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653A - 기록/재생 장치 및 입/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재생 장치 및 입/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653A
KR20010020653A KR1020000011737A KR20000011737A KR20010020653A KR 20010020653 A KR20010020653 A KR 20010020653A KR 1020000011737 A KR1020000011737 A KR 1020000011737A KR 20000011737 A KR20000011737 A KR 20000011737A KR 20010020653 A KR20010020653 A KR 20010020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alog
digital
record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4510B1 (ko
Inventor
와따나베가쯔유끼
니시지마히데오
오까모또히로오
사사끼모또요시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8375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69452A/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10020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14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pulse signal inserted in blanking intervals of the video signal, e.g. pseudo-AGC pulses, pseudo-sync pul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8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management signal, e.g. a copy generation management signal [C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5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7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the video color burst signal being modif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Abstract

상기 발명은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blanking) 기간 동안에 중첩(superimpose)된 문자 데이타를 삭제하지 않고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디지탈 방식으로 처리하는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상기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 장치는,
상기 기록 시간에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 기간동안에 중첩된 상기 문자 데이타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된 문자 데이타를 인코드하고 문자 데이터가 제거된 디지탈 신호 위에 인코드된 문자 데이타를 중첩하는 중첩기를 포함하며, 상기 중첩된 신호는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수직 귀선 소거 기간위에 중첩된 제1 복제 방지 데이타와 색 버스트 신호위에 중첩된 제2 복제 방지 데이타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2개의 검출된 복제 방지 데이타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신호에 더하는 가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록/재생 장치 및 입/출력 장치{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INPUT/OUTPUT DEVICE}
본 발명은 입력 아날로그 영상 신호등의 디지탈 압축/신장을 수행하는 기록/재생 장치와 입/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신장 프로세싱과 복제 방지 데이타 또는 그러한 프로세싱을 위한 문자 데이타에 적당한 프로세싱 기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가정용 아날로그 VTR에 있어서, 불법 복제 등의문제는 소프트 테입의 수가 증가할 수록 더욱 더 심각해져 왔다. 저작권 보호의 차원에서, 복제는 VTR 더빙시에 AGC(Agc Gain Control) 회로의 기능불량(압축에 있어서)을 기록된 영상을 심하게 왜곡하는것을 개선하기 위해 수직 귀선 소거 기간동안에 복제 방지 신호로써 의사-동기 펄스를 중첩시키는 것에 의해 금지되어 왔다.
한편 최근에 결정된, DVD(Digital Video Disc) 규격을 따르는 소프트 디스크에는 전술한 의사-동기 펄스뿐만이 아니라 "색스트라이프(Colorstripe)"라 불리는 복제 방지 신호가 부가된다. 기록시에 입력되는 버스트(burst) 신호로 색 신호 프로세싱의 기준용 신호를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상기 VTR과 같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색스트라이프는 버스트 중심의 근방에서 일정한 간격의 라인으로 180°의 위상만큼 상기 색 버스트 신호를 반전시킨다. 이 반전은 색상 결함의 원인이 되므로 색상을 심하게 교란시켜 횡방향 스트라이프에 있어 저작권의 보호를 강화한다.
이 복제 금지 기능은 상기 아날로그 VTR에 있어서는 효과적이지만, 디지탈 VTR 등에서는 그렇지 않다. 일본 특허 공개 Hei 9-102929호는 상기 디지탈 VTR들 사이에서도 복제 금지 기능에 효과적이도록 고안되었다. 의사 동기 펄스나 색스트라이프 신호 등의 교란 신호는 교란 신호 플래그를 세우므로써 보유되는 영역에서 래치되고, 재생시에 교란 신호는 복제 방지를 실현하기 위해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한 신호 전송시에도 전송되는 플래그 직립에 의거하여 복원한다.
한편으로는, 최근의 가정용 디지탈 VTR중에서, 6 밀리미터(mm)폭의 마그네틱 테입을 사용하는 DVD 규격의 플로어 VTR이 생산되어 왔다. 이 플로어 VTR은 영상 압축/신장 기법을 이용하여 재생 시간 기간을 연장하고, 이러한 압축/신장 디지탈 VTR은 미래의 가정용 VTR의 중요한 흐름이 될 것이다. 또한 상기 현존하는 가정용 아날로그 VTR 모드에 새로운 디지탈 VTR 모드를 더하는 것에 의해 상기 현존하는 아날로그 VTR 이상의 상급 호환성이 부여된 VTR이 생산되어 왔다. 또한 디지탈 튜너(IRD)로부터의 상기 비트 열 신호를 그대로 기록하기 위한 디지탈 방송 프로그램을 커버하는 VTR도 생산되어 왔다. 상기 디지탈 튜너로부터 획득된 신호들은 문자 데이타와 같은 많은 데이타를 포함하며, 많은 디지탈 VTR들은 현존하는 아날로그 VTR과는 달리, 디지탈 OSD(On Screen Display) 회로에 의한 이들 데이타의 고정밀 OSD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종래 기술은 상기 디지탈 VTR의 복제 방지 기법을 발표해왔지만 그러한 기법을 이용하는 상기 가정용 VTR에 접목시키지는 못하였다. 다시 말해서, 상기 종래 기술은 압축/신장 기법을 이용하는 상기 가정용 VTR에 대해 상술하지 않았다.
더군다나, 이 종래 기술 예는 디지탈 장치로부터의 재생도, 디지탈 장치내의 수직 귀선 소거 기간동안 중첩되는 비공개 캡션 신호(문자 데이타의)의 기록 프로세싱에 대한 설명도, 단지 복제 방지 신호에 대한 설명만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VTR 같은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EE(예를 들어, 모니터로의 전기적 경로 만을 통과한 출력) 스크린은 상기 기록 동작에서도 모니터에 출력된다. 상기 디지탈 압축/신장 기법을 이용하는 디지탈 장치에 있어서, 모니터될 상기 EE 화질과의 차이 때문에, 상기 기록/재생 장치에 기록될 화질(압축에 의해 매우 다채로움)은 기록 화질을 모니터하도록 체크되어야 한다.
이에 반해서, 상기 화질 체크시에 상기 EE 출력 신호내의, 상기 수직 귀선 소거 기간동안에 중첩된 상기 복제 방지 신호와 같은 상기 데이타의 특정한 프로세싱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더군다나, 상기 디지탈 압축/신장 기법을 이용하는 상기 디지탈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 장치에 기록되는 화질은 상기 기록 전송 속도의 변화에 의해 처리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으로, 우수한 코스트 퍼포먼스(cost performance : 비용 대 성능 비용)의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술된 고정밀 OSD 회로는 상기 비트 열 기록뿐만 아니라 외부 영상 입력 레코딩 또는 상기 재생된 신호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이용되지만, 공개된 응용 실시예는 없다.
더군다나, 의사-동기만의, 또는 복제 방지 데이타를 포함하는 그러한 상기 VTR의 소프트 테입, 또는 복제 방지 신호 장치와 같은 불법장치에 의해서처럼, 상기 복제 방지 데이타가 부분적으로 손실된 소프트 테입이 존재한다. 의사-동기 또는 색스트라이프 신호 중 하나만으로도 충분하게 상기 복제 방지 기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상기 발명의 목적은 그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문자 데이타와 복제 방지 신호의 보호뿐만이 아니라 고정밀 OSD 회로의 효율적 이용을 실현하기 위한 압축/신장 기법을 채택하므로써 만족스러운 비용 대 성 능 비율과 고화질을 가지는 기록/재생 장치 및 입/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발명에 있어서,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기록 매체에 상기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기, 기록 매체에 상기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기, 및 상기 재생된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기록시에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 기간 동안에 중첩된 상기 문자 데이타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검출된 문자를 인코드하고, 상기 인코드된 문자 데이타를 상기 문자 데이타가 제거된 상기 디지탈 신호 위에 중첩시키는 중첩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첩된 신호는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기, 및 상기 재생된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재생시에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되는 상기 디지탈 신호로부터 문자 데이타를 추출해내는 추출기, 및 상기 추출된 문자 데이타를 상기 재생된 디지탈 영상 신호의 소정의 위치에 가산하는 가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환기에 의해 상기 가산된 디지탈 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된 신호를 기록 장치에 기록하는 기록기, 상기 압축된 디지탈 신호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는 재생기, 및 상기 압축된 디지탈 신호를 신장시키는 신장기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압축된기 전의 제1 디지탈 신호와 압축/신장된 제2 디지탈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처(switcher), 및 상기 스위처의 출력을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더군다나, 상기 발명에 있어서, 한편,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된 디지탈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기, 상기 압축된 디지탈 신호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는 재생기, 및 상기 압축된 디지탈 신호를 신장시키는 신장기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압축/신장된 제2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및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기 전의 제1 아날로그 영상 신호와 상기 압축/신장된 제2 아날로그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압축기의 상향 단계에서, 압축/신장의 프로세스에서 제거된 수직 귀선 소거 기간동안에 중첩된 상기 데이타를 검출하는 검출기, 상기 압축된 신호위에 상기 검출된 데이타를 인코드하고 중첩시키는 중첩기, 및 상기 중첩된 데이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타를 상기 신장기에 의해 신장된 상기 신호에 가산하는 가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산기로부터 획득된 출력은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로써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검출기에 의해 추출된 상기 데이타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통해 상기 가산기로 보내진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 한편,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된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기, 및 상기 압축된 신호를 신장시키는 신장기를 포함하고, 기록/재생 디지탈 모드와 아날로그 신호의 상태에서 상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기록/재생하는 아날로그 모드를 갖는 상기 장치에 있어서, 압축/신장된 제2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및 제2 아날로그 신호가 인코드되고 압축/신장되기 전에 제1 아날로그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압축기의 상향 단계에서, 압축/신장의 프로세스에서 제거된 수직 귀선 소거 기간 동안에 중첩된 상기 데이타를 검출하는 검출기, 상기 압축된 신호위에 상기 검출된 데이타를 인코드하고 중첩시키는 중첩기, 및 상기 중첩된 데이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타를 상기 신장기에 의해 신장된 상기 신호에 가산하는 가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산기로부터 획득된 출력은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로써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압축기는 바람직하게는 가변 전송율을 갖고,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화질에 영향을 주는 상기 전송율의 최적 세팅을 실행하기 위한 체크 모드로서 이용된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디지탈 OSD(스크린 디스플레이 상)는 상기 신장기의 하향 단계에 배열되며, 디지탈 모드의 재생시, 외부 합성 신호의 입력시, 그리고 아날로그 모드의 재생시에, 항상 압축/신장된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탈 OSD 스크린이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출력에 고정된다.
또한 ,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를 획득하는 경로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디코드하는 영상 디코더, 상기 영상 디코더의 출력을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된 신호를 신장시키는 신장기, 상기 데이타를 가산하는 가산기, 및 상기 가산기의 출력을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인코더를 포함하고, 상기 신장기의 하향 단계에는, 상기 영상 디코더의 출력과 상기 신장기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회로가 배열되고, 상기 스위치 회로의 하향 단계에는 디지탈 OSD 회로가 배열되며, 상기 디지탈 OSD 회로를 통해 통과하는 한 개의 압축/신장된 신호와 상기 영상 디코드/인코드된 신호는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로써 스위치 될 수 있다.
더군다나, 상기 발명에 있어서, 입력된 입력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상기 AD 변환기의 출력을 압축하는 압축기, 기록 장치에 상기 압축기의 출력을 기록하는 기록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기, 상기 신장기의 출력을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에에 있어서, 상기 입력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 기간동안에 중첩된 제1 복제 방지 데이타와 색 버스트 신호에 중첩된 제2 복제 방지 데이타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신장기에 의해 신장된 신호에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2개의 복제 방지 데이타를 가산하는 가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의 출력은 상기 재생기에 의해 재생 모드와는 다른 모드들의 상기 신장기에 공급되는 가산기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검출기에 의해 추출된 상기 복제 방지 데이타는 바람직하게 마이크로컴퓨터를 통해 상기 가산기로 보내진다. 이에 반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신장 프로세스에서 발생된 신호의 지연 및 상기 검출기에 의해 추출된 복제 방지 데이타의 지연을 조정한다. 한편, 제2 복제 방지 데이타는 바람직하게는 인커밍(incoming) 변조 색 신호로부터 B-Y축에 대해 복조된 신호에 근거하여 검출된다.
한편, 상기 기록/재생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에 입력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그대로 기록하는 아날로그 기록기, 및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복제 방지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아날로그 영상 신호와 상기 아날로그 기록기의 참조 신호로써 이용된 색 부반송파에 포함된 색 버스트 신호를 위상-동기 시키기 위해 아날로그 기록기에 포함된, APC(Auto Phase Control) 회로로부터의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검출된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입력된 입력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상기 AD 컨버터의 출력을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된 신호를 신장시키는 신장기, 및 상기 신장기의 출력을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출력은 상기 신장기에 공급되며, 상기 입력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 기간동안에 중첩된 제1 복제 방지 데이타와 색 버스트 신호위에 중첩된 제2 복제 방지 데이타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2개의 복제 방지 데이타를 상기 신장기에 의해 신장된 신호에 더하는 가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쉽게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상기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르는 기록/재생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모드 스위칭 동작을 도표화한 도면.
도 3은 상기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르는 기록/재생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상기 제2실시예에서의 모드 스위칭 동작을 도표화한 도면.
도 5는 상기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르는 기록/재생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수직 귀선 소거 기간동안 중첩된 데이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상기 발명의 제4실시예를 따르는 기록/재생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색 스트라이프 신호의 개략도.
도 9는 상기 제4실시예의 색 스트라이프 검출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상기 도 9의 색 스트라이프 검출 시에 각 부분의 신호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변조된 색신호의 복조 반응을 도시한 벡터도.
도 12는 상기 발명의 제5실시예를 따르는 기록/재생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13은 상기 제5실시예의 색 스트라이프 검출기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상기 도 13의 색 스트라이프 검출 시에 각 부분의 신호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AGC(자동 이득 조절)회로
11, 13 : MPEG2 인코더/디코더
15 : DVTR 프로세서
16 : 복제 방지 신호 CC, CGMS_A 검출기
17, 25 : 마이크로컴퓨터
18 : 디지탈 OSD 회로
27 : 복제 방지 신호 CC, CTMS_A 가산기
상기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1을 참고하여 상술될 것이다. 도 1은 MPEG 인코더/디코더가 탑제된 디지탈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 실시예는 아날로그 VTR 모드와 디지탈 VTR 모드가 둘 다 포함된 시스템의 존재를 예시화하는 것에 의해 상술될 것이다. 이들 중, 상기 아날로그 모드가 먼저 상술될 것이다. 참조 번호(2)는 아날로그 VTR(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AVTR) 신호 프로세서를 나타낸다. 터미널(1)로부터 입력될 때, 합성 영상 신호들은 일정한 진폭으로 AGC(자동 이득 조절) 회로(3)에서 제어되고 YC 분리기(6)에서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로 분리된다. 이런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들은 기록 프로세서(26)에서 수행되고, 그 다음 마그네틱 헤드를 통해 마그네틱 테입에 기록된다. 마그네틱 테입으로부터 재생될 때, 신호들은 결과적으로 재생 휘도 신호와 재생 색차 신호가 상기 스위치(7 및 21)를 통해 상기 터미널(23 및 24)로 각각 출력되도록 재생 신호 프로세서(5)에서 처리된다. 기록 시에도, 역시, 상기 YC 분리기(6)의 출력(즉, 상기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들)은 각각 상기 스위치(7 및 21)를 통해, 터미널(23 및 24)로 출력된다.
상기 디지탈 모드에 있어서, 기록 시에, YC-분리 신호들은 스위치(7)를 통해 영상 디코더로 입력되어 입력 단의 AD 컨버터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고, 디코더에서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로 복조된다. 이러한 신호들은 디지탈 인터페이스에서("디지탈 IF"라 칭함) MPEG2 인코더(13)의 클럭률로 변환되고 MPEG2 인코더(11)로 전송된다. 상기 MPEG2 인코더(11)의 출력은 결과적으로 상기 마그네틱 테입에 기록되도록 DVTR 신호 프로세서(15)에서 DVTR(즉, "디지탈VTR"의 약칭)인터페이스("DVTR-IF"라 함)(14)을 통해 기록되고 프로세스된다.
도 6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수직 귀선 소거 기간에 삽입된 데이타에 대해 상술할 것이다. 도 6은 NTSC 영상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 기간 동안의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복제 방지를 한 의사-동기(41)는 기간(10 내지 17H)(문자 H는 수평 스캐닝 기간을 뜻함)에 삽입하고, 복제 관리를 위한 CGMS_A(42)는 기간(20H)에 삽입되며, 차단된 캡션 신호(43)(도 1에 "CC"로 약칭) 또는 문자 데이타는 기간 (21H)에 삽입된다. 이러한 데이타 중에서, 상기 CGMS_A는 복제 후에 재기록될것이지만, 나머지 데이타는 상기 VTR의 기록/재생 프로세스에서 변화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재생 시간동안에 검출기(16)로부터 검출된 데이타는 상기 MPEG2 인코더(11)의 마이크로컴퓨터를 통해 상기 영상 신호와 함께 인코드되고 저장된다. 재생시에 MPEG2 디코더(13)에서, 전술한 데이타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7)에 의해 페치(fetch)되고 가산기(27)로 보내져서, MPEG2디코드된 영상 신호들에 가산된다. 한편,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색스트라이프"라 불리우는 색 신호들에 대한 복제 방지 신호들이 있다. 이 색스트라이프는 상기 4-라인 버스트 신호들의 처리에서 21라인 마다 색 버스트 신호를 반전하므로써 상기 VTR의 더빙 메카니즘 등에서 색상을 교란 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된다. 이 색스트라이프의 데이타는 또한 상기 검출기(16)에서 검출되고, 재생 시에 상기 가산기(27)에서 복원된다. 신호들을 영상 디코더(9)에서 MPEG2 인코더(11)로 전송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이들은 디지탈 IF(10)를 ITU-R 권장(656)을 따르는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ITU-R 권장(656)의 신호들은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들(Cr 및 Cb)이 4 : 2 : 2의 27㎒의 데이타율이고, 수평 귀선 소거 기간와 수직 귀선 소거 기간의 동기 데이타는 영상 타이밍 기준 코드로서 인코드되고 중첩된다. 이때, 수직 귀선 소거 기간 동안 중첩된 데이타는 사라진다. 그러므로, 상기 신호들은 상기 검출기(16)에서 상기 디지탈 IF(10)의 상향 단계에서 검출되어야 하고, MPEG2 인코더(11)에서 마이크로컴퓨터(17)를 통해 다시 중첩되어야 한다. 이 다음, 상기 신호들은 상기 DVTR 신호 프로세서(15)에 보내지고 기록된다.
상기 마그네틱 테입으로부터 재생된 신호들은 DVTR 신호 프로세서(15)에서 재생되고 MPEG2 디코더(13)에서 신장되어, OSD 회로(18)를 통해 통과한다. 디지탈 IF(19)에 있어서, 상기 신호들은 상기 영상 타이밍 기준 코드들로서 중첩된 수평 귀선 소거 기간와 수직 귀선 소거 기간의 동기 데이타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디코드가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된다. 이 다음에, 상기 복제 방지 신호들과 같은 수직 귀선소거 기간에 삽입된 데이터와 마이크로컴퓨터(17)를 통해 MPEG2 디코더(13)에서 추출된 상기 클로우즈드(closed) 캡션 신호와 CGMS_A는 가산기(17)에서 가산된다. 그 다음에, 가산된 데이타는 결과적으로 스위치(21)를 통해 출력 터미널(23 및 24)로 각각 출력되는 영상 인코더(20)에서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로 변조된다. 본 명세서에서, 도 1로부터 생략되었지만 영상 인코더의 출력단에는, 디지탈 신호들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DA 컨버터가 패키지된다.
기본적인 기록/재생 동작이 상술되었긴 하지만, 본 실시예는 신호가 아날로그 인지 디지탈 인지에 관계없이 기록 모드에서 모니터 스크린에 압축/신장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로를 새롭게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실시예는 상기 영상 디코더(9), 상기 디지탈 IF(10), 상기 MPEG2 인코더(11), 상기 MPEG2 디코더(13), 상기 OSD 회로(18), 상기 디지탈 IF(19), 상기 가산기(27), 상기 영상 인코더(20) 및 상기 스위치(21)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탈 EE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특성화된다. 그러한 디지탈 EE 경로의 제공은 다음의 이점이 있다. 첫째로, EE 경로의 제공은 현재 기록 화질을 확인 될 수 있는 장점을 발생시킨다. 상기 MPEG 인코더는 일반적으로 상기 전송율을 가변시키고, 목적에 따라서 그것을 설정한다. 낮은 전송율에서는, 기록 시간은 더 길어지는 반면, 화질은 더욱 나빠진다. 한편, 높은 전송율에서는, 기록 시간은 더욱 짧아지는 반면, 화질은 더욱 좋아진다. 이러 기능들을 이용함으로써, 세트에 부착된 스위치를 통해 아니면 메뉴 스크린을 통해 전송율의 설정 변경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VTR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두번째로, 다른 장점은 상기 모니터 스크린에 디지탈 EE 경로를 출력하는 것으로써 상기 디지탈 OSD 회로(18)를 통해 고정밀 OSD 스크린이 출력될 수 있는 고정밀 것이다. 화상 압축/신장을 이용하는 가정용 디지탈 VTR에 있어서, 다양한 문자 데이타는 결과적으로 고정밀 OSD 기능이 추가되도록 IRD와 같은 디지탈 튜너(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디지탈 신호에 중첩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주의해야만 할 점은 수직 귀선 소거 기간 동안에 중첩되고, 영상 화상 압축/신장의 과정에서 손실된 복제 방지 신호 또는 클로우즈된 캡션 신호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들이 입력된 것과 동일한 상태로 복원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 6A는 입력 영상 신호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6B는 데이타가 복원되지 않았을 때의 파형을 나타낸다. EE 출력으로부터 이 신호들의 출력은 임의의 복제가 허용될 것이다. 그러므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동기(44), CGMS_A(45) 및 클로우즈된 캡션 신호(46)는 다시 복원되어야 하고 EE 출력으로 출력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의 설명은 외부 신호들이 입력될 때의 EE 출력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 아날로그 모드에서 기록/재생 동작이 실행될 때, 통상의 재생된 신호들은 스위치(7)와 스위치(21)를 통해 출력 터미널(23 및 24)로 출력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OSD 회로는 아날로그 OSD(도시되지는 않음)이고, 디지탈 OSD 만큼 매우 정밀하지는 않으므로, 고정밀 OSD 스크린은 통상의 출력 경로로는 획득할 수 없다. 그러므로, 아날로그 모드에서 재생된 신호들에 있어서도, 고정밀 디지탈 OSD 회로(18)는 스위치(7)를 통과한 후에, 스위치(21)에 의해 압축/신장 경로를 통해 화이트 측을 선택하고 출력하는 것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7) 및 스위치(21)의 스위칭 동작, 및 상기 스위치들의 화이트 및 블랙 접점과의 접속을 도표화한다. 기록 동작이 아날로그 인지 디지털인지에 관계 없이, EE 출력은 직통 신호와 상기 MPEG2의 인코더/디코더를 통과한 신호들 사이에서 스위치된다. 아날로그 재생 시도, 마찬가지로 스위칭 동작은 통상의 재생 신호와 MPEG2의 인코더/디코더를 통과한 신호들 사이에서 수행된다. 도표에서 코덱 신호는 MPEG2의 인코더/디코더를 통과한, 즉, 압축/신장된 신호를 나타낸다. 이에 반해서, 재생 →코덱은 재생된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압축/신장된 신호를 나타내고, 그리고 MPEG_D EC는 MPEG2 디코더에서 신장된 신호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3을 참고하여 상술될 것이다. 도 3은 DVD 램을 이용하고, 아날로그 모드와 디지탈 모드가 함께 포함되는 전술한 VTR과는 다른 디지탈 기록/재생 동작을 갖는 기록/재생 장치를 도시한다. 도 1과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디지탈 VTR과는 다르게, 아날로그 VTR 신호 프로세싱 블럭은 AGC 회로(31)가 독립적으로 설정되도록 제거된다. AGC를 통과한 다음의 신호 프로세싱은 스위치(7)가 제거된 것을 제외하면 거의 도 1의 것과 동일하다. 도 1과의 또 다른 차이점은 MPEG2 인코더(11) 및 MPEG2 디코더(13)와 접속될 인터페이스는 DVD 신호 프로세서(33)에 접속된 DVD 인터페이스(32)로 대치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치(21)의 모드 스위칭 동작을 도표화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지탈 기록/재생 동작만을 갖는 장치에서조차도 EE 출력으로서 압축/신장된 신호 펄스들을 출력하는 것에 의해, 다음의 장점, 도 1의 실시예서와 같이, 기록/재생 화질의 확인, 이용자에 의한 화질의 설정, 및 고화질 디지탈 OSD 스크린의 실현을 달성한다.
다음으로, 제3실시예는 도 5를 참고하여 상술될 것이다. 도 5의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의 실시예와는 달리, 스위치(35)는 상기 디지탈 IF(10)의 출력 신호와 상기 MPEG 디코더(13)의 출력을 스위치하는 OSD 회로(18)의 상향 단계에 중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탈 OSD 회로는 종래 기술의 아날로그 OSD 회로보다 더 고정밀의 OSD 스크린을 생성 할 수 있고, 아날로그 모드에서도 언제든지, EE 경로와 재생 경로를 확보하므로써 세트의 질을 강화할 수 있다. 그러나, MPEG2 인코더(11)와 MPEG2 디코더(13)를 통해 통과된 신호들은 비록 전송률이 증가할지라도 압축/신장에 의해 화질이 다소 저하된다. 본 실시예는 미리 그런 저하를 막고 고정밀 OSD 스크린을 제공하는 실제 수단이다. 블랙측에 스위치(35)를 접속하므로써, MPEG2 인코더(11) 및 MPEG2 디코더(13)를 통과하지도 않고 압축/신장되지도 않은 신호는 영상 인코더(20)에서 고정밀 OSD 회로(27)을 통해서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 될 수 있다. 더군다나, 고화질을 가지며 고정밀 OSD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는 훌륭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은 모니터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반해서 화이트 측에 스위치(35)를 접속함으로써, 기록되고 있는 화질이 체크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제4실시예는 도 7을 참고하여 상술될 것이다. 이 실시예는 도 1의 것과 비교하여, 의사-동기 펄스와 색스트라이프 신호들을 검출하는 것에 대한 것과 상기 디지탈 EE 경로의 부가적인 회로에 대한 자세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검출기(51)는 상기 스위치 회로(7)의 출력의 휘도 신호들로부터 의사-동기 펄스들, 클로우즈된 캡션 신호들 및 CGMS_A 신호들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데이타를 마이크로컴퓨터(53)로 보낸다. 이에 반해서, 색스트라이프 검출기(52)는 색 신호들로부터 색스트라이프 데이타를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타를 마이크로컴퓨터(53)에 보낸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탈 EE 경로는 상기 영상 디코더(9),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10), 상기 MPEG2 인코더(11), 상기 MPEG2 디코더(13), 상기 디지탈 OSD 회로(18) 및 디지탈 IF(54)를 통해 영상 인코더에 이른다. 여기에서, 디지탈 IF(54)로부터 영상 인코더로 보내질 신호가 영상 신호로 변화되는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상기 디지탈 IF(54)의 입력은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Cr 및 Cb)가 4 : 2 : 2의 27㎒의 데이타율로 시분할 다중 방식으로 보내지도록 ITU-R 권장(656)을 따르는 신호이다. 이 신호들은 디지탈 IF에서 예를 들어, 가산기(58)와 버스트 가산기(56)로 보내지는, 13.5㎒의 휘도 신호들과 색차 신호들(Cr 및 Cb)로 직렬/병렬 변환된다. 수평 귀선 소거 기간과 수직 귀선 소거 기간동안의 동기 데이타는 그들이 분리되어 동기 데이타(e)로서 펄스 발생기(59)로 보내지도록 영상 타이밍 기준 코드들로써 인코드되고 중첩된다. 데이타(e)에 의거하여, 버스트 가산 시간에서 합성 동기와 버스트 게이트 펄스들은 발생되고, 그리고 상기 가산기(58)와 상기 버스트 가산기(56)에는 그들 각각의 게이트 펄스 ((g) 및 (f))가 공급된다. 반면에, 영상 인코더의 상향 단계에서 검출된 복제 방지 데이타는 마이크로컴퓨터(53)를 통해 펄스 발생기로보내져서 다시 (h) 및 (i) 가산기(58)와 버스트 가산기(56)에서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에 가산된다. 휘도 신호에 대해서, 가산기(58)의 출력은 스위치 회로(21)를 통해 출력 터미널(24)로 출력된다. 색차 신호들에 관해서, 버스트 가산기(56)의 출력은 색 인코더(57)에서 Fsc 밴드로 변조되어, 스위치 회로(21)를 통해 출력 터미널(23)로 출력된다.
다음으로, 색스트라이프 신호들을 검출하는 장치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상술될 것이다. 도 8은 색스트라이프의 요약도이다. 도 8A는 일반적인 버스트 신호의 확대도이고, 그것의 위상은 전체 기간에 대해 연속적이다. 도 8B는 그 하반부는 정규 위상인 반면에, 그 상반부는 180°만큼 이동된, 다시 말해서, 중심 근방의 위상에서 불연속점이 자리잡도록 위상이 반전된 색스트라이프 신호의 가산된 버스트부를 도시한다. 이 버스트 신호에 있어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7H의 기간동안 정규 위상은 연속적이고, 그리고 나서, 불연속 버스트는 4H의 기간에 삽입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NTSC 방송 규격의 예에 대해 설명되고, 15라인의 정규 위상과 2라인의 불연속 버스트를 갖는 색스트라이프가 있다.
도 9는 색스트라이프 검출기(52)의 개략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TSC 방송 규격을 따르는 색 신호들에 있어서, 버스트 신호(B)는 B-Y 축에 대해 위상이 180°이고, 그 결과 색은 버스트 신호(B) 및 색 신호(C)사이의 위상차로 표현된다. 그러한 신호들에 대해, B-Y 축의 방향에 있는 반송파는 다중화되고 복조된다. 그 다음, 도 11B의 상태는 복조축에서의 이동으로 구성된다. 이 축이동을 보정하기 위해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R축 방향의 반송파 신호와 곱해진 결과(Br)를 0으로 하고 버스트 신호가 B-Y축에 위치되도록 제어된다. 이 상태에서, R-Y축 성분은 항상 0에 위치하고, 그리고 B-Y축 성분은 항상 180°방향에 위치한다. 만약 버스트 신호가 반전된다면, 예를 들어, B-Y축 성분이 0°방향에 위치하여, B-Y 성분이 색스트라이프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결정을 실현시키는 회로는 도 9에 도시되어 있고, 터미널(61)로부터 변조된 색 신호는 곱셉기(62 및 67)에서 0°위상의 색 부반송파와 90°위상의 색 부반송파와 곱해져서 B-Y축 성분(Bb)과 R-Y 축 성분(Br)이 생성된다. 이때, 성분(Br)은 오로지 버스트 게이트 펄스 기간(d)동안 계수 유닛(71)에 의해 주어진 상수(K=0)와 비교되고, 그 결과로서의 차이는 축의 이동을 제거하도록 fsc 발진기(68)를 조절하기 위해 LPF(70)에서 완화된다. 이 상태에서 입력의 변조된 색 신호(a)와 Bb 신호(e)사이의 관계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만약 펄스 발생기가 버스트의 상반부를 체크하기 위해 게이트 펄스(b)와 하반부를 체크하기 위한 게이트 펄스(c)를 발생시키면, 코드 결정기(63)의 출력(e)은 정규 버스트 신호(75)에 대해 음극성을 취하고, 불연속 버스트 신호(77 내지 80)는 상반부에서는 양의 극성을 취하고 하반부에서는 음의 극성을 취한다. 색스트라이프 결정기(CS 결정기)(64)는 1개의 필드동안 그 신호(e)의 양의 극성의 횟수를 카운트하여, 그 결과 만약 카운트된 값이 소정값을 초과하면 색스트라이프의 존재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결정 결과는 터미널(65)로 출력되고, 마이크로컴퓨터로 보내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터미널(73)에서 펄스 발생기(72)로 입력될 신호는 입력 휘도 신호에서 분리된 합성 신호이다.
색스트라이프 데이타인지 여부는 상술된 바와 같이, 버스트 신호의 위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당연히 전술된 CGMS_A와 동일한 라인에 더해진, 색스트라이프 제어 데이타("APS"로 칭할 것임)에 의거하여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2개의 비트로 구성되는 전술된 데이타에 있어서, 00은 색스트라이프 OFF, 01은 1라인 색스트라이프, 10은 2라인 색스트라이프, 이 중 11은 4라인 색스트라이프(도 8을 참고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색스트라이프와 APS 데이타의 결정 결과에 비추어, 색스트라이프 데이타는 가산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색스트라이프 데이타를 검출함으로써, 복제 방지 신호가, APS 데이타뿐만 아니라 색스트라이프 데이타도 포함하는 신호에 대해서도 디지탈 EE 출력에 가산될 수 있다.
비록 이 실시예는 디지탈 VTR에 의해 상술되었지만, 도 3을 근거한 DVD 디스크 장치는 상기 발명에 포함될 수 도 있다.
상기 발명의 제5실시예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상술될 것이다. 이 실시예는 도 7의 것과 그 목적에 있어서는 동일하지만 색스트라이프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서로 다르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아날로그 VTR 모드와 디지탈 VTR모드가 함께 포함된 VTR에 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가정용 아날로그 VTR에 있어서, APC(자동 위상 조절) 회로는 기록 동작에 이용되는 기준 신호들이 입력된 색 신호의 버스트 신호로 위상 동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색스트라이프 신호들은 APC 회로내의 위상 비교 출력에 의해 검출된다. 도 12에 있어서, 아날로그 VTR 프로세서(2)에 있는 기록 프로세서(26)에서 획득된 위상 비교 출력은 신호(k)가 출력을 비교하는 위상은 마이크로컴퓨터(53)로 보내지는 색스트라이프의 존재를 결정하는 색스트라이프 검출기(85)로 입력된다. 이때, APC 회로는 일반적으로 상당히 큰 시간 상수에 천천히 응답하고, 위상 비교 신호 자체는 LPF에 의해 완화된 데이타를 가진다. 색스트라이프를 검출하는데 필요한 디지탈 기록 모드는 마이크로컴퓨터(25)로부터의 컨트롤 신호(j)에 의해서만 시간 상수가 감소되도록 컨트롤 될 수 있다.
도 13은 상기 검출기의 구체적인 구성도를 나타낸다. 터미널(91)에서 아날로그 VTR의 기록 프로세서(26)로 입력된 바와 같이, 색 신호(a)는 수정(quartz) 발진기(93)와 전압-제어 발진기(94)로부터 전송된 색 부반송파(fsc)로 위상 콤포레이터(92)에서, 위상이 비교된다. 이 결과의 위상 에러(e1)는 루프 필터 또는 LPF(98)로 입력되고, 위상 컨트롤을 위한 시간 상수를 가지고 전압-제어 발진기(94)에 복귀된다. 본 명세서에서, 펄스 발생기(103)는 터미널(104)에서 입력되는 합성 동기에 따라 버스트 게이트 펄스들(d)을 발생시키고, 상기 펄스들(d)을 단지 버스트 기간동안만 위상 비교를 수행하는 위상 검출기(92)로 보낸다. 현재 상기 아날로그 VTR 프로세서는 일반적으로 IC로 구성되어 직접적으로 위상검출된 출력을 획득하는 것이 어렵게 되고, LPF(98)의 출력은 일반적으로 터미널에서 나타난다. 그러므로, 통상의 APC 동작의, 시간 상수로는, 도 14에 (e2)에서 지시된 바와 같이, 위상 에러는 스무드하게 되어 검출이 어렵다. 그러므로, LPF(98)의 시간 상수는 터미널(97)로부터 입력된 "하이" 디지탈 모드에서의 컨트롤 신호로 감소되어, 위상 에러는, (e2')에 지시된 바와 같이, 큰 상태에서 색스트라이프 검출기(85)에 입력된다. 이 신호는 색스트라이프 검출기(85)의 입력 단계에서 증폭기(96)에 의해 충분하게 증폭되고, 그 다음에 임계 발생기(99)의 임계값(Vth)과 콤퍼레이터(100)에서 비교된다. 그 결과 신호(e3)는 그것의 존재에 대해 색스트라이프 결정기(101)에 의해 결정되고, 그것의 결과(k)는 출력 터미널(102)로 출력된다. 위상 반전된 버스트부에서는, 도 14의 (e1)에 보여진 바와 같이, 커다란 위상 에러가 발생하고, 색스트라이프 결정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색스트라이프 결정기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새로운 구성 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날로그 VTR을 사용하는 구성에 의해 예시화된다.
이 실시예는 주로 MPEG2 코덱(예를 들어, 인코더와 디코더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용어)을 가지는 DVTR에 대해 상술해 왔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또한 서로 다른 압축을 하는 6밀리미터의 마그네틱 테입, 이용하는 DVD 규격의 디지탈 VTR, 또는 신호 입/출력 장치, 상기 발명에 포함되었던 모든 장치외의 매체에서 기록/재생을 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 실시예는 NTSC 방송 규격에 대해 상술하였지만, 또한 상기 발명에 포함된 , NTSC 방송 규격과 같은 PAL 방송 규격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디지탈 장치에 기록 처리를 하는 수단과 디지털 장치로부터 재생 처리를 하는 수단이 수직 귀선 소거 기간에 중첩된 문자 데이터등을 손상하지 않고 실현될 수 있다.
한편으로, 기록/재생 장치에서 압축/신장된 신호들은 모니터 TV에 EE(즉, 모니터로부터의 전기적 경로만을 통과한 출력)스크린으로 출력되어, 기록시에 디지털 장치에서 기록/재생된, 화질을 체크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심지어 디지탈 압축/신장시에 기록 전송율을 변화에 있어서도 기록/재생 장치의 기록 화질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축/신장 프로세스에서 삭제된 의사-동기 데이타와 색스트라이프 데이타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그리고 이 데이타들을 MPEG 신장된 신호에 가산하는 것에 의해, 입력과 동일한 의사-동기와 색스트라이프 신호를 가산하는 것에 의해 제공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은 압축/신장된 디지탈 EE 경로에서 생산될 수 있고, 그 결과 디지털 EE 출력을 갖는 장치도 외부 장치에 대해 그 복제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높은 코스트 퍼포먼스의 기록/재생 장치는 비트열 기록 동작뿐만 아니라 외부 영상의 입력을 기록/재생하는 신호에 대해서도 고정밀 디지탈 OSD 회로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의사-동기와 색스트라이프 신호들을 각각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단지 그들 중의 하나에만 대응하는 입력 신호에 대해서도 충분한 복제 방지 기능을 실현시키는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색스트라이프 데이타는 인커밍 변조 색신호들의 B-Y 축 성분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쉽게 실현될 수 있다. 한편, 아날로그 기록 모드와 디지탈 기록 모드를 함께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색스트라이프 데이타는 아날로그 기록 모드를 갖는 APC(자동 위상 조절) 회로의 데이타에 의해 쉽게 실현될 수 있어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은 그것의 사상 또는 필수적인 특성들을 벗어나지 않으면 다른 특정한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들은 제한적이진 않지만 도시된 모든 점들에 대해 고려될 수 있고, 상기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에 의한 것보다 첨부된 청구항에 나타내지고 청구항의 의미와 동일성의 범위와 그 의미내에 있는 모든 변화는 그것에 포함된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발명은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blanking) 기간 동안에 중첩(superimpose)된 문자 데이타를 삭제하지 않고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디지탈 방식으로 처리하는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31)

  1.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해내는 재생기; 및
    상기 재생된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기록시에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 기간 동안에 중첩된 문자 데이타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검출된 문자데이타를 인코드하며 상기 문자 데이타가 제거된 상기 디지탈 신호 위에 상기 인코드된 문자 데이타를 중첩시키는 중첩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첩된 신호는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2.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해내는 재생기; 및
    상기 재생된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재생 시에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되는 상기 디지탈 신호로부터 문자 데이타를 추출해내는 추출기; 및
    상기 재생된 디지탈 영상 신호의 소정 위치에 상기 추출된 문자 데이타를 가산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며,
    상기 변환기에 의해 상기 가산된 디지탈 영상 신호로부터 변환되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3.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된 디지탈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압축된 디지탈 신호를 재생해내는 재생기; 및
    상기 압축된 디지탈 신호를 신장시키는 신장기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압축되기 전의 제1 디지탈 신호와 압축/신장된 제2 디지탈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처(switcher); 및
    상기 스위처의 출력을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가변 전송율을 가지며, 상기 제2 디지탈 신호는 화질에 영향을 미치는 상기 전송률의 최적 세팅을 수행하기 위한 체크 모드로서 상기 스위처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디지탈 OSD(On Screen Display)는 상기 신장기의 하향 단계에 배열되고, 상기 상기 스위치에 의해 항상 압축/신장되는 상기 제2 디지탈 신호가 디지탈 OSD 스크린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재생시에 그리고 그 영상 신호의 입력 시에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6.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된 디지탈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기;
    상기 압축된 디지탈 신호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해내는 재생기; 및
    상기 압축된 디지탈 신호를 신장시키는 신장기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압축/신장된 제2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및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기 전의 제1 아날로그 신호와 상기 압축/신장된 제2 아날로그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고, 그리고
    상기 압축기의 상향 단계에서, 압축/신장 처리에서 삭제될 수직 귀선 소거 기간동안에 중첩되는 데이타를 검출하는 검출기;
    상기 검출된 데이타를 인코드하여 상기 압축된 신호위에 상기 검출된 데이타를 중첩시키는 중첩기; 및
    상기 중첩된 데이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타를 상기 신장기에 의해 신장된 신호에 가산하는 가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산기로부터 획득된 출력은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로서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가변 전송율을 가지며,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는 화질에 영향을 주는 상기 전송율의 최적 설정을 실행하기 위한 체크 모드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디지탈 OSD(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상기 신장기의 하향 단계에 배열되며, 재생 시에 그리고 외부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입력시에, 항상 압축/신장되는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탈 OSD 스크린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나의 출력부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경로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로 디코드하는 영상 디코더;
    상기 영상 디코더의 출력을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된 신호를 신장시키는 신장기;
    수직 귀선 소거 기간 동안에 중첩된 상기 데이타를 가산하는 가산기; 및
    상기 가산기의 출력을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인코더를 포함하며,
    상기 신장기의 하향 단계에는 상기 영상 디코더의 출력과 상기 신장기의 출력을 스위치하는 스위치 회로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회로의 하향 단계에는 디지탈 OSD 회로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에 의해 추출된 데이타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통해 상기 가산기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1.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된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해내는 재생기; 및
    상기 압축된 신호를 신장시키는 신장기를 포함하며,
    기록/재생 디지탈 모드와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의 상태에서 기록/재생 하기 위한 아날로그 모드를 갖는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압축/신장된 제2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및
    인코드 되기 전의 제1 아날로그 신호와 상기 압축/신장된 제2 아날로그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고, 그리고
    상기 압축기의 상향 단계에서 압축/신장의 처리에서 삭제될 수직 귀선 소거 기간 동안에 중첩된 데이타를 검출하는 검출기;
    상기 검출된 데이타를 인코드하여 상기 압축된 신호 위에 중첩시키는 중첩기; 및
    상기 중첩된 데이타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타를 신장기에 의해 신장된 신호에 가산하는 가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산기로부터 획득된 출력은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로서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에 의해 추출된 데이타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통해 상기 가산기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가변 전송율을 가지며,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는 화질에 영향을 주는 상기 전송율의 최적 설정을 실행하기 위한 체크 모드로써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가변 전송율을 가지며,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는 화질에 영향을 주는 상기 전송율의 최적 설정을 실행하기 위한 체크 모드로써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디지탈 OSD(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상기 신장기의 하향 단계에 배열되며, 재생시에 그리고 외부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입력시에, 항상 압축/신장되는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탈 OSD 스크린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나의 출력부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디지탈 OSD(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상기 신장기의 하향 단계에 배열되며, 재생시에 그리고 외부 아날로그 영상 신호 입력시에, 항상 압축/신장되는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탈 OSD 스크린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나의 출력부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경로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로 디코드하는 영상 디코더;
    상기 영상 디코더의 출력을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된 신호를 신장시키는 신장기;
    상기 데이타를 가산하는 가산기; 및
    상기 가산기의 출력을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인코더를 포함하며,
    상기 신장기의 하향 단계에는 상기 영상 디코더의 출력과 상기 신장기의 출력을 스위치하는 스위치 회로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회로의 하향 단계에는 디지탈 OSD 회로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경로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로 디코드하는 디코더;
    상기 영상 디코더의 출력을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된 신호를 신장시키는 신장기;
    상기 데이타를 가산하는 가산기; 및
    상기 가산기의 출력을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인코더를 포함하며,
    상기 신장기의 하향 단계에는 상기 영상 디코더의 출력과 상기 신장기의 출력을 스위치하는 스위치 회로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회로의 하향 단계에는 디지탈 OSD 회로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9. 입력된 입력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상기 AD 변환기의 출력을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출력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해내는 재생기;
    상기 재생기의 출력을 신장시키는 신장기; 및
    상기 신장기의 출력을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 기간 동안에 중첩된 제1 복제 방지 데이타와 색 버스트 신호상에 중첩된 제2 복제 방지 데이타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2개의 복제 방지 데이타를 상기 신장기에 의해 신장된 신호에 가산하는 가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의 출력은 상기 재생기에 의한 상기 재생 모드와 다른 모드의 상기 신장기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에 의해 추출된 상기 복제 방지 데이타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통해 상기 가산기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압축/신장 처리 시에 생긴 신호의 지연과 상기 검출기에 의해 추출된 상기 복제 방지 데이타의 지연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제 방지 데이타는 B-Y축에 대해서 입력 변조 색 신호로부터 복조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내에 있을 때 그 영상 신호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아날로그 기록기; 및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재생해내는 아날로그 재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입력 아날로그 영상 신호에 포함된 색 버스트 신호와 상기 아날로그 기록기의 기준 신호로서 이용될 색 부반송파를 위상 동기시키기 위해 상기 아날로그 기록기에 포함된 APC(자동 위상 제어)회로로부터의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복제 방지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25. 입력된 입력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상기 AD 변환기의 출력을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된 신호를 신장시키는 신장기; 및
    상기 신장기의 출력을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를 포함하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출력은 상기 신장기에 공급되며,
    상기 입력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 기간 동안에 중첩된 제1 복제 방지 데이타와 색 버스트 신호 위에 중첩된 제2 복제 방지 데이타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2 복제 방지 데이타를 상기 신장기에 의해 신장된 상기 신호에 가산하는 가산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에 의해 추출된 상기 복제 방지 데이타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통해 상기 가산기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압축/신장 처리시 생긴 신호의 지연과 상기 검출기에 의해 추출된 상기 복제 방제 데이타의 지연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제 방지 데이타는 B-Y축에 대해서 입력 변조 색 신호로부터 복조된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29.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 및
    상기 변환 회로에 의해 변환된 상기 디지탈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회로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 기간 동안에 중첩된 데이타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 및
    상기 검출된 데이타를 인코드하여 상기 디지탈 신호 위에 중첩시키는 중첩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첩된 신호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30.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회로; 및
    상기 재생된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변환 회로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신호로부터 소정의 데이타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 및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데이타를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 기간에 가산하는 가산 회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31. 입력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변환 회로; 및
    상기 제1 변환 회로에 의해 변환된 상기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변환 회로를 포함하는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 기간 동안에 중첩된 상기 데이타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 및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상기 데이타를 상기 제2 변환 회로에 의해 변환된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 기간에 가산하는 가산 회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KR1020000011737A 1999-08-02 2000-03-09 기록/재생 장치 및 입/출력 장치 KR100344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837599A JP2001069452A (ja) 1999-06-22 1999-08-02 記録再生装置及び入出力装置
JP1999-218375 1999-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653A true KR20010020653A (ko) 2001-03-15
KR100344510B1 KR100344510B1 (ko) 2002-07-24

Family

ID=1671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737A KR100344510B1 (ko) 1999-08-02 2000-03-09 기록/재생 장치 및 입/출력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587638B1 (ko)
KR (1) KR1003445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106A (ko) * 2002-11-01 2004-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신호 복제 방지 방법
EP1454490A1 (en) * 2001-12-12 2004-09-08 Thomson Licensing S.A. Chrominance processing arrangement having immunity to colorstripe encod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6570B2 (ja) * 2000-03-30 2005-06-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ピー防止方法、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7146094B1 (en) * 2000-05-31 2006-12-05 Keen Personal Technologies, Inc. Set-top box that provides video data stream to a display device based on selection between recorded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digital video recorder and a real-time video signal
JP2002112284A (ja) * 2000-09-27 2002-04-12 Kuriputon:Kk 映像録画の複製防止システム
US7302102B2 (en) * 2001-09-26 2007-11-27 Reynolds Jodie L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switching quality settings of a codec to maintain a target data rate
US7599434B2 (en) * 2001-09-26 2009-10-06 Reynolds Jodie L System and method for compressing portions of a media signal using different codecs
US7457358B2 (en) 2001-09-26 2008-11-25 Interact Devices, Inc. Polymorphic codec system and method
AU2002334720B8 (en) * 2001-09-26 2006-08-10 Interact De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media signals
US7457359B2 (en) * 2001-09-26 2008-11-25 Mabey Danny L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ecurely distributing highly-compressed multimedia content
TW563363B (en) * 2001-11-08 2003-11-21 Hitachi Ltd Image information output device, image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image information output method, and imag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7865057B2 (en) 2003-10-07 2011-01-04 Rovi Solution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rights across an analog video interface
US7792293B2 (en) * 2005-05-06 2010-09-07 Rovi Solution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a subsequently generated control command in a content control system
US8160160B2 (en) * 2005-09-09 2012-04-17 Broadcast International, Inc. Bit-rate reduction for multimedia data streams
JP4303256B2 (ja) * 2006-04-04 2009-07-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ジタル信号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信号受信方法
US8254470B2 (en) * 2008-06-03 2012-08-28 Rovi Solutions Corporation Encoding and decoding of embedded data stream in analog video using copy protection puls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4692B2 (en) * 1993-09-16 2003-10-01 Kabushiki Kaisha Toshiba Video signal compression/decompression device for video disk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EP0695088B1 (en) * 1994-07-29 2000-05-10 Sharp Kabushiki Kaisha Video storage type communication device
US5978546A (en) * 1995-01-17 1999-11-02 Hitachi, Ltd. Digital/analog compatible video tape recorder
JP3617115B2 (ja) * 1995-03-31 2005-02-02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3613858B2 (ja) * 1995-10-26 2005-01-26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信号の伝送または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3694981B2 (ja) * 1996-04-18 2005-09-14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信号処理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54490A1 (en) * 2001-12-12 2004-09-08 Thomson Licensing S.A. Chrominance processing arrangement having immunity to colorstripe encoding
EP1454490A4 (en) * 2001-12-12 2010-06-09 Thomson Licensing CHROMINANCE PROCESSING ARRANGEMENT HAVING AN IMMUNITY TO COLOR BAND CODING
KR20040039106A (ko) * 2002-11-01 2004-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신호 복제 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4510B1 (ko) 2002-07-24
US6587638B1 (en) 200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4981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信号処理方法
KR100344510B1 (ko) 기록/재생 장치 및 입/출력 장치
JP3771954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3449106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ビデオ信号処理方法並びにビデオ信号記録/再生装置
JP4646160B2 (ja) 伝送装置および方法
JP3687094B2 (ja) 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2005269655A (ja) データ多重化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1069452A (ja) 記録再生装置及び入出力装置
US7110660B2 (en) Video apparatus process for a video apparatus and video recorder
JP4642734B2 (ja)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3582130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3444078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及びビデオ信号処理方法
JP3582129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3449077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及びビデオ信号処理方法
JP3918775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信号処理方法
JP3685182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信号処理方法
JP4983977B2 (ja)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3918773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信号処理方法
JP3612797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JP2000244943A (ja) 画像情報信号記録再生装置
JP3918774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信号処理方法
JP3624468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JP2005130024A (ja) 映像再生表示装置
JPH08140114A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EP1261214A2 (en) Method and circuit for video signal cor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