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175A - 휠식 크레인과 그 수송방법 및 연결형 차량 - Google Patents

휠식 크레인과 그 수송방법 및 연결형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175A
KR20010014175A KR1019997012248A KR19997012248A KR20010014175A KR 20010014175 A KR20010014175 A KR 20010014175A KR 1019997012248 A KR1019997012248 A KR 1019997012248A KR 19997012248 A KR19997012248 A KR 19997012248A KR 20010014175 A KR20010014175 A KR 20010014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tractor
wheel
frame
travel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0010B1 (ko
Inventor
미야자와히로시
Original Assignee
구마모토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마모토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구마모토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20010014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4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comprising a vehicle carrying an essential part of the other vehicle's load by having supporting means for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other vehicle
    • B62D53/08Fifth wheel traction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8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transpor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4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comprising a vehicle carrying an essential part of the other vehicle's load by having supporting means for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other vehicle
    • B62D53/06Semi-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9/00Trailers with driven ground wheels or the like
    • B62D59/04Trailers with driven ground wheels or the like driven from propulsion unit on tra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크레인이 도로상에서 수송되어질 때, 하부주행체(1)의 전륜(4)이 노면에서 뜨도록 크레인전체를 앞이 올라가게 들어올린 상태에서, 하부주행체(1)의 전단부에 설치한 연결프레임(19)을 견인용의 트랙터(T)의 연결기(23)에 연결하고, 이에 의하여 긴 축간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세미트레일러로서 자력 주행할 수 있도록 한 휠식 크레인과 그 수송방법 및 연결형 차량.

Description

휠식 크레인과 그 수송방법 및 연결형 차량{WHEELED CRANE, METHOD OF TRANSPORTING SAME, AND COUPLED VEHICLE}
예를 들면, 올 터레인 크레인(all terrain crane)으로 불리우는 일정중량을 넘는 대형의 휠식 크레인은, 일반도로상에서 수송할 때, 주로 교량보호를 위한 차량제한법의 규제를 받아 자력주행으로 자유롭게 도로상에서 수송할 수 없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a) 이러한 대형의 휠식 크레인이 도로상에서 수송하려고 할 때, 하부주행체와 상부선회체로 상하 분해하여, 하부주행체는 자력 수송하는 한편, 상부선회체는 별도로 트레일러로 수송하거나,
(b) 차량제한법에 위반되지 않는 루트를 선택하여 목적지까지 자력 수송한다.
그러나, 수송시마다 분해하여, 목적지 도착 후에 조립하게 하는 상기의 수송방법(a)에 있어서, 이러한 분해 및 조립을 위해 많은 수송시간과 수송비용을 증가하게 한다.
또한, 방법(b)에 의해서도, 교량통과를 피하기 위한 우회 수송으로 인해 수송하는 시간과 비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일정한 특정 목적지로 수송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차량제한법을 따르는 동안 자력으로 당해 휠식 크레인을 도로상에 수송하는 방법으로서, 전후의 차축간격(축간 거리)을 길게 하여 각 차륜상에 걸리는 하중을 넓은 스판으로 분산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차량길이가 길어져서 협소한 곳에 진입하는 것이 어렵거나, 협소한 현장에서 크레인이 작동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혹은 크레인이 매달아 올려질 대상물에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어서 매달아 올리는 능력의 저하를 초래하여 크레인에 있는 본래의 성능이 희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노력으로, 전륜(前輪)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일본 실개소 제56-14403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로수송시에는
a) 당해 크레인의 견인을 위한 연결부를 트랙터의 연결기에 연결하고,
b) 전륜을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승시켜서 노면에서 뜨게 한다.
이에 의하여, 축간거리를 실질적으로 넓힌 상태로, 크레인전체를 트랙터에 의해서 견인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면, 전륜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므로, 차륜현가기구의 대규모 개조가 필요해져서, 상기 기구의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그리하여, 이 차륜현가기구 비용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신뢰성이 특히 요구되는 차륜현가기구로서 적합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크레인 그 자체의 축간거리를 확대하지 않고, 차륜현가기구를 개조할 필요없이, 차량제한법에 따라 긴 축간거리를 가진 상태로 도로상에서 수송 가능한 휠식 크레인뿐만 아니라 이 휠식 크레인을 수송하기 위한 방법 및 연결형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력 주행하려고 할 때, 도로수송에 제한을 받는 대형의 휠식 크레인과 그 휠식 크레인 수송방법, 및 연결형 세미트레일러식 차량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휠식 크레인의 단독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2는 크레인을 도로수송하기 위해 연결프레임을 연결위치에 세트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상태로부터 크레인과 트랙터를 함께 연결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크레인과 트랙터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연결부의 구성과 작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경 실시예에 따라, 노면으로부터 크레인의 후륜을 뜨게 하여 트랙터와 크레인의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부주행체와, 이 하부주행체상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된 상부선회체를 포함하고, 상부선회체에는 기복 가능한 붐과 크레인작업시용 및 주행시용 운전실이 설치되고, 하부주행체에는 적어도 주행체프레임 전후 양측에 차축이 설치되고, 이 차축의 양측에 크레인의 자주용 차륜이 설치된 휠식 크레인을 수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주행체를, 견인용의 트랙터의 연결기에 대하여:
① 크레인 전체가 들어 올려져서 크레인의 전후 양측의 차륜중 트랙터측 차륜이 노면으로부터 뜨는 상태에서,
② 크레인하중의 일부가 트랙터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그리고
③ 하부주행체가 트랙터의 연결기를 중심으로 하여 종축 주위로 상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고,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휠식 크레인을 트랙터로 견인하여 도로수송한다.
도 1은 크레인(C) 단독의 상태를 도시하는 한편, 도 4는 도로수송에 있어서, 크레인(C)과 트랙터(T)를 함께 연결한 상태의 연결형 차량을 도시하고 있다.
크레인(예를 들어, 올 터레인 크레인으로 불리는 대형 휠식 크레인)(C)의 기본 구성은 종래의 동종크레인의 기본구성과 같고, 상부선회체(2)는 종축(O) 주위에 선회가능하도록 하부주행체(1)상에 탑재되어 있다.
하부주행체(1)는 주행체프레임(3)을 가지며, 한 개의 앞부분 차축(4)이 주행체프레임(3)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2개의 후부차축(5,6)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방식으로 주행체프레임의 후부에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전륜(7)은 앞부분 차축(4)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어 있고 후륜(8,9)은 후부차축(5,6)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한, 주행체프레임(3)의 앞부분과 후단부에는 수평 및 수직 양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아웃트리거(10,11)가 각각 설치되고, 또한 상기 프레임 전단부에 수직방향으로만 신장 가능한 보조 아웃트리거(12)가 설치되고, 크레인작업시 아웃트리거(10,11,12)에 의해 크레인 몸체가 지지된다.
또한, 앞부분의 아웃트리거(10)는 아래설명 하는 바와 같이, 하부주행체(1)를 들어올리기 위한 잭장치로서 사용되어 트랙터(T)와의 연결시 하부주행체의 앞면이 올려진다.
한편, 상부선회체(2)는 선회프레임(13)을 가지는데, 이 선회프레임(13)에는 크레인작업시 및 주행(크레인단독에서의 주행)시 공용되는 운전실(14)이 설치된다. 또한 신축식 붐(15)은 붐기복실린더(16)에 의하여 붐다리핀(17)에 대해 기복할 수 있도록 선회프레임(13)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붐(15)은 크레인(C) 단독상태로 또한 최대로 엎드린 상태로 앞이 내려가게 경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편, 트랙터(T)와 크레인(C)의 연결 상태에서, 크레인의 전체가 앞이 올라가게 경사함으로써 붐(15)이 거의 수평이 된다
부재번호 18은 선회프레임(13)의 후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카운터웨이트로서, 크레인(C)의 도로수송에 있어서 이 카운터웨이트(18)는 선회프레임(13)으로부터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운송된다.
크레인(C)에 있어서, 트랙터(T)에 대한 연결수단으로서의 연결프레임(19)은 도 1 실선 및 도 2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행체프레임(3)의 앞부분 상면에 얹어 놓여지는 격납위치와 그리고 도 2 실선 및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격납위치로부터 수평축 주위 전방으로 거의 180°회전운동하여 주행체프레임(3)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연결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하도록 힌지기구(20)에 의해 주행체프레임(3)의 전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연결프레임(19)은 크레인(C) 단독상태(트랙터(T)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격납위치에 세트되고, 크레인이 트랙터(T)와의 연결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 그 자체의 매달아 올리는 기능을 이용하여 연결위치에 세트된다. 도 2에 있어서 부재번호 21은 윈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감아올림·감아내림되는 매달기로프이다.
킹핀(22)은 연결프레임(19)의 선단부 하면(연결위치에서의 하면)에 돌출 설치되고, 트랙터(T)측에 설치된 연결기(23)와 킹핀(22)으로 이루어지는 공지된 연결기구에 의해서, 연결프레임(l9)(크레인(C))과 트랙터(T)는 소위 세미 트레일러식 즉, 크레인하중의 일부가 연결부분에의해 지지되고, 연결점(P)(도 5에 도시된 연결기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종축 주위에 상대적으로 피봇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연결기(23)는 도 6a 및 도 6b에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위치와 패쇄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는데 적합한 한 쌍의 조(jaw)(24)와 그리고 조(24)를 패쇄위치에 유지하는 조스프링(30)을 포함하고, 킹핀(22)이 조(24)들 사이에 도입되었을 때, 조작기구(도시하지 않음)의 작용에 의해 조(24)가 패쇄되어 킹핀(22)을 로크(연결)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트랙터(T)는 운전실(25)의 후부에 연결기(23)가 부착된 견인대(26)를 갖고, 운전실(25) 및 견인대(26)의 하부에 전륜(27) 및 후륜(28,29)이 설치되어 있다.
크레인작업시 크레인(C)은 도 1에서와 같은 단독상태(트랙터(T)에서 분리한 상태)로 사용된다. 크레인은 전륜(7) 및 후륜(8,9)에 의해서 현장내를 주행하고, 필요에 따라서 각 아웃트리거(10,11,12)를 신장하여 크레인작업을 한다. 이 때, 연결프레임(19)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격납위치에 세트된다.
한편, 크레인(C)은 상기 크레인 작업완료후 공공 도로를 이용하여 다음 작업현장으로 운송할 때 차량제한법의 규제를 받아, 크레인 단독상태로는 교량을 포함하는 루트를 따라 도로를 수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도로수송에 있어서, 크레인(C)은 다음 순서에 의해서 트랙터(T)에 연결된다.
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19)을 연결위치에 세트한다.
②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부분 아웃트리거(10)를 수직방향으로만 신장하여 크레인 앞부분을 들어올리고, 전륜(7)이 지면으로부터 뜨게 한다.
③ 이 후, 트랙터의 후방이 크레인(C)의 전방을 면하도록 배치된 트랙터(T)를 후퇴시키고, 견인대(26)를 크레인 주행체프레임(3)의 아래쪽으로 잠입시키고, 상기한 바와 같이 킹핀(22)과 연결기(23)를 서로 연결한다.
④ 이 후, 앞부분 아웃트리거(10)를 후퇴시켜서 트레일러로서 크레인(C)이 트랙터(T)에 연결된 연결식 세미트레일러가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형 차량의 상태에 있어서, 크레인(C)의 카운터웨이트(18)는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운송된다.
또한, 크레인 단독으로의 주행시 크레인(C)의 전·후륜(7,8,9)은 스티어링휠에 따라 스티어링되지만, 견인에 의한 수송시에는 스티어링되지 않게 로크된다.
이러한 연결형 차량으로서 연결된 크레인상태에서는, 크레인의 전륜(7)이 노면에서 뜸으로써 차량전체의 축간거리가 크레인단독상태의 경우보다도 확대되어 노면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된다.
더 구체적으로, 총중량이 60톤인데 이 총중량중 카운터웨이트의 중량이 12톤이고 크레인 트랙터중량이 10톤이고 연결상태에서 합계 중량이 58톤이 되는 차량에 있어서, 14.05톤은 크레인(C)의 각각의 후륜(8,9)에 부과되고, 20.0톤은 제 5륜으로서 연결부에 부과되고, 11.59톤은 트랙터의 최후륜(29)에 부과되고, 11.69톤은 트랙터 후륜(28)에 부과되고, 6.04톤은 트랙터 전륜에 부과된다. 이러한 하중배분은 차량제한법에 적합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연결식 차량은 교량주행이 가능해져서, 크레인(C)은 목적지까지 최단루트를 따라 도로 수송할 수 있다.
또한, 붐(15)에 의해서 연결형 차량 전체높이가 결정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연결형 차량의 상태에서, 붐(15)이 거의 수평이 되기 때문에, 차량 전체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수송후, 연결순서와 반대의 순서를 따라 크레인(C)에서 트랙터(T)를 분리하여 크레인전륜(7)을 접지시키고, 연결프레임(19)을 격납위치에 세트하고 카운터웨이트(18)를 장착함으로써, 원래의 콤팩트한 크레인(C) 단독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변경 실시예)
(1) 상기 실시예에서, 크레인(C)에 원래 장비된 앞부분 아웃트리거(10)는 트랙터(T)와 크레인의 연결시 크레인(C)의 전륜(7)을 뜨게 하기 위해 크레인 앞부분을 들어올리는 잭장치로서 사용되었는데, 들어올림 전용 잭장치는 크레인(C)의 하부주행체(1)에 설치될 수 있다.
들어올림 수단으로서 앞부분 아웃트리거(10) 즉, 전용 잭장치는 전륜(7)의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2) 상기 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19)이 크레인 자체의 매달아 올리는 기능을 이용하여 격납위치와 연결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하게 이동되기는 하지만, 프레임(19)은 유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와 링크를 조합한 기구, 또는 구동원으로서 유압모터 등을 사용하는 그리고 래크와 피니온을 구비한 기어기구에 의해서 양위치 사이로 이동될 수도 있다.
(3)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프레임(19)은 힌지기구(20)에 의해 수평축 주위에 피봇가능하게 이동되어서 연결위치와 격납위치 사이로 이동되기는 하지만, 프레임(19)은 종축 주위에, 양위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회전운동될 수도 있다.
또는, 프레임(19)은 양위치 사이에서 끌어넣기식으로 슬라이드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19)은 주행체프레임(3)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양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4) 상기 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19)이 주행체프레임(3)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크레인(C)이 트랙터(T)에 의하여 크레인의 앞부분이 트렉터에 면하도록 견인되기는 하지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19)은 주행체프레임(3)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크레인(C)은 트랙터(T)에 의하여 크레인(C)의 뒷부분이 트랙터에 면하도록 견인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5) 연결프레임(19)은 항상 상기 실시예와 같이 주행체프레임(3)내에 연결프레임의 전체가 완전히 수용되는 방식으로 격납할 필요는 없고, 일부분의 돌출이 협소진입성, 크레인의 매달아 올리는 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주행체프레임(3) 외부로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격납할 수도 있다.
(6) 연결프레임(19)이 격납된 곳은 주행체프레임(3)의 상면에 한정하지 않고 이 연결프레임(19)은 주행체프레임의 하면측에 격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크레인 전체가 들어올려져서 전후양측의 차륜중 트랙터측의 차륜이 노면에서 뜨고 이러한 상태에서 크레인의 하부주행체는 종축 주위에 상대적으로 피봇가능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그리고 분리 가능하게 트렉터에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 상태에서 휠식 크레인은 트랙터에 의해 도로수송하기 위해 견인된다. 트랙터와 분리한 크레인단독 상태에서 크레인 그 자체의 전후차륜간격이 축간거리(소축간거리)가 되는 한편, 도로수송시 트랙터측과 대향하는 측에 위치된 크레인 차축과 트랙터의 차축과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축간거리(대축간거리)가 된다.
그리하여, 도로수송시 크레인은 그 자체의 축간거리는 확대시키지 않고, 차량제한법에 적합한 긴 축간거리를 확보하는 한 자력 주행 세미트레일러 형식으로 운송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수송시 교량을 포함하는 최단거리의 루트를 선택하여 수송시간을 단축하고 수송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수송후에 크레인은 콤팩트한 차체로 되돌아가서 본래의 크레인성능(협소진입성, 협소작업성, 매달아 올리는 능력)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트랙터와 크레인은 차륜을 올리고 내림함으로써가 아니고, 크레인전체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연결되어 트랙터측에 위치된 크레인의 차륜을 노면에서 뜨게하므로, 이 차륜의 현가기구에 어떠한 개조를 가할 필요가 없고, 이 현가기구가 복잡화되는 어떠한 염려도 없다.
또한, 크레인의 모든 차륜이 접지하고 그리고 붐이 최대로 엎드린 상태일 때 즉, 붐이 앞이 내려가게 경사할 때, 크레인전체가 앞이 들어올려져서 붐이 거의 수평이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크레인이 트렉터에 의하여 견인됨으로써, 도로수송에 있어 차량전체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크레인 전체가 앞이 올라가게 되는 상태에서 크레인이 트랙터에 연결되는 구성을 취한다 할지라도 차량높이의 증가가 생기지 않는다.
더욱이, 크레인은 크레인의 앞쪽이 트랙터를 면하도록 견인되기 때문에 크레인의 뒤쪽이 크레인에 면하는 경우와는 달리 붐이 후방으로 돌출하지 않아 연결형 차량전체 길이가 길어지게 하는 염려가 없다.
한편, 연결프레임이 적어도 트랙터와 연결될 때, 주행체프레임으로부터 트랙터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연결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공지된 트레일러로부터 연결·분리되는데 적합한 기존의 트랙터를 그대로 크레인 트랙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프레임이 주행체프레임으로부터 트랙터측으로 돌출하는 연결위치와 연결프레임이 주행체 프레임측으로 후퇴되는 격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연결프레임을 부착함으로써, 연결프레임을 크레인의 분리상태에서 주행체 프레임측에 격납할 수 있어서 도로수송에 있어 크레인이 트랙터로 견인하는 구성을 취한다 할지라도, 주행체프레임을 연장시킬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연결프레임이 매달아 올리는 대상물에의 접근과 좁은 장소에의 진입과 같은 크레인작업의 방해가 될 수 없다.
그리하여, 협소진입성이 나빠지거나, 매달아 올리는 능력이 저하할 염려가 없다.
더욱이, 연결프레임을 수평축 주위에 피봇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크레인 자체의 매달아 올리기 기능에 의해 연결프레임의 이동을 연결 및 격납 양위치 사이에서 할 수 있다. 즉, 또 다른 크레인을 사용하거나, 유압실린더 등의 추가적인 특정 이동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크레인이 트랙터와 연결될 때, 크레인의 트랙터측 차륜이 노면에서 뜨도록 크레인을 들어올리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크레인을 매달아 올리기 위한 또 다른 크레인이나 크레인을 들어올리기 위해 트랙터를 개조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크레인 작업에서 아웃트리거로서 작용하는 잭장치는 주행체프레임의 트랙터측 단부에 설치하면 즉, 아웃트리거가 들어올림 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구성을 또한 취하면 설비의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력주행 도로수송에 제한을 받는 대형의 휠식 크레인은 크레인 그 자체의 축간거리는 확대하지 않고 차량제한법에 적합한 긴 축간거리를 확보하는 한 도로수송에 의해 운송될 수 있고, 또한 차륜현가기구의 개조가 필요하지 않다.

Claims (11)

  1.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상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된 상부선회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선회체에는 기복 가능한 붐과, 크레인작업시용 및 주행시용 운전실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주행체에는 주행체프레임의 적어도 전후 양측에 차축이 설치되고, 상기 차축의 양측에 크레인의 자주용 차륜이 설치된 휠식 크레인의 수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주행체를, 견인용의 트랙터의 연결기에 대하여:
    ① 크레인 전체가 들어올려져서 크레인의 전후 양측의 차륜중 트랙터측의 차륜이 노면에서 뜨는 상태에서,
    ② 크레인 하중의 일부가 상기 트랙터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그리고
    ③ 상기 하부주행체가 상기 트랙터의 상기 연결기를 중심으로 하여 종축 주위로 상대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고,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휠식 크레인을 상기 트랙터로 견인하여 도로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크레인의 수송방법.
  2.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상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된 상부선회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선회체에는 붐과 그리고 크레인작업시용 및 주행시용 운전실이 설치되고, 상기 붐이 기복가능하고 그리고 크레인의 모든 차륜접지상태에서 또한 붐의 최대로 엎드린 상태에서 앞이 내려가게 경사되고, 상기 하부주행체에는 주행체프레임의 적어도 전후 양측에 차축이 설치되고, 상기 차축의 양측에 크레인의 자주용 차륜이 설치된 휠식 크레인의 수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주행체를, 견인용 트랙터의 연결기에 대하여:
    ① 크레인 전체가 앞이 올라간 경사상태로 들어올려져서 상기 붐이 거의 수평으로 됨과 동시에 크레인의 전륜이 노면으로부터 뜨는 상태에서,
    ② 크레인하중의 일부가 상기 트랙터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그리고
    ③ 상기 하부주행체가 상기 트랙터의 상기 연결기를 중심으로 하여 종축 주위로 상대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분리가능하게 연결하고,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휠식 크레인을 상기 트랙터로 견인하여 도로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크레인의 수송방법.
  3.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상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된 상부선회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선회체에는 기복 가능한 붐과, 크레인작업시용 및 주행시용 운전실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주행체에는 주행체프레임의 적어도 전후 양측에 차축이 설치되고, 상기 차축의 양측에 크레인의 자주용 차륜이 설치된 휠식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주행체프레임에 트랙터 연결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주행체가 상기 트랙터 연결수단에 의해 트랙터의 연결기에 연결되고, 그리고 이렇게 연결된 상태에서:
    ① 크레인 전체가 들어올려져서 크레인의 전후 양측의 차륜중 트랙터측 차륜이 노면에서 뜨고,
    ② 크레인하중의 일부가 상기 트랙터에 의해 지지되고, 그리고
    ③ 상기 하부주행체가 상기 트랙터의 상기 연결기를 중심으로 하여 종축 주위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크레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붐이 크레인의 모든 차륜접지상태에서 또한 붐의 최대로 엎드린 상태에서 앞이 내려가게 경사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트랙터 연결수단이 상기 주행체프레임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트랙터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주행체가 상기 트랙터의 상기 연결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크레인 전체가 앞이 올라가게 경사하여 상기 붐이 거의 수평으로 됨과 동시에 크레인의 전륜이 노면에서 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크레인.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트랙터에 대한 크레인의 연결시에는 주행체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트랙터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상기 주행체프레임에서의 트랙터측 단부에, 연결프레임이, 설치되고, 트랙터에 대한 연결구가 연결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트랙터연결수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크레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주행체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주행체프레임으로부터 트랙터측으로 돌출하는 연결위치와, 상기 주행체 프레임측으로 후퇴하는 격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크레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위치에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주행체프레임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크레인.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주행체 프레임에 대하여, 수평축 주위로 상기 연결위치와 상기 격납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크레인.
  9. 제 3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랙터에 대한 크레인의 연결시에 트랙터측의 차륜이 노면에서 뜨는 상태로 상기 하부주행체를 들어올리는 들어올림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크레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들어올림 수단으로서, 하부주행체에서의 상기 주행체프레임의 트랙터측 단부에, 크레인 작업시에는 크레인 전체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는 아웃트리거로서 작용하는 잭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크레인.
  11. 제 3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휠식 크레인과, 이 휠식 크레인을 도로수송시에 견인하는 트랙터가, 트랙터 연결수단과 트랙터에 설치된 연결기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형 차량.
KR10-1999-7012248A 1997-06-25 1998-06-23 휠식 크레인과 그 수송방법 및 연결형 차량 KR100380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68703 1997-06-25
JP16870397 1997-06-25
JP98-57144 1998-03-09
JP5714498 1998-03-09
JP5714598 1998-03-09
JP98-57145 1998-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175A true KR20010014175A (ko) 2001-02-26
KR100380010B1 KR100380010B1 (ko) 2003-04-14

Family

ID=27296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2248A KR100380010B1 (ko) 1997-06-25 1998-06-23 휠식 크레인과 그 수송방법 및 연결형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10042728A1 (ko)
KR (1) KR100380010B1 (ko)
CN (1) CN1116996C (ko)
AU (1) AU8039198A (ko)
DE (1) DE19882499T1 (ko)
WO (1) WO19980588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4019006A8 (pt) * 2012-02-10 2017-12-26 Michelin & Cie Melhoria de economia de combustível de veículo otimizando-se a resistência à rolagem efetiva do pneu
CN104029625B (zh) * 2014-06-17 2016-11-09 王国利 半挂车空载三车并一车运输系统及方法
CN111806329B (zh) * 2020-04-17 2023-02-17 李巧庆 一种流态水泥土运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35558Y1 (ko) * 1965-09-02 1971-12-07
FR2256066B1 (ko) * 1974-10-09 1977-03-18 Ppm Sa
JPS5614082U (ko) * 1979-07-14 1981-02-06
JPS56144082U (ko) * 1980-03-26 1981-10-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0010B1 (ko) 2003-04-14
AU8039198A (en) 1999-01-04
WO1998058819A1 (fr) 1998-12-30
CN1116996C (zh) 2003-08-06
DE19882499T1 (de) 2000-07-06
US20010042728A1 (en) 2001-11-22
CN1259096A (zh)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2821A (en) Mobile crane with improved boom construction
US6283315B1 (en) Crane, preferably a derrick crane
US4079798A (en) Load-sharing unit for load-carrying vehicles
US4660731A (en) Telescopic crane for heavy loads
US4053061A (en) Mobile crane
US7845503B2 (en) Pipe-laying machine
US5829605A (en) Mobile crane towable by a pickup truck
US20100108632A1 (en) Pipelayer Crane Excavator Apparatus and Methods
JP3126987B2 (ja) クレーン車
US4150754A (en) Utility crane
CA1106830A (en) Vehicle stabilizer
US3613918A (en) Field service vehicle
US3448874A (en) Mobile crane with spaced pivotally mounted booms
US3680720A (en) Track laying equipment and carrier therefor
KR100380010B1 (ko) 휠식 크레인과 그 수송방법 및 연결형 차량
JP2577577Y2 (ja) チュービング装置移動用台車
JP4280899B2 (ja) 車台に車輪と履帯を備えた移動式クレーン
CN219194289U (zh) 一种大起重量防爆柴油机履带式起重机
CN216331667U (zh) 一种煤矿用窄型运管车
RU1776630C (ru) Самоходный грузоподъемный кран
GB1579797A (en) Wheeled vehicles
EP0158537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railer mounted material handling apparatus
JPH11255479A (ja) ホイールクレーン
JPS6132840Y2 (ko)
JP2004345855A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