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8703A - 넘버 세븐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폭주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넘버 세븐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폭주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8703A
KR20010028703A KR1019990041086A KR19990041086A KR20010028703A KR 20010028703 A KR20010028703 A KR 20010028703A KR 1019990041086 A KR1019990041086 A KR 1019990041086A KR 19990041086 A KR19990041086 A KR 19990041086A KR 20010028703 A KR20010028703 A KR 20010028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gestion
signal point
user data
scrc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41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8703A/ko
Publication of KR2001002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70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91Congestion or overload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6Common channel signaling, CCS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5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congestion - inc. over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넘버 세븐 방식의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신호점에서의 폭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소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상태' 또는 '폭주해제상태' 정보가 입력되면 신호점별로 폭주레벨을 조정하는 제1단계와, 해당 착신 신호점으로 향하는 사용자 데이터 전송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글로벌 타이틀을 번역하며, 상기 제1단계에서 조정되는 상기 해당 착신 신호점의 폭주레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트래픽양을 제한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넘버 세븐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폭주 제어 방법{METHOD FOR CONGESTION CONTROL OF SWITCHING NETWORK SYSTEM WHICH USES NO.7 SIGNALING NETWORK}
본 발명은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메시지 루팅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링크 폭주정도에 따른 트래픽 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No.7 방식의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신호에 대한 폭주가 발생하는 경우 신호점에서의 종래의 계층간 통신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TCAP(Transaction Capability)(110)는 응용 프로그램(도시하지 않음)과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150)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TCAP(110)는 사용자 데이터를 N_UNITDATA 프리미티브(Primitive) 형태로 변환하여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15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SCCP(150)는 일반적으로 해당 신호점에서 메시지 루팅 전체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프리미티브는 착신번지, 발신번지 및 사용자 데이터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착신번지는 SCCP 레벨에서 사용하는 특수한 형태의 어드레스인 글로벌 타이틀(Global Title)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글로벌 타이틀은 TCAP(110)가 사용자 데이터를 출력할 때 참고로 하는 정보로서, 상기 글로벌 타이틀은 신호망에서 착신지의 주소를 명시적으로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TCAP(110)는 메시지의 최종적인 착신지의 신호점을 알 수 없다.
그리고 SCCP(150)에 구비되는 SCRC(Signaling Connection Routing Control)(120)는 메시지 루팅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SCRC(120)는 상기 TCAP(110)로부터의 N_UNITDATA 프리미티브를 수신하면, 착신 주소인 글로벌 타이틀을 번역하여 최종 착신지의 신호점과 상기 착신지의 해당 응용 프로그램등을 찾는다. 그리고 SCRC(120)는 상기 번역결과와 수신 프리미티브를 이용하여 UDT(Unit data) 메시지를 구성한다. 그리고 SCRC(120)는 상기 구성된 UDT 메시지를 MTP-TRANSFER 프리미티브에 실어 MTP(Message Transfer Part)(13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UDT 메시지에는 MTP(130)가 메시지 루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루팅 테이블과 시그널링 메시지의 물리적인 링크를 선택하는 정보인 SLS(Signaling Link Selector)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MTP(Message Transfer Part)(130)는 수신한 프리미티브에 포함된 UDT 메시지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목적지 신호점으로 해당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여기서, 신호링크의 폭주로 인하여 메시지가 전송될 수가 없다면, 즉 해당 프리미티브에 포함된 착신지로의 신호링크가 폭주가 발생하면, MTP(130)는 MTP_STATUS 프리미티브(135)를 SCCP(150)에 구비되는 신호망 상태 관리부 SCMG(SCCP Management)(140)에 전송한다. 상기 SCMG(140)는 신호망의 상태를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MTP_STATUS 프리미티브(135)는 폭주가 발생한 신호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폭주가 발생한 신호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SCMG(140)는 해당 신호점에 폭주가 발생하였으므로 상기 해당 신호점으로 향하는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중지하라는 정보를 N_PCSTATE(145) 프리미티브에 실어 TCAP(110)로 전송한다. 이로인해, TCAP(110)는 상기 N_PCSTATE 프리미티브(145)에 포함된 신호점으로 루팅이 될 메시지들을 SCCP(150)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로인해 해당 신호점으로의 트래픽 제한이 이루어 지게 된다.
그런데 TCAP가 사용하는 글로벌 타이틀과, TCAP가 폭주가 발생한 신호점에 대한 통보를 받는 경우의, 착신지 주소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즉, TCAP는 글로벌 타이틀에 의한 착신지의 주소로는 이 착신지에 폭주가 발생하였는지를 알 수가 없다. 따라서 TCAP가 폭주가 발생한 신호점에 대한 통보를 받기 전에는, 상기 폭주가 발생한 신호점에 대한 트래픽 제한이 이루어 질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넘버 세븐 방식의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신호점별로 폭주레벨을 관리하며, 전송 요구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글로벌 타이틀을 번역하여 착신 신호점을 구하며, 상기 구하여진 폭주레벨 단계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트래픽을 제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넘버 세븐 방식의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상기 신호점에 구비되는 메시지 루팅 제어부(Signaling Connection Routing Control)가 신호망 상태 관리부(SCCP Management)로부터 상기 소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상태정보를 입력하여 신호점별로 폭주레벨을 조정하며, 사용자 데이터의 글로벌 타이틀을 번역하여 착신 신호점을 구하며, 상기 구하여진 폭주레벨 단계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트래픽을 제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넘버 세븐 방식의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신호점에서의 폭주 제어 방법이, 소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상태' 또는 '폭주해제상태' 정보가 입력되면 신호점별로 폭주레벨을 조정하는 제1단계와, 해당 착신 신호점으로 향하는 사용자 데이터 전송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글로벌 타이틀을 번역하며, 상기 제1단계에서 조정되는 상기 해당 착신 신호점의 폭주레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트래픽양을 제한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No.7 방식의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신호에 대한 폭주가 발생하는 경우 신호점에서의 종래의 계층간 통신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No.7 방식의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신호에 대한 폭주가 발생하는 경우 신호점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간 통신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No.7 방식의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폭주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넘버 세븐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 신호점에서의 폭주 제어 방법은 먼저 소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상태' 또는 '폭주해제상태' 정보가 입력되면 신호점별로 폭주레벨을 조정한다. 그리고 해당 착신 신호점으로 향하는 사용자 데이터 전송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글로벌 타이틀을 번역하며, 상기한 신호점별로 조정되는 해당 착신 신호점의 폭주레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트래픽양을 제한한다.
도 2는 No.7 방식의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신호에 대한 폭주 발생하는 경우 신호점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간 통신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CRC(220)는 TCAP(210)로부터 N_UNITDATA 프리미티브(215)를 수신하면, 상기 N_UNITDATA 프리미티브(215)에 구비되는 글로벌 타이틀을 번역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착신 신호점을 구한다. 그리고 SCRC(220)는 구한 해당 착신 신호점의 폭주레벨을 검사한다. 또한, SCRC(220)는 단계별로 각 착신 신호점에 대한 폭주레벨을 관리한다. 그리고 SCRC(220)는 해당 착신 신호점에 대한 폭주레벨에 따라 목적지 신호점으로의 메시지의 개수 제한등을 통하여 사용자 트래픽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SCRC(220)는 해당 착신 신호점에 대한 폭주레벨이 '1'이면 사용자 트래픽을 25%정도 제한한다. 이로인해, 목적지 신호점으로의 메시지 개수가 시간당 100개 라면 75개의 메시지 만이 전송될 수가 있다. 그리고 해당 착신 신호점에 대한 폭주레벨이'0'이면 노멀(Normal)한 상태이므로, SCRC(220)는 사용자 트래픽을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해당 착신 신호점에 대한 폭주레벨이 '2'이면 SCRC(220)는 사용자 트래픽을 50%정도 제한한다. 그리고 해당 착신 신호점에 대한 폭주레벨이 '3'이면 SCRC(220)는 사용자 트래픽을 75%정도 제한한다.
또한 다음 단계로 폭주 레벨이 '2' 이상인 경우 SCRC(220)는 사용자 데이터부의 TCAP 헤더부분의 패키지(Package) 타입을 검사하여 메시지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가 있다. 즉, No.7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전송할 사용자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닛 데이터의 패키지 타입에는 TCAP BEGIN, TCAP CONTINUE 및 TCAP END가 있으며, 각각의 패키지 타입에 따른 메시지 중요도는 하기와 같이 설정될 수가 있다. TCAP BEGIN인 경우는 그 수치를 '2'로 두고, TCAP CONTINUE인 경우는 그 수치를 '1'로 두며, TCAP END인 경우는 그 수치를 '0'으로 두어, SCRC(220)는 수치가 낮을수록 메시지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한다. 즉, TCAP(220)는 사용자 트래픽 제한 시에 송/수신 완료에 이른 메시지를 더 우선적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폭주 레벨이 상기 '2'레벨 이상인 경우 해당 착신 신호점으로의 패키지 타입이 TCAP BEGIN이면, SCRC(220)는 루팅이 허용되는 메시지의 25%를 추가로 더 제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해당 착신 신호점으로의 패키지 타입이 TCAP CONTINUE이면, SCRC(220)는 루팅이 허용되는 메시지의 12.5%를 추가로 더 제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해당 착신 신호점으로의 패키지 타입이 TCAP END이면, SCRC(220)는 메시지 루팅에 대한 추가 제한을 수행하지 않는다.
한편, SCRC(220)는 SCMG(240)로부터의 해당 착신 신호점에 대한 폭주 통보(255)에 따라 각 폭주 레벨을 단계별로 관리한다. 즉, SCMG(240)는 MTP_STATUS 프리미티브(235)를 통하여 특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상태를 통보 받으면, SCMG(240)는 폭주 이벤트(Congestion Event)등을 발생하여, 해당 특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상태를 SCRC(220)로 알려준다(참조부호 255). 또한 SCMG(240)는 MTP_STATUS 프리미티브(235)를 통하여 특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해제 상태를 통보 받으면, SCMG(240)는 폭주 이벤트 해제(Congestion Event Release)를 발생하여, 해당 특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해제 상태를 SCRC(220)로 알려준다.(참조부호 255)
그리고 SCRC(220)는 상기 특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상태를 통보 받으면, 상기 특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레벨을 '1' 증가 시키고 타이머를 구동한다. 이때, 상기 타이머는 수초(예:1초 ~ 10초)의 주기로 동작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해당 특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상태가 해제되지 않으면, SCRC(220)는 폭주상태의 레벨을 한 단계 위로(예:'2', '3'단계) 증가 시킨다. 그리고 만약 특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상태의 레벨이 최고치 이면 타이머를 더 이상 동작 시키지 않는다. 한편, SCRC(220)는 폭주상태 레벨의 최고치에 있는 특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해제상태를 통보 받으면, SCRC(220)는 해당 타이머를 재동작 시키며, 상기 폭주상태 레벨을 한 단계 낮춘다. 그리고 이후 상기 타이머가 종료될 때 까지 상기 특장 신호점에 대한 폭주상태가 발생하지 않으면, SCRC(220)는 그 폭주레벨을 한 단계씩 낮춘다. 그리고 상기 특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레벨이 최저치('0')에 이르게 되면, SCRC(220)는 타이머의 동작을 중단한다. 그러나 상기 폭주레벨을 감소 시키는 도중에 다시 상기 특정 신호점이 폭주상태가 되면 해당 타이머를 재시작 시키며, 그 폭주레벨을 다시 한 단계 증가 시킨다.
다른 한편, SCRC(220)가 상기한 폭주레벨에 따른 착신 신호점에 대한 트래픽 제어를 수행하고 있는 도중에 상기 착신 신호점에 대한 MTP_PAUSE 프리미티브가 발생하게 되면, 즉 상기 착신 신호점이 장애 상태가 되면, SCRC(220)는 해당 타이머의 동작을 중단 시키고 더 이상 해당 착신 신호점에 대한 폭주레벨에 따른 트래픽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다. 즉, SCRC(220)는 동작 가능한 신호점에 대해서만 트래픽 제어를 수행한다.
도 3은 No.7 방식의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폭주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310단계에서 SCRC(220)는 SCMG(240)로부터 소정 착신 신호점에 대한 폭주 상태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폭주 상태 정보는 소정 착신 신호점에 대한 폭주상태 또는 폭주해제상태가 될 수가 있다.
그리고 소정 착신 신호점에 대한 폭주 상태 정보가 입력되면, 320단계에서 SCRC(220)는 상기 착신 신호점의 폭주레벨을 조정한다. 이때, 상기 소정 착신 신호점의 폭주 상태 정보가 '폭주상태'에 해당하면, SCRC(220)는 타이머를 단계별로 동작 시킨다. 그리고 SCRC(220)는 상기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소정 착신 신호점에 대한 폭주 상태가 해제되지 않으면 폭주레벨을 한 단계씩 증가 시킨다.
그리고 상기 소정 착신 신호점의 폭주 상태 정보가 '폭주해제상태'에 해당하면, SCRC(220)는 타이머를 단계별로 동작 시킨다. 그리고 SCRC(220)는 상기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소정 착신 신호점에 대한 폭주 상태 정보가 다시 '폭주상태'가 되지 않으면, 폭주레벨을 한 단계씩 감소 시킨다.
그리고 330단계에서 SCRC(220)는 TCAP(210)로부터 특정 착신 신호점에 해당하는 사용자 데이터 전송요구를 받으면, 440단계에서 SCRC(220)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글로벌 타이틀을 번역하여, 상기 320단계에서 조정되고 있는 상기 특정 착신 신호점의 폭주레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트래픽양을 제한한다. 이때, SCRC(220)는 상기 특정 착신 신호점의 폭주레벨의 단계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트래픽양을 제한한다.
또한, SCRC(220)는 해당 사용자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트래픽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해당 사용자 데이터의 중요도는 해당 사용자 데이터의 패키지 타입에 따라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넘버 세븐 방식의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신호점별로 폭주레벨을 관리하며 전송 요구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글로벌 타이틀을 번역하여 착신 신호점을 구하며 상기 구하여진 폭주레벨 단계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트래픽을 제한하여, 해당 착신 신호점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관리되는 폭주레벨에 따라 미리 트래픽을 제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넘버 세븐 방식의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신호점에서의 폭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소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상태' 또는 '폭주해제상태' 정보가 입력되면 신호점별로 폭주레벨을 조정하는 제1단계와,
    해당 착신 신호점으로 향하는 사용자 데이터 전송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글로벌 타이틀을 번역하며, 상기 제1단계에서 조정되는 상기 해당 착신 신호점의 폭주레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트래픽양을 제한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 세븐 방식의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신호점에서의 폭주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점에 구비되는 메시지 루팅 제어부(Signaling Connection Routing Control)가 신호망 상태 관리부(SCCP Management)로부터 상기 소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상태' 또는 '폭주해제상태'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제1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 세븐 방식의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신호점에서의 폭주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가,
    상기 입력되는 소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 상태정보가 상기 '폭주상태'에 해당하면 해당 타이머를 상기 폭주레벨 단계별로 동작 시키는 제1과정과,
    상기 해당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소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상태'가 해제되지 않으면 상기 폭주레벨을 한 단계씩 증가 시키는 제2과정과,
    상기 입력되는 소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 상태 정보가 상기 '폭주해제상태'에 해당하면 해당 타이머를 폭주레벨 단계별로 동작 시키는 제3과정과,
    상기 해당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소정 신호점에 대한 폭주 상태정보가 다시 '폭주상태'로 되지 않으면 폭주레벨을 한 단계씩 감소 시키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 세븐 방식의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신호점에서의 폭주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가,
    상기 사용자 데이터 전송요구 메시지의 중요도에 따라 추가적으로 트래픽양을 더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 세븐 방식의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신호점에서의 폭주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요구 메시지의 중요도가,
    유닛 데이터의 사용자 데이터부의 패키지 타입에 따라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 세븐 방식의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신호점에서의 폭주 제어 방법.
KR1019990041086A 1999-09-22 1999-09-22 넘버 세븐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폭주 제어 방법 KR20010028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086A KR20010028703A (ko) 1999-09-22 1999-09-22 넘버 세븐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폭주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086A KR20010028703A (ko) 1999-09-22 1999-09-22 넘버 세븐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폭주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703A true KR20010028703A (ko) 2001-04-06

Family

ID=1961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086A KR20010028703A (ko) 1999-09-22 1999-09-22 넘버 세븐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폭주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870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401B1 (ko) * 2001-12-29 200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넘버.세븐 신호 메시지 트래픽에 대한 폭주 제어 장치 및방법
KR100475754B1 (ko) * 2000-03-16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엠티피 사용자부의 폭주 상태 처리방법
KR100539163B1 (ko) * 2003-04-21 2005-12-27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트래픽 제어가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
WO2011127858A2 (zh) * 2011-05-17 2011-10-20 华为技术有限公司 流量控制方法及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754B1 (ko) * 2000-03-16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엠티피 사용자부의 폭주 상태 처리방법
KR100415401B1 (ko) * 2001-12-29 200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넘버.세븐 신호 메시지 트래픽에 대한 폭주 제어 장치 및방법
KR100539163B1 (ko) * 2003-04-21 2005-12-27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트래픽 제어가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
WO2011127858A2 (zh) * 2011-05-17 2011-10-20 华为技术有限公司 流量控制方法及装置
WO2011127858A3 (zh) * 2011-05-17 2012-04-19 华为技术有限公司 流量控制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79228C (zh) 网关系统及故障管理方法
US20060209816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implementing synchronous switching of CLOS cross connection matrix
CN101796774A (zh) 在ip网络上自动检查ip链接的连接状态的方法和系统
KR20010028703A (ko) 넘버 세븐 신호망을 사용하는 교환망 시스템에서 폭주 제어 방법
US7860090B2 (en) Method for processing LMP packets, LMP packet processing unit and LMP packet processing node
WO2014083561A1 (en) Telecommunication network node supporting hybrid management
WO2019134572A1 (zh) 基于sdn的光传送网保护恢复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036937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교환기 및 고객정보 관리 시스템간연동장치 및 방법
KR100418967B1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신호 메시지의 총괄명 번역 장치 및방법
KR100427615B1 (ko) 교환기의 회선군 상태 조회방법
US20030227923A1 (en) Method for selecting communication networks
US6567401B1 (en) Separate structure of a datapath layer and a physical layer within an access network loaded with a v5.2 protoc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wo boards respectively having the datapath layer and the physical layer
KR100269590B1 (ko) 공통선 신호망에서 디폴트 루트 구성을 통한 신호메시지 라우팅 방법
JP2974308B1 (ja) 共通線信号中継方式
KR100299142B1 (ko) 알2를 이용한 교환기간 연계에 의한 트래픽 제어방법
US20010055278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intelligent network
KR100326322B1 (ko) 비동기전송모드 교환기의 아이.에스.유.피 연동에서의 효율적인라우팅방법
KR0155335B1 (ko) 데이타 통신용 보드에서의 이중화 접속 구조 및 그 제어방법
KR100339655B1 (ko) 지능망 교환기에서 타 지능망 교환기로의 호 루팅 방법
KR100270679B1 (ko) 교환기간 연계에 의한 트래픽 제어방법
KR0168939B1 (ko) 고도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에서 서비스 상호작용 관리부와 감지점 처리부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KR100640329B1 (ko) 관리대상 시스템과의 의존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티-엠-엔에이젼트 설계 장치
KR100645509B1 (ko) 국설 교환기의 원격 메시지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286756B1 (ko) 지능형 정보 제공기능을 내장한 서비스 교환기
KR100298292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출중계신호에러시호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