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954A - 컴퓨터-전화(ct) 호 서버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전화(ct) 호 서버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954A
KR20010017954A KR1019990033712A KR19990033712A KR20010017954A KR 20010017954 A KR20010017954 A KR 20010017954A KR 1019990033712 A KR1019990033712 A KR 1019990033712A KR 19990033712 A KR19990033712 A KR 19990033712A KR 20010017954 A KR20010017954 A KR 20010017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all
computer
call server
priv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1917B1 (ko
Inventor
정윤찬
Original Assignee
정윤찬
은종명
주식회사 아이커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찬, 은종명, 주식회사 아이커뮤넷 filed Critical 정윤찬
Priority to KR10-1999-0033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917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04M3/42323PBX's with CTI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8Notifying a called subscriber of an incoming call during an ongoing call, e.g. Call Wa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12Details of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PI] for telephone networks; Arrangements which combine a telephonic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 computer, i.e.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CPI]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내 사설교환기(PBX)를 이용한 전화 시스템 또는 키폰시스템과 다수의 개인용 컴퓨터가 근거리 통신망(LAN)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을, 호 서버로 동작하는 그 중 하나의 컴퓨터로 통합하여 컴퓨터 시스템상의 개인용 컴퓨터로 구내 전화와 외부 전화를 연결시켜 주는 컴퓨터-전화 호 서버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중통신망(PSTN)에 접속된 외부 전화기(16)와 다수의 구내 전화기(13-1, 13-2, ..., 13-n )및 구내 사설 교환기(11)로 이루어지는 전화시스템(12)과; 근거리 통신망(LAN)에 의해 다수의 개인용 컴퓨터들(14, 14-1, 14-2, ..., 14-n)이 서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15)과; 상기 다수의 개인용 컴퓨터(14-1, 14-2, ...,14-n)에서 입력되는 호출 요구신호를 중앙집중식으로 받아 호출 요구된 외부 전화(16)와 구내 전화기(13-1, 13-2, ..., 13-n ) 중 특정 전화기를 구내 사설 교환기(11)를 통해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컴퓨터 시스템(15)의 하나의 개인용 컴퓨터인 호 서버(14)로 구성되어 사설 교환기의 구내전화에 외부전화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신속, 정확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전화(CT) 호 서버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A computer-telephone integrated call server system and a method of providing call service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컴퓨터-전화 호 서버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내 사설교환기(PBX)를 이용한 전화 시스템과 근거리 통신망(LAN)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을 호 서버로 동작하는 컴퓨터로 통합하여 컴퓨터 시스템상의 개인용 컴퓨터로 구내 전화기와 외부 전화기를 연결시킬 수 있게 하는 컴퓨터-전화 호 서버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개발되기 시작한 컴퓨터-전화 통합 시스템은 교환기에 컴퓨터-전화 통합(Computer-Telephone Integration) 기능을 개발하여 내장시킨 상태에서 유효한 시그널링 정보를 교환기가 컴퓨터-전화 통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콜센터(Call Center)로 넘겨주면 , 콜센터에서는 인바운드(걸려온 전화) 정보를 해당 컴퓨터로 넘겨주어 고객 감동서비스를 창출해 내거나, 텔레마케팅 등에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 경우는 구내 사설 교환기가 컴퓨터-전화 통합 기능이 구비된 신규장비이어야 하고 콜센터가 구축되어야만 컴퓨터-전화 통합 서비스가 가능하다.
그러나, 국내 혹은 세계적으로 현재의 구내전화 시스템과 컴퓨터의 사용환경은 이상적인 콜센터를 구축하고 또 구내 사설 교환기를 새로운 장비로 교체할 만큼 여유가 없다. 참고로 국내에 10∼500명 정도의 직원을 가지는 회사, 학교, 공장 등에서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구내 사설 교환기에 컴퓨터-전화 통합 기능을 대부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또 컴퓨터-전화를 같이 이용하기 위한 콜센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렇다고 향후 단기간에 구내 사설 교환기를 교체하고 콜센터를 구축하는 일은 경제적으로 가능할 것 같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차적 목적은 컴퓨터-전화 통합 기능이 없는 구내 사설 교환기와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컴퓨터와 전화가 통합 운영될 수 있는 기반을 이룩하는 컴퓨터-전화 호 서버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콜센터가 없이 LAN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중의 하나를 사설 콜센터 개념의 컴퓨터-전화 호 서버로 사용하여 경제적인 컴퓨터-전화 통합 환경 구축과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궁극적 목적은 앞으로의 멀티미디어 통신 네트워크 기반도 기존 전화시스템과 컴퓨터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여 음성, 동영상 등의 실시간성 트래픽은 전화시스템의 경로를 이용하고 인터넷 데이터는 컴퓨터시스템의 경로를 이용하는 이원화 방식이나 컴퓨터-전화 호 서버가 음성, 동영상, 데이터 전송 경로를 통합제어할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에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통합 네트워크 환경 구축과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호 서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호 서버 시스템의 CT 호 서비스 프로토콜을 전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호 서버를 LAN측면의 클라이언트/서버 운영개념으로 바라본 구성도이고,
도 4는 클라이언트로부터 CT 호 요구가 왔을 때 호 서버에서 일어나는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상태 천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구내 사설 교환기 12 : 전화시스템
13-1, 13-2, ..., 13-n : 구내 전화기 14 : 호 서버 컴퓨터
14-1, 14-2, ..., 14-n : 클라이언트 개인용 컴퓨터
15 : LAN을 갖춘 컴퓨터 시스템 16 : 외부 전화기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전화 호 서버 시스템은 공중통신망(PSTN)을 통하여 외부에 접속된 외부 전화기(16)와 구내 사설 교환기(11)를 포함하여 다수의 구내 전화기(13-1, 13-2,...,13-n )로 구성된 전화시스템(12)과; 근거리 통신망(LAN)에 의해 다수의 개인용 컴퓨터들(14, 14-1, 14-2, ..., 14-n)이 상호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15)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15)과 전화시스템(12) 사이에 상기 다수의 개인용 컴퓨터(14, 14-1, 14-2, ..., 14-n) 중 하나를 상기 구내 사설 교환기(11)에 연결하여 상기 다수의 개인용 컴퓨터(14-1, 14-2, ...,14-n)에서 보내는 호출 요구를 받아들여 수행하며, 컴퓨터 시스템(15)의 하나의 개인용 컴퓨터 호 서버(14)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전화 호 서비스 방법은 외부전화와 통화하려는 직원이 컴퓨터에 저장된 고객목록에 의해 외부전화의 엔트리를 찾는 단계와; 직원이 찾아진 엔트리를 자신의 컴퓨터에 클릭하여 엔트리의 전화번호로 통화접속을 요구하는 신호 패킷을 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이 요구를 받은 호 서버가 구내 사설 교환기에게 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전화로의 호접속을 실행시키는 단계와; 호 서버가 구내 사설교환기를 통해 외부 전화로부터 호출음(또는 '통화중음')을 수신하는 단계와; 호 접속을 요구한 직원의 컴퓨터에게 호 서버가 외부 전화의 호출실행이 송신중 또는 '통화중' 상태임을 통보하는 단계와; 호 서버가 호출음 수신 후 즉시 발신측을 호 서버에서 통화신청한 직원의 전화로 전환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전화 통합 운영은 아웃바운드(전화를 거는 개념)에 기반을 둔 각종 서비스가 가능하며, 인바운드는 취급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교환기의 시그널링 회로로부터의 어떤 정보도 필요치 않다. 따라서, 상대편의 개인 사생활 보호 문제 등도 염려할 필요가 없는 컴퓨터-전화 통합운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대상은 구내에 사설 교환기 또는 키폰 시스템이 있고 LAN으로 연결된 다수의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는 사내이며 특징은 PSTN사업자나 사설교환기 및 LAN의 기존 운영 방식의 변경이나 협조 없이 사설로 본 발명의 호 서버구축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호 서버 기능을 소프트웨어 관점에서 보면 호 서버 컴퓨터에는 호 요구 처리를 위한 클라이언트/서버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에 기반을 둔 서버 프로그램이 구축되고 클라이언트 컴퓨터에는 CT 호 요청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구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성능면에서의 장점은 개인용 컴퓨터에서 상대측으로 전화를 걸수 있는 시스템이 구현되어 경제성, 이용의 용이성이 있고, 리스트를 보고 여러 고객을 차례로 여러번 전화 시도를 하는 경우에 상대가 통화중이면 "통화중" 상태를 컴퓨터 상에서 확인할 수 있어서 통화의 신속성과 신뢰성이 보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술적 사상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전화 호 서버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구내 사설 교환기(11)는 공중통신망(PSTN ; Public Switched Telecommunication Network)을 통하여 외부 전화기(16)와 다수의 구내 전화기( 13-1, 13-2,...,13-n )를 연결한다. 컴퓨터 시스템(15)은 다수의 개인용 컴퓨터들(14, 14-1, 14-2, ..., 14-n)을 근거리 통신망(LAN)으로 연결하여 상호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컴퓨터 시스템(15)에서는 특정 개인용 컴퓨터(14)가 호 서버로서 다수의 다른 개인용 컴퓨터(14-1, 14-2, ...14-n)와 상기 구내 사설 교환기(11)에 양쪽으로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개인용 컴퓨터(14-1, 14-2, ...,14-n)에서 입력되는 호출 요구신호를 받아들여 상기 구내 사설교환기(11)를 통해 외부 전화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개인용 컴퓨터(14, 14-1, 14-2, ...14-n) 중 하나(14)를 선택하여 호 서버로 설정하고, 이 컴퓨터(14)와 구내 사설 교환기(11)가 연결된다. 특히 이 호 서버(14)와 구내 사설 교환기(11)와의 인터페이스는 아날로그 가입자선 신호방식, 디지털 및 ISDN 내선 인터페이스가 모두 가능하다. 즉, 호 서버(14)는 LAN 인터페이스와 구내 사설 교환기 내선 인터페이스를 내장하고 있으며 사내의 전화 가입자 수가 많은 경우 구내 사설 교환기 내선 인터페이스를 여러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직원의 책상에 전화번호 S1를 갖는 전화기(13-1)와 IP주소 A1를 갖는 컴퓨터(14-1)가 나란히 놓여 있다. 여기서 A1 컴퓨터(14-1)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중에 전화번호 S3를 갖는 외부 전화(16)와 통화를 원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전화 통합기능은 다음과 같이 호 접속을 하게 된다.
·직원이 컴퓨터(14-1)에 저장된 고객목록에서 찾은 외부전화번호(S3)의 해당 엔트리를 클릭하여 호 서버(14)에게 통화 접속을 요구한다(①).
·IP(Internet Protocol)패킷 형태(목적지인 호 서버 IP 주소: A0)의 CT 호 요구 패킷이 호 서버(14)로 전송된다(②).
· 호 서버(14)가 IP 패킷을 받아 CT 호 접속 요구를 통합처리한다(③).
·호 서버(14)가 구내 사설 교환기(11)와의 내선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전화(S3)에 대한 CT 호 접속 요구를 가입자선 신호방식으로 보낸다(④).
·구내 사설 교환기(11)는 ④번 요구를 받고 공중통신망(PSTN)을 향하여 외부전화(S3)를 호출한다(⑤).
·외부 전화(16)로 호출신호가 보내진다(⑥).
·호 서버(14)가 공중통신망(PSTN)을 통해 외부 전화(16)로 부터의 호출음 또는" 통화중음"을 수신한다(⑦).
·외부 전화(16)에 대한 호출신호가 송출중인지 아니면 외부 전화(16)가 '통화중' 상태인지를 호 서버(14)가 요청한 컴퓨터(14-1)에 통보한다(⑧).
·발신측을 호 서버(14)에서 통화신청한 직원의 전화(13-1)로 전환하기 위한 발신전환 서비스를 시작한다(⑨).
·통화신청한 직원의 전화(13-1)로 발신전환되어 호출신호가 보내지고 전화(13-1)가 울리게 된다(⑩).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CT 호 서비스 프로토콜을 전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호 서버를 LAN측면의 클라이언트/서버 운영개념으로 바라본 구성도이며, 도 4는 클라이언트로부터 CT 호 요구가 왔을 때 호 서버에서 일어나는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상태 천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하여 특정인의 책상에 놓인 IP주소 A1를 갖는 컴퓨터와 그 근처에 있는 전화번호 S1을 갖는 전화와 전화번호 S3를 갖는 외부 전화를 접속시키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호 서버로 "[S1과 S3]간의 통화요청" 패킷을 보낸다. 이때, 패킷의 송신은 도 3에서 처럼 TCP/IP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형태로 동작하게 된다. 즉 클라이언트로부터 호 접속요구가 있을 때마다 서버에서는 소켓이 하나씩 만들어지며, 이때 생성된 콘넥트 쓰레드는 "[S1과 S3]간의 통화요청" 패킷을 받아서 CT 호 처리부로 넘겨주게 된다(ⓐ). 이때로부터 호 서버는 구내 사설교환기로 발호 신호를 보내고(ⓑ), 발신음을 기다리게 된다(ⓒ). 발신음이 수신되면 상대편 [S3]의 다이얼 선택신호를 보내고(ⓓ), 1차 호출음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이로부터 호출측 구내 사설교환기 → PSTN → 호출된 측 구내 사설 교환기 →S3 전화기를 거치면서 시그널링이 이루어지고(⑤), 만약 S3 전화기가 "통화중" 상태이면 호 서버는 "통화중음"을 수신할 것이고(ⓔ'), S3 전화기가 울리면 호 서버는 호출음을 수신할 것이다(ⓔ). 이 때 호 서버가 '통화중 음'을 수신하면 [S1과 S3]간의 통화 접속시도를 포기하고 상대편 S3가 '통화중'란 사실을 클라이언트 컴퓨터에게 알려준다(ⓕ). 만약 호 서버가 호출음을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는 [ S3]가 호출 중임을 알리고(ⓕ), 연속적으로 ⑨와 같은 시그널링이 수행된다. ⑨의 과정을 풀어서 설명하면 먼저 호 서버는 발신신호 전환용 후래싱(flashing)을 구내 사설 교환기로 보낸다(ⓖ). 이 후래싱은 보통 200 밀리초 ∼2초 사이의 시간 사이에 온훅(on hook) 상태에서 오프 훅(off hook) 상태로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호 서버는 발신음을 듣게 되고(ⓗ), [S1]의 내선 다이얼 선택신호가 구내 사설 교환기로 보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호 서버가 호출음을 받고(ⓙ), 온 훅 신호를 보내면(ⓚ) 발신전환 서비스가 완료되게 되고 S1 전화기가 울리게 된다(⑩). 그러면 컴퓨터에서 [S1과 S3]간의 통화요청을 한사람이 [S1]전화기를 들면(⑪), [ S3]전화기로부터의 호출음이 들리게 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전화 통합 기능이 없는 구내 사설 교환기로 전화시스템이 기 구축되어 있고, 콜센터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LAN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를 사설 콜센터 개념의 컴퓨터-전화 호 서버로 사용하여 경제적인 컴퓨터-전화 통합 환경 구축과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구나 앞으로의 멀티미디어 통신 네트워크 기반도 기존 전화시스템과 컴퓨터시스템을 그대로 계속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즉, 음성, 동영상 등의 실시간성 트래픽은 전화시스템의 경로를 이용하고 인터넷 데이터는 컴퓨터시스템의 경로를 이용하게 되어 오히려 트래픽별로 전송성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면서도 컴퓨터-전화 호 서버가 음성, 동영상, 데이터 전송 경로를 통합제어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기존의 두 종류의 네트웍으로도 멀티미디어 통합 네트워크 환경으로 이용가능하다는 점이다.
전화 서비스 측면의 효과만 국한하여 보더라도 PSTN사업자나 사설교환기 및 LAN의 기존 운영 방식의 변경이나 협조 없이 사설로 본 발명의 호 서버구축 운영이 가능하여 경제성, 이용의 용이성이 있고, 리스트를 보고 여러 고객을 차례로 여러번 전화 시도를 하는 경우에 상대가 통화중이면 "통화중" 상태를 컴퓨터 상에서 확인할 수 있어서 통화의 신속성과 신뢰성이 보장된다.

Claims (4)

  1. 공중통신망(PSTN)을 통하여 외부 전화기(16)와 다수의 구내 전화기(13-1, 13-2,...,13-n )를 연결하는 구내 사설 교환기(11)와;
    다수의 개인용 컴퓨터들(14, 14-1, 14-2, ..., 14-n)을 근거리 통신망(LAN)에 연결하여 상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시스템(15)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15)의 개인용 컴퓨터들의 하나로서 구내 사설 교환기(11)와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개인용 컴퓨터(14-1, 14-2, ...,14-n)에서 입력되는 호출 요구신호를 받아 상기 구내 사설교환기(11)를 통해 외부 전화를 연결시켜 주는 호 서버(14)로 구성되는, 컴퓨터-전화 호 서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서버(14)와 구내 사설 교환기(11)와의 인터페이스가 아날로그 가입자선 신호방식, 디지털 및 ISDN 내선 인터페이스인, 컴퓨터-전화 호 서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서버(14)가 LAN 인터페이스와 구내 사설 교환기 내선 인터페이스인 모뎀을 내장하는 컴퓨터-전화 호 서버 시스템으로서 LAN 인터페이스로 호접속요구가 중앙 수집되고 모뎀으로 PBX의 신호방식을 제어하여 호서버의 자동 발신 전송 서비스로 컴퓨터와 전화를 통합운영 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전화 호 서버 시스템.
  4. 각 컴퓨터의 고객목록 중에서 원하는 외부전화의 엔트리를 읽어들여 클릭하는 단계와;
    클릭된 엔트리의 전화번호로 통화접속을 요구하는 패킷을 호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호 서버가 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구내 사설 교환기에게 외부 전화에 대한 호접속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대측 전화로부터 호출음 또는 통화중 음을 수신하는 단계와;
    호 접속을 요구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게 외부 전화로 호출신호가 송신중 또는 통화중 상태임을 통보하는 단계와;
    발신측을 호 서버에서 호 접속 요구 전화로 전환하는 단계와;
    구내사설 교환기가 호 접속 요구전화와 외부전화와의 통화상태를 유지 또는 종료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컴퓨터-전화 호 서버 서비스 방법.
KR10-1999-0033712A 1999-08-16 1999-08-16 컴퓨터-전화(ct) 호 서버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KR100371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712A KR100371917B1 (ko) 1999-08-16 1999-08-16 컴퓨터-전화(ct) 호 서버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712A KR100371917B1 (ko) 1999-08-16 1999-08-16 컴퓨터-전화(ct) 호 서버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954A true KR20010017954A (ko) 2001-03-05
KR100371917B1 KR100371917B1 (ko) 2003-02-14

Family

ID=1960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712A KR100371917B1 (ko) 1999-08-16 1999-08-16 컴퓨터-전화(ct) 호 서버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9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618A (ko) * 2001-03-12 2001-06-05 오범석 사설교환망의 발신자 식별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20022188A (ko) * 2000-09-19 2002-03-27 이진혁 구내 네트워크를 이용한 키폰 시스템, 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데이터 송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240A (ko) * 2002-02-07 2003-08-14 김산홍 공동 주택에서의 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664A (ko) * 1996-12-28 1998-09-25 구자홍 랜을 이용하여 음성 및 동화상 통신을 지원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
KR100251001B1 (ko) * 1997-08-21 2000-04-15 이계철 컴퓨터 망을 이용한 전화 착/발신 제어방법
KR19990038193A (ko) * 1997-11-04 1999-06-05 김영한 근거리 통신망 겸용 사설자동교환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188A (ko) * 2000-09-19 2002-03-27 이진혁 구내 네트워크를 이용한 키폰 시스템, 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데이터 송신 방법
KR20010044618A (ko) * 2001-03-12 2001-06-05 오범석 사설교환망의 발신자 식별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1917B1 (ko) 200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2410B2 (en) Controller for the intelligent interconnection of two communication networks, and method of use for same
JP4125806B2 (ja) 通信ルーチング装置および方法
US7961865B1 (en) Method for handling incoming calls directed to a virtual communication service subscriber via a guest PBX
EP1279299B1 (en) Telephone cal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US6529596B1 (en) Web-based control of telephone
KR100371917B1 (ko) 컴퓨터-전화(ct) 호 서버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KR100390318B1 (ko) 인터넷과 사설전화기만으로 구성되는 웹투폰 시스템과웹투폰 호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
EP1248445B1 (en) Call appearance shared by PSTN phone and Voice over IP phone
US6532288B1 (en) Tandem access control processor connected to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for controlling features
KR100367931B1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이용한 확장 가능형 발신자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63691A (ko) 웹서버와 콜서버 통합에 기반한 웹전화시스템(웹콜폰)과고객관리/서비스 비지니스 모델
US20050025128A1 (en) Integration of an IP private branch exchange with a telecommunication switch provides users with additional features
KR20060018155A (ko) 웹 환경을 이용한 사설교환기의 서비스 기능 관리 시스템및 방법
EP1062794A2 (en) Communication system
JPH1168968A (ja) 利用者側からサービス制御情報を設定できる電話交換システム
JP2000196745A (ja) インタ―ネット利用電話通信システム
KR20020034942A (ko) 인터넷을 이용한 사설 교환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