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8475A -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8475A
KR20010028475A KR1019990040738A KR19990040738A KR20010028475A KR 20010028475 A KR20010028475 A KR 20010028475A KR 1019990040738 A KR1019990040738 A KR 1019990040738A KR 19990040738 A KR19990040738 A KR 19990040738A KR 20010028475 A KR20010028475 A KR 20010028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water
gate
guide pip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7371B1 (ko
Inventor
강호석
Original Assignee
강호석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석,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호석
Priority to KR101999004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371B1/ko
Priority to KR2019990020496U priority patent/KR200174879Y1/ko
Publication of KR20010028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관개용수로, 하천 및 저수지(이하 "수로"라 칭함) 등의 수문의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로의 물 관리에 있어 설정 수위보다 이상의 고수위에 도달할 경우 또는 설정 수위보다 이하의 저수위에 도달할 경우에 수문을 자동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 작동하여 항상 요구하는 물의 양을 조절 저장할 수 있어 물 관리의 편리성을 극대화하고, 물의 양을 항상 일정량으로 자동으로 조절 저장함으로서 일정수위 유지에 의한 홍수 피해를 극소화하며, 물이 가득찬 상태에서 유지되다가 그 수위 이상으로 변동 시에는 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아 있던 유기성 찌거기등의 오염물질을 먼저 방류하는 과정으로 바닥의 세척이 자연스럽게 제공되어 수질의 자연정화, 어도(魚道)의 자연적 형성, 생태계에 유익한 효율적 수자원 관리 및 환경보호에 크게 기여하도록 하는 수문의 수위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로(50)에 설치되고 물의 방류수위인 고수위면과 저장수위인 저수위면를 감지, 검출하는 수위레벨감지수단(30)과, 이 수위레벨감지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수위면 검출 또는 저수위 검출에 의해 동작하는 콘트롤유니트(60)와, 이 콘트롤유니트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수문을 개방 또는 폐쇄 작동하는 상기 권양부(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에 의하여 구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수로의 수위조절이 자동으로 조절 가능하여 물 관리의 편리성 극대는 물론 항상 일정수위 조절에 의한 홍수예방 효과, 수로의 용적이 크거나 작든 간에 그 저수조의 상황에 맞게 방류수위인 고수위와 저장수위인 저수위를 조정하여 사용함으로서 장치의 호환성 효과, 수로에 저장된 물의 방류가 수로의 바닥으로부터 이루어져 바닥에 가라앉아 있던 유기성 찌거기등의 오염물질을 먼저 방류하는 과정으로 수로의 바닥 세척이 자연스럽게 제공되어 수질의 자연정화, 어도(魚道)의 자연적 형성, 생태계에 유익한 효율적 수자원 관리 및 환경보호에 크게 기여하도록 하는 효과가 구현된다.

Description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WATER LEVEL AUTOMATIC CONTROL DEVICE FOR FLOOD-GATE}
본 발명은 관개수로, 하천 및 저수지 등의 수문의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개수로, 하천 및 저수지(이하 "수로"라 칭함)의 물 관리에 있어 설정 수위보다 이상의 고수위에 도달할 경우 또는 설정 수위보다 이하의 저수위에 도달할 경우에 수문을 자동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 작동하여 항상 요구하는 물의 양을 조절 저장할 수 있어 물 관리의 편리성을 극대화하고, 물의 양을 항상 일정량으로 자동으로 조절 저장함으로서 일정수위 유지에 의한 홍수 피해를 극소화하며, 물이 가득찬 상태에서 유지되다가 그 수위 이상으로 변동 시에는 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아 있던 유기성 찌거기등의 오염물질을 먼저 방류하는 과정으로 바닥이 세척이 자연스럽게 제공되어 수질의 자연정화, 어도(魚道)의 자연적 형성, 생태계에 유익한 효율적 수자원 관리 및 환경보호에 크게 기여하도록 하는 수문의 수위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개수로, 하천 및 저수지 등의 수로는 농지관리나 관개용수 등에 적절히 활용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두었다가 필요시 사용하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로의 물 관리에 있어 가뭄 시에는 계속하여 물을 저장하여 두었다가 필요시에 사용하고 있고, 비가 오는 관계로 물의 양이 필요 이상의 수위에 도달할 경우에는 홍수와 같은 피해를 막기 위하여 제방에 설치된 수문장치의 개방작동에 의하여 물을 방출하고, 필요 이상 방출 시에는 상기 수문장치의 폐쇄작동으로 수로에 물을 재 저장하는 과정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문장치에 있어, 통상적으로 관리자가 직접적으로 핸들조작으로 스핀들을 정, 역회전 시켜 수문을 승강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수로의 물 저장량이 적은 소용량에나 활용되고 있고 수문의 승강작업 시에 많은 노고와 시간이 소요로 그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권양부의 조작으로 피니언기어를 회전시켜 수문의 중앙이나 양측방에 연결 고정된 래크바를 상승시켜 수문을 개방하고, 수문의 폐쇄 시에는 상기 상승된 수문의 자중에 의한 하강 즉, 별도의 브레이크수단에 의해 피니언기어의 그 역회전을 방지하여 개방상태를 유지하던 것을 상기 브레이크 수단의 해제로 피니언기어의 역회전에 의한 수문을 자중으로 하강하여 수로의 방출로를 폐쇄시키는 방법이 주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문장치 역시 관리자가 수로의 수위를 일일이 감시하다가 수로의 수위가 저수량의 이상으로 될 경우에 권양부의 조작에 의한 수문을 개방하고 다시 폐쇄하는 것에 의하여 매우 번거로운 단점과, 비가 많이 오는하절기의 경우에는 수로의 적절한 수위에서 물을 방류하지 못하고 한꺼번에 많은 양의 물을 갑자기 방류함으로서 농경지와 같은 주위 홍수에 많은 영향을 줌으로서 효과적인 물 관리가 제공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비가 오지 않은 가뭄기에는 물의 방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다가 급작스러운 폭우 등에는 많은 양의 물이 저장될 경우에는 관리자의 손이 닿기 전에 수문을 통한 적정 양의 물이 방류되지 못하고 수문의 상부로 오버플로우가 일어나 수로의 바닥에 침적된 유기성 찌꺼기의 세척이 제공되지 않고 경화되어 내부수온이 상승할 경우에는 수로의 오염이 심각하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는 수로의 물 관리에 있어 수위조절이 그 수로의 상황에 따라서 수문의 개폐에 의한 방류수위나 저장수위가 이뤄어져야 하나, 대부분이 그 수로의 용적량에 의한 방류수위를 제공하고 있고, 이러한 방류시점에는 항상 관리자에 의한 권양부의 조작에 필요한 인력이 대기하여야 하는 실정상 우리 나라 현 여건에서는 매우 힘든 단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 자동보 방식의 수문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수동작동이 곤란하여 고장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상기 수로의 물량이 충분히 감소된 상태로 기다린 후에야 그 수리가 가능한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로의 설정 수위보다 이상의 고수위에 도달할 경우 또는 설정 수위보다 이하의 저수위에 도달할 경우에 수문을 자동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 작동하여 항상 요구하는 물의 양을 효과적으로 자동 조절하여 저장할 수 있어 물 관리의 편리성을 극대화한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로의 용적이 크거나 작든 간에 그 수로의 상황에 맞게 방류수위인 고수위와 저장수위인 저수위를 조정하여 사용함으로서 장치의 호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로의 물을 항상 일정량으로 자동으로 조절 저장함으로서 일정수위 유지에 의한 주변 시설의 홍수 피해를 극소화할 수 있는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로에 물이 가득찬 상태에서 유지되다가 그 수위 이상으로 변동 시에는 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아 있던 유기성 찌거기등의 오염물질을 먼저 방류하는 과정으로 수로의 바닥 세척이 자연스럽게 제공되어 수질의 자연정화, 어도(魚道)의 자연적 형성, 생태계에 유익한 효율적 수자원의 관리 및 환경보호에 크게 기여하도록 하는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수로에 설치되고 물의 방류수위인 고수위면과 저장수위인 저수위면을 감지, 검출하는 수위레벨감지수단과, 이 수위레벨감지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수위면 검출 또는 저수위면 검출에 의해 동작하는 콘트롤유니트와, 이 콘트롤유니트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수문을 개방 또는 폐쇄 작동하는 권양부로 이루는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수위레벨감지수단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F"부 발췌 확대도,
도 4는 도 2의 "G"부 발췌 확대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권양부 11 : 구동모터
12 : 기어박스 15 : 래크바
16 : 브레이크수단 20 : 수문
30 : 수위레벨감지수단 31 : 가이드파이프
32 : 상부플로트 33 : 하부플로트
34A, 34B : 감지센서 35, 37 : 제어부재
36, 38 : 동작스위치 39 : 보호케이스
40 : 전자헤드 45, 47 : 상부스토퍼
46, 48 : 하부스토퍼 60 : 콘트롤유니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양부(10)의 조작으로 구동모터(11)의 구동축에 연결된 기어박스(12)의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한 래크바(15)를 상승시켜 수로(50)의 수문(20)을 상승 개방하고, 상기 수문(20)이 상기 구동축의 중간에 설치된 브레이크수단(16)의 해제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의 역회전 가능으로 자중 하강하여 상기 수로(50)의 방출로(51)를 폐쇄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수로(50)에 설치되고 물의 방류수위인 고수위면과 저장수위인 저수위면를 감지, 검출하는 수위레벨감지수단(30)과, 이 수위레벨감지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수위면 검출 또는 저수위 검출에 의해 동작하는 콘트롤유니트(60)와, 이 콘트롤유니트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수문을 개방 또는 폐쇄 작동하는 상기 권양부(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위레벨감지수단(30)은 가이드파이프(31)와, 이 가이드파이프의 상단에 조립 연결되는 전자헤드(40)와, 상기 가이드파이프(31)의 상, 하부에 일정간격을 갖고 지지 안내되어 승강작동하는 상, 하부플로트(32,33)와, 이들 상, 하부플로트 각각의 승강거리를 한정하면서 간격조정가능케 조립되는 각각의 상, 하부스토퍼(45,46)(47,48)와, 상기 상, 하부플로트(32,33)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어부재(35,37) 및 상기 가이드파이프(31)의 외측에 노출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재(35,37)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전자헤드(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동작스위치(36,38)로 이루는 감지센서(34A,34B)와, 상기 상, 하부플로트(32,33)를 보호하도록 이들의 외측에 설치되는 보호케이스(39)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34A)(34B)를 이루는 상기 제어부재(35,37)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스위치(36,38)는 상기 마그네트의 자화력에 의하여 온, 오프작동하는 근접스위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동작스위치(36,38)는 상기 가이드파이프(31)에서 상, 하부 위치조정이 가능토록 하여 감지동작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파이프(31)에 조립되어 상기 상, 하부플로트(32,32)의 승강거리를 제한하는 상기 상, 하부스토퍼(45,47)(46,48) 각각은 상기 가이드파이프(31)의 나사부(31a)에 나사 조립되는 너트부재로 구성하여 나사회동에 의한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9는 상기 보호케이스(39)를 설치고정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50)에 수위레벨감지수단(30)을 이루는 보호케이스(39)의 지지브라켓(49)을 통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설치과정에 있어, 상기 수로(50)의 고수위면(방출수위면)과 저수위면(저장수위면)을 상기 상, 하부플로트(32,33)의 승강거리와 감지센서(34A,34B)의 동작시점을 각각의 상, 하부스토퍼(45,47)(46,48)의 위치조정과 상기 동작스위치(36,38)의 위치 세팅에 의하여 설정하게 되고,
상기 전자헤드(40)는 상기 콘트롤유니트(6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상기 상, 하부플로트(32,33)가 저수조(50)에 채워지는 물 또는 방류되는 물에 의하여 수위상승 또는 수위하강에 의하여 부력유지 또는 부력 상실의 경우에 승강작동시에 상기 감지센서(34A,34B)의 수위레벨감지의 검출 값을 콘트롤유니트(60)에 전달하게 된다.
이를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수로(50)에 물이 채워지기 시작하여 상승되는 수위와 함께 상기 상부플로트(32)가 부력을 받아 상승하게 되고,
상기 상부플로트(32)는 상기 가이드파이프(31)에 설치된 상부스토퍼(45)에 의하여 상승이 제한되고, 그 제한되는 시점에서 상기 감지센서(34A)가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상부플로트(32) 내부의 상기 제어부재(35)가 상승하여 상기 가이드파이프(31)의 동작스위치(36)에 도달되면 상기 동작스위치(36)가 온 작동으로 고수위면(방출수위면)이 검출되고,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전자헤드(40)에 의해 고수위면 검출 값이 상기 콘트롤유니트(60)에 전달되어 이 콘트롤유니트가 동작하여 상기 권양부(10)를 제어 동작시키게 되며,
상기 권양부(10)의 동작은 구동모터(11)를 동작하여 이의 구동축에 연결된 기어박스(12)의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서 이와 치합된 래크바(15)를 상승시켜 수로(50)의 수문(20)을 상승 개방하여 방출로(51)에 의한 저장된 물을 방출하게 된다.
이러한 수문(20)의 개방에 의한 수로(50)의 물이 계속하여 방출되어 수위가 낮아져 하강되는 수위와 함께 상기 상부플로트(32)가 부력이 상실되면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여 상기 가이드파이프(31)에 설치된 하부스토퍼(46)에 의하여 그 하강이 저지되어 위치되면서 상기 동작스위치(36)가 오프작동하게 되나, 상기 콘트롤유니트(60)는 동작하지 않게 되어 상기 권양부(10)의 수문(20)은 계속하여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로(50)의 물이 계속하여 방류되어 그 하강되는 수위와 함께 상기 하부플로트(33)가 부력이 상실되기 시작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상기 하부플로트(33)는 상기 가이드파이프(31)에 설치된 하부스토퍼(48)에 의하여 하강이 제한되고, 그 제한되는 시점에서 오프상태의 감지센서(34B)가 온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하부플로트(33) 내부의 상기 제어부재(37)가 하강하여 상기 가이드파이프(31)의 동작스위치(38)에 도달되면 상기 동작스위치(38)가 온 작동으로 저수위면(저장수위면)이 검출되고,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전자헤드(40)에 의해 저수위면 검출 값이 상기 콘트롤유니트(60)에 전달되어 이 콘트롤유니트가 동작하여 상기 권양부(10)를 제어 동작되어 상기 수문(20)이 상기 구동모터(11)의 구동축 중간에 설치된 브레이크수단(16)의 해제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의 역회전 가능으로 자중 하강하여 상기 수로(50)의 방출로(51)를 폐쇄하여 물의 방출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수로(50)의 수위가 상승하면서 상기 하부플로트(33)가 상승되는 수위에 의하여 부력작용으로 상승하고 상기 가이드파이프(31)의 상부스토퍼(47)에 의하여 상승이 저지되고, 상기 감지센서(34B)의 동작스위치(38)가 오프상태로 되나, 상기 콘트롤유니트(60)는 동작하지 않게 되어 상기 권양부(10)의 수문(20)은 계속하여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로(50)의 수위가 상승하여 다시 고수위면(방류수위면)에 도달하면 전술한 상부플로트(32) 및 감지센서(34A)의 제어동작으로 다시 수문(20)을 개방하는 작동으로 물의 방출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수로(50)의 방류에 의한 하부플로트(33) 및 감지센서(34B)의 제어동작에 의하여 다시 수문(20)을 폐쇄하는 동작이 자동적으로 반복하여 작동하여 수로(50)의 수위가 항상 설정치 이내에서 유지되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권양부(1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의 실시예는 상기 콘트롤유니트(60)에 의하여 제어 동작하는 유,공압펌프유니트(70)와 이 유,공압펌프유니트에 연결된 유, 공압실린더(71)와, 이 유,공압실린더의 로드(72)에 상기 수문(20)을 연결 조립하여 상기 유, 공압실린더(71)의 동작에 의한 수문(20)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도 6의 실시예는 상기 콘트롤유니트(60)에 의하여 제어 동작하는 모터박스(80)와, 이 모터박스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베벨기어(81)와, 이 구동베벨기어에 치합되어 승강작동하는 스크류봉(82)에 상기 수문(20)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베벨기어(81)의 정, 역회전 동작에 의한 상기 스크류봉(82)의 승강작동으로 상기 수문(20)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베벨기어(81)는 워엄기어로 대체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구득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수위레벨감지수단(30)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상기 가이드파이프(31)상의 내측에 감지센서(34)가 설치된 단일의 플로트(42)를 수위에 따라 승하강작동케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파이프(31)에는 감지센서(34)에 의해 감지되는 검출구(34')를 각 수위별로 설치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플로트(42)가 수로(50)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면, 그 감지센서(34)가 검출구(34')에 의해 감지작동하면서 현재의 수위를 검출하여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수 있도록 디지털로 표시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수로(50)의 고수위와 저수위를 입력하면, 상기 감지센서(34)가 입력된 고수위 및 저수위의 위치에 해당되는 검출구(34')를 검출하여 고수위와 저수위에 해당되는 수위에서 수문(20)의 개폐작동을 자동으로 행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고수위와 저수위의 설정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정되는 잇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수위레벨감지수단(30)과 콘트롤유니트(60)에 의한 전기적 제어로 수문(20)의 개폐작동을 이룸은 물론 수동으로 상기 구동모터(11)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수문(20)의 개폐작동을 이룰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로의 수위조절이 자동으로 조절 가능하여 물 관리의 편리성 극대는 물론 항상 일정수위 조절에 의한 홍수예방 효과가 있고,
수로의 용적이 크거나 작든 간에 그 수로의 상황에 맞게 방류수위인 고수위와 저장수위인 저수위를 조정하여 사용함으로서 장치의 호환성 효과가 있으며,
수로에 저장된 물의 방류가 수로의 바닥으로부터 이루어져 바닥에 가라앉아 있던 유기성 찌거기등의 오염물질을 먼저 방류하는 과정으로 수로의 바닥 세척이 자연스럽게 제공되어 수질의 자연정화, 어도(魚道)의 자연적 형성, 생태계에 유익한 효율적 수자원의 관리 및 환경보호에 크게 기여하도록 하는 효과가 구현된다.

Claims (8)

  1. 권양부(10)의 조작으로 구동모터(11)의 구동축에 연결된 기어박스(12)의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한 래크바(15)를 상승시켜 수로(50)의 수문(20)을 상승 개방하고, 상기 수문(20)이 상기 구동축의 중간에 설치된 브레이크수단(16)의 해제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의 역회전 가능으로 자중 하강하여 상기 수로(50)의 방출로(51)를 폐쇄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수로(50)에 설치되고 물의 방류수위인 고수위면과 저장수위인 저수위면를 감지, 검출하는 수위레벨감지수단(30)과, 이 수위레벨감지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수위면 검출 또는 저수위 검출에 의해 동작하는 콘트롤유니트(60)와, 이 콘트롤유니트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수문을 개방 또는 폐쇄 작동하는 상기 권양부(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레벨감지수단(30)은 가이드파이프(31)와, 이 가이드파이프의 상단에 조립 연결되는 전자헤드(40)와, 상기 가이드파이프(31)의 상, 하부에 일정간격을 갖고 지지 안내되어 승강작동하는 상, 하부플로트(32,33)와, 이들 상, 하부플로트 각각의 승강거리를 한정하는 각각의 상, 하부스토퍼(45,46)(47,48)와, 상기 상, 하부플로트(32,33)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어부재(35,37) 및 상기 가이드파이프(31)의 외측에 노출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재(35,37)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전자헤드(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동작스위치(36,38)로 이루는 감지센서(34A,34B)와, 상기 상, 하부플로트(32,33)를 보호하도록 이들의 외측에 설치되는 보호케이스(3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34A)(34B)를 이루는 상기 제어부재(35,37)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스위치(36,38)는 상기 마그네트의 자화력에 의하여 온, 오프작동하는 근접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스위치(36,38)는 상기 가이드파이프(31)에서 상, 하부 위치조정이 가능토록 하여 감지동작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플로트(32,32)의 승강거리를 제한하는 상기 상, 하부스토퍼(45,47)(46,48) 각각은 상기 가이드파이프(31)의 나사부(31a)에 나사조립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서 나사회동에 의한 승강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양부(10)는 상기 콘트롤유니트(60)에 의하여 제어 동작하는 유,공압펌프유니트(70)와 이 유,공압펌프유니트에 연결된 유, 공압실린더(70)와, 이 유,공압실린더의 로드(71)에 상기 수문(20)을 연결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권양부(10)는 상기 콘트롤유니트(60)에 의하여 제어 동작하는 모터박스(80)와, 이 모터박스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베벨기어(81)와, 이 구동베벨기어에 치합되어 승강작동하는 스크류봉(82)에 상기 수문(20)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레벨감지수단(30)는 가이드파이프(31)상으로 내측에 감지센서(34)가 설치된 단일의 플로트(42)를 수위에 따라 승하강작동케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파이프(31)에는 감지센서(34)에 의해 감지되는 검출구(34')를 각 수위별로 설치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KR1019990040738A 1999-09-21 1999-09-21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KR100357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738A KR100357371B1 (ko) 1999-09-21 1999-09-21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KR2019990020496U KR200174879Y1 (ko) 1999-09-21 1999-09-22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738A KR100357371B1 (ko) 1999-09-21 1999-09-21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496U Division KR200174879Y1 (ko) 1999-09-21 1999-09-22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475A true KR20010028475A (ko) 2001-04-06
KR100357371B1 KR100357371B1 (ko) 2002-10-25

Family

ID=1961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738A KR100357371B1 (ko) 1999-09-21 1999-09-21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37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343B1 (ko) * 2004-09-16 2006-08-11 (주)금아 수문 권양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652837B1 (ko) * 2005-05-20 2006-12-01 이성래 실린더의 변위를 측정하는 장치
KR100801242B1 (ko) * 2006-06-21 2008-02-04 동양기전 주식회사 도금조의 수위조절장치
KR101123754B1 (ko) * 2009-07-13 2012-03-15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농업용수용 공급장치
KR101323486B1 (ko) * 2012-12-17 2013-10-31 장원미 차집시설용 오수관로 개폐장치
CN104074173A (zh) * 2014-07-02 2014-10-01 江苏武东机械有限公司 一种螺旋伞齿螺杆式启闭机的保护装置
CN104088258A (zh) * 2014-07-17 2014-10-08 江苏武东机械有限公司 一种螺旋伞齿摇摆式螺杆启闭机
CN109629530A (zh) * 2019-01-31 2019-04-16 扬州大学 一种具有分层取水功能的智能景观闸门及其运行方法
CN109924883A (zh) * 2019-04-08 2019-06-25 南华大学 饮水机自动出水机构及出水方法
KR102377616B1 (ko) * 2021-10-05 2022-03-23 최종남 Iot 개폐 방식 전동 권양장치를 이용한 일체식 분수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040B1 (ko) * 2012-06-13 2012-11-12 우일산업 주식회사 센서 일체형 수문
KR101692374B1 (ko) * 2015-11-09 2017-01-0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개폐식 수문 장치
KR101942508B1 (ko) * 2017-02-17 2019-01-25 서순기 살균소독수 생성기의 염수통 및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343B1 (ko) * 2004-09-16 2006-08-11 (주)금아 수문 권양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652837B1 (ko) * 2005-05-20 2006-12-01 이성래 실린더의 변위를 측정하는 장치
KR100801242B1 (ko) * 2006-06-21 2008-02-04 동양기전 주식회사 도금조의 수위조절장치
KR101123754B1 (ko) * 2009-07-13 2012-03-15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농업용수용 공급장치
KR101323486B1 (ko) * 2012-12-17 2013-10-31 장원미 차집시설용 오수관로 개폐장치
CN104074173B (zh) * 2014-07-02 2015-09-23 江苏武东机械有限公司 一种螺旋伞齿螺杆式启闭机的保护装置
CN104074173A (zh) * 2014-07-02 2014-10-01 江苏武东机械有限公司 一种螺旋伞齿螺杆式启闭机的保护装置
CN104088258A (zh) * 2014-07-17 2014-10-08 江苏武东机械有限公司 一种螺旋伞齿摇摆式螺杆启闭机
CN104088258B (zh) * 2014-07-17 2015-10-07 江苏武东机械有限公司 一种螺旋伞齿摇摆式螺杆启闭机
CN109629530A (zh) * 2019-01-31 2019-04-16 扬州大学 一种具有分层取水功能的智能景观闸门及其运行方法
CN109924883A (zh) * 2019-04-08 2019-06-25 南华大学 饮水机自动出水机构及出水方法
CN109924883B (zh) * 2019-04-08 2023-10-27 南华大学 饮水机自动出水机构及出水方法
KR102377616B1 (ko) * 2021-10-05 2022-03-23 최종남 Iot 개폐 방식 전동 권양장치를 이용한 일체식 분수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7371B1 (ko) 200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8475A (ko)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US4227266A (en) Ground water level control system
CN105064494A (zh) 雨水截流系统
KR100909485B1 (ko) 유압권양수문
CN114457890B (zh) 一种市政排水雨污分流处理装置
CN216360727U (zh) 一种用于建筑施工的深基坑水位控制系统
CN104975648A (zh) 合流制地下初期雨水调蓄池
KR200174879Y1 (ko)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KR20060111885A (ko) 사이펀 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
CN211395557U (zh) 一种可对排水进行过滤的水利工程用防洪堤
CN210976732U (zh) 一种浮动式水文、水质监测亭
KR101439225B1 (ko) 수로 개폐형 협잡물 제진장치
KR200323111Y1 (ko) 유압식 수문설치 구조
KR100832126B1 (ko)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
KR101428633B1 (ko) 부력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20170081378A (ko) 저층수 배출용 배수도어를 갖춘 수문배수장치
KR100521250B1 (ko) 수문용 권양기의 토오크 제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4775403A (zh) 一种先导式水力自动闸门结构
WO2001032991A1 (en) Constitution method of automatic flood-gate of discharge type in the lower part
KR200168438Y1 (ko) 자동수문
KR102431530B1 (ko) 저수지용 사전 방류장치
CN219157913U (zh) 一种防倒灌截流井
KR100368741B1 (ko) 자동수문
CN220666142U (zh) 一种水闸门控制装置
KR200364372Y1 (ko) 수압식 수문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