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8221A - 액정표시장치의 보조커넥터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의 보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8221A
KR20010028221A KR1019990040356A KR19990040356A KR20010028221A KR 20010028221 A KR20010028221 A KR 20010028221A KR 1019990040356 A KR1019990040356 A KR 1019990040356A KR 19990040356 A KR19990040356 A KR 19990040356A KR 20010028221 A KR20010028221 A KR 20010028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auxiliary
fp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7812B1 (ko
Inventor
이경락
안은영
Original Assignee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Priority to KR1019990040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812B1/ko
Priority to US09/665,115 priority patent/US6769922B1/en
Publication of KR20010028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커넥터 사이를 연결시키는 액정표시장치의 보조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액정표시장치의 조립공정에서 길이나 높이로 인한 제약을 없애고, 길이가 다양한 커넥터를 하나의 커넥터로 통합함으로써, 커넥터의 규격을 통일하고, 외부압력이 빈번한 위치에 설치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의 보조커넥터 {THE AUXIARY CONNECTOR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보조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의 각 커넥터 또는 플렉서블 프린티드 케이블(Flexible Printed Cable; 이하, FPC라 칭함)커넥터를 연결시키는 보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가벼운 중량과 적은 부피 때문에 휴대용 전자장치 또는 휴대용 컴퓨터에서 디스플레이부로서 장착되어 왔지만, 지난 수년간의 눈부신 연구성과로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자연색에 가까운 색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음극관(Cathode Ray Tube; 이하, CRT라 칭함) 형태의 모니터를 대체하여 공간을 절약하는 모니터용 액정표시장치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니터용 액정표시장치는 휴대용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비해서 제품화된 시간이 짧고, 그 구조가 아직 최적화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많은 부분에서 개발과제를 가지고 있다.
이하,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서 사용된 한 쌍의 커넥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모니터용 액정표시장치의 커넥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의 연결형태를 도시한 개략측면도로서, 복수개의 도전성 금속으로 된 패턴(미도시)이 형성된 제 1 기판(10)이 위치하고, 상기 패턴과 연결된 제 1 커넥터(14)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1 커넥터(14)가 상기 제 1 기판(10)상의 패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 1 커넥터(14)와 상기 패턴 사이에 일반적인 케이블 혹은 FPC가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 12)상에 부품을 연결시키는 방법은 주로 솔더링(Soldering)에 의하지만, 커넥터의 경우에는 솔더링만으로 물리적인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양 측면(14b)(16b)에 홀을 형성하고, 그에 대응된 기판(10)(12)에도 홀을 형성하여 볼트/너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미도시)으로 결합시키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커넥터(16)도 제 2 기판(12)상의 소정의 금속 패턴(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14)는 연결부분이 오목한 요입부(14a)를 가진 암커넥터이고, 상기 제 2 커넥터(16)는 연결부분이 볼록한 요철부(16a)를 가진 수 커넥터인데, 수커넥터인 제 2 커넥터(16)의 요철부(16a)를 암커넥터인 제 1 커넥터(14)의 요입부(14a)에 삽입하여 연결시킨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커넥터(14)(16)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에서와 같이, 제 1 커넥터(14)의 요입부(14a)는 제 1 연결판(114a)과, 복수개의 연결홀(114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1 커넥터(14) 내부에는 연결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배선이 상기 홀(114b)의 종단까지 내설(內設)되어 있다.
도 2b에서와 같이, 제 2 커넥터(16)의 요철부(16a)는 제 2 연결판(116a)과, 복수개의 연결돌기(116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2 커넥터(16)의 내부에도 연결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배선이 상기 연결돌기(116b)의 내측 끝단까지 내설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커넥터(14)(16)를 연결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 2 커넥터(16)를 제 1 커넥터(14)에 밀면, "탈칵"하는 효과음과 함께, 제 2 커넥터(16)의 각 연결돌기(116b)가 제 1 커넥터(14)의 각 연결홀(114b)에 삽입된다. 이때, 제 2 커넥터(16)에 내설된 배선의 끝단이 제 1 커넥터(14)에 내설된 배선의 끝단에 접촉하면서 제 1 커넥터(14)와 제 2 커넥터(16)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 1 커넥터(14) 및 제 2 커넥터(16)를 연결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연결이 해제된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의 초기설계에서 커넥터가 차지하는 공간을 사전에 고려하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지만, 제품의 성능 향상 또는 다른 목적으로 설계의 일부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비어있는 공간에 커넥터를 배치하게 된다.
그런데, 도 3a와 같이, 제 1 및 제 2 커넥터(14)(16)는 각각 제 1 및 제 2 기판(10a)(12a)상에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 두 기판(10a)(12a)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거나, 중간에 장착된 다른소자(18) 때문에 연결이 곤란한 경우도 있다. 즉, 제 1 커넥터(14)를 제 2 커넥터(16)에 직접 체결시키려고 할 때, A 영역에서 제 1 기판(10a)의 우측면이 상기 다른소자(18)에 걸려서, 연결이 곤란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럴 때에는, 도 3b에 도시된 방법으로, 제 1 및 제 2 기판(10)(12)과 제 1 및 제 2 커넥터(14)(16) 사이에 제 1 및 제 2 케이블(11)(13)을 각각 연결하고, 이 케이블의 길이(11)(13)를 연장해야 한다. 이때, 제 1 기판(10)과 제 1 커넥터(14) 사이 또는 제 2 기판(12)과 제 2 커넥터(16) 사이중 어느 한 쪽에만 케이블을 연결하여 연장해도 되고, 상기 케이블 대신에 FPC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소비자를 상대로 판매되는 제품으로서, 내구성이 취약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즉, 제 1 및 제 2 커넥터(14)(16)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흔들리면, 단순히 케이블(11)(13)로만 연결된 커넥터(14)(16)가 케이스 내부에서 흔들리게 되어, 내부에 장착된 다른 소자와 충돌하거나, 케이블의 수명을 단축시켜 스스로 단선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더욱이, 케이블로만 연결된 빈공간은 외부로부터의 불특정 압력에 취약한 단점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일일이 별도의 커넥터를 제조하게 되면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거리가 멀더라도 연결이 가능하고, 소정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보조커넥터가 필요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 개의 커넥터 사이를 연결 및 체결시키는 보조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 사이의 연결 형태를 도시한 개략측면도.
도 2a는 종래의 암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종래의 수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문제점과 해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종래의 커넥터의 연결형태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일반 커넥터 사이를 연결시키는 보조커넥터의 연결형태를 도시한 개략측면도.
도 5a는 플렉서블 프린티드 케이블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프린티드 케이블 커넥터 사이의 연결형태를 도시한 개략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일반 커넥터와 플렉서블 프린티드 커넥터 사이의 연결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20 ; 제 1 보조커넥터 22 ; 제 N 보조커넥터
32 ; 제 1 플렉서블 프린티드 케이블 커넥터
34 ; 제 2 플렉서블 프린티드 케이블 커넥터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연결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요입부가 형성되고, 연결방향으로 다수개의 배선이 상기 요입부의 종단까지 내설된 암커넥터와, 연결부에 외측으로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연결방향으로 다수개의 배선이 상기 돌출부의 종단까지 내설된 수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의 보조커넥터로서, 일단에는 상기 암커넥터의 요입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상기 수커넥터의 돌출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부 및 요입부 사이에 복수개의 배선이 내설된 액정표시장치의 보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커넥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는 두 개의 커넥터 사이를 연결시키는 보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두 커넥터 사이를 연결시키는 보조커넥터의 연결형태를 나타낸 개략측면도로서, 제 1 및 제 2 기판(10)(12)이 위치하고, 제 1 기판(10)상에는 제 1 커넥터(14)가 부착되고, 제 2 기판(12)상에는 제 2 커넥터(16)가 부착되어 있다. 도면에서, 제 1 커넥터(14)의 자유단은 다른 커넥터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내측으로 오목한 요입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커넥터(14)는 연결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배선이 상기 요입부(14a)의 종단까지 내설(內設)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커넥터(16)의 자유단도 다른 커넥터와의 연결부분으로서, 외측으로 볼록한 요철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배선이 상기 요철부(16a)의 종단(終端)까지 내설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16)(14)가 직접 체결(締結)될 수 있는 거리라면 직접 체결하고,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16)(14) 사이의 거리가 멀어서 직접 체결할 수가 없다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내지 제 N 보조커넥터(20)(22)를 이용해서 체결한다.
이러한 보조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형상과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제 1 보조커넥터(20)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보조커넥터(20)의 일단은 상기 제 1 커넥터(14)의 자유단 즉, 암커넥터의 연결부와 체결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볼록한 요철부(20a)를 가지고 있고, 또한, 타단은 보조커넥터(20)의 자유단 즉, 수커넥터의 연결부와 체결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요입부(20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14)(16)에 내설된 복수개의 배선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보조커넥터에도 복수개의 배선이 체결방향으로 내설되어 있고, 체결과 동시에 '찰칵'하는 효과음을 내면서 제 1 및 제 2 커넥터(14)(16)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보조커넥터는 전달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리피터(Repeater)가 필요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 N 커넥터(22)까지 사용 가능하고, 미설명된 22a는 제 N 커넥터(22)의 요철부이고, 22b는 제 N 커넥터(22)의 요입부를 가리킨다.
또한, 단일 보조커넥터의 길이 즉, 요입부의 끝단과 요철부의 끝단 사이의 거리는 제한이 없지만, 상기 길이를 짧게 제조하는 것이 보다 다양한 거리를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보조커넥터(20)의 길이를 5㎝로 설정하면 5㎝의 배수에 해당되는 5, 10, 15㎝... 거리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길이를 3㎝로 설정한 경우보다 그 적용범위가 작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커넥터는 상술한 커넥터가 아닌 FPC 사이 또는 커넥터와 FPC 사이를 연결시킬 수도 있는데 이것은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는 FPC와 FPC 사이를 연결시키는 보조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제 1 실시예와 중복된 내용은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FPC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도록 한다.
FPC의 평면을 도시한 도 5a에서와 같이, FPC(25)에는 연결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배선(25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을 보호하고, 배선 사이의 단선 및 단락을 방지하는 절연막(25a)이 덮혀 있다.
이러한 FPC의 단면은 다음과 같다.
도 5a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 5b에서와 같이, 절연막(25a)상에 도전성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배선(25b)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는 동일한 절연막(25a)이 전면에 걸쳐 덮혀있다.
이러한 FPC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 FPC의 대응하는 암/수 FPC 커넥터를 부착하고, 상기 암 FPC 커넥터에 수 FPC 커넥터를 삽입하여 체결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술한 FPC는 개념적으로는 일반적인 케이블과 유사하지만, 제조공정이 다르고, 용도 또한 액정표시장치와 같이 미세하고, 정밀을 요하는 분야에서 사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FPC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커넥터의 연결형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일단이 FPC(32)에 연결된 제 1 FPC커넥터(34a) 및 제 2 FPC커넥터(34b)는 직접 체결이 가능하지만, 거리나 장애물 등의 이유로 간접체결할 경우에는 FPC용 보조커넥터(38)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제 1 FPC커넥터(34a)의 자유단은 외측으로 볼록한 요철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FPC커넥터(34b)의 자유단은 내측으로 오목한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FPC용 보조커넥터(38)의 연결방법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커넥터와 동일하고, 보조커넥터(38)의 개수 또한 전달하는 신호의 증폭이 필요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 N 커넥터(39)까지 연결이 가능하다. 제 1 내지 제 N 커넥터(38)(39)는 모두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요철부(38a) 및 요입부(38b)를 각각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가 결합된 보조커넥터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FPC용 커넥터와 일반적인 커넥터를 서로 연결시키는 보조커넥터의 연결형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일측은 일반적인 커넥터(45)이고, 타측은 FPC커넥터(34a)인 경우에도, 보조커넥터의 일단을 일반적인 커넥터용으로 형성하고, 타단을 FPC 커넥터용으로 형성한 혼재형 보조커넥터(40)를 구비한다.
도시된 혼재형 보조커넥터(40)는 일반적인 커넥터와 연결되는 부분이 요철부(40a)가 되도록 하고, FPC 커넥터와 연결되는 부분이 요입부(40b)가 되도록 형성한 것인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일반적인 커넥터와 연결되는 부분이 요입부가 되도록 하고, FPC 커넥터와 연결되는 부분이 요철부가 되도록 형성해도 되는데, 이럴경우에는 일반적인 커넥터의 자유단은 요철부로 형성되고, FPC 커넥터의 자유단은 요입부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어느경우이든지 데이터신호의 증폭이 필요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 N 보조커넥터(40)까지 복수개를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미설명된 부호 33은 일반적인 데이터 케이블을 나타낸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일반적인 케이블은 복수개의 배선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케이블을 가리키고, FPC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반도체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이다. 또한, 상술한 일반적인 커넥터는 상기 데이터케이블에 사용된 커넥터를 말하고, 본 발명에 따른 보조커넥터의 외부 재질은 P.E.T와 같은 합성수지를 사용한다.
전술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은 단순히 케이블을 연장시켜서 연결하기에 곤란한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중심사상은 커넥터의 연결부분의 모양에 제한 받지 않을 뿐 더러, 상술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부터 변형된 실시예가 다양하리라는 것은 자명한 일이지만, 본 발명으로부터 유추가능한 변형된 실시예 또한, 추후 기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 커넥터 또는 FPC 간의 거리가 긴 경우에도 연결시킬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중간에 케이블을 사용해서 연결하지 않기 때문에 빈 공간이 발생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커넥터 또는 FPC 간의 거리를 거의 무한히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길이를 가진 커넥터 또는 FPC의 길이를 표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연결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요입부가 형성되고, 연결방향으로 다수개의 배선이 상기 요입부의 종단까지 내설된 암커넥터와, 연결부에 외측으로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연결방향으로 다수개의 배선이 상기 돌출부의 종단까지 내설된 수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의 보조커넥터로서,
    상기 암커넥터의 요입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요철부가 형성된 일단과;
    상기 수커넥터의 돌출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요입부가 형성된 타단과;
    상기 요철부 및 요입부 사이에 내설된 복수개의 배선
    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보조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는 각각 연결방향으로 각각 배열된 다수개의 배선라인을 가진 데이터케이블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보조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는 각각 연결방향으로 각각 배열된 다수개의 배선라인을 가진 플렉서블 프린티드 케이블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보조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넥터의 외곽 재질은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보조커넥터.
KR1019990040356A 1999-09-20 1999-09-20 액정표시장치의 보조커넥터 KR100597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356A KR100597812B1 (ko) 1999-09-20 1999-09-20 액정표시장치의 보조커넥터
US09/665,115 US6769922B1 (en) 1999-09-20 2000-09-20 Auxillary connectors for connectors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356A KR100597812B1 (ko) 1999-09-20 1999-09-20 액정표시장치의 보조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221A true KR20010028221A (ko) 2001-04-06
KR100597812B1 KR100597812B1 (ko) 2006-07-06

Family

ID=1961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356A KR100597812B1 (ko) 1999-09-20 1999-09-20 액정표시장치의 보조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769922B1 (ko)
KR (1) KR1005978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670B1 (ko) * 2001-09-24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용 컨넥터
WO2020004775A1 (ko) * 2018-06-29 2020-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확장형 커넥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9146B2 (en) * 2003-06-02 2005-09-06 Infocus Corporation Board-to-board power connector for a projection device
US9474154B2 (en) * 2014-07-18 2016-10-18 Starkey Laboratories, Inc. Reflow solderable flexible circuit board — to —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reinforcement
JP2017203803A (ja) * 2016-05-09 2017-11-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771432B2 (ja) * 2017-06-27 2020-10-21 株式会社Joled フレキシブル配線板対、及び、表示装置
JP6943793B2 (ja) 2018-03-08 2021-10-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中間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33436A (en) * 1978-09-22 1982-10-12 Burndy Corporation Spring-locked concatenation of housings for electrical connections
JPH0233873A (ja) * 1988-07-25 1990-02-05 Hitachi Ltd 配線用連結器の絶縁蓋装置
US5064389A (en) * 1991-06-19 1991-11-12 Amp Incorporated Electrical slave connector
US5137462A (en) * 1991-08-13 1992-08-11 Amp Incorporated Adapter for stacking connector assembly
US5181855A (en) * 1991-10-03 1993-01-26 Itt Corporation Simplified contact connector system
DE9217921U1 (ko) * 1992-12-01 1993-05-06 Kensche, Baerbel, 4650 Gelsenkirchen, De
KR0125362Y1 (ko) * 1995-05-09 1998-09-15 정몽원 확장성을 갖는 케이블 단선 검사기용 인터페이스 커넥터
KR0140467Y1 (ko) * 1995-08-31 1999-05-15 유기범 중계커넥터
JPH09161928A (ja) * 1995-12-08 1997-06-20 Kubota Corp コネクタ接続方法
JPH09171863A (ja) * 1995-12-19 1997-06-30 Mitsubishi Electric Corp Icカード用アダプタ及び該アダプタとicカードとの接続構造
KR20000015116U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보조 접속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670B1 (ko) * 2001-09-24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용 컨넥터
WO2020004775A1 (ko) * 2018-06-29 2020-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확장형 커넥터 조립체
US11196211B2 (en) 2018-06-29 2021-12-07 Lg Chem, Ltd. Expandable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69922B1 (en) 2004-08-03
KR100597812B1 (ko)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0424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printed boards
KR102507203B1 (ko) 커넥터
US7029330B1 (en) Non-grounded electric connector
US9252510B2 (en) Soldering structure for mounting connector on flexible circuit board
US20100326705A1 (en) Flexible-circuit-board cable with positioning structure for insertion
KR20060113517A (ko)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안정된 접속이 가능한 전기접속 부재및 그것을 사용하는 커넥터
KR102631033B1 (ko) 리셉터클 커넥터
US75580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KR100597812B1 (ko) 액정표시장치의 보조커넥터
US20020173201A1 (en) Plug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s
US6056559A (en) Punched sheet coax header
CN110324466B (zh) 移动终端
EP0888036B1 (en) LCD assembly with reduced thicknes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5327326A (en) Large scale integrated package structure
US6482016B1 (en) Power connector
KR100483399B1 (ko) 프린트배선기판및그접속방법
WO2010113069A1 (en) An electric connector and the manufacture method thereof
JPH10162914A (ja) プリント基板間の回路接続装置及び接続方法
KR200169593Y1 (ko) 플렉시블 프린티드 케이블(flexible printed cable)용 접속장치
US10963021B2 (en) Electronic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0395814B1 (ko) 단선 방지형 유연성 프린트 회로
JPH09245913A (ja) 基板用コネクタ
KR200266821Y1 (ko) 기판 대 기판 접속기
KR100513179B1 (ko) 펀칭된 박판 동축 케이블 헤더
JP2021052115A (ja) 複数部材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