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5063A -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5063A
KR20010035063A KR1020000075380A KR20000075380A KR20010035063A KR 20010035063 A KR20010035063 A KR 20010035063A KR 1020000075380 A KR1020000075380 A KR 1020000075380A KR 20000075380 A KR20000075380 A KR 20000075380A KR 20010035063 A KR20010035063 A KR 20010035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sending
server
receiving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충엽
Original Assignee
장충엽
주식회사 언어공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충엽, 주식회사 언어공학연구소 filed Critical 장충엽
Priority to KR1020000075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5063A/ko
Publication of KR20010035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0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8Message addressing, e.g. address format or anonymous messages, ali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자 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화번호@메일서버주소″라는 간단한 개념의 메일 ID를 이용함으로써, 모든 사람 내지 기업들이 용이하게 전자메일을 이용할 수 있고, 종래의 특정 메일 ID를 별도로 기억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신자의 전화번호만을 알고 있어도 메일을 자유롭게 보낼 수 있으며, 수신자가 메일 ID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메일을 보낼 수 있고, 메일의 착신을 자동으로 통보해주므로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Electronic Mail Sending and Receiving System By Phone Number And The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및 그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메일 식별표시 @와 메일서버 주소에 전화번호를 결합시킨 구성의 메일 ID로 메일의 송수신을 가능케 하는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인터넷의 빠른 보급과 더불어 전자메일(일명, ″e-메일″)을 통한 컴뮤니티는 이제 중요한 정보 송수신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전자메일은 신속한 전송과 자료의 송출을 가능하게 하므로, 기존의 일반 우편방식 및 팩스 송출방식을 빠르게 대체해가고 있다. 따라서, 현재 인터넷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개인 전자메일 주소를 가지고 있고, 기업들도 대표 전자메일 주소를 설정하여 접촉 창구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자메일 주소는 ″문자 및/또는 숫자 + @ + 메일서버주소″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 ″문자 및/또는 숫자″는 상기 전자메일 주소의 소유주를 특정하는 메일 ID로서, 다른 사용자의 것과 중복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메일 주소를 이용하여 메일을 송수신하는 종래의 메일 송수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보면,
메일을 작성하는 메일 발송 단말(100); 상기에 작성된 메일을 발송하는 메일발송 서버(110); 발송된 메일을 받는 메일수신 서버(130); 메일을 확인하는 메일수신 단말(140); 및 상기 메일들을 자유롭게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인터넷(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메일 송수신 시스템은 수신자가 메일 ID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메일을 보낼 수 없고, 송신자가 수신자의 메일 ID를 정확히 알고 있는 것을 전재로 한다. 또한, 메일이 도착해도 이에 대한 통보가 수신자에게 되지 않으면, 메일을 적시에 열어볼 수 없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전화번호를 가지고 있는 송신자와 수신자를 전자메일 시스템으로 엮어 편리하게 메일을 송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메일의 수신을 통보해주는 기능을 전화번호를 통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송수신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메일발송 단말 110 : 메일발송 서버
120 : 인터넷 130 : 메일수신 서버
140 : 메일수신 단말 200 : 메일발송 단말
210 : 메일발송 서버 220 : 인터넷망
230 : 메일수신 서버 240 : 메일수신 단말
250 : 문자메시지발송 서버 260 : 휴대폰 교환망
270 : 휴대폰 단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자메일의 송신자 ID를 설정·등록하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메일을 보내도록 하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전자메일의 수신자가 본 발명상의 서버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이를 자동으로 등록하게 하여 전자메일을 제공하고, 수신자에게 음성메시지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유선전화 또는 무선전화에 통보하도록 하여,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을 가능케 하는 본 발명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면,
인터넷을 통하여 메일을 송수신하는 전자메일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자가 인터넷상에서 메일을 작성하고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근거한 전화번호 메일 ID로 메일을 발송하는 메일발송 단말;
상기 메일발송 단말에서 작성된 메일을 보관·저장 관리하며, 이를 메일수신 서버에 발송하는 메일발송 서버;
메일발송 단말과 메일수신 단말을 메일발송 서버 및 메일수신 서버에 연결해주는 인터넷망;
상기 메일발송 서버에서 발송된 메일을 수신하여, 수신자의 전화번호 메일 ID가 있으면 그 메일 ID로 메일을 보내고, 수신자의 전화번호 메일 ID가 없으면 이를 새로이 생성하여 수신된 메일을 보관·저장하고 메시지발송 서버에 이를 통보하는 메일수신 서버;
상기 수신된 메일을 확인할 수 있는 메일수신 단말;
상기 메일수신 서버로부터 통보받은 수신메일 정보를 수신자의 전화에 메시지로 통보해주는 메시지발송 서버;
상기 메시지를 실어나르는 전화 교환망;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화번호 메일 ID의 바람직한 구성의 예로는 ″전화번호@메일서버주소″ 형태의 메일 ID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일발송 서버와 메일수신 서버 및 메시지발송 서버는 하나의 전자메일 서버에 위치하거나 또는 하나의 인트라넷으로 묶이어서 제공됨으로써, 시스템의 신뢰도 및 성능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메시지발송 서버는 수신자가 메일을 확인하지 않았을 경우 발신자가 선택한 통보 횟수 및 기간만큼 수신자에게 한번 이상 메시지로 통보하도록 함으로써, 수신자가 자신에게 통보된 수신메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수신자는 자신의 메일 ID 및 메일의 제목과 송신자의 메일 ID를 알 수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신자가 메일을 확인할 때, 수신자가 기등록된 경우에는 메일 서버에 비밀번호 등의 확인을 통하여 접속하고 이를 통해 메일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송신자에 의해 메일계정이 신규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수신자가 메일의 서버에 접속할 때, 메일 서버는 사용자의 확인을 위하여 임의의 비밀번호를 메시지의 형태로 수신자의 전화에 통보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수신자는 상기 임의의 비밀번호를 수신한 후 그 비밀번호로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한 후에는 비밀번호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화는 유선전화 또는 무선전화일 수 있다. 최근, 휴대폰과 같은 무선전화가 종래의 일반 유선전화를 빠르게 대체해 나가고 있고 다른 부가적인 서비스도 대폭 부여되고 있으므로, 상기 전화는 바람직하게는 휴대폰과 같은 무선전화이다. 이 경우, 상기 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 해당 구성요소는 대응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로 이루어지게 되는바, 일 예로, 상기 전화 교환망은 무선전화 교환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시지발송 서버에서 발송하는 메시지는 문자메시지 및/또는 음성메시지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 해당 구성요소는 대응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로 이루어지게 되는바, 일 예로,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발송 서버는 문자메시지발송 서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전자메일 발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전화번호를 사용한 ID의 설정과 이에 따른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인터넷을 통하여 메일을 송수신하는 전자메일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전자메일 ID를 생성할 때, 전화번호에 근거한 전화번호 메일 ID의 생성 단계;
전화번호를 가진 수신자에게 메일을 작성하여 발송하는 메일작성 및 발송단계;
시스템은 수신자의 메일 ID를 확인하여, 시스템에 기등록된 것인지 아니면 미등록된 것인지를 확인하는 수신자 메일 ID 확인 단계;
상기 수신자 메일 ID 확인단계에서 수신자 메일이 미등록된 것이면, 전화번호 메일 ID의 형태로 수신자 메일 ID를 새로이 생성하는 단계;
상기에서 발송된 메일을 수신 메일 ID의 수신함에 저장하는 메일 수신 단계;
상기 수신자의 전화에 메시지를 통보하는 메시지 발신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화번호 메일 ID의 바람직한 구성의 예로는 상기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메일서버주소″ 형태의 메일 ID를 들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수신자가 메일을 확인하지 않았을 경우, 발신자가 선택한 통보 횟수 및 기간만큼 수신자에게 한번 이상 메시지로 통보하도록, 상기 메시지 발신 단계가 반복되게 할 수 있다.
기등록된 수신자는 비밀번호 등의 확인을 통하여 시스템에 접속하여 메일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송신자에 의해 메일계정이 신규로 만들어진 경우, 상기 메시지에는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임의의 비밀번호를 포함시킬 수 있다. 수신자는 상기 임의의 비밀번호를 수신한 후 그 비밀번호로 시스템에 접속하고, 접속한 후에는 비밀번호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화는 유선전화 또는 무선전화일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문자메시지 및/또는 음성메시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일의 ID를 대신하여 여러가지 의미있는 숫자, 예를 들어, 100 등과 같은 ID를 등록하여 국번없이 임의의 지역에 통보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일이 수신함에 도착하면, 수신자는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고도 메일 텍스트를 음성으로 들려주는 서비스를 통하여 음성으로 들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에 의해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무선 전화번호(″휴대폰 번호″)를 이용하고 수신자에게 문자메시지의 형태로 메일 수신 등을 통보하는,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보면, 인터넷을 통하여 메일을 송수신하는 전자메일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인터넷상에서 메일을 작성하고 수신자의 휴대폰 번호에 근거한 휴대폰 메일 ID로 메일을 발송하는 메일발송 단말(200);
상기 메일발송 단말(200)에서 작성된 메일을 보관·저장 관리하며, 메일수신 서버(230)에 발송하는 메일발송 서버(210);
메일발송 단말(200)과 메일수신 단말(240)을 메일발송 서버(210) 및 메일수신 서버(230)에 연결해주는 인터넷망(220);
상기 메일발송 서버(210)에서 발송된 메일을 수신하여, 수신자의 휴대폰 메일 ID가 있으면 그 메일 ID로 메일을 보내고, 수신자의 휴대폰 메일 ID가 없으면 이를 생성하여 수신된 메일을 보관·저장하고 문자메시지발송 서버(250)에 이를 통보하는 메일수신 서버(230);
상기 수신된 메일을 확인할 수 있는 메일수신 단말(240);
상기 메일수신 서버(230)로부터 통보받은 수신 메일정보를 수신자의 무선전화에 문자메시지로 통보해주는 문자메시지발송 서버(250);
상기 문자메시지를 실어나르는 무선전화 교환망(260);
상기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휴대폰 단말(27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메일발송 서버(210)와 메일수신 서버(230)와 문자메시지발송 서버(250)는 하나의 전자메일 서버(280)에 위치한다.
수신자의 휴대폰 단말(270)에 송신되는 메시지가 음성메시지인 경우에는, 상기 문자메시지발송 서버(250) 대신에 음성메시지발송 서버를 설치하면 된다. 수신자의 메시지 수신 단말이 휴대폰이 아닌 일반 유선 전화기인 경우에는, 상기 휴대폰 교환망(260) 대신에 유선전화 교환망을 설치하고, 전달되는 메시지도 문자가 아닌 음성으로 대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의 전환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휴대폰 번호를 사용한 전자메일 송수신 방법의 단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보면, 인터넷을 통하여 메일을 송수신하는 전자메일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전자메일 ID를 생성할 때, 휴대폰 번호를 통하여 '휴대폰번호@메일서버주소' 형태의 메일 ID를 생성하는 메일 ID생성 단계(S100);
휴대폰 번호를 가진 수신자에게 메일을 작성하여 발송하는 메일작성 및 발송 단계(S110);
시스템은 수신자의 메일 ID를 확인하여 시스템에 기등록된 것인지 아니면 미등록된 것인지를 확인하는 수신자 메일 ID 확인 단계(S120);
상기 수신자 메일 ID 확인 단계(S120)에서 수신자 메일이 등록되어있지 않은 것이면, 수신메일 ID를 ″휴대폰번호@메일서버주소″의 형태로 신규 생성하는 단계(S130);
상기에서 발송된 메일을 수신 메일 ID의 수신함에 저장하는 메일 수신 단계(S140); 및
상기 수신자의 휴대폰에 문자메시지를 통보하는 문자메시지 발신 단계(S150);로 이루어져 있다.
문자메시지를 통보하는 문자메시지 발신 단계(S150)는 수신자가 메일을 확인하지 않은 경우 선택적으로 한번 이상 반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 확인이 안된 메일에 대하여 통보할 수 있는 기능을 강화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전화번호@메일서버주소″라는 간단한 개념의 메일 ID를 이용함으로써, 모든 사람 내지 기업들이 용이하게 전자메일을 이용할 수 있고, 종래의 특정 메일 ID를 별도로 기억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신자의 전화번호만을 알고 있어도 메일을 자유롭게 보낼 수 있다. 또한. 수신자가 메일 ID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메일을 보낼 수 있으며, 메일의 착신을 자동으로 통보해주므로 매우 편리하다.

Claims (11)

  1. 인터넷을 통하여 메일을 송수신하는 전자메일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자가 인터넷상에서 메일을 작성하고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근거한 전화번호 메일 ID로 메일을 발송하는 메일발송 단말;
    상기 메일발송 단말에서 작성된 메일을 보관·저장 관리하며, 이를 메일수신 서버에 발송하는 메일발송 서버;
    메일발송 단말과 메일수신 단말을 메일발송 서버 및 메일수신 서버에 연결해주는 인터넷망;
    상기 메일발송 서버에서 발송된 메일을 수신하여, 수신자의 전화번호 메일 ID가 있으면 그 메일 ID로 메일을 보내고, 수신자의 전화번호 메일 ID가 없으면 이를 새로이 생성하여 수신된 메일을 보관·저장하고 메시지발송 서버에 이를 통보하는 메일수신 서버;
    상기 수신된 메일을 확인할 수 있는 메일수신 단말;
    상기 메일수신 서버로부터 통보받은 수신메일 정보를 수신자의 전화에 메시지로 통보해주는 메시지발송 서버;
    상기 메시지를 실어나르는 전화 교환망;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메일 ID가 ″전화번호@메일서버주소″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발송 서버와 메일수신 서버 및 메시지발송 서버는 하나의 전자메일 서버에 위치하거나 또는 하나의 인트라넷으로 묶이어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발송 서버는 수신자가 메일을 확인하지 않았을 경우, 발신자가 선택한 통보 횟수 및 기간만큼 수신자에게 한번 이상 메시지로 통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는 유선전화 또는 무선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발송 서버에서 발송하는 메시지는 문자메시지 및/또는 음성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7. 인터넷을 통하여 메일을 송수신하는 전자메일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전자메일 ID를 생성할 때, 전화번호에 근거한 전화번호 메일 ID의 생성 단계;
    전화번호를 가진 수신자에게 메일을 작성하여 발송하는 메일작성 및 발송단계;
    시스템은 수신자의 메일 ID를 확인하여, 시스템에 기등록된 것인지 아니면 미등록된 것인지를 확인하는 수신자 메일 ID 확인 단계;
    상기 수신자 메일 ID 확인단계에서 수신자 메일이 미등록된 것이면, 전화번호 메일 ID의 형태로 수신자 메일 ID를 새로이 생성하는 단계;
    상기에서 발송된 메일을 수신 메일 ID의 수신함에 저장하는 메일 수신 단계;
    상기 수신자의 전화에 메시지를 통보하는 메시지 발신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송수신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메일 ID는 ″전화번호@메일서버주소″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송수신 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수신자가 메일을 확인하지 않았을 경우, 발신자가 선택한 통보 횟수 및 기간만큼 수신자에게 한번 이상 메시지로 통보하도록, 상기 메시지 발신 단계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송수신 방법.
  10.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송신자에 의해 메일계정이 신규로 만들어진 경우, 상기 메시지에는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임의의 비밀번호가 포함되어 있고, 수신자는 상기 임의의 비밀번호를 수신한 후 그 비밀번호로 시스템에 접속하고, 접속한 후에는 비밀번호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송수신 방법.
  11.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메일이 수신함에 도착하면, 수신자는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고도 메일 텍스트를 음성으로 들려주는 서비스를 통하여 음성으로 들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송수신 방법.
KR1020000075380A 2000-12-12 2000-12-12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20010035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380A KR20010035063A (ko) 2000-12-12 2000-12-12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380A KR20010035063A (ko) 2000-12-12 2000-12-12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063A true KR20010035063A (ko) 2001-05-07

Family

ID=1970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380A KR20010035063A (ko) 2000-12-12 2000-12-12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506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184A (ko) * 2001-08-07 2003-02-14 주식회사 사이버다인 전화번호를 이용한 이메일/팩스메일 서비스 제공방법
KR20030029169A (ko) * 2001-10-05 2003-04-14 최중인 단문메시지서비스를 통한 포워딩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52672A (ko) * 2001-12-21 2003-06-27 (주)네오텍 이동전화번호를 도메인으로 이용한 개인정보공간 제공방법
KR20040001771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맵 아이디를 이용한 가입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93104B1 (ko) * 2001-09-29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전화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184A (ko) * 2001-08-07 2003-02-14 주식회사 사이버다인 전화번호를 이용한 이메일/팩스메일 서비스 제공방법
KR100493104B1 (ko) * 2001-09-29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전화기
KR20030029169A (ko) * 2001-10-05 2003-04-14 최중인 단문메시지서비스를 통한 포워딩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52672A (ko) * 2001-12-21 2003-06-27 (주)네오텍 이동전화번호를 도메인으로 이용한 개인정보공간 제공방법
KR20040001771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맵 아이디를 이용한 가입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41560A1 (en)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messages
WO2006071431A2 (en) Universal temporary communication id with service integration
CN105246056A (zh) 一种移动终端即时通讯处理方法及装置
KR100243099B1 (ko) 단문 서비스를 이용한 전자우편 통지 방법
CN101515905B (zh) 一种电子邮箱建立方法及系统
US8249560B2 (en) Sending method, receiving method, and system for email transfer by short message
JP2002262353A (ja) 情報送達管理装置、移動通信端末、情報送達確認システム、および情報送達確認方法
KR20010035063A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JP3629107B2 (ja) 着信通知携帯端末使用電子メールシステム
CN101022574B (zh) 一种彩信转语音的方法
KR2005000832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일 차단 방법
US8472988B2 (en) 2-way texting through hosted applications
KR100669579B1 (ko) 저장 데이터를 요청하고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610901B1 (ko) 정보메시지의 필터링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498325B1 (ko)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0713957B1 (ko) 멀티미디어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문자메시지 확인방법
JP4699186B2 (ja) 通信装置
KR20000050061A (ko) 메일서버에서 송수신되는 메일을 이동통신기기로 발송하는방법
KR20030013184A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이메일/팩스메일 서비스 제공방법
KR20070013531A (ko)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3871314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40058732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자메일 응답방법
KR10075583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알림 메시지 서비스 제어 방법
JP2005086291A (ja) 電子メール受信拒否方法およびメールサーバ
KR20040051217A (ko) 메시지 수신 확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