏面)측에 있어서 중간부에 하설된 한 쌍의 지지편(24) 및 가이드 리브(25)와, 지지편(24)의 외측에 형성된 한 쌍의 요동홈(26)과, 각 요동홈(26)의 바로 앞에 돌설된 축부(27)와, 각 축부(27)의 바로 앞의 돌설된 규제 리브(27a)를 가지고 있다. 양 지지편(24)은, 스토퍼(6)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도 9 및 도 1과 같이 상면(23a)의 이면(裏面)에서 하설되어 단면이 대략 L형을 이루며, 선단의 수평부(24a)가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상면(23a)과의 사이에서 스토퍼(6)를 유지한다. 양 가이드 리브(25)는 도 8(b)와 같이 대응하는 지지편(24)과 소정의 간격을 갖고 전방으로 연장된 작은 2개씩의 리브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토퍼(6)는, 도 1과 도 9와 같이 가늘고 긴 판형상을 이루며, 또한 판의 폭방향의 단면이 대략 I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개략적인 윤곽이 상면(61) 및 하면(62)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단측에는 하면(62)에서 하측으로 크게 돌설된 제 1 클릭부(63)와, 제 1 클릭부(63)의 바로 앞쪽에 위치하여 하측으로 작게 돌설된 제 2 클릭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전단에는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설되고 횡공이 부착된 부착편(6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의 스토퍼(6)는, 통상,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4)에 연결된 상태에서, 홀더(2)의 양 가이드 리브(25)의 사이에 배치되며, 후단면(23c)측으로 이동하면, 상면(61)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면(23a)과 각 수평부(24a)와의 사이에 끼워져 들어가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편성된다.The rear half body 2b is formed of an upper surface 23a, both side surfaces 23b, and a rear end surface 23c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forms a substantially c-shape). As shown in FIG. 1, the upper surface 23a is continuous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ip side upper surface 20a, and a pair of support pieces 24 and guide ribs 25 recessed in the middle portion on the rear surface side. ), A pair of swing grooves 26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piece 24, a shaft portion 27 protruding in front of each swing groove 26, and a protrusion immediately in front of each shaft portion 27 It has a regulating rib 27a. Both support pieces 24 slidably support the stopper 6, and are laid down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23a as shown in FIGS. 9 and 1 to form a substantially L-shaped cross section, and the horizontal of the tip end thereof. The part 24a opposes each other, and the stopper 6 is hold | maintained between the upper surface 23a. Both guide ribs 25 are formed as two small ribs extending forward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corresponding support piece 24 as shown in Fig. 8B. Here, the stopper 6 forms an elongated plate shape as shown in Figs. 1 and 9, and the cross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forms an approximately I-shape, and the outlines of the top and bottom surfaces 62 and 62 are outlined. It is formed. The rear end side is formed with a first click portion 63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62, and a second click portion 64 protruding downward with a small position located directly in front of the first click portion 63. . In the front end, an attachment piece 65 protruding forward from both sides and having a horizontal hole is formed. And the stopper 6 mentioned above is normally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both guide ribs 25 of the holder 2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tray 4 as mentioned later, and moves to the rear end surface 23c side, Both edges of the upper surface 61 are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surface 23a and the horizontal portions 24a to be slidably knitted.

상기 양 측면(23b)은, 도 1의 아래 도면과 도 2와 같이 여유홈(28)과, 측면의 하단 가장자리에서 가늘고 길게 돌설된 레일부(29)와, 도 8과 같이 후단면(23c)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형성된 부착부(23)를 가지고 있다. 여유홈(28)은, 각 측면(23b)의 전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가 L인 직선형태의 관통구멍을 이루고 있으며 홀더(2)가 단독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L치수가 조작부(20)의 전후의 길이(L1)와 거의 같게 설정되어 있다. 레일부(29)는, 홀더(2)가 케이스(1)에 조립될 때, 홀더 하면(11)과 가이드편부(19b)와의 사이에 끼워져 들어가, 케이스(1)에 대한 이동을 가이드한다. 후단면(23c)에는, 스토퍼(6)를 내측에서 밖으로 내놓을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23d)가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23)에는 도 7(a)와 같이 후단면(23c)에서 각 측면(23b)으로 관통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을 따라서 탄성걸림부재(7)가 내설된다. 그리고, 홀더(2)는, 수납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슬릿에서 돌출하는 걸림부재(7)의 일부(7a)에 의해서 케이스(1)로부터의 부주의한 인출이 규제되며, 역으로 상기 슬릿내에 탄성적으로 퇴피(退避)하면서 케이스(1)에서 인출된다. 즉, 상기 걸림부재(7)는 케이스(1)에 대한 홀더(21)의 덜컹거림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Both side surfaces 23b have a clearance groove 28 as shown in the lower view of FIG. 1 and FIG. 2, a rail portion 29 protruding from the lower edge of the side surface, and a rear end surface 23c as shown in FIG. 8. It has the attachment part 23 formed in the corner part between and. The clearance groove 28 is formed in the front side of each side surface 23b, forms the linear through-hole of length L, and allows the holder 2 to move independently. In this embodiment, the L dimension is set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length L1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unit 20. When the holder 2 is assembled to the case 1, the rail portion 29 is fitted between the holder lower surface 11 and the guide piece 19b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ase 1. On the rear end surface 23c, an opening portion 23d for allowing the stopper 6 to extend out from the inside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The attachment portion 23 is formed with slits penetrating from the rear end surface 23c to each side surface 23b as shown in FIG. 7A, and the elastic locking member 7 is installed along the slit. The holder 2 is inadvertently withdrawn from the case 1 by a part 7a of the locking member 7 protruding from the slit when the holder 2 is in a stored state, and conversely, the holder 2 is elastic in the slit. It is withdrawn from the case 1, retracting. That is, the locking member 7 is also capable of absorbing rattling of the holder 21 relative to the case 1.

이상의 홀더(2)는, 요동홈(26) 및 축부(27)를 통해서 조립되는 링부재(3)와 구멍부(21)에 의해 유지구멍(H)을 형성한다. 상기 링부재(3)는, 도 2 및 도 8(b)와 같이 암부(31)의 선단에 반원부(32)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암부(31)는, 후단측의 상면에 입설된 핀(33)과, 그 바로 앞에 관통된 축구멍(34)을 가지고 있다. 반원부(32)는, 내측의 구멍부(35)가 구멍부(21)와 함께 유지구멍(H)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좁아진 선단에 형성된 가로 핀(36)과, 중간내측에 형성된 절결부(37)와, 상기 절결부(37)에 편성된 서브 홀더(8)를 가지고 있다. 상기 서브 홀더(8)는, 선단을 둥글게 한 편형상의 것으로서, 절결부(37)에 대해서 도시하지 않은 추축에 의해서 대략 90도 만큼 회동가능하게 추지됨과 아울러, 상기 추축에 축장된 상태로 조립된 스프링(5)에 의해서, 통상은 구멍부(35)내로 수평하게 돌출하는 비사용위치가 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컵류가 유지구멍(H)에 들어갈 때는 스프링압력에 저항하여 아래방향으로 쓰러지면서 사용위치가 된다. 즉, 이 서브홀더(8)는, 도 10의 컵류(k1,k2)의 외경에 따른 각도만큼 아래방향으로 경사짐으로써, 유지구멍(H)에 삽입되는 컵류의 외경에 관계없이 구멍부(21)와의 사이에서 항상 간격없이 압접(壓接)한다.The above holder 2 forms the holding hole H by the ring member 3 and the hole portion 21 assembled through the swinging groove 26 and the shaft portion 27. The ring member 3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the semicircular portion 32 at the tip of the arm portion 31 as shown in Figs. The arm part 31 has the pin 33 enter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side, and the shaft hole 34 which penetrated in front of it. The semicircular portion 32 is a portion in which the inner hole portion 35 forms the holding hole H together with the hole portion 21, and includes a horizontal pin 36 formed at the narrowed tip and a cutout portion formed in the middle inner side. (37) and the sub holder (8) knitted on the cutout portion (37). The sub holder 8 has a rounded tip, which is rotatably mounted by approximately 90 degrees by an axis (not shown) with respect to the notch 37, and is assembled in a state in which the axis is extended to the axis. The spring 5 is a non-use position that normally protrudes horizontally into the hole 35. When cups (not shown) enter the holding hole H, they fall down in response to spring pressure. Location. That is, the sub holder 8 is inclined downward by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ups k1 and k2 in Fig. 10, so that the hole 21 is irrespectiv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cups inserted into the holding holes H. Always press-contact with no gap between them.

(링부재의 조립요령과 작동) 이상의 링부재(3)는, 서브 홀더(8)를 부착한 상태에서 홀더(2)에 조립된다. 즉 각 링부재(3)는, 핀(33)이 요동홈(26)에 끼워 맞춰지고 축구멍(34)에 상기 축부(27)가 끼워 맞춰짐과 아울러, 가로 핀(36)이 상기 안내홈(20f)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홀더(2)에 조립된다. 그리고 링부재(3)는, 홀더(2)와 함께 케이스(1)에 조립되면 핀(33)의 선단이 케이스(1)측의 캠홈(13)으로 돌출위치된다. 그래서, 홀더(2)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링부재(3)는 도 8(b)와 도 8(a)의 각 하반부분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부(31)가 축부(27)를 지점으로 하여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핀(33)이 요동홈(26)의 외측단에서 오목형상의 홈부(13c)에 위치하며, 또한 반원부(32)가 구멍부(21)내에 배치되고, 가로 핀(36)이 안내홈(20f)의 내측단으로 이동되어 있다. 홀더(2)가 케이스(1)에서 인출되는 과정에서는, 핀(33)이 오목형상의 홈부(13c)에서 직선홈부(13a)로, 다시 경사홈부(13b)로 들어가 최종적으로 경사홈부(13b)의 전단에 맞닿게 되어 사용상태가 된다. 이 때, 링부재(3)는 도 8(b)와 도 8(a)의 각 상반부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부(31)가 축부(27)를 지점으로 하여 내측에서의 비스듬한 상태로부터 대략 직선으로 배치(이 때 대응부가 규제리브(27a)에 당접되어 있다)되고, 핀(33)이 요동홈(26)의 내측단에서 경사홈부(13b)에 위치하며, 또한 반원부(32)가 구멍부(21)내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배치되며, 가로 핀(36)이 안내홈(20f)의 외측단으로 이동되어 있다. 즉, 상기 구조에 있어서 링부재(3)는, 홀더(2)가 사용상태와 수납상태로 전환될 때 핀(33)이 케이스(1)측의 캠홈(13)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반원부(32)가 구멍부(21)내로 퇴피(退避)된 비사용위치와, 구멍부(21)내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사용위치로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이것은, 종래방식에서 필수였던 스프링부재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간략화를 도모한 것이다.The above-mentioned ring member 3 is assembled to the holder 2 in a state where the sub holder 8 is attached. In other words, each ring member 3, the pin 33 is fitted into the swing groove 26, the shaft portion 27 is fitted to the shaft hole 34, and the horizontal pin 36 is the guide groove It is assembled to the holder 2 by fitting in 20f. When the ring member 3 is assembled to the case 1 together with the holder 2, the tip of the pin 33 protrudes into the cam groove 13 on the case 1 side. Therefore, in the storage state of the holder 2, the ring member 3 has the arm portion 31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each lower half of Figs. 8 (b) and 8 (a). It is disposed obliquely inward as a point, the pin 33 is located in the concave groove portion 13c at the outer end of the swing groove 26, and the semicircular portion 32 is disposed in the hole portion 21, , Horizontal pin 36 is moved to the inner end of guide groove 20f. In the process in which the holder 2 is withdrawn from the case 1, the pin 33 enters the inclined groove portion 13c from the concave groove portion 13c to the straight groove portion 13a and back into the inclined groove portion 13b and finally the inclined groove portion 13b.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and becomes in use. At this time,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the upper half of Figs. 8 (b) and 8 (a), the ring member 3 is roughly inclined from the inside of the arm 31 with the shaft portion 27 as a point. Arranged in a straight line (the corresponding part is in contact with the regulating rib 27a), the pin 33 is located in the inclined groove portion 13b at the inner end of the swing groove 26, and the semicircular portion 32 is Protrudingly arranged in the hole 2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horizontal pin 36 is moved to the outer end of the guide groove 20f. That is, in the above structure, the ring member 3 has a semicircular portion (3) by moving the pin 33 along the cam groove 13 on the case 1 side when the holder 2 is switched between the use state and the storage state. 32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a non-use position where the hole 21 is retracted and a use position that protrudes laterally in the hole 21. This aims to simplify the spring member, which has been essential in the prior art.

상기 트레이(4)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측의 재치부(41)와 재치부(41)의 후단중간에 연결한 지지부(42)로 이루어져 있다. 재치부(41)는, 도 2와 같이 평판부(41a)의 선단(41b)을 윗방향으로 기립시킨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평판부(41a)의 이면측에는, 상기한 하면(11)의 혀편(16)에 대응하는 오목부(41c)가 형성되며, 도 7의 수납상태에서 혀편(16)에 끼워 맞춰 지탱된다. 지지부(42)는, 홀더(2)의 양 측면(23b)의 사이에 수납되는 크기이며, 전측(43)이 관통구멍(43a)이 부착된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그 정부(頂部)가 평판부(41a)와 일체화되어 있다. 후측(44)은 도 1의 아래 도면과 같이 양 측면(45)을 가지며 폭방향의 단면이 대략 ㄷ자형으로 되어 있고, 도 9와 같이 대략 중간부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편(46)과, 상기 연결편(46)의 외측에 각각 돌출된 트레이스용 리브(47)와, 양 측면(45)에 각각 돌설된 축부(48)(도 1의 아래 도면 참조)를 가지고 있다. 연결편(46) 및 트레이스용 리브(47)는 위쪽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각 연결편(46)에는 도시하지 않은 축부가 교차상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스용 리브(47)는 상기한 대응하는 가이드 리브(25)에 당접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the said tray 4 consists of the mounting part 41 of the front end side, and the support part 42 connected between the rear end intermediate | middle of the mounting part 41. As shown in FIG. The mounting part 41 has comprised the plate shape which made the front-end | tip 41b of the flat plate part 41a stood up as shown in FIG. On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flat plate portion 41a, a concave portion 41c corresponding to the tongue piece 16 of the lower surface 11 is formed, and is fitted and supported by the tongue piece 16 in the storage state of FIG. The support part 42 is a magnitude | size accommodated between the both sides 23b of the holder 2, The front side 43 is formed in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with the through-hole 43a attached, and the front part is a flat plate It is integrated with the part 41a. The rear side 44 has both sides 45 as shown in the lower view of FIG. 1 and has a cross-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approximately C-shape, and a pair of connecting pieces 46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as shown in FIG. The trace ribs 47 protrude from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piece 46, respectively, and the shaft portions 48 (refer to the drawing below in FIG. 1) protruding from both side surfaces 45, respectively. The connecting piece 46 and the trace rib 47 protrude upward at a predetermined height. Each connecting piece 46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aft part which is not shown in the crossing state. The trace ribs 47 are formed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guide ribs 25 described above.

(트레이의 조립요령과 작동) 이상의 트레이(4)는, 홀더(2)에 대해 상기 링부재(3)를 부착한 상태에서 조립된다. 이 경우는, 도 9와 같이 트레이(4) 양측의 축부(48)를 대응하는 여유홈(28)에 끼워 맞추고, 양측의 연결편(46)을 스토퍼(6)의 양 부착편(65)의 내측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결편(46)의 축부를 대응하는 상기 부착편(65)의 가로 구멍에 끼워 맞춘다. 이 때, 양 연결편(46)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축부를 이용하여 스프링(9)이 배치된다. 이 스프링(9)은, 일단이 트레이(4)측에 당접되고 타단이 홀더(2)측에 당접된 상태이며, 트레이(4)를 홀더(21)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이상의 요령으로 홀더(2)에 링부재(3)와 트레이(4)를 조립한 상태에서, 케이스(1)에 편성된다. 이 때에는, 링부재(3)를 사용위치로 한 상태에서, 홀더(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핀(33)이 캠홈(13)에 연속되어 있는 도 8(a)의 오목형상의 홈부(13d)를 통해서 움직이도록 전체를 케이스(1)의 전방에서 후측으로 밀면, 도 7과 같이 홀더(2)의 후측이 케이스(1)의 후단에서 돌출하여, 이른바 홀더(2)의 수납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한 걸림부재(7)를 부착부(23)에 부착하면, 홀더(1)는 걸림부재(7)에 의해서 수납형태를 유지하고, 케이스(1)에서의 부주의한 인출이 규제됨과 아울러, 덜컹거림도 흡수된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홀더(2)가 사용상태의 바로 앞쪽(2㎝)까지 인출되었을 때(핀(33)이 직선홈부(13a)에서 경사홈부(13b)에 도달), 상기한 걸림부재(7)가 케이스(1)의 대향하는 측면(12)의 내측(래핑구멍(14b)에서 보이는 개소)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테퍼돌기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클릭감을 발생하면서 최종 사용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The tray 4 is assembled in a state in which the ring member 3 is attached to the holder 2.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the shaft portions 48 on both sides of the tray 4 are fitted into the corresponding clearance grooves 28, and the connecting pieces 46 on both sides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both attachment pieces 65 of the stopper 6. In addition to this, the shaft portion of the connecting piece 46 is fitted into the horizontal hole of the corresponding attachment piece 65 corresponding thereto. At this time, the spring 9 is arranged using the shaft portion projecting inwardly of both connecting pieces 46. One end of this spring 9 is in contact with the tray 4 side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holder 2 side, and the tray 4 is supported in the direction falling from the holder 21. In this structure, the case 1 is knitted in a state in which the ring member 3 and the tray 4 are assembled to the holder 2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in the state where the ring member 3 is in the use position, the concave groove portion of Fig. 8 (a) in which the pin 33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 is continuous to the cam groove 13 ( When the whole is pushed from the front of the case 1 to the rear side so as to move through 13d), the rear side of the holder 2 protrudes from the rear end of the case 1 as shown in FIG. 7, so that the so-called holder 2 is stored. . In this case, when the locking member 7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part 23, the holder 1 is held by the locking member 7, and careless withdrawal from the case 1 is restricted. Rattles are also absorbed. Further, in this structure, when the holder 2 is pulled out to the front side (2 cm) of the use state (the pin 33 reaches the inclined groove 13b in the straight groove 13a), the locking member ( 7) elastically rides through the tapered protrusion (not show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opposing side surface 12 of the case 1 (a location seen from the lapping hole 14b), and is switched to the final use state while generating a click feeling. have.

따라서, 이상의 컵홀더에서는, 우선, 홀더(2)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스토퍼(6)가 비걸림상태이고, 트레이(4)의 축부(48)가 홀더(2)의 여유홈(28)의 전단에 끼워 맞춰지며, 트레이(4)의 재치부(41)가 홀더(2)의 수납부(22b)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상태까지 인출할 때에는, 홀더(2)가 트레이(4)를 따라서 사용상태의 바로 전까지 인출되면, 스토퍼(6)가 케이스(1)의 대응부와 걸어 맞춰져 트레이(4)의 이동을 저지하여 홀더(2)만이 단독으로 인출된다. 홀더(2)의 단독이동은 여유홈(28)의 길이에 대응하며 트레이(4)의 축부(48)가 고정된 상태에서 여유홈(28)이 이동하면서 실시된다. 그리고 사용상태에서는, 축부(48)를 여유홈(28)의 후단에 끼워 맞추고, 트레이(4)가 스토퍼(6)의 연결부를 통해서 홀더(4)에서 수하되어 홀더(2)의 유지구멍(H)에서 삽입되는 컵류를 받친다. 또한 트레이(4)는, 스토퍼(6)의 걸어맞춤상태에 의해 부주의하게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 또 수납상태까지 압입될 때에는, 홀더(2)가 초기단계에 축부(48)가 고정된 상태에서 여유홈(28)이 이동하면서 단독으로 후방으로 이동되며, 여유홈(28)의 전단이 축부(48)와 끼워 맞춰지는 시점에서부터 트레이(4)를 동반하여 압입된다. 이 경우, 트레이(4)는 홀더(2)와 함께 케이스(1)내에 들어가지만, 홀더(2)의 단독이동에 의해 사용상태시의 홀더(2)와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된다. 즉, 홀더(2)의 조작부(20)는 재치부(41)에 가까워져 상기 재치부(41)를 홀더 조작부(20)의 수납부(22b)에 수납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구조에서는, 트레이(4)가 홀더(2)에 대해 여유홈(28)의 치수(L)만큼 상대적으로 이동됨으로써, 수납상태시에 홀더(2)의 선단 조작부(20)의 수납부(22b)에 재치부(41)의 전체(일부라도 좋다)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트레이(4)의 유지작용(사용상태에서의 유지구멍(H)과의 위치관계, 홀더(2)로부터의 하방거리 등)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 수납상태에 있어서 트레이(4)의 재치부(41)를 케이스(1)밖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종래와 같이 케이스의 높이를 확대하지 않고 재치부(41)를 넓게 확보하거나, 케이스(1)측과의 상대적 위치 등에 규제를 덜 받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Therefore, in the above cup holder, first, in the storage state of the holder 2, the stopper 6 is in a non-locking state, and the shaft portion 48 of the tray 4 is formed in the clearance groove 28 of the holder 2. Fitted to the front end, the mounting portion 41 of the tray 4 is housed in the housing portion 22b of the holder 2. When the holder 2 is pulled out along the tray 4 just before the use state, the stopper 6 is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case 1 to withdraw the tray 4 from the holder. Only the holder 2 is pulled out alone by blocking. The independent movement of the holder 2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clearance groove 28 and is performed while the clearance groove 28 moves while the shaft portion 48 of the tray 4 is fixed. In the use state, the shaft portion 48 is fitted to the rear end of the clearance groove 28, and the tray 4 is received from the holder 4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topper 6 to hold the holder hole H of the holder 2. Support cups inserted in). In addition, the tray 4 is regulated so as not to be inadvertently moved forward by the engaging state of the stopper 6. In addition, when press-fitted to the storage state, the holder 2 is moved to the rear alone while the clearance groove 28 is moved while the shaft portion 48 is fixed at an initial stage, and the front end of the clearance groove 28 is moved to the shaft portion ( It is press-fitted with the tray 4 from the time of fitting with 48). In this case, the tray 4 enters the case 1 together with the holder 2, but the relative position with the holder 2 in the use state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holder 2 alone. That is, the operation unit 20 of the holder 2 is close to the mounting unit 41 to allow the mounting unit 41 to be housed in the housing unit 22b of the holder operating unit 20. Therefore, in the above structure, the tray 4 is moved relative to the holder 2 by the dimension L of the clearance groove 28, whereby the housing portion of the front end operation portion 20 of the holder 2 in the storage state ( 22b), it is possible to store the whole (some may be) of the mounting portion 41. This is a mounting part of the tray 4 in the storage state while maintaining the holding action of the tray 4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holding hole H in the use state, downward distance from the holder 2, etc.) normally.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41) outside the case (1),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41) is widely secured without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case as in the prior art, or less restricted in the relative position with the case (1) side, etc. It means to receiv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에 있어서, 트레이가 홀더에 대해 여유홈의 치수만큼 상대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수납상태에 있어서 홀더의 선단 조작부의 수납부에 재치부의 전체 또는 일부를 수납함으로써 트레이의 유지작용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 트레이의 재치부를 케이스밖으로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이 케이스의 높이를 확대하지 않고도 트레이의 재치부를 넓게 확보하거나, 길이 등의 규제를 덜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품은 케이스의 높이를 크게 하지 않아도 트레이의 재치부를 넓게 할 수 있어 컵류를 보다 정확하고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ehicl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ray is moved relative to the holder by the size of the clearance groove, the whole or part of the mounting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portion of the tip operation portion of the holder in the storage state. It is possible to place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ray out of the case while maintaining the tray holding operation normally. As a result,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ray can be secured wide or the length, etc., will be less restricted without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case as in the prior art. Therefore, this invention can widen the mounting part of a tray, even if it does not increase the height of a case, and can maintain cups in a more accurate and stable state.

Claims (4)

전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넣어지는 수납상태와 케이스의 전면 개구부에서 인출되는 사용상태로 전환됨과 아울러, 컵류가 삽입되며 삽입된 컵류의 주위를 구속하는 유지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함께 케이스내에 수납되며 또한 인출되는 과정에서 홀더에서 수하되어 상기 컵류의 하면을 받치는 트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컵홀더에 있어서,A case having an open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 holder which is switched to a storage state enclosed in the case and a use state drawn out from the front opening of the case, and in which a cup is inserted and forms a retaining hole for restraining the periphery of the inserted cup; In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comprising a tray which is received in the case with the holder and is drawn out of the holder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ups, 상기 홀더는,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와, 상기 트레이를 동반하지 않고 단독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여유홈과, 선단의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에 형성된 수납부를 가지며,The holder has a stopper arranged to be slidable back and forth to restrict the movement range of the tray, a clearance groove for allowing the holder to move independently without accompanying the tray, an operation portion at the tip and a storage portion formed at the operation portion, 상기 트레이는, 상기 수납부에 출입되는 판형상의 재치부 및 상기 재치부의 후측에 형성된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스토퍼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여유홈에 축부를 통해서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The tray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mounting portion entering and exit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placing portion, the support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topper and is inserted into the clearance groove so as to be movable through the shaft portion. , 상기 사용상태로 할 때에는 상기 홀더가 인출 도중에 상기 스토퍼의 걸림작동을 받는 상기 트레이를 남겨 두고, 상기 여유홈에 대응하는 만큼 단독으로 인출되며, 수납상태로 할 때에는 홀더가 여유홈에 대응하여 단독으로 압입된 후, 상기 트레이를 동반하여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In the use state, the holder leaves the tray receiving the stopper of the stopper during the withdrawal, and is withdrawn alone as much as the clearance groove, and when the holder is in the stowed state, the holder independently corresponds to the clearance groove. After being press-fitted,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fitted togethe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스토퍼는, 상기 홀더를 상기 트레이와 함께 수납상태에서 전방으로 인출하는 도중에 상기 트레이의 전방이동을 규제하는 제 1 클릭부와, 상기 홀더를 사용상태에서 압입하는 초기단계에서의 상기 트레이의 후방이동을 규제하는 제 2 클릭부를 가지고 있는 차량용 컵홀더.The stopper includes: a first click portion for regulating forward movement of the tray while the holder is pulled forward together with the tray in a forward state; and a rearward movement of the tray in an initial step of pressing the holder in use. Cup holder for a vehicle having a second click portion for regulating.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스토퍼가 상기 홀더에 돌출형성된 지지편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클릭부가 상기 케이스 하면의 후단 걸림부와 걸림·해제 가능하게 걸어맞춰지고, 상기 제 2 클릭부가 상기 케이스의 후단 걸림부의 바로 앞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와 걸어 맞춰지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이 상기 지지편을 이용하여 해제되는 차량용 컵홀더.The stopper is supported by a support piece protruding from the holder, wherein the first click portion is engaged with the rear end engaging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so as to be able to be locked and released, and the second click portion is immediately connected to the rear end locking portion of the case. A cup holder for a vehicle that is engaged with a locking recess formed in the front side and wherein the engagement is released using the support piec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홀더는,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구멍부와 링부재의 구멍부에 의해서 상기 유지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링부재가 상기 사용상태와 수납상태의 전환에 연동하여 횡방향으로 요동되어 상기 링부재의 구멍부가 상기 홀더의 구멍부에서 출몰되는 차량용 컵홀더.The holder forms the retaining hole by the hole portion of the ring member and the hole portion having an opening on the side thereof, and the ring member swings laterally in association with the switching between the use state and the storage state. A cup holder for a vehicle in which the hole is released from the hole of the holder.
KR10-2000-0058225A 1999-10-20 2000-10-04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KR10039606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7871 1999-10-20
JP29787199A JP2001114008A (en) 1999-10-20 1999-10-20 Cup hold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992A true KR20010039992A (en) 2001-05-15
KR100396060B1 KR100396060B1 (en) 2003-08-27

Family

ID=1785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225A KR100396060B1 (en) 1999-10-20 2000-10-04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1114008A (en)
KR (1) KR100396060B1 (en)
TW (1) TW49040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6305A (en) * 2019-05-05 2019-10-22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The saucer structure of AO grades of electric cars
CN111301246B (en) * 2020-05-11 2020-08-18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Small table plate of automobile cup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6060B1 (en) 2003-08-27
JP2001114008A (en) 2001-04-24
TW490407B (en) 2002-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0228A (en) Drawer device
JP3287081B2 (en) Drawer unit
US6702241B2 (en) Cup holder
KR100559704B1 (en) Cup holder device
JP2003040079A (en) Seat belt guide
US6575542B2 (en) Withdrawal mechanism and cup-holder unit using the same
KR100407235B1 (en) Holder for a drinks container
KR100396060B1 (en)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JP3524800B2 (en) Vehicle storage device
US20020135194A1 (en) Storage for vehicles
JP6446482B2 (en) Armrest
JP3594045B2 (en) Cup holder unit
JP2953483B2 (en) Vehicle cup holder device
KR100389546B1 (en)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JP3296225B2 (en) Pull-out storage device
JP3331440B2 (en) Automotive drawer
JP2019119241A (en) Vehicular storage device
KR19980029267U (en) Car rack for folding door
JP3946085B2 (en) Drawing device
JP2604231Y2 (en) Vehicle storage device
JPH1159281A (en) Multistag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echanism and drawer for vehicle using it
JPH0418912Y2 (en)
JPS642458Y2 (en)
JP2023156023A (en) On-vehicle drawer structure
JP2594648Y2 (en) Cup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