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634A - 홀-효과 좌석벨트 인장력 센서 - Google Patents

홀-효과 좌석벨트 인장력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634A
KR20010032634A KR1020007005912A KR20007005912A KR20010032634A KR 20010032634 A KR20010032634 A KR 20010032634A KR 1020007005912 A KR1020007005912 A KR 1020007005912A KR 20007005912 A KR20007005912 A KR 20007005912A KR 20010032634 A KR20010032634 A KR 20010032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seat belt
housing
base
hall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스.밀러 그레고리
Original Assignee
진 에이. 테넌트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라보라토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 에이. 테넌트,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라보라토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진 에이. 테넌트
Publication of KR20010032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63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6Child-seat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7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movement of a third element, the position of Hall device and the source of magnetic field being fixed in respec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41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belt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60R21/0155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sensing belt 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Bag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자동차 좌석벨트(12)용 인장력 센서(10)는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핀 블럭(16,18)을 구비하는 베이스(14) 및 좌석 벨트(12)를 가이드하도록 각각 간격지워진 복수의 상부 및 하부 가이드 핀(20,22)을 포함한다. 이동가능한 플런저(40)를 수용하도록 오리피스(32)를 구비하는 플런저 하우징(30)은 베이스(14)에 고정된다. 플런저(40)는 좌석벨트(12)가 최소의 마찰력으로 플런저(40) 위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상부(42)를 구비한다. 복수의 스프링(46)는 플런저(40)가 인장력하에 있을때 좌석벨트(12)의 측면력(lateral force)에 대하여 바이어스되도록 베이스(14)와 플런저(40) 사이에 배치된다. 플런저에 고정된 영구 자석(50)은 플런저(40)가 좌석 벨트(12)에 의해 내리눌려질때 홀 효과 센서(52)로 근접 이동한다. 홀 효과 센서(52)는 자속에 따라 반응하는 출력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홀-효과 좌석벨트 인장력 센서{HALL-EFFECT SEAT BELT TENSION SENSOR}
관련된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홀 효과 좌석벨트 인장력 센서"라는 명칭으로 1997년 12월 10에 제출되어 계류중인 미국 가출원 번호 제 60/069,172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자동차 제조업자 및 국립 고속도로 운송 안전 협회는 장점보다 많은 해악을 일으킬 지도 모르는 상황에있는 자동차 에어백(air bags)을 대체하는 방법을 조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고속 충돌시 175 lb인 성인을 보호하기에 충분한 힘을 지니도록 발전되었다. 아동이 좌석 점유자가 될시 동일한 에어백의 전개(development)는 상기 백(bag)의 팽창으로 발생된 힘에 의해 심각한 부상을 유발하게 된다.
결국, 좌석 중량 센서 및 좌석벨트 인장력 시스템은 좌석 점유자가 아동인지를 측정하기위한 시도로서 개발되고 있다. 그러한 시스템은 점유자가 작을때, 또는 심지어 아동이 배면 유아용 좌석, 전면 아동용 좌석 또는 부스터(booster) 좌석에 있을때 조차 식별하여야 한다. 아동용 좌석이 존재할때 점유자 중량 측정은 좌석벨트의 인장력에 의해 아동용 좌석에 적용된 하향력(downward force)으로 인해 더욱 복잡하다. 아동용 좌석이 팽팽하게 묶여 있을때, 상기 좌석벨트는 아동용 좌석을 자동차의 좌석으로 힘을 가하여 측정된 중량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아동 또는 유아가 좌석에 존재할 때에 에어백을 전개시키게 된다.
인장력 측정 메카니즘은 좌석벨트의 버클(buckle)에 통합되어 왔다. 일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버클은 스프링에 바이어스된다. 상기 벨트가 큰 인장력하에 있을때, 상기 버클은 자동차 프로세서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스위치를 제어하도록 앞쪽으로 당겨진다.
게다가, 상기 벨트의 일측에 스프링 스틸 굽힘 센서를 부착하여 좌석벨트 인장력을 탐지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벨트 인장력이 증가할때, 저항의 변화가 센서에서 발생하며 아날로그 신호는 유사한 벨트 인장력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필드 테스트는 센서가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온도 보상을 필요로함을 지적한다.
상술한 좌석벨트 인장력 측정법은 많은 단점으로 인하여 어렵다. 초기에, 많은 추가 부품이 좌석벨트 리트랙터(retractor) 또는 버클 형성을 위해 요구되므로 자동차 조립시 복잡성 및 비용 추가로 인하여 현존하는 자동차를 갱신시 상당한 어려움을 발생시킨다. 게다가, 기계적 스위치 및 굽힘 센서 시스템은 제한된 서비스 수명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주기적인 교체 또는 조정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유아용 좌석 또는 다른 무생물이 상기 좌석에 벨트로 묶여있음을 가리킴으로써 상기 좌석벨트가 높은 인장력하에 있는지를 탐지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일정한 점유자에 대해 에어백이 배치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좌석 중량 센서와 공동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좌석벨트 인장력의 지속적인 측정을 제공하며 바람직한 탐지의 한계 레벨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승객 보호(restraint)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홀 효과 센서를 활용하는 자동차에서 좌석벨트 인장력을 측정하는 센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라인 4-4의 방향에서 취한 발명의 도
도 5는 도 4의 라인 5-5를 따라 취한 본발명의 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본 발명은 좌석벨트에 인장력의 레벨을 탐지할 수 있는 홀 효과 센서를 통합한 자동차 좌석벨트 인장력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좌석벨트가 탄력에 의해 상향으로 바이어스된 플런저(plunger) 위로 이동하는 곳에서 라우팅(routing)하는 좌석벨트에 의하여 센서를 경유하여 인장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플런저는 거기에 덧붙여 고정된 영구 자석을 구비하며 증가된 좌석벨트 인장력이 상기 플런저를 탄력에 대항하여 하향으로 힘을 가할때 홀 효과 센서에 아주 근접하여 이동된다.
상기 센서는 상기 좌석벨트를 형성된 플런저 위로 가로질러 라우팅하도록 복수의 벨트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좌석벨트에서 인장력이 증가하면, 상기 플런저는 하향으로 이동된다.
센서 하우징에 고정된 "홀 효과" 센서는 그것을 경유하는 자속의 양에 반응을 한다. 상기 플런저에 고정된 영구 자석이 홀 효과 센서에 아주 근접하여 이동하므로, 상기 센서는 자석에 의해 생성된 변화하는 자속의 양의 지배하에 있으며 거기에서 반응하는 출력을 발생한다. 홀 효과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승객 보호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입력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승객 보호 시스템에 대한 하나의 출력, 또는 복수의 그것에 일치하여 제공되므로 출력 신호는 에어백의 전개을 억제하거나 높은 벨트 인장력의 탐지에 따른 그것의 팽창 특성을 수정하도록 발생된다.
홀 효과 센서는 반도체를 경유하는 전류의 방향에 직각으로 적용된 자계가 그안에 전계가 생성되도록 야기하는 원리로 작용하는 반도체 장치가 본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반도체 자재에서 이 결과적인 전계는 전류의 방향 및 그것에 적용된 자계에 일반적으로 직각이다. 전계는 반도체를 가로질러 측정되는 전압을 생성하며, 그것에 의하여 반도체에 적용된 자계 강도의 표시를 제공한다. 홀 효과 센서의 변화는 지속적인 아날로그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센서로부터 자속의 기결정된 레벨에 반응하는 디지탈 출력을 제공하는 센서에까지 쉽게 이용될 수 있다. 후자는 한계 벨트 인장력 탐지가 요구되는 곳에 사용될 수 있다. 홀 효과 센서는 강하며 온도 변화에 민감하지 않으므로, 그래서 주기적인 재측정 및 조정의 필요성을 방지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홀 효과 센서에 의해 제공된 전압 신호로부터 좌석벨트 인장력을 계산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계산된 벨트 인장력은 무생물 또는 유아용 좌석의 존재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벨트 인장력이 10 파운드 이상으로 탐지되면, 사람은 자동차 좌석에 존재하지 않는것 같다. 왜냐하면 벨트 인장력이 10 파운드 이상이면 승객에게는 일반적으로 불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높은 인장력이 탐지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에어백 전개를 억제하는 에어백 제어 시스템으로 출력을 생성한다.
게다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홀 효과 센서는 센서 기술 적용에서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므로, 본 발명은 현존하는 좌석벨트 시스템의 변경 또는 재수정의 필요없이 갱신된 강건한 좌석벨트 인장력 측정 시스템을 현존하는 자동차에 제공한다. 이것은 연방 표준을 충족시키도록 안전 보호 시스템을 수정시 포함된 비용 및 시간을 제거함으로써 자동차 제조업자에게 상당한 잇점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할 수 있는 센서 기술로 좌석밸트 인장력을 측정하도록 통합하는 좌석벨트 인장력 측정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며 유아용 좌석이 존재할 때 에어백의 전개을 제한하도록 신호를 에어백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 제조업제에 의해 사용하기 전에 상기 좌석 벨트 시스템의 재수정을 필요로하지 않는 간단한 기계적 설계를 구비하는 좌석벨트 인장력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 변화에 민감하지 않는 좌석벨트 인장력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계-타입 인장력 측정보다 좌석벨트 인장력의 지속적 또는 한계 측정을 생성하는 좌석벨트 인장력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언급된 실시예의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더 확실히 이해될 것이다. 이 설명은 자동차 안전 보호 시스템에 관련된 본 발명의 적용을 기술할 것이며,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 승객 보호와 관련되지 않은 다른 인장력 측정 적용에 활용될 것이라는 것은 당 기술의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언급된 조립된 실시예와 일치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좌석벨트(12)용 좌석벨트 인장력 측정 시스템(10)은 베이스(14)를 포함하며 그곳으로부터 연장되어 각각 대향된 제 1 및 제 2 가이드 핀 블럭(16,18)을 구비한다. 복수의 간격지워진 상부 가이드 핀(20)과 하부 가이드 핀(22)은 상기 대향된 가이드 핀 블럭(16,18) 사이를 연장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 핀(20)은 상기 좌석벨트(12)가 상부 가이드 핀과 하부 가이드 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가이드 핀(22)에 대하여 간격지워져 있다.
오리피스(32)와 그 안에 배치된 복수의 슬롯(34)을 구비하는 플런저 하우징(30)은 하부 가이드 핀(22)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14)에 고정된다. 상기 플런저 하우징(30)의 오리피스(32)는 그 안에 플런저(40)를 수용하도록 형상지워져 있다. 상기 플런저(40)는 상기 좌석 벨트(12)가 최소의 마찰력으로 상기 플런저(40)를 가로질러 슬라이드하도록 형상지워진 상부(42)를 구비한다. 상기 플런저(40)는 그곳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멈춤쇠(44)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30) 내에 상기 플런저(40)를 고정시키도록 플런저 하우징(30)의 복수의 멈춤쇠 슬롯(34)과 결합한다.
복수의 스프링(46)은 상기 플런저(46)와 베이스(1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46)은 상기 플런저(40)를 상기 상부 가이드 핀(20) 쪽의 상향으로 바이어스한다.
영구 자석(50)은 상기 플런저(40)의 한 지점에 고정된다. 홀 효과 센서(52)는 베이스(14)의 한 지점에 고정되어 상기 플런저(40)가 상부(20) 및 하부(22)의 가이드 핀 및 상기 플런저(40) 위로 라우트(route)하는 상기 좌석벨트(12)에 의해 스프링(46)의 힘에 대하여 하향으로 바이어스될 때 상기 자석(50)은 상기 센서(52)로 근접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자석(50)이 상기 홀 효과 센서(52)에 접근하면, 상기 자석에 의해 생성된 자계는 상기 센서(52)를 투과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52)는 그곳을 경유하는 자계의 강도에 따라 반응하는 전기적 출력(54)을 생성한다. 상기 홀 효과 센서 출력(54)은 에어백과 같은 자동차 승객 보호를 제어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로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홀 효과 센서(52)의 넓은 변형은 좌석벨트 인장력의 변화하는 레벨을 탐지하도록 쉽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단한 인장력 한계 탐지는 디지탈(또는 불연속) 출력(54)를 구비하는 홀 효과 센서(52)를 채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출력(54)은 상기 센서(52)가 기결정된 자계 강도에 의해 투과될때 활성화된다. 상기 영구 자석(50)의 위치는 좌석벨트(12) 인장력의 기결정된 레벨이 현존할때만 상기 센서(52)의 출력(54)를 일으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런 방식으로 점유자가 불편해하는 그 이상의 좌석벨트(12) 인장력의 레벨을 결정하여 자동차에 묶인 유아용 좌석의 존재를 탐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센서(10)는 영구 자석(50)과 홀 효과 센서(52)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것 뿐만 아니라 상기 플런저(40) 상의 스프링(46)의 탄성율을 조정하여 다양한 좌석벨트(12) 인장력 부하를 탐지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상기 홀 효과 센서(52)는 지속적인 아날로그 출력(54)를 제공하므로 상기 출력(54)은 상기 센서(52)를 투과하는 자계 강도에 따라 반응하는 시간-변화 아날로그 또는 디지탈 신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좌석벨트 인장력 센서(10)는 상부 하우징(60)을 포함하며 그곳으로부터 연장된 간격지워진 한 쌍의 완전한 좌석밸트 가이드(62)를 구비한다. 간격지워진 한 쌍의 완전한 좌석벨트 가이드(72)를 구비하는 하부 하우징(70)은 상부 하우징(60)에 고정된다. 상기 하부 좌석벨트 가이드(72)는 좌석벨트(12)가 상부 및 하부 좌석벨트 가이드사이를 자유스럽게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 좌석 벨트 가이드(62)에 대하여 간격지워져 있다.
플런저 하우징(80)은 가이드(72) 사이의 하부 하우징(70)으로부터 연장한다, 그리고 하우징 립부(84)에 의해 한정된 그 안에 오리피스(82)를 구비한다. 플런저(90)는 상기 플런저 하우징(80)의 오리피스(82)내에 배치된다. 상기 플런저(90)는 상기 좌석벨트(12)가 최소의 마찰력으로 가로질러 슬라이드하도록 형성된 상부(92)를 구비한다. 상기 플런저(90)는 또한 하부(94)를 구비하여 그곳으로부터 연장되는 립(96)을 구비한다. 상기 립(96)은 상기 플런저 하우징(80)의 립부(84)와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80) 내에 상기 플런저(90)를 고정한다. 복수의 스프링(98)은 상기 플런저(90)를 상부 하우징(60)으로 상향하도록 플런저(90)와 하부 하우징(70)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언급된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는 상기 플런저의 한 지점에 고정된 영구 자석(50)을 더 포함한다. 홀 효과 센서(52)는 하부 하우징(70)의 한 지점에 고정되어 상기 플런저(90)가 각각의 상하 벨트 가이드(62,72) 사이와 상기 플런저(90) 위로 라우트하는 상기 좌석벨트(12)에 의하여 스프링(98)의 힘에 대해 하향으로 바이어스될 때 상기 자석(50)은 상기 센서(52)로 근접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자석(50)이 홀 효과 센서(52)로 접근하면, 자석(50)에 의해 생성된 자계는 상기 센서(52)를 투과한다. 그 후 상기 센서(52)는 그곳을 경유하는 자계의 강도에 따라 전기적인 출력(54)을 생성한다. 상기 출력(54)은 에어백과 같은 자동차 승객 보호를 제어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로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좌석벨트 인장력 센서(10)는 베이스(100)를 포함하며 그곳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완전한 좌석 벨트 가이드(102)를 구비한다. 각각의 좌석벨트 가이드(102)는 좌석벨트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그 안에 슬롯(104)를 구비한다.
수직 원통 플런저 하우징(110)은 개방 상단부(112)와 좌석 벨트 가이드 (102) 사이의 베이스(100)에 고정된 하단부(114)를 구비한다. 상기 플런저 하우징(110)은 그곳에 복수의 멈춤쇠 슬롯(116)을 구비한다.
제공된 플런저(120)는 상기 좌석벨트(12)가 최소의 마찰력으로 상기 플런저(120)를 가로질러 이동하도록 형성된 상부(122)를 구비하고 수직 원통 하부(124)를 구비하여 그곳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멈춤쇠(126)를 구비한다. 상기 플런저 하부(124)는 상기 플런저 하우징(110) 내에 배치된다. 상기 플런저 하부(124)의 멈춤쇠(126)는 하우징(110)의 멈춤쇠 슬롯(116)과 결합하므로, 하우징(110) 내에 플런저(120)를 고정시킨다.
게다가, 접시 스프링(또는 접시 와셔)(130)은 플런저 하부(124)와 베이스(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런저(120)를 베이스(100)로부터 멀어지도록 상향으로 바이어스한다.
본 발명의 언급된 실시예에 따라, 본 실시예는 플런저(120)의 한 지점에 고정된 영구 자석(50)을 더 포함한다. 홀 효과 센서(52)는 베이스(100)의 한 지점에 고정되어 상기 플런저(120)가 좌석벨트 가이드(120)의 슬롯(104)을 경유하고 상기 플런저(120) 위로 라우트하는 상기 좌석벨트(120)에 의해 상기 접시 스프링(130)의 힘에 대하여 하향으로 바이어스될 때 상기 자석(50)은 센서(52)로 근접 이동하게 된다. 좌석벨트(12)의 인장력이 증가하면, 상기 플런저(120)는 끌어내려짐에 따라 자석(50)에 의해 생성된 자계가 상기 센서(52)를 투과하도록 상기 자석(50)을 상기 홀 효과 센서(52)로 근접하여 이동된다. 그 후 상기 센서(52)는 그곳을 경유하는 자계의 강도에 따라 전기적인 출력(54)을 생성한다. 출력(54)은 에어백과 같이 자동차 승객 보호를 제어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에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벨트의 수용을 위해 대향된 한 쌍의 슬롯(142)을 구비하는 센서 커버(140)는 센서(10)를 보호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상세히 기술되었으며, 본 기술에서 당업자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으로 발명의 상세한 설명서의 전반적인 가르침 에 대한 사상에서 발전할 것이라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설명된 특정 장치는 실례가 될 뿐이고 발명의 범위에 관해서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첨부된 청구항과 모든 등가물의 범위내에 있다.

Claims (9)

  1. 연장하여 대향된 제 1 및 제 2 가이드 핀 블럭을 구비하는 베이스;
    대향된 가이드 핀 블럭에 고정되어 그 사이를 연장하는 간격지워진 복수의 상부 가이드 핀;
    상기 대향된 가이드 핀 블럭에 고정되어 그 사이를 연장하며 상기 복수의 상부 가이드 핀에 대하여 간격지워진 복수의 하부 가이드 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플런저 오리피스와 그 안에 복수의 멈춤쇠 슬롯을 구비하는 플런저 하우징;
    상기 플런저 하우징의 플런저 오리피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좌석벨트가 가로질러 이동하도록 형성된 상부를 구비하며 그곳으로부터 연장되는 멈춤쇠를 구비하여 상기 멈춤쇠가 플런저 하우징의 멈춤쇠 슬롯과 결합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가 상기 상부 가이드 핀으로 바이어스되도록 상기 플런저와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스프링;
    상기 플런저의 한 지점에 고정된 영구자석; 및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한 지점에 고정되어 상기 플런저가 상기 베이스 쪽으로 바이어스될 때 상기 영구 자석의 자속이 변하며, 그 자속에 따라 반응하는 출력을 구비하는 홀 효과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인장력 센서.
  2. 연장되어 간격지워진 한 쌍의 완전한 좌석벨트 가이드를 구비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에 고정되어 그곳으로부터 연장되어 간격지워진 한 쌍의 완전한 좌석벨트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좌석벨트 가이드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좌석벨트 가이드에 대하여 간격지워져 배치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좌석벨트 가이드 사이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며, 하우징 립부에 의해 한정된 그 안에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플런저 하우징;
    상기 플런저 하우징의 오리피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좌석벨트가 가로질러 이동하도록 형성된 상부와, 연장된 립을 구비하는 하부를 구비하여 상기 플런저 하우징 립부와 결합함에따라 상기 플런저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가 상기 상부 하우징으로 바이어스되도록 상기 플런저와 하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스프링;
    상기 플런저의 한 지점에 고정된 영구 자석;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어느 한 지점에 고정되어 상기 플런저가 상기 하부 하우징 쪽으로 바이어스될 때 상기 영구 자석의 자속이 변하며, 그 자속에 따라 반응하는 출력을 구비하는 홀 효과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인장력 센서.
  3. 간격지워진 한 쌍의 좌석벨트 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좌석벨트를 수용하도록 그 안에 슬롯을 각각 구비하는 베이스;
    개방 상단부 및 하단부를 구비하여 상기 한 쌍의 좌석밸트 가이드 사이의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그 안에 복수의 멈춤쇠 슬롯을 구비하는 수직 원통 플런저 하우징;
    상기 좌석벨트가 가러질러 이동하도록 형성된 상부 및 연장된 복수의 멈춤쇠를 갖춘 수직 원통 하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는 상기 플런저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그 안의 멈춤쇠 슬롯이 상기 플런저 하부의 멈춤쇠와 결합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멀리 상향으로 바이어스되도록 상기 플런저 하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 접시 스프링;
    상기 플런저의 한 지점에 고정된 영구 자석; 및
    상기 베이스의 어느 한 지점에 고정되어 상기 플런저가 상기 베이스 쪽으로 바이어스될 때 상기 영구 자석의 자속이 변하며, 그 자속에 따라 반응하는 출력을 구비하는 홀 효과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인장력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효과 센서의 출력은 아날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벨트용 인장력 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효과 센서의 출력은 디지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벨트용 인장력 센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 효과 센서의 출력은 아날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벨트용 인장력 센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 효과 센서의 출력은 디지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벨트용 인장력 센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 효과 센서의 출력은 아날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벨트용 인장력 센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 효과 센서의 출력은 디지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벨트용 인장력 센서.
KR1020007005912A 1997-12-10 1998-12-10 홀-효과 좌석벨트 인장력 센서 KR200100326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17297P 1997-12-10 1997-12-10
US60/069,172 1997-12-10
US9/208,558 1998-12-09
US09/208,558 US6205868B1 (en) 1997-12-10 1998-12-09 Hall-effect seat belt tension sensor
PCT/US1998/026184 WO1999029538A1 (en) 1997-12-10 1998-12-10 Hall effect seat belt tension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634A true KR20010032634A (ko) 2001-04-25

Family

ID=2674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912A KR20010032634A (ko) 1997-12-10 1998-12-10 홀-효과 좌석벨트 인장력 센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05868B1 (ko)
EP (1) EP1035990A4 (ko)
JP (1) JP2002500977A (ko)
KR (1) KR20010032634A (ko)
CA (1) CA2311299A1 (ko)
WO (1) WO19990295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3793B2 (en) * 1998-01-02 2002-04-02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Compressive Villari effect seatbelt tension sensor
US6447010B1 (en) * 1999-06-30 2002-09-10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Seat belt force sensor system
JP4157677B2 (ja) 1999-10-06 2008-10-01 タカタ株式会社 乗員拘束保護装置
US6454304B1 (en) * 1999-10-22 2002-09-2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sensing and restraining an occupant of a vehicle seat
KR20020072570A (ko) * 2000-01-24 2002-09-16 지멘스 비디오 오토모티브 코포레이션 벨트력 센서
US6820458B2 (en) * 2000-05-04 2004-11-23 Key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force sensor
US6400145B1 (en) * 2000-05-04 2002-06-0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Seat belt tension sensor, methods of integration and attachment
EP1280683B8 (en) * 2000-05-12 2010-02-17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Seat belt force sensor system
DE10026444C2 (de) 2000-05-30 2002-04-04 Autoliv Dev Sicherheitsgurtsystem mit einer Messanordnung zur Bestimmung der Gurtbandkraft
US6793032B2 (en) 2000-09-29 2004-09-21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Seatbelt force sensor assembly with guide member
US6508114B2 (en) * 2000-11-29 2003-01-21 Casco Products Corporation Webbing tension sensor
US6450534B1 (en) 2001-05-25 2002-09-17 Cts Corporation Seat belt tension sensor
US6647811B2 (en) 2001-06-19 2003-11-18 Cts Corporation Seat belt tension sensor with overload protection
US7263906B2 (en) * 2001-06-19 2007-09-04 Cts Corporation Seat belt tension sensor
US7373845B2 (en) * 2001-06-19 2008-05-20 Cts Corporation Seat belt tension sensor
US7086297B2 (en) * 2001-08-06 2006-08-08 Cts Corporation Seat belt tension sensor having shock isolation
US6578432B2 (en) 2001-06-19 2003-06-17 Cts Corporation Seat belt tension sensor
US7347108B2 (en) * 2001-06-19 2008-03-25 Cts Corporation Seat belt tension sensor
US7272979B2 (en) * 2001-06-19 2007-09-25 Cts Corporation Seat belt tension sensor having an integral connector
US6854415B2 (en) * 2001-06-29 2005-02-15 Finecard International Limited Seat belt tension sensing device
US6776056B2 (en) 2001-08-06 2004-08-17 Cts Corporation Seat belt tension sensor
US20030066362A1 (en) * 2001-08-29 2003-04-10 Lee Shih Yuan Seat belt tension sensor
US6679524B2 (en) * 2001-11-14 2004-01-20 Delphi Technologies, Inc. Tension sensing assembly
US6481750B1 (en) 2001-11-27 2002-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eat belt restraint system for vehicle occupants with automatic belt tension compensation
US6796192B2 (en) 2001-12-19 2004-09-28 Delphi Technologies, Inc. Pass through seat restraint tension sensing assembly
DE10204846A1 (de) * 2002-02-06 2003-08-14 Delphi Tech Inc Sensor
US6829952B2 (en) * 2002-02-13 2004-12-14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Seat belt tension sensor
US6868745B2 (en) * 2002-05-07 2005-03-22 Delphi Technologies, Inc. Seat restraint buckle and tension sensing assembly
US6957829B2 (en) * 2002-05-10 2005-10-25 Delphi Technologies, Inc. Tension sensing assembly
US6843143B2 (en) * 2002-06-07 2005-01-18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Seat belt tension sensor
JP2005532942A (ja) * 2002-07-10 2005-11-04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ラボラトリ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シートベルトをシートベルト張力センサに取り付ける方法
US6729194B2 (en) 2002-07-25 2004-05-04 Cts Corporation Hall effect seat belt tension sensor
DE10243344B4 (de) * 2002-09-18 2004-09-16 Siemens Ag Gurtkraft-Messeinrichtung
US6854782B2 (en) * 2003-01-03 2005-02-15 Lear Corporation Seat position sensing device for use in occupant restraint
US6978687B2 (en) 2003-01-17 2005-12-27 Stoneridge Control Devices, Inc. Seat belt tension sensor
US6997478B2 (en) * 2003-03-14 2006-02-14 Delphi Technologies, Inc. Tension sensing assembly
US20040256877A1 (en) * 2003-04-08 2004-12-23 Tromblee Gerald Alan Child safety seat sensor system and method
US7347452B2 (en) * 2003-04-23 2008-03-25 Delphi Technologies, Inc. Tension sensing assembly
US6952974B2 (en) * 2003-06-12 2005-10-11 Delphi Technologies, Inc. Seat belt tension sensor
US6903286B2 (en) * 2003-06-25 2005-06-07 Cts Corporation Tension sensing device
US6994397B2 (en) * 2003-06-26 2006-02-07 Lear Corporation Vehicle occupant sensing system having sensor assemblies with variable blasing member
DE10338995A1 (de) * 2003-08-25 2005-05-12 Trw Repa Gmbh Gurtkraftsensor
US7566271B2 (en) * 2003-09-10 2009-07-28 Igt Gaming device having a selection game with multiple groups of potential outcomes
WO2005059493A1 (en) * 2003-12-09 2005-06-30 Kendrion Holmbergs Ab Tension indicator
FR2869990B1 (fr) * 2004-05-04 2006-06-23 Francis Gibert Controleur de forces de tension d'organes allonges, notamment de ceintures de securite, et procede de controle
ES2249169B1 (es) * 2004-09-02 2007-03-16 Dinacell Electronica, S.L. Celula de carga para ascensores y similares.
GB0426357D0 (en) * 2004-12-01 2005-01-05 Britax Childcare Ltd Tension indicator
US7383744B2 (en) * 2005-02-18 2008-06-10 Stoneridge Control Devices, Inc. Seat belt tension sensor
GB0517532D0 (en) * 2005-08-27 2005-10-05 Britax Excelsior Tension indicator
CN101544042A (zh) * 2008-03-26 2009-09-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检测装置
US8941502B2 (en) 2011-06-17 2015-01-27 Impulse Inc. Llc Catenary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190064019A1 (en) * 2016-02-23 2019-02-28 Achiseiki Co., Ltd. Load-fastening member loosening detection device, and load-fastening member loosening detection system
US10371549B2 (en) 2016-03-22 2019-08-06 Hamlin Electronics (Suzhou) Co., Ltd. Magnetic sensor system
US10857916B2 (en) * 2017-04-13 2020-12-08 Chad Glerum Seat belt tension indicator
US10724911B1 (en) 2017-06-16 2020-07-28 Conveyor Dynamics, Inc. Belt tension measuring device
US10787150B2 (en) 2017-07-15 2020-09-29 Cts Corporation Switch assembly for vehicle seat belt buckle
CN111721345B (zh) * 2019-03-20 2024-05-07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标定系统及其标定支架
DE102020109340A1 (de) 2020-04-03 2021-10-07 Bpw Bergische Achsen Kommanditgesellschaft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in einem Gurtband wirkenden Spannkraft
CA3098709A1 (en) * 2020-11-10 2022-05-10 Intelligent Secure Strap Inc. Strap tension detector
US11993199B2 (en) * 2021-05-18 2024-05-28 John Andrew Schultz Wireless transmitting strap tension monito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2302A (en) 1943-07-16 1948-10-26 British Ropes Ltd Cable tensiometer
US3462731A (en) 1966-01-03 1969-08-19 Steven M Gray Alarm for vehicle safety belts
US3426589A (en) 1966-07-18 1969-02-11 Lebow Associates Inc Tension transducer
US3618378A (en) 1969-10-02 1971-11-09 Chrysler Corp Seat belt transducer
US3817093A (en) 1972-10-05 1974-06-18 Ford Motor Co Seat belt webbing tension measuring device
US4597297A (en) 1984-02-28 1986-07-01 Badische Corporation Tension measurement device
DE3637922A1 (de) 1986-11-06 1988-05-19 Philips Patentverwaltung Anordnung zur messung der spannung von montierten antriebsriemen
US5157966A (en) 1990-02-20 1992-10-27 The Torrington Company Transmission speed sensor
DE4129803A1 (de) 1991-09-07 1993-03-11 Schlafhorst & Co W Fadenzugkraftsensor fuer eine textilmaschine
US5333902A (en) 1993-11-24 1994-08-02 Hatfield J Paul Portable motor vehicle safety airbag
DE19531448A1 (de) 1995-08-26 1997-02-27 Schlafhorst & Co W Elektrodynamischer Tauchspulen-Geber
US5965827A (en) * 1997-05-12 1999-10-12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Seat belt tension measurement device using a bend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5990A4 (en) 2001-09-12
CA2311299A1 (en) 1999-06-17
EP1035990A1 (en) 2000-09-20
US6205868B1 (en) 2001-03-27
JP2002500977A (ja) 2002-01-15
WO1999029538A1 (en) 199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2634A (ko) 홀-효과 좌석벨트 인장력 센서
US6554318B2 (en) Seat belt tension sensor
US5965827A (en) Seat belt tension measurement device using a bend sensor
US6729194B2 (en) Hall effect seat belt tension sensor
US6230088B1 (en) Assembly of seat belt buckle and seat belt tension sensor
US6081759A (en) Seat belt tension sensor
US6851503B2 (en) Seat belt tension sensor assembly
EP0910524B1 (en) Seat belt tension prediction system using an accelerometer mounted to the seat frame and a weight sensor
JP4932126B2 (ja) ウェビング張力センサ
US7116220B2 (en) Seat belt latch sensor assembly
US6129168A (en) Weight sensor for vehicular safety restraint systems
EP1150584B1 (en) Seat belt buckle sensor
US20030150283A1 (en) Seat Belt Tension Sensor
KR20000069178A (ko) 빌라리 효과 좌석벨트 인장센서
KR20000070299A (ko) 압축 빌라리 효과 좌석벨트 인장센서
US20040226767A1 (en) Seat belt latch sensor assembly
US7347108B2 (en) Seat belt tension sensor
US7263906B2 (en) Seat belt tension sensor
US6729428B2 (en) Device for detecting tensile force of seat belt
US7272979B2 (en) Seat belt tension sensor having an integral connector
US20090199661A1 (en) Belt force measuring device
US71596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 latching device
JP2002337661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