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9628A - 교류 전원 접지측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교류 전원 접지측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628A
KR20010029628A KR1020000018617A KR20000018617A KR20010029628A KR 20010029628 A KR20010029628 A KR 20010029628A KR 1020000018617 A KR1020000018617 A KR 1020000018617A KR 20000018617 A KR20000018617 A KR 20000018617A KR 20010029628 A KR20010029628 A KR 20010029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ground
switch
ground sid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노리 이카케
Original Assignee
가츠노리 이카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츠노리 이카케 filed Critical 가츠노리 이카케
Publication of KR20010029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62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01R19/155Indicating the presence of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01R29/085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for detecting presence or locat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자파 누설방지를 위하여 교류전원의 접지측 전원라인을 검출한다.
교류전원의 접지측 라인을 검출하기 위한 교류전원 접지측 검출장치로서, 교류전원에 접속가능한 전원단자(8)와, 전기기기의 그라운드에 접속가능한 그라운단자(5c,6)와 장치(1)의 그라운드(GN)에 상기 교류전원과 접속된 교류라인(7a, 7b)의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접속 스위칭하는 스위칭부(SW2)와, 전자파를 검출하는 안테나부(13)와 상기 장치 그라운드(GN)와 접속된 교류라인(7a, 7b)의 차이에 의한 상기 전자파의 레벨차에 의거하여 교류라인(7a, 7b)의 접지측·비접지측을 판별하는 판별부(18)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교류 전원 접지측 검출장치{DEVICE FOR DETECTING THE GROUND SIDE OF AC POWER SOURCE}
본 발명은 교류전원의 접지측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이나 기타의 일정한 나라·지역에 있어서는 일반 가정용 전원 및 일반 오피스 빌딩의 전원을 단상 2선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 전원을 이용하는 전기기기의 케이싱 및 그라운드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접지되지 않고 사용되고 있다.
특히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는 생산은 다른나라·지역에서 행해지고, 수입되는 케이스가 많고, 이들은 단상 3선식을 전제로 생산되고 있고, 3핀(이하, 3P라고도함)의 전원플러그를 표준장비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등에 있어서는 전원 방식이 단상 2선식이기 때문에 그의 콘센트는 2핀(2P)용이고, 전원을 기기에 공급함에 있어서, 3P 플러그에 2P의 변환 어댑터를 장착하고, 사용하여야한다. 따라서 본래 그 기기에 장비되어 있는 그라운드 라인은 뜬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종래는 그라운드라인이 뜬 상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불필요 전자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없었다.
또, 교류전원의 라인중 어느것인가는 접지되어있지만, 콘센트의 어느 단자가 접지측의 단자인지를 일반인에게는 알수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전기기기를 전원의 접지측 단자에 접속하여 용이하게 접지할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교류전원의 접지측 전원라인을 검출하는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의 특징은 교류전원의 접지측의 라인을 검출하기 위한 교류전원 접지측 검출장치로서 교류전원에 접속가능한 전원단자와, 전기기기(전자기기를 포함함)의 그라운드에 접속가능한 그라운드 단자와 장치의 그라운드에 상기 교류전원과 접속된 교류라인의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접속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전자파를 검출하는 안테나부와, 상기 장치 그라운드와 접속된 교류라인의 차이에 의한 상기 전자파의 레벨차에 의거하여 교류라인의 접지측·비접지측을 판별하는 판별부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또, 상기 판별부에는 상기 교류전원으로부터의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않는 주신호에 상기 안테나부에 의하여 검출된 전자파 신호를 인가한 신호를 부여하는 것이 매우 적당하다.
여기서, 교류전원으로부터의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않는 신호로서는 예를 들면 교류전원과는 별도의 전원(예를 들면, 건전지)에 의하여 생성한 신호나, 콘덴서에 충전 전압에 의하여 생성한 신호를 들수 있다.
또, 본 장치는 케이싱 내부에 적어도 상기 판정부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에는 장치의 동작에 관련하는 스위치가 설치되고, 이 스위치의 근방에 상기 안테나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적당하다. 이 경우, 전자파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더욱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안테나부는 케이싱 내부로서 상기 스위치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매우 적당하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된 회로기판에 대하여 케이싱 외부로부터 조작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매우 적당하다.
또, 상기 스위치는 장치의 동작에 관련한 스위치이면 무엇이든지 좋지만 검출개시를 상기 판별부에 지시하는 검출개시 스위치로하는 것이 매우 적당하다.
더욱더 상기 검출개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주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매우 적당하다.
또, 상기 전원단자는 콘센트에 인서트 가능한 2핀의 플러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기전자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인서트 가능한 콘센트부를 구비한 케이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상기 케이싱은 건축물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원단자는 이 건축물에 설치된 교류전원 배선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매우 적당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교류전원 접지측 검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검출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검출장치의 회로 구성 개략도이다,
도 4는 검출장치의 정면측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스위치회로 기판의 회로도이다,
도 6은 스위치회로 기판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메인회로기판에 형성된 회로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메인회로기판에 형성된 회로의 다른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전자파를 검출하는 회로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파형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교류전원 접지측 검출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교류전원 접지측 검출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교류전원 접지측 검출장치(1)의 외관을 도시하여있고, 케이싱(2) 내부에 장치회로가 배치되어 주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2a) 정면에는 장치(1)의 동작에 관련한 스위치로서의 검출개시 스위치(3)와 검출결과표시부(4)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결과표시부(4)는 3개의 상이하는 색의 LED (녹색 LED(4G), 적색 LED(4R), 황색 LED(4Y))로 이루어진다.
또 케이싱 배면(2b)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3P의 콘센트부(5,5,5,5)가 4개 설치되어 있다. 콘센트부(5)는 그라운드핀을 포함하는 3P의 전원플러그(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기·전자기기의 전원플러그)를 인서트 가능한 것으로서, 3P플러그의 교류핀이 인서트되는 2개의 교류단자(5a, 5b)와 그라운드핀의 인서트되는 그라운드단자(5c)를 구비하고 있다.
또, 케이싱 배면(2b)에는 보조그라운드단자(6)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보조그라운드단자(6)는 노트퍼스컴 등 2P의 전원플라그를 갖는 기기에도 대응하기 위한 것이고, 2P플러그를 콘센트부(5)에 인서트, 별도 기기의 그라운드와 보조그라운드단자(6)를 접속하여 사용한다.
더욱더 케이싱 배면(2b)으로부터의 전원케이블(7)이 연설되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케이블(7)의 선단에는 2P의 전원플러그(전원단자)(8)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플러그(8)에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7)의 2개의 교류라인(제 1 교류라인 (7a), 제 2 교류라인(7b))은 각각 각 콘센트부(5,5,5,5)의 교류단자(제 1 교류단자 (5a), 제 2 교류단자(5b))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이 전원플러그(8), 전원케이블 (7) 및 콘센트부(5,5,5,5)에 이르는 배선구조는 통상의 이동식 콘센트(테이블탑; 연장케이블)와 동일하다.
더욱이, 보조그라운드단자(6)는 각 콘센트부(5,5,5,5)의 그라운드단자(5c)와 그라운드라인(9)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 4는 장치(1)의 정면측(배면측은 생략) 가까이의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하여있고, 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케이싱(2) 내부에는 메인회로기판(10)과 스위치회로기판(11)이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회로기판(11)에는 도 5에 도시하는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즉, 검출개시스위치(3)와 검출결과표시부 LED (4G, 4R, 4Y)와 전기기기로부터 누설하는 전자파를 검출하기 위한 안테나부(13)와, 메인회로기판(10)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14)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3)와, 표시부(4G, 4R, 4Y)는 기판(11)의 표면(11a)에 고정되고, 동시에 케이싱(2)의 정면외부에 노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상기 안테나부(13)는 스위치(3)의 배면측에 설치되므로서 스위치(3)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전자파를 확실히 검출할 수가 있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3)를 손으로 조작(누름조작)하면, 그 손은 스위치(9)에 접촉하고 안테나부(3)에도 매우 접근한다. 안테나부(3)에 사람이 접근하면, 그 신체가 매개로되어 안테나부는 전자파를 검출하기 쉬워진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판(11)의 이면(11b)에는 스위치(3)와 표시부(4G, 4R, 4Y)와 단자 14(a∼f)를 접속하는 배선이 형성되고, 그 배선의 주위에는 안테나부(13)를 구성하는 도체면(안테나소자)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같이 안테나부(13)는 기판(11b)이면 태반을 차지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3), 표시부(4), 안테나부(13)는 단자 14(a∼g)로부터 케이블 (15)을 통하여 메인회로기판(10)의 단자(16)에 접속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메인회로(10)에 형성된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위치회로(11)의 표시부(4) 및 스위치(3)는 제어부(18)에 접속되어 있다(도 5의 부호(a∼g)는 도 7의 부호(a∼g)에 각각 대응한다). 즉, 배선 a는 전원(Vcc)에 접속되고, 배선 b(LED4Y)는 저항(R1)을 통하여 제어부(18)에 접속되고, 배선 c(LED4R)는 저항(R2)을 통하여 제어부(18)에 접속되고, 배선 d(LED4G)는 저항(R3)을 통하여 제어부(18)에 접속되고, 배선 e(스위치 3)는 제어부(18)에 접속되고, 배선 f는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배선 e는 스위치(3)가 개로일때에 HIGH신호를, 폐쇄되었을때에 LOW레벨신호를 제어부(18)에 부여할 수 있도록 저항(R4)을 통하여 전원(Vcc)에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도 7의 회로에 대응하는 회로블록도를 도 9에 도시하였고, 도 7에 더하여 도 9까지 참조하면 이하의 설명을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안테나부(배선 g)는 증폭부(19)의 입력측에 접속되어 있다. 더욱더 증폭부(19)의 입력측에는 주신호발생부(20)가 접속되어 있고, 증폭부(19)의 입력에는 이 주신호발생부(20)에 의하여 발생한 주신호(M)에 안테나부(13)로 검출한 전자파신호를 인가한 신호가 부여된다. 증폭부(19)에 의하여 증폭된 신호는 증폭신호 출력선(22)을 통하여 제어부(판정부)(18)에 부여된다.
상기 주신호발생부(20)는 전기기기로부터의 전자파 레벨을 판별하기 위하여 교류전원으로부터의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전원(Vcc)은 교류전원으로부터 변압·정류되어 생성되므로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고 전자파 레벨을 판별하기위한 기준 전위로서는 오동작을 초래하여 어울리지 않는다.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않는 신호를 얻는데는 예를 들면 장치에 교류전원과는 별도로 독립한 전원(건전지 등)을 설치하고, 그 전원으로부터 주신호를 얻을수가 있지만, 여기서는 장치의 감소화를 위하여 콘덴서에 충전된 전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주신호발생부(20)는 전원(Vcc)과 장치(1)의 그라운드간에 직렬 접속된 저항(R5)과 콘덴서(C1)로 이루어지고, 주 신호는 콘덴서(C1)에 충전된 전압 (4.2V)이다.
상기 증폭부(19)는 트랜지스터(TR)로 신호를 증폭하는 것으로 다이오드(D1, D2), 콘덴서(C3, C4), 저항(R7, R8, R9)을 갖고 있다.
도 8은 2P의 전원플러그(8) 측의 2개의 교류라인(7a, 7b)을 장치(1)의 그라운드(GN)에 각각 번갈아 접속하기 위한 회로를 주로 도시하고 있다. 교류라인(7a, 7b)과 장치(1)의 그라운드(GN)와의 사이는 제 2 스위칭부(SW2)와 저항(R6)을 통하여 접속되고, 제 2 스위칭부(SW2)가 변환함으로서 교류라인(7a, 7b)이 번갈아 그라운드(GN)에 접속된다. 통상 제 2 스위칭부는 제 2 교류라인(7b)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 2 교류라인(7b)과 저항(R10)을 통하여 그라운드라인(9)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스위칭부(SW1)도 설치되어 있다. 통상 제 1 스위칭부(SW1)는 열린 상태에 있다.
더욱이 저항(R6)과 저항(R10)에는 각각 콘덴서(C5)와 콘덴서(C6)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스위칭부(SW1, SW2)는 함께 릴레이 스위치에 의하여 구성되어, 개폐·변환제어는 제어부(18)에 의하여 행해진다.
더욱이, 교류라인(7a, 7b)에는 트랜스(24)를 통하여 전원회로(25)가 접속되어 있고, 이 전원회로(25)는 교류전원(100V)으로부터 제어부(18) 등을 동작시키기위하여 5V 직류전압(Vcc)과 릴레이 스위치(SW1, SW2)를 동작시키기 위한 12V 직류전압(V12)을 발생한다.
이하, 본 장치(1)의 사용방법과 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전원플러그(8)를 교류전원(가정·오피스등에 있는 콘센트)에 접속하고, 콘센트부(5)에 전기기기의 3P플러그를 인서트하고, 전기기기를 동작상태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검출개시스위치(3)를 누르면, 장치(1)가 검출을 행하고, 그 결과가 표시부(4)에 표시된다.
검출결과는 다음의 3 종류가 있다. 즉 ① 그의 접속상태에서 그라운드라인 (9)이 교류전원의 접지측(뉴트럴측)에 접속되는 경우, ② 그의 접속상태에서는 그라운드라인(9)이 교류전원의 비접지측(하트측)에 접속되는 경우, ③ 검출불능의 경우이다. ①은 불필요 전자파의 누설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이고, ②는 불필요 전자파의 누설이 검출된 경우이다. 검출결과 ①의 경우에는 녹색 LED(4G)가 점등하고, 검출결과 ②의 경우에는 적색 LED(4R)가 점등하고, 검출결과 ③의 경우에는 황색 LED(4Y)가 점등한다.
사용자는 검출결과를 확인하고, 결과 ①의 경우에는 그대로 사용하고, 결과 ②의 경우에는 전원플러그(8)의 극을 역으로하여 다시 끼워넣어 사용하고, 결과 ③의 경우에도 다시 한번 검출개시스위치(3)를 눌러 검출을 행하면 좋다.
다음에 검출동작의 수순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검출개시스위치(3)가 ON되면, 제어부(18)에 검출개시신호(리세트신호)가 부여되고, 제어부(18)가 리세트된다(즉 스위치(3)는 리세트 스위치이다). 더욱더 제어부(18)는 주신호 발생부(20)의 콘덴서(C1)에 LOW신호를 부여하고, 이 콘덴서(C1)를 방전하고 (통상은 충전되어 있다), 콘덴서(C1)의 전위를 OV까지 내린다. 스위치(3)가 OFF로되면, 다시 콘덴서(C1)에 HIGH신호를 부여하여 콘덴서(C1)를 충전하고, 4.2V의 주신호(M)를 발생한다.
이 주신호(M)에는 스위치에 접촉한 사용자의 신체를 매개로하여 안테나부(13)에서 검출한 전자파(노이즈)가 인가된다(도 10의 판정부의 입력파형 참조).
주신호(M)의 발생과 동시에 제 2 스위칭부(SW2)의 변환이 개시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안테나부(13)에 의하여 검출되는 전자파는 제 2 스위칭부(SW2)가 어느쪽의 교류전원(7a, 7b)과 접촉되어 있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즉, 제 2 스위칭부(SW2)가 접지측의 교류라인(7a,7b)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검출되는 전자파(노이즈)가 작아지고, 비접지측의 교류라인(7a,7b)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검출되는 전자파(노이즈)가 크게 된다.
따라서 제 2 스위칭부(SW2)를 변환하여 검출되는 전자파 레벨이 작은 편의 접속상태가 접지상태이고, 검출되는 전자파 레벨의 큰 편의 접속상태가 비접지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이 본 발명의 접지측 검출의 기본원리이다.
주신호(M)에 전자파가 인가되면, 주신호(M)는 전자파 노이즈에 의하여 리플신호로되고, 그 맥동이 클수록 노이즈가 크게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 2 스위칭부(SW2)가 제 1 교류라인(7a)에 접속되어 있는 사이에는 판정부로서의 제어부(18)로의 입력신호의 맥동이 크고, 전자파 레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 2 스위칭부(SW2)가 제 2 교류라인(7a)에 접속되어 있는 사이는 맥동이 비교적 작고, 전자파 레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판정부(18)는 이 레벨차를 검출하여 노이즈가 적은 교류라인(7a, 7b)이 접지측이고, 노이즈가 많은 교류라인(7a, 7b)이 비접지측인 것을 판별할 수 있다. 여기까지가 판별처리이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판별부(18)는 TTL레벨(1.2V이하의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LOW를 출력하고, 2.5V이상의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HIGH신호를 출력하고, 1.2V∼2.5V사이는 출력이 불확정으로된다)로 동작하고 있고, 노이즈가 많은 경우에는 리플신호가 1.2V이하로되어 LOW를 검출하고, 노이즈가 적은 경우에는 리플신호가 1.2V이하로 되지 않고 HIGH를 검출하여, 노이즈차를 판별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접지측으로 판별된 교류라인이 제 2 교류라인(7b)이면, 제 2 교류라인(7b)은 제 2 스위칭부(SW2)에 의하여 통상 접속되는 편의 라인이므로, 그대로 전기·전자기기를 사용하더라도 전자파의 누설이 적고,「좋은 접속상태」라 할 수 있다. 즉, 이것은 앞서 설명한 검출결과 ①이고, 제 1 스위칭부(SW1)를 ON하여 제 2 교류라인(7b)과 그라운라인(9)을 접속함과 동시에 녹색 LED(4G)가 점등한다.
또, 접지측으로 판별된 교류라인이 제 1 교류라인(7a)이면, 제 1 교류라인 (7a)은 제 2 스위칭부(SW2)에 의하여 통상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 1 스위칭부 (SW1)를 ON하면, 비접지측인 제 2 교류라인(7b)을 그라운라인(9)과 접속하는 것으로되고, 그대로 전기·전자기기를 사용하면 불필요 전자파가 누설하고,「나쁜 접속상태」라 할 수 있다. 즉, 이것은 앞서 설명한 검출결과 ②이고, 제 1 스위칭부 (SW1)를 ON하는 일없이 적색 LED(4R)가 점등한다.
또 노이즈레벨등의 형편에 따라 판별부(18)가 목적한대로 접지측을 판별할 수 없었던 경우는 앞의 검출결과 ③으로서 황색 LED(4Y)가 점등한다.
도 10의 예에서는 제 2 교류라인(7b) 측이 노이즈가 적고 접지측이라고 판별되고 스위칭부(SW1)가 ON하고, 녹색 LED(4G)가 점등한다.
더욱이 제 1 교류라인(7a)이 접지측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제어부(18)에 의하여 제 2 스위칭부(SW2)를 제 1 교류라인(7a) 측에 접속 유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전원플러그(8)가 교류전원에 어떻게 접속되었더라도 접지측으로 검출된 라인을 그라운드라인(9)에 접속할 수가 있고, 본 장치(1)를 자동접지장치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이 장치(1)는 제 1 실시형태와 다르고, 전원케이블(7)이 설치되어 있지않고, 케이싱 (200)의 배면으로부터 2개의 전원핀(208a)이 돌출설치되어 주택이나 빌딩의 벽등에 설치된 콘센트(210)에 인서트 가능한 플러그(208)를 구성하고 있다. 또,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장치의 콘센트부(5,5) 스위치(3) 및 LED(4)는 케이싱(200)의 정면 (200a)에 집중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장치(1)는 콘센트(210)에 직접 인서트할 수 있는 타입의 분배식 콘센트처럼 사용할 수가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스위치회로기판(11)이 스위치(3)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설명을 생략한 점에 대하여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이 장치(1)는 주택이나 빌딩등의 건축물의 벽 등에 매설되고, 통상의 콘센트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케이싱(300)의 정면(300a)에 장치의 콘센트부(5,5) 스위치(3) 및 LED(4)가 배치되고, 이 정면(300a)이 벽(W)으로부터 노출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케이싱(300)은 벽에서 노출하는 정면부분이 있으면 충분하고, 장치(1)의 회로기판 등을 전부 덮을 필요는 없다. 또, 장치(1)의 전원단자는 건축물의 배선시공시 등에 건물이 교류전원배선(310)과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점에 대하여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판별부는 TTL 레벨로 판별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전자파 신호의 인가된 주신호를 콤퍼레이터에 의하여 하나의 기준전압과 비교하도록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부(13)를 스위치기판(11)의 이면에 설치한 안테나소자에 의하여 구성하였지만, 이와같이 독립한 안테나 소자가 없더라도 회로자체가 노이즈를 골라낼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안테나 소자를 별도 설치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회로자체가 안테나부로서의 역할을 감당하는 경우에는 안테나소자를 생략할 수가 있다. 회로배선은 그 자체 노이즈를 골라내는 안테나부의 역할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별도 안테나 소자가 있으면 검출 정밀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매우 적합하다.
또 콘센트부(5)의 수는 적어도 1개 이상이면 좋지만 복수개가 매우 적절하다.
또, 본 장치(1)는 전자파 누설방지의 목적이외에 접지에 의한 감전방지에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접지로 인한 전지 전자기기의 안정한 동작확보에도 유용하다.
더욱더 본장치(1)는 컴퓨터 뿐만아니라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영상기기, 오디오등의 음향기기, 안정한 동작이 요구되는 의료기기등의 전원콘센트로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교류전원의 접지측의 라인을 검출하기 위한 교류전원 접지측 검출장치에 있어서,
    교류전원에 접속가능한 전원단자(8)와,
    전기전자기기의 그라운드에 접속가능한 그라운드 단자(5c, 6)와,
    장치의 그라운드(GN)에 상기 교류전원과 접속된 교류라인(7a, 7b)의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접속 스위칭하는 스위칭부(SW2)와,
    전자파를 검출하는 안테나부(13)와,
    상기 장치 그라운드와 접속된 교류라인(7a, 7b)의 차이에 의한 상기 전자파의 레벨차에 의거하여 교류라인(7a, 7b)의 접지측·비접지측을 판별하는 판별부 (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 접지측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18)에는 상기 교류전원으로부터의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않는 주신호(M)에 상기 안테나부(13)에 의하여 검출된 전자파신호를 인가한 신호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 접지측 검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에 적어도 상기 판별부(18)를 구비한 케이싱(2)을 갖고,
    상기 케이싱(2)에는 장치의 동작에 관련하는 스위치(3)가 설치되고, 이 스위치(3)의 근방에 상기 안테나부(13)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 접지측 검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13)는 상기 케이싱(2) 내부에 있고, 상기 스위치(3)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 접지측 검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는 상기 케이싱(2) 내부에 설치된 회로기판(11)에 대하여 케이싱(2) 외부로부터 조작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부(13)는 상기 회로기판(11)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 접지측 검출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는 검출개시를 상기 판별부(18)에 지시하는 검출개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 접지측 검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신호(M)는 상기 검출개시스위치(3)의 조작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 접지측 검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는 콘센트에 인서트 가능한 2핀의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 접지측 검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전자기기의 전원플러그를 인서트 가능한 콘센트부 (5)를 구비한 케이싱(2, 200, 300)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 접지측 검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00)은 건축물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원단자는 이 건축물에 설치된 교류전원배선(31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 접지측 검출장치.
KR1020000018617A 1999-09-24 2000-04-10 교류 전원 접지측 검출장치 KR200100296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71109 1999-09-24
JP27110999 1999-09-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628A true KR20010029628A (ko) 2001-04-06

Family

ID=1749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617A KR20010029628A (ko) 1999-09-24 2000-04-10 교류 전원 접지측 검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37569B1 (ko)
KR (1) KR200100296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8080B2 (ja) * 2005-10-26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送信システム及び接続状態判定方法
CN102207530B (zh) * 2010-03-31 2014-03-26 炬力集成电路设计有限公司 一种检测热插拔设备的方法及系统
CN111722150B (zh) * 2020-06-24 2021-03-26 优利德科技(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支持地线零线异常检测的插座检测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8286A (en) * 1973-11-12 1975-09-30 Joseph M Dean Apparatus for demonstrating grounding principles
US5065104A (en) * 1987-02-17 1991-11-12 Alexander Kusko Fault sensing with an artificial reference potential provided by an isolated capacitance effect
US4929887A (en) * 1989-01-19 1990-05-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outlet mon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37569B1 (en) 2002-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8750B2 (en) Power circuit with passthrough
US20030133263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with built-in USB hub
CN101243376A (zh) 带待机插座的插座组合件
CA2651548A1 (en)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CN106654655A (zh) 插座和插头
KR20010029628A (ko) 교류 전원 접지측 검출장치
JP3742744B2 (ja) 交流電源接地側検出装置
KR101601417B1 (ko)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CN201149977Y (zh) 即热式电热水器专用的带漏电保护器接线盒
CN106410743B (zh) 一种电源检测电路及电子产品
US20180241162A1 (en) Illuminating device
CN112834950B (zh) 一种漏电检测电路、漏电保护电路及家用电器
CN209375632U (zh) 一种电子配件识别装置和电子组件
CN206313169U (zh) 插座和插头
CN208737453U (zh) 基于通用串行总线usb接口的电路和电子设备
WO2009153582A1 (en) Power supply system
CN207966129U (zh) 家用火灾报警控制器
KR200178587Y1 (ko) 전자파 제거장치
KR200203518Y1 (ko) 다기능 매립형 콘센트
CN2930008Y (zh) 具有安全防护的延长线装置
CN112684866B (zh) 一种改善扩展口防护性能的硬件及结构
CN220358810U (zh) 防触电保护器
CN112834951B (zh) 一种漏电检测电路、漏电保护电路及家用电器
CN215067204U (zh) 牙科器械的检测装置以及牙科器械
CN216792281U (zh) 一种电源壁盒安全性能自动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