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3524A - 탱크 바닥부를 탱크의 나머지 부분에서 분리하기 위한분리 부재 - Google Patents

탱크 바닥부를 탱크의 나머지 부분에서 분리하기 위한분리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3524A
KR20010023524A KR1020007002170A KR20007002170A KR20010023524A KR 20010023524 A KR20010023524 A KR 20010023524A KR 1020007002170 A KR1020007002170 A KR 1020007002170A KR 20007002170 A KR20007002170 A KR 20007002170A KR 20010023524 A KR20010023524 A KR 20010023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tank
tank
separating
separating member
electroly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7170B1 (ko
Inventor
마르틸라톰
Original Assignee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filed Critical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Publication of KR2001002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6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 탱크 (1) 의 바닥상에 침전된 고체 (6) 를 제거함과 동시에 탱크의 바닥부로부터 전해 탱크의 바닥부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전해 탱크 (1) 에는 지지 부재 (11, 21, 31) 의 궤적을 형성하는 지지 및 제어 부재 (10) 가 설치됨으로써, 전해 탱크 (1) 에는 분리 부재 (11, 21, 31) 의 궤적을 형성하는 지지 및 제어 부재 (10) 가 설치되어, 상기 분리 부재 (11, 21, 31) 가 전해 탱크 (1)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전해 탱크의 1이상의 후방 벽 (7, 32) 과 상기 후방 벽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된 전극 (2) 사이에 위치된 공간을 통해 이 전해 탱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Description

탱크 바닥부를 탱크의 나머지 부분에서 분리하기 위한 분리 부재{SEPARATING MEMBER FOR SEPARATING THE TANK BOTTOM PART FROM THE REST OF THE TANK}
전해 공정에서, 전해 탱크에 제공된 캐소드의 표면상에는 전해 탱크에 존재하는 전해질에 용해되어 있는 금속 아노드로부터 또는 전해질에 이미 용해된 금속 이온으로부터 시작해서 구리, 니켈, 및 아연과 같은 침전 금속이 있다. 하지만, 모든 고체가 캐소드 표면상으로 침전되지는 않는데, 예를 들어, 이러한 금속은 전해질에 포함된 귀금속 및 고체 불순물이다. 따라서, 금속 정제 공정에 따라, 예를 들어 고체가 귀금속과 같은 고가의 함유물을 포함하거나 더 두꺼운 고체 결착이 전해 공정으로부터 획득된 캐소드의 순도를 위협하기 때문에, 전해 탱크의 바닥상에는, 탱크로부터 때때로 제거되어야 하는 축적된 다양한 고체가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조에 축적된 고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우 미세하게 분할되고 또한 전해질보다 조금 더 무거워서, 고체를 전해질로부터 분리하기가 어렵다. 전해 공정 중에, 만약 고체가 전해 탱크 바닥으로부터 순환하기 시작한다면 극히 해로운데, 그 이유는 고체가 캐소드상에 결국 남아있을 기회가 더 커지고, 이에 따라 생산될 금속의 순도가 사실상 떨어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전해 탱크의 바닥상에 축적된 고체의 제거를 위해서는 전체 전해 공정이 중단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단위 시간당 효율, 즉 전해 플랜트의 생산성이 감소된다. 따라서, 고체의 제거는 전해질, 즉 아노드와 캐소드의 교체 공정의 일부분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이에 따라 교체 공정은 복잡하고 느려지게 되고, 고체 제거를 상기 교체 공정에 의해 결정되는 주기에 따라 제한한다. 또한, 전해질의 상당한 양이 먼저 탱크로부터 제거된 후, 그 내부에 복귀되는데, 이는 전해질 품질에 해롭고 많은 추가적 작업을 야기한다. 고체 처리 시스템에서, 새로운 것으로 대체되어야 하고 고체의 다른 공정에 해로울 수 있는 상당한 양의 전해질이 처리되어야 한다. 아것 뿐만 아니라, 전해 탱크의 수동 세척에 의해 공정이 더욱 노동 집약적이게 되며, 작업자는 여러 건강상의 위협, 예를 들어 탱크로부터 분사되는 비산(splash) 및 스프레이 내부에 포함된 함유물의 영향으로 인한 위협을 받는다. 마찬가지로, 수동 탱크 세척 작업에 필요한 작업자의 수로 인해, 전해질 취급의 자동화가 불가능하고, 전해 플랜트에서의 노동력의 필요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전해 탱크에 형성된 고체를 제거함과 동시에 탱크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전해 탱크의 바닥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 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부분 측단면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A-A 방향으로 도시된 도 1 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부분 측단면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부분 측단면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몇몇 종래 기술의 결점을 예방하고, 탱크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전해 탱크 바닥부를 분리하기 위하여 전해 탱크에 적합화된 향상된 분리 부재를 실현하여, 전해 탱크 바닥으로부터의 고체의 제거가 전해 공정을 멈출 필요없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우수한 특성은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명확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전해 탱크에는, 효과적으로는 전해 탱크 벽에는, 지지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전해 탱크에 장착되도록 분리 부재의 경로를 안내하는 지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 부재는 탱크 바닥에서 발견된 고체 제거의 지속을 위하여 사실상 그 전체 길이부를 따라 반드시 탱크 바닥에 근접하도록 탱크내에 배치됨으로써, 분리 부재는 제거하도록 된 전해 탱크 바닥상으로 침전되는 고체로부터 액체 전해질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부재는 근본적으로 시일링 표면을 형성하지만 서로에 대해 굽힘가능한 가요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의 구성요소로 제조된다. 따라서, 분리 부재는 탱크내에 만들어진 임의의 특정 구멍 없이, 액체 전해질의 표면상으로, 또한 표면 아래에서, 전해 탱크의 후방 벽 근방에서 분리 부재를 안내함으로써 간단히 전해 탱크에 설치될 수 있다.
전해 탱크 바닥상에 축적된 고체를 제거할 필요성이 커질 때,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부재는 먼저 전술한 전해 탱크 위쪽에 안내되어 전해 탱크의 후방 벽과 상기 후방 벽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 전극 사이에 위치된 공간내로 안내됨으로써 효과적으로 상기 분리 부재의 하나의 단부는 전해질 표면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분리 부재가 운반 부재로부터 전해 탱크내로 전해질 표면 아래쪽까지 안내될 때, 전해질에서의 분리 부재의 통로는 전해 탱크에 장착된 분리 및 제어 부재에 의해, 전해 탱크 벽에서 효과적으로 제어된다. 상기 지지 및 제어 부재는 전해 탱크에서 분리 부재의 궤적을 형성한다. 전해 탱크 바닥 부근에 부착된 지지 및 제어 부재는 전해 탱크 바닥에 대한 높이에 있는 탱크에 설치되어 운반 부재에 의해 결정된 속도로 분리 부재를 이동시킬 때 전해 탱크 바닥에서 발견된 고체가 분리 부재의 이동으로 인해 순환하지 않고 고체가 액체 전해질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 부재의 구조적 구성요소의 상호적 가요성으로 인해, 탱크에 분리 부재를 장착할 때 분리 부재의 처리 방향은 전해 탱크의 후방 벽 부근의 사실상 수직 방향에서 전해 탱크의 측벽의 사실상 수평 방향까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 부재의 지지 및 제어 부재는 전해 탱크의 양쪽 후방 벽 부근에 배치될 수 있어, 분리 부재는 효과적으로 후방 벽 부근의 공간을 통해 전해 탱크내로 삽입되고, 또한 다른 후방 벽 부근의 공간을 통해 탱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부재가 전해 탱크에 놓일 때, 분리 부재는 탱크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바닥 근방에 위치된 탱크의 일부분을 분리함과 동시에, 전해 공정에 필요한 전해질로부터 전해 탱크 바닥상에서 발견되는 고체를 분리한다. 결과적으로, 분리 부재와 전해 탱크 바닥부 사이에 남겨진 공간에서는 고체가 탱크의 나머지 부분에 남아있는 액체 전해내로 혼합될 가능성 없이 고체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처리 단계로부터 고체의 제거를 완전히 분리하여 전해 공정 중에 수행할 수 있다. 고체가 전해 탱크 바닥으로부터 제거될 때, 분리 부재는 전해 탱크에 장착된 지지 및 제어 부재를 사용하여 탱크로부터 제거되어 탱크의 외부에 설치된 분리 부재 컨베이어 상으로 이동되며, 상기 컨베이어는 분리 부재를 전해 탱크로부터 해당 고체의 제거를 실행하는 또 다른 전해 탱크로 운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부재는 전해 탱크에 위치되어 분리 부재와 반대편 후방 벽 사이에는 상당한 빈공간이 남겨져 분리 부재는 그 위쪽에 위치된 전해질로부터 분리 부재의 표면하에 위치된 고체를 스며들지 않게 분리할 수 없다. 이 경우에, 분리 부재는 그 위에 놓인 전해질의 중량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분리 부재에 의해 분리된 공간은 전해질을 담고 있는 공간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부재는 또한 전해 탱크에 위치될 수 있어, 분리 부재는 분리 부재의 표면하에 남겨져 사실상 불침투적으로 고체를 담고 있는 공간을 분리한다. 이 경우에, 효과적으로 분리 부재에는 전해 탱크에 설치되어 정위치에 놓이는 분리 부재를 전해 탱크 벽에 대해 시일링하는 몇몇 액체 또는 기체 물질로 채워지는 시일링 작용제가 제공된다.
탱크 바닥부에 근접 위치된 공간 뿐만 아니라, 또한, 분리 부재는 전해 탱크로부터 다른 공간, 적어도 후방 벽들중의 하나에 근접 위치된 공간을 분리할 수 있어, 후방 벽에 근접한 곳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공간은 고체를 제거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부재를 사용하는 동안, 분리 부재의 지지 및 제어 부재는 전해 탱크에 장착될 수 있어, 분리 부재를 이동시킬 때 후방 벽들 중의 하나의 근방에 위치된 지지 및 제어 부재를 사용하고, 이 경우에 분리 부재의 이동이 전후방으로 일어나고, 또는 전해 탱크의 양쪽 후방 벽 근방에 지지 및 제어 부재가 설치되어 분리 부재가 하나의 후방 벽 근방에 위치된 전극과 상기 후방 벽 사이에 위치된 공간을 통해 전해 탱크내에 삽입되고, 반대편 후방 벽과 그 근방에 위치된 전극 사이에 위치된 전해 탱크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이 경우에 분리 부재의 이동이 항상 동일한 방향에서 일어난다.
분리 부재에는 전해 탱크 바닥 세척 장치가 또한 연결되어 이 세척 장치는 분리 부재를 따라 전해 탱크내에 들어간다. 분리 부재에 연결된 세척 장치는, 예를 들어 세척 노즐 또는 기계적 고체 제거 장치를 포함하며, 이 경우에 전해 탱크 바닥부상에는 액체 또는 가스와 같은 몇몇 고체 세척제가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및 도 2 에 따라, 전해 탱크 (1) 에는 전극, 아노드 (2), 캐소드 (3) 가 번갈아 위치되어 있으며, 전해 공정 중에 생산되어지는 금속은 캐소드 (3) 상에서 전해 탱크 (1) 에 제공된 전해 용액 (4) 에 캐소드 (3) 상에서 침전된다. 전해 공정 중에, 전해 탱크의 바닥 (5) 상에는 때때로 탱크 (1) 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는 고체 (6) 가 침전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전해 탱크 (1) 의 측벽 (8, 9) 상에는 지지 및 제어 부재 (10) 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 및 제어 부재 (10) 에 의해, 분리 부재 (11) 가 전해 탱크 (1) 에 위치될 때, 이 분리 부재는 지지되고, 탱크 내부로 인도되어, 지지 및 제어 부재 (10) 는 분리 부재의 궤적을 형성한다. 탱크 (1) 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고체 (6) 를 포함하고 있는 전해 탱크 바닥부 (12) 를 분리하는 분리 부재 (11) 는 가요적으로 상호연결된 구조적 구성요소 (13) 로 이루어지고, 이 구성요소는 분리 부재 (11) 의 효과적 굽힘을 가능하게 하면서 후방 벽 (7) 의 근방으로부터 전해 탱크 바닥 (5) 의 근방까지 뻗어있다.
도 1 및 도 2 에 따른 실시예에서, 분리 부재 (11) 에는 노즐 (14) 이 제공되고, 고체 (6) 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 노즐을 통해 액체 또는 가스가 바닥부 (12) 내로 유입된다. 바닥부 (12) 에 남아있는 고체 (6) 및 액체 뿐만 아니라, 노즐 (14) 을 통해 그 내부에 공급되는 액체 또는 가스는 전해 탱크 바닥부 (5) 상에 제공된 배출구 (15) 를 통해 전해 탱크 (1) 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3 에 따른 실시예는, 분리 부재 (21) 가 시일링되어 전해 탱크 (1) 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도 1 의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분리 부재 (21) 에 의해 전해 탱크로부터 분리되는 바닥부 (22) 및 분리 부재 (21) 와 전해 탱크 후방 벽 (7) 사이에 남겨진 공간 (23) 이 함께 사실상 폐쇄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공간 (22, 23) 내에 있는 고체 (24) 및 액체는 공간 (23) 을 경유해서 전해로부터 배출된다.
도 4 에서, 도 1 에 따른 분리 부재 (11) 는 전해 탱크 (1) 에 놓여지므로, 분리 부재 (11) 가 후방 벽 (7) 부근의 전해 탱크에 삽입되어 제 2 후방 벽 (32) 부근의 전해 탱크 (1) 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 및 제어 부재 (10) 는 전해 탱크 측벽 (8, 9) 에 장착된다.

Claims (8)

  1. 전해 탱크 (1) 에는 분리 부재 (11, 21, 31) 의 궤적을 형성하는 지지 및 제어 부재 (10) 가 설치되어, 상기 분리 부재 (11, 21, 31) 가 전해 탱크 (1)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전해 탱크의 1이상의 후방 벽 (7, 32) 과 상기 후방 벽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된 전극 (2) 사이에 위치된 공간을 통해 이 전해 탱크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탱크 (1) 의 바닥상에 침전된 고체 (6) 를 제거함과 동시에 전해 탱크의 바닥부를 탱크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구조적 구성요소 (13) 가 서로에 대해 굽힘가능하도록 상기 분리 부재 (11, 21, 31) 는 상호 연결된 상기 구조적 구성요소 (13) 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탱크 바닥부 근방의 상기 분리 부재 (11, 21, 31) 에 의해 분리된 공간 (12) 및 상기 후방 벽 부근에 위치된 공간 (23) 은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 (11, 21, 31) 는 전해 탱크 (1) 내에 시일링된, 균일한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부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 (11, 21, 31) 에 의해 분리된 공간 (12, 23) 은 전해질 (4) 을 포함하고 있는 전해 탱크의 공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부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해 탱크의 바닥부 (12) 에 세척제를 공급하기 위하여 고체 세척 장치 (14) 의 적어도 일부분이 분리 부재 (11, 21, 31) 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제는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부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제는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부재.
KR1020007002170A 1997-08-29 1998-08-26 탱크 바닥부를 탱크의 나머지 부분에서 분리하기 위한 분리 부재 KR100567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73565A FI103673B1 (fi) 1997-08-29 1997-08-29 Erotuselin altaan pohjaosan erottamiseksi muusta altaasta
FI973565 1997-08-29
PCT/FI1998/000655 WO1999011841A1 (en) 1997-08-29 1998-08-26 Separating member for separating the tank bottom part from the rest of the t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524A true KR20010023524A (ko) 2001-03-26
KR100567170B1 KR100567170B1 (ko) 2006-04-03

Family

ID=854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170A KR100567170B1 (ko) 1997-08-29 1998-08-26 탱크 바닥부를 탱크의 나머지 부분에서 분리하기 위한 분리 부재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299756B1 (ko)
EP (1) EP1025285B1 (ko)
JP (1) JP2001515142A (ko)
KR (1) KR100567170B1 (ko)
CN (1) CN1268983A (ko)
AT (1) ATE255174T1 (ko)
AU (1) AU735042B2 (ko)
BG (1) BG63755B1 (ko)
BR (1) BR9811419A (ko)
CA (1) CA2301632A1 (ko)
DE (1) DE69820104T2 (ko)
EA (1) EA001244B1 (ko)
ES (1) ES2210804T3 (ko)
FI (1) FI103673B1 (ko)
PE (1) PE131199A1 (ko)
PL (1) PL191468B1 (ko)
WO (1) WO1999011841A1 (ko)
ZA (1) ZA9872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3673B1 (fi) * 1997-08-29 1999-08-13 Outokumpu Oy Erotuselin altaan pohjaosan erottamiseksi muusta altaasta
FI107812B (fi) * 1999-06-17 2001-10-15 Outokumpu Oy Laitteisto elektrolyysialtaan pohjalle laskeutuneen kiintoaineen käsittelemiseksi
FI107813B (fi) * 1999-06-17 2001-10-15 Outokumpu Oy Erotuselin altaan pohjaosan erottamiseksi muusta altaasta
US6274011B1 (en) 1999-10-08 2001-08-14 Corrosion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Track assembly and container for electrolytic process
CN105696022A (zh) * 2014-11-27 2016-06-22 江苏永昌新能源科技有限公司 锂电解槽用辅助取料装置
CN107398119B (zh) * 2016-03-25 2020-09-04 祥兴盛瓷艺有限公司 一种避免二次污染的污水预处理装置
CN108505072B (zh) * 2018-04-03 2020-04-21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环形全密闭扣式电积槽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8415A (en) 1971-05-24 1973-01-02 W Hubbard Rapid action electrolytic cell
US4214964A (en) 1978-03-15 1980-07-29 Cannell John F Electrolytic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recovery of metal values
IT1111103B (it) 1979-02-27 1986-01-13 Montedison Spa Apparecchiatura per la pulizia del fondo delle celle elettrolitiche a catodo di mercurio e simili
ES2069496B1 (es) * 1993-08-10 1995-11-01 Asturiana De Zinc Sa Cuba para instalaciones de electrolisis.
FI103673B1 (fi) * 1997-08-29 1999-08-13 Outokumpu Oy Erotuselin altaan pohjaosan erottamiseksi muusta altaas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811419A (pt) 2000-08-22
EA200000268A1 (ru) 2000-08-28
ATE255174T1 (de) 2003-12-15
DE69820104D1 (de) 2004-01-08
FI103673B (fi) 1999-08-13
CA2301632A1 (en) 1999-03-11
JP2001515142A (ja) 2001-09-18
FI973565A0 (fi) 1997-08-29
PL338898A1 (en) 2000-11-20
PE131199A1 (es) 1999-12-21
BG63755B1 (bg) 2002-11-29
US6299756B1 (en) 2001-10-09
CN1268983A (zh) 2000-10-04
DE69820104T2 (de) 2004-05-27
EP1025285A1 (en) 2000-08-09
WO1999011841A1 (en) 1999-03-11
KR100567170B1 (ko) 2006-04-03
ES2210804T3 (es) 2004-07-01
FI973565A (fi) 1999-03-01
ZA987298B (en) 1999-02-16
PL191468B1 (pl) 2006-05-31
EP1025285B1 (en) 2003-11-26
AU735042B2 (en) 2001-06-28
BG104168A (en) 2000-08-31
FI103673B1 (fi) 1999-08-13
AU8980398A (en) 1999-03-22
EA001244B1 (ru) 2000-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30393B2 (ja) キンゾクデンカイセキシユツノホウホウトソウチ
KR100567170B1 (ko) 탱크 바닥부를 탱크의 나머지 부분에서 분리하기 위한 분리 부재
EP3794166B1 (en) Improvement in copper electrorefining
KR101133372B1 (ko) 도금처리장치와 도금처리방법
US4517064A (en) Electrolytic cell
US4196059A (en) Method for electrolysis of non-ferrous metal
US6673228B1 (en) Arrangement for cleaning the bottom of an electrolytic tank
MXPA00002047A (en) Separating member for separating the tank bottom part from the rest of the tank
US11131006B2 (en)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coatings
US4107006A (en) Electrolysis cell
KR20020013917A (ko) 전해조의 바닥에 침강한 고형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RU211354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литического рафинирования серебра
US6793783B1 (en) Element for separating an electrolytic tank
SU825677A1 (ru) Электролизер
JPH0459999A (ja) 金属イオン補給用溶解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