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9550A - 포장겸용 사각 종이컵 - Google Patents

포장겸용 사각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9550A
KR20010039550A KR1020000015384A KR20000015384A KR20010039550A KR 20010039550 A KR20010039550 A KR 20010039550A KR 1020000015384 A KR1020000015384 A KR 1020000015384A KR 20000015384 A KR20000015384 A KR 20000015384A KR 20010039550 A KR20010039550 A KR 20010039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p
cup
contents
paper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000015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9550A/ko
Publication of KR2001003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55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차(茶)등의 내용물이 사각 종이컵 안에 포장되어 사용자가 여행, 레저 기타 용도로 사용 시에 사각종이컵(8)의 절취 부분(6)을 잡아 당겨 절단한 후 부착된 개봉 손잡이(9)를 이용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개봉하고 물만 부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포장 겸용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시(例示) 일회용품 커피 등을 구입하여 사용자가 음식물을 먹을 때 따로 종이컵 또는 컵을 구해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원형 일회용 종이컵 사용 시 커피 포장지와 일회용 종이컵 등의 이중의 쓰레기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포장 겸용 사각 종이컵은 종이컵 안에 커피가 삽입되고 사각 종이컵 바깥쪽은 내용물의 종류와 광고가 인쇄되어 두 번 포장 할 필요가 없고, 본 발명의 포장 겸용 사각 종이컵 하나로 포장지와 종이컵의 일석이조(一石二鳥)의 효과를 내며 포장지 쓰레기가 생산되지 않으므로 종이컵 쓰레기에서 유발되는 환경오염을 조금이나마 희석 시 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컵 라면 등 부피가 큰 내용물은 사각 종이컵의 크기를 크게 제작하고 뚜껑을 다는 등의 디자인 개선으로 제작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즉석에서 물을 부어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포장겸용 사각 종이컵{.}
본 발명은 포장겸용 사각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사각 종이컵 안에 커피, 차(茶)등의 제품을 넣고 포장을 할 수 있는 일체형(一體形)으로 제작됨으로서, 일회용품의 내용물이 포장되는 장점이 있고 사각종이컵의 바깥쪽 면은 내용물의 종류에 맞게 광고를 인쇄하여 커피, 차(茶)등의 포장지로 대체(代替)하는 효과로 인해 커피, 차(茶)등의 포장지가 필요 없으며 일회용품 사용 시에 포장지와 종이컵 이중 쓰레기가 발생하는데 내용물의 포장지 역할을 하는 포장 겸용 사각 종이컵은 종이컵 쓰레기만이 발생되어 쓰레기 양을 반으로 줄일 수 있어 이중 쓰레기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포장 겸용 사각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 차(茶)등의 내용물이 포장된 종이컵(도6의B)으로 커피, 차(茶)등의 내용물 섭취 시 따로 종이컵을 구비할 필요 없이 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각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일회용 커피, 차(茶)등은 폴리에틸렌 수지와 포장지로 직사각형과 스틱으로 포장이 되어 사용 폐기 시에는 유독가스 발생으로 인한 공해문제와 쓰레기 발생이 대두된다. 또한, 원형 일회용 종이컵은 자판기 등에서 커피나 차등의 내용물을 담아 사용하는 용도로 쓰이는 종이컵으로 원형종이컵에는 도6의(B)처럼 절취 부분(6)이 없는 관계로 자체(自體)의 포장 기능은 없으며 이러한, 종이컵은 내용물을 다 마시면 쓰레기가 되는 일회용 종이컵으로 지나지 않았다. 그런데, 요즈음에 들어 여행과 레저활동 등의 취미생활로 집을 떠나 야외활동이 많아지고 커피, 차(茶)등과 함께 원형 종이컵인 일회용품의 사용이 늘어남으로 인해서 제품 포장지와 원형종이컵의 이중 쓰레기 배출량 증가로 인한 환경오염이 가속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 일회용 종이컵은 원형으로 제작되어 판매되므로 종이컵 모양이 훼손되면 컵 기능이 떨어지며 상단부분이 개봉된 상태로 제작되므로 커피, 차(茶)등의 내용물을 넣고 포장할 수 없으므로 내용물 포장이 가능한 도 5의(A)처럼 사각 종이컵 형태로 제작하기 위해 도3에서 내용물 밀봉을 위해 십자 모양으로 절단된 종이에 절취 부분(6)을 종이(1)에 접착하여 내용물을 넣고도 사각 종이컵의 형태로 포장이 가능하게 했으며 커피, 차(茶)등의 내용물이 인쇄(도6의B) 포장된 종이컵을 사용자가 구입하여 절취부분(6)을 손(10)으로 잡고 절취 부분 상단을 개봉한 후에 양손으로 개봉 손잡이(9)를 잡고 개봉 손잡이에 표시된 각각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 펼치면 내용물이 포장된 사각종이컵 도7의(B) 모습으로 완전히 개봉되며 개봉된 컵에 물을 붓고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방향으로 컵을 잡고 마시면 된다.
도 1의 (A)는 종래의 일회용 종이컵 재질인 롤지(Roll Paper:천연펄프)에 방수방습(防水防濕)과 접착을 목적으로 한 PE코팅(Coating)을 한 롤지를 사각 종이컵 모양으로 만들기 위해 십자(+)모양으로 절단된 종이(1) 바깥쪽(2)에 내용물의 인쇄를 보인 평면도
도 1의 (B)는 도 1(A)에서 사각 종이컵의 기본형태로 재단되어 절단된 종이의 안쪽(3)을 보인 평면도
도 2의(A)는 십자(+)모양으로 절단된 종이를 사각 종이컵의 형태로 원활히 접히게 하기 위해 종이(1) 안쪽 면에 종이 접기 가공(加工) 선을 표시한 평면도
도 2의 (B)는 사각 종이컵 사용 시 컵과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 손잡이 부분의 컬링(Curling)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종이컵 안에 커피, 차(茶)등의 내용물을 포장하고 사각 종이컵 최종 밀봉 과정에 필요한 절취부분과 종이의 접착을 보인 평면도
도 4의(A)는 사각 종이컵 형태에 이르기 이전 단계에서 실행되는 1차 접기로 종이 접기 가공 선에 맞추어 종이 접기(2분의1)를 보인 사시도
도 4의(B)는 1차 종이 접기 과정 후에 열(熱) 접착을 위해 접힌 종이를 다시 펴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5의(A)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종이컵의 완전한 형태를 위한 성형(成形)작업으로 2차 사각 종이컵 안쪽 테두리 접착과 3차 사각 종이컵 개봉 손잡이 접착을 보인 사시도
도 5의(B)는 본 발명에 따른 3차 접착이 끝난 단계로 사각 종이컵의 완전한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의(A)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종이컵의 완전한 형태가 이루어진 종이컵을 2차 마무리 종이 접기(3분의2) 작업 후에 내용물을 넣는 단계를 보인 사시도
도 6의(B)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종이컵에 커피, 차(茶)등을 넣은 상태에서 절취부분의 최종 4차 접착과정이 끝난 상태의 마지막 단계를 보인 사시도
도 7의(A)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차(茶)등의 내용물이 삽입된 사각 종이컵을 사용자가 구입하여 절취부분을 손으로 잡고 절단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7의(B)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종이컵의 절취부분이 절단된 후 개봉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고 개봉 손잡이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겨 완전히 개봉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사각 종이컵 형태로 조립되기 위해 십(+)자 모양으로 재단된 종이
2: 사각 종이컵의 바깥쪽 (내용물 인쇄면)
3: 사각 종이컵의 안쪽 (PE 코팅 면)
4: 종이컵 접기 가공선 (프레스 가압 가공선)
5: 종이컵 미끄럼 방지 손잡이 (컬링 부분:Curling)
6: 종이컵 상단 절취 부분(절취선 포함)
7: 사각 종이컵 안쪽 면 테두리 접착 부분
8: 조립 완성된 사각 종이컵
9: 사각 종이컵 개봉 손잡이 (개봉 방향 화살표 포함)
10: 사각 종이컵 개봉시 사용자의 손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피, 차(茶)등의 내용물을 넣어 포장된 종이컵 (도6의B)을 사용자가 여행, 레저활동, 기타 용도에서 사용 시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고, 상기 사각 종이컵(8)은 종이컵을 완전 개봉하면 사각형 컵(도7의B)이 되므로 종이컵 안에 삽입된 내용물에 물만 부어 사용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의(A)는 롤지(Roll Paper:천연 펄프)에 방수방습 (防水防濕)을 위해 PE 코팅(Coating)을 한 종이 (일반적인 일회용 종이컵 재질)를 절취부분(6)과 개봉손잡이(9)를 부착하지 않은 상태의 사각 종이컵의 모양(도5의A)을 만들기 위한 첫 번째 작업 과정인 재단 작업으로 도1(A)의 십(+)자 모양으로 재단기 (Cutter)로 절단작업 후에 종이의 PE 코팅이 되지 않은 컵의 바깥쪽 면에 사각 종이컵 안에 포장될 내용물의 인쇄를 하는 단계이다.
도1의(B)는 도1의(A)에서 재단된 종이의 안쪽(3)면으로 PE코팅이 되어 있어 포장된 내용물을 물과 습기로부터 보호한다.
도2의(A)는 도1(A)에서 재단된 종이(1)를 사각종이컵의 모양으로 접기 위한 프레스(Press) 가압(加壓) 작업으로 도4(A)의 종이 접기(2분의1)와 전체적인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작업으로 종이 접기선(4)에 맞추어 종이(1) 두께의 절반을 눌러 주는 1차 프레스 가압 작업으로 종이 접기선(4)가 틀어질 경우에는 사각 종이컵의 모양이 틀어지는 경우가 생기는 작업으로 포장용 사각종이컵의 제작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작업이다.
도2의(B)는 종이(1)의 재단과 1차 프레스 가압 작업의 다음 단계로 사각 종이컵이 도7의(B)처럼 사용자가 사각종이컵(8)을 개봉 손잡이(9)를 양손(10)으로 잡고 개봉하여 물을 부어 마실 경우 사각 종이컵(8)과 사용자의 손(10)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 단계로 미끄럼 방지손잡이 부분을 제작하기 위해 종이를 둥글게 마는 컬링(Curling)작업을 하여 미끄럼 방지는 물론 사각 종이컵이 도7의(B)처럼 개봉되었을 때 컵 상단 사각형을 사방 전체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컬링 작업은 기존의 일회용 종이컵과 같은 방식으로 실행된다.
도3은 사각종이컵에 커피, 차(茶)등의 내용물을 넣고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도2의(B)의 미끄럼 방지손잡이 컬링(5) 작업 후에 종이컵 절취부분(6)을 도1(A)의 십(+)자 모양으로 재단된 종이(1)에 절취부분(6)을 1차 접착하는 단계로서 도6의(A)의 단계에서 커피, 차(茶)등의 내용물을 넣고 절취부분(6)을 접착하면 내용물이 완전히 밀봉된 도6(B)의 모습을 갖추며 개봉시 도7(A)처럼 사용자가 절취부분(6)을 잡아 당겨 절취부분을 절단해 내기 위한 과정을 위해 절취부분만을 도1의(A)의 종이에 1차 접착한다.
도4의(A)는 사각 종이컵에 커피, 차(茶)등의 내용물을 넣는 단계인 도6의(A)와 도6의B 밀봉 단계에서 부피를 줄이기 위한 작업으로 도2의(A)에서 1차 프레스 가압 작업으로 인해 생긴 종이 접기 가공선(4)을 이용해 1차 종이 접기 (2분의1) 접기 작업을 하여 2차 접기인 도6의(A)에서 좀더 용이하게 접힘이 있고 도6의(B)의 완성된 포장용 사각 종이컵을 박스로 포장할 때 포장부피를 줄일 수 있게 하는 1차 종이 접기 작업이다.
도4의(B)는 도4(A)에서 절반 접힌 종이를 열(熱)접착 성형(成形)기로 들어가기 위해 다시 펼치는 단계로서 도4의(A)에서 1차로 종이가 접힌 관계로 인해 도1의(A)처럼 완전한 평면으로 펴지지 않는 상태로 열 접착 성형기에 들어가는 과정으로 도4의(A)의 상태로는 2차 사각 종이컵 안쪽 테두리(7) 접착을 할 수 없어 다시 펼치는 단계이다.
도5의(A)는 사각 종이컵의 방수방습과 밀봉을 위한 2차 접착으로 도4의(B) 모습으로 펼쳐진 종이를 열 접착성형기로 접착하는 단계로 이 단계에서 사각 종이컵의 안쪽 테두리(7)를 접착하므로 사각 종이컵(8)의 모습이 드러나며 2차 접착(7) 후에 개봉손잡이(9) 2개를 사각 종이컵 좌우 측에 각각 부착하는 3차 접착(9)을 하므로 해서 완전한 사각 종이컵 도5의(B) 모습이 된다.
도5의(B)는 커피, 차(茶)등을 포장할 수 있는 직사각형 형태의 컵(8)이 되며 내용물을 넣기 전에 컵의 형태 및 광고 인쇄상태 1,2,3차 접착 상태 등을 검사하는 단계이다.
도6의(A)는 불량 상태 검사를 통과한 사각 종이컵(8)을 2차 접기(3분의2)로 접기하고 접기 단계가 끝난 종이컵에 커피, 차(茶)등의 내용물을 넣고 종이컵의 상단인 절취부분(6)을 4차 접착하므로 도6의(B)와 같은 모양의 내용물이 삽입된 포장용 사각 종이컵 완제품이 되는 것이다.
도6의(B)는 커피, 차(茶)등의 내용물이 구분되어 포장된 포장용 사각종이컵의 완제품 사시도로서 종이컵으로도 포장을 할 수 있다.
도7의(A)는 도6의(B)의 포장용 사각 종이컵(8)으로 제작된 커피, 차(茶)등을 사용자가 구입하여 개봉하는 방법으로 절취 부분(6)을 손으로 잡아당기면 절취선을 따라 절취부분이 절단되어 종이컵 개봉이 시작된다.
도7의(B)는 도7(A)에서 종이컵 절단부위(6)가 절단되면 사용자는 양손(10)으로 개봉손잡이(9)를 개봉손잡이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포장된 내용물이 보이므로 사각 종이컵(8)에 물을 붓고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 컵을 잡고 내용물을 마시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각 종이컵(8)에 커피, 차(茶)등의 내용물을 포장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종이 롤지 코팅에서 내용물삽입(도6의A),절취부분(6)의 접착(도6의B)까지 12단계의 공정으로 제작된 사각 종이컵이다. 일반적인 야외활동 레저 취미활동으로 일회용품 휴대 사용시 종이컵과 커피,차(茶)등 이중 휴대를 하므로 인해 커피, 차(茶)등의 일회용 포장지와 원형 일회용 종이컵 두 가지 쓰레기가 발생되는데 포장겸용 사각 종이컵 제작 사용 시에는 사각 종이컵의 바깥쪽(2)면에 내용물에 해당되는 광고를 도1(A)과정에서 종이컵 바깥쪽 면에 인쇄할 수 있어 내용물을 포장하는 플라스틱 포장지가 없어지므로 포장지 부분에서 발생되는 포장지 쓰레기를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커피, 차(茶)등의 내용물을 사각 종이컵(8)을 이용 삽입 포장함에 있어서, 상기 사각 종이컵(8)에 절취 부분(6)을 부착하여 내용물을 포장 할 수 있고 사각 종이컵 개봉 시 절취부분(6)이 절단 된 후 개봉 손잡이 (9)를 양손으로(10)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겨 개봉하는 것과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겸용 사각 종이컵
KR1020000015384A 2000-03-25 2000-03-25 포장겸용 사각 종이컵 KR20010039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384A KR20010039550A (ko) 2000-03-25 2000-03-25 포장겸용 사각 종이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384A KR20010039550A (ko) 2000-03-25 2000-03-25 포장겸용 사각 종이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814U Division KR200194427Y1 (ko) 1999-10-21 1999-10-21 포장겸용 사각 종이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550A true KR20010039550A (ko) 2001-05-15

Family

ID=1965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384A KR20010039550A (ko) 2000-03-25 2000-03-25 포장겸용 사각 종이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95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286B1 (ko) * 2000-11-07 2003-10-22 현진제업 주식회사 절첩식 포장겸용 음료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258U (ko) * 1987-06-23 1989-03-02 최돈균 절첩식컵
KR890006230Y1 (ko) * 1986-10-24 1989-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겸용 tv수상기의 모우드 절환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230Y1 (ko) * 1986-10-24 1989-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겸용 tv수상기의 모우드 절환회로
KR890000258U (ko) * 1987-06-23 1989-03-02 최돈균 절첩식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286B1 (ko) * 2000-11-07 2003-10-22 현진제업 주식회사 절첩식 포장겸용 음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7988A (en) Soft pack for paper tissues
ID30080A (id) Aplikator kemasan terpadu
US20080010945A1 (en) Handle assembly for packages and method of making same
ITBO20150185A1 (it) Pacchetto di articoli da fumo.
US20080203142A1 (en) Powder-Tight Packaging
KR200194427Y1 (ko) 포장겸용 사각 종이컵
US5243807A (en) Package, in particular for product samples, blank for same and method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rticles
KR20010039550A (ko) 포장겸용 사각 종이컵
ATE273870T1 (de) Teebeutel
TR199801789A3 (tr) Dökülebilir malzemeler için ambalaj.
US3635393A (en) Overwrapped dispensing carton
JP2004189237A (ja) 容器
US1533413A (en) Cigarette container
JP3241394U (ja) サンドイッチ包装用袋および包装サンドイッチ
CN107161531A (zh) 一种卷烟包装结构
CN208360903U (zh) 一种湿纸巾包装体
KR200206832Y1 (ko) 개봉이 용이한 포장용기의 종이재 뚜껑
JP2009091018A (ja) 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55469A (ja) たばこ等のパッケージ
KR200373935Y1 (ko) 샌드위치 포장용 필름
JPH05505164A (ja) 引き裂きひもオープナーを備えた食品包装
CN107284850A (zh) 一种香烟包装结构
CA2329030C (en) A composite packaging material having a base layer of paper and an attached tubular sleeve envelope of plastic material, particularly for food products
FR2658482B1 (fr) Emballage en carton, carton ondule ou autre materiau en feuille convenablement decoupe et plie, a couvercle equipe d'une poignee et refermable, et flan(s) correspondant(s).
KR200269622Y1 (ko) 담배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