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363A - 삼중벽 구조 내충격 수도관 - Google Patents

삼중벽 구조 내충격 수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363A
KR20010017363A KR1019990032831A KR19990032831A KR20010017363A KR 20010017363 A KR20010017363 A KR 20010017363A KR 1019990032831 A KR1019990032831 A KR 1019990032831A KR 19990032831 A KR19990032831 A KR 19990032831A KR 20010017363 A KR20010017363 A KR 20010017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hard layer
vinyl chloride
chloride res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8254B1 (ko
Inventor
신용구
신용진
Original Assignee
신진욱
신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욱, 신지원 filed Critical 신진욱
Priority to KR1019990032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254B1/ko
Priority to CN99119364A priority patent/CN1128946C/zh
Publication of KR20010017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363A/ko
Priority to HK01105366A priority patent/HK1035021A1/xx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2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1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with thre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외부 내충격경질층(1), 중심 고인장 경질층(2) 및 내부 내충격경질층(1')의 삼중벽 구조를 갖는 염화비닐수지 관에 있어서, 외부 내충격 경질층(1) 과 내부 내충격경질층(1')이 동일의 성질을 갖는 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고, 충격 보강제로써 염소화 폴리에틸렌계(Chlorinated Polyethylene,CPE계)를 수지에 대해 5 내지 10 중량부 첨가하였으며, 중심 고인장 경질층(2)은 내부 및 외부의 내충격 경질층보다 경질의 염화비닐수지를 사용하고, 충격 보강제로써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틸렌계(Polymethylmethacrylate Butadien Styrene,MBS계)를 수지 대비 5 내지 10중량부 첨가함으로써 삼중벽 수도관의 우수한 인장 강도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저온 충격 강도가 뛰어난 삼중벽 구조 내충격 수도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삼중벽 구조 내충격 수도관 {High Impact triple-layered Water Pipe}
본 발명은 삼중벽 구조를 지니는 내충격 수도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관에 사용되는 경질 염화비닐수지관은 통상의 주철관, 동관 등이 가지는 과중한 무게로 인한 작업성의 저하, 산화 및 부식에 의한 통수 능력 감소, 적수 및 백수 현상으로 인한 상수도물의 오염 등과 같은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널리 대체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염화비닐수지계 수도관은 부식 및 산화의 피해가 없고 위생적이며 그 무게가 가벼워서 취급 및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충격 강도 등이 현저하게 낮아 외압에 의해 파손 등의 우려가 상존하고 있다.
이러한 염화비닐수지계 수도관은 그 재질의 특성상 첨가제 등을 보강하여 충격강도를 높게 하면 인장 강도 및 편평하중강도가 낮아지고 인장강도 및 편평하중강도를 높게 하면 충격강도가 낮아지는 역비례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특별한 보완책이 마련되지 않는 한 수도관으로써 일반화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일반 수도관에 있어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충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일본국 실용신안 실개소 62-131185호, 동 57-33372호에서는 삼층 구조를 지니는 튜브나 합성 수지 파이프 등에 대하여 공개하고 있으나, 이들 선행 발명들은 각층의 구성 물질이 서로 판이하여 각층사이에 접착층을 형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또한 충격 강도만을 높이기 위한 것이어서 강한 내수압을 요구하는 수도관의 용도로서는 전혀 적합하지 아니하였다.
도 1은 삼중벽 구조 내충격 수도관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104328호, 영국 특허 제2271160호 및 중국 특허 제93206708.6호를 통하여 수도관에 사용되는 각 층을 구성하는 염화비닐수지의 물성을 달리하여, 내층 및 외층을 이루고 있는 내충격 경질층(1)(1')에 사용되는 염화비닐수지가 중간층에 사용되는 염화비닐수지에 비해 연질화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고, 내부 및 외부 내충격 경질층에는 충격보강제가 첨가되었으며, 외부 내충격경질층(1), 중심 고인장경질층(2), 내부 내충격경질층(1')의 두께의 비가 1:2:1 내지 1:3:1의 범위로 조절한 삼중벽 수도관을 제안하였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내부 및 외부의 내충격 경질층과 중심 고인장경질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중합도와 임계 두께를 달리하여 줌으로써 외부의 충격 파장이 매질의 물성차이로 인하여 상쇄되는 충격파장 중첩의 원리에 따라 인장 강도와 충격 강도가 모두 우수한 염화비닐수지제 수도관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내부 및 외부의 내충격 경질층에 첨가되는 충격보강제로는 염소화 폴리에틸렌계(Chlorinated Polyethylene, 이하 CPE계라고 칭함),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틸렌계(PMMA Butadien Styrene, 이하 MBS계라고 칭함), 아크릴계가 있으나, 아크릴계는 장시간의 내후성이 요구되는 플라스틱창호재(window profile) 전용 충격보강제로서 일반 파이프 첨가제와의 호환성이 없어서 사용이 적절치 못하고, MBS계는 태양광선에 대한 저항이 나쁘고, 압출기 내에서 압출저항(torque)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경질의 염화비닐은 통상 가공온도에서 열분해가 일어나므로 수도관제조의 경우 안정제(stabilizer)가 첨가되는데, 음용수용 배관제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무독성인 비납계 안정제를 사용하여야 하지만, 비납계 안정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압출저항이 높게되므로 MBS계 충격보강제를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염화비닐수지와의 친화력이 우수하고, 압출시 압출저항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단위 길이로 파이프를 자를 때 파이프 끝이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높은 효과를 나타면서 내후성이 우수한 CPE계 충격 보강제를 첨가하였다.
이러한 CPE계는 미국 등에서 내충격용 PVC 파이프 배합에 6 내지 8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나 CPE계를 다량 사용할 때에는 그 흐름이 원활치 못하며 고가여서 극히 제한된 용도로 사용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중심 고인장경질층(2)을 제외한 외부 및 내부 내충격경질층(1')에 대해서만 CPE계를 첨가하였으며, 아울러 CPE와 같은 계열의 폴리에틸렌왁스를 외부활제로 첨가함으로써, 금형과의 마찰을 줄여서 압출기 내에서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자 시도하였었다.
그러나, CPE계 충격보강제만을 사용함으로써 저온 충격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동절기에 한파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관내에 흐르는 유체의 동결로 인한 동파방지에 한계가 있으며, 다량 사용함으로써 인장강도가 급격히 떨어짐으로써 관내에 흐르는 유체의 압력으로 인한 변형 및 파괴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삼중벽 수도관의 우수한 인장 강도를 유지하면서 저온 충격 강도가 뛰어나며, 각 층간의 두께 비율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는 삼중벽 수도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삼중벽 구조 내충격 수도관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충격 파동 중첩의 원리에 대한 개괄도
도3는 내충격경질층을 10,000배로 확대한 투과형 전자현미경 사진
도4은 중심 고인장경질층을 10,000배로 확대한 투과형 전자현미경 사진
도5는 충격강도 도표
도6은 단일층 수도관의 취성-연성 전이 도표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삼중벽 수도관의 취성-연성 전이 도표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외부 내충격경질층
1': 내부 내충격경질층
2 : 중심 고인장경질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성분으로써 외부 내충격경질층(1) 과 내부 내충격경질층(1')에는 동일의 성질을 갖는 염화비닐수지를, 중심 고인장경질층(2)에는 내부 및 외부 내충격 경질층보다 경질의 염화비닐수지수지를 사용하고, 충격 보강제로써 외부 내충격경질층(1) 과 내부 내충격경질층(1')에는 CPE계(Chlorinated Polyethylene)를, 중심 고인장경질층(2)에는 MBS계(PMMA Butadien Styrene)를 수지 대비 5 내지 10중량부 복합안정제를 2.5 내지 3.5 중량부 및 활제를 수지 대비 0.3 내지 0.6 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삼중 구조를 갖는 수도관은 내부 및 외부 내충격 경질층(1)(1')과 중심 고인장경질층(2)의 물성을 달리하여 주고, 내부 및 외부 내충격 경질층(1)(1')이 중심 고인장경질층(2)에 의해 격리되도록 구성함으로서 내부와 외부에 가해진 충격은 소위 충격 파동 중첩의 원리 (the Superposition Principle of Impact Pulse)에 따라 분산과 감쇄가 일어나 궁극적으로는 상쇄됨으로써 인장 강도와 충격강도가 우수하게 된다.
도2는 충격 파동 중첩의 원리를 설명하는 개괄도로서, 충격 파동에 의한 파동펄스가 다른 중합도를 지니는 매질을 통과하고 있는 펄스의 하나 하나가 일으키는 변위를 각 점에서 합해주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충격 파동이 매질을 진행할 때 외부 내충격경질층(1)과 중심 고인장경질층(2)의 경계점에서는 한 개의 입사한 펄스가 두 개의 펄스로 갈라져서 반사 펄스와 투과 펄스로 나뉘게 된다.
상기에서 발생된 반사 펄스는 펄스의 형태가 뒤집혀져 진행하는데 결국 중첩의 원리에 의해서 입사펄스와 서로 상쇄되어 급격히 충격에너지가 감쇠하게 된다.
일부 투과펄스는 다시 중심 고인장경질층(2)과 내부 내충격경질층(1')과의 경계점에서 일부 반사펄스와 투과펄스로 나뉘게 되는데 이때의 형태는 반사펄스가 투과펄스와 같게 된다. 하지만 중심 고인장경질층(2)이 높은 내부마찰에 해당되어 다시 반사되어온 펄스는 급격히 감쇠하게 된다.
이때, 외부의 충격을 가장 먼저 받는 외부 내충격 경질층(1)은 반드시 충격에 강해야 하고 내부의 내충격 경질층(1')은 수도관 내부의 수압을 견딜 수 있어야 하며, 내부와 외부의 내충격 경질층(1)(1')을 격리시키기 위하여 중간부에 설치된 중심 고인장경질층(2)은 내부 또는 외부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 또는 완충시켜 줌으로서 충격을 가하거나 편평하중을 걸었을 때 균열 및 파열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수도관의 주성분인 염화비닐수지는 외부 내충격경질층(1) 과 내부 내충격경질층(1')의 경우 동일의 성질을 갖는 수지를 사용하고, 중심 고인장경질층(2)에는 내부 및 외부 내충격 경질층보다 경질의 수지를 사용하게 된다.
외부 내충격경질층(1) 과 내부 내충격경질층(1')에 사용되는 염화 비닐 수지로는 중합도가 800내지 1000인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중합도가 800미만인 경우에는 연성이 취약한 문제가 발생하며, 중합도가 1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깨지기 쉬운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중심 고인장경질층(2)에 사용되는 염화 비닐 수지로는 중합도가 1000 내지 1200인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중합도가 1000미만인 경우에는 낮은 인장강도의 문제가 발생하며, 중합도가 12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은 부하로 인한 압출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염화비닐수지의 선택과 두께 차이만으로 인장강도와 충격강도를 조절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저온 충격강도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지 자체가 지니는 저온 강도의 취약성으로 말미암아 더 많은 충격 보강제의 첨가를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충격 보강제로써 외부 내충격경질층(1) 과 내부 내충격경질층(1')에는 CPE계를, 중심 고인장경질층(2)에는 MBS계를 수지 대비 5 내지 10중량부 첨가하였다.
CPE계 충격보강제는 내후성과 가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내부 및 외부의 내충격경질층(1)(1')에 첨가되어 태양광선에 대한 저항이 강하면서, 도3에서와 같이 CPE계 충격 보강제와 염화비닐수지와의 우수한 친화력에 의해 압출저항 (torque)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단위 길이로 파이프를 자를 때 파이프 끝이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높은 효과를 나타낸다.
MBS계 충격보강제는 중심 고인장경질층(2)에 사용되어, 도4에서와 같이 MBS계 충격 보강제를 구성하는 구성성분의 분산으로 인장 강도를 유지하면서, 낮은 Tg의 영향으로 저온 충격에 강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었다.
동시에 MBS계 충격 보강제와 염화비닐 수지간에 형성된 불균일상 형태의 구성으로 인하여, 같은 종류의 염화비닐수지에서도 내충격경질층과 중심층의 분산형태가 현격하게 차이가 남으로써 고인장경질층과 내충격경질층 사이의 충격 파동 중첩 효과가 더욱 커지게 되어 내충격성을 더욱 높여주는 구조적 특징에 의하여 층간 두께를 정확하게 조절하지 않더라도 높은 인장강도를 유지하면서 저온충격강도를 훨씬 높여주는 파이프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중심 고인장경질층(2)에서 사용되는 MBS계 충격보강제는 높은 인장강도를 유지하며 내충격성을 부여하지만, 압출기에서 높은 압출저항을 나타내기 때문에, 참가제의 종류와 배합을 달리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외부 및 내부 내충격경질층(1')과 중심 고인장경질층(2)을 격리시킴으로써 음용수에 직접 닫지 않는 중심층에 납계 안정제를 사용하여 낮은 압출저항을 유지하고, 압출할 때 금형과 직접 닿지 않지만 내부 및 외부 내충격경질층(1)(1')과 마찰이 생기므로 내부활제인 스테아린산을 사용하여 컴파운드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였다.
이때 충격 보강제의 함량은 내부 및 외부 내충격경질층(1)(1')과 중심 고인장경질층(2)에서 수지 대비 5 내지 10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충격 보강제의 함량이 증가하게되면 충격강도는 증가하지만, 인장강도는 급격히 떨어지게 되며, 반대로 5 중량부 보다 적은 양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충격강도의 개선효과가 없다.
한편 고인장 경질층에 사용하는 납계 안정제로는 삼염기성 황산납(Tribasic Laed Sulphate Monohydrous), 삼염기성 스테아린산 련 (Dibasic Laed Stearate), 스테아린산 납 (Laed Stearate) 등이 있으며, 높은 활성으로 인하여 MBS계 충격보강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납계 안정제는 2.5 내지 3.5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2.5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지 탄화와 같은 문제가 있고, 3.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블루밍(Blooming)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활제는 0.3 내지 0.6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0.3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층간의 불균일성과 같은 문제가 있고, 0.6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겔화저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 구조의 수도관은 내부 및 외부 내충격경질층(1)(1')과 중심 고인장경질층(2)에 사용하는 컴파운드 원료가 각기 다른 수퍼 믹서에서 가열 배합된 다음, 연동화 시스템(Synchronization system)을 갖춘 두 개의 압출기로부터 코엑스(coex)라고 불리우는 금형으로 압출시켜 삼중벽 구조가 단일층과 같은 매끄러운 형상을 이루게 하며, 3개의 층간 간격이 일정하게 형성하는 다층공압출공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내부 및 외부 내충격경질층(1)(1')의 컴파운드 배합-
중합도가 K-60인 주식회사 한화의 염화비닐수지 (제품명 : P-800) 100중량부에 대해 다우케미칼사(Dow Chemical)의 CPE계 충격보강제(CPE-3615) 8중량부, 카네카사(Kaneka)의 가공조제 (PA-30) 2중량부, 단석산업의 비납계 복합안정제 3.5중량부 및 오미아(Omia)사의 충진제(T-1) 3중량부 및 외부활제인 폴리에틸렌왁스 0.5중량부를 혼합하여 120℃의 수퍼믹서에서 약 15분 동안 배합하였다.
-중심 고인장경질층(2)의 컴파운드 배합-
중합도가 K-80인 주식회사 한화의 염화비닐수지 (제품명 : P-1200) 100중량부에 대해 LG화학의 MBS계 충격보강제(MB-830) 5중량부, 카네카사(Kaneka)의 가공조제 (PA-30) 1중량부, 단석산업의 납계 복합안정제 3중량부 , 오미아(Omia)사의 충진제(T-1) 6중량부 및 내부활제인 스테아린산 0.5중량부를 혼합하여 120℃의 수퍼믹서에서 약 15분 동안 배합하였다.
-다층 공압출 제조-
연동화 시스템(Synchronization system)을 갖춘 다층공압출기에서 내부 내충격경질층(1') : 중심 고인장경질층(2) : 외부 내충격경질층(1) 두께비가 1:2:1 이 되도록 2대의 압출기로 내충격경질층과 고인장경질층의 서로 다른 배합원료의 점성도(Viscosity)를 두 개의 스크류 회전수 및 실린더의 온도와 회전수 차이로 흐름을 같게 하는 연동화시스템(synchronization system)의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합성수지의 특성상 용융상태의 수지 흐름이 딱딱한 것을 coex라는 금형(die)에서 두 성분이 용융상태에서 자연스럽게 만나 3중벽 구조가 단일층과 같이 매끄러운 형상을 이루고 3개 층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다층공압출공법을 통해서 삼중벽 구조의 수도관을 제작하였으며, 인장강도와 저온충격시험 및 취성-연성 전이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1과 도5 및 도7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와 동일한 장치와 방법에 따라 내부 및 외부 내충격경질층(1)(1')의 컴파운드를 배합하고 중심 고인장경질층(2)의 컴파운드는 내충격경질층(1)(1')의 배합과 동일하게 하되 중합도가 K-80인 주식회사 한화의 염화비닐수지 (제품명 : P-1200)에 CPE계 내충격보강제를 수지 대비 5 중량부 사용하였을 때 두께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공압출하여 삼중벽 구조의 수도관을 제작하였으며, 인장강도와 저온충격시험 및 취성-연성 전이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1과 도5, 도6 및 도7에 나타내었다.
〈비교예2〉
실시예와 동일한 두께의 시판중인 단일층 구조의 고강도 내충격 수도관을 사용하여 인장강도와 저온충격시험 및 취성-연성 전이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실시예와 함께 표1 및 도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3〉
실시예와 동일한 두께의 시판중인 단일층 구조의 일반 수도관을 사용하여 인장강도와 저온충격시험 및 취성-연성 전이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실시예와 함께 표1 및 도5에 나타내었다.
구 분 인장강도(kgf/cm2) 저온충격강도(N·m)
실시예 550 20
비교예1 521 14
비교예2 505 10
비교예3 535 4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삼중벽 구조의 내충격 수도관과, 시판중인 단일층 구조의 고강도 내충격 수도관과 시판중인 단일층 구조의 일반 수도관에 대한 충격강도 실험 결과를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다.
저온 충격 강도 실험과 인장강도 실험은 내충격 수도관 충격강도 실험방법 (KS M 3401)에 따라 실시하였다. 샘플을 0±2℃에서 60분 이상 방치 한 후 최악의 조건, 즉 시험 규정보다 추 무게를 더 무겁게 하고 그 추 모양은 원추형(삼각추)을 사용하여 각 호칭(외경)별로 추의 무게와 낙하높이를 달리하여 중력위치 에너지 (gravitational potential energy; GPE)에 변화를 준 후의 실험 결과 값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삼중벽 구조의 내충격 수도관의 충격강도가 다른 수도관에 비해 50% 이상의 우수한 저온 충격강도를 지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종래 기술에 의한 3중 수도관보다 저온 충격강도는 20%이상, 인장강도는 5%이상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도6은 단일층 수도관에 대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삼중벽 수도관의 취성(brittleness)-연성(ductile) 전이 도표로써, 고속 충격 시험기 (pneumatic impact tester)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삼중벽 구조의 내충격 수도관과 시판중인 단일층 구조의 고강도 내충격 수도관의 취성(brittleness)-연성(ductile) 전이 과정을 평가한 결과이다.
단일층 수도관의 경우 높은 취성을 보이면서, 작은 조각들로 깨어짐을 알수 있었던 것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한 삼중벽 구조의 수도관은 높은 연성을 보였는데, 이는 고분자 사슬의 배향 및 내부 응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고분자 재료의 충격 강도를 결정짓는 변수는 고분자의 구조, 배향 등이 있지만, 상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다른 종류의 충격 보강제를 지니는 다층 구조의 설계가 수도관의 연성을 향상시키는데 더 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된 것처럼 본 발명은, 삼중벽 수도관의 우수한 인장 강도를 유지하면서 저온 충격 강도가 뛰어난 삼중벽 수도관의 제공을 위한 바람직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니는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3)

  1. 외부 내충격경질층(1), 중심 고인장 경질층(2) 및 내부 내충격경질층(1')의 삼중벽 구조를 갖는 염화비닐수지관에 있어서, 주성분으로써 외부 내충격경질층(1) 과 내부 내충격경질층(1')에는 동일의 성질을 갖는 염화비닐수지를, 중심 고인장경질층(2)에는 내부 및 외부 내충격 경질층보다 경질의 염화비닐수지수지를 사용하고, 충격 보강제로써 외부 내충격경질층(1) 과 내부 내충격경질층(1')에는 염소화 폴리에틸렌계(Chlorinated Polyethylene,CPE계) 충격보강제를, 중심 고인장 경질층 (2)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틸렌계(Polymethylmethacrylate Butadien Styrene, MBS계)를 수지 대비 5 내지 10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벽 구조를 갖는 염화비닐수지관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내충격경질층(1) 과 내부 내충격경질층(1')에 사용되는 염화 비닐 수지는 800 내지 1000의 중합도를 가지고, 중심 고인장경질층(2)에 사용되는 염화 비닐 수지는 1000 내지 1200의 중합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벽 구조를 갖는 염화비닐수지관
  3.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내충격경질층(1) 과 내부 내충격경질층(1')에 사용되는 안정제는 비납계(주석계) 복합안정제 2.5내지 3.5 중량부와 CPE계 충격보강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외부활제인 폴리에틸렌왁스 0.3내지 0.6 중량부 첨가하고, 중심 고인장경질층(2)에 사용되는 안정제는 납계 복합안정제 2.5내지 3.5 중량부와 MBS계 충격보강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내부활제인 스티아린산 0.3 내지 0.6 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벽 구조를 갖는 염화비닐수지관
KR1019990032831A 1999-08-10 1999-08-10 삼중벽 구조 내충격 수도관 KR100338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831A KR100338254B1 (ko) 1999-08-10 1999-08-10 삼중벽 구조 내충격 수도관
CN99119364A CN1128946C (zh) 1999-08-10 1999-09-13 三重壁构造耐冲击水道管
HK01105366A HK1035021A1 (en) 1999-08-10 2001-08-01 Impact resistance water duct with three-layer walls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831A KR100338254B1 (ko) 1999-08-10 1999-08-10 삼중벽 구조 내충격 수도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363A true KR20010017363A (ko) 2001-03-05
KR100338254B1 KR100338254B1 (ko) 2002-05-27

Family

ID=19606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831A KR100338254B1 (ko) 1999-08-10 1999-08-10 삼중벽 구조 내충격 수도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38254B1 (ko)
CN (1) CN1128946C (ko)
HK (1) HK1035021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4994A1 (en) * 2004-12-16 2006-06-22 Jin-Uk Shin Highly impact-resistant triple-layered water pipe with antibacterial function
KR100723625B1 (ko) * 2006-07-13 2007-06-04 이종호 파이프 제조용 합성주철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 배수관
KR100927840B1 (ko) * 2009-06-04 2009-11-23 주식회사 사이몬 항균력을 구비한 다층 상수도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균력을 구비한 다층 상수도관
KR101882456B1 (ko) 2017-11-10 2018-07-27 주식회사 고리 상ㆍ하수도용 삼중벽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의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
CN108952223A (zh) * 2018-09-21 2018-12-07 郑州成功财经学院 带厚板式转换层的多种户型住宅建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3841B (zh) * 2011-12-21 2015-08-19 双鸭山市同心橡胶厂 一种抢险用可折叠高压排水管及其制造方法
KR20190079740A (ko) 2017-12-27 2019-07-08 (주)고비 불균일한 경계면을 가지는 합성수지 다중관
KR101960771B1 (ko) 2018-12-06 2019-05-24 (주)고비 삼중벽관 폴리염화비닐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수지 삼중벽관
KR20210018642A (ko) 2019-08-07 2021-02-18 (주)고비 다중층 경질 폴리염화비닐 내진 상하수도관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다중층 경질 폴리염화비닐 내진 상하수도관
KR102441521B1 (ko) 2021-04-28 2022-09-07 주식회사 뉴보텍 배관 성형용 합성수지조성물과 이를 통해 제조된 합성수지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4994A1 (en) * 2004-12-16 2006-06-22 Jin-Uk Shin Highly impact-resistant triple-layered water pipe with antibacterial function
KR100723625B1 (ko) * 2006-07-13 2007-06-04 이종호 파이프 제조용 합성주철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 배수관
KR100927840B1 (ko) * 2009-06-04 2009-11-23 주식회사 사이몬 항균력을 구비한 다층 상수도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균력을 구비한 다층 상수도관
KR101882456B1 (ko) 2017-11-10 2018-07-27 주식회사 고리 상ㆍ하수도용 삼중벽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의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
CN108952223A (zh) * 2018-09-21 2018-12-07 郑州成功财经学院 带厚板式转换层的多种户型住宅建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946C (zh) 2003-11-26
KR100338254B1 (ko) 2002-05-27
HK1035021A1 (en) 2001-11-09
CN1283760A (zh) 200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254B1 (ko) 삼중벽 구조 내충격 수도관
EP1145844B1 (de) Extrudiertes, spritzgegossenes oder blasgeformtes Rohr, Fitting oder Formstück aus Kunststoff
KR100937735B1 (ko) 4중 구조의 폴리염화비닐관
KR100733133B1 (ko) 파이프 제조용의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 다층구조의 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수득되는 다층구조의 파이프
KR101283391B1 (ko) 아라미드섬유 보강 폴리염화비닐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1960771B1 (ko) 삼중벽관 폴리염화비닐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수지 삼중벽관
EP4086073B1 (en) Wood-plastic coated metal composite profil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03883812A (zh) 一种内螺旋耐高温超静音排水管及其制造方法
US6376586B1 (en) Flexible and tough poly(vinylidene fluoride)-based compositions and their method of preparation
EP3216593B1 (en) Liner for impact resistant grp pipes
DK178345B1 (en) A flexible tubular struc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tubular structure
CN114591579A (zh) 一种多层结构的耐候性排水管道及其制备方法
KR102350805B1 (ko) 수도용 강관의 내면 코팅용 개질 폴리에틸렌 분체 수지 조성물
CN110894328B (zh) 一种卫浴洁具用内复合增强层螺旋缠绕pvc软管及其制备方法
KR100193055B1 (ko) 수도용 내충격 경질염화비닐관
CN114013113A (zh) 一种耐高温pvc复合静音排水管材及其制备方法
CN107191687A (zh) 埋地式pvc改性三层结构实壁排水管
CN113789021A (zh) 一种增强阻燃静音胶溶排水管道
KR200430028Y1 (ko) 파이프 제조용 합성주철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 배수관
JPH0890673A (ja) ホース製造用マンドレル
CN219667658U (zh) 高抗冲复合管材、管道零件和管道系统
JP2004074624A (ja) 塩化ビニル樹脂押出成形体
KR20190079740A (ko) 불균일한 경계면을 가지는 합성수지 다중관
KR102590223B1 (ko) 수밀성 보강 파이프관
CN111909471B (zh) 一种冰箱用聚氯乙烯密封条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