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939A - Adsl망 장애관리를 위한 장애인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Adsl망 장애관리를 위한 장애인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5939A
KR20010025939A KR1019990037023A KR19990037023A KR20010025939A KR 20010025939 A KR20010025939 A KR 20010025939A KR 1019990037023 A KR1019990037023 A KR 1019990037023A KR 19990037023 A KR19990037023 A KR 19990037023A KR 20010025939 A KR20010025939 A KR 20010025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adsl
fault
management module
dsl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영
임병학
노대철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90037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5939A/ko
Publication of KR20010025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93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78Access multiplexer, e.g. DSL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the faulty arrangement being the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DSL망 장애관리를 위한 장애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ADSL서비스 제공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장애사항을 점검하여 장애의 원인 및 장애발생 영역을 판단함으로써 신속한 장애복구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DSL전송장치에서의 장애관리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장치의 장애관리가 분리되어 수행되지 않도록, 각각의 ADSL전송장치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발생하는 장애 정보를 ADSL장애인식장치에서 수집하고, 수집된 장애 정보들을 기반으로 장애의 원인을 규명한다. 또한, 장애해결을 위해 운용자가 점검해야 할 장애 구간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운용자가 신속하게 ADSL장애를 해결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가입자에 장애 발생시 장애해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ADSL망 장애관리를 위한 장애인식 장치 및 방법{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a Interference in ADSL}
본 발명은 ADSL (ADSL; Asynchronous Digital Subscriber Line)망 장애관리를 위한 장애인식 장치 및 방법 에 관한 것으로, ADSL서비스 제공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장애사항을 점검하여 장애의 원인 및 발생영역을 규명함으로써 신속한 장애복구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ADSL은 데이터 전송기술로 가입자측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서비스제공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장치와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종래의 장애 관리 기능을 보면, 도 1과 같이 ADSL전송장치에서의 장애관리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장치의 장애관리가 각각 DSLAM관리 장치와 NAS관리 장치에서 이루어 진다.
그 일례로서 ADSL관리장치의 연결을 나타낸 도 1의 구성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1의 ADSL 관리장치는, DSLAM(53) 내부에 DSLAM장치 장애관리 모듈(56) 및 링크계층 장애관리 모듈(57)을 구비하고, NAS(54) 내부에 NAS장치 장애관리 모듈(58) 및 네트워크계층 장애관리 모듈(59)을 구비한 각각의 장애관리 수단(60)과; 상기 장애관리 모듈들(53,54,56,57,58,59)과 연동하여 장애 정보를 통합하고 장애사항을 판단하고, 상기 장애관리 모듈들의 장애의 원인 및 구간을 판단하는 장애판단모듈(64)을 구비한다.
그러나, 도 1의 DSLAM관리 장치(63)와 NAS관리 장치(64)에서 장애발생시 두 장치의 관리 정보를 토대로 장애 원인을 유추해야 하기 때문에 장애 원인을 발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비효율적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ADSL서비스를 위해서는 ADSL장치의 전송계층 뿐만 아니라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의 네트워크 계층에 관한 관리도 이루어져야 하는데,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구간도 가입자 구간, 선로 구간, 서비스제공자 구간 등으로 광범위하다. 이와 같이 ADSL서비스에 있어서는, 장애를 감시하는 기능이 각각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통합적인 장애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장애 발생시 장애의 유형 및 장애발생 구간을 판단하기 위해 각 구간별로 장애사항을 점검하고 그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장애구간을 판단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ADSL전송장치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발생하는 장애정보를 ADSL장애인식장치에서 수집하고, 수집된 장애 정보들을 기반으로 장애의 원인을 규명하며, 장애해결을 위해 운용자가 점검해야할 장애 구간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운용자가 신속하게 ADSL서비스 장애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ADSL서비스의 관리를 위한 기존의 ADSL관리장치 연결 구성도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ADSL서비스 제공을 위해 구축된 전체 ADSL장치의 연결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ADSL장애인식 장치에서의 내부 구조도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ADSL장애인식 장치에서의 모듈별 장애발생에 따른 장애 원인과 장애 구간 판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인용 컴퓨터
2 : ATU-R(ADSL Terminal Unit-Remote,가입자측 ADSL 모뎀)
3 : DSLAM(Digital 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 ADSL전송장치
4 : NAS(Network Access Server),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5 : ADSL장애 인식 장치
6 : DSLAM장치 장애관리 모듈
7 : 링크계층 장애관리 모듈
8 : NAS장치 장애관리 모듈
9 : 네트워크계층 장애관리 모듈
11 : 데이터베이스
ADSL서비스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개인용컴퓨터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ATU-R등의 장치를 갖추어야 하며, ADSL서비스 제공자는 ADSL전송을 담당하는 DSLAM과, 네트워크 계층을 담당하는 NAS를 갖추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장치에서 장애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DSLAM(3) 내부에 DSLAM장치 장애관리 모듈(6) 및 링크계층 장애관리 모듈(7)을 구비하고, NAS(4) 내부에 NAS장치 장애관리 모듈(8) 및 네트워크계층 장애관리 모듈(9)을 구비한 각각의 장애관리 수단과;
상기 장애관리 모듈들과 연동하여 장애 정보를 통합하고 장애사항을 판단하는 ADSL장애인식 장치 수단(5)과;
상기 장애관리 모듈들 내부에 장애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와 장애의 원인 및 구간을 판단하는 장애판단모듈(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DSL장애인식장치가 DSLAM과 NAS의 장애관리 모듈에 접속하여 장애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저장된 장애정보를 이용하여 장애판단모듈을 통해 장애의 원인을 찾아내는 제 2과정과;
장애 원인의 해결을 위한 장애발생 구간을 결정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특징들,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ADSL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입자 및 서비스 제공자의 장치 연결구조이다. 가입자구간에서는 ADSL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개인용컴퓨터와 DSLAM과 통신하기 위한 ATU-R(2)로 구성되어 있다. DSLAM(3)에는 장애관리를 위한 기능중 가입자 모듈에 관한 시스템의 장애발생유무를 점검하는 DSLAM장치 장애관리 모듈(6)과 ATU-R과 DSLAM사이의 링크에서의 장애상태를 점검하는 링크계층 장애관리 모듈(7)이 있다. 그리고, NAS(4)는 네트워크 모듈에 관한 시스템의 장애유무를 점검하는 NAS장치 장애관리 모듈(8)과 가입자와의 네트워크계층에서의 장애유무를 점검하는 네트워크계층 장애관리 모듈(9)로 구성된다. 이 네개의 모듈은 각각 ADSL장애인식장치(5)와 연결되어 장애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ADSL장애인식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여준다. 데이터베이스(11)와 장애판단 모듈(12)로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11)는 각 장애관리 모듈(도시 안됨)로부터 오는 장애 정보를 저장하며, 장애판단 모듈(12)은 데이터베이스의 장애정보를 통해 장애의 원인과 장애구간을 결정한다.
도 4는 ADSL장애인식장치에서 장애정보를 이용한 장애의 원인 및 장애 구간을 판단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장애 발생조건에 따라 장애의 원인 및 구간이 달라진다. 모든 모듈에서 장애가 없으면(30), ADSL서비스가 정상 동작함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모듈(26)에서만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가입자 PC의 네트워크 환경설정에서의 장애발생으로 가입자 구간에서 장애를 해결하여야 하며, 링크모듈(22)과 네트워크모듈(26) 모두 장애가 발생하면 ATU-R또는 선로(34)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먼저 가입자 구간의 ATU-R의 장애사항을 점검해야 하며 문제가 없는 경우 선로구간에서의 장애사항을 점검해야 한다. DSLAM모듈(36) 또는 NAS모듈(38)에서 장애가 발생시 하드웨어적인 장애발생으로 서비스 제공자 구간에서의 해당 장치의 교체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DSL서비스 제공자가 ADSL서비스의 장애관리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써, 각각의 ADSL장치의 장애관리를 수행하지 않고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며, 정보들의 조합에 따라 신속한 장애원인을 발견하고 해당 장애구간에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장애해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장애 정보를 통합 관리하므로 이것을 통계화하여 장애의 발생유형을 알 수 있으며 ADSL장치개선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4)

  1. ADSL서비스의 전송계층의 작업을 수행하는 DSLAM의 DSLAM장치 장애관리 모듈과 링크계층 장애관리 모듈과;
    상기 ADSL서비스의 네트워크 계층의 작업을 수행하는 NAS의 NAS장치 장애관리 모듈과 네트워크계층 장애관리 모듈과;
    상기 각 장애모듈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기 위한 ADSL장애인식장치의 데이터베이스 저장장치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저장장치에 저장된 장애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의 원인 및 장애구간을 판단하는 ADSL장애인식장치의 장애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SL장애인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장애관리 모듈과 연동하여 장애 정보를 통합하고 장애사항을 판단하는 ADSL장애인식 장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SL장애인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관리 모듈 내부에 장애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장애의 원인 및 구간을 판단하는 장애판단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SL장애인식 장치.
  4. ADSL장애인식장치가 DSLAM과 NAS의 장애관리 모듈에 접속하여 장애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저장된 장애정보를 이용하여 장애판단모듈을 통해 장애의 원인을 찾아내는 제 2과정과;
    장애 원인의 해결을 위한 장애발생 구간을 결정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SL장애인식 방법.
KR1019990037023A 1999-09-02 1999-09-02 Adsl망 장애관리를 위한 장애인식 장치 및 방법 KR20010025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023A KR20010025939A (ko) 1999-09-02 1999-09-02 Adsl망 장애관리를 위한 장애인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023A KR20010025939A (ko) 1999-09-02 1999-09-02 Adsl망 장애관리를 위한 장애인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939A true KR20010025939A (ko) 2001-04-06

Family

ID=1960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023A KR20010025939A (ko) 1999-09-02 1999-09-02 Adsl망 장애관리를 위한 장애인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593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160B1 (ko) * 2001-04-12 2004-04-29 (주)맥컴정보기술 에스앤엠피브이 알엠오엔을 이용한 초고속망의 네트웍성능 및 표준 관리장치
KR100428670B1 (ko) * 1999-10-29 200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접속 서버로 동작하는 패킷기반의 디지털 가입자 전송선로 다중화 시스템
KR100538358B1 (ko) * 2002-06-27 2005-12-22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대한 장애 구간 진단 방법
KR100735394B1 (ko) * 2001-09-15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칭/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라인 시스템의 장애 진단방법
KR100887876B1 (ko) * 2002-06-27 2009-03-06 주식회사 케이티 Nas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027261B1 (ko) * 2008-12-26 2011-04-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정 제어 네트워크에서 정책 기반의 장애 탐지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5735A (ja) * 1995-08-10 1997-02-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網故障診断システムおよび通信網故障診断方法
KR19990056189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비대칭 가입자라인 전송시스템의 시스템 유지 보수장치
KR20000015186A (ko) * 1998-08-27 2000-03-15 김영환 에이디에스엘 망 접속 장치를 유지관리하는 이중화 장치
KR20000015184A (ko) * 1998-08-27 2000-03-15 김영환 에이디에스엘 망 접속 장치를 유지관리하는 이중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5735A (ja) * 1995-08-10 1997-02-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網故障診断システムおよび通信網故障診断方法
KR19990056189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비대칭 가입자라인 전송시스템의 시스템 유지 보수장치
KR20000015186A (ko) * 1998-08-27 2000-03-15 김영환 에이디에스엘 망 접속 장치를 유지관리하는 이중화 장치
KR20000015184A (ko) * 1998-08-27 2000-03-15 김영환 에이디에스엘 망 접속 장치를 유지관리하는 이중화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670B1 (ko) * 1999-10-29 200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접속 서버로 동작하는 패킷기반의 디지털 가입자 전송선로 다중화 시스템
KR100429160B1 (ko) * 2001-04-12 2004-04-29 (주)맥컴정보기술 에스앤엠피브이 알엠오엔을 이용한 초고속망의 네트웍성능 및 표준 관리장치
KR100735394B1 (ko) * 2001-09-15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칭/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라인 시스템의 장애 진단방법
KR100538358B1 (ko) * 2002-06-27 2005-12-22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대한 장애 구간 진단 방법
KR100887876B1 (ko) * 2002-06-27 2009-03-06 주식회사 케이티 Nas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027261B1 (ko) * 2008-12-26 2011-04-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정 제어 네트워크에서 정책 기반의 장애 탐지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12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 management of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monitoring a user network interface
KR20080052822A (ko) 통신망에서 전자감시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CA2473467A1 (en) Remote sensing of power supply states
CN112003721A (zh) 一种大数据平台管理节点高可用的实现方法及装置
KR20010025939A (ko) Adsl망 장애관리를 위한 장애인식 장치 및 방법
US7526533B1 (en) Active call context reconstruction for primary/backup resource manager servers
FI104032B (fi) Menetelmä televerkon vianhallintaan ja telejärjestelmä
KR0173380B1 (ko) 분산형 액세스 노드 시스템에서의 성능관리 방법
KR100279721B1 (ko) 교환기와과금센터간의인터페이스유지보수방법
US6901443B1 (en) Non-fault tolerant network nodes in a multiple fault tolerant network
KR20010045587A (ko) 과금데이터 통합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isco Alarms chapter of the Software Messages Reference Guide.
KR20030052402A (ko) xDSL 액세스 구간의 장애 및 알람 관리 방법
Cisco Voice Network Troubleshooting
Cisco Voice Faults and Exceptions
AU2001249114A1 (en) Non-fault tolerant network nodes in a multiple fault tolerant network
Cohen et al. Unified network management from AT&T
US20050099956A1 (en) Load distribution type network faul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broadband router
JP3358106B2 (ja) 申告故障対応方法とその設備オペレーションシステム
US11444857B2 (en) Network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0608898B1 (ko) 초고속 국가망의 atm망을 접속망으로 이용하는 인터넷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sla 고장 품질 제공을 위한 고장처리 방법
KR20010113240A (ko) 네트워크 점검 및 자동응답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0349670B1 (ko)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표준관리동작처리 오류 방지방법
KR100644284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의 관리자와 대행자간 운용관리 통신채널 상태 진단 방법
KR100228403B1 (ko) 교환기용 통신관리망 에이전트 시스템에서의 초기 데이타 생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