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9442A -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9442A
KR20010009442A KR1019990027804A KR19990027804A KR20010009442A KR 20010009442 A KR20010009442 A KR 20010009442A KR 1019990027804 A KR1019990027804 A KR 1019990027804A KR 19990027804 A KR19990027804 A KR 19990027804A KR 20010009442 A KR20010009442 A KR 20010009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asing
floor
cover plat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1797B1 (ko
Inventor
황천익
Original Assignee
황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천익 filed Critical 황천익
Priority to KR1019990027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1797B1/ko
Publication of KR20010009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7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여닫이문의 하단부에 끼워져 문짝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플로어힌지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매설되어 힌지본체를 수용하고 있는 케이싱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완벽히 차단하여 주고, 외부의 찬기운이 힌지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주며,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성이 높은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여닫이문의 회동중심축이 위치될 바닥에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 케이싱을 매설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힌지본체를 넣어 설치하며,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 주입구멍이 뚫려진 덮개판을 씌워 힌지본체 및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차폐시키고, 상기 힌지본체가 들어가 있는 케이싱의 잔여공간에 상기 덮개판의 주입구멍을 통하여 겔상태의 실링재를 밀실하게 채워 넣는 구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 및 그 설치방법{A Floor Hinge having Water-proof and Insulation and It's Installation Method}
본발명은 여닫이문의 하단부에 끼워져 문짝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플로어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에 매설되어 힌지본체를 수용하고 있는 케이싱의 잔여공간에 실링재를 충전하여 밀폐시키는 방식을 통하여, 케이싱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여 주는 동시에, 외부의 찬기운이 힌지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주어서, 플로어힌지의 부식이 방지되고 힌지작동체의 동결이 방지되어 플로어힌지가 보호되도록 한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개폐되는 여닫이문은 그 문이 설치되는 바닥콘크리트에 플로어힌지를 설치하여 문짝의 개폐동작을 제어한다.
이 플로어힌지는 문짝의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의 바닥콘크리트에 금속제 상자형 케이싱을 매설하고, 케이싱의 내부에 힌지본체를 설치하여 힌지본체의 힌지축과 문짝의 하단부를 결합시켜 문짝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며, 케이싱의 상부에는 금속제 덮개판을 씌워서 마감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덮개판은 중앙부에 힌지축이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플로어힌지를 설치하거나 수리할 때 문짝이 힌지축에 장착되어 있더라도 이와 관계없이 조립,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멍을 중심으로 2개로 분할되어 끼워 맞추도록 구성되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그 가장자리들을 나사체결하여서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플로어힌지의 설치구조에서 힌지본체를 수용하면서 바닥에 매설되는 케이싱의 내부는 그 상부에 씌워진 덮개판에 의해 차폐되고 있다.
그러나, 덮개판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축이 관통하는 구멍과 그 구멍을 중심으로 한 분할선이 존재하고, 금속으로 만든 케이싱과 덮개판이 접하는 가장자리에 틈새가 뜨게 되어 기밀성이 확보되지 않는다.
힌지본체를 내장하고 있는 케이싱의 기밀이 확보되지 않으면 오수 또는 빗물이 케이싱 내부로 침투하여서 고이게 되고, 이렇게 고인 물은 힌지본체와 케이싱에 부식을 일으키게 되어서 힌지본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종래, 플로어힌지에서 케이싱의 내부를 밀폐시켜 방수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대부분이 케이싱의 상면과 덮개판 사이에 고무재질의 패킹판을 개재시키고, 힌지축 관통구멍의 주변에 패킹링을 장착하여 놓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상기한 패킹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선행기술의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4-2878호 및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1-61380호와 같은 기술들로 개시된 바 있다.
이 선행기술들은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판의 요소마다 패킹판 또는 패킹링등의 패킹재들을 구비시켜서 힌지본체를 수용하고 있는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오수등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작용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패킹의 설치구조가 복잡하고 나사체결부위가 여러 곳에 존재하므로 시공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덮개판을 덮을 시 나사체결작업을 게을리하거나, 사용중 나사가 풀려 조임이 느슨하게 되면 목적하는 바의 방수성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그리고, 두껍고 복잡한 구조의 판형태 및 링형태의 여러 패킹재들을 특수 제작하고, 이를 장착시키기 위한 구조를 덮개판에 형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높아 경제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또한, 덮개판의 설치만으로는 케이싱의 내부가 단열되지 않기 때문에, 겨울철에 기온이 강하할 경우 외부의 냉기가 힌지본체에 그대로 전달되어서 플로어힌지의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플로어힌지의 작동체들에 무리가 가해져 고장이 일어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발명은 여닫이문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플로어힌지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바닥에 매설되어 힌지본체를 수용하고 있는 케이싱내로 물이 스며들지 않아 플로어힌지 구성부품의 부식이 방지되고, 외부의 찬기운이 힌지본체로 전달되지 않아 힌지작동체의 동결이 방지되어 플로어힌지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설치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성이 높은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에 매설되어 힌지본체를 수용하고 있는 케이싱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완벽히 차단하여 주고, 외부의 찬기운이 힌지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주면서도 시공이 간편한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는 여닫이문의 회동중심축이 위치될 바닥에 매설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문짝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힌지본체와,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 씌워져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차폐시키는 덮개판과, 상기 힌지본체가 들어가 있는 케이싱의 잔여공간에 채워넣은 실링재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설치방법은 여닫이문의 회동중심축이 위치될 바닥에 케이싱을 매설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힌지본체를 넣어 고정한 후,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 덮개판을 씌운 다음, 상기 케이싱의 잔여공간에 겔상태의 실링재를 밀실하게 채워 넣는 작업을 통하여 이루어짐을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발명에 따른 플로어힌지 구성부품들의 분리사시도
도2는 본발명에 따른 플로어힌지의 방수단열 구조를 나타낸 일측단면도
도3은 본발명에 따른 플로어힌지에서 유압조절나사구멍 부분의 상세단면도
도4는 본발명에 따른 플로어힌지에서 실링재 주입구멍부분의 상세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케이싱 11:플랜지부 20:힌지본체
21:힌지축 22:유압조절나사구멍 23:차단구
24:차단마개 30:덮개판 31:원통형캡
32:환상판 33:힌지축수용구멍 34:주입구멍
35:막이구 36:비닐지 40:실링재
D:문짝
이하, 본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1 및 도2에 도시되는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는 여닫이문의 회동중심축이 위치될 바닥에 매설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문짝(D)의 하단부에 그 힌지축(21)이 결합되어서 문짝(D)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힌지본체(20)와, 상기 케이싱(10)의 상면에 씌워져 힌지축(21)의 상단부를 제외한 힌지본체(20) 및 케이싱(10)의 내부공간을 차폐시키는 덮개판(30)과, 상기 힌지본체(20)가 들어가 있는 케이싱(10)의 잔여공간에 밀실하게 채워진 실리콘수지로 된 실링재(40)의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본발명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고 있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여닫이문의 회동중심축이 위치될 바닥에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 케이싱(10)을 매설하고,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힌지본체(20)를 넣어 그 힌지축(21)이 문짝(D)의 회동중심점에 정확히 들어 맞도록 설치한 후, 상기 케이싱(10)의 상면에 주입구멍(34)이 뚫려진 덮개판(30)을 씌워 힌지본체(20) 및 케이싱(10)의 내부공간을 차폐시키되 힌지축(21)의 상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로 고정하여 놓고, 상기 힌지본체(20)가 들어가 있는 케이싱(10)의 잔여공간에 상기 덮개판(30)의 주입구멍(34)을 통하여 겔상태의 실링재(40)를 밀실하게 채워 넣은 다음, 상기 주입구멍(34)을 막이구(35)로 틀어 막는 작업을 통하여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에서 케이싱(10)은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태를 갖는 금속제이며, 상단 가장자리에는 플랜지부(11)가 형성되어서 덮개판(30)이 체결될 나사자리를 제공한다.
상기 힌지본체(20)에는 상면으로 개방되는 유압조절나사구멍(22)이 구비되어서 사용중 문짝의 속도를 빠르거나 느리게 조절하는데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유압조절나사구멍(22)에는 덮개판(30)의 하면에 그 상면이 밀착되는 차단구(23)가 설치되어서, 상기 실링재(40)가 유압조절나사구멍(22)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추후 문짝의 속도를 조절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한다.
여기서 차단구(23)는 여러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나, 도3의 도시와 같이 그 하부는 유압조절나사구멍(22)에 꼭 들어맞고 상부는 넓게 확개되는 깔때기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서 덮개판(30)의 하면에 그 상단부가 압박될 때 일그러져서 틈새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차단구(23)의 내부에는 그 내면에 꼭 들어 맞는 차단마개(24)를 끼워 놓아서 실링재의 차단장치를 2중으로 구비시킬 수도 있다.
상기 덮개판(30)은 힌지본체(20)의 힌지축(21)이 관통되는 힌지축수용구멍(33)이 그 중앙부에 형성되고, 그 구멍을 중심으로 2개로 분할되어 끼워 맞추도록 구성되며, 케이싱(10)의 플랜지부(11)에 가장자리들을 나사체결하여서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덮개판(30)에는 상기 힌지본체(20)의 힌지축(21)에 끼워져 힌지축수용구멍(33)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힌지본체(20)의 상면에 얹혀지는 원통형캡(31)이 구비되고, 그 원통형캡(31)에는 환상판(32)이 끼워져서 덮개판(30)의 상면에 얹혀지게 설치된다.
이 원통형캡(31)과 환상판(32)은 상기 실링재(40)가 힌지축(21)에 접하지 않도록 하여 주는 동시에, 덮개판(30)의 힌지축수용구멍(33)을 완전히 차폐하여서 겔상태의 실링재(40)를 채우는 작업시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그리고, 덮개판(30)에는 도4의 도시와 같이 실링재(40)의 주입통로로 이용하는 적어도 1개이상의 주입구멍(34)과, 그 주입구멍(34)을 밀폐시켜 주도록 탈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막이구(35)가 구비된다.
이 주입구멍(34)은 힌지본체(20)의 상부를 피하여, 즉 힌지본체(20)와 케이싱(10)의 측벽사이에 형성되는 케이싱(10)의 잔여공간부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실링재(40)의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그 잔여공간부를 채워지게 한다.
또한, 덮개판(30)의 하면에는 비닐지(36)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부착된 비닐지(36)는 플로어힌지의 사용중 유압을 재조정하거나, 힌지축(21)의 위치를 바로잡아 줄 필요가 있어 덮개판(30)을 해체할 때 덮개판(30)이 비닐지(36)와 맞붙은 면에서 분리됨으로써, 덮개판(30)의 해체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준다.
상기 실링재(40)는 겔상태의 실리콘수지계통이 사용된다. 즉, 상기 실링재(40)로서는 겔상태의 물성을 갖는 실리콘수지풀, 실리콘수지실링재, 실리콘수지코킹재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겔상태의 실링재(40)는 덮개판(30)을 케이싱(10)의 상면에 덮고난 후에 주입하게 되며, 케이싱(10)에 내장되어 있는 힌지본체(20)를 둘러싸면서 케이싱의 구석과 덮개판사이의 틈새로 스며들어가 케이싱 내부의 잔여공간을 밀실하게 채우게 되며, 틈새를 완전히 메꾸어 준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발명은 힌지본체가 내장된 케이싱의 내부에 실링재가 완전히 채워지고 그 실링재가 외부와 완전히 밀폐되면서 케이싱의 구석 및 덮개판의 틈새를 완전히 메꾸어 주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외부에서 오수가 침투할 여지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외기가 완벽하게 차단되는 플로어힌지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발명 방수단열 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 및 그 설치방법에 의하면, 바닥에 매설되어 힌지본체를 수용하고 있는 케이싱내로 물이 스며들지 않아 구성부품의 부식이 방지되고, 외부의 찬기운이 힌지본체로 전달되지 않아 힌지작동체의 동결이 방지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며, 또한 고장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그리고, 구성부품의 구조 및 이의 설치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성이 높으며, 시공이 간편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등 여러 효과를 나타내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으로 제작되어 여닫이문의 회동중심축이 위치될 바닥에 매설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문짝(D)의 하단부에 그 힌지축(21)이 결합되어서 문짝(D)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며 그 상면으로 개방되는 유압조절나사구멍(22)이 구비된 힌지본체(20)와, 상기 힌지본체(20)의 힌지축(21)에 그 힌지축수용구멍(33)이 관통되면서 상기 케이싱(10)의 상면에 씌워져 힌지축(21)의 상단부를 제외한 힌지본체(20) 및 케이싱(10)의 내부공간을 차폐시키는 덮개판(30)과, 상기 힌지본체(20)가 들어가 있는 케이싱(10)의 잔여공간에 밀실하게 채워진 실리콘수지로 된 실링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본체(20)의 유압조절나사구멍(22)에는 그 유압조절나사구멍(22)을 차폐시켜 주는 차단구(23)가 설치되어서, 상기 실링재(40)가 유압조절나사구멍(22)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30)에는 상기 실링재(40)의 주입통로로 이용토록 적어도 1개이상의 주입구멍(34)과, 그 주입구멍(34)에 탈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막이구(3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30)의 하면에는 비닐지(36)가 부착되어서, 덮개판(30)의 해체시 비닐지(36)와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
  5. 여닫이문의 회동중심축이 위치될 바닥에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 케이싱(10)을 매설하고,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힌지본체(20)를 넣어 그 힌지축(21)이 문짝(D)의 회동중심점에 정확히 들어 맞도록 설치한 후, 상기 케이싱(10)의 상면에 주입구멍(34)이 뚫려진 덮개판(30)을 씌워 힌지본체(20) 및 케이싱(10)의 내부공간을 차폐시키되 힌지축(21)의 상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로 고정하여 놓고, 상기 힌지본체(20)가 들어가 있는 케이싱(10)의 잔여공간에 상기 덮개판(30)의 주입구멍(34)을 통하여 겔상태의 실링재(40)를 밀실하게 채워 넣는 작업을 통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의 설치방법.
KR1019990027804A 1999-07-09 1999-07-09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 및 그 설치방법 KR100321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804A KR100321797B1 (ko) 1999-07-09 1999-07-09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804A KR100321797B1 (ko) 1999-07-09 1999-07-09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442A true KR20010009442A (ko) 2001-02-05
KR100321797B1 KR100321797B1 (ko) 2002-01-31

Family

ID=1960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804A KR100321797B1 (ko) 1999-07-09 1999-07-09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1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04Y1 (ko) * 2010-10-14 2011-03-31 김충식 도어용 플로어 힌지 케이스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1898A (zh) * 2010-03-10 2011-09-21 广东坚朗五金制品有限公司 地弹簧及其安装方法
KR101115328B1 (ko) 2011-10-21 2012-02-20 (주)미코인더스트리 덮개판이 개량된 플로어 힌지 케이스
KR101503384B1 (ko) 2013-07-22 2015-03-17 삼화정밀 주식회사 방수형 플로어 힌지 및 그 설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742U (ko) * 1985-07-04 1987-01-21
JPH0194179A (ja) * 1987-10-02 1989-04-12 Mitsui Constr Co Ltd ドアのフロアーヒンジ装置
JP2557384Y2 (ja) * 1991-12-06 1997-12-10 リョービ株式会社 フロアーヒン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04Y1 (ko) * 2010-10-14 2011-03-31 김충식 도어용 플로어 힌지 케이스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1797B1 (ko) 200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4266B2 (en) Sealing arrangement for door operating apparatus retrofit kit
KR100614939B1 (ko) 도로의 맨홀 역류방지시설구조
GB2346168A (en) Flood barrier
KR100321797B1 (ko) 방수단열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 및 그 설치방법
KR100321796B1 (ko) 방수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 및 그 설치방법
US5104165A (en) Water tight cover for latch
US6321491B1 (en) Bulkhead door seal
GB2432979A (en) Electrical connection unit with sealed housing inside lid
KR200315485Y1 (ko) 수도미터 보호통 뚜껑의 수밀구조
KR200353396Y1 (ko) 배수갑문용 리프팅 러그
JP2622097B2 (ja) 開口枠部材の取り付け構造
JP2980152B2 (ja) 外壁への換気口取付構造
JP3490413B2 (ja) 垂直管および水平管両用通気装置
KR200295273Y1 (ko) 환기구방수문
KR200258882Y1 (ko) 맨홀내부의 방수장치
CN220475359U (zh) 一种可封盖管线孔洞的接线盒
JP7348371B2 (ja) 開閉装置
CN212743623U (zh) 高防水性电子锁
KR200378262Y1 (ko) 밀폐형 맨홀
JP4310764B2 (ja) マンホール蓋の固定装置における水漏れ防止装置
KR200271452Y1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336574Y1 (ko) 맨홀용 밀폐링
KR200172125Y1 (ko) 스위치 보호케이스
KR200219109Y1 (ko) 맨홀의 뚜껑장치
KR200367686Y1 (ko) 주철 가로등의 침수(浸水)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