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267A - 이동통신시스템의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통신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의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통신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267A
KR20010015267A KR1020000039406A KR20000039406A KR20010015267A KR 20010015267 A KR20010015267 A KR 20010015267A KR 1020000039406 A KR1020000039406 A KR 1020000039406A KR 20000039406 A KR20000039406 A KR 20000039406A KR 20010015267 A KR20010015267 A KR 20010015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edicated
message
common channel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716B1 (ko
Inventor
구창회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39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71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04W52/58Format of the TPC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기지국이 역방향공통채널을 통해 응답을 받아야 하는 메시지 발생시, 응답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는 과정과, 기지국은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채널로 지정한 후,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표시 및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전용채널 지정 파라미터를 생성한 후 메시지와 함께 전송하는 과정과, 기지국은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응답메세지를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공통채널 전용화 메시지를 전송한다.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이동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순방향 공통채널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된 순방향 공통채널의 메시지를 분석하며, 메시지에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한 전용화 표시, 및 전용화 채널로 동작하는 시간 등을 포함하는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이 포함되어 있을 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모드를 지정하고 수신된 메시지의 응답메세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역방향 공통채널에 이동국의 전용 채널확산부호를 할당하여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며, 동작시간에서 생성된 응답 메세지를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이동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여 메시지를 전송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의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통신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ATING A REVERSE COMMON CHANNEL FOR DEDICATED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역방향 공통채널 통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역방향 공통채널을 특정 이동국에 전용화된 채널로 지정하여 통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CDMA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나, 점차 음성뿐만 아니라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IMT-2000 규격으로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IMT-2000 규격에서는 고품질의 음성, 동화상, 인터넷 검색 등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데이타 통신의 특성은 전용채널(dedicated channel)과 공통채널(common channel)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전용채널과 공통채널들은 역방향(reverse link)과 순방향(forward link)에 모두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통채널은 기지국이 여러 이동국들과 공통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채널이며, 따라서 여러 이동국들이 동시에 통신을 시도하면 충돌이 발생되어 원활한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이런 공통채널의 문제점은 역방향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더 큰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전용채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과 이동국이 독립적으로 할당된 전용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게 되므로, 채널간의 충돌에 의한 전송의 실패확률이 없으며, 기지국 또는 이동국이 전송한 메시지의 전송성공확률이 매우 높다. 그러나 상기 공통채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전송 성공확률이 낮으며, 이렇게 낮은 전송성공 확률에 때문에 이동국이 기지국에 접근을 시도하기 위하여 재전송 엑세스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재전송 과정을 빈번하게 수행하게되어 자원의 낭비 및 채널상호간의 간섭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이 공통채널을 통해 통신을 할 시 공통채널의 전송성능을 높일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특정 이동국의 공통채널을 전용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한 확산부호와 공통전력제어채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메세지를 전송하고, 이동국이 제어메세지에 따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를 지정된 확산부호에 의해 송신하므로써,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여 통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된 공통채널로 지정하기 위한 기지국의 신호계층에서 부가되는 메시지의 구성 및 계층 상호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 간에 전용 상태로 지정된 공통채널을 해제하기 위한 기지국의 신호계층에서 부가되는 메시지의 구성 및 계층 상호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 간에 공통채널을 전용화채널로 지정 및 해제하기 위한 이동국의 신호계층에서 부가되는 메시지의 구성 및 계층 상호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채널로 지정하기 위하여 기지국의 링크엑세스제어계층에서 부가되는 메시지의 구성 및 계층 상호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 간에 전용 상태로 지정된 공통채널을 해제하기 위하여 기지국의 링크엑세스제어계층에서 부가되는 메시지의 구성 및 계층 상호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 간에 공통채널을 전용화채널로 지정 및 해제하기 위하여 이동국의 링크엑세스제어 계층에서 부가되는 메시지의 구성 및 계층 상호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채널로 지정하기 위하여 기지국의 매체접근제어계층에서 부가되는 메시지의 구성 및 계층 상호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 간에 전용 상태로 지정된 공통채널을 해제하기 위하여 기지국의 매체접근제어계층에서 부가되는 메시지의 구성 및 계층 상호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 간에 공통채널을 전용화채널로 지정 및 해제하기 위하여 이동국의 매체접근제어계층에서 부가되는 메시지의 구성 및 계층 상호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상기 기지국이 역방향공통채널을 통해 응답을 받아야 하는 메시지 발생시, 상기 응답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은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채널로 지정한 후,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표시 및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전용채널 지정 파라미터를 생성한 후 상기 메시지와 함께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응답메세지를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공통채널 전용화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이동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상기 순방향 공통채널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순방향 공통채널의 메시지를 분석하며, 상기 메시지에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한 전용화 표시, 및 전용화 채널로 동작하는 시간 등을 포함하는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이 포함되어 있을 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모드를 지정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응답메세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에 이동국의 전용 채널확산부호를 할당하여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며, 상기 동작시간에서 생성된 응답 메세지를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이동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여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하는 장치가,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한 전용화 표시, 및 전용화 채널로 동작하는 시간 등을 포함하는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순방향 공통채널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기와, 상기 순방향 공통채널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순방향 공통채널 송신기와, 상기 순방향 공통채널 메시지 전송시 예약되고 ,상기 예약된 시간동안 상기 이동국의 전용 채널확산부호에 의해 할당되어 상기 이동국로부터 응답되는 메세지를 수신하는 역방향 공통채널 수신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이동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가, 상기 순방향 공통채널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순방향 공통채널 수신기와, 상기 수신된 순방향 공통채널의 메시지를 분석하며, 상기 메시지에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한 전용화 표시, 및 전용화 채널로 동작하는 시간 등을 포함하는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이 포함되어 있을 있을 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모드를 지정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응답메세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분석기와, 상기 전용화 모드 지정시 해당 이동국의 전용 채널확산부호로 전용화하며, 상기 동작시간에서 생성된 응답 메세지를 전송하는 역방향 공통채널 송신기로 구성됨을 특징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시키는 기본적인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신호 계층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위한 방식과 기지국의 메시지 송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계층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위한 방식과 기지국의 메시지 수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계층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시 이동국에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응답메시지를 전송할때 까지의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2와 같은 절차로 수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메시지 송신 처리 흐름도
도 6은 도 3과 같은 절차로 수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메시지 수신 처리 흐름도
도 7은 도 4와 같은 절차로 수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역방향 공통제어채널의 응답메세지 처리 흐름도
도 8a는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링크엑세스제어 계층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위한 방식과 기지국의 메시지 송신수순으로 신호계층에서 CE의 예약을 요구하는 경우
도 8b는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링크엑세스제어 계층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위한 방식과 기지국의 메시지 송신수순으로 링크엑세스제어계층에서 CE의 예약을 요구하는 경우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엑세스제어 계층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위한 방식과 기지국의 메시지 수신수순으로 신호계층에서 CE의 예약을 해제하는 경우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엑세스제어 계층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위한 방식과 기지국의 메시지 수신수순으로 링크엑세스계층에서 CE의 예약을 해제하는 경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시 이동국에서의 메시지의 수신 및 송신 수순.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의 매체접근제어 계층에서 공통채널을 전용화하는 전송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의 매체접근제어 계층에서 공통채널을 전용화하는 수신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국의 매체접근제어 계층에서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신호를 통신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CDMA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 간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신을 수행할 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역방향 공통채널의 억세스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지국과 특정 이동국 간에 역방향 공통채널을 한시적으로 전용화하여 사용한다. 즉, CDMA 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채널의 전송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공통채널을 전용화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공통채널을 전용화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본원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1998-14179호, 1998-13150, 1998-14274호, 1998-14275호, 1998-14276호, 1998-1488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통채널의 전용화 방법은 공통채널을 통해 기지국과 이동국이 통신을 시도할 시, 이동국이 기지국을 억세스하는 공통채널의 자원을 전용 또는 준전용으로 할당하므로써, 타 이동국들에서 발생하는 공통채널의 신호에 의해 특정 이동국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전송성공률을 높이는 방식이다.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의 신호 계층(Layer 3, signallin layer)에서 부가되는 메시지의 구성 및 계층 상호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내용과, 이동국에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때 구성되는 메시지의 구조 및 통신방법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의 링크엑세스제어 계층(Link Access Control Layer: LAC)에서 부가되는 메시지의 구성 및 계층 상호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내용과, 이동국에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때 구성되는 메시지의 구조 및 통신방법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의 매체접근제어 계층(Medium Access Control layer: MAC)에서 부가되는 메시지의 구성 및 계층 상호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내용과, 이동국에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때 구성되는 메시지의 구조 및 통신방법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의 신호계층(Layer 3)에서 부가되는 메시지의 구성 및 계층 상호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내용과, 이동국에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때 구성되는 메시지의 구조 및 통신방법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신호 계층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방식 이외에도 LAC 계층에서도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에는 신호계층에서 부가되는 메시지 필드가 LAC 계층에서 부가되면 프로토콜 계층 간의 인터페이스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 통신시스템의 역방향 공통 채널을 전용화 시키기 위한 방식 및 통신장치와 프로토콜 계층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기지국은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해서 확산부호를 나타내는 롱코드 정보와 공통전력제어 채널정보를 포함한 제어메세지를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에 전송되는 제어메세지에 대한 응답을 한다. 이런 경우 상기 기지국과 특정 이동국은 공통채널을 전용화 상태로 지정한 상태가 되며, 전용화된 공통채널을 채널을 통해 타 이동국들과 경쟁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역방향 공통채널이라함은 역방향엑세스채널(Reverse Access Channel, R-ACH), 역방향공통공통채 널(Reverse Common Control Channel, R-CCCH), 및 역방향개선엑세스채널(Reverse Enhanced Access Channel, R-EACH)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공통채널을 전용화하여 사용하면, 역방향 공통채널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에 있어서 빠른 응답시간을 보장하는 동시에 공통채널의 전송 성공확률을 증가시키며, 또한 재전송에 의하여 발생하는 채널상호간의 간섭 등을 줄일 수 있으며, LAC계층에서 부가되는 필드의 수를 감소시켜 메시지의 전송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및 이동국의 통신방법 및 구성도는 다음과 같다.
도 1에서는 이동국과 기지국에서 공통채널을 전용화하는 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은 기지국에서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이동국에 요구한 경우의 수행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으로 부터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메시지를 통해서 수신하게 된다.
상기 1을 참조하면, 기지국이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해서 101단계에서 순방향 공통채널(Forward common channel)을 통해 이동국에게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한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을 전송하는데, 상기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은 전용화채널 지시포함 필드(DESINGNATED_MODE_INCL), 전용화채널 지시자(DESIGNATED_MODE), 공통전력제어채널의 주소(DAM_ADDRESS : Designated Access Mode), 전송률(RATE_WORD) 및 작동시간(Action Time) 등을 포함한다. 이때 작동시간은 메시지에 부가되어 전송되거나 또는 시스템내부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Action Time이 메시지에 부가되어 전송되는 경우에는 공통채널을 전용화하는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또는 엑세스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공통채널을 전용화채널로 지정하여 특정 이동국과 통신하고자 할 때, 기지국이 전송하는 메시지에 상술한 5개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메시지 필드를 L3, LAC 또는 MAC 계층에서 포함시켜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이동국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세지를 분석한 후,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상기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이 포함되었음을 확인하면, 102단계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을 상기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에 따라 전용화하고, 상기 전용화한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서 상기 기지국에 응답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응답메시지는 기지국에서 전송한 메시지에 대한 이동국의 응답메시지거나 이동국의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 메시지일 수 도 있다. 이때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사용자 트래픽 데이터는 공통채널을 전용화한 후에 전송되므로 물리계층에서 제공하는 프레임의 길이보다 긴 메시지를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채널로 지정하여 사용할 때, 상기 이동국은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에 ESN(Electrical Serial Number) 마스크, 이동국 고유의 마스크(Private Long Code mask) 또는 기지국에서 스케쥴링을 수행하여 특정 이동국에 특정 시간동안 할당해 줄 수 있는 Schedulled R-CCCH (Reverse Common Control Channel)롱코드 마스크를 이용할 수 있다. Schedulled R-CCCH 마스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동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시 참조하는 공통전력채널의 주소를 이용하여 마스크를 구성한다.
상기 도 1에서와 같은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해서 기지국의 신호계층(Layer 3, Signaling layer)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을 설정을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통신절차와 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하기의 <표 1>은 기지국이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이동국에 전송하는 메시지들의 예이다.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메시지들은 기지국이 순방향 공통채널로 전송하면 이동국은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 반드시 응답하여야 하는 메시지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하기 <표 1>과 같은 메세지들을 송신할 때 상기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을 포함시켜 전송하고, 상기 메세지들을 수신하는 이동국은 상기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에 의해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한 후 대응되는 응답메세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Message Title on f-csch
Status Request Message
TMSI Assignment Message
General Page Message
SSD Update Message
Authentication challenge Message
Base Station confirmation Challenge Order
Extended Release Message
Service Redirection Message
Data Burst Message
Service Release Message
Order Message
상기 <표 1>에서 예를들면, 순방향 공통채널의 논리채널인 f-csch(forward Common signaling channel)로 상태 요구 메세지(Status Request Message)를 전송하면, 이동국은 역방향 링크의 공통채널의 논리채널인 r-csch(Reverse Common signaling Channel)을 통해서 상태 응답 메시지 (Status Response Message)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메세지들은 기존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역방향 공통채널로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성공 확률이 낮아지고, 이로인한 전송 실패에 의한 재전송에 의해서 다른 이동국의 통신과 간섭(interference)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제시하는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메시지들을 전송하면 전송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표 1>에서 나태낸 메시지 이외에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할때에도 약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표 1>과 같은 메시지들이 이동국에 전송될 때 하기 <표 2>와 같이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한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가 기지국의 L3, LAC 또는 MAC 계층에서 부가된다.
표 1의 L3 SDU 표 1의 L3 SDU length
DESIGNATED_MODE_INCL 1
DESIGNATED_MODE 0 or 1
DAM_ADDRESS 0 or 6
RATE_WORD 0 or 3
상기 <표 2>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작동시간(Action Time)은 상술한 < 표 1>과 같은 메시지에 의해서 부가되거나 또는 시스템 내부에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작동시간이 메시지에 부가되는 경우에는 신호계층에서 부가되거나 링크엑세스 계층에서 부가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 내부에서 설정될 때에는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공통채널을 통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때 소요되는 시간 즉, 전파지연시간, 메시지 처리시간 등을 고려하여 이동국으로 부터 메시지가 발신될 때의 시간을 예측하여 기지국에서 임의로 작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작동시간의 부가시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요구하는 메시지에 부가되거나 또는, 엑세스 파라미터 메시지에 부가될 수 있다. 엑세스 파라미터 메시지에 부가되는 경우에는 이동국이 시스템에 엑세스 할 때 수신하여 이동국이 작동시간을 이미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공통채널의 전용화 지시를 수신하였을 때 저장하고 있는 값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메시지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표 1>과 같은 메시지들에 추가되어야 할 상기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 필드는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4종류의 파라미터(또는 작동시간을 포함하는 5종류의 파라미터)들로써, 상기 이동국이 상기 <표 1>과 같은 메시지를 수신한 후 공통채널을 전용화하라는 지시를 인식하기 위한 전용화채널 지시 포함(DESIGNATED_MODE_INCL) 필드, 전용화 채널지시자(DESIGNATED_MODE)필드와, 공통채널을 전용화한 후 전송할 메시지의 전력을 제어할 때 참조해야할 공통전력제어채널의 인덱스인 공통전력제어채널의 주소(DAM_ADDRESS) 필드를 추가해야 한다. 또한, 상기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송률을 알려주는 전송율(RATE_WORD) 필드를 추가해야 한다. 또한, LAC 계층에서 상기의 메시지를 이동국에서 수신한 후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시점을 알려주기 위한 동작시간(Action Time) 필드가 추가되어야 한다. 상기의 두 필드들은 기지국이 이동국에게 알려주는 정보로서, 상기 기지국이 특정 메시지를 전송할 때 또는 이동국으로부터의 응답을 전용화된 공통채널로 요구할 때 기지국에서 부가하는 필드이다.
상기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해서는 특정 이동국에게 역방향 채널을 스프레딩 할때 특정 롱코드를 사용하도록 해야하고, 기지국은 특정 롱코드로 스프레딩된 역방향 채널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기지국의 채널 엘리먼트를 예약하고 있어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도 2에서 도 7까지는 기지국 및 이동국의 L3 계층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제1실시예의 도면들이며, 도 8a에서 도 10 까지는 기지국 및 이동국의 링크 억세스제어 계층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제2실시예의 도면들이며, 도 11에서 도 13 까지는 기지국 및 이동국의 매체접근제어 계층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한 동작절차를 도시하는 제3실시예의 도면들이다.
도 2는 기지국의 신호계층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는 정보를 부가하는 수행 절차를 나타낸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과정 201에서 계층 3(Layer 3)에서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전에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의 채널 엘리먼트의 예약을 요구한다. 즉, 신호계층 L3은 전송할 메세지 발생시 이동국으로부터 응답을 받아야 하는 메세지인 경우 상기 역방향 공용채널을 전용하기 위하여 전용모드 지정을 요구한다. 또한 이동국으로부터 수신을 요구하는 메세지 중 전용화를 허용하는 메세지인 경우에도 상기 역방향 공용채널을 전용하기 위하여 전용모드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국의 응답 메세지를 필요로 하는 기지국의 송신 메세지들은 상기 <표 1>과 같은 메세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여 응답메세지를 수신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의 L3계층은 채널 자원의 예약을 지시하는 모드신호(Designated_Mode)를 출력한다.
상기 계층 3에서 출력되는 채널 엘리먼트 예약요구를 RC(Resource controller)가 수신하면, 상기 RC는 과정 202에서 물리계층에 존재하는 채널 엘리먼트를 예약하도록 상기 물리계층에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채널 엘리먼트의 예약이 시작되는 시점을 알리는 동작시간을 함께 알려준다. 이때 상기 동작시간은 메시지에 의해 이동국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기지국 시스템 내부에서 임의로 설정될 수도 있다. (CE_Reserve. Request with action time).
이때 동작시간(Action time)은 순방향 공통채널로 메시지가 전송되고 이동국이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지국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게 되고, LAC(Link Access Control)에서 부가된다. 상기 LAC에서는 상기 동작 시간과 관련하여 USE_TIME 1비트와 ACTION_TIME 6비트를 부가한다. 또한 채널 엘리먼트의 예약시간도 함께 설정되어야 하는데, 이 시간(T_designated)은 설정된 시간 내에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에도 채널 엘리먼트를 계속 점유하여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상황을 막기 위하여 이용되고, 이 시간 설정도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한 메시지의 전송시간, 이동국의 메시지의 처리시간 및 기타 소모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CE reserve. Request with action time).
특히 도 2의 203 과정에서 설정되는 예약시간 타이머 T_designated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오류가 발생하여 이동국이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대비해서 필요한 타이머이다. 따라서 상기 설정된 동작 시간(Action time)에 채널 엘리먼트의 동작이 시작되고, 상기 예약시간 타이머 T-designated에 설정된 시간 동안 예약이 지속된다. 상기 기지국이 요구하는 메시지가 이 타이머가 파기될 때까지 도착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채널 엘리먼트의 예약을 해지하게 된다. 이는 임의 시간 이상 채널 엘리먼트가 예약되어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것을 막기위한 것으로써, T-designated 타이머의 값은 적절한 값으로 설정되어야만 한다.
그러면 물리계층은 과정 203에서 채널 엘리먼트의 예약사항을 RC로 알려준다. (CE_Reserve. Response). 이때 상기 채널 엘리먼트의 예약이 불가하면 불가신호를 발생하고, 예약이 완료되면 완료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예약이 불가하면 타이머의 값은 설정되지 않는다. (CE reserved at specified action time for T_designated).
과정 204는 RC로 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신호 계층이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으로서, RC가 물리계층의 응답을 신호계층에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Designated_Mode. Respons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메시지는 과정 205 에서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서 이동국으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에서 DESIGNATED_MODE가 '1'로 세트된 것은 이동국이 특정 롱코드로 역방향 채널을 스프레딩하라는 명령어로써, 이때 사용되는 롱코드는 이동국의 고유한 ES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message transmission using forward common channel).
이때 상기 신호계층에서 채널 엘리먼트의 예약불가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신호계층은 생성되는 메시지에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위해서 부가되는 필드인 DESIGNATED_MODE를 '0'으로 세트하고, 상기 DAM_ADRESS 및 RATE_WORD 필드는 포함하지 않는다. 이때 LAC에서도 동작시간정보(USE_TIME과 ACTION_TIME)도 부가되지 않는다. 이는 일반적인 종래의 역방향 채널과 동일한 특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예약가능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신호계층은 DESIGNATED_MODE 필드는 '1'로 세트하고, DAM_ADDRESS 필드에는 기지국이 참조할 공통 전력제어 채널의 주소를 세트하며, RATE_WORD 필드에는 설정된 채널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세트한다. 또한, LAC 계층에서는 USE_TIME과 ACTION_TIME 필드를 부가한다. (Designated_Mode, DAM address and Rate_Word setting on this message).
도 5는 상기 도 2와 같은 과정으로 수행되는 기지국의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지정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500단계에서 순방향 공통채널로 전송할 메시지가 발생되면, 기지국은 511단계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한 메시지인가 검사한다. 이때 전용화 요구 메시지이면 513단계에서 전용화 요구를 하며, 상기 기지국은 515단계에서 채널 예약이 가능한 상태인가 검사한다. 이때 채널 예약이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기지국은 517단계에서 해당 채널 앨리먼트를 예약한 후 동작시간(action time) 및 예약시간 타이머(T-designated)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동작시간은 이동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할 시간을 의미하며, 상기 예약시간은 기지국이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제어채널을 통해 이동국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시간이 된다. 상기 동작시간 및 예약시간 타이머를 설정한 후, 519 및 52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상기 <표 2>와 같이 생성한다.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한 파라미터들로써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용화채널 지시 포함 DESIGNATED_MODE_INCL, 공통채널의 전용화채널 지시자 DESIGNATED-MODE, 공통 전력제어채널의 주소 DAM-ADDRESS, 전송율 RATE-WORD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용채널을 전용화채널로 지정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DESIGNATED_MODE을 1로 세트시켜 역방향 공통제어채널을 전용화채널로 지정하며, 상기 역방향 공통제어채널의 송신 전력 및 전송율을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나머지 파라미터들을 해당하는 값으로 세트시킨다. 이후 상기 설정된 동작시간에서 상기 <표 1>과 같은 메시지들 중 어느 한 메시지에 상기 4종류의 파라미터(또는 작동시간을 포함하는 5종류의 파라미터)들을 부가하여 순방향 공통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515단계에서 예약 가능한 채널 앨리먼트가 없거나 상기 발생된 메시지가 전용화 요구된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DESIGNATED_MODE 는 0로 리세트시키고, 나머지 파라미터 필드들을 삭제한 후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은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메시지(이동국의 응답이 필요한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예약시간 타이머 T-designated에 세트된 시간 동안 이동국에서 전송되는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한다.
도 3은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정보를 전송하고 이동국으로보터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과정 301에서는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로 이동국으로 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상태를 나타낸다. 만약 역방향 공통채널이 전용화되지 않았으면 기지국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엑세스채널로 메시지를 수신한 것과 동일하다. (message reception using designated Reverse common channel).
그러면 과정 302에서 L3계층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응답메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메세지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을 해제하기 위해 이를 RC에 통보한다.
과정 303은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가 종료된 것을 RC가 물리계층에게 통보한다. (CE_Release. Request). 그러면 상기 물리계층은 특정 이동국의 롱코드, 즉 전용화된 채널로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국의 ESN으로 스프레딩되는 채널을 복조하기 위한 복조(Demodulation)과정을 종료하고 채널 엘리먼트의 점유를 해제하게 된다. (CE releasing).
그리고 과정 304에서 채널 엘리먼트의 예약이 해제되었음을 RC에게 통보한다. (CE_Release. Response)그러면 상기 RC는 과정 305에서 L3로 채널 엘리먼트의 예약이 해제되었음을 통보하여 역방향 공통 채널의 전용화가 모두 해제되게 된다. (Designated_Mode_Release. Response).
상기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특정 이동국과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여 통신하는 경우, 채널 앨리먼트를 예약하고, 상기 예약된 채널 앨리먼트의 예약시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예약된 채널앨리먼트의 사용이 가능하면, 상기 기지국은 설정된 동작시간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을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은 이동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응답하여야 하는 <표 1>과 같은 메시지들 중의 하나에 부가되어 송신될 수 있으며, 이때 전송되는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는 상기 <표 2>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전용화채널 지시 포함 필드, 전용화채널 지시자, 공통전력제어채널의 주소, 전송율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용화 채널 지시자는 1비트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전용화 채널 지시자가 세트되면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확산부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지국와 특정 이동국은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에 사용하는 미리 약정된 전용의 확산부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에 사용하는 확산부호는 이동국 고유의 ESN 마스크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롱코드, 또는 퍼블릭 공코드 마스크, 또는 공통채널을 전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정된 특정 롱코드 들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하기 <표 3>은 역방향 공통 채널이 전용화된 경우, 이동국이 전용화된 채널로 메시지를 전송할 때 LAC계층에서 부가되는 메시지의 필드를 나타내고 있다. 하기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시 이동국에서 전송되는 메시지의 링크 레벨 엑세스제어 계층(LAC : Link Access Control)의 메시지 구성이 된다.
Field Basic Mode Designated Mode Length
MSG_TYPE M M 8
ACK_SEQ M M 3
MSG_SEQ M M 3
ACK_REQ M M 1
VALID_ACK M M 1
ACK_TYPE M M 3
MSID_TYPE M 3
MSID_LEN M 4
MSID M 8×MSID_LEN
(M : Mandatory, O : Optional, M인경우는 항상 포함해야 하는 필드이고 O인 경우에는 역방향 공통채널이 전용화된 경우에만 제외될 수 있는 필드를 의미한다.)
상기 <표 3>에서 메시지 필드 중 기본모드(Basic Mode)는 이동국이 역방향 공통채널로 메시지를 전송할 때 LAC계층에서 부가되는 메시지의 필드이다. 상기 공통채널은 특정 이동국에게 채널이 할당된 것이 아니고 임의의 공통채널의 다수의 이동국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채널이므로, 상기 이동국은 자신의 어드레스(ADDRESS)를 기지국으로 송신해야만 기지국이 이동국을 인식하게 된다. 그러므로 MSID_TYPE, MSID_LEN 및 MSID 등의 필드가 꼭 부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표 3>에서 전용모드(Designated Mode)에서와 같이,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이 특정 이동국에게 전용화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국을 식별하기 위한 주소에 관련된 필드들(MSID_TYPE, MSID_LEN 및 MSID 등)이 필요 없게되어 LAC계층에서 부가되는 필드의 수를 줄일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메시지 길이의 축소는 전송오류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상기 <표 3>에서 MSG_TYPE은 메시지의 전송특성을 알려주는 필드이다. 그리고 ACK_SEQ는 기지국이 송신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알려주기 위한 응답 시퀀스의 번호로써 기지국 자신한 송신한 메시지의 시이퀀스를 저장하고 이동국으로 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응답시퀀스를 확인하여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게 된다. MSG_SEQ는 전송한 메시지의 순서를 알려주는 필드이다. ACK_REQ는 현재 보낸 메시지의 응답을 꼭 전송하라는 명령을 담고 있는 필드로써, ACK_REQ 필드가 '1'로 셋팅되면 이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 또는 이동국은 항상 수신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야 한다. VALID_ACK는 Acknowledgement의 타당성을 나타내는 필드이고, ACK_TYPE은 Acknowledgement의 종료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상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면 전송 성공확률을 증가시키고 채널간의 간섭을 줄일 뿐만 아니라,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메시지의 길이를 줄여서 메시지 전송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도 4는 이동국이 상기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순방향 공통채널의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때, 이동국이 역방향 공용채널을 전용화채널로 지정한 후 상기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기지국에 응답메세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과정 401은 순방향 공통채널로 전송된 기지국의 메시지를 이동국이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다.(Message reception using forward common channel). 즉, 상기 과정 401은 상기 도 2의 과정 205에서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상기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메세지를 전송하면, 과정 401에서 이동국의 물리계층 PHY는 이를 수신하여 상위 계층인 신호계층 L3에 전송한다.
그러면 이동국의 신호계층 L3은 과정 402에서 기지국의 신호계층에서 L3 SDU(Service Data Unit)에 포함된 역방향 공통채널 정보를 인식하고, 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발생시켜 LAC계층으로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의 신호계층은 LAC에게 현재 전송하는 메시지를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로 전송하라는 지시 명령어(Designated Mode indicator placed)를 MCSB(Message Control Status Block)에 표시해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LAC에서는 L3 SDU와 함께 수신한 MCSB를 분석하여 현재 수신한 메시지가 역방향 전용화 채널로 전송되는 것을 인식한 후,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의 ID 관련된 필드(MSID, MSID_TYPE, MSID_LEN)를 부가하지 않고, 과정 403에서 MAC(Medium Access Control)으로 LAC에서 구성된 LAC PDU(Protocol Data Unit)와 PCSB(PDU Control Status Block)를 MAC 계층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LAC PDU는 MSID에 관련된 필드를 제외하며(Excluding MSID related fields), PCSB는 전용화된 역방향 채널로 전송하는 명령어(Designated Mode indicator placed)를 포함한다.
상기 과정 403에서 LAC PDU와 PCSB를 수신한 MAC은 과정 404에서 물리계층으로 이동국의 고유한 롱코드를 사용하여 현재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확산하여 전송하라는 신호를 전송한다. (Designated_Long_Code. Request).
상기 물리계층은 과정 404에서 수신한 신호의 명령에 따라 ESN 또는 특정 롱코드(Private Long Code) 마스크, 즉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채널로 지정하기 위한 롱코드(Designated Long Code) 마스크를 이용하여 확산부호를 생성하며, 과정 405에서 응답메시지를 상기 전용화된 확산부호를 통해 확산하여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이때 이동국은 공통전력제어 채널을 참조하여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공통전력제어 채널의 ID는 기지국으로 부터 수신한 DAM_ADDRESS로부터 알 수 있고, 또한, RATE_WORD를 통해서 역방향공통 채널의 전송률을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국에서 송신되는 역방향 공통채널은 지정된 고유 롱코드를 이용하여 송신신호를 확산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정된 특정 확산부호로 확산되어 송신되므로, 전용채널에서 송신되는 신호와 유사한 특징을 갖는다.
도 7은 상기 도 4와 같은 과정으로 수행되는 이동국의 역방향 공통제어채널의 메시지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711단계에서 상기 순방향 공통제어채널을 통해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동국은 713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가 포함된 전용화 요구 메시지인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가 포함된 전용화 요구 메시지이면, 715단계에서 응답메세지를 구성한 후, 717단계에서 이동국 식별자에 관련된 필드를 삭제한다. 상기 이동국 식별자에 관련된 필드들은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MSID_TYPE, MSID_LEN, MSID 등이 된다. 이후 상기 이동국은 719단계에서 지정된 롱코드 마스크를 요구하여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제어채널의 확산부호를 생성한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 지정된 롱코드 마스크는 ESN(Electronic Serial Number)에 의한 롱코드 마스크, 퍼블릭 롱코드 마스크 또는 기지국과 미리 약정된 전용 롱코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확산부호의 생성에 사용될 전용 롱코드 마스크를 결정한 후, 721단계에서 동작시간이 되면 전용화된 상기 역방향 공통제어채널을 통해 응답메세지를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713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가 포함된 메시지가 아니면, 경쟁을 기반으로 하는 공통채널의 롱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역방향 공통제어채널의 확산부호를 생성하며, 응답메세지를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응답메세지를 전송하면, 기지국은 도 3과 같은 절차로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제어채널을 해제하는데, 도 6은 상기 도 3과 같은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은 611단계에서 상기 역방향 공통제어채널을 통해 이동국이 전송하는 응답메세지를 수신하면, 613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한다. 이후 615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제어채널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인가 검사하는데, 상기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제어채널의 메시지이면 619단계에서 상기 채널 예약과정에서 설정된 채널 앨리먼트를 해제하고, 619 및 621단계를 통해 예약시간 타이머 T_designated를 해제시킨다.
그러나 상기 도 6의 과정을 수행하는 중(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제어채널을 사용하는 상태)에 상기 예약시간 타이머 T-designated 에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은 예약된 채널 앨리먼트 및 타이머 T-designated를 해제하여 자원들을 복원한다. 이는 응답하지 않는 이동국에 할당된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을 해제하여 다른 이동국들에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제어채널들을 할당하여 자원을 절약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및 이동국이 공통채널을 전용화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도 8a는 기지국의 링크엑세스 계층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는 정보를 부가하는 수행 절차를 나타낸다.
상기 도 8a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과정 801에서 링크엑세스 계층(Layer 2)에서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전에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의 채널 엘리먼트를 예약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기지국이 상기 <표 1>에 나타낸 메시지 혹은 이동국으로 부터 수신을 요구하는 메시지와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중 전용화를 허용하고자 할 때, 사전에 예약하는 자원인 채널 엘리먼트가 상기 801단계에서 예약 지시된다(Disignated_Mode, request).
상기 계층 3에서 출력되는 채널 엘리먼트 예약요구를 RC(Resource controller)가 수신하면, 상기 RC는 과정 802에서 물리계층에 존재하는 채널 엘리먼트를 예약하도록 상기 물리계층에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채널 엘리먼트의 예약이 시작되는 시점을 알리는 동작시간을 함께 알려주며 동작시간은 메시지에 의해서 이동국으로 전송될 수 도 있고, 기지국 시스템 내부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도 있다.(CE_Reserve. Request with action time). 설정되는 동작시간은(Action time)은 순방향 공통채널로 메시지가 전송되고 이동국이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게 되고, 링크엑세스 계층 또는 신호계층에서 부가된다. 또한 채널 엘리먼트의 예약시간도 함께 설정되어야 하는데, 이 시간(T_designated)은 설정된 시간 내에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에도 채널 엘리먼트를 계속 점유하여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상황을 막기 위하여 이용되고, 이 시간 설정도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한 메시지의 전송시간, 이동국의 메시지의 처리시간 및 기타 소모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CE reserve. Request with action time).
그러면 물리계층은 과정 803에서 채널 엘리먼트의 예약사항을 RC로 알려준다. (CE_Reserve. Response). 이때 상기 채널 엘리먼트의 예약이 불가하면 불가신호를 발생하고, 예약이 완료되면 완료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예약이 불가하면 타이머의 값은 설정되지 않는다. (CE reserved at specified action time for T_designated).
과정 804는 RC로 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신호계층이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으로서, RC가 물리계층의 응답을 신호계층에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Designated_Mode. Response).
이때 상기 신호계층에서 채널 엘리먼트의 예약불가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신호계층은 이동국으로 전송할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 또는 사용자 트래픽 데이터를 전용화된 채널로 수신하기 위하여 MCSB(Message Control Status Block)를 통하여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링크엑세스 계층으로 전송한다. 링크엑세스 제어계층이 L3 SDU와 메시지 제어 상태블럭(MCSB)을 함께 수신하면 현재 수신한 메시지의 처리방식을 인식하게 되고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위해서 상술한 바와같이 다음과 같은 필드를 메시지에 부가한다.
링크엑세스 계층은 DESIGNATED_MODE 필드를 '1'로 세트하고, DAM_ADDRESS 필드에는 이동국이 참조할 공통 전력제어 채널의 주소를 세트하며, RATE_WORD 필드에는 설정된 채널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세트한다. 또한, 링크엑세스 계층에서 동작시간을 부가한다면 USE_TIME과 ACTION_TIME 필드를 부가한다. 그러나 신호계층에서도 동작시간 필드를 부가할 수 있다.(Designated_Mode, DAM address, Rate_Word) setting on this message).
만약 L3 SDU와 함께 수신한 MCSB에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위한 지시가 없으면 링크엑세스 계층에서는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위해서 부가되는 필드인 DESIGNATED_MODE를 '0'으로 세트하고, 상기 DAM_ADRESS 및 RATE_WORD 필드는 포함하지 않는다. 이때 링크엑세스 계층 또는 신호계층에서도 동작시간정보(USE_TIME과 ACTION_TIME)가 부가되지 않는다. 이는 일반적인 종래의 역방향 채널과 동일한 특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메시지는 과정 805에서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서 이동국으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에서 DESIGNATED_MODE가 '1'로 세트된 것은 이동국이 특정 롱코드로 역방향 채널을 스프레딩하라는 명령어로써, 이때 사용되는 롱코드는 이동국의 고유한 코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message transmission on forward common channel).
도 8b는 도 8a의 동작과 유사하지만 CE의 예약을 링크엑세스제어계층에서 수행할때의 기지국의 동작을 나태낸 것이다. 과정 810의 L3에서 SDU를 내리면서 MCSB에 ACK_REQ를 셋트하는 코멘드를 전송하고 과정 811의 링크억세스제어계층에서 MCSB를 통해서 ACK_REQ를 셋트하라는 코멘트가 있으면 RC로 Designated_Mode.Request를 전송하여 CE의 예약을 지시한다. 과정 812에서는 RC에서 현재 이동국의 MAC state를 확인한 후 CE_Reserve.Request를 Physical로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에서 이동국의 ESN을 알고 있으면(예, Suspended State이면) ESN based long code mask를 아니면 Scheduled R-CCCH long code mask를 지정한다. 또한, 작동시간을 설정하여 이동국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과 동기화 시키고 작동시간은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위한 메시지 또는 (Enhanced)Access Parameter Message로 이미 전송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과정 813에서는 CE의 예약사항을 RC로 전송한다. 과정 814에서는 링크억세스제어계층으로 공통채널의 전용화설정 여부를 링크억세스제어계층으로 통보한다. 공통채널의 전용화 설정이 성공하면 Designated Long Code Mask type을 함께 링크억세스제어계층으로 알려준다. 과정 806에서는 링크억세스제어계층에서 공통채널의 전용화 설정과 관련된 필드를 셋트하고 부가하며 과정 807을 통해서 F-CCCH를 통해서 발생된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9a는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정보를 전송하고 이동국으로부터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로 응답 메시지 또는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을 수신했을 때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9a를 참조하면, 과정 901에서는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로 이동국으로 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상태를 나타낸다. 만약 역방향 공통채널이 전용화되지 않았으면 기지국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엑세스채널로 메시지를 수신한 것과 동일하다. (message reception on Designated Reverse common channel).
그러면 과정 902에서 신호계층이 자신이 응답을 요구한 메시지 또는 사용자 트래픽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신한 후, 이에 대한 응답메시지 또는 사용자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가 종료된 것을 RC에게 알려준다.(Designated_Mode_Release. Request).
과정 903은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가 종료된 것을 RC가 물리계층에게 통보한다. (CE_Release. Request). 그러면 상기 물리계층은 특정 이동국의 롱코드, 즉 전용화된 채널로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국의 유일한 롱코드로 스프레딩되는 채널을 복조하기 위한 복조(Demodulation)과정을 종료하고 채널 엘리먼트의 점유를 해제하게 된다. (CE releasing).
그리고 과정 904에서 채널 엘리먼트의 예약이 해제되었음을 RC에게 통보한다.(CE_Release Response)그러면 상기 RC는 과정 905에서 신호계층으로 채널 엘리먼트의 예약이 해제되었음을 통보하여 역방향 공통 채널의 전용화가 모두 해제되게 된다.(Designated_Mode_Release. Response).
도 9b는 도 9a와는 달리 링크억세스제어계층에서 전용화채널의 해제를 수행하는 경우의 과정을 나태내고 있다. 과정 910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서 메시지를 수신하고 과정 911에서는 링크억세스제어계층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ACK_SEQ를 처리한 후 DAM(Designated Access Mode)을 요구한 메시지의 응답인지를 판단하고, 요구한 수신 메시지인 경우 RC로 DAM 해제를 요구하게 된다. 과정 912에서 RC는 채널 엘리먼트의 해제를 요구하게 되고 과정 913에서 Physical 계층이 CE의 해제를 수행한 후 RC로 이를 통보한다. 괴정 914에서 RC에서 링크억세스제어계층으로 DAM이 해제 되었음을 통보한다.
도 10은 이동국에서 역방향 전용화채널을 설정하라는 정보를 갖고 있는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처리하는 과정과 이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과정 1001은 순방향 공통채널로 전송된 기지국의 메시지를 이동국이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다.(Message reception using forward common channel).
그러면 과정 1002에서 이동국이 수신한 메시지는 링크엑세스 계층에서 현재 수신한 메시지가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라는 필드를 갖고 있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과정 1002에서는 링크엑세스 계층에서 인식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신호계층으로 알리기 위한 정보를 MCSB에 표시하여 수신한 메시지의 링크엑세스 계층과 관련된 필드를 제거한 L2 PDU와 함께 신호계층으로 전송한다.(Designated Mode indicator placed)
과정 1003에서는 이동국의 신호계층이 기지국으로 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응답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할 때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라는 정보를 담은 MCSB와 함께 L3 SDU를 링크엑세스계층으로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다.(Designated Mode indicator placed)
링크엑세스제어 계층에서는 L3 SDU와 함께 수신한 MCSB를 분석하여 현재 수신한 메시지가 역방향 전용화 채널로 전송되는 것을 인식한 후,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의 ID 관련된 필드를 부가하지 않고 과정 1004에서 MAC(Medium Access Control)으로 링크엑세스 제어계층에서 구성된 링크억세스제어계층 PDU(Protocol Data Unit)와 PCSB(PDU Control Status Block)를 MAC 계층으로 전송한다.Designated Mode indicator placed) 여기서 상기 링크억세스제어계층 PDU는 MSID에 관련된 필드를 제외하며(Excluding MSID related fields), PCSB는 전용화된 역방향 채널로 전송하는 명령어(Designated Mode indicator placed)를 포함한다.
상기 과정 1004를 통해서 링크억세스제어계층 PDU와 PCSB를 수신한 MAC은 과정 1005에서 물리계층으로 이동국의 고유한 롱코드를 사용하여 현재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확산하여 전송하라는 신호를 전송한다. (Designated_Long_Code. Request).
상기 물리계층은 수신한 신호의 명령에 따라, 과정 1006에서 ESN 또는 특정 롱코드(Private Long Code) 마스크, 즉 지정된 롱코드(Designated Long Code) 마스크를 이용하여 역방향 공통채널을 확산하여 이동국의 응답메시지 또는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게 된다. 이때 이동국은 공통전력제어 채널을 참조하여 응답 메시지 또는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을 기지국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공통전력제어 채널의 ID는 기지국으로 부터 수신한 DAM_ADDRESS로 부터 알 수 있고, 또한, RATE_WORD를 통해서 역방향공통 채널의 전송률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기지국으로 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동작시간을 갖고있으면 설정된 동작시간에 이동국은 응답 메시지 또는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그러나 기지국에서 채널 엘리먼트의 동작시간이 시스템에서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이동국은 동작시간을 알지 못하고, 메시지의 송신을 임의의 시간에 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국에서 송신되는 역방향 공통채널은 지정된 고유 롱코드를 이용하여 송신신호를 확산하여 전송한다. 또한,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정된 특정 확산부호로 확산되어 송신되므로, 전용채널에서 송신되는 신호와 유사한 특징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및 이동국이 공통채널을 전용화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위한 기지국의 전송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기지국의 계층3인 신호계층은 1100단계에서 L3 SDU을 발생시키면서 발생된 현재의 메시지가 공통채널의 전용화 채널을 지시할수 있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MCSB를 통해서 LAC으로 전송한다.
전송제어 계층인 상기 LAC는 1101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MCSB를 처리하여 현재 수신한 L3 SDU가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요구하는 메시지인지 파악하여 상기 LAC에서 부가되는 필드를 L3 SDU에 부가한 L2 PDU를 생성하고, PCSB를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요구하는 메시지임을 알리는 정보를 MAC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LAC은 메시지의 ACK_REQ 필드를 '1'로 세팅하여 이동국으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를 요구하는 메시지임을 표시한다.
상기 MAC은 1102단계에서 상기 PCSB를 해독하여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요구하는 메시지임을 파악하면 RC로 Designated_Mode.Request 명령을 전송하여 물리계층의 채널 엘리먼트를 예약하도록 한다.
상기 RC는 1103단계에서 CE_Reserve.Request를 물리계층으로 전송하며 이때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공통채널의 전용화의 시작시점을 알려주는 동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동작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 동작시간의 설정은 임의로 기지국과 이동구간에 설정될수도 있고, 메시지를 통해서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전송될수 있다. 또한, 공통채널의 전용화시 이동국에서 사용할 롱코드 마스크의 종류도 함께 통보한다.
상기 물리계층은 1104단계에서 채널 엘리먼트의 예약상태를 상기 RC로 전송한다.
상기 RC는 1105단계에서 상기 물리계층의 채널 엘리먼트가 성공적으로 예약되었는지를 MAC으로 전송하고 공통채널의 전용화시 이동국에서 사용할 롱코드 마스크를 통보한다.
상기 MAC은 1106단계에서 상기 RC로부터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위한 채널 엘리먼트가 성공적으로 예약된 것을 확인한후 공통채널의 전용화시 필요한 정보(DESIGNATED_MODE, DAM_ADDRESS and RATE_WORD)를 만들고 L2 PDU에 부가하여 메시지 구성을 종료한다.
기지국에서는 1107단계에서 공통채널의 전용화정보를 담고 있는 메시지를 순방향 공통채널인 F-CCCH를 통해서 이동국으로 전송한다.
도 12는 공통채널의 전용화시 기지국의 수신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기지국은 1201단계에서 전용화 채널로 지정된 공통채널인 R-CCCH를 통해서 자신이 보낸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MAC은 1202단계에서 현재 수신한 메시지가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통해서 수신한 메시지임을 확인하여 L2 PDU + PCSB를 구성하여 LAC으로 전송하고 LAC에서는 L3 SDU + MCSB를 신호계층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MAC은 기지국의 RC로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해제하라는 Designated_Mode_Release.Reqeust를 전송한다.
상기 RC는 1203단계에서 물리계층의 채널 엘리먼트로 채널 엘리먼트를 해제하라는 CE_Release.Request를 전송한다.
상기 물리계층은 1204 단계에서 상기 채널 엘리먼트를 해제한후 상기 RC로 채널 엘리먼트가 해제 되었음을 통보한다.
상기 RC는 1205단계에서 상기 MAC으로 채널 엘리먼트의 해제를 통보하여 공통채널의 전용화과정을 위해서 설정되었던 모든 자원을 해제한다.
도 13은 공통채널 전용화시 이동국의 역방향 공통채널 처리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동국의 MAC은 1300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현재 수신한 메시지가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설정하는 메시지임지를 결정한다.
상기 MAC은 1301단계에서 현재 수신한 메시지가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설정하는 메시지임을 확인한후 물리계층으로 공통채널의 전용화시 사용할 롱코드 마스크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또한, LAC계층으로 L2 PDU와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담고 있는 PCSB를 함께 전송한다.
LAC는 1302단계에서 PCSB를 분석한후 신호 계층인 L3로 L3 SDU와 MCSB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MCSB에도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알리는 정보를 함께 기록한다.
상기 신호계층은 1303단계에서 L3 SDU와 함께 MCSB를 LAC으로 전송한다.
상기 LAC계층은 1304단계에서 L2 PDU와 함께 PCSB를 MAC으로 전송한다.
상기 MAC은 1305단계에서 상기 LAC으로부터 수신한 L2 PDU를 완전한 메시지로 구성한후 물리계층으로 전송한다.
물리계층은 1306단계에서 상기 공통채널의 전용화를 위해서 지시된 롱 코드 마스크를 이용하여 현재 수신된 메시지를 R-CCCH를 통해서 전송한다. 이때 이동국은 기지국과 약속된 시간에 메시지의 전송을 시작하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공통전력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메시지의 전력제어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역방향 공통 채널을 전용화 시키기 위한 방식 및 통신장치와 프로토콜 계층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지국은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해서 확산부호를 나타내는 롱코드 정보, 채널 전송률 및 공통전력제어 채널정보를 포함한 제어메세지를 순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제어메세지에 대한 응답송신시 이동국 유일의 롱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확산하여 전송하는 이동국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역방향 공통채널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에 비해 빠른 응답시간을 보장하고, 전송성공확률을 증가시키며 재전송에 의하려 발생하는 채널상호간의 간섭 등의 효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LAC계층에서 부가되는 필드의 수를 감소시켜 메시지의 전송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8)

  1.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역방향공통채널을 통해 응답을 받아야 하는 메시지 발생시, 상기 응답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은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채널로 지정한 후,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표시 및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전용채널 지정 파라미터를 생성한 후 상기 메시지와 함께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응답메세지를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공통채널 전용화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가 상기 역방향 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공통전력 제어채널의 어드레스 및 역방향 공통채널의 데이타 전송율 파라미터들을 더 구비하는 기지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공통채널의 전용 채널확산부호가 해당 이동국의 ESN 마스크를 이용하는 채널확산부호인 기지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4.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을 해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통채널을 통해 응답을 받아야 하는 메시지 발생시, 특정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예약 및 예약시간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된 역방향 공통채널로 상기 응답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표시 및 상기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전용채널 지정 파라미터를 생성한 후 상기 메시지와 함께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시간 내에서 상기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응답메세지를 수신여부를 검사하며, 상기 예약시간 내에 상기 응답메세지가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예약시간이 경과되도록 상기 응답메세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지정을 해제하는 과정을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이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을 해제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가 상기 역방향 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공통전력 제어채널의 어드레스 및 역방향 공통채널의 데이타 전송율 파라미터들을 더 구비하는 기지국이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을 해제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 채널확산부호가 해당 이동국의 ESN 마스크를 이용하는 채널확산부호인 기지국이 전용화된 역방향 공통채널을 해제하는 방법.
  7.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이동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공통채널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순방향 공통채널의 메시지를 분석하며, 상기 메시지에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한 전용화 표시, 및 전용화 채널로 동작하는 시간 등을 포함하는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이 포함되어 있을 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모드를 지정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응답메세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에 이동국의 전용 채널확산부호를 할당하여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며, 상기 동작시간에서 생성된 응답 메세지를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이동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시되는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는 상기 역방향 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공통전력 제어채널의 어드레스 및 역방향 공통채널의 데이타 전송율 파라미터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전송되는 응답메세지는 상기 지정된 공통전력제어채널에 따라 송신전력이 제어되고 상기 지정된 전송율에 따라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 채널확산부호가 해당 이동국의 ESN 마스크를 이용하는 채널확산부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10.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전용화 채널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타의 이동국들에 의해 통신 가능한 공통채널을 통해 전용채널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전용화표시, 공통전력 제어채널의 어드레스, 전송율 및 상기 전용화 채널의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을 메시지와 함께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과 함께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 내의 상기 전용화 표시에 의해 정해진 상기 전용화채널을 통해 상기 공통전력 제어채널의 어드레스에 의해 정해지는 전력을 가지고 상기 동작시간에 상기 메시지의 응답메세지를 상기 전송율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상기 전용화채널을 설정하는 방법.
  11.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한 전용화 표시, 및 전용화 채널로 동작하는 시간 등을 포함하는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순방향 공통채널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기와,
    상기 순방향 공통채널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순방향 공통채널 송신기와,
    상기 순방향 공통채널 메시지 전송시 예약되고 ,상기 예약된 시간동안 상기 이동국의 전용 채널확산부호에 의해 할당되어 상기 이동국로부터 응답되는 메세지를 수신하는 역방향 공통채널 수신기로 구성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전용화된 공통채널의 메시지 통신장치.
  12.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이동국이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공통채널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순방향 공통채널 수신기와,
    상기 수신된 순방향 공통채널의 메시지를 분석하며, 상기 메시지에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하기 위한 전용화 표시, 및 전용화 채널로 동작하는 시간 등을 포함하는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이 포함되어 있을 있을 시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모드를 지정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응답메세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분석기와,
    상기 전용화 모드 지정시 해당 이동국의 전용 채널확산부호로 전용화하며, 상기 동작시간에서 생성된 응답 메세지를 전송하는 역방향 공통채널 송신기로 구성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전용화된 공통채널의 메시지 통신장치.
  13. 기지국의 신호계층으로부터 전용화 모드 요청에 응답하여 그의 물리계층에서 이용 가능한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된 채널로 사용하기 위하여 예약하는 과정과,
    상기 전용화된 채널의 예약 후, 상기 신호계층으로부터 보내야할 데이터에 상기 전용화된 채널을 지정하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전용화 표시와 상기 전용화된 채널의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을 메시지로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형성된 메시지를 물리계층을 통해 순방향 공통채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는 방법.
  14.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된 채널로 지정하기 위한 전용화 표시 및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수신하는 단말의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채널로 지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물리계층이 순방향 공통채널로 수신되는 상기 메시지를 신호계층에 보내는 과정과,
    상기 신호 계층이 상기 메시지에 따른 응답메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응답메세지에 상기 전용화 표시를 하며, 상기 물리 계층에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사용하기 위하여 확산부호 및 동작시간의 지정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물리 계층이 상기 지정된 동작시간에서 상기 전용화 채널의 확산부호를 사용하여 상기 응답메세지를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방법.
  15. 기지국의 신호계층으로부터 전용화 모드 요청에 응답하여 그의 물리계층에서 이용 가능한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된 채널로 사용하기 위하여 예약하는 과정과,
    상기 전용화된 채널의 예약 후, 상기 신호계층으로부터 보내야할 데이터와 상기 전용화된 채널을 지정하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전용화 표시와 상기 전용화된 채널의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신호계층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와 상기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를 링크 억세스 제어계층에서 메시지로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형성된 메시지를 물리계층을 통해 순방향 공통채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는 방법.
  16.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된 채널로 지정하기 위한 전용화 표시 및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수신하는 단말의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채널로 지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물리계층이 순방향 공통채널로 수신되는 상기 메시지를 링크 억세스 제어계층에 보내는 과정과,
    상기 링크 억세스 제어 계층이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상기 전용화 표시를 하여 상기 신호계층으로 보내며, 상기 신호계층이 상기 메시지에 따른 응답메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응답메세지에 상기 전용화 표시를 하여 상기 링크 억세스 제어 계층에 보내는 과정과,
    상기 링크 억세스 제어계층이 상기 물리 계층에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사용하기 위하여 확산부호 및 동작시간의 지정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물리 계층이 상기 지정된 동작시간에서 상기 전용화 채널의 확산부호를 사용하여 상기 응답메세지를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방법.
  17. 기지국의 신호계층으로부터 전용화 모드 요청에 응답하여 그의 물리계층에서 이용 가능한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된 채널로 사용하기 위하여 예약하는 과정과,
    상기 전용화된 채널의 예약 후, 상기 신호계층으로부터 보내야할 데이터와 상기 전용화된 채널을 지정하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전용화 표시와 상기 전용화된 채널의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신호계층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와 상기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를 매체접근제어계층에서 메시지로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매체접근제어계층에서 형성된 메시지를 물리계층을 통해 순방향 공통채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지정하는 방법.
  18.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된 채널로 지정하기 위한 전용화 표시 및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전용화채널 지정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수신하는 단말의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채널로 지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물리계층이 순방향 공통채널로 수신되는 상기 메시지를 매체접근제어계층에 보내는 과정과,
    상기 매체접근제어계층이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상기 전용화 표시를 하여 상기 신호계층으로 보내며, 상기 신호계층이 상기 메시지에 따른 응답메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응답메세지에 상기 전용화 표시를 하여 상기 링크 억세스 제어 계층에 보내는 과정과,
    상기 매체접근제어계층이 상기 물리 계층에 상기 역방향 공통채널을 전용화 채널로 사용하기 위하여 확산부호 및 동작시간의 지정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물리 계층이 상기 지정된 동작시간에서 상기 전용화 채널의 확산부호를 사용하여 상기 응답메세지를 역방향 공통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방법.
KR10-2000-0039406A 1999-07-10 2000-07-10 이동통신시스템의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통신장치 및방법 KR100469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406A KR100469716B1 (ko) 1999-07-10 2000-07-10 이동통신시스템의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통신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27911 1999-07-10
KR1019990027911 1999-07-10
KR1019990034013 1999-08-17
KR19990034013 1999-08-17
KR19990042136 1999-09-30
KR1019990042136 1999-09-30
KR10-2000-0039406A KR100469716B1 (ko) 1999-07-10 2000-07-10 이동통신시스템의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통신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267A true KR20010015267A (ko) 2001-02-26
KR100469716B1 KR100469716B1 (ko) 2005-02-02

Family

ID=2748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406A KR100469716B1 (ko) 1999-07-10 2000-07-10 이동통신시스템의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통신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404B1 (ko) * 2005-06-24 2007-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통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6183B2 (ja) * 1995-04-04 1998-04-28 日本電気株式会社 多重アクセス方法
JPH0965411A (ja) * 1995-08-29 1997-03-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チャネル構成方法
KR19990008910A (ko) * 1997-07-04 1999-02-05 양승택 패킷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어 패킷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데이터 전송방법
US6674739B1 (en) * 1998-03-26 2004-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assigning spreading code for reverse common channel messag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KR100346117B1 (ko) * 1998-04-14 2002-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공용채널에서연속적인사용자데이터전송방법
KR100306169B1 (ko) * 1998-11-09 2001-11-02 윤종용 이통 통신시스템의 예약 다중 접속 제어장치 및 방법
US6614772B1 (en) * 1999-03-01 2003-09-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packet data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404B1 (ko) * 2005-06-24 2007-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통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9716B1 (ko)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902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逆方向共通チャンネルを専用化するための通信装置及び方法
RU2209528C2 (ru) Канал связи с произвольным доступом для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служб
KR100293934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공용채널 메시지 전송장치 및방법
EP1943854B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resource information
KR100330216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공통채널 메시지의 확산코드 지정 장치 및 방법
CN101686490B (zh) 无线通讯系统中控制调度请求的方法及相关装置
EP0958705A2 (en) Packet control channel feedback support for contention and reservation based access
KR2004001469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방향 방송 서비스의 제공방법
JP2002544733A (ja) 複数のアクセスパケットよりなるランダムアクセス要求を有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
EP1298856A2 (en) Method of transmitting packet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EP11927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reverse common channel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452940B1 (en) Mobile station migration from D-AMPS packet system to edge/GPRS packet system in an integrated wireless network
KR100526508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억세스 통신장치 및 방법
KR100469716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통신장치 및방법
KR100566268B1 (ko)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부가채널의 핸드오프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238429B1 (ko) 무선 가입자 망의 패킷 랜덤 엑세스 방법
KR100911096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실시간 데이터 rcma프로토콜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97250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우선순위 기반의rcma프로토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9990065192A (ko) 이동무선결합기에서의 이동무선가입자의 존재여부 확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218

Effective date: 20041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