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873A -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 - Google Patents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873A
KR20010016873A KR1019990032069A KR19990032069A KR20010016873A KR 20010016873 A KR20010016873 A KR 20010016873A KR 1019990032069 A KR1019990032069 A KR 1019990032069A KR 19990032069 A KR19990032069 A KR 19990032069A KR 20010016873 A KR20010016873 A KR 20010016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prism
lens
frame
spectac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0991B1 (ko
Inventor
한영강
Original Assignee
한영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강 filed Critical 한영강
Priority to KR1019990032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991B1/ko
Priority to KR2019990015950U priority patent/KR200168098Y1/ko
Publication of KR20010016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4Mirrors; 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의 렌즈로 입사되는 상을 굴절시켜 안경을 착용했을 시 안경의 하부 또는 상부를 볼 수 있는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사된 상이 굴절되어 반사되도록 하는 프리즘 형상의 렌즈와, 이 렌즈가 일면에 부착되는 안경테와, 이 안경테의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안경다리로 구성되며, 상기 안경테에 부착되는 렌즈의 일면에는 불투명코팅을 하여 이 불투명코팅면을 통해 상기 렌즈에 입사된 상이 반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경테에는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 안경이 얼굴에 고정되도록 하는 코받침부가 안경테의 중앙에 양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직접 몸을 움직이지 않아도 다양한 방향에 있는 사물을 볼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refracting glasses using prism}
본 발명은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에 입사되는 상을 굴절시켜 안경을 착용했을 시 안경의 하부 또는 상부를 볼 수 있는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보통 텔레비젼이나 비디오 등을 집에서 시청하는 경우 똑바로 앉아서 보기도 하지만 집이라는 장소적 특성으로 인하여 좀더 편안한 자세로 시청하기를 원하게 된다.
즉, 텔레비젼을 볼때 길게 누워서 보는 경우가 많게 되는데 이 경우 텔레비젼 화면을 보기 위해서 눈을 내려깔고 시청해야 하기 때문에 조금만 시간이 지나도 눈이 굉장히 피곤하게 된다.
또한, 쇼파나 의자에 앉아서 독서를 할 때 책을 무릎에 올려놓고 보게 되면 눈이 피곤할 뿐 아니라 목을 구부리고 봐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 보게 되는 경우 목에 무리가 와서 목부분에 통증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경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통상의 안경을 변형시켜 안경의 착용시 안경의 하부 또는 상부를 볼 수 있는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사된 상이 굴절되어 반사되도록 하는 프리즘 형상의 렌즈와, 이 렌즈가 일면에 부착되는 안경테와, 이 안경테의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안경다리로 구성되며, 상기 안경테에 부착되는 렌즈의 일면에는 불투명코팅을 하여 이 불투명코팅면을 통해 상기 렌즈에 입사된 상이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안경테에는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 안경이 얼굴에 고정되도록 하는 코받침부가 안경테의 중앙에 양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을 도시한 사시도,
도2a는 본 발명의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을 도시한 정면도,
도2b는 본 발명의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을 도시한 후면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의 사용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즈 2 : 안경테
3 : 안경다리 4,5 : 코받침부
이하, 본 발명의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1은 본 발명의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안경은 프리즘 형상의 렌즈(1)가 안경테(2)의 일면으로 2개 부착되어 있고, 이 안경테(2)의 양측에는 안경다리(3)가 힌지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렌즈(1)는 투명재질로서 일면으로 입사된 상이 굴절되어 반사되도록 상기 안경테(2)에 부착되는 면에는 불투명코팅이 되어 있고, 렌즈(1)가 부착되는 부이의 안경테(2)에는 렌즈(1)가 약간 삽입가능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안경테(2)와 접하는 렌즈(1)의 일면에 불투명코팅을 하면 렌즈(1)의 일면으로 입사된 물체의 상이 불투명코팅된 면에 반사되어 굴절된 후 렌즈(1)의 타면으로 반사되어 눈에 상이 들어오게 된다.
또한, 렌즈(1)가 부착되는 안경테(2)의 부위에 소정의 깊이로 홈을 형성하고 렌즈(1)를 부착시키면 렌즈(1)의 모서리면으로 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완벽한 프리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안경테(2)의 중앙부에는 사람이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 얼굴에 안경이 고정되도록 하는 코받침부(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코받침부(4)는 렌즈(1)가 부착되어 있는 안경테(2)의 앞면과 그 반대편인 뒷면에 모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경다리(3)는 통상적인 안경과 마찬가지로 안경테(2)에 힌지결합되어 접었다 펼칠 수 있는 것으로서, 접었을 경우 상기 렌즈(1)와 접하지 않고 상기 코받침부(4)에 접하도록 접혀질 수 있는 각도로 힌지결합되어 있다.
첨부한 도2a는 본 발명의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2b는 본 발명의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을 도시한 후면도로서, 상기 코받침부(4)(5)가 형성되어 있는 일측이 얼굴에 접하게 되어 착용되는 것이다.
첨부한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의 사용실시예를 보인 측면도로서, 도3a는 본 발명의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을 이용하여 안경의 하부 즉 사용자가 누웠을경우 사용자의 전방을 보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3b는 사용자의 후방을 볼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안경을 180°회전시켜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렌즈(1)는 상이 입사되는 면의 폭길이가 상을 눈으로 반사하는 면의 폭보다 길게 되어 있어서 렌즈(1)의 높이가 비교적 낮게 되며, 상기 코받침부(4)는 안경을 착용했을 때 상기 렌즈(1)와 눈 사이의 간격을 적당히 맞출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게 형성되야 한다.
또한, 안경테(2)의 뒷면에 형성된 코받침부(5)도 안경을 180°회전시켰을 경우 안경이 얼굴에 잘 고정될 수 있도록 코에 고정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프리즘을 기포가 없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프리즘을 통해 보게 되는 상이 선명하게 되어 눈에 무리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을 착용하면 렌즈(1)에 상이 입사된후 불투명코팅면에 의해 굴절되어 반사됨으로써 누운 자세에서 정면에 있는 텔레비젼 등을 시청할 수 있게 되며, 안경을 회전시켜 사용하는 경우 후방에 있는 물체도 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굴절 안경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쇼파나 의자에서 독서를 할때 착용하면 목을 구부리지 않으면서도 무릎위에 펼쳐놓은 책을 편하게 볼 수 있으며, 병원에서 몸을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가 착용할 경우에도 텔레비젼 등을 시청할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은 사용자가 직접 몸을 움직이지 않아도 다양한 방향에 있는 사물을 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입사된 상이 굴절되어 반사되도록 하는 프리즘 형상의 렌즈와, 이 렌즈가 일면에 부착되는 안경테와, 이 안경테의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안경다리로 구성되며, 상기 안경테에 부착되는 렌즈의 일면에는 불투명코팅을 하여 이 불투명코팅면을 통해 상기 렌즈에 입사된 상이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에는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 안경이 얼굴에 고정되도록 하는 코받침부가 안경테의 중앙에 양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
KR1019990032069A 1999-08-05 1999-08-05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 KR100320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069A KR100320991B1 (ko) 1999-08-05 1999-08-05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
KR2019990015950U KR200168098Y1 (ko) 1999-08-05 1999-08-05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069A KR100320991B1 (ko) 1999-08-05 1999-08-05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950U Division KR200168098Y1 (ko) 1999-08-05 1999-08-05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873A true KR20010016873A (ko) 2001-03-05
KR100320991B1 KR100320991B1 (ko) 2002-01-18

Family

ID=196062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069A KR100320991B1 (ko) 1999-08-05 1999-08-05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
KR2019990015950U KR200168098Y1 (ko) 1999-08-05 1999-08-05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950U KR200168098Y1 (ko) 1999-08-05 1999-08-05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20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816B1 (ko) * 2016-01-08 2016-02-26 김대홍 시력검사용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4541A (en) * 1987-07-29 1989-02-06 Mazda Motor Production of mol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816B1 (ko) * 2016-01-08 2016-02-26 김대홍 시력검사용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0991B1 (ko) 2002-01-18
KR200168098Y1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9470B2 (en) Adjustable eyewear
TW210380B (ko)
JP2003522974A (ja) 両眼ディスプレイ装置
US5173720A (en) Eyewear field-of-view changer
US6280031B1 (en) Prismatic optical viewing glasses
KR101100586B1 (ko) 머리띠형 안경
US5229796A (en) Attachable eyeglasses
CN109270694A (zh) 一种可实现ar或vr或mr的智能眼镜
CN209028324U (zh) 一种可实现ar或vr或mr的智能眼镜
KR100320991B1 (ko)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
US20080259272A1 (en) Eyewear for Redirected Viewing
CN205880364U (zh) 一种目镜系统和头戴显示设备
KR20080072800A (ko) 굴절안경
JPH05303063A (ja) 遠近両用眼鏡レンズ
US5680193A (en) Positioning device for eyeglasses having bifocal lenses
CN1071518A (zh) 写读保健眼镜
KR20050061252A (ko) 광학 장치
US6224206B1 (en) Fashion eyeglasses and sunglasses
KR101822649B1 (ko) 2 방향 시야확보가 가능한 안경
CN216561259U (zh) 组合式多功能儿童眼镜
TWI779789B (zh) 具擴增實境之光學系統
KR200303313Y1 (ko) 후방주시가 가능한 안경
KR200310430Y1 (ko) 높이 조절 안경
JPH1096865A (ja) 仰伏角用正立像ミラー
KR200273627Y1 (ko) 장애자용 시각변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