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7976A - 동물용 인큐베이터 - Google Patents

동물용 인큐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7976A
KR20010027976A KR1019990039984A KR19990039984A KR20010027976A KR 20010027976 A KR20010027976 A KR 20010027976A KR 1019990039984 A KR1019990039984 A KR 1019990039984A KR 19990039984 A KR19990039984 A KR 19990039984A KR 20010027976 A KR20010027976 A KR 20010027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air
humidity
control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3625B1 (ko
Inventor
서경
Original Assignee
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 filed Critical 서경
Priority to KR1019990039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625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88Animal shelters especially adapted for keeping young cattle, i.e. cal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용 인큐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배설물 받이(22)가 설치되는 몸체(20); 각 격실(32)에 온도조절부재(33)와 살균/소독부재(34) 및 습도조절부(35)가 각각 설치된 공기조절부재(30); 외부공기의 유입 조절용 외기 조절부재(40); 상기 공기조절부재(30)에 설치되는 차단판(50); 상기 차단판(50)의 상면에 안착되는 매트부재(60); 상기 공기조절부재(30)에 설치되어 보육실(72)을 형성시키는 후방케이스(70); 상기 보육실(72)의 전방부가 전면 개폐되도록 상기 후방케이스(70)에 설치되는 전방케이스(80); 및 인큐베이터(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전원 공급부(90)로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동물이 안치되는 보육실(72)로 살균/소독되고 온도와 습도가 조절된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어 안치되는 동물의 보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2차 감염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인큐베이터(10) 전면이 상기 각 전방케이스(80)에 의해 미닫이식으로 전면 개방됨으로써, 동물의 입,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물이 배설한 오줌이 배설물 받이(22)로 배출됨으로써, 보육실(72) 내부의 청소가 용이함은 물론 위생적이며, 신생아에 비하여 단순한 구조로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동물용 인큐베이터{INCUBATOR FOR ANIMAL}
본 발명은 동물용 인큐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와 온도 조절은 물론, 동물의 오줌과 같은 배설물을 배출시킬 수 있고, 동물의 입.출입이 용이하며 가격이 저렴한 동물전용 인큐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큐베이터는 미숙아의 체온의 불비를 보충하기 위하여 미숙아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큐베이터는 신생아를 위하여 제공되었을 뿐, 동물을 위한 인큐베이터는 구비되어 있지 않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신생아용 인큐베이터를 동물용으로 개조하여 사용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신생아용 인큐베이터를 동물용으로 개조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몇가지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먼저, 기존의 신생아용 인큐베이터는 보육실 개폐도어의 구조가 신생아에게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동물을 보육실로 동물을 입.출입시키는 과정이 불편하였고, 오줌과 같은 배설물을 걸레로 닦아서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미 신생아를 보육시킨 인큐베이터에 동물을 보육시킴으로써, 동물의 2차 감염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신생아에게 적합하도록 제작되었기 때문에 중고라 할지라도 구입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보육실 입.출입이 용이하고, 오줌과 같은 배설물의 배출이 용이하며, 공기의 습도와 온도 조절은 물론 살균/소독이 가능하여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동물의 보육용으로 적합한 동물용 인큐베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바닥이 밀폐되고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전면에 배설물 받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설치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물 공급부재가 관통 설치되는 몸체; 내.외부 공기가 유통되도록 다수개의 격실이 각각의 격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각 격실에는 유통되는 공기가 살균/소독되고 습도와 온도가 조절되도록 온도조절부재와 살균/소독부재 및 습도조절부가 각각 설치되며, 상연부 일측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연부 양측에 안내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공기조절부재; 상기 몸체와 공기조절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외기 조절부재; 살균/소독되고 습도와 온도가 조절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1,2토출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유입공이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에는 제 1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각 격실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각 격판에 설치되는 차단판; 상기 제 1,2토출구에 대응되는 토출 조절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 조절구에는 조절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유입공에 대응되는 제 2유입공이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배출공에 대응되는 제 2배출공이 중간부에 형성되며,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차단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매트부재; 상기 매트부재의 상부로 보육실이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홈에 하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후방케이스; 각 상면 일측이 상기 후방케이스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는 로울러를 구비하여 상기 보육실의 전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각 안내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케이스; 및 상기 보육실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매트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온도조절부재와 살균/소독부재와 습도조절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 공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인큐베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물용 인큐베이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물용 인큐베이터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물용 인큐베이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동물용 인큐베이터의 공기조절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매트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6는 도 1에 도시된 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전방케이스가 개폐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습도 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몸체 22 : 배설물 받이
24 : 설치부 26 : 물 공급부재
30 : 공기조절부재 31 : 격판
32 : 격실 33 : 온도조절부재
34 : 살균/소독부재 35 : 습도조절부
36 : 고정홈 37 : 안내홈
40 : 외기 조절부재 50 : 차단판
51,52 : 제 1,2토출구 54 : 제 1유입공
56 : 제 2배출공 60 : 매트부재
62 : 토출 조절구 62A : 조절부재
64 : 제 2유입공 66 : 제 2배출공
68 : 미끄럼 방지부 70 : 후방케이스
72 : 보육실 80 : 전방케이스
82 : 로울러 90 : 전원 공급부
92 : 온도센서 94 : 온/오프 스위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물용 인큐베이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물용 인큐베이터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물용 인큐베이터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동물용 인큐베이터의 공기조절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매트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6는 도 1에 도시된 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전방케이스가 개폐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미설명 부호 "10"은 인큐베이터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동물용 인큐베이터(10)는 몸체(20)에 결합되고 온도조절부재(33)와 살균/소독부재(34)와 습도조절부(35)가 설치되도록 형성된 공기조절부재(30)와, 상기 공기조절부재(30)에 결합되는 차단판(50)과, 상기 차단판(50)의 상부로 결합되고 동물이 안치되어 보육되도록 형성된 매트부재(60)와, 상기 공기조절부재(30)의 상연부 일측에 설치되는 투명재질의 후방케이스(70)와, 상기 후방케이스(7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조절부재(30)의 상연부에 안내되어 각각 양측으로 개폐되는 투명재질의 전방케이스(80)와, 상기 전,후방 케이스(70,8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된 온도센서(92)를 구비하여 상기 인큐베이터(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90)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몸체(20)는 바닥이 밀폐되고 상부가 개구된 타원형 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전면에 배설물 받이(2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설치부(24)가 관통 형성되고, 일측에 물 공급부재(26)가 관통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물 공급부재(2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0)와 공기조절부재(30)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된 것으로, 후술할 제 4결실(32D)로 습도조절용 물(35A)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공기조절부재(30)는 상기 몸체(20)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도록 타원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그 내부에 내.외부 공기가 유통되도록 다수개의 격실(32)이 각각의 격판(3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배설물 받이(22)가 삽입되도록 일면과 내부가 연통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각 격실(32)에는 유통되는 공기가 살균/소독되고 습도와 온도가 조절되도록 온도조절부재(33)와 살균/소독부재(34) 및 습도조절부(35)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격실(32)은 상기 각각의 격판(31)에 의해 형성된 제 1,2,3,4 격실(32A,32B,32C,32D)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 1격실(32A)은 상기 외기 조절부재(40)와 보육실(72)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팬(33A)과 상기 팬(33A)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형성된 발열부재(33B)로 구성된 온도조절부재(33)가 설치되도록 상기 공기조절부재(3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 2격실(32B)은 상기 팬(33A)에 의해 공급된 공기의 살균/소독용 자외선 램프로 구성된 살균/소독부재(34)가 설치되도록 상기 제 1격실(32A) 일측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 3격실(32C)은 상기 살균/소독부재(34)에 의해 소독된 일부의 공기가 상기 제 1토출구(51)와 토출 조절구(62)를 통하여 상기 보육실(72)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 2격실(32B) 일측에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 4격실(32D)은 상기 살균/소독부재(34)에 의해 소독되어 유입되는 일부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상기 습도조절부(35)가 설치되고, 습도가 조절된 공기가 상기 제 2토출구(52)와 토출 조절구(62)를 통하여 상기 보육실(72)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 2격실(32B)과 연통되게 상기 제 3격실(32C)의 일측에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습도조절부(35)는 상기 제 2격실(32B)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습도가 상승되도록 상기 물 공급부재(26)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제 4격실(32D)에 수용되는 습도조절용 물(35A)과, 상기 제 4격실(32D)로 과잉공급된 습도조절용 물(35A)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 4격실(32D)의 일측에 형성된 보조 수용실(35B)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습도조절부(35)는 유입된 공기의 습도가 상승되도록 상기 제 4격실(32D)에 수용되는 습도조절용 물(35A)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 4격실(32D)에는 상기 습도조절용 물(35A)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동방지부재, 다시말하면, 스폰지 또는 유동방지판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기조절부재(30)의 상연부 일측에는 고정홈(36)이 형성되고, 상연부 양측에는 안내홈(37)이 각각 형성되며, 내측면 상부에는 후술할 차단판(50)이 안착되도록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고정홈(36)은 상기 공기조절부재(30)의 상연부 후방측에 후술할 후방케이스(70)의 하단부가 끼움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이고, 상기 안내홈(37)은 후술할 각 전방케이스(80)의 로울러(8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상연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것이며, 이때 상기 상연부의 전방측에는 고정홈(36)이나 안내홈(37)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기 조절부재(40)는 외부공기가 상기 온도조절부재(33)에 의해 상기 각 격실(32A,32B,32C,32D)로 유입되도록 상기 몸체(20)와 공기조절부재(30)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20)와 공기조절부재(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유입관(42)과, 상기 유입관(42)의 입구측에 고정 설치되고, 다수개의 관통공(44)이 천공된 제 1조절판(46)과, 상기 각 관통공(44)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 1조절판(46)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조절판(48)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2조절판(48)을 회동시켜 상기 관통공(44)의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차단판(50)은 상기 공기조절부재(30)의 내부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으로, 살균/소독되고 습도와 온도가 조절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1,2토출구(51,52)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유입공(54)이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에는 제 1배출공(56)이 형성되어 상기 각 격실(32)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각 격판(31)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배출공(56)은 다수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매트부재(60)는 상기 제 1,2토출구(51,52)에 대응되는 토출 조절구(6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 조절구(62)에는 조절부재(62A)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유입공(54)에 대응되는 제 2유입공(64)이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배출공(56)에 대응되는 제 2배출공(66)이 중간부에 형성되며,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부(68)가 형성되어 상기 차단판(5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매트부재(6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트부재(60)의 상면에는 동물의 배설물 특히 오줌이 상기 제 2배축공(66)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도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62A)는 상기 제 1,2토출구(51,52)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토출 조절구(62)에 조절부재(62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절부재(62A)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 1,2토출구(51.52)를 통하여 토출 조절구(62)로 토출되는 습한 공기와 건조한 공기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후방케이스(70)는 상기 매트부재(60)의 상부로 보육실(72)이 형성되도록 반 타원형 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홈(36)에 하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케이스(80)는 상기 후방케이스(70)에 설치되어 상기 보육실(72)의 전방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각 상면 일측이 상기 후방케이스(7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는 로울러(82)를 구비하여 상기 보육실(72)의 전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각 안내홈(3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전방케이스(80)의 각 상면 일측이 상기 후방케이스(72)의 상면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각 하단부는 로울러(82)가 설치되어 상기 각 안내홈(3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각 전방케이스(80)는 각각 양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인큐베이터(10)의 전방부를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 공급부(90)는 상기 보육실(72)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매트부재(60)의 일측에 설치되는 온도센서(92)와, 온/오프 스위치(94)를 구비하여 상기 온도조절부재(33)와 살균/소독부재(34)와 습도조절부(35)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몸체(2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온도센서(92)는 상기 보육실(72)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온도조절부재(33)는 상기 온도센서(92)가 감지한 온도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온도조절부재(33)의 발열부재(33B)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게 되는 것(설정치 이하이면 전원공급, 이상이면 전원차단)이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94)는 외부전원을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격실(32B)에 설치되는 살균/소독용 자외선 램프용 안정기를 상기 공기조절부재(30)의 내부 빈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0)의 내부로 상기 공기조절부재(30)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몸체(20)의 설치부(24)에는 배설물 받이(22)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외기 조절부재(40)와 물 공급부재(26)를 상기 몸체(20)와 공기조절부재(30)에 관통 설치한다. 이때, 상기 외기 조절부재(40)는 상기 제 1격실(32A)에 연통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물 공급부재(26)는 상기 제 4격실(32D)에 연통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물 공급부재(26)를 통하여 습도조절용 물(35A)을 상기 제 4격실(32D)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제 4격실(32D)로 과잉공급된 습도조절용 물(35A)은 상기 보조 수용실(35B)에 수용되어 상기 제 2격실(32B)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절부재(30)의 격판(31) 상단부에는 차단판(50)을 안착시켜 설치하고, 상기 차단판(50)의 상면에는 매트부재(60)를 안착시켜 설치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절부재(30)의 고정홈(36)에는 후방케이스(70)의 하단부를 끼움 고정하고, 상기 후방케이스(70)의 상면 양측에 상기 각 전방케이스(80)의 상면 일측을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각 로울러(82)를 안내홈(3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와 같이 각 구성요소가 결합된 본 발명에 의한 인큐베이터(10)에 동물을 안치시켜 보육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전원 공급부(90)의 온/오프 스위치(94)를 조작하여 상기 온도조절부재(33)와 살균/소독부재(34)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온도조절부재(33)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송풍용 팬(33A)이 구동되어 상기 외기 조절부재(40)로부터 외부공기를 인큐베이터(10) 내부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유입공(44)과 제 2유입공(64)을 통하여 상기 보육실(72)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 2격실(32B)로 유입시킨다.
이때, 상기 외기 조절부재(40)의 제 2조절판(48)을 조절하여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조절판(48)을 회동시켜 상기 제 1조절판(46)의 관통공(44)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팬(33A)에 의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팬(33A)을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발열부재(33B)를 거치면서 온도가 상승하게 되나, 상기 온도센서(92)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발열부재(33B)가 온/오프 되므로, 상기 제 2격실(32B)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팬(33A)에 의해 제 2격실(32B)로 유입된 내/외부 공기는 상기 살균/소독부재(34)에 의해 살균/소독되어 상기 제 3격실(32C)과 제 4격실(32D)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살균/소독부재(34)는 자외선 램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 램프가 점등되어 있는 제 2격실(32B)을 통과하는 내/외부 공기는 살균/소독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살균/소독되어 상기 제 3격실(32C)로 유입된 공기는 건조한 공기인 것으로, 상기 제 1토출구(51)와 토출 조절구(62)를 통하여 상기 매트부재(60)의 상부에 형성된 보육실(72)로 공급되는 것이고, 상기 제 4격실(32D)로 유입된 공기는 습도조절용 물(35A)이 수용된 상기 제 4격실(32D)을 통과하면서 습기를 머금게 되어 상기 제 2토출구(52)와 토출 조절구(62)를 통하여 상기 보육실(72)로 공급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2격실(32B)을 통과한 일부의 공기는 상기 제 3격실(32C)을 통과하면서 건조한 상태로 상기 보육실(72)로 공급되는 것이고, 상기 제 4격실(32D)을 통과하는 일부의 공기는 습도가 상승한 상태로 상기 보육실(72)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부재(62A)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보육실(72)로 공급되는 건조한 공기와 습한 공기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육실(72)의 온도와 습도가 온도센서(92)와 습도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감지된 후, 상기 몸체(20)의 전면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절부재(62A)를 이용한 토출 조절구(62)의 개폐정도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동물을 상기 보육실(72)에 안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각 전방케이스(80)를 각각 양측으로 이동시켜 보육실(72)의 전방부를 개방시킨다.
즉, 상기 각 전방케이스(80)를 손잡이를 이용하여 양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전방케이스(80)가 상기 후방케이스(70)에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 양측 후방으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각 로울러(82)는 상기 안내홈(37)에 안내되어 상기 전방 케이스(80)의 회동이 원활하게 되어 상기 각 전방케이스(80)는 미닫이 형식으로 작동되어 상기 보육실(72)의 전방부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보육실(72)이 개방되면, 상기 매트부재(60)의 상면에 동물을 안치시킨다.
이때, 상기 각 전방케이스(80)가 양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보육실(72)의 전방부를 개방하기 때문에 상기 동물의 입실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동물이 상기 매트부재(60)의 상면에 안치되면 상기 각 전방케이스(80)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각 전방케이스(80)가 상기 보육실(72)의 전방부를 폐쇄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보육실(72) 내부로 온도와 습도가 알맞게 조절된 공기가 상기 토출 조절구(62)를 통하여 공급되고, 다시 제 2배출공(66)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즉, 상기 보육실(72) 내부의 환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동물이 상기와 같이 온도와 습도 조절이 공기가 공급되는 보육실(72)에 안치된 상태에서 오줌을 배설하게 되면, 배설된 오줌은 상기 매트부재(60)에 고여있지 않고 유도홈을 따라 상기 제 1배출공(56)과 제 2배출공(66)을 통하여 상기 배설물 받이(22)로 배출된다.
이는 상기 제 1,2배출공(56.66)이 연통되도록 상기 차단판(50)과 매트부재(6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2배출공(56,66)은 상기 설치부(24)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매트부재(60)에 배설된 오줌은 상기 설치부(24)에 서랍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공기조절부재(30)의 내부 중앙으로 삽입된 상기 배설물 받이(22)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육실(72)에 안치된 동물이 배설한 오줌을 걸레와 같은 닦아내지 않아도 됨으로 보육실(72)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매트부재(60)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부(68)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안치되는 동물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습도조절부(3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4격실(32D)에 설치되는 가습기(35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4격실(32D)에 강제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통상적인 가습기(35C)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보육실(72) 내의 습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 4격실(32D)의 바닥면에 상기 가습기(35C)를 설치하고, 상기 물 공급부재(26)를 이용하여 상기 제 4격실(32D)에 물을 공급한 후 상기 가습기(35C)를 작동시킴으로써, 발생된 수증기가 상기 제 2토출구(52)와 토출 조절구(62)를 통하여 상기 보육실(7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보육실(72)의 전방부가 상기 각 전방케이스(80)의 미닫이식 개폐작동으로 전면 개방되어 동물의 입.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오줌과 같은 배설물이 배설물 받이(22)로 배출되어 배설물의 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습도와 온도가 알맞게 조절되고 살균/소독된 공기가 상기 보육실(72)로 공급됨으로써, 동물의 보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동물용 인큐베이터는 동물이 안치되는 보육실로 살균/소독되고 온도와 습도가 조절된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어 안치되는 동물의 보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2차 감염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인큐베이터 전면이 상기 각 전방케이스에 의해 미닫이식으로 전면 개방됨으로써, 동물의 입,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물이 배설한 오줌이 배설물 받이로 배출됨으로써, 보육실 내부의 청소가 용이함은 물론 위생적이며,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바닥이 밀폐되고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전면에 배설물 받이(2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설치부(24)가 형성되고, 일측에 물 공급부재(26)가 관통 설치되는 몸체(20);
    내.외부 공기가 유통되도록 다수개의 격실(32)이 각각의 격판(3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각 격실(32)에는 유통되는 공기가 살균/소독되고 습도와 온도가 조절되도록 온도조절부재(33)와 살균/소독부재(34) 및 습도조절부(35)가 각각 설치되며, 상연부 일측에 고정홈(36)이 형성되고, 상연부 양측에 안내홈(37)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2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공기조절부재(30);
    상기 몸체(20)와 공기조절부재(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외기 조절부재(40);
    살균/소독되고 습도와 온도가 조절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1,2토출구(51,52)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유입공(54)이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에는 제 1배출공(56)이 형성되어 상기 각 격실(32)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각 격판(31)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차단판(50);
    상기 제 1,2토출구(51,52)에 대응되는 토출 조절구(6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 조절구(62)에는 조절부재(62A)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유입공(54)에 대응되는 제 2유입공(64)이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배출공(56)에 대응되는 제 2배출공(66)이 중간부에 형성되며,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부(68)가 형성되어 상기 차단판(50)의 상면에 안착되는 매트부재(60);
    상기 매트부재(60)의 상부로 보육실(72)이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홈(36)에 하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후방케이스(70);
    각 상면 일측이 상기 후방케이스(7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는 로울러(82)를 구비하여 상기 보육실(72)의 전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각 안내홈(3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케이스(80); 및
    상기 보육실(72)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매트부재(60)의 일측에 설치되는 온도센서(92)와 온/오프 스위치(94)를 구비하여 상기 온도조절부재(33)와 살균/소독부재(34)와 습도조절부(35)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몸체(2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 공급부(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인큐베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조절부재(40)는 상기 몸체(20)와 공기조절부재(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유입관(42);
    상기 유입관(42)의 입구측에 고정 설치되고, 다수개의 관통공(44)이 천공된 제 1조절판(46); 및
    상기 각 관통공(44)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 1조절판(46)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조절판(4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인큐베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32)은 상기 외기 조절부재(40)와 보육실(72)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팬(33A)과 상기 팬(33A)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형성된 발열부재(33B)로 구성된 온도조절부재(33)가 설치되도록 내부 일측에 형성된 제 1격실(32A);
    상기 팬(33A)에 의해 공급된 공기의 살균/소독용 자외선 램프로 구성된 살균/소독부재(34)가 설치되도록 상기 제 1격실(32A) 일측에 형성된 제 2격실(32B);
    상기 살균/소독부재(34)에 의해 소독된 일부의 공기가 상기 제 1토출구(51)와 토출 조절구(62)를 통하여 상기 보육실(72)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 2격실(32B) 일측에 형성된 제 3격실(32C); 및
    상기 살균/소독부재(34)에 의해 소독되어 유입되는 일부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상기 습도조절부(35)가 설치되고, 습도가 조절된 공기가 상기 제 2토출구(52)와 토출 조절구(62)를 통하여 상기 보육실(72)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 2격실(32B)과 연통되게 상기 제 3격실(32C)의 일측에 형성된 제 4격실(32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인큐베이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부(35)는 상기 제 2격실(32B)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습도가 상승되도록 상기 물 공급부재(26)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제 4격실(32D)에 수용되는 습도조절용 물(35A);
    상기 제 4격실(32D)로부터 넘치는 습도조절용 물(35A)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 4격실(32D)의 일측에 형성된 보조 수용실(35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인큐베이터.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부(35)는 상기 제 4격실(32D)에 설치되는 가습기(35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인큐베이터.
KR1019990039984A 1999-09-17 1999-09-17 동물용 인큐베이터 KR100343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984A KR100343625B1 (ko) 1999-09-17 1999-09-17 동물용 인큐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984A KR100343625B1 (ko) 1999-09-17 1999-09-17 동물용 인큐베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976A true KR20010027976A (ko) 2001-04-06
KR100343625B1 KR100343625B1 (ko) 2002-07-11

Family

ID=1961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984A KR100343625B1 (ko) 1999-09-17 1999-09-17 동물용 인큐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6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178A (ko) * 2020-10-26 2022-05-03 (주)메디너스코리아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KR20220002326U (ko) * 2021-03-22 2022-09-29 김동규 축산용 인큐베이터
KR20220168491A (ko) * 2021-06-16 2022-12-23 최군식 송아지 인큐베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8954B (zh) 2017-07-18 2021-11-05 株式会社奥托艾莱克斯 宠物用保温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9210A (en) * 1972-04-05 1973-12-18 Internat Farm Systems Inc Incubative animal confinement system
CA2076739A1 (en) * 1991-08-28 1994-02-25 Robert C. Bruce Newborn animal incubator
US5823143A (en) * 1996-06-26 1998-10-20 Wilson; Jerry A. Newborn animal incubator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n automobile
US5730355A (en) * 1996-08-27 1998-03-24 Air-Shields, Inc. Infant incub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178A (ko) * 2020-10-26 2022-05-03 (주)메디너스코리아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KR20220002326U (ko) * 2021-03-22 2022-09-29 김동규 축산용 인큐베이터
KR20220168491A (ko) * 2021-06-16 2022-12-23 최군식 송아지 인큐베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3625B1 (ko) 200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2672B2 (ja) 排泄物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20050028254A1 (en) Automatic sanitizer and deodorizer
KR102017129B1 (ko)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KR102137572B1 (ko) 반려동물용 토탈케어 시스템
US20240173445A1 (en) Shoe management device
KR102016631B1 (ko) 신발 살균 건조기
KR100343625B1 (ko) 동물용 인큐베이터
US20060130492A1 (en) Multi-functional child care storage
US20030093856A1 (en) Care bedpan and a care bedpan system
KR20180054004A (ko) 빌트인 신발장
KR20210093104A (ko) 신발관리장치
JPH1014429A (ja) 動物収容箱
KR20200041758A (ko) 펫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77305B1 (ko) 어린 자돈의 생존율 향상을 위한 베이비하우스
KR100681649B1 (ko) 유아용 다기능 보관고
KR200219938Y1 (ko)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
KR20220038322A (ko) 고양이 화장실의 필터링 커버장치
KR200365892Y1 (ko)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KR20070093788A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KR20210093105A (ko) 신발관리장치
KR200337053Y1 (ko) 자외선 살균기 및 히터와 팬 기능이 내장된 옷장 및이불장(장농)
KR20230125697A (ko)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탈취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KR102551565B1 (ko) 다기능성 신발장 시스템
KR102156080B1 (ko) 스마트 신발장
CN216164344U (zh) 一种猫咪消毒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