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311A - 이빨 교체용 골내의 단일 이빨 이식체 - Google Patents

이빨 교체용 골내의 단일 이빨 이식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311A
KR20010020311A KR1019997009917A KR19997009917A KR20010020311A KR 20010020311 A KR20010020311 A KR 20010020311A KR 1019997009917 A KR1019997009917 A KR 1019997009917A KR 19997009917 A KR19997009917 A KR 19997009917A KR 20010020311 A KR20010020311 A KR 20010020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base member
bone
positive locking
pari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르슈악셀
쉐르베르거롤프
Original Assignee
디에테르 레브하르트
이엠제트 페르티궁스 운트 페르드립스 게젤 샤프트 피어 덴탈레 테크놀로지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테르 레브하르트, 이엠제트 페르티궁스 운트 페르드립스 게젤 샤프트 피어 덴탈레 테크놀로지 엠베하 filed Critical 디에테르 레브하르트
Publication of KR20010020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3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뼈내에 이식될 수 있는 기본 본체를 갖는 이식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본 본체는 이식체 포스트를 수납하기 위한 블라인드 구멍을 가지며, 상기 블라인드 구멍은 기본 본체의 두정 단부 멀리에서 개방된다. 본 발명은 기본 본체가 종방향으로 늘어선 관계로 제 1 및 제 2 섹션을 가지며, 상기 제 1 섹션은 기본 본체의 경부 단부를 형성하며 제 2 섹션은 상기 제 1 섹션의 두정 단부에서 제 1 섹션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섹션의 외경은 기본 본체의 두정 단부 방향으로 증가하는 반면, 제 1 섹션의 외경은 기본 본체의 종방향으로 늘어선 관계로 제 2 섹션의 외경보다 상당히 작게 변하거나 또는 전혀 변하지 않는다. 제 1 섹션은 스크류를 가지지 않는다.

Description

이빨 교체용 골내의 단일 이빨 이식체{CONICAL IMPLANT}
공지된 이식체가 주어졌으며, 매끄러울 수 있거나 또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는 기본 부재는 이의 길이부에 걸쳐 기본적으로 일정한 횡단면을 갖는다. 사실 이러한 기하학적 형태는 대체로 알려졌지만, 이식체가 어금니 영역에 위치되고 이 이식체에 보다 큰 힘이 작용하여 어금니 영역으로 이끌어지고 그로 인해 이식체 구조물의 안정한 고정을 위해 기본 부재는 비교적 큰 직경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것은 기본 부재를 뼈내에 삽입하기 위해 뼈 조직을 많이 제거할 필요가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처음에 인용된 종류의 이식체를 만드는 것이며, 이식체 구조체의 안정한 고정은 환자의 뼈 조직에 작은 손상만으로도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이식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종방향을 참조하여 기본 부재는 기본 부재의 경부 단부를 형성하는 제 1 섹션과 두정 단부에서 제 1 섹션과 인접하는 제 2 섹션을 포함하며, 외경은 기본 부재의 두정 단부쪽으로 갈수록 커지며, 제 1 섹션의 외경은 기본 부재의 종방향으로 많이 변하지 않거나 또는 제 2 섹션에서보다 적어도 덜 심하게 변할 수 있으며, 제 1 섹션은 나사가공부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 1 섹션은 기본적으로 원통형이고 제 2 섹션은 기본적으로 원뿔형이다. 제 1 섹션은 리세스인 기하학적 형상, 예를 들면 표준 열공(standard lacunae)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일정한 외경이 주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기본 부재의 두정 단부쪽 방향으로 제 2 섹션과 인접하는 제 3의 기본적으로 원통형 섹션을 포함하며, 제 1 섹션의 외경은 이의 전장에 걸쳐 제 3 섹션의 외경보다 작다.
기본 부재의 제 3의 기본적으로 원통형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자체 태핑 외측 나사가공부(self-tapping outside thread)가 제공될 수 있다.
기본 부재의 경부 단부의 외경은 기본 부재의 두정 단부의 외경의 65%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75%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부재의 두정 단부와 제 1 섹션의 두정 단부 사이의 거리는 4㎜ 내지 7㎜ 사이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6.5㎜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 2 섹션의 원뿔 각도(α)가 25°내지 50°사이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30°내지 45°사이의 범위이다.
제 1 섹션, 제 2 섹션 및 잠재적으로는 제 3 섹션이 각기 상이하게 가공되거나 및/또는 피복되며, 특히 이들 표면은 각기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개 또는 2개의 섹션은 매끄러운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머지 섹션은 거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섹션의 외측에 나사가공부가 형성되었을 때, 에칭 기법에 의해 만들어진 거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제 1 및 제 2 섹션은 티타늄 플라즈마 피복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 부재내에 다수의 동축의 기본적으로 원통형 섹션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구멍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의 내경은 두정 단부에서 경부 단부로 갈수록 감소된다.
기본 부재내의 블라인드 구멍은 제 1 섹션에서보다 제 3 섹션 영역에서 보다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원뿔형 제 2 섹션내의 블라인드 구멍의 내경은 기본 부재의 제 3 섹션내의 블라인드 구멍의 내경과 기본 부재의 제 1 섹션내의 블라인드 구멍의 내경 사이에 놓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본 부재에 대한 비틀림에 대해 기본 부재에 고정되는 구조체를 고정하기 위한 포지티브 록킹 요소를 제공하며, 이러한 것은 기본 부재의 두정 단부면 바로 뒤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금니 영역에서 발생한 것과 같은 큰 힘이 주어질 때 조차도 이식체 구조물의 의존적인 고정을 위한 인식에 근거하며, 단단한 외피 영역에만 비교적 큰 직경의 기본 부재가 필요한 반면, 해면질(spongiosa) 영역에는 작은 단면적이 족하다. 따라서, 기본 부재 섹션의 길이는 피질 두께에 대략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껍게된 제 3 섹션내의 바람직한 자체 태핑 외측 나사가공부는 피질내에 기본 부재가 보다 잘 고정되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인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두정 단부에 블라인드 구멍 개방부를 포함하고 턱 뼈내로 안내되는 구멍내로 삽입가능한 기본적으로 원통형 기본 부재와, 기본 부재의 두정(coronal) 단부에 제공된 중공 원통형 링 리세스내로 삽입가능한 경부 센터링 칼라(cervical centering color)를 포함하고 기본 부재의 두정 단부 에지에 비틀림 저항식으로 부착가능한 스페이서 슬리브(spacer sleeve)를 포함하는 단단히 안착되는 이빨 교체용 골내의(enossal) 단일 이빨 이식체에 관한 것으로, 두정 방향으로 센터링 칼라와 인접하고 기본 부재의 두정 단부 에지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식체 포스트의 삽입을 위해 이의 두정 단부쪽으로 구멍 개방부가 제공되는 쇼울더를 포함하며, 여기서 기본 부재에 스페이서 슬리브의 비틀림이 방지된 연결을 위한 연결 수단이 형성되어 기본 부재의 중공 원통형 링 리세스는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 부재의 포지티브 록킹 요소를 포함하며 스페이서 슬리브의 센터링 칼라는 기본 부재 포지티브 록킹 요소와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슬리브 포지티브 록킹 요소와, 기본 부재의 블라인드 구멍내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삽입가능하며 이빨 교체를 위해 스페이서 슬리브 및 체결 헤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이식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기본 부재 포지티브 록킹 요소는 이의 포지티브 록킹 영역내의 링 리세스의 내벽에 직접적으로 이어지는 기본 부재의 단부 에지가 제공되며; 링 리세스의 종방향 축에 바로 인접해 놓이는 포지티브 록킹 영역의 가이드 표면은 원통형 표면에 놓이고 이 원통형 표면의 직경은 기본적으로 매끄러운 원주방향 벽을 가지고 포지티브 록킹 영역에 경부적으로 인접하는 링 리세스의 가이드 영역의 직경에 대응하며; 가이드 영역과 비교하여 감소된 직경을 갖는 링 리세스의 센터링 영역은 링 리세스의 가이드 영역에 경부적으로 인접하며; 스페이서 슬리브 포지티브 록킹 요소에는 이의 포지티브 록킹 섹션내의 센터링 칼라의 원통형 외벽에 스페이서 슬리브의 경부적으로 이어지는 쇼울더가 제공되며; 센터링 칼라의 종방향 중심축에 반경방향으로 가깝게 놓이는 포지티브 록킹 섹션의 원주방향 표면은 기본 부재의 가이드 영역의 내경에 기본적으로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통형 표면에 놓이며; 원통형 가이드 섹션은 경부적으로 포지티브 록킹 섹션에 인접하고, 이의 외경은 기본 부재의 가이드 영역의 내경에 기본적으로 대응하며; 기본 부재의 센터링 영역의 내경과 기본적으로 일치하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 센터링 섹션은 가이드 섹션과 경부적으로 인접한다. 이러한 이식체는 독일 특허 제 195 34 979 C1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의 개시내용은 상기 이식체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참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식체의 기본 부재의 제 1 실시예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본 부재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 부재의 제 2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본 부재의 종단면도.
유사한 구성요소 부품 및 동일한 작용을 갖는 구성요소 부품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식체의 기본 부재는 경부 단부로부터 두정 단부까지 연속적인 3개의 메인 섹션, 즉 제 1 원통형 섹션(1), 원뿔형 전이 섹션(3) 및 제 2 원통형 섹션(5)을 포함하며, 원통형 섹션(5)의 외경은 섹션(1)의 외경보다 크고, 섹션(3)의 외경은 섹션(5)의 큰 직경에서 섹션(1)의 작은 직경으로 연속적, 예를 들면 원뿔형 또는 예를 들면 쌍곡선 또는 원호 형태일 수 있는 곡선을 따라 줄어든다. 타원형 함몰부(7)[열공(lacunae)이라 불리움]가 제 1 원통형 섹션(1)에 공지된 방법으로 형성되며 치료중 보다 낳은 고정을 위해 뼈 재료가 이 함몰부(7)내로 성장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섹션(5)의 두정 단부와 섹션(3)의 경부 단부 사이의 길이는 대략 6.5㎜인 반면, 섹션(1)의 길이는 적용분야에 매우 의존하며, 예를 들면 5㎜ 내지 11㎜일 수 있으며 대체로 기본 부재 전체 길이의 1/2 내지 2/3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섹션(1)의 외경은 대략 5.4㎜이고, 섹션(5)의 외경은 대략 4㎜이며, 섹션(3)의 원뿔 각도(α)는 대략 30°이다.
도 2의 단면도로부터, 도 1에 도시된 기본 부재는 이식체 포스트의 삽입을 위한 블라인드 구멍(10)을 포함하며 독일 특허 제 195 34 979 C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스페이서 슬리브(자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참조됨)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개시 내용에 따라서, 블라인드 구멍은 제 1 내측 나사가공부(11)와 제 2 내측 나사가공부(12)를 포함하며, 내측 나사가공부(11)는 내측 나사가공부(1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기본적으로 섹션(1)에 놓인다. 내측 나사가공부(12)에는 섹션(5)에 놓이는 가이드 영역(13)이 있으며 이 내측 나사가공부(12)의 내측 직경은 나사가공부(11, 12)의 내측 직경보다 크다. 두정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가이드 섹션(13)에는 포지티브 록킹 섹션(positive locking section)(14)이 놓이며, 이 포지티브 록킹 섹션(14)은 스페이서 슬리브의 상보적인 포지티브 록킹 요소와 상호작용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기본 부재내로 삽입되고 이를 통해 이식체 포스트가 기본 부재내로 삽입되어 내측 나사가공부(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포지티브 록 리세스(15)를 포함한다. 3개 또는 4개의 반원형 또는 직사각형 리세스(15)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일 특허 제 195 34 979 C1 호는 포지티브 록 연결에 관한 자세한 설명을 위해 참조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식체의 기본 부재의 제 2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기본 부재에 해당한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상이한 것은 제 1 원통형 섹션(5)으로서 이 원통형 섹션(5)은 대략 가이드 섹션(13)의 레벨로 두정 단부 아래에서 시작해 원뿔형 섹션(3)의 시작부까지 연장하는 자체 태핑 외측 나사가공부(self-tapping outside thread)(20)가 제공된다. 그에 따라 외측 나사가공부(20)의 공칭 직경은 이의 두정 단부에서 섹션(5)의 나사가공부 자유 부분의 외경에 대응하며, 나사가공부 깊이는 이의 외경의 대략 1/6, 즉 5.4㎜의 외경에 대해 0.9㎜가 주어진다. 원뿔형 전이 영역은 다소 짧게 가공된다. 나사가공부(20)의 외경 또는 각기 공칭 직경으로부터 전이부에 있어서 원뿔 각도(α)는 대략 45°로 놓인다. 개별적으로 뿐만 아니라 임의의 조합으로, 상술한 명세서, 도면 및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실현을 위해 중요할 수 있다.

Claims (9)

  1. 두정 단부에 블라인드 구멍 개방부를 포함하고 턱 뼈내로 안내되는 구멍내로 삽입가능한 기본적으로 원통형 기본 부재와, 기본 부재의 두정(coronal) 단부에 제공된 중공 원통형 링 리세스내로 삽입가능한 경부 센터링 칼라(cervical centering color)를 포함하고 기본 부재의 두정 단부 에지에 비틀림 저항식으로 부착가능한 스페이서 슬리브(spacer sleeve)를 포함하는 단단히 안착되는 이빨 교체용 골내의(enossal) 단일 이빨 이식체로서, 두정 방향으로 센터링 칼라와 인접하고 기본 부재의 두정 단부 에지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식체 포스트의 삽입을 위해 이의 두정 단부쪽으로 구멍 개방부가 제공되는 쇼울더를 포함하며, 여기서 기본 부재에 스페이서 슬리브의 비틀림이 방지된 연결을 위한 연결 수단이 형성되어 기본 부재의 중공 원통형 링 리세스는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 부재의 포지티브 록킹 요소를 포함하며 스페이서 슬리브의 센터링 칼라는 기본 부재 포지티브 록킹 요소와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슬리브 포지티브 록킹 요소와, 기본 부재의 블라인드 구멍내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삽입가능하며 이빨 교체를 위해 스페이서 슬리브 및 체결 헤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이식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기본 부재 포지티브 록킹 요소는 이의 포지티브 록킹 영역내의 링 리세스의 내벽에 직접적으로 이어지는 기본 부재의 단부 에지가 제공되며; 링 리세스의 종방향 축에 바로 인접해 놓이는 포지티브 록킹 영역의 가이드 표면은 원통형 표면에 놓이고 이 원통형 표면의 직경은 기본적으로 매끄러운 원주방향 벽을 가지고 포지티브 록킹 영역에 경부적으로 인접하는 링 리세스의 가이드 영역의 직경에 대응하며; 가이드 영역과 비교하여 감소된 직경을 갖는 링 리세스의 센터링 영역은 링 리세스의 가이드 영역에 경부적으로 인접하며; 스페이서 슬리브 포지티브 록킹 요소에는 이의 포지티브 록킹 섹션내의 센터링 칼라의 원통형 외벽에 스페이서 슬리브의 경부적으로 이어지는 쇼울더가 제공되며; 센터링 칼라의 종방향 중심축에 반경방향으로 가깝게 놓이는 포지티브 록킹 섹션의 원주방향 표면은 기본 부재의 가이드 영역의 내경에 기본적으로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통형 표면에 놓이며; 원통형 가이드 섹션은 경부적으로 포지티브 록킹 섹션에 인접하고, 이의 외경은 기본 부재의 가이드 영역의 내경에 기본적으로 대응하며; 기본 부재의 센터링 영역의 내경과 기본적으로 일치하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 센터링 섹션은 가이드 섹션과 경부적으로 인접하는, 상기 이빨 교체용 골내의 단일 이빨 이식체에 있어서,
    상기 기본 부재의 종방향 축과 관련하여 상기 기본 부재는 이의 경부 단부를 형성하는 제 1 섹션과 제 1 섹션과 두정 단부에서 인접하는 제 2 섹션을 포함하며, 외경은 기본 부재의 두정 단부쪽 방향으로 증가하며, 제 1 섹션의 외경은 기본 부재의 종방향에 대해 변하지 않거나 또는 제 2 섹션보다 덜 변하며 제 1 섹션은 나사가공부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빨 교체용 골내의 단일 이빨 이식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1)은 기본적으로 원통형이며, 상기 제 2 섹션(3)은 기본적으로 원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빨 교체용 골내의 단일 이빨 이식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제 3 원통형 섹션(5)은 상기 두정 단부쪽 방향으로 상기 제 2 섹션(3)에 인접하고, 상기 제 1 섹션(1)의 외경은 이의 전장에 걸쳐 상기 제 3 섹션(5)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빨 교체용 골내의 단일 이빨 이식체.
  4. 제 3 항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상기 기본 부재의 제 3 원통형 섹션(5)은 외측 나사가공부가 형성된 외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빨 교체용 골내의 단일 이빨 이식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부 단부에서 상기 기본 부재의 외경은 두정 단부에서의 외경의 65% 내지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빨 교체용 골내의 단일 이빨 이식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부재의 두정 단부와 상기 제 1 섹션(1)의 두정 단부 사이의 차이는 4㎜ 내지 7㎜ 사이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빨 교체용 골내의 단일 이빨 이식체.
  7. 제 2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션(3)의 원뿔 각도(α)는 25°내지 50°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빨 교체용 골내의 단일 이빨 이식체.
  8. 제 3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부재내의 블라인드 구멍(10)은 제 1 영역(1)보다 제 3 섹션(5)의 영역에서 보다 큰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빨 교체용 골내의 단일 이빨 이식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션(3)내의 블라인드 구멍(10)의 내경은 기본 부재의 제 3 섹션(5)에서의 블라이드 구멍의 내경과 기본 부재의 제 1 섹션(1)의 블라인드 구멍의 내경 사이에 놓이는 특징으로 하는
    이빨 교체용 골내의 단일 이빨 이식체.
KR1019997009917A 1997-04-29 1998-04-02 이빨 교체용 골내의 단일 이빨 이식체 KR200100203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18176A DE19718176C2 (de) 1997-04-29 1997-04-29 Konusförmiges Implantat
DE19718176.7 1997-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311A true KR20010020311A (ko) 2001-03-15

Family

ID=782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917A KR20010020311A (ko) 1997-04-29 1998-04-02 이빨 교체용 골내의 단일 이빨 이식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0984736B1 (ko)
JP (1) JP2001522276A (ko)
KR (1) KR20010020311A (ko)
CN (1) CN1251650C (ko)
AT (1) ATE249180T1 (ko)
AU (1) AU8008998A (ko)
BR (1) BR9808101A (ko)
CA (1) CA2286224A1 (ko)
DE (1) DE19718176C2 (ko)
ES (1) ES2207836T3 (ko)
RU (1) RU2203629C2 (ko)
TR (1) TR199902659T2 (ko)
WO (1) WO19980487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07352B1 (es) 2005-04-12 2009-09-18 Bti, I+D, S.L. Implante dental y piezas destinadas a ser conectadas a un implante dental, y la conexion interna entre el implante dental y cada pieza.
JP2010136943A (ja) * 2008-12-12 2010-06-24 Nihon Univ インプラン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43035A1 (de) * 1977-09-24 1979-03-29 Werner Lutz Koch Enossales implantat zur befestigung von festsitzendem zahnersatz
GB2199626B (en) * 1987-01-08 1991-09-04 Core Vent Corp Screw-type dental implant anchor
DE3841705C2 (de) * 1988-12-10 1995-08-24 Imz Fertigung Vertrieb Enossales Implantat
WO1991003213A1 (en) * 1989-08-30 1991-03-21 Tdk Corporation Artificial dental root
US5503558A (en) * 1993-11-12 1996-04-02 Mcgill University Osseointegration promoting implant composition, implant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DE19534979C1 (de) * 1995-09-20 1997-01-09 Imz Fertigung Vertrieb Enossales Einzelzahnimplantat mit Verdrehsich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48727A1 (de) 1998-11-05
CN1254267A (zh) 2000-05-24
TR199902659T2 (xx) 2000-03-21
ES2207836T3 (es) 2004-06-01
JP2001522276A (ja) 2001-11-13
EP0984736A1 (de) 2000-03-15
BR9808101A (pt) 2000-03-08
DE19718176A1 (de) 1998-11-05
DE19718176C2 (de) 2003-12-24
AU8008998A (en) 1998-11-24
CA2286224A1 (en) 1998-11-05
RU2203629C2 (ru) 2003-05-10
EP0984736B1 (de) 2003-09-10
ATE249180T1 (de) 2003-09-15
CN1251650C (zh)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3776A (en) Enossal single tooth implant with twisting prevention
US6454810B1 (en) Endoprosthesis
US5199873A (en) Dental implant
US5888218A (en) Implant micro seal
US5000686A (en) Dental implant fixture
US5125840A (en) Enossal single tooth implant with twisting restraint
EP2191784B1 (en) Drill sleeve for a dental drill
CA2405093C (en) Implant
US20090105756A1 (en) Spinal implant
EP0521600A1 (en) Intramedullary intertrochanteric fracture fixation appliance
US5915968A (en) Enossal single tooth implant
US20080145819A1 (en) Screw-in Enossal Dental Implant
JP2001524346A (ja) 外科用インプラント及び外科用固定ネジ
SE512050C2 (sv) Rotationssymmetriskt benförankringselement
WO1991018556A1 (en) Fixture for anchoring in bone tissue
US5772437A (en) Securing element
US5549475A (en) Enossal single-tooth implant
KR20230104777A (ko) 임플란트 시스템
EP1587458B1 (en) Bone implant and device for forming a socket for same
KR100523114B1 (ko) 원뿔형 이식물
US20040127909A1 (en) Threaded dental or medical implants
KR20010020311A (ko) 이빨 교체용 골내의 단일 이빨 이식체
EP0687450B1 (en) Dental implant
KR200362463Y1 (ko) 픽스츄어
US20230200951A1 (en) Dental implant made of a metal or a metal all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