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115A - Connection managing method of digital interface - Google Patents

Connection managing method of digital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115A
KR20010011115A KR1019990030340A KR19990030340A KR20010011115A KR 20010011115 A KR20010011115 A KR 20010011115A KR 1019990030340 A KR1019990030340 A KR 1019990030340A KR 19990030340 A KR19990030340 A KR 19990030340A KR 20010011115 A KR20010011115 A KR 20010011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plug
connection
release request
digital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3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07933B1 (en
Inventor
김도형
성관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30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933B1/en
Publication of KR20010011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1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93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06F13/4286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using a handshaking protocol, e.g. RS232C l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12High speed serial bus, e.g. IEEE P139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digital interface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is provided to release a point to point connec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CONSTITUTION: A digital interface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es steps of checking when a source device wants to release a point to point connection(300), allowing the source device to try an asynchronization lock(Asynclock) transaction with the other device in a point to point connection with the source device(302), the source device transmitting the asynchronization lock(Asynclock) to a release request field and a release request plug ID field of the other device, and the other device checking if a point to point connection exists in a plug corresponding to the release request plug ID(304), and the source device releasing the point to point connection with respect to the plug corresponding to the release request plug ID in the case that the other device has the point to point connection plug corresponding to the release request plug ID(306).

Description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Connection managing method of digital interface}Connection management method of digital interface

본 발명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된 디지털 장치들 사이의 연결 관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IEEE-1394와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된 디지털 장치들 사이에 점대점 접속이 설정되어 있을 때, 이 점대점 연결의 당사자 기기가 상기 점대점 연결을 끊을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of a digital interface for performing connection management between digital devices connected through a digital interf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int-to-point connection between digital devices connected through a digital interface such as IEEE-1394. A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for a digital interface that allows a party device of this point-to-point connection to disconnect the point-to-point connection when a point connection is established.

복수 개의 디지털 장치들은 IEEE-1394 표준과 같은 인터페이스 표준에 준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디지털 기기들 사이의 연결관리에 대하여는 IEC-61883 표준에서 규정하고 있다. IEC-61883 표준에 따르면, 각 디지털 기기에 대하여 비트 스트림이 흘러 들어오는 입구로서 입력 플러그(input plug)와 비트 스트림이 흘러 나가는 출구로서 출력 플러그(output plug)를 정의하고, 각 기기들이 내부에 가지고 있는 출력 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output master plug register: oMPR), 출력플러그제어레지스터(output plug control register: oPCR), 입력 마스터플러그레지스터(input master plug register: iMPR), 및 입력플러그제어레지스터(input plug control register: iPCR) 등의 레지스터들을 관리함으로써 입력 플러그와 출력 플러그를 제어하고, 이로써 디지털 기기들 사이의 연결 관리를 수행한다.A plurality of digital devices can be interconnected through a digital interface conforming to an interface standard such as the IEEE-1394 standard, and connection management between such digital devices is specified in the IEC-61883 standard. According to the IEC-61883 standard, for each digital device, an input plug is defined as an inlet through which the bit stream flows in and an output plug a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bit stream flows out. Output master plug register (oMPR), output plug control register (oPCR), input master plug register (iMPR), and input plug control register (oMPR) iPCR) to control the input plug and output plug by managing the registers, thereby performing the connection management between the digital devices.

이러한 디지털 기기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연결의 하나의 형태인 점대점 연결(point-to-point connection)은 출력 플러그와 입력 플러그, 및 이들 사이의 채널로 구성되는 연결로서 임의의 기기가 그 연결을 설정(establish) 및 오버레이(overlay)할 수 있고, 그 연결을 설정한 기기만이 그 연결을 끊을 수 있도록 정의되어 있다. 이러한 점대점 연결의 설정이나 해제는 상술한 oMPR, oPCR, iMPR, 및 iPCR 등의 레지스터들을 관리함으로써 수행된다.A point-to-point connection, a form of connection between these digital devices, consists of an output plug, an input plug, and a channel between them, and any device establishes a connection ( It is defined so that only a device that can establish and overlay and establish the connection can disconnect the connection. The establishment or release of such a point-to-point connection is performed by managing registers such as oMPR, oPCR, iMPR, and iPCR described above.

도 1에는 종래의 연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내었으며, 도 2에는 IEC-61883 규격에서 사용되는 oPCR 및 iPCR 레지스터의 연결 관련 필드를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DVCR(10), 제1 DTV(12), 및 제2 DTV(14)가 IEEE-1394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점대점 연결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연결관리 방법이 수행되는 기기들은 IEC-61883 규격에서 사용되는 출력 플러그제어레지스터(oPCR:(a))와 입력 플러그제어레지스터(iPCR:(b))는 각각 연결 관련 필드들(P-2-Pcnt, nCh)과 연결 관련 필드들(P-2-Pcnt, nCh)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플러그제어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기기들이 점대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예를들어, DVCR(10)의 oPCR의 내용은 oPCR.P-2-P_Connection_Counter(P-2-Pcnt) = 1, oPCR.Channel_Number = 33이 되고 제1 DTV(12)의 iPCR의 내용은 iPCR.P-2-P_Connection_Counter(P-2-Pcnt) = 1, iPCR.Channel_Number = 33이 된다. 또한, iPCR과 oPCR의 조작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DVCR(10)와 제1 DTV(12)의 점대점 연결이 설정되었다고 하며, 이러한 점대점 연결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연결 설정 정보에 의하여 DVCR(10)와 제1 DTV(12)의 IEEE-1394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DVCR(10)의 출력 내용을 제1 DTV(12)가 입력받아 볼 수 있게 된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and FIG. 2 illustrates connection related fields of oPCR and iPCR registers used in the IEC-61883 standard. Referring to FIG. 1, the point-to-point connection of the DVCR 10, the first DTV 12, and the second DTV 14 is established by an IEEE-1394 interface.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2, the apparatus for which the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performed is the output plug control register (oPCR: (a)) and the input plug control register (iPCR: (b)) used in the IEC-61883 standard Has connection related fields (P-2-Pcnt, nCh) and connection related fields (P-2-Pcnt, nCh), respectively. When devices having such a plug control register are point-to-point connected, for example, the content of oPCR of DVCR 10 is oPCR.P-2-P_Connection_Counter (P-2-Pcnt) = 1, oPCR. Channel_Number = 33 and the contents of iPCR of the first DTV 12 are iPCR.P-2-P_Connection_Counter (P-2-Pcnt) = 1, iPCR.Channel_Number = 33.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iPCR and oPCR is successfully performed, it is said that the point-to-point connection between the DVCR 10 and the first DTV 12 is established, and the DVCR 10 is connected by the connection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int-to-point connection setting state. By controlling the IEEE-1394 module of the first DTV 12 and the output content of the DVCR (10) can be received by the first DTV (12).

이와 같이, DVCR(10)와 제1 DTV(12) 사이에 연결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싱크 기기인 제2 DTV(14)가 DVCR(10)의 현재 출력 내용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 DTV(14)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DVCR(10)와 제1 DTV(12) 사이의 점대점 연결에 중첩(overlay)되어 점대점 연결이나 브로드캐스트-인 연결을 설정하고자 한다.In this way,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DVCR 10 and the first DTV 12 is established, when the second DTV 14 serving as the sink device wants to view the current output content of the DVCR 10, the second DTV ( 14) overlaps the point-to-point connection between the currently established DVCR 10 and the first DTV 12 to establish a point-to-point connection or a broadcast-in connection.

제2 DTV(14)와 DVCR(10) 사이에 점대점 연결이 중첩 설정되는 경우에는 DVCR(10)의 oPCR의 내용은 oPCR.P-2-P_Connection_Counter(P-2-Pcnt) = 2, oPCR.Channel_Number = 33이 되고, 제2 DTV(14)의 iPCR의 내용은 iPCR.P-2-P_Connection_Counter(P-2-Pcnt) = 1, iPCR.Channel_Number = 33이 되며, 역시 이 정보에 따라 제2 DTV(14)는 자신의 IEEE-1394 모듈을 제어한다. 이로써, 제2 DTV(14)는 DVCR(10)의 출력 내용을 볼 수 있다.If the point-to-point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second DTV 14 and the DVCR 10, the content of the oPCR of the DVCR 10 is oPCR.P-2-P_Connection_Counter (P-2-Pcnt) = 2, oPCR. Channel_Number = 33, iPCR content of the second DTV 14 is iPCR.P-2-P_Connection_Counter (P-2-Pcnt) = 1, iPCR.Channel_Number = 33, and according to this information, the second DTV 14 controls its IEEE-1394 module. As a result, the second DTV 14 can view the output contents of the DVCR 10.

IEC-61883 규격에 따르면, 점대점 연결에서는 연결을 설정한 기기만이 연결을 끊을 수 있으므로 DVCR(10)과 제1 DTV(12) 사이의 점대점 연결은 제1 DTV(12) 만이 끊을 수 있다. 제1 DTV(12)가 DVCR(10)와의 연결을 끊으면 DVCR(10)의 oPCR은 oPCR.P-2-P_Connection_Counter(P-2-Pcnt) = 0, oPCR.Channel_Number(nCh) = 33이 되고, 제1 DTV(12)의 iPCR은 iPCR.P-2-P_Counter(P-2-Pcnt) = 0, iPCR.Channel_Number(nCh) = 33이 된다.According to the IEC-61883 standard, the point-to-point connection between the DVCR 10 and the first DTV 12 may be disconnected only by the first DTV 12 because only the device that establishes the connection may be disconnected in the point-to-point connection. . When the first DTV 12 disconnects from the DVCR 10, the oPCR of the DVCR 10 becomes oPCR.P-2-P_Connection_Counter (P-2-Pcnt) = 0, oPCR.Channel_Number (nCh) = 33, IPCR of the first DTV 12 is iPCR.P-2-P_Counter (P-2-Pcnt) = 0 and iPCR.Channel_Number (nCh) = 33.

DVCR(10)과 제1 DTV(12) 사이의 연결을 제1 DTV(12) 이외의 다른 기기가 끊으려고 시도하면 이러한 시도는 규격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에 DVCR(10)과 제1 DTV(12)는 그러한 시도를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DVCR(10)과 제2 DTV(14) 사이의 연결을 제2 DTV(14) 이외의 다른 기기가 끊으려고 시도하면 이러한 시도는 규격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에 DVCR(10)과 제2 DTV(14)는 그러한 시도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사항은 IEC-61883 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오디오-비디오 콘텐츠(Audio-Video Contents)를 등시성 비트스트림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모든 기기는 이에 따라야만 한다.If a connection other than the first DTV 12 attempts to break the connection between the DVCR 10 and the first DTV 12, the DVCR 10 and the first DTV 12 will not be able to meet these standards. Does not allow such an attempt. In addition, if a device other than the second DTV 14 attempts to disconnect the connection between the DVCR 10 and the second DTV 14, the attempt is not compliant and the DVCR 10 and the second DTV ( 14) does not allow such an attempt. This is specified in the IEC-61883 standard. Therefore, all devices wishing to transmit Audio-Video Contents in an isochronous bitstream must comply with it.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에 따르면 예를들어 제1 기기와 제2 기기 사이에 설정된 점대점 연결을 임의의 제3 기기가 설정하였을 때, 이 연결은 제3 기기 이외에는 어떠한 기기도 끊을 수 없다. 상술한 예의 경우에, 연결의 당사자 기기인 제1 DTV(12)가 이 연결에 사용되는 입력 플러그를 다른 기기에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 플러그는 이미 DVCR(10)에 점대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2 DTV(14)가 이 연결을 끊어주지 않는 한 제1 DTV(12)는 이 연결을 끊을 수가 없다. 결국, 제1 DTV(12)는 자신의 동작의 상당한 부분을 제2 DTV(14)의 동작에 의존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겪게 된다. 또한, 제2 DTV(14)가 제1 DTV(12)가 원하는 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DTV(14)는 자신이 희망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of the digital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or example, when any third device establishes a point-to-point connection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the connection is any device other than the third device. Can't even hang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 since the input plug is already point-to-point connected to the DVCR 10 even when the first DTV 12, which is the party device of the connection, wants to connect the input plug used for this connection to another device. The first DTV 12 cannot disconnect this connection unless the second DTV 14 disconnects it. As a result, the first DTV 12 suffers from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ly o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TV 14 for a substantial portion of its operation. In addition, when the second DTV 14 does not operate as desired by the first DTV 12, the second DTV 14 may not perform its desired operation.

예를들어, IEEE-1394 네트워크에 D-VHS, DTV, 및 DVD가 연결되어 있었는데, 사용자가 D-VHS를 재생모드로 절환시켜 D-VHS가 자신의 디폴트 디스플레이 장치인 DTV로 점대점 연결을 설정하였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D-VHS를 보던 중에 DVD를 보고자 하여 DTV의 소오스 선택 스크린을 기동시켜 DTV 화면상에 소오스로서 DVD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의 의도는 현재 DTV 화면에 표시되는 D-VHS 내용을 끊고 DVD 내용을 보고자 하는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DTV는 이러한 동작을 수행할 수가 없다.For example, D-VHS, DTV, and DVD are connected to the IEEE-1394 network, but the user switches D-VHS to playback mode, and D-VHS establishes a point-to-point connection to DTV, its default display device. Assume that It is assumed that a user selects a DVD as a source on the DTV screen by starting the source selection screen of the DTV in order to watch the DVD while watching the D-VHS. At this time, although the user's intention was to cut off the D-VHS contents displayed on the current DTV screen and watch the DVD contents, the DTV cannot actually perform such an operation.

왜냐하면, DTV가 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입력 플러그와 D-VHS의 출력 플러그 사이에 연결된 점대점 연결을 끊고 이어서 자신의 입력 플러그와 DVD의 출력 플러그 사이에 새롭게 연결을 설정하여야 하는데 D-VHS와의 점대점 연결은 D-VHS가 설정한 것이므로 DTV는 그 연결을 끊을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DTV 화면상으로 DVD를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는 만족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Because DTV needs to disconnect the point-to-point connection between its input plug and the output plug of D-VHS, and then establish a new connection between its input plug and the output plug of DVD. The point-to-point connection with the VHS is established by the D-VHS, so the DTV is not authorized to terminate the connectio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s request for watching a DVD on a DTV screen is not satisfied.

즉,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에 따르면 예를들어 연결의 당사자가 끊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많은 불편함을 야기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of the digital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such as, for example, the case that the parties to the connection can not be disconnect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IEEE-1394와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된 디지털 장치들 사이에 점대점 접속이 설정되어 있을 때, 이 점대점 연결의 당사자 기기가 상기 점대점 연결을 끊을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party device of this point-to-point connection to disconnect the point-to-point connection when a point-to-point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digital devices connected through a digital interface such as IEEE-1394. It is to provide a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of a digital interface.

도 1은 종래의 연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도 2는 IEC-61883 규격에서 사용되는 oPCR 및 iPCR 레지스터의 연결 관련 필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nection-related fields of oPCR and iPCR registers used in the IEC-61883 standar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of a digital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방법에 따른 연결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management oper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도 5는 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oMPR/iPMR)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master plug register oMPR / iPMR.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은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점대점 연결된 복수 개의 기기들에 대한 연결 관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연결 해제를 요구하는지를 표시하는 해제 요구 필드와 해제를 요구하는 플러그의 식별자를 표시하는 해제요구 플러그 ID 필드를 소정의 레지스터 공간상에 구비하는 각 기기들에 대하여, (a) 임의의 제1 기기가 점대점 연결을 끊고자 하면 제1 기기가 점대점 연결을 설정한 제2 기기에 대하여 비동기로크(AsyncLock) 트랜잭션을 시도하는 단계; (b) 제1 기기가 제2 기기의 해제 요구 필드와 해제요구 플러그 ID 필드들을 대상으로 비동기 로크 요구를 발송하는 단계; (c) 제2 기기가 비동기 로크(AsyncLock) 트랜잭션을 시도한 제1 기기에 대하여 해제요구 플러그 ID에 해당하는 플러그에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해제요구 플러그 ID에 해당하는 플러그에 대한 점대점 연결을 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of a digital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of a digital interface that performs connection management for a plurality of devices that are point-to-point connected by a digital interface. For each device having a release request plug ID field in a predetermined register space indicating a release request field and an identifier of the plug requesting release, (a) if any first device wishes to disconnect point-to-point connection, Attempting, by the first device, an AsyncLock transaction with a second device that has established a point-to-point connection; (b) the first device sending an asynchronous lock request to the release request field and the release request plug ID fields of the second device; (c) determining whether a point-to-point connection previously set by the second device exists in the plug corresponding to the release request plug ID with respect to the first device with which the second device has attempted an AsyncLock transaction; And (d) disconnecting the point-to-point connection to the plug corresponding to the release request plug I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c) that the point-to-point connection previously set by the user is present.

또한, 상기 방법에서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IEEE-1394 표준에 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method, the digital interface preferably conforms to the IEEE-1394 standard.

또한, 상기 해제 요구 필드와 해제요구 플러그 ID 필드는 출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와 입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lease request field and the release request plug ID field may be provided in the output master plug register and the input master plug regis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을 흐름도로써 나타내었으며, 도 4에는 상기 방법에 따른 연결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였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of a digital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management oper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소오스 기기(40)와 싱크기기(42)가 소오스 기기(40)의 출력 플러그 ID 2 번과 싱크 기기(42)의 입력 플러그 ID 5 번을 통하여 점대점 연결이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한다. 만일, 소오스 기기(40)가 점대점 연결을 끊고자 하는 것으로 판별(단계 300)되면 소오스 기기(40)가 점대점 연결을 설정한 기기(EST: 44)에 대하여 비동기로크(AsyncLock) 트랜잭션을 시도한다(단계 302).Referring to FIGS. 3 and 4, a method of managing connection of a digital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First, the source device 40 and the sink device 42 may output the ID 2 of the source device 40. Assume that the point-to-point connection is made through the input plug ID 5 of the and sink device 42. If the source device 40 determines that the point-to-point connection is to be disconnected (step 300), the source device 40 attempts an AsyncLock transaction with respect to the device (EST) 44 that has established the point-to-point connection. (Step 302).

점대점 연결을 설정한 기기(EST: 44)는 레지스터 공간상에 해제 요구 필드(Brk_Rq) 필드와 해제요구 플러그 ID(Brk_PlugID) 필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드들(Brk_Rq, Brk_PlugID)이 출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oMPR)와 입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iPMR)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도 5에는 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oMPR/iPMR)의 구조를 일예로써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출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oMPR) 또는 입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iPMR)는 1 비트의 해제 요구 필드(Brk_Rq) 필드와 5 비트의 해제요구 플러그 ID(Brk_PlugID) 필드를 포함한다.The device (EST) 44 which has established the point-to-point connection includes a release request field (Brk_Rq) field and a release request plug ID (Brk_PlugID) field in the register spac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elds Brk_Rq and Brk_PlugID are provided in the output master plug register oMPR and the input master plug register iPMR. 5 shows the structure of the master plug register (oMPR / iPMR)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5, the output master plug register oMPR or the input master plug register iPMR includes a 1-bit release request field (Brk_Rq) field and a 5-bit release request plug ID (Brk_PlugID) field.

본 실시예에서는 소오스 기기(40)에서 연결을 끊고자 하는 경우를 예를들어 설명하므로 소오스 기기(40)가 기기(EST: 44)의 해제 요구 필드(Brk_Rq) 필드와 해제요구 플러그 ID(Brk_PlugID) 필드들을 대상으로 비동기 로크 요구를 발송한다. 일예로, 소오스 기기(40)는 해제를 요구하기 위하여 해제 요구 필드(Brk_Rq) 필드를 1로 설정하고, 소오스 기기(40)의 점대점 연결 플러그에 해당하는 식별자로서 해제요구 플러그 ID(Brk_PlugID)는 2로 설정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source device 40 is to be disconnected is described as an example, so that the source device 40 releases the release request field (Brk_Rq) field and release request plug ID (Brk_PlugID) of the device EST 44. Send an asynchronous lock request to the fields. For example, the source device 40 sets the release request field Brk_Rq field to 1 to request release, and the release request plug ID Brk_PlugID is a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point-to-point connection plug of the source device 40. Set to 2.

기기(EST: 44)는 비동기 로크(AsyncLock) 트랜잭션을 시도한 기기의 출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의 해제요구 플러그 ID(oMPR.Brk_PlugID)에 해당하는 플러그에 대하여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단계 304).The device (EST: 44)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oint-to-point connection previously established for the plug corresponding to the release request plug ID (oMPR.Brk_PlugID) of the output master plug register of the device that attempted an AsyncLock transaction. (Step 304).

만일, 단계(304)에서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출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의 해제요구 플러그 ID(oMPR.Brk_PlugID)에 해당하는 플러그 ID 2 번에 대한 점대점 연결을 끊는다(단계 306).If it is determined in step 304 that the point-to-point connection previously set by the user exists, the point-to-point connection for plug ID 2 corresponding to the release request plug ID (oMPR.Brk_PlugID) of the output master plug register is disconnected. (Step 306).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점대점 연결을 싱크 기기(42)의 요구에 의하여 그 연결을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싱크 기기(42)가 점대점 연결을 끊고자 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싱크 기기(42)가 점대점 연결을 설정한 기기(EST: 44)에 대하여 비동기로크(AsyncLock) 트랜잭션을 시도한다. 즉, 싱크 기기(42)는 해제를 요구하기 위하여 해제 요구 필드(Brk_Rq) 필드를 1로 설정하고, 싱크 기기(42)의 점대점 연결 플러그에 해당하는 식별자로서 해제요구 플러그 ID(Brk_PlugID)는 5로 설정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to-point connection may be released at the request of the sink device 42.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nk device 42 wants to disconnect the point-to-point connection, the sink device 42 attempts an AsyncLock transaction with respect to the device EST 44 that has established the point-to-point connection. That is, the sink device 42 sets the release request field Brk_Rq field to 1 to request release, and the release request plug ID Brk_PlugID is 5 as a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point-to-point connection plug of the sink device 42. Set to.

기기(EST: 44)는 비동기 로크(AsyncLock) 트랜잭션을 시도한 싱크 기기(42)의 입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의 해제요구 플러그 ID(iMPR.Brk_PlugID)에 해당하는 플러그 ID 5 번에 대하여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하여,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입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의 해제요구 플러그 ID(iMPR.Brk_PlugID)에 해당하는 플러그 ID 5 번에 대한 점대점 연결을 끊는다.The device EST 44 has previously set the plug ID 5 corresponding to the release request plug ID (iMPR.Brk_PlugID) of the input master plug register of the sink device 42 that has attempted an AsyncLock transac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a point-to-point connection exist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int-to-point connection previously set by the user exists, the point-to-point connection for plug ID 5 corresponding to the release request plug ID (iMPR.Brk_PlugID) of the input master plug register is used. Hang up.

따라서, 상술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기기가 점대점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을 경우, 그 점대점 연결의 당사자 기기가 그 점대점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점대점 연결을 설정한 기기가 아닌 기기에 의한 요청에 의하여 점대점 연결을 끊을 수 있기 때문에 연결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digital interface, when a plurality of devices are connected through the point-to-point connection, the party device of the point-to-point connection can disconnect the point-to-point connection. In this way, the point-to-point connection can be disconnected at the request of the device rather than the device that has established the point-to-point connection,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onnection management.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자기기록매체 또는 광기록매체와 같은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그램은 ROM, 및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method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er including a microprocessor or a processor. The program may also be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or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lso, preferably,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a memory such as a ROM and a flash memory.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플래시메모리와 상기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독취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기기들에 대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펌웨어(firmware)를 구성한다. 또한, 펌웨어에 의하여 수행되는 제어 동작은 당업자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기기들 사시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적인 프로토콜로써 작용한다.A flash memory stor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nd a microprocessor that reads the program from the flash memory and executes the program constitute firmware that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on devices connected to a digital interface. In addition, the control operation performed by the firmware acts as a software protocol performed on the devices connected by the digital interface a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에서 해제 요구 필드(Brk_Rq) 필드와 해제요구 플러그 ID(Brk_PlugID) 필드들은 출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oMPR)와 입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iPMR) 내에서 정의되는 것을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이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으로, 상기 필드들은 다른 레지스터 공간상에 구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elease request field Brk_Rq field and the release request plug ID Brk_PlugID fields are defined in the output master plug register oMPR and the input master plug register iPMR, but this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the fields are provided in other register space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mbodiment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은 복수 개의 기기들이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점대점 연결되어 있을 경우, 그 점대점 연결의 당사자 기기가 그 점대점 연결을 끊을 수 있기 때문에 연결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managing connection of a digital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a plurality of devices are point-to-point connected by a digital interface, the party device of the point-to-point connection can disconnect the point-to-point connection. Improve efficiency

Claims (3)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점대점 연결된 복수 개의 기기들에 대한 연결 관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에 있어서,In the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of a digital interface for performing connection management for a plurality of devices point-to-point connected by a digital interface, 연결 해제를 요구하는지를 표시하는 해제 요구 필드와 연결 해제를 요구하는 플러그의 식별자를 표시하는 해제요구 플러그 ID 필드를 소정의 레지스터 공간상에 구비하는 각 기기들에 대하여,For each device having a release request plug ID field indicating a release request field indicating whether to request a disconnection and an identifier of a plug requesting disconnection on a predetermined register space, (a) 임의의 제1 기기가 점대점 연결을 끊고자 하면 제1 기기가 점대점 연결을 설정한 제2 기기에 대하여 비동기로크(AsyncLock) 트랜잭션을 시도하는 단계;(a) if any first device wants to disconnect the point-to-point connection, the first device attempts an AsyncLock transaction with the second device that has established the point-to-point connection; (b) 제1 기기가 제2 기기의 해제 요구 필드와 해제요구 플러그 ID 필드들을 대상으로 비동기 로크 요구를 발송하는 단계;(b) the first device sending an asynchronous lock request to the release request field and the release request plug ID fields of the second device; (c) 제2 기기가 비동기 로크(AsyncLock) 트랜잭션을 시도한 제1 기기에 대하여 해제요구 플러그 ID에 해당하는 플러그에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c) determining whether a point-to-point connection previously set by the second device exists in the plug corresponding to the release request plug ID with respect to the first device with which the second device has attempted an AsyncLock transaction; And (d) 상기 (c) 단계에서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해제요구 플러그 ID에 해당하는 플러그에 대한 점대점 연결을 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and (d) disconnecting the point-to-point connection to the plug corresponding to the release request plug I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c) that the point-to-point connection previously set by the user exists. To manage conn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gital interface, IEEE-1394 표준에 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관리 방법.Conne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IEEE-1394 stand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요구 필드와 해제요구 플러그 ID 필드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lease request field and the release request plug ID field include: 출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와 입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And an output master plug register and an input master plug register.
KR1019990030340A 1999-07-26 1999-07-26 Connection managing method of digital interface KR1006079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340A KR100607933B1 (en) 1999-07-26 1999-07-26 Connection managing method of digital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340A KR100607933B1 (en) 1999-07-26 1999-07-26 Connection managing method of digital inte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115A true KR20010011115A (en) 2001-02-15
KR100607933B1 KR100607933B1 (en) 2006-08-03

Family

ID=19604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340A KR100607933B1 (en) 1999-07-26 1999-07-26 Connection managing method of digital inte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933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9836B2 (en) * 1991-05-31 1995-10-2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LAN virtualization method for point-to-point communication network
JP3809641B2 (en) * 1996-03-25 2006-08-16 ソニー株式会社 AV device, AV device location confirmation / management apparatus, and AV device location confirmation / management method
JPH11163912A (en) * 1997-12-01 1999-06-18 Toshiba Corp Device and method for network control
KR100644560B1 (en) * 1999-07-26 2006-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Connection managing method of digital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7933B1 (en)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6639B2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JP2000324143A (en) Transmission management method
KR100644560B1 (en) Connection managing method of digital interface
KR100607933B1 (en) Connection managing method of digital interface
US7145872B1 (en) Method for managing system resources in network system in which digital interface is used for connection
KR100644561B1 (en) Connection managing method of digital interface
JP4304066B2 (en) Method for managing a network having a bridge between HAVi clusters
JP3396462B2 (en) Digital interface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US20060017811A1 (en) Communication system,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7042896B1 (en) Method for managing a digital interface connection
JP2004147251A (en) Data transfer device and interface control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protocol processing circuit control method
JP2000253463A (en) Network control system, and target, controller and consumer used for the network control system
JP2007324681A (en) Connection apparatus to ieee serial bus
US7372821B2 (en) Signal processing system, signal receiving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2003324439A (en) Signal processing system, signal output unit, signal input unit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3637817B2 (en) Device connection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KR100561388B1 (en) Method for managing connection of digital interface
JP2003324451A (en) Signal processing system, signal output device, signal input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2002016620A (en) Digital equipment,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ata input/output
JP2003110561A (en) Stream managing device on home network
KR100561389B1 (en) Method for managing connection of digital interface
JP2003249934A (en)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 bus control method, bus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2366459A (en) Av network equipment
JP2002149283A (en) Digital information apparatus having network function
JP2004274668A (en) Connection setup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