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7899A -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7899A
KR20010037899A KR1019990045642A KR19990045642A KR20010037899A KR 20010037899 A KR20010037899 A KR 20010037899A KR 1019990045642 A KR1019990045642 A KR 1019990045642A KR 19990045642 A KR19990045642 A KR 19990045642A KR 20010037899 A KR20010037899 A KR 20010037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upport
mounting member
support member
system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순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45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7899A/ko
Publication of KR20010037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89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는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를 사용하는 컴퓨터시스템에서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의 탈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20) 측에는 장착부재(50)를 장착하고, 이에 대응되는 시스템본체(10)에는 지지부재(40)를 장착하여, 상기 지지부재(40)에 장착부재(50)가 슬라이딩되면서 장착되게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40)와 장착부재(50)에 각각 리셉터클(48)과 플러그(56)를 장착하여 상기 장착부재(40)를 지지부재(40)에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20)와 시스템본체(10) 사이의 전원과 영상신호연결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본체(10)에서 사용되는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20)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 생산에 있어서 적절한 생산량의 제어, 사후서비스시의 신뢰성 등의 측면에서 많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Module mounting apparatus on system}
본 발명은 부가모듈부를 시스템본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가모듈부를 시스템본체에 원터치식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한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시스템본체를 부가모듈부에 장착하는 본 발명을 LCD를 사용한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를 컴퓨터본체에 장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최근에 LCD가 노트북 컴퓨터에서만이 아니라 데스크탑 컴퓨터에서도 저소비전력과 설치공간상의 이점에 따라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일반 CRT모니터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화면이 어둡다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면서 그 사용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를 컴퓨터본체에 장착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시스템본체(1)에 스탠드(3)를 설치하고, 상기 스탠드(3)의 상단부에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5)를 장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5)는 그 설치각도가 조절가능한데, 설치각도의 조절은 상기 스탠드(3)와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5) 사이에 힌지(7)가 구비되어 있음으로 해서 가능하다. 상기 힌지(7)는 상기 스탠드(3) 및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5)에 각각 스크류(s)로 체결된다.
한편, 상기 시스템본체(1)와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5) 사이의 영상신호 및 전원의 전달은 케이블(c)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케이블(c)은 상기 시스템본체(1)로부터 상기 스탠드(3)의 내부를 거쳐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5)로 연결설치되어, 전원 및 영상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시스템본체(1)의 스탠드(3)에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5)이 힌지(5)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5)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5)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탠드(3)의 일부를 분리하여 상기 힌지(5)를 장착하고 있는 스크류(s)를 풀어내어야 하고, 상기 시스템본체(1)와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5)를 연결하는 케이블(c)을 분리하여야 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과정에서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5)와 힌지(5)를 체결하고 있는 스크류(s)를 제거하거나 스탠드(3)와 힌지(5)를 체결하는 스크류(s)를 제거하기 위해서 수반되는 작업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것이다.
이는 상기 시스템본체(1)와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5)를 연결하고 있는 힌지(5)가 일측은 스탠드(3)의 내부에 타측은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5) 내부에 고정되어 있어서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5)의 분리를 위해서는 반드시 어느 한쪽의 구성을 분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c)을 분리하기 위해서도 역시 어느 한쪽의 구성을 분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스템본체에 별도의 모듈부를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는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스템본체와 모듈부의 전기적 연결이 모듈부의 장착과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장착장치가 사용된 컴퓨터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장착장치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모듈부를 시스템본체에 장착한 것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측면도.
도 5는 도 4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을 각각 분리하여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일실시예에서 지지부재에 장착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의 체결을 수행하는 체결로드와 관련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체결로드를 사용하여 장착부재와 지지부재가 서로 체결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의 체결을 수행하는 후크로드와 관련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후크로드를 사용하여 장착부재와 지지부재가 서로 체결된 것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시스템본체 20: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
30: 장착장치 40: 지지부재
42,42': 지지가이더 44,44': 지지단
46: 직교절곡부 48: 리셉터클
50: 지지부재 52,52': 삽입날개
54: 직교절곡부 56: 플러그
60: 체결로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스템본체측에 체결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시스템본체에 설치되는 모듈부에 체결되고,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걸려지는 장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장착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단차지게 절곡 형성된 삽입날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삽입날개부의 일부 구간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지지가이더부가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가이더부의 하단에는 상기 장착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재의 양단에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양단에는 각각 수직으로 절곡된 삽입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장착부재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지지가이더부가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측방향지지단이 상기 지지가이더의 양단에 상기 삽입가이드부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재와 지지부재에는 각각 상기 삽입날개부의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서로 대응되는 커넥터와 리셉터클이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재를 지지부재에 장착함에 의해 이들이 체결되어 시스템본체와 모듈부 사이의 신호 및 전원 등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착부재가 지지부재에 장착된 상태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기구가 더 구비된다.
상기 체결기구는 상기 장착부재와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공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되는 록킹로드이거나, 상기 체결기구는 상기 장착부재에 탄성부재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재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지지된 후크로드이거나, 상기 체결기구는 상기 장착부재와 지지부재가 서로 맞닿은 부분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류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를 시스템본체에 착탈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의 교환 및 수리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서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20)는 시스템본체(10)에 본 발명 실시예의 장착장치(30)에 의해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착장치(30)는 상기 시스템본체(10) 측에 체결되는 지지부재(40)와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20)에 체결되는 장착부재(50)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재(40)에는 상기 장착부재(50)의 양단을 잡아 지지하여 주는 지지가이더(42,42')가 절곡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가이더(42,42')는 상기 장착부재(50)가 삽입되어 전후로 유동되지 않을 정도의 틈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절곡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40)의 표면과 상기 지지가이더(42,42')의 내면 사이의 틈이 상기 장착부재(50)의 아래에서 설명될 삽입날개(52,52')의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가이더(42,42')의 하측에는 각각 지지단(44,44')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44,44')은 상기 장착부재(50)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장착부재(50)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재(40)의 대략 중앙에는 직교절곡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직교절곡부(46)에는 리셉터클(48)이 설치된다. 상기 리셉터클(48)에는 상기 장착부재(50)에 구비되는 플러그(56)가 삽입되어 액정디스플레이부(20)와 시스템본체(10) 사이의 영상신호 및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직교절곡부(46)는 상기 장착부재(50)가 지지부재(40)에 장착되었을 때,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장착부재(50)가 지지부재(40)에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리셉터클(48)에 플러그(5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40)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를 시스템본체(10)에 체결하기 위한 스크류공 등의 구성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제는 상기 장착부재(5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장착부재(50)는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20)측에 체결되는 것으로, 그 양단부에 삽입날개(52,52')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날개(52,52')는 상기 지지가이더(42,42')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부재(50)가 상기 지지부재(40)에 슬라이딩되어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삽입날개(52,52')는 단차지게 절곡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착부재(50)가 상기 지지부재(4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직교절곡부(46)가 장착부재(50)와 지지부재(4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장착부재(50)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지지부재(40)의 직교절곡부(46)와 대향하는 위치에 역시 직교절곡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직교절곡부(54)에는 플러그(56)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40)의 직교절곡부(46)에 구비되어 있는 리셉터클(48)에 상기 장착부재(50)의 장착과 동시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50)에는 힌지축(57)을 구비하고 있는 체결판(58)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판(58)은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20)의 배면에 스크류로 체결되는 부분이고, 상기 힌지축(57)은 상기 장착부재(50)에 볼트(B)로 체결된다. 특히, 상기 상기 체결판(58)은 상기 힌지축(58)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20)의 설치각도조절이 자유롭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장착장치(30)에서 장착부재(50)가 지지부재(40)에 삽입되는 것을 설명한다. 일단, 상기 장착부재(50)는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20)에 상기 체결판(58)이 체결되어 장착되고, 상기 지지부재(40)는 상기 시스템본체(10)에 스크류 등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20)를 잡고 상기 장착부재(50)의 삽입날개(52,52')가 상기 지지부재(40)의 지지가이더(42,42')에 삽입되도록 하여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삽입날개(52,52')를 지지가이더(42,42')를 따라 슬라이딩되게 하여 상기 지지단(44,44')에 상기 장착부재(50)의 하단부가 지지될 때 까지 이동되게 하면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장착부재(50)의 장착동작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40)의 리셉터클(48)에 상기 장착부재(50)의 플러그(56)가 삽입되면서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20)와 시스템본체(10) 사이의 전원 및 영상신호의 전달을 위한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지부재(140)의 양단에는 좌우가이드부(142,1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가이드부(142,142')는 상기 지지부재(140)의 본체부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부재(150)의 삽입가이더(152,152')와 밀착되어 장착부재(150)의 좌우방향 움직임을 방지한다. 상기 삽입가이더(152,152')의 선단에는 안내부(143,14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는(143,143')의 상기 삽입가이더(152,152')의 선단에 내측으로 마주보게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으로, 장착부재(150)의 초기 삽입을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좌우가이드부(142,142')와 지지부재(140)의 본체부를 연결하게 상단지지단(144,144')이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단지지단(144,144')은 상기 본체부에 대해 단차지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내측 및 외측지지단(145,145')(146,146')과 함께 장착부재(150)의 전후방향 이동을 차단할 뿐아니라 장착부재(150)와 지지부재(140)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단지지단(144,144')의 전후에 대응되게 각각 내측지지단(145,145')과 외측지지단(146,14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지지단(145,145')과 외측지지단(146,146')의 상면과 상기 상단지지단(144,144')의 하면 사이의 간격은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부재(150)의 삽입부(153,153')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40)의 중앙에는 직교절곡부(148)가 형성된다. 상기 직교절곡부(148)에는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20)와 시스템본체(30) 사이의 전원 및 영상신호 전달을 위한 리셉터클(149)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20)에 장착되는 장착부재(15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장착부재(150)에서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20)의 설치각도조절및 그에의 체결을 위한 구성은 상기 일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장착부재(150)의 양단에는 상기 좌우가이더부(142,142')를 그 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되게 하는 삽입가이더(152,152')가 절곡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삽입가이더(152,152')는 상기 좌우가이더부(142,142')와 밀착되어 장착부재(150)가 좌우로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가이더부(142,142')와 연결된 장착부재(150)의 본체부 측은 삽입부(153,153')를 형성한다. 상기 삽입부(153,153')는 상기 상단지지단(144,144')의 하면과 내측 및 외측지지단(145,145')(146,146') 사이의 틈에 삽입되어 그 일면은 상기 상단지지단(144,144')에 그 타면은 상기 내측 및 외측지지단(145,145')(146,146')에 지지되어 전후방향으로 임의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삽입부(153,153')의 내측으로는 각각 간섭회피부(154,154')가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부(154,154')는 상기 장착부재(150)가 지지부재(140)에 삽입될 때, 서로 간섭되지 않고 원하는 정도만큼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단지지단(144,144')의 선단 측면이 위치되어 닿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부재(150)의 중앙에는 직교절곡부(15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직교절곡부(156)는 상기 장착부재(150)와 지지부재(1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부재(140)의 직교절곡부(148)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직교절곡부(156)에는 플러그(157)가 장착되어 상기 지지부재(140)의 직교절곡부(148)에 있는 리셉터클(149)에 상기 장착부재(150)가 지지부재(140)에 슬라이딩되면서 장착됨과 동시에 삽입되어 액정디스플레이부(20)와 시스템본체(10) 사이의 전원과 신호연결이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140)와 장착부재(150)가 각각 시스템본체(10)와 액정디스플레이부(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재(150)를 지지부재(140)에 슬라이딩시켜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지지부재(140)의 좌우가이드부(142,142')의 양측면을 따라 상기 장착부재(150)의 삽입가이더(152,152')가 삽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삽입부(153)가 상기 상단지지단(144,144')과 각각의 내측 및 외측지지단(145,145')(146,146')의 사이로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게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상기 간섭회피부(154,154')에 상기 상단지지단(144,144')의 일측면이 닿을 때까지 하게 되면, 상기 장착부재(150)가 상기 지지부재(140)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장착부재(150)의 좌우방향 이동은 상기 삽입가이더(152,152')와 좌우가이드부(142,142')의 밀착에 의해 방지되고, 상기 장착부재(150)의 전후방향 이동은 상기 삽입부(153,153')가 상기 상단지지단(144,144')과 내측 및 외측 지지단(145,145')(146,146')의 사이에 틈에 삽입됨에 의해 방지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장착장치가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체결기구가 구비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체결기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일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장착부재(50)를 관통하여 장착공(50h)이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50h)이 천공된 위치와 대응되는 반대편에 형성된 절곡부(51)에도 역시 장착공(50h)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50h)(51h)을 관통하여서 체결로드(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체결로드(60)에는 스토퍼(6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로드(60)가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과, 상기 체결로드(60)가 일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62)의 힘을 받는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40)에도 상기 체결로드(60)의 삽입을 위한 체결공(40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40h)은 상기 장착부재(50)가 지지부재(40)에 장착되었을 때, 장착부재(50)의 체결공(50h,51h)에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체결기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50)와 지지부재(40)를 동시에 관통하여 장착부재(50)와 지지부재(40)의 장착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지지부재(40)의 상단부에 상기 체결로드(60)의 끝부분을 가이드하는 홈을 형성하게 되면, 장착부재(50)의 장착시에는 별도로 상기 체결로드(60)를 조작할 필요없이, 상기 장착부재(50)의 장착과정에 연동되어 상기 체결로드(60)가 상기 스프링(62)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후퇴되어 있다가, 상기 장착부재(50)의 장착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체결공(40h)에 삽입되면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장착부재(50)를 지지부재(40)로부터 분리할 때, 즉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20)를 시스템본체(1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로드(60)를 당겨서 상기 체결로드(60)의 끝부분이 상기 지지부재(40)의 체결공(40h)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하여 장착부재(50)를 분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에는 상기 체결로드(60) 대신에 후크로드(70)를 사용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후크로드(70)는 상기 장착부재(50)의 하부 일측에 힌지축(73)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힌지축(73)측에 구비되어 있는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지되어 있다. 상기 후크로드(70)의 선단부에는 지지부재(40)의 하단부에 걸려지는 후크부(7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로드(70)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74)가 상기 장착부재(5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장착부재(50)를 지지부재(40)에 삽입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후크로드(70)는 도 10에서보다 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지지부재(40)를 따라 내려가게 되고, 도 11의 상태에서와 같이 상기 후크로드(70)가 지지부재(40)의 하단부에 오게 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후크로드(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지지부재(40)의 하단부에 걸려서 장착부재(50)가 임의로 상기 지지부재(40)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장착부재(50)와 지지부재(40)를 체결하기 위한 또 하나의 구성으로서, 스크류를 생각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40)와 장착부재(50)가 서로 맞닿는 부분, 예를 들면, 상기 삽입날개(52,52')와 지지가이더(42,42')의 서로 대응되는 부분을 관통하여 스크류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좌우가이드부(142,142')와 삽입가이더(152,152')에서 서로 대응하는 부분을 관통하여 스크류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와 시스템본체에 각각 고정된 장착부재와 지지부재를 서로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를 지지부재를 따라 슬라이딩시키면서 장착시고, 이와 동시에 일측에 있는 플러그가 타측의 리셉터클에 삽입되도록 하여 장착과 동시에 전원 및 영상신호의 전달을 위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의 착탈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게 되어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를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생산자의 측면에서는 제품의 주문이 있기 전에 미리 시스템본체측을 생산해두고 주문에 따라서 원하는 크기의 액정디스플레이모듈부를 장착하면 되므로 주문과 생산을 직접 연결할 수 있는 물류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액정을 주문이 아닌 예측생산함에 의한 금융비용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재고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후서비스의 측면에서는, 서비스시에 제품을 분해하지 않고도 액정디스플레이모듈을 교체할 수 있어 이로 인한 제품의 이미지를 제고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시스템본체측에 체결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시스템본체에 설치되는 모듈부에 체결되고,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걸려지는 장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장착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단차지게 절곡 형성된 삽입날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삽입날개부의 일부 구간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지지가이더부가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가이더부의 하단에는 상기 장착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의 양단에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양단에는 각각 수직으로 절곡된 삽입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장착부재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지지가이더부가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측방향지지단이 상기 지지가이더의 양단에 상기 삽입가이드부와 평행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와 지지부재에는 각각 상기 삽입날개부의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서로 대응되는 커넥터와 리셉터클이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재를 지지부재에 장착함에 의해 이들이 체결되어 시스템본체와 모듈부 사이의 신호 및 전원 등을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가 지지부재에 장착된 상태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기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기구는 상기 장착부재와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공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되는 록킹로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기구는 상기 장착부재에 탄성부재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재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지지된 후크로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기구는 상기 장착부재와 지지부재가 서로 맞닿은 부분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류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
KR1019990045642A 1999-10-20 1999-10-20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 KR20010037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642A KR20010037899A (ko) 1999-10-20 1999-10-20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642A KR20010037899A (ko) 1999-10-20 1999-10-20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899A true KR20010037899A (ko) 2001-05-15

Family

ID=1961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642A KR20010037899A (ko) 1999-10-20 1999-10-20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78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173A (ko) * 2017-06-21 2019-02-13 저텍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연결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173A (ko) * 2017-06-21 2019-02-13 저텍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연결 기구
US10454198B2 (en) 2017-06-21 2019-10-22 Goertek Technology Co., Ltd. Connecting mechanis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56516A1 (en) Portable computer with detachable display
US7395995B2 (en) Monitor support structure
KR100676820B1 (ko) 착탈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US20090079665A1 (en) Power and Video Unit for a Multi-Screen Display System
US5724704A (en) Detachable hinge device for portable notebook computer
EP1973447A1 (en) Shelf for display apparatus
KR970025328A (ko) 노트북 컴퓨터의 액정 화면부 결합 힌지장치
CN102736671A (zh) 电子装置
KR100568218B1 (ko) 휴대용 컴퓨터
CN1959856B (zh) 壁装式显示设备
US6859356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monitor
KR20090035408A (ko) 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듀얼 디스플레이장치
GB2439920A (en) Monitor support structure
KR20010037899A (ko) 시스템본체에 모듈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
CN102740631A (zh) 电子装置
KR20110067078A (ko) 다기능 다화면거치대
CN217387790U (zh) 显示装置和电子设备
KR100658837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 구조
KR101983384B1 (ko) 모니터가 본체에 일체로 결합된 컴퓨터
CN218761762U (zh) 阀门定位器快装机构
KR1007770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KR100548774B1 (ko) 오피스장치를 포함하는 선바이저
KR100427191B1 (ko)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CN112068638B (zh) 一种集成触摸屏拓展口的装配式显示模块
KR100499031B1 (ko) Lcd 모니터의 스탠드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