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8485A - 피엔엔아이에서 노드 축약 방법 - Google Patents

피엔엔아이에서 노드 축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8485A
KR20010038485A KR1019990046460A KR19990046460A KR20010038485A KR 20010038485 A KR20010038485 A KR 20010038485A KR 1019990046460 A KR1019990046460 A KR 1019990046460A KR 19990046460 A KR19990046460 A KR 19990046460A KR 20010038485 A KR20010038485 A KR 20010038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value
attribute
metric
ex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46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8485A/ko
Publication of KR20010038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4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4Interdomain routing, e.g. hierarchical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6Shortest path evaluation minimising geographical or physical path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04L45/245Link aggregation, e.g. tru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NNI(Private Network to Node Interface)에서 노드 축약(Node Aggregation)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PNNI에서 복합 노드 레프리젠테이션(Complex Node Representation)을 이용하여 노드 정보를 축약하도록 한 PNNI에서 노드 축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동배 그룹 내의 가장 자리 노드를 검색하여 상위 레벨에서 내부 링크로 반영되는 가장 자리 노드를 복합 노드의 포트(Port)로 정의하는 과정과; 상기 각 포트의 상태를 정의하는 파라메터(Parameter)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파라메터에 대하여 레이디어스(Radius), 익셉션(Exception) 및 바이패스(By-pass)를 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레이디어스, 익셉션 및 바이패스를 명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엔엔아이에서 노드 축약 방법 {Method of Aggregating Node in the PNNI}
본 발명은 PNNI에서 노드 축약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PNNI에서 복합 노드 레프리젠테이션을 이용하여 노드 정보를 축약하도록 한 PNNI에서 노드 축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NNI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포럼(Forum)에서 1996년에 표준안으로 제시한 사설 망에서의 NNI 프로토콜(Protocol)로써, 동적인 라우팅(Routing)을 지원하기 위하여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때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의 범위를 줄이기 위해서 계층적인 라우팅(Hierarchical Routing)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해당 계층적인 라우팅이란 라우팅에 참여한 교환기들을 일정한 그룹(Group)으로 묶어서 정보의 전달 범위를 감소시키고 각 그룹 내의 정보를 축약하여 그룹간의 정보 교환 시에 정보의 양을 감소시키는 라우팅 방법을 말한다.
그리고, 노드 내의 정보를 축약하는 방법은 표준화되어 있지 않으며, 단지 그 표현 방법에 대해서만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는데, 해당 표현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는 크게 단순 노드 레프리젠테이션(Simple Node Representation)과 복합 노드 레프리젠테이션이 있다.
이 때, 상기 단순 노드 레프리젠테이션은 그룹 노드의 정보를 하나의 점으로 나타내고 해당 그룹 노드 내의 상세한 정보를 보여주지 않는 방법으로 극단적인 축약 방법이며, 상기 복합 노드 레프리젠테이션은 그룹 노드 내의 정보를 기본적으로 그룹 노드의 중심인 뉴클리어스(Nucleus)와 반지름인 레이디어스(Radius)로 나누어서 표현하여 축약하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 복합 노드 레프리젠테이션은 잘 알려진 노드 정보의 표현 방법이지만, 어떻게 축약할 지에 대한 방법은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한편, 상기 PNNI에서는 노드 정보를 축약하는데, 여기서 해당 노드 축약이라는 것은 하나의 동배 그룹(Peer Group)을 논리적 그룹 노드(Logical Group Node; LGN)로 표현할 경우에 동배 그룹 내의 노드와 링크(Link)들을 축약하는 과정을 말한다. 그런데, 종래의 교환기는 대부분 상기 단순 노드 레프리젠테이션을 사용하였으며, 그 축약 방법은 모두 동일한데, 하나의 점으로 그 특성 값은 표현하지 않으므로 축약이라기 보다는 정보의 은폐에 가까운 축약 방법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교환기들은 동배 그룹 내의 노드와 링크를 하나의 점(또는 노드)으로 표현하여 단순화시키는 데에 있어 구현하기 쉬운 이유로 단순 노드 레프리젠테이션을 사용함으로써, 동배 그룹 내의 많은 노드와 링크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며, 이에 루트(Route)를 선택할 때에 실패할 확률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PNNI 망에서 동배 그룹 내의 노드와 링크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복합 노드 레프리젠테이션을 이용하여 노드 정보를 축약해 줌으로써, PNNI 망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연결의 경로 선택 시에 실패할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NNI(Private Network to Node Interface) 망에서 복합 노드 레프리젠테이션(Complex Node Representation)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 어트리뷰트(Attribute)인 경우에 노드 축약(Node Aggregation)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도 1에 있어 메트릭(Metric)인 경우에 노드 축약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NNI에서 노드 축약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D : 노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NNI에서 노드 축약 방법은 동배 그룹 내의 가장 자리 노드를 검색하여 상위 레벨에서 내부 링크로 반영되는 가장 자리 노드를 복합 노드의 포트로 정의하는 과정과; 상기 각 포트의 상태를 정의하는 파라메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파라메터에 대하여 레이디어스, 익셉션 및 바이패스를 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레이디어스, 익셉션 및 바이패스 정의 과정은 상기 확인된 파라메터가 어트리뷰트인 경우에 두 포트간의 모든 경로 코스트(Cost) 중에서 가장 좋은 값을 선택하는 단계와; 모든 포트간에 선택된 값 중에서 가장 좋지 않은 값을 해당 노드에 대한 어트리뷰트의 레이디어스로 정하는 단계와; 특정 포트간의 어트리뷰트 값이 상기 어트리뷰트의 레이디어스를 기준치보다 벗어나는지를 검색하여 익셉션으로 정하는 단계와; 특정 포트간의 직접 연결된 링크의 어트리뷰트 값이 상기 어트리뷰트의 레이디어스보다 기준치 이상인지를 확인하여 바이패스로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상기 레이디어스, 익셉션 및 바이패스 정의 과정은 상기 확인된 파라메터가 메트릭인 경우에 두 포트간의 모든 경로 코스트 중의 평균값을 선택하는 단계와; 모든 포트간에 선택된 값 중에서 가장 좋지 않은 값을 해당 노드에 대한 메트릭의 레이디어스로 정하는 단계와; 특정 포트간의 메트릭 값이 상기 메트릭의 레이디어스를 기준치보다 벗어나는지를 검색하여 익셉션으로 정하는 단계와; 특정 포트간의 직접 연결된 링크의 메트릭 값이 상기 메트릭의 레이디어스보다 기준치 이상인지를 확인하여 바이패스로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NNI에서 노드 축약 방법은 상기 레이디어스, 익셉션 및 바이패스를 명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레이디어스, 익셉션 및 바이패스 명시 과정은 복합 노드의 가상 중심과의 기본적인 거리를 레이디어스로 명시하는 단계와; 포트간에 익셉션과 바이패스가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에 바이패스를 명시하는 단계와; 포트간에 익셉션만 적용되는 경우에 두 포트 중에 하나의 포트를 선택해 복합 노드의 가상 중심과의 익셉션으로 명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NNI 망에서 복합 노드 레프리젠테이션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의 노드 정보를 레이디어스, 익셉션(Exception) 및 바이패스(By-pass)로 축약해서 표현하는 방법으로, (가)는 PNNI 망에서 실제 동배 그룹 내의 노드들을 나타내고 있으며, (나)는 해당 동배 그룹을 LGN으로 표현한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해당 레이디어스이란 복합 노드(Complex Node)의 가상의 중심인 뉴글리어스까지의 특성 값을 말하고 해당 특성 값은 노드의 특성을 대표적으로 표현하는 값이며, 해당 특성 값과는 다른 특성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다른 특성을 해당 익셉션으로 표현하며, 포트(Port)와 포트간의 직접적인 연결이 있고 해당 특성 값이 대표 값과 상이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바이패스로 표현해 준다.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해당 대표 값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것은 각 교환기마다 다르게 적용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NNI 망에서 복합 노드 레프리젠테이션을 이용한 노드 축약 방법은 레이디어스, 익셉션 및 바이패스를 구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노드의 상태를 정의하는 파라메터(Parameter)는 어트리뷰트와 메트릭이 있는데, 해당 어트리뷰트는 링크 또는 노드에서 각각 호를 설정할 경우에 의미가 있는 값이고 해당 메트릭은 전체 링크와 노드에서 합을 수행하는 경우에 의미가 있는 값을 말한다. 예로, 대표적인 어트리뷰트는 대역폭(Bandwidth)이고 대표적인 메트릭은 지연(Delay)이다.
먼저, 동배 그룹 내의 가장 자리 노드(Border Node)를 검색해 내며, 해당 가장 자리 노드들 중에서 상위 레벨에서 내부 링크(Horizontal Link 또는 Inside Link)로 반영되는 가장 자리 노드들을 복합 노드의 포트로 정의해 준다. 여기서, 모든 외부 링크(Outside Link)가 상위 레벨의 내부 링크로 생성된다고 가정하면, 모든 가장 자리 노드는 복합 노드의 포트로써 존재하게 된다.
한편, 레이디어스, 익셉션 및 바이패스는 다음과 같이 정해지는데, 어트리뷰트인 경우와 메트릭인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여기서, 최소 값이란 가장 좋지 않은 값을 말하며, 최대 값이란 가장 좋은 값을 말한다.
첫 번째로, 도 2를 참고하여 어트리뷰트(어트리뷰트 대역폭)인 경우에 노드 정보를 축약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포트별 어트리뷰트의 최대 값(즉, 좋은 의미에서)들의 최소 값(즉, 나쁜 의미에서)을 레이디어스로 정하는데, 예로 'A'와 'B' 노드간의 레이디어스는 100이고 'A'와 'C' 노드간의 레이디어스는 200이고 'A'와 'D' 노드간의 레이디어스는 200이고 'B'와 'C' 노드간의 레이디어스는 100이고 'B'와 'D' 노드간의 레이디어스는 100이고 'C'와 'D' 노드간의 레이디어스는 200이므로, 어트리뷰트 대역폭에 대한 노드의 레이디어스를 100으로 정한다.
그리고, 해당 레이디어스에 대하여 포트별로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는 값을 익셉션으로 정의하는데, 예로 사용자의 바운더리(Boundary)를 50으로 했을 경우에 'A'와 'C' 노드, 'A'와 'D' 노드 및 'C'와 'D' 노드를 익셉션으로 정의한다.
이 때, 좋은 의미에 있어서 범위를 많이 벗어나면서 포트와 포트간의 직접적인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를 확인하여 바이패스로 정의해 주는데, 예로 'A'와 'D' 노드를 바이패스로 정의해 준다.
두 번째로, 도 3을 참고하여 메트릭(메트릭 지연)인 경우에 노드 정보를 축약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포트별 메트릭의 평균 값 중에서 최소 값을 다이애미터(Diameter)로 정하며, 해당 다이애미터의 값을 반으로 나누고 해당 나눈 값을 레이디어스로 정하는데, 예로 'A'와 'B' 노드간의 레이디어스는 26이고 'A'와 'C' 노드간의 레이디어스는 19이고 'A'와 'D' 노드간의 레이디어스는 22이고 'B'와 'C' 노드간의 레이디어스는 25이고 'B'와 'D' 노드간의 레이디어스는 28이고 'C'와 'D' 노드간의 레이디어스는 18이므로, 메트릭 지연에 대한 노드의 레이디어스를 28로 정한다.
그리고, 해당 레이디어스에 대하여 포트별로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는 값을 익셉션으로 정의하는데, 예로 사용자의 바운더리를 40으로 했을 경우에 'A'와 'C' 노드 및 'C'와 'D' 노드를 익셉션으로 정의한다.
이 때, 좋은 의미에 있어서 범위를 많이 벗어나면서 포트와 포트간의 직접적인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를 확인하여 바이패스로 정의해 주는데, 예로 'A'와 'D' 노드를 바이패스로 정의해 준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NNI에서 노드 축약 방법을 도 4의 플로우챠트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노드 내부의 토폴로지 데이터베이스(Topology Database)에서 업링크(Up-link)가 존재하는 노드를 포트로 정의해 주는데, 즉 동배 그룹 내의 가장 자리 노드를 검색하고 해당 가장 자리 노드들 중에서 상위 레벨에서 내부 링크로 반영되는 가장 자리 노드들을 복합 노드의 포트로 정의해 준다(단계 S1).
이 때, 베스트 함수(Best Function)란 베스트 케이스(Best Case)의 값을 선택하는데, 예를 들어 대역폭의 경우에 대역이 가장 큰 값을 선택하고 지연의 경우에 가장 작은 값을 선택한다. 그리고, 워스트 함수(Worst Function)란 워스트 케이스(Worst Case)의 값을 선택하는데, 예를 들어 대역폭의 경우에 대역이 가장 작은 값을 선택하고 지연의 경우에 가장 큰 값을 선택한다.
그런 후에, 각 포트의 상태를 정의하는 파라메터가 어트리뷰트인지를 확인하는데(단계 S2), 이때 해당 제2단계(S2)에서 파라메터가 어트리뷰트인 경우에는 두 포트간의 모든 경로 코스트(Path Cost), 즉 경로 링크 중 가장 작은 어트리뷰트 값 중에서 가장 좋은 값을 베스트 함수를 이용하여 선택하며(단계 S3), 워스트 함수를 이용하여 모든 포트간에 선택된 값 중에서 가장 좋지 않은 값을 해당 노드의 어트리뷰트의 레이디어스로 정한다(단계 S4).
이에, 특정 포트간의 어트리뷰트 값이 상기 노드의 어트리뷰트의 레이디어스를 기준치보다 벗어나는지를 검색하여 익셉션으로 정의하는데, 즉 사용자의 바운더리를 일정 값으로 했을 경우에 상기 노드의 어트리뷰트의 레이디어스에 대하여 포트별로 일정 값을 벗어나는 값을 익셉션으로 정의해 준다(단계 S5).
이에 따라, 특정 포트간의 직접 연결된 링크의 어트리뷰트 값이 상기 노드의 어트리뷰트의 레이디어스보다 기준치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경우를 확인하여 바이패스로 정의해 주는데, 좋은 의미에 있어서 범위를 많이 벗어나면서 특정 포트간의 직접적인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를 확인하여 바이패스로 정의해 준다(단계 S6).
반면에, 상기 제2단계(S2)에서 파라메터가 어트리뷰트가 아닌 경우에 해당 파라메터가 메트릭인지를 확인하는데(단계 S7), 이때 해당 제7단계(S7)에서 파라메터가 메트릭인 경우에는 두 포트간의 모든 경로 코스트, 즉 경로 링크에 해당하는 메트릭 합의 반들을 평균한 값을 선택하며(단계 S8), 워스트 함수를 이용하여 모든 포트간에 선택된 값 중에서 가장 좋지 않은 값을 해당 노드의 메트릭의 레이디어스로 정한다(단계 S9).
이에, 특정 포트간의 메트릭 값이 상기 노드의 메트릭의 레이디어스를 기준치보다 벗어나는지를 검색하여 익셉션으로 정의하는데, 즉 사용자의 바운더리를 일정 값으로 했을 경우에 상기 노드의 메트릭의 레이디어스에 대하여 포트별로 일정 값을 벗어나는 값을 익셉션으로 정의해 준다(단계 S10).
이에 따라, 특정 포트간의 직접 연결된 링크의 메트릭 값이 상기 노드의 메트릭의 레이디어스보다 기준치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경우를 확인하여 바이패스로 정의해 주는데, 좋은 의미에 있어서 범위를 많이 벗어나면서 특정 포트간의 직접적인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를 확인하여 바이패스로 정의해 준다(단계 S11).
그런 후에, 상기에서 구한 레이디어스, 익셉션 및 바이패스를 명시해 주는데, 즉 레이디어스는 복합 노드의 가상 중심인 뉴클리어스와의 기본적인 거리를 나타내며, 두 개의 포트에 대하여 익셉션과 바이패스가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바이패스를 명시해 주며, 익셉션만 정의된 경우에는 두 포트 중에 하나의 포트를 선택하여 뉴클리어스와의 익셉션으로 명시해 준다(단계 S1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PNNI 망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연결의 경로 선택 시에 실패할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동배 그룹 내의 가장 자리 노드를 검색하여 상위 레벨에서 내부 링크로 반영되는 가장 자리 노드를 복합 노드의 포트로 정의하는 과정과;
    상기 각 포트의 상태를 정의하는 파라메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파라메터에 대하여 레이디어스, 익셉션 및 바이패스를 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엔엔아이에서 노드 축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디어스, 익셉션 및 바이패스 정의 과정은 상기 확인된 파라메터가 어트리뷰트인 경우에 두 포트간의 모든 경로 코스트 중에서 가장 좋은 값을 선택하는 단계와;
    모든 포트간에 선택된 값 중에서 가장 좋지 않은 값을 해당 노드에 대한 어트리뷰트의 레이디어스로 정하는 단계와;
    특정 포트간의 어트리뷰트 값이 상기 어트리뷰트의 레이디어스를 기준치보다 벗어나는지를 검색하여 익셉션으로 정하는 단계와;
    특정 포트간의 직접 연결된 링크의 어트리뷰트 값이 상기 어트리뷰트의 레이디어스보다 기준치 이상인지를 확인하여 바이패스로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엔엔아이에서 노드 축약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디어스, 익셉션 및 바이패스 정의 과정은 상기 확인된 파라메터가 메트릭인 경우에 두 포트간의 모든 경로 코스트 중의 평균값을 선택하는 단계와;
    모든 포트간에 선택된 값 중에서 가장 좋지 않은 값을 해당 노드에 대한 메트릭의 레이디어스로 정하는 단계와;
    특정 포트간의 메트릭 값이 상기 메트릭의 레이디어스를 기준치보다 벗어나는지를 검색하여 익셉션으로 정하는 단계와;
    특정 포트간의 직접 연결된 링크의 메트릭 값이 상기 메트릭의 레이디어스보다 기준치 이상인지를 확인하여 바이패스로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엔엔아이에서 노드 축약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디어스, 익셉션 및 바이패스를 명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엔엔아이에서 노드 축약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디어스, 익셉션 및 바이패스 명시 과정은 복합 노드의 가상 중심과의 기본적인 거리를 레이디어스로 명시하는 단계와;
    포트간에 익셉션과 바이패스가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에 바이패스를 명시하는 단계와;
    포트간에 익셉션만 적용되는 경우에 두 포트 중에 하나의 포트를 선택해 복합 노드의 가상 중심과의 익셉션으로 명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엔엔아이에서 노드 축약 방법.
KR1019990046460A 1999-10-25 1999-10-25 피엔엔아이에서 노드 축약 방법 KR20010038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460A KR20010038485A (ko) 1999-10-25 1999-10-25 피엔엔아이에서 노드 축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460A KR20010038485A (ko) 1999-10-25 1999-10-25 피엔엔아이에서 노드 축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485A true KR20010038485A (ko) 2001-05-15

Family

ID=19616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460A KR20010038485A (ko) 1999-10-25 1999-10-25 피엔엔아이에서 노드 축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84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5085B2 (en) 2001-10-24 2006-06-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summarizing default address of PNNI lowest level node in ATM switch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5085B2 (en) 2001-10-24 2006-06-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summarizing default address of PNNI lowest level node in ATM switch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9904B2 (en) Link inference in large networks based on incomplete data
US5884043A (en) Conversion technique for routing frames in a source route bridge network
US6333918B1 (en) Method of forming routing data
US7787466B1 (en) Nexthop to a forwarding table
Lui et al. STAR: a transparent spanning tree bridge protocol with alternate routing
JPH0685819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CN102945249B (zh) 一种策略规则匹配查询树生成方法、匹配方法及装置
EP0980191A1 (en) PNNI topology abstraction
US7349427B1 (en) Rou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sing auto-tunnelling in a heterogeneous network
KR100674086B1 (ko) 이더넷 망에서의 토폴로지 발견 방법
CN110932906A (zh) 基于snmp技术的数据中心网络拓朴结构发现方法及其拓朴结构发现系统
KR100408649B1 (ko) 에이티엠 교환시스템의 피엔엔아이 최하위 레벨 노드의디폴트 주소 요약 방법
Iliadis Optimal PNNI complex node representations for restrictive costs and minimal path computation time
JP2008167464A (ja) Tlvに基づいたリンク状態のパケットの処理方法及び装置
Zhang et al. Faster algorithms for construction of recovery trees enhancing QoP and QoS
US5987520A (en) Closed user group preprocessing decision for efficient call security validation
KR20010038485A (ko) 피엔엔아이에서 노드 축약 방법
EP10188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information packets with addresses represented through numerical strings
Cisco Routing ISO CLNS
Cisco Routing ISO CLNS
Cisco Routing ISO CLNS
Cisco Routing ISO CLNS
Cisco Routing ISO CLNS
Cisco Routing ISO CLNS
Cisco Routing ISO CL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