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6684A -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 - Google Patents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6684A
KR20010036684A KR1019990043793A KR19990043793A KR20010036684A KR 20010036684 A KR20010036684 A KR 20010036684A KR 1019990043793 A KR1019990043793 A KR 1019990043793A KR 19990043793 A KR19990043793 A KR 19990043793A KR 20010036684 A KR20010036684 A KR 20010036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base
product
xml
demand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이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석 filed Critical 이종석
Priority to KR1019990043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6684A/ko
Publication of KR20010036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684A/ko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출판유통 체계를 개선하고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세대 주문형 미디어 출판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차세대 인터넷 언어-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XML-ODBMS) 솔루션을 개발하고 그러한 솔루션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출력과 인쇄를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하므로써, 출판 업무 공정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며 구매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에 대한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출판 유통 시스템에서의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에 있어서, 문서화 할 수 있는 데이터들을 입력받아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는 제 1 단계; 분류된 상기 데이터들을 표준화된 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하여 일정한 스타일 시트와 레이아웃의 폼으로 코딩한 후 각 데이터들을 다시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2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한 구매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들을 취사 선택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과정을 통해 편집된 데이터들에 대한 상기 구매자의 구매 요청에 따라, 제품을 만들어 구매자에게 판매하기 위한 서비스 센터로 상기 편집된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미디어 출판 유통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Method For Media Publishing &Distributing}
본 발명은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출판유통 체계를 개선하고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 을 참조하여 종래의 출판 과정을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의 출판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기술은 디지털 미디어와의 결합이 거의 전무하거나 부분적으로만 결합된 출판 시스템이기 때문에 전통적인 출판 시스템에서는 한 권의 책이 탄생하기까지 매우 많은 공정과 시간, 작업 구성요소가 필요하다.
즉, 도 1 에서 보듯이 전통적인 출판 시스템에서는 원고작성에서부터 입력, 교정, 인쇄의뢰까지를 1 단계, 페이지 배열-제판-인쇄-제단-접지-제본 등 인쇄과정의 2 단계, 정합-창고 운송-보관-배송-판매 등 유통 단계로의 3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이러한 단계는 세부적으로 최소한 15 단계 이상을 거쳐야 한 권의 책이 만들어지게 되는 매우 복잡한 공정을 가진다.
이는 한 권의 책을 제작해 최종 소비자에게까지 전달하기까지 과다한 비용과 인력,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최종 소비자는 과다한 비용을 지출하면서 책을 구매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1, 2 단계의 제작과정은 차지한다 해도 3 단계의 유통과정은 출판사-대형도매상-소형도매상-서점 등 더 많은 단계로 분화되어 결론적으로 비용의 상승을 유도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디지털 데이터베이스를 기본 시스템으로 채택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와 결합한 실시간 원격 디지털 프린팅 솔루션에 비해 최소 2 배이상의 구성요소와 시간, 인력 그리고 비용의 부담을 요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세대 인터넷 언어-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XML-ODBMS) 솔루션을 개발하고 그러한 솔루션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출력과 인쇄를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하므로써, 출판 업무 공정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며 구매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출판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출판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출판 과정의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미디어 출판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출판 유통 시스템에서의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에 있어서, 문서화 할 수 있는 데이터들을 입력받아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는 제 1 단계; 분류된 상기 데이터들을 표준화된 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하여 일정한 스타일 시트와 레이아웃의 폼으로 코딩한 후 각 데이터들을 다시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2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한 구매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들을 취사 선택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과정을 통해 편집된 데이터들에 대한 상기 구매자의 구매 요청에 따라, 제품을 만들어 구매자에게 판매하기 위한 서비스 센터로 상기 편집된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을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출판 유통 시스템에, 문서화 할 수 있는 데이터들을 입력받아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는 제 1 기능; 분류된 상기 데이터들을 표준화된 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하여 일정한 스타일 시트와 레이아웃의 폼으로 코딩한 후 각 데이터들을 다시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2 기능;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한 구매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들을 취사 선택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3 기능의 과정을 통해 편집된 데이터들에 대한 상기 구매자의 구매 요청에 따라, 제품을 만들어 구매자에게 판매하기 위한 서비스 센터로 상기 편집된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크게 두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 출판 관련 콘텐츠를 세부적으로 분류(가치가 있는 최소단위의 유니트로)하며, 최소 단위 콘텐츠 유니트에 대한 실시간 전자상거래 및 최소 단위 콘텐츠 유니트의 제한없는 검색과 분류 및 정의의 자유로운 접근을 제공하여 미디어 출판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종래의 출판 공정을 혁신적으로 개선 한다.
둘째, 인터넷 또는 통신/네트웍 인프라를 통한 주문이 가능하며 원격지에서도 인쇄 및 프린팅을 요구하여 실시간으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인터넷 웹(WWW) 주문방식과 온프린팅 솔루션을 도입하여 구매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적 과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첫째, 온디멘드 & 주문형(On demand & Customizing) 도구로 차세대 인터넷 언어(XML:eXensible Markup Language)(이하, 간단히 ″XML″이라함)와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ODBMS:Object 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이하, 간단히 ″ODBMS″이라함)을 채택하며, 둘째, XML과 ODBMS를 이용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함으로써, 모든 콘텐츠를 사용자의 요구에 완벽히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DB) 구성과 시스템 통합을 통해 현저한 시스템의 부하 감소를 가능하게 해 시스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새로운 데이터베이스(DB) 추가시 많은 추가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유지, 보수가 간편해 비용의 혁신적인 감소를 가져오며, 기타 응용 프로그램 및 개발 영역으로의 손쉬운 확장이 가능하도록 한다. 셋째, XML에 근거한 전자상거래(EC:Electronic Commerce) 솔루션을 채택하며, 넷째, 실시간 택배(Delivery System) 시스템 구축을 통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하고, 다섯째, 택배 서비스 이외에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인쇄된 제품을 즉시 받아 볼 수 있는 온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선, XML이라 함은, 인터넷에서 구조화된 문서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된 표준화 텍스트 형식을 말하는 것으로써, 그 등장 배경 및 동향은 다음과 같다.
이기종 간의 자유로운 문서 교환 필요성과 정보의 일관된 처리 및 문서의 표준화 요구에 따라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수렴에 한계가 있는 하이퍼택스트 생성언어(HTML) 보다 훨씬 능동적 언어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 고품질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향하는 차세대 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데이터 포맷 요구하게 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해 1998년 2월에 인터넷 기술 표준을 주관하는 W3에서는 XML 규약(Ver 1.0)을 발표하게 되었다.
이러한 XML은 이기종간의 데이터베이스 처리와 문서관리 시스템 그리고 디지털 자원관리(EDI) 분야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MS), 넷스케이프(Netscape), 오라클(Oracle), 아도비(Adobe), 선(Sun) 등 인터넷 관련 주요 선도 업체에서도 이러한 XML에 대응한 각종 솔루션 및 기술 개발 경쟁에 앞 다투어 나서고 있다. 99년 하반기 현재 인터넷과 관련한 주요 프로그램인 익스플러로나 넷스케이프, 자바 등이 XML을 지원하고 있으며 내년 상반기 내로 XML은 인터넷의 가장 중요한 솔루션으로 부상할 것이 확실시된다.
그렇다면 왜 XML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즉, XML은 광범위한 데이터 상호교환 처리에 매우 적합한 언어라는 것과 함께 하이퍼택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과 같은 표준 프로토콜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시스템을 완전히 교체하지 않고도 새로운 장점을 수용할 수 있다는 커다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XML 데이터는 문서형식정의(Document Type Definition; DTD)를 포함하기 때문에 데이터 객체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그 어떠한 도구보다 잘 표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데이터를 해독하고 전달하는데 능동적, 지능적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XML은 자기 묘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광범위하게 해독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응용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으며 기존 데이터 구조를 유지한 채 새로운 필드들을 쉽게 병합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베이스는 기존 틀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XML은 데이터를 자유롭게 공유하고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XML로 구축된 시스템의 유지, 보수가 간단하고 추가, 변경이 용이한 것은 물론 이로 인해 응용 프로그램 서버를 개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XML과 연관되어 필수적으로 사용될 ODBMS의 원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ODBMS의 특징은 객체지향의 프로그램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를 지원하기 때문에 객체의 직접적인 생성과 조작을 완벽하게 지원한다. 또한 ODBMS는 작업자가 임의로 문서 형태(type)에 대한 정의와 조작은 물론 객체의 속성 값과 무관하게 객체에 대한 정의(indenty)를 지원하기 때문에 객체간의 독립된 상호 참조(reference)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ODBMS는 객체에 대한 저장과 검색, 네비게이션을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지원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전혀 수정될 수 없는 목적 인식자(OID:Object Identifier)를 이용하여 일대일(一 對 一), 일대다(一 對 多), 다대다(多 對 多) 결합을 포함하는 데, ODBMS는 이를 통해 저장되어 있는 객체의 네트워크 구조의 장점을 지니고 성능 최적화(performance optimization)를 지원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ODBMS의 원리에 의해 구현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질 수 있다.
ODBMS의 장점은, 객체지향 기술을 전부 적용할 수 있으므로 분석과 모델링 모두 현실 세계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다는 것과 사용자가 임의의 데이터 형태를 정의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의 컴퓨팅 환경에서 중요하게 나타나는 멀티미디어 등 다양하고 복잡한 데이터 형식에 대한 지원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 객체 간의 관계가 구조적 정보를 포함하는 포인팅(Pointing)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어서 객체에 대한 결합 처리가 없어 빠른 처리가 가능하며 유연한 정보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며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자체로 이루어진 응용프로그램이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의 성격을 가지는 질의어를 사용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접근과 프로그래밍을 동시에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객체 지향 기술을 이용하여 중복 코딩작업을 방지하며, 캡슐화 기술 등을 이용하여 유지 보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다.
아래는 ODBMS가 이러한 원리와 장점을 바탕으로 실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분야에 대한 설명이다.
ODBMS의 적용분야로는, 다양한 데이터의 수많은 정보유통이 이루어지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대량의 파일 자료를 다루어야 하는 멀티미디어 응용 시스템, 복잡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이학/공학분야(CAD/CAM관리시스템, GIS), 객체화된 메타 정보를 이용하는 시스템(XML/SGML/IETM 등), 객체지향 언어와 객체 모델을 근간으로 설계된 콤포넌트 기반의 응용시스템, 다 계층(Multi-tier)과 인터넷/인트라넷을 바탕으로 동시 사용자 수가 수천 명 이상으로 많은 인트라넷(Intranet)/인트라넷(Internet) 기반 웝 데이터베이스(Web DB) 응용프로그램 그리고 지능형 의사 결정 시스템 등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출판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도 1 의 전통적인 시스템에 비해서 현저히 줄어든 과정 요소를 볼 수 있는 데, 도 1 과 같이 총 3 단계를 거치지만 2 단계의 인쇄 단계를 XML-ODBMS 솔루션과 인터넷을 통한 온프린팅 솔루션을 통해 하나의 단계로 줄이는 혁신적인 개선과 자동화를 이루었으며 전자상거래 솔루션과 실시간 택배 시스템을 통해 3 단계의 유통 단계를 일대일(一對一) 마케팅의 직접 마케팅 구조로 개선한 것을 볼 수 있다.
즉, 기존에 구축된 아나로그 데이터를 XML-ODBMS 기술을 통해 진보된 객체지향형 디지털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이를 인터넷 주문 인터페이스로 구성하면 최종 소비자는 인터넷 또는 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사이트(온북 사이트로 칭함)(이하, 간단히 ″온북 사이트″라함) 또는 IP 제공 포럼 등에 접속해 자신이 필요한 데이터만을 취사 선택해 온라인으로 제품을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제품을 온라인으로 실시간 주문하면 온프린팅 솔루션을 통해 최종 결과물이 만들어지고 즉각적으로 최종 소비자에게 택배 시스템 또는 원격지 프린팅 솔루션을 통해 받아 볼 수 있게 해준다.
이 과정에서 주의 깊게 살펴볼 것은 구매자가 최종 제품을 얻는 방식이 두가지라는 것이다. 하나는 인쇄를 의뢰해서 택배 서비스에의해 제품을 배송받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원격지의 온북 서비스 센터(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센터)(이하, 간단히 ″온북 서비스 센터″라함) 또는 지점(복사실, 프린팅 센터 등)에 구축된 온북 네트웍(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네트웍)(이하, 간단히 ″온북 네트웍″이라함)을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 제본하여 제품을 전달받는 온프린팅 서비스를 받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두가지 과정을 통틀어 온프린팅 솔루션이라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출판 과정의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도 2 의 과정을 상세하게 세분화한 것이다.
즉, 도 3 은 콘텐츠 제공자와 편집자에 의한 콘텐츠 소싱(Sourcing)에서 그 콘텐츠가 XML-ODBMS 솔루션에 의한 커스터마이징(가치 편집)을 통해 가치가 상승하고 이를 인터넷이라는 미디어를 통해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여러가지 경로를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흐름도로 나열하고 있다.
여기서의 핵심인 XML-ODBMS 솔루션에 의해 콘첸츠가 어떻게 상승하고 이렇게 상승한 가치가 어떻게 사용자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고 있느냐의 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하, 도 3 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고입력 작업(301)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업 파트너와 저자(개인+기업 등)에 의해 원천 소스 데이터를 제공받는데, 이러한 원천 소스 데이터의 제공방법은 매우 다양하게 분화될 수 있다. 즉, 기존의 기업 클아이언트(잡지사, 신문사, 방송사 등의 미디어 관련 기업에서부터 특화된 정보를 저장해 놓은 불특정 데이터를 보유한 기업까지)에 의한 데이터, 개인 작업에 의한 데이터(물론 이것의 가치는 불명확), 인터넷 등에 산재해 있는 유·무료 데이터, 기타 데이터로 불리우거나 데이터화 할 수 있는 잠재적인 초급 문서 등 그 대상과 원천 소스의 경로는 매우 방대하다고 할 수 있다.
온북 서비스(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말함)(이하, 간단히 ″온북 서비스″라함)에 있어서 원고 입력(301) 과정은 가치판단의 1차적인 여과(필터 ; Filtering)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1차적으로 산발된 데이터의 군집은 1차 가치편집을 하게 될 과정(302)으로 넘어가게 된다.
프러덕션으로 넘어 온 데이터는 프러덕션에 속한 콘텐츠 관리자(콘텐츠를 분류, 정의, 커스터마이징 등 전반적인 메니징(Managing)을 담당하는 관리자) 또는 편집자에 의해 1차 가치편집을 하게 되는데(302), 온북 서비스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과정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즉, 프로덕션에 의한 1차 가치편집(302) 과정이 XML-ODBMS에 의한 객체지향형 데이터베이스 구축(303) 및 2, 3차 가치편집(304,305)을 잘 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분류와 가공 그리고 DTD의 기본 질의어 및 검색어를 추출하는 과정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 과정을 충실히 하지 못하게 되면 이후의 모든 과정이 무의미해지기 때문이다.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303)은 본격적으로 XML-ODBMS에 의한 데이터베이스의 설계를 하는 단계로서, 편집자에 의한 2차 가치편집(304) 및 구매자에 의한 3차 가치편집(305) 과정과의 일련의 연속된 프로세스로 볼 수 있는 데,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303)은 데이터베이스의 소스가 되는 문서(도큐멘트 ; Document)를 직접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문서를 잘 관리하고 호출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폼(Form)을 설계하는 단계로서 간단히 이야기하면 문서의 살 집과 방을 설계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서 프러덕션에의한 1차 가치편집(302) 과정에서 분류되고 1차 가공된 문서의 종류와 성격을 파악해 XML 에디터와 파서(Parser)에 의해 정의되고 이렇게 정의된 결과로서의 문서 형식 정의(DTD:Documents Type Definition)(이하, 간단히 ″DTD″이라함)는 일정한 스타일 시트(Style Sheets:일정한 스타일로 정의된 문서 표현형식)와 레이아웃(Layout:일정하게 정의된 문서의 보여지는 형태의 폼)으로 코딩된다. 이렇게 코딩된 결과는 직접적으로 ODBMS의 이어져 데이터베이스 경로와 검색방법 그리고 객체지향 모델링을 구조화한다.
즉, XML은 프로덕션에 의한 1차 가치편집 과정(302)에서 분류된 문서의 각종 기록을 XML 형식으로 코딩한 후 이 자료를 DTD라는 사전 문서형식정의라는 결과물로 ODBMS 단계로 넘겨주고 ODBMS는 이러한 DTD 정의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설계한다는 것이다.
편집자에 의한 2차 가치편집 과정(304)은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403)의 연속된 후속 작업으로 XML-ODBMS에 의해 설계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따라 분류되고 정의된 문서들을 각각의 디렉토리 및 항목으로 넣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마지막 가치편집은 물론 구체적인 검색어, 질의어를 뽑아내고 요약과 목차를 추출하는 과정을 거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편의성 극대화와 커스터마이징(문서를 보다 자신의 요구와 요청에 맞게 변환하고 재정의하는 과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나눌 수 있는 최소단위의 가치 유니트로 절편하는 과정을 거쳐 구조화한다.
구매자에 의한 3차 가치편집 과정(305)은 사용자가 인터넷 및 네트웍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현되는 XML-ODBMS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만을 취사 선택해 제품을 구성하는 단계로 편집자에 의한 2차 가치편집 과정(304)에서 절편한 최소 유니트가 선택의 대상이 된다. 정확하게 취사 선택은 가치의 상승을 동반하는 가치 편집은 아니지만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편집이므로 이것도 넓은 의미의 사용가치 상승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구매자의 주문 과정(306)은 구매자에 의한 3차 가치편집 과정(305)까지의 사용자에게 선택된 가치있는 제품을 온라인 인터페이스 즉, 전자상거래(EC) 솔루션을 통해 주문을 하는 단계로 이 과정까지가 사용자가 인식하는 온북 서비스의 단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구매자의 주문이 있으면(306) 온북 서비스는 두가지 선택을 하는 갈림길을 가지게 되는데, 이과정을 담당하는 것이 온프린팅 서비스와 택배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즉, 구매 주문에 의해 제품을 인쇄, 제본 하여 택배 서비스에 의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방식(309,310)이 택배 서비스이며, 온프린팅 서비스에 의해 최종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과정이 온프린팅 서비스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택배 서비스 과정(309,310)은 사용자가 택배 주문 서비스를 신청하게 되면 주문된 제품은 즉각적으로 제품 제작 단위로 넘어가 프린팅 또는 인쇄, 제본되어 구축된 택배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것이다. 물론 이러한 과정은 완벽한 실시간 시스템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이러한 과정을 연속된 과정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일련의 과정으로 보이게 될 것이다.
이와는 대비되는 온프린팅 서비스(308)라함은, 실시간 또는 최단 시간(거의 실시간)에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을 위해, 인터넷 등으로 구성된 제품을 온북 서비스 네트웍에 묶여진 각 지역 센터 및 지점(대학, 기업, 일반 점포 등의 복사실 및 프린트 센터)으로 바로 실시간 전송하고 이러한 네트웍 경로 마지막 포인트 지점에 설치된 하위 서버 프로그램에 의해 실시간으로 인쇄, 프린트하여 사용자가 직접 그 자리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온프린팅 서비스를 위해서는 안정적인 프로토콜과 실시간 인터넷 프린팅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때, 상기 온프린팅 솔루션을 통해 판매되는 제품은 책의 형식 뿐만 아니라 컴팩트 디스크(CD) 등의 각종 출판물로 구현되어질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미디어 출판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최종 소비자인 구매자가 인터넷망 등의 네트웍에 접속해 온북 사이트 등에서 XML-ODBMS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온프린팅 시스템과 택배 시스템을 이용, 최종 제품을 받아볼 때까지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지는데, 첫째, 국내 유일의 주문형 출판사(On Demand & Customizing)가 될 것이고, 둘째, 국내 최초로 출판 유통 관련 시스템에 XML 기반 전자상거래를 적용한 사이트가 될 것이며, 셋째, 콘텐츠 구축과 편집 및 제작의 자동화를 통해 출판 제작 과정을 효율성을 제고할 것이며, 넷째, 저자 및 저작권자에게 유리한 수익을 창출하는 것은 물론 다섯째, 유료 정보(콘텐츠) 유통 시장 창출을 통해 국내 최초로 커스터마이징 개인 출판(Personalize Book)을 가능하게 해 막대한 출판(인쇄) 비용이 필요 없게 될 것이다. 또한 여섯째, 일반 도서처럼 ISBN(도서등록번호)을 받을 수 있으며, 일곱째, 상기의 과정을 통해 작품 발표까지의 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것이며, 여덟째, 이를 통해 개작이나 수정이 간단한 것은 물론 아홉째, 24시간 판매가 가능하다는 장점과 열번째, 판매 부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출판 유통 시스템에서의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에 있어서,
    문서화 할 수 있는 데이터들을 입력받아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는 제 1 단계;
    분류된 상기 데이터들을 표준화된 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하여 일정한 스타일 시트와 레이아웃의 폼으로 코딩한 후 각 데이터들을 다시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2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한 구매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들을 취사 선택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과정을 통해 편집된 데이터들에 대한 상기 구매자의 구매 요청에 따라, 제품을 만들어 구매자에게 판매하기 위한 서비스 센터로 상기 편집된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의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편집된 데이터들을 제품으로 만들어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여 판매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상기 분류는, 입력된 데이터들에 대한 가공 및 문서형식 정의를 위한 기본 질의어 및 검색어 추출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분류된 상기 데이터들을 표준화된 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하여 일정한 스타일 시트와 레이아웃의 폼으로 코딩하는 제 6 단계;
    코딩된 상기 데이터들을 문서형식정의에 의해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데이터들에 대하여 각각의 검색어 및 질의어를 추출하여 세부적으로 다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는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제품의 형태는 책의 형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제품의 형태는 컴팩트 디스크(CD)의 형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
  7.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을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출판 유통 시스템에,
    문서화 할 수 있는 데이터들을 입력받아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는 제 1 기능;
    분류된 상기 데이터들을 표준화된 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하여 일정한 스타일 시트와 레이아웃의 폼으로 코딩한 후 각 데이터들을 다시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2 기능;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한 구매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들을 취사 선택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3 기능의 과정을 통해 편집된 데이터들에 대한 상기 구매자의 구매 요청에 따라, 제품을 만들어 구매자에게 판매하기 위한 서비스 센터로 상기 편집된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9990043793A 1999-10-11 1999-10-11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 KR200100366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793A KR20010036684A (ko) 1999-10-11 1999-10-11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793A KR20010036684A (ko) 1999-10-11 1999-10-11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684A true KR20010036684A (ko) 2001-05-07

Family

ID=19614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793A KR20010036684A (ko) 1999-10-11 1999-10-11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668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013A (ko) * 2000-01-10 2000-05-06 김호욱 인터넷 주문도서 출판방법.
KR20010078645A (ko) * 2000-02-09 2001-08-21 정완진 인터넷을 이용한 책제작방법
KR20010100050A (ko) * 2001-07-04 2001-11-14 김지강 사용자의 개인 요구 조건에 맞는 책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20010336A (ko) * 2000-07-29 2002-02-04 김병수, 이학순 컴퓨터를 이용한 인쇄물 주문제작 방법
KR20020018277A (ko) * 2000-09-01 2002-03-08 전창오 인터넷상의 사이버 출판 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95415A (ko) * 2002-06-10 2003-12-24 최덕영 학습자주문형 눈높이 맞춤학습교재 제작 서비스 시스템
KR100445788B1 (ko) * 2001-07-31 2004-08-25 (주) 엑세스미디어 인터넷으로 접수된 상세한 매물정보를 생활정보신문에게재가 가능한 함축된 매물정보로 자동 변환하는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013A (ko) * 2000-01-10 2000-05-06 김호욱 인터넷 주문도서 출판방법.
KR20010078645A (ko) * 2000-02-09 2001-08-21 정완진 인터넷을 이용한 책제작방법
KR20020010336A (ko) * 2000-07-29 2002-02-04 김병수, 이학순 컴퓨터를 이용한 인쇄물 주문제작 방법
KR20020018277A (ko) * 2000-09-01 2002-03-08 전창오 인터넷상의 사이버 출판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100050A (ko) * 2001-07-04 2001-11-14 김지강 사용자의 개인 요구 조건에 맞는 책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0445788B1 (ko) * 2001-07-31 2004-08-25 (주) 엑세스미디어 인터넷으로 접수된 상세한 매물정보를 생활정보신문에게재가 가능한 함축된 매물정보로 자동 변환하는 방법
KR20030095415A (ko) * 2002-06-10 2003-12-24 최덕영 학습자주문형 눈높이 맞춤학습교재 제작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03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eb marketing tools for digital archives—web portal advertising arts
Omelayenko et al. A two-layered integration approach for product information in B2B e-commerce
Newcomer Understanding Web Services: XML, Wsdl, Soap, and UDDI
US8924408B2 (en) Automatic generation of database invocation mechanism for external web services
US7337132B2 (en) Customizable two step mapping of extensible markup language data in an e-procurement system and method
US20040024812A1 (en) Content publication system for supporting real-time integration and processing of multimedia content including dynamic data, and method thereof
US20030121001A1 (en) Automated method, system, and software for transforming data between extensible markup language format and electronic data interchange format
US20040225749A1 (en) Transformation of web site summary via taglibs
US20040225724A1 (en) RPC type SOAP service access via taglibs for dynamic web content
US20060253773A1 (en) Web-based client/server interaction method and system
US201503814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Of Data Among Entities In An Electronic Trading Network
US7865403B2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translating and interfacing between data pools an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PIM) systems
KR20010036684A (ko) 주문형 미디어 출판 유통 방법
Tanaka IntelligentPad as meme media and its application to multimedia databases
Wells New and improved: Linda in Java
EP1173812A2 (en) Protocol for defining data exchange rules and formats for universal intellectual asset documents
Li et al. A study of logistics infomediary in air cargo tracking
Sommer et al. The n-tier hub technology
Godby et al. Toward element-level interoperability in bibliographic metadata
JP2002245264A (ja) Xmlのdtd管理システムと方法およびxmlのdtd流通システムと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TW444176B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XML/EDI data transformation
De Francisco et al. Towards a digital content services design based on triple space
Fu et al. Web-based Sell-side Commerce Aggregation.
van der Westhuizen Recasting hypertext markup language in extended text markup language: is it the foundation for the future of e-commerce?
Sherwood Standards for access to museum content: practical solutions or technical chimer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