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726A -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 방법 - Google Patents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726A
KR20010016726A KR1019990031777A KR19990031777A KR20010016726A KR 20010016726 A KR20010016726 A KR 20010016726A KR 1019990031777 A KR1019990031777 A KR 1019990031777A KR 19990031777 A KR19990031777 A KR 19990031777A KR 20010016726 A KR20010016726 A KR 20010016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tension
binding
con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0339B1 (ko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이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훈 filed Critical 이창훈
Priority to KR10-1999-0031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339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2D5/765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공법에 관한 것으로, 내주면 상측부에 분리 걸림벽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분리 걸림벽의 중간부에 중앙통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외통공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통공의 내주면 상측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실린더와, 상기 외통공의 상측부에 삽입되어 인장재를 체결하는 복수개의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과, 상기 실린더의 중앙통공에 삽입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 상측에는 테이퍼형 삽입부가 형성되며 내부 하측에는 안내부가 형성되는 중심재와, 상기 중심재의 테이퍼형 삽입부에 삽입되고 인장재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인장재 삽입공이 구비되는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과 인장재 결속콘에서 인장재를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 멈춤재, 상기 실린더의 하부를 형성하며 인장재의 통로를 만들어주고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 멈춤재가 위치할 턱을 형성하는 실린더 베이스, 상기 실린더 베이스의 방수링 얹힘턱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모르타르 등이 실린더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방수링, 그리고 실린더 베이스의 하부에 위치해 인장재의 통로를 만들어주고 외부로부터 수분, 모르타르 등이 실린더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하덮개와, 상기 하덮개의 테이퍼형 삽입부에 삽입되어 인장재피복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방수링을 압착하는 인장재피복 결속콘,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결속콘의 축방향 이탈을 막아주는 상덮개가 있고, 실린더의 상부에서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수분, 모르타르 등을 막아주는 캡, 그리고 실린더 베이스 및 하덮개와 결합되어 인장력을 지반에 전달하는 내하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인장재 해체방법은 인장재 해체공정시 앵커해체용 인장재의 인발력에 의해 중심재가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이기고 걸림턱을 파단시키며 제 자리에서 이탈하는 걸림턱 파단과정과, 중심재의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이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 멈춤재와 접촉된 후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으로 부터 인장재가 분리되는 인장재 분리과정을 행하여 인장재를 해체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해체 가능한 앵커체는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조립 후에 주변 몰타르와 상관 없이 결속콘의 해체로 인장재를 완벽하게 지상으로 발출 가능하게 하고, 정확한 인장력의 제공으로 공사 안정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인장재 해체공정시 앵커해체용 인장재의 인발력에 의해 중심재를 지탱하던 걸림턱이 파단되고, 중심재의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이 결속콘 멈춤재에 접촉된 후 인장재가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으로 부터 분리되는 매우 단순한 동작으로 인장재가 발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되며, 종래 중심재를 파단 절개시켜 인장재를 분리한 것에 비하여 매우 적은 인발력으로 발출시킬 수 있으므로 인발장치도 간소화되는 이점이 있을 뿐아니라, 인장재 해체시 인장재들이 순간적으로 급하게 뽑히지 않고 결속콘 및 중심재로 부터 서서히 이탈되면서 뽑히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요 부품의 숫자를 줄일 수 있어 제조도 매우 간편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 방법{REMOVABLE GROUND ANCHORAGE AND METHOD DISASSEMBLING TENSILE MEMBERES}
본 발명은 건축, 토목 구조물 공사에서 지하연속벽의 건설시에 앵커공법 시공후 지하에 타설된 가설앵커를 공사 완료 후에 용이하게 해체하여 제거할 수 있는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구지반앵커는 지하수 침출지, 경사지, 지진 발생지 등에 건축물이나 탑시공시 구축물의 이동이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앵커이고, 공사완료후 제거하는 지하 고정구조물로는 가설지반앵커가 있는 바, 본 발명은 가설지반앵커에 관한 것이다.
고층건물, 지하철 기타 대형구조물의 지하구조물을 건설함에 있어서, 지하로 깊이를 더해가면서 주변에 H 빔을 수직으로 고정하고 대형의 괴목을 이용하여 토류벽 또는 지수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에 횡으로 설치된 횡판류가 받는 주위의 토압은 지하로 들어감에 따라 수백톤에 이르는 압력을 받게 되며, 결국 토류벽 등이 압력을 견딜 수 없어서 붕괴되는 대형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토류벽의 붕괴를 막기 위해 대형의 H 빔을 이용하여 굴착한 지하공간에 양편의 토류벽을 가로, 세로로 연결하는 복잡한 구조의 강제 지보공을 설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강재 지보공은 격자로 설치된 강제 비임의 구조물들로 인하여 공사 장비의 원활한 시공의 장애요인이 되어서 작업 능률의 저하와 공사기간의 연장, 공사비용의 상승, 막대한 철재 낭비 등의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시공법인 지하연속벽 시공법은 벽체의 표면이 불규칙하고 표면의 다듬질이 필요한 단점이 있고 이 경우에 소음과 분진 등의 공해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앵커공법에 의한 연속벽의 시공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미국특허 제4,592,178호는 복수의 날개형아암을 피봇팅되게 하여 굴삭공내의 암이 펼쳐져 앵커기능을 갖게 하며, 미합중국특허 제4,832,535호에서는 앵커기능을 갖는 공법도 제공되고 있으나, 형성된 앵커용 인장재는 그대로 잔류하므로 공사 완료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될 수 있는 것이다.
일본특허 공고 평3-77891호와 평2-5206호에서 제공하는 제거식 앵커는 중앙에 분리제거 가능한 심재를 굴삭공내로 박고 그 주위에 다양한 형태의 인장재 체결 구조물을 스페이서를 매개로 일체화하여 앵커링한 다음 중앙의 심재를 제거하면 스페이서와 인장체결구조물간의 체결구조가 파괴되어 인장재를 인발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중앙심재를 중심으로 스페이서 및 인장재 체결구조물 간의 결합을 강하게 유지할 수 없으므로 설치후 자연적으로 해체되어 기능이 상실되고 있으며, 일본국 특공 평3-77891호는 테이퍼콘부를 갖는 심재와, 그 주위에 위치하여 선단이 테이퍼콘부의 긴장재홈에 끼워맞춰 주도록 하는 긴장재, 그리고 이들 테이퍼콘부의 각편 사이에 위치하는 공동재로 구성되어 있어 테이퍼콘부를 앵커의 전길이에 걸쳐 당겨올림으로써 긴장재는 전장에 걸쳐 공동공내에 압출되어져 그라우트재의 구속으로부터 해방되어 앵커제거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본국특공 평2-5206호는 언본드타입의 심재, 심재주위에 위치하여 심재가 제거되는 경우 분해하도록 복수의 코아에 의하여 되는 스페이서, 심재와 스페이서 외주에 위치하도록 한 긴장재로 구성된 것으로서 심재를 제거하면 스페이서가 붕괴되어 이것에 결합되어 있던 긴장재가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같은 경우에 스페이서 등에 일측벽만 긴장재가 부착되어져 있어 횡토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긴장재를 인발하기에 부족하며, 굴삭공내에 이들 앵커체를 내삽하기 위하여 앵커체를 조립하더라도 이들의 조립형태를 유지한 채 굴삭공 내로 삽입고정하는 과정이 여의치 아니함은 물론 주변의 몰타르와 접착되어 일체화되므로 잘 분리되지 아니하여 실제 시공현장에서 적용되지 못하는 이론적 고안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중앙에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을 원추형 중심재의 중앙에 배치하고, 그 외주면을 따라 스페이서들을 배치한 다음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을 빈틈 없이 배열하여 일체화한 해체 가능한 앵커체를 개발하여 국내 특허출원 제93-7,616호, 제97-36,215호, 제98-18038, 제98-30293호에 선출원한 바 있다. 이러한 앵커체는 중앙의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만 제거시켜주면 앵커긴장용 인장재의 긴장력에 의하여 스페이서가 내부로 무너져 내려 지지구조가 해체되므로 주변의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을 진동 또는 인장시켜 주어 결속콘의 체결력이 해제되어 인장재를 지상에서 용이하게 인발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출원 발명도 앵커체의 구조상 크기를 작게 하는데 한계가 있게 되며 또한 부품수의 증대로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건축, 토목 구조물 공사에서 지하연속벽의 건설시에 앵커공법 시공후 지하에 타설된 가설앵커를 공사 완료후에 간단 용이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해체하여 제거할 수 있는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8는 본발명의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공법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 앵커체가 설치된 단면구조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앵커체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앵커체에 내하체가 결합된 형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앵커체.
도 5는 본 발명 앵커체의 인장재 결속콘.
도 6은 본 발명 앵커체의 인장재피복 결속콘.
도 7a,b는 본 발명 앵커체의 해체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앵커체의 변형예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린더 11 : 중앙통공
12 : 외통공 13 : 테이퍼형 삽입부
14 : 상측 분리걸림벽 15 : 걸림턱
16 : 실린더베이스 17 : 내하체 결합부
18 : 방수링 얹힘턱 19 : 실린더 상단면
20 : 인장재 결속콘 20a :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
20b :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 21 : 탄성링
22a,22b,22c : 단조각 23 : 요철부
24 : 절결부 25 : 인장재피복 결속콘
25a : 앵커해체용 인장재피복 결속콘
25b : 앵커긴장용 인장재피복 결속콘
26 : 탄성링 27a,27b,27c : 단조각
28 : 요철부 29 : 절결부
30 : 중심재 31 : 안내부
32 :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 삽입부
33 :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 삽입부
37 :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 멈춤재
38 : 결속콘 멈춤턱 39 : 인장재 안내공
40 : 방수링 50 : 하덮개
51a,b : 테이퍼형 삽입부 51 : 내하체 결합부
52a,53a : 볼트공 52b,53b : 볼트
60 : 상덮개 61a,61b : 인장재 안내공
62 : 볼트공 70 : 캡
80 : 내하체 81 : 구멍
U : 인장재 피복 W : 앵커긴장용 인장재
W' : 앵커해체용 인장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는, 중앙에 통공이 구비되며 상단부에 캡이 결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중앙통공에 삽입되는 중심재와, 상기 중심재의 내부에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앵커해체용 결속콘 삽입부와, 상기 중심재의 외주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테이퍼형상의 앵커긴장용 결속콘 삽입부와, 상기 각각의 결속콘 삽입부에 삽입되며 절개안내부를 따라 외력에 의해 분리되도록 복수개의 단위 요소를 구성요소로 하는 앵커해체용 및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과, 상기 각각의 결속콘에 삽입되는 앵커해체용 인장재 및 앵커긴장용 인장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재의 하단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중앙 통공에 형성되며 상기 앵커해체용 인장재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실린더로부터 분리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각각의 결속콘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결속콘의 슬라이딩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각각의 결속콘이 대응되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정지되면서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앵커긴장용 결속콘 삽입부는 상기 중심재의 외주면과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중심재의 이탈시 상기 앵커긴장용 결속콘이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린더의 하측부에 앵커 저항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내하체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하체는 쐐기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하체는 원통형 주벽에 내,외부에 채워지는 모르타르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구멍 또는/및 마찰 저항을 높이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인장재 해체방법은, 인장재 해체공정시 앵커해체용 인장재의 인발력에 의해 중심재가 걸림턱을 파단시키는 걸림턱 파단과정과, 이탈된 중심재의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을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 멈춤재에 접촉시켜 중심재의 이동을 저지하고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으로부터 인장재를 뽑아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4에서 10은 실린더, 11은 실린더(10)의 중심선 상에 형성되는 중앙통공, 12는 중앙통공(11)의 주위에 형성되는 외통공, 13은 실린더(10)의 테이퍼형 삽입부, 14는 실린더(10)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상측 분리걸림벽, 15는 실린더(10)의 중앙통공(11)의 내주면 상측부에 형성되는 걸림턱, 16은 실린더의 하측부를 형성하는 실린더 베이스를 각각 보인 것으로, 예컨데 상기 실린더(10)는 아랫면이 상기 실린더 베이스(16)에 의해 닫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측 분리 걸림벽(14)의 중앙부에 중앙통공(11)이 형성되고, 중앙통공(11)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외통공(12)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20a는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 20b는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을 보인 것으로, 이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20a)과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20b)은 각각 앵커해체용 인장재(W)와 앵커긴장용 인장재(W')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실린더(10)의 상측부에는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20a)들이 끼워질 수 있는 테이퍼형 삽입부(13)가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20b)의 숫자 만큼 형성되고, 중앙통공(11)에는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0)의 중앙통공(11)에는 중심재(30)가 삽입되고, 중심재(30)의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 삽입부(32)에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20a)이 삽입되며, 그 주위로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 삽입부(33)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테이퍼형 삽입부(13)와 짝을 이뤄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20b)들이 끼워질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실린더 베이스(16)는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중심재(30)의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20a)에서 앵커해체용 인장재(W')를 분리시키기 위한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 멈춤재(37)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으로 내하체(80)를 부착할 수 있는 내하체 결합부(17)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인장재(W,W')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인장재(W,W')의 숫자와 동일하게 형성된 인장재 통공의 하측면에는 방수링(40)을 삽입하여 인장재 피복(U) 및 인장재(W,W')를 압착하여 외부로부터 모르타르,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링 얹힘턱(18)을 가진다.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20a)과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20b)은 꼭지가 없는 중공 원추형으로 내부 중공의 주면에는 요철부(23)가 형성되고, 지름이 넓은 상측부의 외주면에는 링홈이 형성되어 탄성링(21)이 이 링홈에 삽입됨으로써 다분할된 결속 단조각(22a),(22b),(22c)들이 절결부(24)를 맞대고 일체화되어 원추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인장재 결속콘(20a),(20b) 들은 그 크기와 폭 등이 서로 동일한 것이 생산과 사용면에서 능률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크기를 서로 달리하여 강도와 조립성의 변화를 줄 수 있으나, 탄성링(21)은 다분할체를 서로 일체화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없다.
상기 실린더(10)의 중앙통공(11)의 내주면 상측부에 형성된 걸림턱(15)은 중앙통공(11)의 상측부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중앙통공(11)의 내주면 상측부에 홈을 형성하고 이에 스냅링과 같은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수링(40)은 중공 원형의 링으로 고무 등의 연질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압착하면 그 형상이 변하면서 인장재피복(U)과의 빈틈을 메워서 방수를 실시하는 것으로 통상의 방수용 고무링을 이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37은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 멈춤재를 보인 것으로 중앙에는 앵커해체용 인장재(W')가 통과할 수 있는 인장재 안내공(39)이 있으며, 그 상측부는 결속콘 멈춤턱(38)을 형성하여 앵커 해체시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20a)의 하단부가 충돌할 수 있도록 형성된 중공의 부재이다.
도면에서 50은 하덮개를 보인 것으로 외주면에 내하체를 체결할 수 있는 내하체 결합부(51)가 있으며, 다수개의 인장재 안내공이(3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장재 안내공(39)에는 앵커해체용 인장재피복 결속콘(25a) 및 앵커긴장용 인장재피복 결속콘(25b)가 키워질 수 있도록하는 테이퍼형 삽입부(51a,b)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앵커해체용 인장재피복 결속콘(25a) 및 앵커긴장용 인장재피복 결속콘(25b)은 꼭지가 없는 중공 원추형으로 내부 중공의 주면에는 요철부(28)가 형성되고, 지름이 넓은 부분의 외주면에는 링홈이 형성되어 탄성링(26)이 이 링홈에 삽입됨으로써 다분할된 결속 단조각(27a),(27b),(27c)들이 절결부(29)를 맞대고 일체화되어 원추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인장재피복 결속콘(25a),(25b) 들은 단조각의 숫자 및 크기와 폭 등이 서로 동일한 것이 생산과 사용면에서 능률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크기를 서로 달리하여 강도와 조립성의 변화를 줄 수 있으나, 탄성링(21)은 다분할체를 서로 일체화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없다.
상기 하덮개(50)는 실린더 베이스(16)에 형성된 2 이상의 볼트공(52a)에 볼트(52b)로 체결되며, 상기 실린더 베이스(16)와 결합시 기 삽입된 인장재(W,W')의 인장재피복(U) 외주면에 채워지는 인장재피복 결속콘(25a)(25b)을 압착하여 상기 방수링(40)을 강제로 변형을 시켜서 방수링(40)이 인장재피복(U)과의 틈을 메워 방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압착된 인장재피복 결속콘(25a)(25b)들이 그 내주면에 형성된 요철부(28)를 이용하여 인장재피복(U)을 압착하여 결속하도록 한다.
상기 인장재(W),(W')는 통상 와이어, 또는 PC강선, 기타 가설지반앵커에 사용되는 인장재로, 인장재 결속콘(20a),(20b)의 내부에 끼워져 조립될 때에 인장재 결속콘(20a),(20b) 내주면에 형성된 요철부(23)가 강선 표면에 조여들어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0)의 상단부에는 상덮개(60)가 체결되고, 실린더(10)의 상단부에는 캡(70)이 체결되어 있다. 상기 상덮개(60)는 실린더(10)의 상단면(19)에 형성된 2 이상 볼트공(53a)에 볼트(53b)로 체결되며, 상기 인장재(W),(W')들의 직경 보다 약간 큰 직경의 안내공(61a,61b)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70)은 내부에 인장재(W),(W')들이 충분히 유동할 수 있는 정도의 공간부(71)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10) 상부의 외주면에 공지의 뚜껑을 결합하는 방식에 의해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마찰재의 링를 부착하여 캡(70)을 실린더(10) 상부의 외주면에 체결할 수도 있다. 즉, 캡(70)의 내주면과 실린더(10)의 외주면에 링홈을 형성하고, 이 홈내에 마찰 특성이 우수한 링을 끼워준 다음 캡(70)과 실린더(10)를 공지의 뚜껑을 결합하는 방식에 의하여 체결할 수 있다.
도면에서 80은 내하체를 보인 것으로 상기 실린더베이스(16) 또는 상기 하덮개(50)의 내하체 결합부(17,51)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내하체(80)는 원통 형태가 좋으며, 주위의 면은 거친 상태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원통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내하체(80)의 내외부에 채워지는 모르타르가 하나가 될 수 있도록 내하체(80) 주벽에 구멍(81)을 내줄 수도 있다. 이 구멍(81)은 내하체(8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골고루 형성한다. 내하체(80)로는 금속제,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의 여러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내하체(80)를 원통으로 하되 내하체(80)의 외주면에 돌출부(82)를 부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예로는 내하체(80)를 적당한 굵기의 스프링을 다수개 배치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 앵커체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필요한 앵커긴장용 인장재(W)의 숫자에 따라 본 발명 앵커체의 형상을 달리 할 수 있음을 예로 보여주고 있다.
한편, 국내 특허공보 제87-1862호에는 확경자재의 제1 링부재, 이 제1 링부재의 내측에 1개 또는 2개 이상 배치되는 제2 링부재, 이 제2 링부재의 내벽에 연하여 길이 방향으로 습동하고, 제2 링부재를 제1 링부재의 내벽에 연하여 길이 방향으로 습동시키는 동시에 제1 및 제2의 링부재를 확경시키는 앵커헤드, 그리고 이 앵커헤드에 고착된 인장재로 구성된 어스앵커(earth anchor)가 알려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어스앵커는 동체의 일단부를 동부(胴部)로 하고 동체의 길이방향으로 홈을 요설하여 각부(脚部)를 형성함과 아울러 말단부에 테이퍼부를 형성하며 동부와 각부의 경계 부근에 절결부를 형성한 외부링(제1 링부재), 동체의 일단부를 동부로 하고 동체의 길이방향으로 홈을 요설하여 각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동부와 각부의 경계 부근에 절결부를 형성하고 선단부와 말단부에 테이퍼부를 형성한 슬라이더링(제2 링부재), 선단부에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가 형성된 앵커헤드, 및 이 앵커헤드에 고착된 인장재로 구성되어 되어 있다.
또한, 외부링의 내측에 슬라이더링을 삽입하고, 슬라이더링의 내측에 앵커헤드를 삽입하여 직선상으로 연결 배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외부링의 내벽은 슬라이더링의 외주면에 설한 가이드에 그리고 슬라이더링의 내벽은 앵커헤드의 외주면에 설한 가이드에 각각 감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외부링, 슬라이더링 및 앵커헤드의 각각의 위치 맞춤이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어스앵커를 지반에 형성한 삭공에 설치하면 앵커의 인력에 의해 쐐기력이 발생하여 앵커의 정착력이 크게 증대된다.
본 발명의 해체 가능한 앵커체도 상기한 바와 같은 외부링 및 슬라이더링(쐐기형 내하체)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쐐기형 내하체가 앵커체와 서로 적합하게 조립되도록 치수 및 형상을 변경하여 적용할수도 있다.
이하, 이상의 구조적 특징에 기초한 가설지반앵커 설치와 해체의 과정을 공정별로 설명한다.
1. 앵커체 조립공정
도 3에서와 같이, 실린더(10)의 중앙통공(11) 내주면에 일체형의 걸림턱(15) 대신에 홈을 형성한 경우에는 홈에 맞는 스냅링을 끼운다. 이어서 중심재(30)의 내부로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20a)을 삽입한 후에,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20a)이 삽입된 중심재(30)를 실린더(10)의 중앙통공(11)을 통해 걸림턱(15)에 얹혀 놓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방사상으로 배치된 외통공(12)의 상부에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20b)의 삽입공간이 형성됨으로 이 공간에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20b)들을 삽입한다. 이어 상덮개(60)를 볼트(53b)를 이용하여 다소 느슨하게 체결한다. 이때 상덮개(60)에 형성된 인장재 안내공(61a,61b)들의 중심점은 상기 조립된 결속콘(20a)(20b)의 중심점들과 같은 축에 있게되어, 각 결속콘(20a),(20b)에 인장재(W),(W')들이 결속되는 경우 이 인장재(W),(W')들이 상덮개(60)의 안내공(61a,61b)을 통과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덮개(60)를 실린더(10)에 체결한 다음에는 상단부에는 일정 길이 만큼 피복재를 제거한 인장재(W),(W')들에 하덮개(50), 인장재피복 결속콘(25a)(25b), 방수링(40)을 차례로 끼운 다음 다시 인장재(W),(W')들을 실린더 베이스(16)에 형성된 외통공(12) 및 중앙통공(11)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외통공(12) 및 중앙통공(11)을 지난 인장재들이 결속콘(20a),(20b)의 밑으로부터 위로 끼워진 다음에 다시 상덮개(60)의 인장재 안내공(61a,b)을 통해 인장재(W),(W')의 일부가 상덮개(60)의 윗부분으로 노출될 때까지 실린더(10)의 밑으로부터 밀어 넣어준다. 모든 인장재(W),(W')들이 상덮개(60)의 인장재 안내공(61a,61b) 위로 노출된 다음에는, 상덮개(60)를 볼트(53b)를 더욱 강하게 조여서 실린더(10)에 밀착을 시킨 다음 유압실린더을 이용한 압축기를 이용하여 상덥개(60)를 강하게 압착하여 결속콘(20a)(20b)과 인장재(W),(W')들은 더욱 강하게 체결이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덮개(60)를 볼트(53b)를 더욱 강하게 조여서 실린더(10)에 밀착을 시킨 후에 캡(70)을 씌워준다.
위와 같은 과정을 마친 다음에는 인장재(W),(W')들에 끼워진 방수링(40)을 방수링 얹힘턱(18)에 밀어 넣고, 인장재피복 결속콘(25a)(25b)들을 하덮개(50)에 형성된 테이퍼형 삽입부(51a)(51b)에 밀어 넣은 다음 볼트(52b)를 강하게 조여 하덮개(50)를 실린더베이스(16)에 체결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마친 다음에는 필요에 따라 내하체(80)를 하덮개(50) 및 실린더 베이스(16)와 조립한다. 그리고는 내하체(80) 너머로 길게 이어진 인장재(W),(W')들이 서로 엉커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간격재를 배치한다. 이후에 필요한 과정은 통상의 앵커공법의 예를 따른다.
2. 삽입 및 정착공정
지중에 앵커공을 삭공하고 케이싱을 삽입한다. 그리고는 상기 조립된 앵커체를 앵커공내로 삽입한다. 이때 시스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모르타르, 시멘트밀크 등의 고결재를 이용하여 통상의 그라우팅 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고결재가 고결되지 않을 때 케이싱을 뽑아내면서 모르타르 및 시멘트밀크 등의 고결재를 고압으로 주입한다. 고결재가 경화한 후에는 굴삭공의 밖으로 노출된 앵커 긴장용 인장재(W)를 인장기를 이용하여 긴장하여 정착한다.
3. 앵커해체공정
상기 중심재(30) 내부에 삽입된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20a)에서 나온 앵커해체용 인장재(W')를 인장기를 이용하여 강하게 당겨주면 도 7a와 같이 실린더(10)의 중앙통공(11)에 형성된 걸림턱(15)이 중심재(30)의 강한 압력으로 파괴되어 하측으로 떨어지면서 중심재(30)와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20a) 및 그에 물린 앵커해체용 인장재(W')가 위치에서 이탈되게 되고, 이 순간 긴장되어 있던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20b)들이 저항력을 제공하던 중심재(30)의 이탈에 따라 중심재(30)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있던 결속콘의 단조각(22a),(22b),(22c)들이 중앙쪽으로 쏠려 안정된 구조가 무너지게 된다.
그리고, 도 7b와 같이 중심재(30)에 삽입된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20a)의 하단부가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멈춤재(37)의 결속콘 멈춤턱(38)과 맞닫게 되면 중심재(30)는 더 이상 진전을 못하게 되며 이때 도 7a, 7b와 같이 실린더 베이스(16)와 중심재(30)의 하단부는 일정한 간격이 생긴다. 이 상태에서 앵커해체용 인장재(W')를 계속하여 인장하게 되면 앵커해체용 인장재(W')는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20a)으로부터 천천히 미끄러지며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앵커긴장용 인장재(W)를 인장하면 도 7b와 같이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20b)들이 실린더(10)의 상측 분리걸림벽(14)에 걸려서 기능을 잃게되어 벌려지게 된다. 이때 인장을 계속하여 인장재(W),(W')들을 앵커공 밖으로 뽑아내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해체 가능한 앵커체는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조립 후에 주변 모르타르와 상관 없이 결속콘의 해체로 인장재를 완벽하게 지상으로 발출 가능하게 하고, 정확한 인장력의 제공으로 공사 안정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인장재 해체공정시 앵커해체용 인장재의 인발력에 의해 중심재를 지탱하던 걸림턱이 파단되고, 중심재의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이 결속콘 멈춤재에 접촉된 후 인장재가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으로 부터 분리되는 매우 단순한 동작으로 인장재가 발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되며, 종래 중심재를 파단 절개시켜 인장재를 분리한 것에 비하여 매우 적은 인발력으로 발출시킬 수 있으므로 인발장치도 간소화되는 이점이 있을 뿐아니라, 인장재 해체시 인장재들이 순간적으로 급하게 뽑히지 않고 결속콘 및 중심재로 부터 서서히 이탈되면서 뽑히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요 부품의 숫자를 줄일 수 있어 제조도 매우 간편 용이한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가지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중앙에 통공이 구비되며 상단부에 캡이 결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중앙통공에 삽입되는 중심재와, 상기 중심재의 내부에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앵커해체용 결속콘 삽입부와, 상기 중심재의 외주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테이퍼형상의 앵커긴장용 결속콘 삽입부와, 상기 각각의 결속콘 삽입부에 삽입되며 절개안내부를 따라 외력에 의해 분리되도록 복수개의 단위 요소를 구성요소로 하는 앵커해체용 및 앵커긴장용 인장재 결속콘과, 상기 각각의 결속콘에 삽입되는 앵커해체용 인장재 및 앵커긴장용 인장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재의 하단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중앙 통공에 형성되며 상기 앵커해체용 인장재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실린더로부터 분리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각각의 결속콘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결속콘의 슬라이딩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각각의 결속콘이 대응되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정지되면서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긴장용 결속콘 삽입부는 상기 중심재의 외주면과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중심재의 이탈시 상기 앵커긴장용 결속콘이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하측부에 앵커 저항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내하체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하체는 쐐기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하체는 원통형 주벽에 내,외부에 채워지는 모르타르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구멍 또는/및 마찰 저항을 높이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6. 인장재 해체공정시 앵커해체용 인장재의 인발력에 의해 중심재가 걸림턱을 파단시키는 걸림턱 파단과정과, 이탈된 중심재의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을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 멈춤재에 접촉시켜 중심재의 이동을 저지하고 앵커해체용 인장재 결속콘으로부터 인장재를 뽑아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해체공법.
KR10-1999-0031777A 1999-08-03 1999-08-03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 방법 KR100370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777A KR100370339B1 (ko) 1999-08-03 1999-08-03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777A KR100370339B1 (ko) 1999-08-03 1999-08-03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726A true KR20010016726A (ko) 2001-03-05
KR100370339B1 KR100370339B1 (ko) 2003-01-29

Family

ID=19606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777A KR100370339B1 (ko) 1999-08-03 1999-08-03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3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899A (ko) * 2000-12-11 2002-06-20 창 훈 이 해체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공법
KR100377633B1 (ko) * 2001-02-22 2003-03-29 신종덕 측벽붕괴방지 앵커 강선 제거방법과 그 앵커구조
KR100663126B1 (ko) * 2005-11-04 2007-01-02 심석래 측벽붕괴방지 앵커설치용 유턴형 헤드내하체
KR100819536B1 (ko) * 2007-02-02 2008-04-08 희 봉 김 영구형 앵커
KR100819538B1 (ko) * 2007-02-02 2008-04-08 희 봉 김 영구형 앵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899A (ko) * 2000-12-11 2002-06-20 창 훈 이 해체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공법
KR100377633B1 (ko) * 2001-02-22 2003-03-29 신종덕 측벽붕괴방지 앵커 강선 제거방법과 그 앵커구조
KR100663126B1 (ko) * 2005-11-04 2007-01-02 심석래 측벽붕괴방지 앵커설치용 유턴형 헤드내하체
KR100819536B1 (ko) * 2007-02-02 2008-04-08 희 봉 김 영구형 앵커
KR100819538B1 (ko) * 2007-02-02 2008-04-08 희 봉 김 영구형 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0339B1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5381B2 (ja) 定着装置を構築する方法、部材および鉄筋
JP2867075B2 (ja) 除去可能な地盤アンカー及びそれを用いた地盤アンカー施工法
KR101360731B1 (ko) 확장형 날개가 장착된 내하체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시공방법
KR100284670B1 (ko)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공법
KR100488118B1 (ko) 압축확장 지압형 어스앵커 정착체
KR100457406B1 (ko) 그라운드 앵커
KR100463269B1 (ko) 인장재 해체 가능 정착장치 및 인장재 제거방법
KR100370339B1 (ko)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 방법
KR100680113B1 (ko) 도로 및 단지의 사면보강 쐐기식 지압형 앵커
JP2645888B2 (ja) 地中アンカー設置方法
KR100862387B1 (ko)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을 위한 긴장용 키트와이를 이용한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 방법
KR100295467B1 (ko)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공법
KR100483011B1 (ko) 앵커공법용 인장재의 체결 및 해체장치
KR101853185B1 (ko) 주면마찰력 향상을 위한 말뚝 그라우팅 장치
KR200188101Y1 (ko) 그라운드 앵커
KR100799328B1 (ko) 제거식 네일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강철근 회수공법
KR20090019189A (ko) 확장형 앵커
JP2002515558A (ja) 仮設地盤アンカー体及び引張ワイヤーの解体工法
KR101951684B1 (ko) 확장형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KR100413550B1 (ko) 제거형 앵커정착장치
KR100394542B1 (ko) 그라운드 앵커
KR200443047Y1 (ko) 그라운드 앵커용 앵커체
KR101604581B1 (ko) 강선 고정구 및 강선 고정구의 결합방법
DE19626828C2 (de) Verfahren zur Erstellung eines rückbaubaren Verpreßankers mit einem Verpreßkörper und einem oder mehreren angeschlossenen Zuggliedern
KR102255360B1 (ko) 프리스트레스 강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식 추진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