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565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565A
KR20010014565A KR1020000012071A KR20000012071A KR20010014565A KR 20010014565 A KR20010014565 A KR 20010014565A KR 1020000012071 A KR1020000012071 A KR 1020000012071A KR 20000012071 A KR20000012071 A KR 20000012071A KR 20010014565 A KR20010014565 A KR 20010014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elastic member
cuff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4851B1 (ko
Inventor
시모에나리아키
지토에요시카즈
구마사카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14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94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top-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립하기 쉽고 쓰러지기 어려운 커프스를 구비하여, 배설물의 가로 누설을 막을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톱 시트(2)와, 백 시트(3)와, 코어(4)를 갖는 적층 패널(1)로 구성되어, 앞뒤 몸통 둘레 영역(20, 22)과 가랑이 영역(21)을 가지며, 코어(4)의 양측연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여 패널(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1 탄성 부재(6)를 신장 상태로 부착한 자유측연부(5a)와, 기측연부(5b)와, 양단연부(5c)를 갖는 한쌍의 누설 방지 커프스(5)를 구비한 기저귀이며, 커프스(5)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탄성 부재(7)가 적어도 가랑이 영역(21)에 위치하여 커프스(5)의 자유측연부(5a)와 기측연부(5b)의 사이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 8-24291호 공보는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가 다리 둘레의 앞쪽 절반에 부착된 원호형의 제1 탄성 부재와, 다리 둘레의 뒤쪽 절반에 부착된 원호형의 제2 탄성 부재와 가랑이 영역의 중앙부에서 제1, 제2 탄성 부재와 교차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3 탄성 부재를 따라 구성된 일회용 착용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8-24291호 공보는 이들 제1, 제2, 제3 탄성 부재가 협동하여 다리 둘레를 둘러싸서 배설물의 가로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 8-322876호 공보는 투액성 톱시트와 불투액성 백 시트와의 사이에 흡액성 코어가 개재하는 물품 본체와, 코어의 양측연의 외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의 상측면에서 윗쪽으로 기립 성향을 갖는 누설 방지 커프스를 갖는 일회용 착용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커프스는 길이 방향으로 탄성 부재를 신장 상태에서 부착한 자유측연부와, 톱시트의 상측면에 고착된 기측연부와 물품의 내측으로 쓰러진 형상으로 된 상태에서 톱 시트의 상측면에 고착된 양단 연부를 가지며, 물품이 그 내면을 내측으로 하여 길이 방향으로 만곡하면, 탄성 부재가 수축하여 커프스가 물품의 윗쪽으로 기립한다. 커프스는 피부로의 자극을 적게 하기 위해서 소수성의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으로 만들어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8-322876호 공보는 커프스가 장벽이 되어 배설물의 가로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들 공보에 개시된 착용 물품의 조합에 있어서, 다리 둘레를 둘러싸는 제1, 제2, 제3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와, 자유측연부에 탄성 부재를 신장 상태에서 부착한 누설 방지 커프스를 갖는 착용 물품을 상기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탄성 부재는 물품 본체측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3 탄성 부재가 커프스의 기립에 기여하는 일은 없고, 커프스는 자유측연부에 부착한 탄성 부재의 수축만으로 기립한다. 커프스는 자유측연부가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 쓰러지면 커프스의 높이가 낮아져 배설물이 커프스를 넘어 새버리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기립하기 쉽고, 또한, 쓰러지기 어려운 커프스를 구비하여, 배설물의 가로 누설을 막을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1과는 다른 형태의 기저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적층 패널
2 : 투액성 톱 시트
3 : 불투액성 백 시트
4 : 흡액성 코어
5 : 누설 방지 커프스
5a : 자유측연부
5b : 기측연부
5c : 양단연부
6 : 탄성 부재
7 : 탄성 부재
8 :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
8a : 중간부
9 :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
9a : 중간부
20 : 앞 몸통 둘레 영역
21 : 가랑이 영역
22 : 뒤 몸통 둘레 영역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액성 톱 시트와, 불투액성 백 시트와, 이들 시트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를 갖는 적층 패널로 구성되어 길이 방향에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과, 이들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코어의 양측연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여 상기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제1 탄성 부재를 신장 상태로 부착한 자유측연부와 상기 패널의 상측면에 고착된 기측 연부와 상기 앞뒤 몸통 둘레 영역에 위치하는 양단연을 가지고 상기 패널의 상측면에서 윗쪽으로 기립 성향을 갖는 한쌍의 누설 방지 커프스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를 개량하는 것에 있다.
개량에 관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것은 상기 커프스 각각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 라인의 제2 탄성 부재가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커프스의 자유측연부와 기측연부의 사이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로서, 상기 패널의 양측연부에는 각각 형성된 다리 둘레를 따라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상기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가 상기 패널의 앞쪽 절반을 따라 실질적으로 원호를 그리며 연장되어 상기 가랑이 영역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상기 패널을 가로 지르는 중간부를 갖는 제3 탄성 부재와, 상기 패널의 뒤쪽 절반을 따라 실질적으로 원호를 그리며 연장되어 상기 중앙부에 상기 제3 탄성 부재의 중간부에서 이격되어 상기패널을 가로 지르는 중간부를 갖는 제4 탄성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며, 상기 제2 탄성 부재가 상기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제3, 제4 탄성 부재 각각의 중간부의 양측과 입체적으로 교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제2 탄성 부재가 상기 커프스의 기측연부측에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커프스의 양단연부 각각이 상기 적층 패널의 내측으로 쓰러진 상태로 상기 패널의 상측면에 고착되어 있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의 상세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은 적층 패널(1)로 구성된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패널(1)은 투액성 톱 시트(2)와, 불투액성 백 시트(3)와, 톱 시트(2)와 백 시트(3)의 사이에 개재하며, 이들 시트(2, 3) 중의 적어도 한쪽의 내면에 접합된 흡액성 코어(4)로 형성되고, 폭 방향과 교차하는 길이 방향에 앞 몸통 둘레 영역(20)과, 뒤 몸통 둘레 영역(22)과, 이들 앞뒤 몸통 둘레 영역(20, 22)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21)을 갖는다.
패널(1)은 서로 대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랑이 영역(21)에 있어서 패널(1)의 내측으로 만곡하는 양측연(23)과, 양측연(23)이 교차하여 서로 대향하여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연(24)을 갖는다. 패널(1)의 내면에는 코어(4)의 양측연의 외측 근방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누설 방지 커프스(5)가 부착되어 있다.
커프스(5)는 부직포 시트로 형성된 것이고, 가랑이 영역(21)에 있어서 톱 시트(2)와 백 시트(3)의 어느쪽에도 고착되어 있지 않은 자유측연부(5a)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측연부(5b)와 앞뒤 몸통 둘레 영역(20, 22)에 위치하는 양단 연(5c)을 갖는다. 기측연부(5b)에서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커프스(5)의 부분과 양단연부(5c)의 형상은 백 시트(3)의 외측연 영역의 형상과 동일하다.
커프스(5)는 기측연부(5b)가 톱 시트(2)의 상측면에 고착되며, 양단연부(5c)가 패널(1)의 내측에 쓰러진 상태로 톱 시트(2)의 상측면에 고착되어 있다. 커프스(5)의 자유측연부(5a)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6)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커프스(5)의 자유측연부(5a)와 기측연부(5b)의 사이에는 기측연부(5b)측으로 기울어진 위치이며, 앞뒤 몸통 둘레 영역(20, 22)을 제외하는 가랑이 영역(21)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 라인의 탄성 부재(7)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패널이 그 내면을 내측으로 하여 길이 방향으로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커프스(5)가 탄성 부재(6, 7) 각각의 수축에 의해서 패널(1)의 윗쪽으로 기립하고 있다. 커프스(5)는 탄성 부재(6)의 수축에 탄성 부재(7)의 수축이 가해지므로써 패널의 상측면에서 윗쪽으로 기립하기 쉽다.
탄성 부재(7)는 커프스(5)의 자유측연부(5a)와 기측연부(5b)의 사이에 있어서의 거의 중앙부, 또는 중앙부에서 약간 기측연부(5b)쪽으로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탄성 부재(7)는 가랑이 영역(21)뿐만 아니라 앞뒤 몸통 둘레 영역(20, 22)에 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패널(1)에는 가랑이 영역(21)의 앞쪽 절반에 위치하여 실질적으로 원호를 그리는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8)와 가랑이 영역(21)의 뒤쪽 절반에 위치하여 실질적으로 원호를 그리는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9)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8, 9) 각각은 착용자의 왼쪽 다리 둘레(도면의 우측의 다리 둘레)에서 가랑이 영역(21)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가로 질러 우측 다리 둘레 (도면의 좌측의 다리 둘레)에 연장되어 있다. 탄성 부재(8, 9) 각각은 가랑이 영역(21)의 중앙부에 있어서, U 자형과 역 U 자형을 그리며, 가랑이 영역(21)의 중앙부를 가로 지르는 탄성 부재(8, 9)의 중간부(8a, 9a) 각각이 서로 소요 치수만 이격하고 있다. 탄성 부재(8, 9)의 중간부(8a, 9a)의 양측에는 탄성 부재(7)의 양단부가 입체적으로 교차하고 있다.
패널(1)에는 코어(4)의 양측연 각각으로부터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가랑이 영역(21)에 있어서의 폭 좁은 부분과 앞뒤 몸통 둘레 영역(20, 22)에 있어서의 폭 넓은 부분을 갖는 사이드 플랩(10)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10)은 커프스(5)의 기측연부(5b)에서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커프스(5)의 부분과 백 시트(3)의 측연부가 서로 고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패널(1)의 앞뒤 몸통 둘레 영역(20, 22)에는 패널(1)의 양단연(24)을 따라,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름형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1, 12)가, 톱시트(2)와 백 시트(3)의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시트(2, 3) 중의 적어도 한쪽에 신장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이들 탄성 부재(8, 9, 11, 12)의 신장 상태가 해제되어, 패널(1)의 양단연(24)과 가랑이 영역(21)에 있어서의 양측연(23)을 따라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뒤 몸통 둘레 영역(22)에는 양측연(23)에서 패널(1)의 폭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13)의 기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테이프 파스너(13)의 자유 단부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에 있어서의 패널(1)의 외측면에는 테이프 파스너(13)의 고정 영역이 되는 타겟 테이프가 부착되고, 테이프 파스너(13)를 그 내면에 도포된 점착제를 통해 타겟 테이프에 고정하면, 몸통 둘레 개구와 좌우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가 형성된다(도시하지 않음).
커프스(5)의 기측연부(5b)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7)가 다리 둘레의 앞쪽 절반과 뒤쪽 절반에 부착한 탄성 부재(8, 9)의 중간부(8a, 9a)의 양측과 입체적으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착용시에 이들 탄성 부재(7, 8, 9)가 협동하여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둘러싸서 가랑이 영역(21)에서 배설물의 가로 누설 방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커프스(5)가 패널(1)의 상측면에서 기립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커프스(5)에는 탄성 부재(6)와 탄성 부재(7)의 수축에 의해서 커프스(5)가 가랑이 영역(21)으로 가까이 당겨지고, 자유측연부(5a)와 기측연부(5b)의 사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벽(5d)이 형성되어 있다. 벽(5d)은 커프스(5)의 자유측연부(5a)와 기측연부(5b)의 사이에서, 커프스(5)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절곡되는 것을 방해하여 자유측연부(5a)를 쓰러지기 어렵게 하고 있다. 코어(4)의 양측연 사이를 가로 지르는 탄성 부재(8, 9)의 부분 각각은 백 시트(3)와 코어(4)의 사이에 개재하여, 백 시트(3)에 간헐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탄성 부재(7)와 탄성 부재(9)가 교차하는 부분에서는 탄성 부재(7)가 탄성 부재(9)의 윗쪽으로 소요 치수만 이격되어 있다. 탄성 부재(7)와 탄성 부재(8)가 교차하는 부분에 있어서도, 탄성 부재(7)가 탄성 부재(8)의 윗쪽으로 소요 치수만 이격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패널(1)은 톱 시트(2)의 측연부가 코어(4)의 측연의 외측 근방에서 끝나고, 백 시트(3)의 측연부가 톱 시트(2)의 측연부에서 더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커프스(5)는 탄성 부재(6, 7) 각각을 피복하도록 패널(1)의 내측으로 겹쳐 포개여져 탄성 부재(6, 7)가 커프스(5)에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8, 9)는 코어(4)의 양측연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부분 각각이, 톱 시트(2)와 백 시트(3)의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시트(2, 3)의 적어도 한쪽에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6, 7)와 탄성 부재(8, 9)는 이들의 신장 응력이 다르더라도 좋고, 예컨대, 그 신장 응력은 탄성 부재(8, 9)> 탄성 부재(6, 7), 탄성 부재(8, 9) > 탄성 부재(6) > 또는 <혹은 = 탄성 부재(7)이어도 좋다.
도 4는 적층 패널(1)로 구성된 도 1은 다른 형태의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패널(1)은 톱 시트(2)와 백 시트(3)와 이들 시트(2, 3)의 사이에 개재하는 코어(4)로 형성되며, 앞뒤 몸통 둘레 영역(20, 22)과 이들 앞뒤 몸통 둘레 영역(20, 22)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21)을 가지고 서로 대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연(23)과 서로 대향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연(24)을 갖는다.
패널(1)의 내면에는 코어(4)의 양측연의 외측 근방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자유측연부(5a)와 기측연부(5b)와 양단연부(5c)를 갖는 한쌍의 누설 방지 커프스(5)가 부착되어 있다. 기측연부(5b)에서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커프스(5)의 외형은 도 1의 그것과 동일하다.
커프스(5)는 기측연부(5b)가 톱 시트(2)의 상측면에 고착되어, 양단연부(5c)가 패널(1)의 내측에 쓰러진 상태로 톱 시트(2)의 상측면에 고착되어 있다. 커프스(5)의 자유측연부(5a)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6)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커프스(5)의 자유측연부(5a)와 기측연부(5b)의 사이에는 커프스(5)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꼭대기부로 하여, 길이 방향으로 만곡하여 연장되는 2 라인의 탄성 부재(7)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7)의 길이 방향 양단부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20, 22)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패널(1)이 그 내면을 내측으로 하여 길이 방향으로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커프스(5)가 탄성 부재(6, 7) 각각의 수축에 의해서 패널(1)의 윗쪽으로 기립하고 있다.
패널(1)에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20, 22)에 패널(1)의 폭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8, 9)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탄성부재(8, 9) 각각의 폭 방향 양측에는 탄성 부재(7)의 양단부가 입체적으로 교차하고 있다. 기저귀의 착용시에는 이들 탄성 부재(7, 8, 9)가 공동으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둘러싸서 가랑이 영역(21)에서의 배설물의 가로 누설 방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패널(1)에는 가랑이 영역(21)에 있어서의 폭 좁은 부분과 앞뒤 몸통 둘레 영역(20, 22)에 있어서의 폭 넓은 부분을 갖는 사이드 플랩(10)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10)은 커프스(5)의 기측연부(5b)에서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커프스(5)의 부분과 백 시트(3)의 측연부가 서로 고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패널(1)의 앞뒤 몸통 둘레 영역(20, 22)에는 패널(1)의 양단연(24)을 따라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름형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1, 12)가 신장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뒤 몸통 둘레 영역(22)에는 양측연(23)에서 패널(1)의 폭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13)의 기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톱 시트(2)에는 부직포와 개공 플라스틱 필름 등의 투액성의 시트, 바람직하게는 투액성으로서 소수성의 시트가 사용된다. 백 시트(3)에는 불투액성의 플라스틱 필름 또는 플라스틱 필름과 소수성 부직포의 라미네이트 시트, 바람직하게는 통기 불투액성의 시트가 사용된다. 누설 방지 커프스(5)에는 통기성 부직포, 바람직하게는 통기 불투액성의 부직포 시트가 사용된다. 부직포로서는, 평량 5∼150 g/m2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펀 본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멜트블로우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코어(4)는 플랩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이며, 소요의 두께로 압축되어, 전체가 티슈 페이퍼 등의 투수 시트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다. 부재의 고착, 부착에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나 점착제, 각 부재에 대한 열 용착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방형의 일회용 기저귀 외에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가 가랑이 영역(21)의 중앙부에 있어서 U 자형과 역 U 자형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한쌍의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가 패널의 양측연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기저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착용 물품에 따르면, 커프스의 자유측연부와 기측연부의 사이에 부착된 탄성 부재가 커프스를 기립시키기 쉽게 하는 동시에, 커프스의 쓰러짐을 막아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와 협동하여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둘러싸기 때문에, 배설물의 가로 누설 방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투액성 톱 시트와, 불투액성 백 시트와, 이들 시트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를 갖는 적층 패널로 구성되며, 길이 방향에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둘레 영역과, 이들 앞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코어의 양측연부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여 상기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제1 탄성 부재를 신장 상태로 부착한 자유측연부와 상기 패널의 상측면에 고착된 기측연부와 상기 앞뒤 몸통 둘레 영역에 위치하는 양단연부를 가지며 상기 패널의 상측면에서 윗쪽으로 기립 성향을 갖는 한쌍의 누설 방지 커프스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커프스 각각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 라인의 제2 탄성 부재가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커프스의 자유측연부와 기측연부의 사이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양측연부에는 각각에 형성된 다리 둘레를 따라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상기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가 상기 패널의 앞쪽 절반을 따라 실질적으로 원호를 그리며 연장되어 상기 가랑이 영역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상기 패널을 가로 지르는 중간부를 갖는 제3 탄성 부재와, 상기 패널의 뒤쪽 절반을 따라 실질적으로 원호를 그리며 연장되어 상기 중앙부에 상기 제3 탄성 부재의 중간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패널을 가로 지르는 중간부를 갖는 제4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2 탄성 부재가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제3, 제4 탄성 부재 각각의 중간부의 양측과 입체적으로 교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가 상기 커프스의 기측연부측으로 기울어진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스 양단연부 각각이 상기 패널의 내측으로 쓰러진 상태로 상기 패널의 상측면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KR1020000012071A 1999-03-12 2000-03-10 일회용 기저귀 KR100634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66759 1999-03-12
JP06675999A JP3550041B2 (ja) 1999-03-12 1999-03-12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565A true KR20010014565A (ko) 2001-02-26
KR100634851B1 KR100634851B1 (ko) 2006-10-17

Family

ID=1332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071A KR100634851B1 (ko) 1999-03-12 2000-03-10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034761B1 (ko)
JP (1) JP3550041B2 (ko)
KR (1) KR100634851B1 (ko)
CN (1) CN1147280C (ko)
BR (1) BR0000706B1 (ko)
CA (1) CA2300457C (ko)
DE (1) DE60022930T2 (ko)
MY (1) MY127682A (ko)
SG (1) SG82072A1 (ko)
TW (1) TW42208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9405A1 (en) * 2004-11-01 2006-05-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strategic scenari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3581B2 (ja) * 1999-04-23 2008-01-1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100861634B1 (ko) * 1999-07-14 2008-10-07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일회용 흡수 용품
JP4043152B2 (ja) * 1999-08-31 2008-02-0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392173B2 (ja) * 2002-01-30 2009-1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4225755B2 (ja) * 2002-08-23 2009-02-18 白十字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US20070123834A1 (en) * 2005-11-28 2007-05-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absorbent article
JP4638368B2 (ja) * 2006-03-27 2011-02-23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4963250B2 (ja) * 2007-03-26 2012-06-2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2309966B1 (en) * 2008-08-05 2013-07-17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JP5596984B2 (ja) * 2010-01-08 2014-10-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CN102727346A (zh) * 2012-07-04 2012-10-17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一次性吸收物品
JP6141042B2 (ja) * 2013-02-15 2017-06-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褥瘡予防機能付き使い捨て尿取りパッド
JP6088298B2 (ja) * 2013-03-08 2017-03-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84175B2 (ja) * 2013-03-29 2018-02-2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5828767A (zh) * 2013-12-20 2016-08-03 宝洁公司 具有改善的形状和舒适度的尿布
JP5580949B1 (ja) * 2014-04-09 2014-08-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16059673A (ja) * 2014-09-19 2016-04-25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吸収体物品及びスキンコンタクトシート
JP6510808B2 (ja) * 2014-12-25 2019-05-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4246A (en) * 1985-01-28 1988-03-29 Ga Technologies Inc. Elongated toroid fusion device
US4743246A (en) * 1985-10-11 1988-05-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waist cuffs
JP2536935B2 (ja) * 1989-10-05 1996-09-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JP2826185B2 (ja) * 1990-03-12 1998-11-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型着用物品
MY117258A (en) * 1990-11-30 2004-06-30 Kao Corp Diaper
US5366453A (en) * 1991-09-11 1994-11-22 Kimberly-Clark Corporation Newborn's growth adjustable absorbent diaper having variable overlapping and non-overlapping ears
MY119240A (en) * 1993-04-19 2005-04-30 Kao Corp Shorts type disposable diaper
TW299633U (en) * 1994-07-14 1997-03-01 Uni Charm Corp Disposable absorbent undergarment
JP3830545B2 (ja) * 1994-08-23 2006-10-0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脚閉鎖部を有する吸収性製品
US5766411A (en) * 1995-08-28 1998-06-16 Paragon Trade Brands. Inc. Apparatus for producing a garment with barrier device
US5743994A (en) * 1995-11-06 1998-04-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article with asymmetric leg elastics
KR100861634B1 (ko) * 1999-07-14 2008-10-07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일회용 흡수 용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9405A1 (en) * 2004-11-01 2006-05-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strategic scenari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280C (zh) 2004-04-28
BR0000706B1 (pt) 2009-01-13
EP1034761A2 (en) 2000-09-13
BR0000706A (pt) 2000-10-03
JP3550041B2 (ja) 2004-08-04
DE60022930T2 (de) 2006-07-27
MY127682A (en) 2006-12-29
KR100634851B1 (ko) 2006-10-17
CA2300457C (en) 2005-11-29
TW422087U (en) 2001-02-11
SG82072A1 (en) 2001-07-24
JP2000262553A (ja) 2000-09-26
EP1034761B1 (en) 2005-10-05
CA2300457A1 (en) 2000-09-12
EP1034761A3 (en) 2001-04-11
DE60022930D1 (de) 2005-11-10
CN1266672A (zh) 200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851B1 (ko) 일회용 기저귀
JP3510150B2 (ja) 使い捨ての体液処理物品
JP3434649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3375282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0474146B1 (ko)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
KR100604165B1 (ko) 일회용 기저귀
JP3385188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0633750B1 (ko) 착용 물품
KR100775397B1 (ko)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JP3519025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5483682B2 (ja) 着用物品
JP5676901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KR100673919B1 (ko) 일회용 기저귀
KR20000077310A (ko) 일회용 기저귀
KR20010051713A (ko)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KR20060099526A (ko) 일회용 팬티형 의복
JP2002143216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0872387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20020070139A (ko) 일회용 기저귀
JPH11323611A (ja)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KR100592742B1 (ko) 착용 물품
KR20000057870A (ko) 일회용 기저귀
JP2005013268A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3926585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4901341B2 (ja) 着用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