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8232A -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8232A
KR20010038232A KR1019990046125A KR19990046125A KR20010038232A KR 20010038232 A KR20010038232 A KR 20010038232A KR 1019990046125 A KR1019990046125 A KR 1019990046125A KR 19990046125 A KR19990046125 A KR 19990046125A KR 20010038232 A KR20010038232 A KR 20010038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ine
interphone
telephone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종
정범진
이재수
최대길
Original Assignee
이기원
주식회사 젤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원, 주식회사 젤라인 filed Critical 이기원
Priority to KR1019990046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8232A/ko
Priority to KR2019990022926U priority patent/KR200175337Y1/ko
Publication of KR20010038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23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6Circuits for coupling, blocking, or by-passing of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6Combination of signalling, telemetering,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5Audio/video application, e.g. inter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83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coupl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전화선/인터폰선과 전력선을 이용하여 경제적인 설비 비용으로 밀집형 주택등의 수용가에 신뢰성있는 고속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선을 통해 상기 특정 지역까지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를 고주파 변조하여 상기 특정 지역내의 각 수용가와 연결된 전화선/인터폰선으로 각각 분산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각 전화선/인터폰 선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분리하여 각 수용가의 전력선에 커플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선에 커플링된 데이터를 수신 및 복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선을 통해 상기 특정 지역까지 전달된 데이터 신호를 고주파 변조하여 상기 특정 지역내의 각 수용가와 연결된 전화선/인터폰선(16)으로 각각 분산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분산 처리부(5)와, 상기 각 전화선/인터폰선(6)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및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데이터를 각 수용가의 전력선(8)에 커플링하고, 상기 음성 신호를 전화기/인터폰(11)으로 공급하는 커플링부(7) 및, 상기 전력선(8)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선(8)에 커플링된 데이터를 복조하여 상기 단말기(10)로 제공하는 전력선 모뎀(9)으로 구성된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WIRED COMMUNICATION DATA SIGNAL}
본 발명은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청 지역이나 밀집형 주택내의 각 수용가의 인입선과 전력선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의 구축을 위해서 고속 인터넷 및 통신 서비스가 모든 수용가로 확산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고속 통신망의 확충도 필요하나, 이와 병행하여 통신 데이터를 각 수용가까지 연결하기 위한, 광 통신과 같은 고속의 통신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광 통신선을 각 가정까지 연결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시설 투자가 요구되므로, 기존에 있는 통신선, 즉, 전화선 및 케이블 TV선 등을 이용한 고속 통신 방법이 대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최근 정보통신 사업의 자유화에 따라 전화 사업자 및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Internet Service Provider:ISP)들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으며, 각 수용가까지의 가입자 망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과 같은 밀집형 주택 중에서는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 구내 통신선 공사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TV선을 통한 인터넷 서비스의 경우 하나의 케이블 TV 선을 이용하여 여러 가구에서 TV 를 시청할 경우에는 케이블선의 품질이 저하되어 안정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지역을 공청 지역이라고 하는데, 이 공청 현상은 케이블 TV와 같이 하향으로의 신호 전달시 트리(tree)형 구조의 케이블 배선이 된 경우에 발생하며 주로 건축된지 오래된 밀집형 주택이 공청 지역에 해당된다. 따라서 공청 지역의 경우에는 트리형 구조를 링(ring)형 구조로 변경해야 되므로 이를 위한 장치 및 배선 공사 변경 등의 추가 작업이 요구된다.
도 5는 종래의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에서와 같이, 공청 지역의 밀집 주택에 유선통식 방식의 고속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현재까지는 별도의 통신 케이블을 포설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은 케이블 포설을 벽 내부로 할 경우에는 많은 비용이 요구되므로, 서비스 사업자 및 수용가 측에 큰 부담이 된다. 간단한 방법으로는 건물 외벽을 따라 케이블 선을 연결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아파트의 경우에는 아파트 외벽을 따라 케이블이 연결될 경우 미관상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게 되며, 아파트 외벽에서 수용가 내로 케이블선을 인입할 경우에도 창문 틈을 주로 이용하므로 수용가에 불편을 주게 된다. 이러한 불편은 다세대 주택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또한, 동일 건물내의 다른 수용가에서 서비스를 요청할 때에 추가 포설 공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케이블선은 비교적 굵은 동축 케이블이므로 수용가내 다른 위치에서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케이블선을 구내에 추가 공사해야 한다는 불편이 따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밀집 수용가 지역을 주 대상으로 기존에 설치된 수용가 인입선(전화선 및 인터폰선)과 전력선을 그대로 사용하여 별도의 선로 공사없이 수용가까지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통신선을 통해 상기 특정 지역까지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를 고주파 변조하여 상기 특정 지역내의 각 수용가와 연결된 전화선/인터폰선으로 각각 분산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각 전화선/인터폰 선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분리하여 각 수용가의 전력선에 커플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선에 커플링된 데이터를 수신 및 복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데이터 통신선을 통해 상기 특정 지역까지 전달된 데이터 신호를 고주파 변조하여 상기 특정 지역내의 각 수용가와 연결된 전화선/인터폰선(16)으로 각각 분산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분산 처리부(5)와, 상기 각 전화선/인터폰선(6)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및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데이터를 각 수용가의 전력선(8)에 커플링하고, 상기 음성 신호를 전화기/인터폰(11)으로 공급하는 커플링부(7) 및, 상기 전력선(8)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선(8)에 커플링된 데이터를 복조하여 단말기(10)로 제공하는 전력선 모뎀(9)으로 구성된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신호 전송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데이터 분산 처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신호 커플링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1의 신호 커플링부에 부설되는 디지털 중계기의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데이터 분산 처리부
7: 커플링부
9: 전력선 모뎀
51, 71: 커플러
52, 73, 74: 단락 방지기
53, 93a, 93b: 증폭기
54: 대역통과 필터
72: 저역통과 필터
90: 디지털 데이터 중계기
94: 디지털 모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화선 및 케이블 TV 정보통신 사업자(이하 정보통신 사업자로 칭함)로부터 통신선(1)을 통해 전송된 정보는 가입자용 고속 모뎀(2)에서 데이터 변환이 이루어진 후, 통상적으로 상기 고속 모뎀(2)의 외부 인터페이스 부분인 이더넷, USB 또는 병렬 포트(3)를 통하여 이와 연결된 데이터 분산 처리부(5)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분산 처리부(5)는 다가구 수용가와의 연결을 위한 분산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고, 가입자 연결을 위하여 중계실(경비실, 관리실 등) 인터폰선과 구내 MDF 박스의 전화선을 이용하여 각 가입자까지 데이터 전송 기능을 행한다.
이 데이터 분산 처리부(5)로부터 인터폰선(6)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 신호는 각 커플링부(7)를 통하여 변환되어 각 가입자의 전력선으로 공급되도록 전력선(8) 데이터망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력선망이 구성되면, 전력선 콘센트에 전력선 모뎀(9)을 연결함으로써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용 고속 모뎀(2)은 정보통신 사업자로부터 케이블 TV, 전화선 등의 통신선(1)을 통해 데이터를 받아 이더넷, USB 또는 병렬 포트 등의 형태로 디지털 데이터 변환을 하고, 변환된 데이터 신호는 통신 선로(3)를 통하여 데이터 분산 처리부(5)로 수신된 후 각 수용가에 전달된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방식에 있어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인입선의 기능 및 성능에는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데, 이는 인입선(전화선, 인터폰선)에 주입되는 음성 주파수 대역은 3Khz이하의 저주파 대역이며,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수 Mhz 대역의 고주파 대역으로써 음성 신호와는 상당한 주파수 차를 두고 전송되므로 상호 신호 간섭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각 수용가의 송수화기(11)로 유입되는 신호는 도 2에서와 같이 저역통과 필터(75)를 거쳐서 전송되므로 음성 주파수 대역외의 고주파 신호는 차단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분산 처리부(5)에 수신된 데이터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변조 방식을 통하여 디지털 변환되어 전화선/인터폰선(6)을 통해 전송된다. 이렇게 전화선/인터폰선(6)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 및 음성 신호는 다시 커플링부(7)에서 분리되어, 음성 신호는 전화기 및 인터폰(11)으로 전달되고, 데이터 신호는 전력선(8) 망에 커플링되어 전력선에 인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분산 처리부(5)는 정보통신 사업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증폭시키는 증폭기(53)와, 수신된 데이터를 전화선/인터폰선(6)에 커플링하는 커플러(51)와, 가입자측에서 수신된 데이터 신호중에서 필요로 하는 대역의 주파수만 추출하여 전달하는 대역통과 필터(54) 및, 단락 방지기(52)를 포함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커플링부(7)가 도시되어 있다. 이 커플링부(7)는 전화선/인터폰선(6)에 유입된 데이터를 전력선(8)과 전화기/인터폰(11)에 분리시키는 장치로서, 유입된 신호에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음성 신호만 전화기/인터폰(8)으로 통과시키는 저역통과 필터(72)와, 전화선/인터폰선(6)에서 전달된 데이터 신호를 전력선으로 전달하는 커플링부(7)와, 단락 방지기(73, 74)를 포함한다. 상기 단락 방지기는 고주파 및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가지므로 본 전송 장치가 보다 안정된 신호 전달 특성을 갖게 해준다.
이때, 전송되는 거리가 상당히 멀어서 신호 손실이 클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중계기(90)를 통해서 신호를 복원하여 전력선에 재전송할 수 있다. 이 디지털 데이터 중계기(90)는 전화선/인터폰선(6)과 전력선(8)에 각각 연결된 송수신 신호 검출기(91a, 91b, 92a, 92b), 신호 증폭기(93a, 93b) 및, 디지털 모뎀(94)으로 구성된다. 재전송의 경우, 중계기(90)로 유입되는 신호의 존재 여부를 캐리어 센스 개념으로 감지하여 복조 로직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 복원을 수행하고, 이를 반대편 채널(인입선에서 전력선, 또는 전력선에서 인입선)로 통신함으로써 통신 지연없이 중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내 전력선(8) 통신망이 구성되면, 콘센트(208)를 이용하여 공청 지역(12)내의 각 수용가의 필요한 위치에서 전력선 모뎀(9)을 연결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복조함으로서 단말기(10)를 통해 고속 인터넷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는 정보통신 사업자가 가지고 있는 수용가 접속에 대한 많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수용가측의 사용 위치에 상관없이 전력 콘센트만 있으면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통신 서비스 외에 홈씨큐리티(Home Security), 원격 검침(AMR:Automatic Meter Reading), 홈오토메이션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도 효과적으로 지원함으로써 고속 데이터 서비스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전화선/인터폰선과 전력선을 이용하여 경제적인 설비 비용으로 밀집형 주택등의 수용가에 신뢰성있는 고속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정보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특정 지역의 각 수용가에 전달하기 위한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에 있어서,
    통신선을 통해 상기 특정 지역까지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변조 및고주파 변조하여 상기 특정 지역내의 각 수용가와 연결된 전화선/인터폰선으로 각각 분산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각 전화선/인터폰 선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분리하여 각 수용가의 전력선에 커플링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선에 커플링된 데이터를 수신 및 복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역은 공청 지역 또는 밀집형 주택 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커플링 단계가 상기 전화선/인터폰선을 통해 전송된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전화기/인터폰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산 전송 단계에서 상기 전화선/인터폰선을 통해 상기 데이터가 분산 전송되는 거리가 멀 경우,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여 상기 전력선에 재전송하는 데이터 중계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5. 정보통신 사업자가 지원하는 전송 장치를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특정 지역의 각 수용가에 전달하기 위한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선을 통해 상기 특정 지역까지 전달된 데이터 신호를 고주파 변조하여 상기 특정 지역내의 각 수용가와 연결된 전화선/인터폰선(16)으로 각각 분산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분산 처리부(5)와;
    상기 각 전화선/인터폰선(6)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및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데이터를 각 수용가의 전력선(8)에 커플링하고, 상기 음성 신호를 전화기/인터폰(11)으로 공급하는 커플링부(7)와;
    상기 전력선(8)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선(8)에 커플링된 데이터를 복조하여 단말기(10)로 제공하는 전력선 모뎀(9)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역이 공청 지역 또는 밀집형 주택 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7)가 상기 전화선/인터폰선(6)에 유입된 신호에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음성 신호만을 상기 전화기/인터폰(8)으로 공급하는 저역통과 필터(72)와;
    상기 전화선/인터폰선(6)에 전달된 데이터를 상기 전력선(8)으로 전달하는 커플링부(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산 처리부(5)가 상기 통신선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신호 증폭하는 증폭기(53)와;
    상기 증폭기(53)에서 증폭된 데이터를 상기 전화선/인터폰선(6)에 커플링하기 위한 커플러(51)와;
    상기 커플러(51)를 통해 상기 수용가측에서 수신된 데이터 신호중에서 필요로 하는 대역의 주파수만 추출하여 전달하는 대역통과 필터(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선/인터폰선(6)을 통해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거리가 멀 경우,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여 상기 전력선(8)에 재전송하는 데이터 중계기(9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장치.
KR1019990046125A 1999-10-22 1999-10-22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10038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125A KR20010038232A (ko) 1999-10-22 1999-10-22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9990022926U KR200175337Y1 (ko) 1999-10-22 1999-10-23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125A KR20010038232A (ko) 1999-10-22 1999-10-22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926U Division KR200175337Y1 (ko) 1999-10-22 1999-10-23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232A true KR20010038232A (ko) 2001-05-15

Family

ID=1961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125A KR20010038232A (ko) 1999-10-22 1999-10-22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82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325B1 (ko) * 2001-12-26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029630B1 (ko) * 2010-12-06 2011-04-14 강주형 광동축망 전원공급기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043026B1 (ko) * 2009-09-21 2011-06-21 한국전기연구원 전력선통신 단말기 모듈의 웨이크 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325B1 (ko) * 2001-12-26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043026B1 (ko) * 2009-09-21 2011-06-21 한국전기연구원 전력선통신 단말기 모듈의 웨이크 업 장치
KR101029630B1 (ko) * 2010-12-06 2011-04-14 강주형 광동축망 전원공급기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7734B1 (en) System and methods for home network communications
US7796025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KR20030019349A (ko) 중간 전압 전력 분배선을 사용한 디지털 통신
CA2339972C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rsion and distribution of incoming wireless telephone signals using the power line
EP10993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US6483903B1 (en) Splitterless ethernet DSL on subscriber loops
JP2002509668A (ja) ツイストペア通信システム
KR100813010B1 (ko) 반이중 방식으로 영상 신호를 송신하고 전이중 방식으로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신호 전송용 모뎀
WO2007064136A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ed in the system
KR100756244B1 (ko) 파워오버이더넷 기반의 랜 중계장치 및 파워오버이더넷하이브리드 중계장치
KR200175337Y1 (ko) 유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신호 전송 장치
KR20010038232A (ko)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618979B1 (ko) 전화선 네트웍킹 기능을 갖는 비대칭 고속 데이터 모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KR200286404Y1 (ko) 공시청망(matv)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용 필터링 장치
KR100499654B1 (ko) 데이터 전송 방식 및 데이터 전송 장치
JP3717366B2 (ja) Catv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649451B1 (ko) 광 동축 혼합망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상기전력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통신 장비
KR100325583B1 (ko) 전화선을 통한 랜 데이터 전송장치
JP4475830B2 (ja) Adsl回線用アダプタ及びadsl回線用アダプタ内蔵回線網制御装置及び集中監視システム
KR100868365B1 (ko) 신호변환장치
KR100687276B1 (ko) 음성급 신호선을 이용한 이더넷 전송장치 및 방법
KR100992197B1 (ko)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모뎀 장비를 이용한 댁내 전화선네트워크 시스템
KR200415373Y1 (ko) 음성급 신호선을 이용한 이더넷 전송장치
WO20010281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imultaneous multi-channel analog communications
KR200197144Y1 (ko) 장거리 인터넷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